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혁신적 조직 구조와 피드백이 사내 기업가정신과 혁신적 아이디어성과에 미치는 영향

        황인호,김진수,고혁진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9 경영컨설팅연구 Vol.19 No.2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measure to im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porate entrepreneurship, which is the concept that pursues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organization’s idea performance. In detail, this research examines organization’s behavior factor for achieving innovative performance in the perspective of corporate entrepreneurship by establishing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of organizational effort to establish innovative system on idea performance via corporate entrepreneurship. Furthermore, this research presents the positive influencing relationship of organizational feedback activity for innovative behavior on innovative performance by proving that innovative activity feedback (process-oriented feedback, output-oriented feedback) is a factor that regul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ve system and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idea performance Research hypothesis and model are presente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 data for hypothesis verification was collected by surveying the corporations performing corporate entrepreneurship related activities. On October of 2015, the Korea Entrepreneurship Foundation (KoEF) surveyed domestic corporations on the level of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as a result, data from 1,039 corporations were collected. Hypothesis was verifi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using AMOS 22.0 and SPSS 21.0, we analyzed the confidence and validity of the research model, and performed hypothesis verification (main effect, regulation effect). The main effect analysis establishes that the innovativ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ve idea performance have positive influencing relationship. The regulation effect analysis establishes that the process-oriented feedback and output-oriented feedback are the factors that improve the positive relationship of innovativ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corporate entrepreneurship. In other words, the research proves that the various feedback activities about organization’s innovative activity contributes to enhancing corporate entrepreneurship. Hypothesis was verifi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using AMOS 22.0 and SPSS 21.0, we analyzed the confidence and validity of the research model, and performed hypothesis verification (main effect, regulation effect). The main effect analysis establishes that the innovative system and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idea performance have positive influencing relationship. The regulation effect analysis establishes that the process-oriented feedback and output-oriented feedback are the factors that improve the positive relationship of innovative system and corporate entrepreneurship. In other words, the research proves that the various feedback activities about organization’s innovative activity contributes to enhancing corporate entrepreneurship.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 혁신을 추구하는 개념인 사내 기업가정신과 조직의 혁신적 아이디어 성과간의 관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찾는 것이다. 세부적으로, 혁신적 조직구조가 사내 기업가정신을 통한 혁신적 아이디어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찾음으로써, 혁신적인 성과 달성을 위한 조직의 행동요인을 사내 기업가정신관점에서 살펴본다. 더불어, 혁신활동 피드백(과정 피드백, 결과 피드백)이 혁신적 조직구조와 사내 기업가정신, 그리고 아이디어 성과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요인임을 증명함으로써, 혁신적 행동에 대한 조직차원의 피드백 활동이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제시한다. 연구 가설 및 모델은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제시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한 데이터는 사내 기업가정신 관련 활동을 하고 있는 기업들로서, 2015년 10월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이 사내 기업가정신 수준에 대하여 국내 기업들을 대상으로 수집한 총 1,039개 기업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가설검증은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연구 모델의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그리고 가설검증(주효과, 조절효과)을 실시하였다. 주효과 분석 결과는 혁신적 조직구조와 사내 기업가정신, 그리고 혁신적 아이디어 성과 간의 긍정적 영향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조절효과 분석 결과, 과정 피드백과 결과 피드백이 혁신적 조직구조와 사내 기업가정신과의 긍정적 관계를 더욱 높이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조직의 혁신활동에 대한 다양한 피드백 활동 및 혁신조직 구조 확립은 사내 기업가정신을 더욱 향상시키는데 기여하는 것을 증명되었다. 본 결과는 실무적으로, 혁신적 활동을 통해 창의적 성과를 추구하고자 하는 조직들에게 사내 기업가정신을 높일 수 있는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이론적으로 사내 기업가정신 향상을 위한 세부요인을 제시함으로써, 사내 기업가정신 관련 확장 연구로서의 시사점을 가진다.

      • KCI우수등재

        메타버스 사용자의 협력적 활동에 미치는 영향: 공동체 의식, 진정성 경험, 프라이버시 우려, 그리고 규범 영향 민감성의 역할

        황인호 한국전자거래학회 2023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28 No.2

        Corona 19 has made people increase their exchange activities online, and they are using technologies such as online meeting systems and social network services by applying them in their work. Recently, metaverse technology that has enhanced realistic experiences is attracting market attention. Metaverse is a technology that supports users to freely activity in a virtual world implemented with 3D technology, and people communicate with others by using avatars mediated by themselves. Our purpose is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cooperative activities of users in the metaverse that serves as a community. In particular, based on a sense of community, we combine factors that people feel in exchange activities, such as authentic experience, privacy concerns, and susceptibility to normative influence, and suggest a mechanism to strengthen cooperative activities. We applied the factors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to the research model and surveyed people over the age of 20 who had a history of the metaverse. In addition, we applied 319 samples secured to AMOS 22.0 and Process 3.1 and used them for hypothesis verification. As a result, users' authentic experience and privacy concerns influenced the intention to offer support through sense of community. In addition, susceptibility to normative influence had an interaction effect with sense of community and privacy concerns and affected the maintenance of intention to offer support. The mechanism for the metaverse community identified through analysis is expected to help prepare a strategy to induce active participation of users in the metaverse platform that seeks to strengthen the community-centered business model. 사람들은 코로나 19에 대처하기 위해 온라인 교류 활동을 높였으며, 온라인 미팅 시스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등의 기술을 업무 등에 활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실재감을 강화한 메타버스 기술이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메타버스는 3D 기술 기반의 가상세계에서 사용자들이 자유롭게 활동하도록 지원하는 기술로서, 사람들은 본인을 매개하는 아바타를 활용하여 타인과 소통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커뮤니티 역할을 하는 메타버스에서 사용자의 협력 활동을 향상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연구는 공동체 의식을 기반으로 진정성 경험, 프라이버시 우려, 그리고 규범 영향 민감성 등 사람들이 교류 활동에서 느끼는 인식 요인들을 접목하여, 협력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요인별 측정 문항을 구성하였으며, 20세 이상의 메타버스 플랫폼을 경험한 이력이 있는 사람들에게 설문하였다. 또한, 확보된 319개의 표본은 AMOS 22.0과 Process 3.1 패키지에 적용하여 경로 검증에 활용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 진정성 경험과 프라이버시 우려가 공동체 의식을 통해 메타버스 요청지원 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규범 영향 민감성이 공동체 의식과 프라이버시 우려와 상호작용 효과를 가져 요청지원 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한 메타버스 공동체에 대한 메커니즘은 커뮤니티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을 강화하고자 하는 메타버스 플랫폼에 있어, 사용자의 능동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전략을 마련하는 것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조직의 정보보안 목표 설정과 공정성이 보안정책 준수의도에 미치는 영향

        황인호,김승욱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8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6 No.2

        전 세계적인 정보보안 위협의 증대에 따라 조직들은 보다 전문화된 정보보안 정책 및 시스템을 도입 및 활용에 투자 비중을 높이고 있다. 정보보안은 보안 시스템 및 정책을 이행하는 조직원들의 참여가 무엇보다 필요하며, 조직 내부의 보안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직원들의 정보보안 준수의도 향상을 위한 조직의 체계적인 지원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정보보안 분야에 공정성이론과 목표설정이론을 적용하여 조직원의 정보보안 준수의도를 높이기 위한 매커니즘을 찾는다. 즉, 보안정책 목표설정이 조직원들의 보안관련 공정성 인식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공정성은 준수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모델 기반 가설 검증을 실시한다. 연구대상은 정보보안 정책을 도입한 조직의 조직원들이며, 설문조사를 통하여 유효샘플 383개를 수집하였다. 연구가설 검증은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보안정책 목표 요인(목표 난이도, 목표 구체성)이 조직원의 보안관련 공정성 인식을 높이며, 보안관련 공정성(분배, 절차, 그리고 정보 공정성)이 준수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는 조직의 보안 정책에 대한 조직원들의 준수의도 향상을 위한 전략적 접근 방향을 제시한다. The threat to information security is growing globally. To this, organizations are increasing the weight of adapting and operating the more specialized information security policy and system. Information security requires participation from the employees who execute the security system and policy, and to increase the level of organization’s internal security, requires organization’s systematic support to improve employees’ information security compliance intention. This research finds the mechanism for improving employee’s information security compliance intention by applying justice theory and goal setting theory in information security. We us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and conducted a survey on the employees of organization with information security policy. In other words, this research performs verification of the research model based hypothesis which claims that security policy goal setting has positive influence on employee’s level of security related justice recognition, and claims that justice has positive influence on compliance intention. The object of study is the employees of the organization that adapts information security policy, and 383 valid samples were collected via surve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performed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The result shows that security policy goal factor (goal difficulty, goal specificity) improves employee’s security related justice recognition, and that security related justice (distribution, process, and information justice) has positive influence on compliance intention. The result suggests the strategic approach directions for improving employees’ compliance intention on organization’s security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