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선 아동문화의 태동기 일본인 활동에 관한 연구 - 쇼쿄쿠사이 덴카쓰 이치자의 조선 아동연극공연을 중심으로 -

        김성연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8 국제어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8 No.1

        한국에서 최초로 한글로 활자화 된 아동극의 대본은 『어린이』 창간호(1923년 3월20일)에 소개된 「동화국 노래주머니」이다. 한국의 아동문학, 아동문화의 본격적인 출발은 천도교 소년회를 주도하던 방정환이 중심이 되어 1923년에 설립된 색동회의 활동으로부터 시작되었다는 것이 정설이다. 그런데 『어린이』가 창간되기 무려 10여 년 전부터 경성일보사가 주최한 구연동화회가 빈번하게 열리고 있었으며, 일본에서 이와야 사자나미(巖谷小波)나 구루시마 다케히코(久留島武?)와 같은 아동문학가들이 초빙되어 조선 각지를 순회하며 구연동화 활동을 펼치고 있었다. 또한 1916년부터 경성일보에는 어린이를 위한 칼럼이 만들어져서 동화가 연재되었다. 한국 아동문학, 아동문화의 성립 배경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일본인들의 활동에 관한 연구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 식민지 조선에서 행해진 일본인들에 의한 아동문학이나 아동문화에 관한 선행연구는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오타케 기요미(大竹聖美, 2002)에 의해 몇몇 아동문학가들의 조선 방문이 소개된 후, 김성연(金成?, 2008)에 의해 일본인들의 조선 구연동화 활동 연표가 작성되는 등 구연동화 활동의 전체적인 흐름은 밝혀 졌지만, 구연동화 이외의 아동문화 활동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는 찾아 불 수 없기 때문이다. 필자는 지금까지 구연동화에 초점을 맞춰서 일제 강점기 조선에서 행해진 일본인 문학가들의 활동에 대해 연구해 왔지만, 최근 경성일보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일본 최초의 여자맘술사인 쇼쿄쿠사이 덴카쓰(松旭?天勝)가 경성에서 아동연극공연을 한 자료를 발견하였다. 1901년부터 5년간 미국 순회공연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일본에 돌아와 최초로 미국식마술 쇼를 상연하여 큰 인기를 끈 덴카쓰는 메이지 시대의 국민적인 마돈나였다. 1915년 9월부터 51일간 경복궁에서는 일본의 조선 통치 5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조선 물산 공진회가 개최되었는데 같은 기간 경성일보사는 가정박람회를 열어 관객몰이에 주력했다. 덴카쓰의 공연도, 가정박람회에 보다 많은 관람객을 유치하기 위해 경성일보사가 기획한 것이었다. 연일 무대 공연뿐만 아니라 유니크한 이벤트에 덴카쓰를 등장시켜 끊임없이 화제몰이를 하였다. 10월 10일부터 19일까지 예정됐던 덴카쓰의 공연은 매일 관객들로 가득 찼고 인기에 힘업어 매번 연장되더니 결국 11월 6일까지 공연을 했다. 순종의 만찬회에도 불려가 공연을 하고 많은 하사품을 받기까지 했다. 명실상부 당대 최고의 마술사 덴카쓰가 경성에서의 마지막 공연에 올린 작품이 이와야 사자나미 원작의 아동연극이었다. 본고에서는 구연동화와 아동연극으로 대표되는 근대 일본 아동문화의 흐름을 살펴보고 그 속에서 만나지는 덴카쓰의 조선 공연의 전체 내용을 소개하는 동시에 이 자료를 앞으로의 연구의 초석으로 삼고자 한다.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학교상담자의 경험에 기반한 중·고등학생의 비자살적 자해행동: 정서홍수모델을 중심으로

        김성연,박효은,이보라,이동훈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24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30 No.2

        본 연구는 학교상담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중․고등학생의 비자살적 자해 현상을 Selby와 Joiner (2009)의 정서홍수모델(Emotional Cascade Model)에 비추어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비자살적 자해 중․고등학생을 상담한 경험이 있는 학교상담자 56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Braun과 Clarke (2012)가 제안한 주제분석 절차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학교상담자가 경험한 중․고등학생의 비자살적 자해경험은 정서홍수모델에 따라 ‘부정정서 경험’,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정서홍수상태 경험’, ‘정서홍수상태의 심화’, ‘일시적인 심리적 고통 해소’, ‘자해행동에서 비롯된 정서적 고통’, ‘자해의 악순환’, ‘자해와 공발하는 조절곤란행동’으로 분류되어 8개 범주와 16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중․고등학생의 여러 체계들을 통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위치에 있는 학교상담자의 관점을 통해 중․고등학생 자해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켰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향후 수행되어야 할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pplying Selby and Joiner (2009)’s Emotional Cascade Model to the phenomenon of non-suicidal self-injury of adolescents, focusing on the school counselor’s counseling experience. To this end, a focus group interview(FGI) was conducted with 56 counselors who had experience in counseling self-injured adolescents, and this study applied Braun and Clake’s thematic analysis(2012). As a result, 8 categories and 16 subtopics were derived: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dysregulation strategy’, ‘experience of emotional cascade’, ‘temporary relief of psychological pain’, ‘aggravation of the emotional cascade state’, ‘emotional pain from nonsuicidal self-injury’, ‘vicious cycle of nonsuicidal self-injury’ and ‘difficulty in controlling behavior that co-occurs with nonsuicidal self-injury’. These results are significant in expanding the understanding regarding the non-suicidal self-injury of adolescents through the perspective of school counselors who are in a position to consider the various systems surrounding adolescents in an integrated manner.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미국의 수업관찰평가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교원능력개발평가에서의 다변량 일반화가능도 이론 활용성 탐색

        김성연 한국교육개발원 2014 한국교육 Vol.4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method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by providing an illustrative example of applying the multivariate generalizability theory to teacher evaluation. This study determined the effects of each error source and also investigated optimal measuring conditions in classroom observations. Data included 3,847 apprentice teachers rated by qualified raters during classroom observations from one southern state in the United States in 2012. These included kindergartens teachers, elementary schools teachers, middle schools teachers, high schools teachers, foreign languages professionals, special education specialists, and career and technical education practitioners. These eight teacher types were chosen from 15 teacher types, since they were suitable for comparison to Korean teacher typ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variance of teachers was relatively large, and the variance of observation times was relatively small regardless of teacher types. Second, to set optimal measuring conditions (except for art teacher positions), the number of items was fixed to be the same as in the raw data; it was possible to decrease the number of observations from three to two in the area of instruction, to two in the area of the environment, and from two to one in the area of planning. These conditions were necessary to obtain above 0.8 in both generalizability coefficients and dependability coefficients. The methodology applied in this study can be utilized to find optimal measurement conditions for teacher evalua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Korea.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goal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이 연구는 이미 교원평가가 정착된 미국 남부의 한 주(state)에서 실시한 수업관찰평가 결과 중 채점 인증시험에 합격한 관찰자들에 의해 평정 점수가 부여된 총 3847명의 초임교원 자료를 활용하여 다변량 일반화가능도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업관찰평가에서 발생하는 오차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고, 최적의 측정 조건을 탐색하였다. 실제 초임교원의 유형은 15개로 분류되지만,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현장에 적용 가능한 8개의 유형으로 한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의 대상인 교원 분산이 대부분 크게 나타났으며, 수업관찰 횟수 분산은 작게 나타났다. 둘째, 최적의 측정 조건을 탐색하기 위하여, 채점영역 내 세부영역을 나타내는 문항수를 원자료와 같게 하고, 수업관찰 횟수를 조절하였다. 그 결과 예체능 교원을 제외한 나머지 교원 유형에서 적정 수준이라고 설정한 일반화가능도 계수와 의존도 계수가 모두 0.8 이상을 얻기 위해서는 기존에 3번 관찰하였던 교수 영역은 2번, 수업환경 영역은 동일하게 2번, 계획 영역은 2번에서 1번으로 감소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방법론적 틀은 평가의 측정학적 특성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최적의 측정 조건을 탐구하는데 적용 가능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Improvement of Course Evaluation Using Statistical Methods

        김성연,장수현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1 石堂論叢 Vol.0 No.50

        강의평가 모형을 제시하고 그로부터 강의평가를 위한 설문문항을 도출하였다. D대학의 2010년 1학기 강의평가 결과를 가지고 우리가 제시한 강의평가 모형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크론바하 알파를 이용하여 확인한 문항의 신뢰도는 높았지만, 요인분석을 이용하여 확인한 타당도는 그다지 높다고 보기 어려웠다. 그 이유를 분석하고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서 일정 정도 설문문항을 조정할 필요가 있었다. 결론에서는 설문문항의 개선을 위하여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This paper attempts to propose a course evaluation model and derive appropriate survey questions from it. It examine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proposed model by analysing D University's course evaluation results for the 2010 spring semester. Our analysis, which used Cronbach's alpha, shows that the reliability of the reformulated survey questions was good enough. However, a factor analysis reveals that the construct validity was not so high as expected. We need to make some changes to the questions in order to improve the validity of the model. In the conclusion, we make som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survey ques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