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Sprague-dawley(SD) 랫드에서 natural killer cell의 분리 ·동정 및 형태적 특징

        강경선,이영순,Kang, Kyung-sun,Lee, Yong-soon 대한수의학회 1992 大韓獸醫學會誌 Vol.32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monstrate the presence of large granular lymphocyte(LGL) in Sprague-Dawley(SD) rats and morphologically observe NK cell and also establish the method of isolation of natural killer cell in SD rats. By percoll discontinuous density gradients centrifugation, highly enriched LGL population were shown to fraction 2(border line between 44.2% and 50.8%). LGL were shown to bind selectively to YAC1 mouse lymphoma cell. This fraction expressed very high NK cell cytolysis. Therefore, we thought that LGL have NK activity in SD rats. The Morphology of rat LGL is very similar to that of human LGL. These cells have an eccentric kidney-shaped nucleus. Their most distinctive feature was their cytoplasmic azurophilic granules. Another distinguishing feature of rat LGL was their high cytoplasmic : nuclear ratio. It was concluded that LGL played a role part in mediating natural killer activity in this species.

      • SCOPUSKCI등재

        랫드와 마우스에서 cis-Malonato[(4R,5R)-4,5-bis(aminomethyl)-2-isopropyl-1,3-dioxolane]platinum(II)(SKI 2053R)의 급성독성에 관한 연구

        강경선,신동진,조재진,김형욱,김배환,이영순,Kang, Kyung-Sun,Shin, Dong-Jin,Cho, Jae-Jin,Kim, Hyoung-Ook,Kim, Bae-Hwan,Lee, Yong-Soon 한국독성학회 1992 Toxicological Research Vol.8 No.2

        cis-Malonato[(4R,5R)-4,5-bis(aminomethyl)-2-isopropyl-1,3-dioxolane]platinum(II)(SKI 2053R), an antitumor platinum complex, was selected for clinical evaluation on the basis of its experimental antitumor and toxicologic profiles in preclinical studies. These studies were performed to obtain information on its toxic signs, orgnas which are mainly affected, and to estimate its lethality in mice and rats given SKI 2053R through two routes of administration. In male and female rats given a single intragastrical dose of SKI 2053R, we estimated that $LD_{50}$ values were over 3.00g/kg, respectively. In male and female mice given a signle intragastrical dose of SKI 2053R, we estimated that $LD_{50}$ values were 2.44g/kg and 1.59g/kg, respectively, In a single intraperitoneal dose of SKI 2053R, we determined that $LD_{50}$ values of male and female rats were 227mg/kg and 182mg/kg, and those of male and female mice were 198mg/kg and 207mg/kg, respectively. In gross and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s on dead animals, we found that kidney and liver were mainly affected.

      • KCI등재

        자폐아동의 음악적 선호도와 문제 행동의 연관성

        강경선,Kang, Kyoung Sun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07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자폐아동들의 음악적 선호도 그리고 주 행동 성향과 음악적 선호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60명의 자폐아동들의 어머니, 치료사, 선생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조사 하였다. 연구 결과 자폐아동들의 선호 음악 활동은 음악 듣기이며 선호 악기는 건반악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 장르별 선호도 조사에서 모든 아동이 언어 장애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사 중심의 음악인 동요와 광고음악에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행동 성향에 따른 음악 선호도 조사에서 과잉행동, 반항적 자폐아동들은 그렇지 않은 그룹의 아동들과 비교할 때 자극적인 음악에 강한 선호도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usical preference of autistic children. Based on the written responses of the questionnaire from mothers, therapists and teachers of 60 autistic children the music preference of the autistic children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utistic children prefer music listening rather than playing or singing. The keyboard and piano are the most preferred instruments by these children. In music genre they prefer children's song and commercial music. Though they all have language disorder, they have a strong tendency toward music with text.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music preference and behavior. The hyperactive and oppositional children have a tendency to enjoy more stimulative music compared to other autistic children.

      • KCI등재

        랫드와 비글에서 GC-100X 세정제의 독성에 대한 연구

        강경선,조성대,안남식,정지원,양세란,박준석,박기수,홍인선,서민수,조은혜,이영순,Kang, Kyung-Sun,Cho, Sung-Dae,Ahn, Nam-Shik,Jung, Ji-Won,Yang, Se-Ran,Park, Joon-Suk,Park, Ki-Soo,Hong, In-Sun,Seo, Min-Soo,Jo, Eun-Hye,Nguyen, Ba Tiep,Lee, 대한수의학회 2004 大韓獸醫學會誌 Vol.44 No.1

        Because cleaning products are part of our everyday lives, it is essential that they should not present significant risks to health. However, many petrochemicals in most soaps and detergents can be absorbed through the scalp and skin and, over time, accumulate in the organs and tissues. This accumulation may result in brain, nerve, and liver damage. Therefore, it is interested in developing non-harmful detergent. According to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GC-100X may be non-harmful and non-corrosive alkaline ionic water (pH 12). It is composed of hydroxyl radicals and supplemented with xylitol. To evaluate influence of GC-100X on rats and beagles, GC-100X was diluted with distilled water (25%, 50%, and 100% solution respectively). Each of diluted GC-100X was daily treated per oral. In body weight analysis, urinary analysis, ophthalmological test and autopsy, we did not find any significance, but in serum biochemical analysis and hematological analysis, we found some significances in middle dose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se significances in serum biochemical analysis and hematological analysis may be not induced by GC-100X, because it was not found to be significant from control group in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Thus, it is concluded that NOEL(No Observed Effect Level) of GC-100X may be higher than all treatment doses used in this study, and GC-100X may be a non-toxic detergent.

      • KCI등재

        헌법의 미래상 ― 국가보안법 폐지를 제안함 ―

        강경선 ( Kang Kyongson )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18 민주법학 Vol.0 No.67

        이 논문은 헌법을 우리나라가 처한 주권의 위기 상황 속에서 우리의 항해가 의존할 해도와 나침반이라 했다. 물론 헌법은 우리에게 매우 추상적이고 난해한 길을 제시해 줄 뿐이다. 많은 숙고와 논의를 통해서만 해독할 수 있는 불투명한 헌법이라 해도 그것은 우리가 의존할 유일한 문서임에 틀림없다. 우리가 가야 할 헌법의 위치는 사회복지국가라는 지점이다. 사회복지국가의 본격적인 실현을 통해서 우리는 헌법의 완성을 추구해야 한다. 이것은 동시에 우리의 주권 수호를 위한 매우 가치 있는 전략적 과제이기도 하다. 중국과 일본, 러시아 등 동북아의 강대국들 가운데서 우리의 자존감을 유지하기 위해서 우리는 그들 국가와 차별화되면서 경쟁력 있는 과제를 개발해야 하는데 그것이 바로 헌법국가의 완성이라고 하였다. 대한민국이 분단국가이기 때문에 결손국가라고 보는 한에서는 헌법국가의 완성을 기하기가 곤란하다. 그래서 우리는 분단과 통일이라는 국가적 과제에 지나치게 구속되기보다는 우선 남한 대한민국만이라도 헌법의 완성을 목표로 해야 한다고 본다. 헌법은 우리에게 단순히 소극적 의미의 주권 수호에 그치지 않고 적극적으로 인류공영과 세계평화라는 주권국가로서의 사명 완수를 촉구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우리는 주변 국가들의 변화 가운데서 우리의 침로(針路)에 관심을 집중해야 한다. 그 길은 바로 우리가 헌법국가가 되는 것인데 이를 위해 대내적으로는 솔론의 개혁을 대외적으로는 헌법제국의 꿈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렇게 해서 동북아 국가들의 헌법 수준들이 동질적으로 발전하게 되면 그때 우리는 유럽연합이 보여준 바와 같은 동북아 공동체의 결성을 통한 세계평화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헌법국가의 완성이란 길목에 들어서면서 근 백 년 동안 주권부재와 분단사회의 혼란스런 헌법현실을 배경으로 하여 권력남용과 부당한 인권탄압의 대명사였던 국가보안법 시대를 청산할 때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This article describes the Constitution as compass and chart that we can depend on amid the crisis of our sovereignty. Even if the Constitution only gives us a very abstract and difficult path that can only be interpreted through much reflection and discussion, it shall be the only document that we can rely on. The constitutional goal that we should be heading for is the social welfare state. We must pursue the completion of constitution through the realization of social welfare state, which will be also valuable in terms of protecting the sovereignty. In order to maintain our pride among the great powers of China and Japan in Northeast Asia, we have to develop a differentiated and competitive task, realizing the completion of constitutional state. As long as we consider Korea to be a broken nation-state, it is difficult to realize the completion of constitutional state. South Korea, rather than being overly constrained to the national tasks of reunification, it would be better if first aim for the completion of the constitution. The constitution urges us not only to protect the passive meaning of sovereignty but to actively fulfill our mission as a sovereign nation of the common prosperity of mankind and world peace. Therefore, we should exert ourselves not to miss the bearing among the vortex evoked by neighboring countries. For that, the article suggests to become the Constitutional State, which can be achieved by the reforms of Solon within and dreaming the constitutional empire without. If the level of constitution in Northeast Asian countries grows together through the development, we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world peace just as EU. In this regard, it is time to repeal the National Security Law, which has blocked the growth of our constitution for nearly a centur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주권자적 인간`에 관하여 - 대의제와 직접민주제의 매개를 위한 개념 -

        강경선 ( Kang Kyongson )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16 민주법학 Vol.0 No.62

        이 글은 대의제와 직접민주주의에 관한 현대적 고찰이다. 양자의 관계는 국민주권과 인민주권의 관계와 같다. 고전적 의미로는 양자를 엄격히 분리하여 이해했지만, 현대에는 양자가 상호교차하고 상호보완적이다. 종래 우리 헌법학은 양자를 엄격한 분리하는 입장을 견지했으나 최근의 헌법학 교과서들은 발전된 모습을 소개하고 있다. 즉 준(準)대의, 반(半)대표제, 반(半)직접민주제, 반(半)직접제 등으로 양자의 교차를 설명 또는 제시하고 있다. 이런 발전에도 불구하고 이런 설명들은 직접민주주의의 확대현상을 헌법제도 내에서만 고찰했다는 점에서 불충분하다. 반면에, 이 논문은 사회다원주의적 관점에서서 직접민주주의가 현실에서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가를 고찰함으로써, 국가를 포함해 수많은 종류의 조직과 단체에서 직접민주정치가 행해지고 있다는 것을 드러내고 있다. 그것은 성년 이상의 모든 국민들이 일반시민이자 동시에 대표자로서의 정치활동을 하고 있다는 것을 말한다. 미디어학에서 파악되듯이, 일반국민이 정보의 생산자이자 소비자를 겸하는 생비자(프로슈머)인 것이다. 우리나라의 현실적 관심사는 대의제 위기를 어떻게 극복하느냐에 있다. 직접민주제는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걱정할 필요가 없는 데 비하여 이런 추세에 불신에 빠져 위기에 처한 대의제를 늪에서 구하는 일이 시급한 과제라 할수 있다. 대의제의 신뢰를 회복하는 길은 국민 개개인이 헌법적 인간상을 실현하는것에서 시작된다. 헌법적 인간상을 압축해서 주권자적 인간이라고 부른다. 주권자적인간은 기본권의 주체이자, 의무의 주체이기도 하다. 헌법현실은 항상 헌법이상과 괴리가 있다. 주권자로서의 국민은 사적·공적 일을 하면서 개인적, 사회적 행복을 추구한다. 헌법규정이 담지한 최상의 수준을 보장받을지 여부는 그것을 자각한 사람의 노력 여하에 달려있다. 주권자적 인간은 사적으로 자립하는 동시에 공적으로 법운동을 전개하는 정신의 소유자이다. 그 사람은 자유인이다. 그 사람은 헌법의 완성자이다. The article focuses on the modern perception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direct democrac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ncepts is equivalent to the relationship of national sovereignty and popular sovereignty. Classically, these two notions were sharply differentiated. In modern times, however, they overlap and are thus mutually complementary. Traditionally, the standpoint of our constitutional law was to strictly distinguish the two; however, the constitutional law of today provides a more advanced understanding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direct democracy. Specifically, the notions of quasi representation, semi representation, and semi direct democracy, among others, are introduced and explained. Despite the recent advances, it is still insufficient, since those explanations about expanse of democracy are limited to a constitutional regime. Through contemplating how direct democracy functions in modern society, this article shows us that direct democracy actually acts on various groups, organizations, and states. That is, each and every adult is not only just a citizen, but also a political actor as a representative of the nation. It is similar to the notion from Media Science where ordinary people are regarded as simultaneously producers and consumers of information. My country`s concern is how to overcome the crisis of repre sentative democracy. There is no need to worry about direct democracy, since it is on the ascending tendency. By contrast, saving the representative system, which is fallen into a deep swamp owing to people`s wide distrust, is an urgent issue. Regaining trust of representative system must begin from realization of a desirable constitutional human type by each and every person. The essence of constitutional human type is called `sovereign person`. Sovereign person is the main agent of the fundamental right and of constitutional duty. The gap between the ideal and the reality of the Constitution has always existed. Any person whose daily activities include both private and public affairs pursues both private and public happiness. Whether to enjoy the best of the Constitution depends on the efforts of each person who has constitutional awareness. Sovereign person is a person whose mindset privately works for self-reliance and publicly moves towards founding the Constitution. Then s/he becomes a free person. That person fulfills the Constitution.

      • KCI등재

        자페 음악서번트와 음악 신동의 음악적 기억력

        강경선(Kyung-Sun Kang) 한국발달장애학회 2020 발달장애연구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능의 스펙트럼에서 극단에 위치한 자폐 음악 서번트와 음악신동의 음악적 기억력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는데 있다. 자폐 음악 서번트와 음악신동의 뛰어난 음악적 기억력은 공통적으로 음악적 집행기라는 특별한 음악적 정보처리 기제가 작동하기에 가능하다. 그러나 뛰어난 이들의 음악적 기억력에는 질적인 차이가 있다. 자폐 음악 서번트는 음악적 정보의 입력과 인출에서 청각과 운동이라는 원시적 수준에 있는 반면 음악 신동은 청각, 운동, 음악적 문자(악보를 읽고 쓰는 능력)의 전환이 자유롭다. 또한 자폐 음악 서번트의 음악적 창조는 기존의 음악적 정보를 다시 조합하여 창조하는 인공지능의 창조에 비교될 수 있다. 기존의 틀을 깨는 혁신적인 창조적 예술행위로 보기 힘들다. 신동과 서번트가 유전적으로 성격적으로 공통된 특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볼 때 이들이 진화에서 같은 뿌리에서 출발했을 수도 있다. 이들의 뛰어난 음악적 능력은 진화에서 신동 유전자라는 돌연변이의 결과이다. 그러나 이외에 이 둘의 상반된 차이 설명을 위한 노력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musical memory between musical prodigy and musical savant whose intelligence are at the extreme position. Their exceptional musical working memory is possible because of the existence of musical executive, which is operated for musical information processing. However, there is a qualitative difference in musical memory between music prodigies and music savants. Music savants in encoding and retrieval of musical information only use auditory and motor function, which is primitive level of information processing. On the other hand, music prodigies can transpose musical information from auditory to motor and to musical literacy(reading and writing musical score) and from musical literacy to motor. Savants’ musical creation can be compared to the cre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creates a re-combination of existing musical information. It is hardly seen as an innovative creative art act that breaks the existing framework. Given that prodigies and savants share genetically and characteristically common traits, they may have the same origin in evolution. Their outstanding musical ability is the result of a mutation called the prodigy gene in evolution. However, efforts are still underway to spell out conflicting differences between the tw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