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덕 윤리의 한국기독교적 재론을 위한 조건과 과제

        문시영 ( Moon Si-young )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9 기독교사회윤리 Vol.44 No.-

        맥킨타이어가 촉발시킨 덕의 재론은 현대사회의 윤리적 위기에 대한 진단 및 해법과 연관된다. ‘덕’을 배경으로 했던 아시아문화권에 속한 한국기독교는 어떤 형태로든 덕의 재론에 무관심할 수 없다. 특히, 한국기독교의 도덕적 성숙을 위한 논의에서 덕 윤리는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안타깝게도, 덕에 관한 한국기독교의 경험은 덕의 재론에 적극적이지 못하게 하는 트라우마에 가깝다. 이러한 맥락에서, 덕 윤리의 한국기독교적 재론은 자성을 바탕으로 도덕적 성숙의 과제를 제시하는 논의가 되어야 한다. 덕의 한국기독교적 재론의 조건으로, (1)‘덕의 도구화’로 특징되는 갈등과 왜곡에 관한 자성이 필수적이다. 크게 두 가지 갈등이 나타난다. ①유교와의 갈등: 성경번역에 ‘덕을 세우다’의 표현이 적용된 것은 한·중·일의 공통사항으로, 덕의 교차점에 해당한다. 이러한 수용과정에서 성경의 덕 윤리는 유교적 덕 윤리와의 갈등과정을 겪으면서 선교초기에 한국기독교의 공동체 윤리와 도덕규범으로 기능했다. ②번영신학과의 갈등: 근대화시기에 또 다른 갈등을 겪었다. 한국사회의 압축성장과 맞물린 교회성장의 과정에서 교회공동체를 위한다는 명분 및 번영신학을 위한 수단으로 전락시킨 덕의 도구화는 성경의 덕 윤리가 한국적 맥락에서 갈등을 겪은 또 하나의 경우에 해당한다. (2)‘덕의 성품화’에 관심하는 한국기독교적 재론이 필요하다. 성경의 덕 윤리가 지닌 본래적 가치를 구현해야 할 과제가 주어진 셈이다. 제자도에 기초한 덕의 성품화를 통하여 번영신학을 극복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 영성에 관심해야 한다는 뜻이다. For enhancing the morality of Korean Christianity, this article proposes the reargument of virtue ethics as like MacIntyre and Hauerwas say. Since Korean Christianity has been based on virtue, it cannot be indifferent to the reargument of virtue. Unfortunately, the experience of Korean Christianity on virtue is close to a trauma that does not actively engage in rethinking virtue. In this sense, Korean Christian reargument of virtue ethics should be a discuss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elf-reflection. Above all, Korean Christianity have to apologize that making the virtue as a tool. Korean Christianity has made virtue a instrument for church growth and prosperity theology. As a result, virtue ethics was severely distorted. In some cases, Christians have overlooked immoral things by taking the cause of protecting the church community. Korean Christianity have to overcome the instrumentalization of virtue and pursue the internalization of virtue for enhancing the morality. And Korean Christianity have to fulfill the discipleship faithful to Jesus narrative.

      • KCI등재

        『논어(論語)』의 덕(德)과 도(道)⋅인(仁)⋅예(藝)

        지준호,조장연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22 동방문화와 사상 Vol.13 No.-

        In this study, the core of Confucianism was assumed to be virtue, and the meaning of virtue education was studied based on the analysis of examples of Tao(道), Ren(仁), Yi(藝) related to the virtue of the Analects. As an extension of supporting the perspective of modern virtue ethics, which maintains the pluralism of moral practice, ethical values, and the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the social community, this is to emphasize the meaning of virtue education advocated by traditional education and reflect on current education. In general, Tao(道) advocates the logic of nature, while virtue is mainly discussed with humans as the subject. However, just as it is a virtue to understand and implement the Tao and actually gain it in my mind by studying, if I learn the values and directions of the public, I will be a virtuous person to enlighten the Tao. Therefore, Tao is more embodied by virtue. Ren(仁) is one of the virtues, so it falls under the subcategory of virtue in the hierarchical structure, and is discussed as the attributes and characteristics of virtue. However, if the core of the Analect is assumed as Ren, and in order to understand Ren based on specific human beings and humanity, Ren is the basis and essential element of all virtues. Yi(藝) can be understood in the sense of art or literature, but if the subject is a virtuous person who cultivates virtue by implementing and realizing specific practical virtues centered on Ren(仁), Yi(藝) is the study of Confucianism that he explores, and is the subject of moral education or subject matter centered on moral practice. The virtues of the Analects are not clearly differentiated from the specific virtues of practice, and the hierarchical structure between virtues and virtues is also not clear. Therefore, the virtue of the Analects has a multi-layered structure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of practice and the object or virtue, centering on Ren(仁) and by understanding and enlightening the Tao(道), it urges continuous implementation and cultivation in daily life, such as aiming for public values and good. 본 연구는 유학(儒學)의 핵심을 덕(德)으로 상정하여, 논어(論語) 의 덕(德)과 연관한 도(道)⋅인(仁)⋅예(藝)와의 용례 분석에 기초하여 덕교육적 의미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는 도덕적 실천과 윤리적 가치의 다원성 및 사회공동체의 역사문화적 배경 등을 견지하는 현대 덕 윤리학의 관점을 지지하는 연장선상에서, 전통 교육이 표방하는 덕교육적 의미를 강조하고 지금의 교육을 성찰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道)는 자연에 관한 이치를 표방하는 반면, 덕(德)은 인간을 주체로 하여 주로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공부를 하여 도를 이해하고 실행하여 실제로 내 마음에 얻은 것을 덕이라고 하듯이, 공공(公共)의 가치와 지향점을 체득하게 된다면 바로 도를 깨우친 덕인(德人)이 된다. 따라서 도는 덕에 의해 보다 구체화 된다. 인(仁)은 덕목 중의 하나로서 위계구조상 덕의 하위 범주에 해당하며, 덕의 속성과 특징으로도 논의된다. 그러나 논어 의 핵심을 인으로 상정하고, 인을 구체적인 인간과 인간다움을 기반으로 이해하자면, 인은 모든 덕의 기초이자 본질적인 요소가 된다. 예(藝)는 예술이나 문예 등의 의미로 이해할 수 있지만, 인을 중심으로 하여 구체적인 실천 덕목을 이행하고 실현함으로써 덕을 함양하고자 하는 도덕군자를 주체로 하자면, 예(藝)는 군자가 탐구하는 유학의 학문으로서, 도덕적 실천을 중심으로 하는 덕교육적 교과 영역이나 교과 내용이다. 논어 의 덕은 구체적인 실천 덕목과 확연히 차별화되어 진술되고 있지 않고 있으며, 덕과 덕목 간의 위계구조 역시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논어 의 덕은 인(仁)을 중심으로 하여 실천 주체와 대상 또는 덕목 간의 관계성 측면에서 중층구조를 띄고 있으며, 도(道)를 이해하고 깨우침으로써 공공(公共)의 가치와 선(善)을 지향하고 언행일치를 도모하는 등 일상생활에서의 지속적인 이행과 함양을 촉구한다.

      • KCI등재

        아우구스티누스와 스탠리 하우어워스의 덕윤리의 비교를 통한 기독교 공동체의 덕 형성과 성숙을 위한 연구

        박덕현 한국기독교학회 2023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30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stablish the virtue ethics of the Christian community that confesses God as the highest reward without being bound to the various cultural identities of this era through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 virtues of Christian tradition. First,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both Plato and Aristotle, who form the basis of ancient virtue ethics, and examines the formation process of Christian virtue ethics through a study of Augustine’s virtue. Next, it diagnoses the failure of the Enlightenment project that sought to replace moral authority from Christian virtue ethics and analyzes the elements of virtue in Hauerwas’s church community as an alternative. Then, it compares and analyzes the virtue ethics of both scholars in the purpose, methodology, and individual-community context. Accordingly, through Augustine’s ‘creation of virtue’ theory, which realizes creative communication from the center to the border in terms of a circle, and Hauerwas’s ‘preservation of virtue’ theory, which encompasses various public spheres within a teleological structure aiming for creative sovereignty in terms of an arrow, the Christian community overcomes dichotomous thinking between sacredness and secularity, enabling a life of witness in the middle of the world.

      • KCI등재

        『논어(論語)』의 덕(德)과 실천적 덕(德)교육

        지준호 한국철학사연구회 2022 한국 철학논집 Vol.- No.75

        유학(儒學)의 덕(德) 개념은 여러 비유와 수식어를 통하여 진술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의미를 담고 있다. 그러나 유학은 도덕의 철학, 특히 행위 규범의 철학으로 여겨지듯이 덕을 실천하는 다양한 방법과 방법적 원리들에 관한 구조는 비교적 치밀하다. 덕성(德性)과 덕행(德行)에 관한 유학의 다양한 논의는 도(道)를 이해하고 덕(德)을 함양하여 자신이 처한 현실사회에서 구체적인 실천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으로, 바로 유학이 도덕을 기초로 하여 이를 정치의 문제로 확장해온 역사이자 발전과정이기도 하다. 덕(德)은 공부의 측면에서 논한 것으로, 도(道)를 실행하여 실제로 내 마음에 얻은 것이다. 『논어』의 덕(德)은 대덕(大德)과 천덕(天德)을 지향점으로 하여 덕성과 덕행을 관통하고 있으며, 덕행은 덕성의 실현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논어』의 실천적 덕교육은 덕성의 자각과 덕행의 이행과 관련한 덕의 실천 내용과 방법 등을 덕목 위주로 논의할 수 있다. 덕(德)을 체득하여 덕행(德行)을 실천한 인물이 바로 군자(君子)이며, 군자가 되기 위해서는 학문을 연마하여야 한다. 그리고 학문을 통하여 덕을 체득하였으면 덕을 더 넓혀야하며, 덕을 더 넓히는 과정에서 이웃이 있게 되어 궁극적으로 도덕정치가 실현되는 이상사회가 건립된다. The concept of virtue of Confucianism contains various meanings because it is stated through various metaphors and modifiers. However, as Confucianism is considered a philosophy of morality, especially a philosophy of behavioral norms, the structure of various methods and methodological principles for practicing virtue is relatively dense. Confucianism's various discussions on the character of virtue and behavior of virtue aimed at understanding morality(Tao) and cultivating virtue to promote concrete practice in the real world, and it is also the history and development process in which Confucianism has expanded it to a political problem based on morality. Virtue is discussed in terms of study, and it is actually gained in my mind by practicing morality(Tao). The virtue of the Analects is aimed at the great virtue and the haven's virtue, penetrating the character of virtue and behavior of virtue, and the behavior of virtue is also the realization of the character of virtue. Therefore, the practical virtue education of the Analects can discuss the contents and methods of virtue related to the awareness of the character of virtue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behavior of virtue. Wise man is the person who learned virtue and practiced virtue, and in order to become a wise man, you must cultivate your studies. In addition, if you have learned virtue through learning, virtue should be further expanded, and in the process of expanding virtue, there will be neighbors, and an ideal society where morality politics will ultimately be realized is established.

      • KCI등재

        丁若鏞의 行事의 德治 그 규범적 의미 - 心德治의 이상과 行法治의 실현 -

        박종목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법학논총 Vol.36 No.3

        The virtue in the Dasan's legal thought has a important meaning. The virtue is a practical virtue(行德) which fulfills a righteous mind(直心). Dasan defined virtue as a practical moral value which is achieved after fulfilling the filial duty and benevonce( 孝弟慈). Virtue is a practice of virtue which is fulfilled between two persons. Dasan thought the purpose of governing and ruling people(經世治人) as the realization of a righteous society which people live like a decent human being. In order to realize the purpose, he conceptualized the virtue as the practical virtue newly. And He carried out the reformation of politics, economy, government in a dimension of system reform and legislation(改制立法) on the basis of ‘practical virtue’ in the righteous mind. Dasan introduced a virtuous states as the society which realizes the constitutionalism of ‘practical virtue’ running parallel with law, institution, practical virtue of righteous mind. Meanwhile, in Dasan's thought about politics and law, the moral problem of virtue is the universal problem changing the practical virtue of righteous mind, practical and ethical meaning of practice as legal value. Dasan changed the virtue as a practical ethics through interpreting progressively the subjective fulfillment of righteous mind which conceptualize the righteous mind as the practical virtue. There is no rich and poor for doing the filial duty(孝弟). And there is no specific innate heredity for fulfilling a righteous mind, namely, practical virtue. It is the reason and destination that Dasan and people establish the filial duty and benevolence(孝弟 慈) as the norm. In deducing Dasan's thoughts, it is the basis of legal effect that the fulfillment of practical virtue realizing the filial duty(孝弟) above the morality of ruler. Virtue is the basis of law and the filial duty is the basis of virtue. It is the normative meaning structure for the fulfillment of constitutionalism of practical virtue which Dasan conceived the Rule of virtue-law in practice for system reform and legislation(改制立 法) fundamentally. In the normative structure, Dasan established the fundamental reformation of traditional states. For the purpose, he made his legal theory of social change, the plan of system reform and legislation(改制立法), through considering people's moral position and human ethics of Confucianism together. 茶山의 법사상에서 德 개념은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德은 行直心 곧은 마음을실행하는 ‘行德’이다. 그는 德을 인간관계에서 일상의 孝弟慈를 실천한 이후 行事之後 에 비로소 성취되는 실질적 윤리 가치로 규정한다. 그는 經世治人의 목표를 사람답게 살 수 있는 올바른 사회 구현으로 보았다. 이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德을 새롭게 ‘行德’으로 개념화한 것이다. 그리고 直心의 ‘行德’을 토대로 改制立法의 정치 경제 官制개혁을 단행한다. 다산은 直心의 行德과 制度와 法을竝進하는 ‘行德’의 行法治가 구현되는 그 사회를 덕스런 나라로 상정했다. 한편 다산의 정치철학과 법사상에서 도덕주의 德의 문제는 行事의 실천윤리적 의미行直心의 ‘行德’을 법가치로 전환하는 보편성 문제이다. 그것은 다산이 德을 直心을 行 事하는 ‘行德’으로 개념화하는 창신적 독해를 통한 실천윤리적 변환해서 가능했다. 孝弟에는 빈부의 귀천이 없다. 그리고 直心의 ‘行德’ 실행에는 타고난 선천적 기질이따로 있는 것도 아니다. 이것이 茶山과 우리 평균인이 孝弟慈를 규범으로 근거지울 수있는 이유이며 착지점이다. 여기에서 孝弟는 일상의 小孝는 물론 의리와 도의에 맞는지를 분별하여 당사자에게 바르게 幾諫할 수 있는 大孝를 포함하는 것이다. 茶山의 논지를 추론하면 治者의 도덕성에서 더 나아가 孝弟를 行事하는 ‘行德’의 실천행이 법의 효력근거가 되는 것이다. 왜냐하면 德은 法의 근본이며 孝弟는 德의 근본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茶山이 拔本的으로 改制立法을 구상했던 行事하는 行德治 즉‘行德’의 行法治의 규범적 의미구조이다. 이러한 규범적 구조에서 茶山은 民의 변화된 도덕적 지위와 儒家의 人倫 윤리도덕을동시에 고려하면서 改制立法의 방략을 통해 자신의 법사상 제도사적 변혁론을 세우는新我之舊邦의 발본적(拔本的) 改革을 구축한 것이다.

      • 창조성의 선행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방법에 관한 고찰

        김정아(Kim, Jeong-a) 창조교육학회 2013 창조교육논총 Vol.15 No.-

        This study is about the teaching-learning method to grow virtue that is an element of value ability in moral area in creativity. Virtue in creativity is the core of moral character in creativity and is an element of human abilities for creating value. In other words, virtue is practiced by moral judgment based on human conscience and is related the whole areas of human life. Moral practice can be the rules of the acts to contribute to happiness of communities, and it creates culture, the common good, through its growth of value and also creates cultural value and personality through the cultivation of moral virtues. Therefore, the nature of virtue is to create the value of personality, society, and country through the practice of virtue. To grow virtue in creativity, teaching-learning study is required to cultivate morality by making virtue grow through right recognition of moral value and value realization in the schools. The teaching-learning model for cultivating morality comprises care model, home connection model, volunteering study model, virtual experience model, concept analysis model, group study model, value conflict model, values clarification model, and role playing model. Such models are useful for achieving creative values through moral education. Human morality can be achieved by the practice of morals. Thus, the precondition that virtue is manifested as moral practice is to make moral thinking cultivated and the basis of moral judgment by such thinking provided. Such basis of moral judgment can make people achieve their personalities by good deed, moral act by moral deduction. So, moral judgment and practice manifested by virtue becomes the basis of moral education. Creative activities with free will can be done based on human conscience by making moral virtues cultivated that follow virtue and abandon vice. The growth of virtue in creativity, therefore, should be achieved by moral education.

      • KCI등재

        칸트의 덕과 덕-감정

        맹주만 ( Joo Man Maeng ) 한국칸트학회 2011 칸트연구 Vol.28 No.-

        This paper aims to focus on the problems of emotion which make great play in Aristotle`s ethics, and is emphasized the better in contemporary virtue ethics. The emotion is known as one of the problems sharply conflicting between Kant`s deontological ethics and virtue ethics. I will clarify a concept of the virtue of Kant and Aristotle in order to understand better this problem of emotion. The relation of virtue and emotion in Kant ethics is different completely, and each other is separate in moral valuation of our action. Kant says that virtue signifies a moral strength of will, and virtue is the moral strength of a human being`s will independent of his emotion in fulfilling his duty. But Aristotle argues that virtues are all dispositions not only to act, but to feel emotion, as reactions as well as impluses to action. I will call emotion in the Aristotelian virtue ethics ``virtue-emotion``, in contrast to Kant`s ``virtue will``. In this paper I think my work will contribute something to proper understanding of Kant`s ethics that has been very severely criticized from contemporary virtue ethics.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성품의 덕으로서의 필리아의 특성과 원리

        장영란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23 철학탐구 Vol.69 No.-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nd principles of Aristotle’s concept of philia as a virtue of character. First, the possibility of philia being a virtue is examin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philia are examined by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rtues of character to philia. Above all, through Aristotle’s discussion that philia is a certain virtue or a kind of virtue, or accompanied by virtue, it is said that philia is one of various virtues or at least what includes virtue. Nex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virtues of character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m to philia. Characteristics of virtue of character can be divided into essential characteristics (A) and practical characteristics (B). On the one hand,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virtue’ (A) is related to the fact that virtue is a ‘state of character’ (hexis) and a ‘function’. Philia is also called a state of character, and we can give pleasure, utility, and goodness to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the ‘practical character of virtue’ (B) is related to the fact that virtue must be ‘habit’ or ‘embodied’ ethos and must adhere to the ‘moderate’ (meson). It is important that philia is neither too much nor too little. We must deliberate and rationally choose how to love is appropriate in all circumstances. Second, the main principles of philia as a virtue of character and complete philia are analyzed. Above all, three principles common to Aristotle’s philia, namely ‘reciprocity’, ‘similarity’, and ‘awareness’, were derived. Next, Aristotle’s perfect philia is called the first philia or the philia according to virtue, and it has subdivided five characteristics. They are ‘similarity’, ‘good wish’, ‘persistency’, ‘rarity’, and ‘reliability’. 아리스토텔레스의 필리아 개념이 가진 성품의 덕으로서의 특성과 원리를 해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첫째, 필리아의 덕의 가능성에 대해 검토하고, 성품의 덕의 특징을 필리아에 적용하여 필리아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필리아가 덕의 일종 또는 덕을 수반하는 것이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논의를 통해 필리아가 다양한 덕들 중 하나이거나 최소한 덕을 포함한다는 것을 해명한다. 다음으로 성품의 덕의 일반적 특징을 필리아에 적용하여 성품의 덕의 특성을 본질적 특성(A)과 실천적 특성(B)으로 구분한다. 한편으로 ‘덕의 본질적 특성’(A)이란 명칭은 덕이 ‘품성상태’이며 ‘기능’이라는 사실과 연관된다. 필리아도 품성상태라 불리며 서로에게 즐거움과 이익과 좋음을 줄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덕의 실천적 특성’(B)은 덕이 ‘습관’ 또는 ‘체화’ethos 되어야 하며 ‘중용’meson을 지켜야 한다는 사실과 연관된다. 필리아는 너무 지나치지도 너무 모자라지도 않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는 모든 상황에서 어떻게 사랑하는 것이 적절한 것인지를 합리적으로 숙고하고 선택해야 한다. 둘째, 성품의 덕으로서의 필리아의 공통 조건들과 완전한 필리아의 원리들을 분석한다. 먼저 아리스토텔레스의 필리아에 공통적인 세 가지 조건들, 즉 ‘상호성’의 조건, ‘유사성’의 조건, ‘인지성’의 조건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완전한 필리아는 제1필리아 또는 덕에 따른 필리아라 불리는데 다섯 가지 원리들을 가진다. 그것들은 ‘유사성’의 원리, ‘희구성’의 원리, ‘지속성’의 원리, ‘희소성’의 원리, ‘신뢰성’의 원리이다.

      • KCI등재

        데카르트 윤리학과 덕(vertu)

        이재환 철학연구회 2017 哲學硏究 Vol.0 No.118

        이 논문의 목적은 데카르트 윤리학에서 덕 개념을 해명하는 것이다. 데카르트 윤리학에서 최고선은 덕이기 때문에 이 덕 개념을 해명하면 데카르트윤리학의 다른 핵심 개념들이 더 분명하게 드러난다. 데카르트에게 행복은 ‘정신의 완전한 만족과 내적인 충족’이고, 이러한 만족과 충족은 외부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노력으로만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데카르트 윤리학은 행복을 최고선으로 규정한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과 달리 행복은 최고선이 아니라 최고선을 전제한다. 또 데카르트에 따르면, ‘최고선=덕=이성이 최선이라고 판단한 것을 수행하려는 확고하고 지속적인 의지(결의)’이다. 이러한 데카르트의 덕 개념은 데카르트 철학 내에서 매우 독특한데, 왜냐하면 데카르트는그저 최선이라고 판단되는 것을 수행하라고 말하기 때문이다. 즉 데카르트는 이론적 영역에서의 ‘형이상학적 확실성’과 실천적 영역에서 ‘도덕적 확실성’을 구분한다. 또 데카르트는 덕이 습관이라는 사실, 습관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정신적 성향’임을 강조한다. 데카르트의 덕 개념이 가지고 있는 또 다른 특징은,데카르트에게는 복수의 덕이 아니라 하나의 덕만이 존재하기 때문에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개념과도 다르고, 행복이 최고선은 아니지만 최고선인 덕이 행복의충분조건이라는 점에서 스토아 철학의 덕 개념과도 차이가 난다는 점이다. What is important in ethics is how to define what the supreme goodis, because the distinction between good and evil, and ends and meansof our actions hinges on this definition. Descartes argues that thesupreme good is (the practice of) virtue. According to Descartes, virtueis “undoubtedly the thing we ought to set ourselves as the goal of allour actions.” This claim suggests that the concept of virtue lies in thecore of Descartes’ ethics. For Descartes, happiness is “perfectcontentment of mind and inner satisfaction.” Descartes maintains thatthe practice of virtue itself is sufficient to make our lives happyregardless of the outcome of our actions. What then is virtue for Descartes? He claims that virtue is “a firmand constant will to bring about everything we judge to be the best.”This Cartesian concept of virtue is very unique within Descartes’philosophy. Given the Cartesian concept of virtue, the relationshipbetween the role of judgment (or intellect) and will in the Cartesianphilosophy will be elucidated by explicating the concept of virtue. Inaddition, in Descartes’s ethics, there is a virtue, not plural virtues, soit is different from Aristotle’s concept of virtue. Descartes concept ofvirtue – virtue is the supreme good and the sufficient condition ofhappiness - is not only different from Aristotelian concept of virtue -happiness is the supreme good - but also different from the Stoicconcept of virtue, according to which happiness has nothing to do withhappiness.

      • KCI등재

        선의지, 덕, 그리고 의지의 약함

        노영란 한국윤리학회 2017 倫理硏究 Vol.117 No.1

        『윤리형이상학』에서 칸트는 의무이론으로서의 윤리학이 덕이론이라고 주장하면서 동시에 의무이자 목적인 덕의무들을 중심으로 덕이론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선의지와 덕 그리고 도덕적 약함의 관계를 검토하면서 칸트의 덕개념이 가지는 성격과 윤리학적 의미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서 먼저 덕이 칸트의 의무론적 윤리이론에서 도덕성의 기초가 되는 선의지와 어떤 관계에 있는지 고찰한다. 또한 덕이 의지의 도덕적 강함으로 이해되고 덕의 결여인 부덕이 도덕적 약함 즉 소위 의지의 약함에 해당된다고 할 때, 선의지를 가짐에도 부덕이 발생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면서 덕과 부덕의 차이를 파악한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도덕적 약함에는 지성사용의 약함과 함께 마음동요의 강함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덕을 갖기 위해서는 격정에 휩싸이지 않고 적절한 감정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 그리고 덕은 행위자의 도덕적 특징일 뿐만 아니라 행위의 도덕적 특징이기도 하다는 점을 확인한다. When Kant argues that ethics as a doctrine of duties is a doctrine of virtue, he presents a doctrine of virtue which is centered on a duty of virtue, i.e. an end that is also a du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a good will, virtue, and the moral weakness and to discuss the features of Kant’s concept of virtue and its ethical implications. For this I shall consider the relation between virtue and a good will as the sources of morality in Kant’s deontological theory. Then I shall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virtue and a lack of virtue and also the factors which cause a lack of virtue. Given that a lack of virtue counts as moral weakness or a kind of the weakness of the will, such an investigation is very important for understanding the features of virtue. It shows that virtue needs to subdue affects and have proper feelings because a lack of virtue is the strength of emotions connected with the weak use of understanding and that virtue is the characteristics of moral action as well as those of moral ag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