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복제를 넘어선 변형가능성으로서의 재생산: 발터 벤야민의<재생산기술시대의 예술작품>을 중심으로

        박영욱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3 통일인문학 Vol.96 No.-

        It is the most well-known theme in the essay "The Art of Work in the Age of Technical Reproduction" that the original is devaluated and its Aura is fallen with the advent of the technology of reproduction and the flood of replicas. And this situation is considered to reach the conclusion that the art of work ceases to be an idealogical object with the ritual value and become an object enjoyed by everyone. But this kind of narrative reveals the limitation in exposing the radical quality of the work of art and its political implications in the age of the technical reproduction. The nature of the new technology such as photography and film analyzed by Benjamin in the essay "The Art of Work in the Age of Technical Reproduction" is summarized as 'reproduction' or 'reproducibiliy' including the meaning of 'mutability'. It is just an occasional case that Benjamin's 'reproduction' means 'replication' which (re)produces the copies of the original. The key concepts such as the falling of Aura, the transition from the ritual value to the value of display and distraction in the perception can be understood well only if the technological reproduction is considered not as the replication but as the reproduction with mutability. It is more evident when we read the essay "The Art of Work in the Age of Technical Reproduction" in the political context. When we regard the reproduction not as the mere duplication but the reproduction with the mutability, we come to understand the exact meaning of the 'aestheticizing of the politics' commited by fascism and the exact meaning of the 'politics of the art' as the revolutionary tactics against the fascism.

      • KCI등재

        기술과학 시대의 신재생산기술 담론과 페미니스트 정치성

        정문영 ( Moon Young Chung ) 한국영미문학페미니즘학회 2009 영미문학페미니즘 Vol.17 No.1

        This essay attempts to search for a prospective feminist discourse of new reproductive technologies in the 21st century of technoscience, by examining diverse feminist interventions engaged in discourses of reproductive politics and new reproductive technologies influencing and contesting each other. In the technoscientific age, reproduction issues are taken up not just as sexual politics but as the conquest of the last frontier of masculinist technology and post-industrial capitalistic politics. New reproductive technologies which are inextricably linked with genetic engineering and engenics are developed and contested within broader technoscientific cultural and social networks. Women therefore need to address new reproductive technologies with a new feminist sensibility and technoscientific politics which can address the dramatic crises and challenges of the new era. Radical feminists or eco-feminists often overlook the subversive possibilities of feminist technopolitics for destablizing patriarchal structures, dismissing technoscience as inherently patriarchal and malignant. But new reproductive technologies also introduce new possibilities for disruption and resistance. Haraway`s cyborg feminism has stimulated optimistic insights into feminist technopolitics by appropriating cyborg politics. This essay examines and incorporates the most complex and urgent discourses of the technoscientific age, searching for a new praxis of the female body in regard to new reproductive technologies and feminist technopolitics.

      • KCI등재

        사회적 재생산 여성주의의 비판적 재구성 계급 무급 돌봄 : 가사 노동에 대한 보상 및 기본소득을 중심으로

        권정임 경상국립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2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19 No.4

        This article studies of social reproduction feminism, based on Marx’s critical study of political economy. This problematic provides a perspective with which to research women’s oppression and liberation, in its systematic relationship with the multi-layered dimensions of capitalist society such as socioeconomic status, class, gender, race, and ecology, all in an integrated and non-reductive manner. This article also attempts to reconstruct social reproduction feminism part of a more systematic program First, it reconstructs the research methods of social reproduction feminism based on Marx’s political economy. Second, it critically transforms some of the claims of social reproduction feminism. It emphasizes the ‘precariat’ in order to properly reflect the changed class dynamic of modern capitalism. It also highlights basic income to adequately address the issue of compensation for unpaid care and domestic work and to promote alternative social reproduction. 이 글에서는 사회적 재생산 여성주의에 대한 비판적 연구를 수행한다. 그 결과 이 사조가 마르크스의 정치경제학에 대한 비판적 연구에 기초하여,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여성 억압과 여성 해방의 가능성을 사회경제, 계급, 젠더, 인종, 생태 등 자본주의 사회의 다층적 차원과의 체계적인 연관 아래 통합적이면서도 비환원론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전망과 단서를 제공함을 보인다. 또한 사회적 재생산 여성주의의 이러한 의의에 연계하여, 이 글에서는 사회적 재생산 여성주의를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여성 억압과 여성 해방의 가능성을 연구하는 보다 체계적인 프로그램으로 재구성하고자 한다. 이러한 재구성은 두 가지 방식으로 진행된다. 첫째는 사회적 재생산 여성주의의 연구결과를 마르크스의 정치경제학에 기초하여 보다 근본적·체계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이다. 둘째는 사회적 재생산 여성주의의 내·외부에서 제기되는 이견이나 쟁점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사회적 재생산 여성주의의 주장들 일부를 비판적으로 변형하는 것이다. 이 글에서 논의하는 쟁점은 계급 문제, 무급 돌봄·가사노동에 대한 적절한 보상 문제 및 사회적 재생산의 대안적 전망의 실현을 위한 정책으로서의 기본소득이다.

      • KCI등재

        애도와 멜랑콜리 연구: 애도와 멜랑콜리의 이론적 지형과 문학적 재현의 윤리를 중심으로

        박상수 상허학회 2017 상허학보 Vol.49 No.-

        최근 한국문학과 관련하여 애도와 멜랑콜리, 애도 안의 재현이라는 문제가 중요하게 부각 되었다. 세월호 참사를 둘러싼 재난 상황의 지속 때문이다. 공적 차원의 애도 불가능성이 심화될수록 그 불가능성을 가능성으로 바꾸어보려는 사회 각 분야의 노력이 요청되는데 문학도 예외는 아니었다. 이런 움직임의 밑바탕에 가장 핵심적인 질문으로 상실 이후의 ‘애도(mourning)’와 ‘멜랑콜리(melancholy)’의 문제가 겹쳐 있다. 애도와 멜랑콜리를 둘러싼 이론적 지형과 그 전개방향을 탐구하기 위해 가장 먼저 살펴볼 것은 히포크라테스의 ‘체액론’과 벤야민의 멜랑콜리 이론이다. 체액론의 경우 흑담즙에 지배받는 멜랑콜리의 성향을 가장 고상하지 못한 체질로 보았다. 이후 근대 심리학에서 계몽주의에 이르기까지 멜랑콜리는 주로 사회적 행복을 저해하는 위험한 병으로 취급되었다. 멜랑콜리의 예술적이고 철학적인 가능성을 복권시킨 것은 벤야민이었다. 그는 바로크 작가들을 연구하며 이들이 멜랑콜리에 사로잡힌 자들이었고, 바로 그 멜랑콜리의 힘으로 파편화된 사물에 새로운 해석을 부여하며 폐허의 변증법을 꿈꾸었다고 보았다. 애도와 멜랑콜리는 프로이트에 이르러 그 개념적 구분이 가능해진다. 프로이트는 상실 이후의 반응을 애도와 멜랑콜리로 구분한다. 프로이트에 따르면 애도는 주체가 시간이 지나면서 결국 그 상실 대상에게 투여되었던 리비도를 철수시켜 자아로 되돌리는 정상적인 과정이다. 멜랑콜리는 상실 대상을 떠나보내지 못하고 상상적으로 상실한 대상을 주체의 내부로 들여와 자아와 동일화시킨 뒤 나르시시즘의 상태로 퇴행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프로이트의 애도이론을 반성하며 멜랑콜리의 가능성에 초점을 맞춘 것이 바로 데리다였다. 데리다는 정상적인 애도에 실패하고 마음에 지하묘지를 만들어 죽은 자와 함께 사는 일을 애도의 성공으로 본다. 죽은 자가 타자성을 잃지 않고 영원히 주체의 내면에 살아남아 있을 때가 가장 성공적인 애도의 모습이 되는 것이다. 한편 버틀러는 우울증적 젠더 이론을 통해 역설적으로 정체성의 해체가 정치성으로 연결되는 지점을 탐구한다. 그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안티고네였다. 안티고네는 ‘구성적 외부’를 가동하고 비순수의 모호한 퀴어 주체로서 ‘순수의 정치’가 아니라 ‘오염의 정치’를 통해 정치성을 실현한다. 버틀러는 9․11 이후 에고에 합체된 상실한 대상의 영향력이 남은 자의 삶을 어떻게 뒤바꿀 수 있는지 탐구한다. 이상의 이론을 배경으로 애도와 멜랑콜리에 관련하여 제기할 수 있는 질문은 다음과 같다. ① 상실한 대상의 재현 문제, ② 재현하는 대상 뿐 아니라 재현하는 자의 윤리와 연관지어 ‘구성적 외부’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③ 멜랑콜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양가감정’의 문제, ④ 애도와 멜랑콜리의 논리 안에서 싸우면 싸울수록 과도하게 순수해지려는 아이러니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 ⑤ 애도와 멜랑콜리를 둘러싼 문학 작품과 비평이 지금 우리 사회에 결여된 정상성에 대한 촉구와 만나면서 의도치 않은 보수화의 경향을 만들어낼 위험은 없는지, ⑥ 남은 자들이 멜랑콜리에 빠져드는 것이 실은 대상을 상실했기 때문이 아니라 애초부터 대상을 결여하고 있었다는 것을 감추기 위해서는 아닌가 하는 인식이 필요하다는 점, ⑦ 멜랑콜리가 상실한 것에 대한 인식을 사후적으로 ... Recently, the issue of ‘mourning and melancholy’ and ‘reproduction of mourning’ have been highlighted in relation to Korean literature. This is because of the ongoing disaster situation surrounding Sewol disaster. As the impossibility of mourning for the public dimension deepens, efforts are being made in various fields of society to change the impossibility into possibility. Literature was no exception. The most important question on the basis of this movement is the overlap of ‘mourning’ and ‘melancholy’ after the loss. To explore the theoretical topography surrounding mourning and melancholy and its development, the first thing to look at is Hippocrates’ four body fluid theory and Benjamin’s melancholy theory. In the case of four body fluid theory, the tendency of melancholy, which is dominated by black bile, was regarded as the least sophisticated constitution. Later, from modern psychology to the Enlightenment, melancholy was treated primarily as a dangerous disease that hinders social well-being. It was Benjamin who reintroduced melancholic artistic and philosophical possibilities. He studied baroque writers and saw that they were obsessed with melancholy, and that by the power of the melancholy they were dreaming of a dialectic of ruin, giving new interpretations to the fragmented things. Mourning and melancholy come to Freud, and the conceptual distinction becomes possible. Freud distinguishes the reaction after loss from mourning and melancholy. According to Freud, mourning is the normal process by which subjects withdraw from the libido that was eventually administered to the victim over time and return to self. According to Freud, it is a normal process for the subject to withdraw the libido, which was eventually given to the lost object over time, to return to the self. It is melancholy to return to the state of narcissism by bringing an imaginary lost object into the subject and equalizing it with the self without leaving the object of loss. Derrida focused on the possibility of melancholy, reflecting on Freud’s mourning theories. Derrida sees the success of mourning as the failure of normal mourning and the creation of a catacomb in his heart to live with the dead. The most successful mourning is when the dead survive in the subject forever without losing the Other thing. Butler explores paradoxically the point at which the dissolution of identity leads to politics through the theory of depressive gender. The representative figure was Antigone. Antigone operates the ‘constitutional external’ and realizes politics through ‘pollution politics’ rather than ‘pure politics’ as a vague queer subject of naught. Butler explores how the influence of the lost object incorporated into the ego after 9.11 can change the life of the remnant. The following questions can be raised regarding mourning and melancholy. ① Problem of reproduction of lost object, ② How to deal with ‘constitutive externalities’ in relation to the ethics of the reproducers as well as the objects to be reproduced, ③ The problem of “ambivalence” that melancholy can not miss, ④ If you fight within the logic of mourning and melancholy, the irony that you want to be excessively clean may arise, ⑤ Literary works and criticism surrounding mourning and melancholy meet with the urgency of the normality lacking in our society, and there is no danger of creating a tendency of unintentional conservatism, ⑥ The fact that the remnants fall into melancholy is not because of the loss of the object, but becaus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it is not in order to conceal the lack of the object from the beginning, ⑦ If you can create a perception of the loss of melancholy after death, and if you can continue to desire it, then how do you see the unique productivity of melancholy? Literature about mourning and melancholy can be distinguished from ‘pure politics’ and ‘pollution politics’. It is a crit...

      • KCI등재

        김정일 시기 이후 북한의‘인구재생산’과 영화 속 모성담론

        안지영(Ji -Young Ahn)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5 여성연구 Vol.8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relationship of North Korea's population policy and maternal discourse. North Korea biological than the aspect of the population re-production "concept, system, leaders" more emphasize the excellence of. Kim Jong-il time, North Korea to advance the aggressive birth encouragement policy, was awarded the honorary title of "maternal hero of the Songun era" to the woman in accordance with the policy. But, rather than multiple births in the movie, highlighting the maternal role as ideological culture's children. It is intended to praise the "motherhood" to adopt or foster the wife of a soldier and soldiers to loyalty the children to the state. These works were intensively production at a specific time the change of the system occurs. Ultimately these filmmaking in is not intended for the population regulation is larger objects for maintaining regime. This is a concern in two respects. First, women I internalize the role of motherhood in a manner that will bear more of the burden in the home and society. In the second, it is gender mechanism that women so as to passively recognize the right of reproduction. 본 연구는 인구재생산에 대한 북한의 시각을 밝히고, 그에 따라 진행되는 인구정책과 모성담론의 관계와 함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북한에서 인구재생산에 대한 시각은 생물학적 측면보다는 ‘사상, 제도, 지도자’의 우수성을 부각시키는데 더 큰 비중을 두고 있다. 김정일 시기 북한은 적극적인 출산장려정책을 진행하면서 그에 부응하는 여성에게 ‘선군시대 모성영웅’이라는 명예칭호를 수여하였다. 하지만 ‘선군시대 모성영웅’의 영화적 형상은 다자녀 출산이 아니라 자녀의 사상적 교양자로서의 모성 역할을 강조하는 특징을 보인다. 자녀를 국가에 충성하는 군인 및 군인의 아내로 양육하거나 입양하는 ‘모성’을 칭송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품은 체제 변화가 일어나는 특정 시기에 집중적으로 제작되었다. 결국 ‘선군시대 모성영웅’을 재현하는 영화 제작은 인구 조절이 아니라 정권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이 더 크다. 이는 여성이 가정과 사회에서 더 많은 부담을 지게 되는 형태로 모성의 역할을 내면화하고, 재생산권에 대해 수동적으로 인식하게 만드는 젠더 기제가 된다는 점에서 우려된다.

      • KCI등재

        <에린 브로코비치>에 나타난 환경 정의와 젠더 정치학

        고강일 한국영미문학페미니즘학회 2023 영미문학페미니즘 Vol.31 No.3

        his essay examines the 2000 biographical dram film Erin Brockovich, which represents the story of Erin Brockovich, an American environmental activist who was crucial in building a case against Pacific Gas & Electric Company (PG&E) over groundwater contamination in Hinkley, California in 1993. Employing the notion of environmental justice, this paper explores how Erin Brockovich demonstrates that inequalities of class place poor people at environmental risk and addresses the film’s gender politics. This essay first interrogates the way in which Erin Brockovich suggests that people lacking resources become the main casualties of slow environmental violence. I consider how Erin, the titular character, played by Julia Roberts, mobilizes victims of PG&E’s water crisis and its political implications in terms of reproductive justice. This essay examines the movie’s problematic gender politics as well. Focusing on the film’s portrayal of Erin’s sexualized body and her performance of motherhood, I examine its heteronormative understanding of femininity and motherhood. This paper also considers how Erin Brockovich connects social justice issues with environmental issues. Building on Noel Sturgeon’s term, “environmental reproductive justice,”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film explores the intersection between reproductive and environmental justice.

      • KCI등재

        보조생식기술의 민주적 정치와 ‘겸허의 기술’

        백영경(Paik Young-Gyung) 비판사회학회 2010 경제와 사회 Vol.- No.85

        과학기술학은 기존 사회과학이 상대적으로 관심을 두지 않았던 과학기술의 민주적 정치의 문제에 천착하면서, 1990년대 이후에는 과학기술의 연구ㆍ개발ㆍ활용의 과정에서 시민의 참여를 이끌어 내었고, 과학기술의 민주적 통제를 이끌어 내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정치적 실험에도 참가해 왔다. 그러나 이제까지 시민참여의 형식과 방법에 논의의 초점이 모아지면서 과연 과학기술의 민주적 정치라는 것이 참여의 확대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가라는 질문은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 이 글은 쉴라 자사노프(Sheila Jasanoff)의 ‘겸허의 기술’ 개념을 통해 보조생식기술 영역에서 시민참여 논의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봄으로써, 과학기술의 민주적 정치에 대한 논의의 확장에도 기여하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practical conditions and the substance of civic participation that will allow the advance of democratic politics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practices of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Building its discussion around Sheila Jasanoff’s concept of “the Technologies of Humility,” this paper examines the predicaments that the South Korean civic organizations had to face in their initiatives to introduce regulations in the assisted reproduction. In this context, this paper argues that assisted technology today cannot be solely understood as a technology for procreation and is an essential part in the current practices of biotechnology. Because the initial framing of the issue has a critical impact on the direction or even the outcomes of the intervention, the advance of democratic politics of science and technology would require civic participations that are sensitive to the issues of the normative in the technical, the global commoditization of reproduction, and the politics of knowledge concerning science and technology.

      • KCI등재

        체제 전환기 크로아티아 엘리트 재편 : ‘엘리트 순환’과 ‘엘리트 재생산’ 양상과 결과를 중심으로

        권혁재(Hyok Jae Kwo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21 동유럽발칸연구 Vol.45 No.4

        크로아티아 역사에서 동유럽 공산주의 정권의 몰락과 체제 변환은 ‘거대한 전환’이었다. 공산주의 정권으로부터 시장 자본주의;민주주의로의 전환에서 크로아티아는 새로운 유럽의 일원으로 재탄생해야 했다. 대규모 사회 전환이나 체제 전환에는 자연스럽게 정치;사회;경제 엘리트들의 대규모 재편이 발생한다. 혁명적 체제 전환에서 엘리트 재편에 관심을 두는 이유는 엘리트 재편의 결과가 해당 국가나 사회의 방향성을 판단하는 중요한 척도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새로운 체제는 누군가에게는 새로운 질서에 적응하고 변신해야 하는 생존의 문제이고;누군가에게는 패배만이 있는 도태의 시작이고;또 누군가에게는 새로운 기득권을 쟁취할 기회일 수도 있다. 체제 전환 이후 동유럽 국가에서 발생하였던 엘리트 재편은 한 영역이 아닌 사회 전체 영역에서 발생한 장기적 변동의 시작점이었다. 이 연구는 ‘공산주의 정권 권력 엘리트 계층이 체제 전환기 피지배 계층으로 전락하고;이전 피지배 계층이 권력 계층 지위를 획득했는가? 어떤 계층이 새로운 지배 엘리트로 새롭게 편입되었는가?’를 체제 전환기 신 엘리트와 구 엘리트의 내용적 비교 분석을 통해 크로아티아 엘리트 재편의 양상과 특징을 설명했다. 혁명적 체제 전환기 크로아티아 권력 엘리트의 순환은 매우 제한적이었다. 크로아티아에서는 역동적이고 단계적 발전의 엘리트 재편은 전쟁과 독재로 인해 발생하지 못했다. 크로아티아의 진정한 민주화와 체제 전환은 독재가 종식되는 ‘크로아티아 2차 체제 전환’ 시기인 2000년 이후에나 진행된다. In the history of Croatia;the collapse) of communism and the ‘Transition’ in Eastern Europe were ‘great transformation’. The transition from the socialist federation system forced Croatia to show itself as a new member of Europe. It is common for large scale social or system transformation to generate huge changes in political;social and economic elites. The reason we are interested in the elite change in such a transitional society is that the elite change is an important measure for understanding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country or group. A new system may be a matter of survival to adapt and transform to the new order for some people;the beginning of a cull that only defeat remains for others;and an opportunity for some others to win a new vested interest. The ‘elite circulation’ or ‘elite replacement’ that occurred in Middle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after the Transition was the starting point of long term shift not in one area but in the entire society. After the Transition;did the communist power elite fall into the dominated class and the former dominated class acquire the status of the power class? What class has been newly formed as a new dominant elite? The composition of elites before and after the Transition was compared and analyzed to identify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s in Croatian elite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power elite cycle of Croatia was very limited. The reorganization of the elite during the transition period;which were expected to bring dynamic and phased evolution;did not occur in Croatia.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real democratization and system transition did not take place until the “Croatian 2th System Transition” in 2000;when the dictatorship of Croatia ended.

      • SSCISCOPUSKCI등재

        Expanding the Feminist Politics of Reproduction in the Context of the Developmental Hegemony of South Korea

        HUR, Song woo 이화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학센터 2013 Asian Journal of Women's Studies(AJWS) Vol.19 No.3

        This paper attempts to expand the political spaces of South Korean feminist politics of reproduction, which demands women’s biological reproductive rights from the state in the context of the developmental hegemony of Korean society. The case study of SMCs (Saemaul Mothers’ Clubs) shows that a long, deep, and continuous mobilization of women’s biological reproduction has been undertaken by the state within the frame of economic and socio-political development. In this process women have embodied developmentalism, creating strong consent for the associated state-led development policies. The feminist politics of reproduction calls for a shift from the politics of women’s biological reproductive rights with a strategy for engaging with the state in a struggle to deconstruct the developmental hegemony of reproduction that is simultaneously entrenched in people’s bodies, sexuality, mindsets, behavior patterns and in civil society groups, state institutions, and economic sectors at local, national, and global levels. 이 글은 한국 사회의 발전주의 헤게모니의 맥락을 고려하며 국가를 향해 여성의 생물학적 재생산권을 요구하는 한국 페미니스트 재생산 정치학의 정치적 공간을 확장시키려는 의도에서 쓰여졌다. 이 글의 새마을부녀회 사례연구는 경제적 그리고 사회-정치적 발전 프레임 안에서 국가에 의해 오랫동안 철저하게 그리고 지속적으로 여성의 생물학적 재생산 동원이 이뤄졌음을 보여준다. 여성들은 이 과정에서 국가 주도의 발전정책에 대한 강력한 동의를 생산하며 발전주의를 구현해 왔다. 그리하여 페미니스트 재생산 정치학은 하나의 전환을 필요로 한다. 그것은 현재의 국가 개입전략을 통한 여성의 재생산권 정치학으로부터 개인들의 몸, 섹슈얼리티, 사고방식과 행동양식 그리고 시민사회 조직들, 국가제도들, 지역적 국가적 지구적 수준의 경제영역들 안에 동시적으로 깊숙히 뿌리내린 재생산의 발전주의 헤게모니를 해체하는 투쟁으로 나아가야 한다.

      • KCI등재

        Expanding the Feminist Politics of Reproduction in the Context of the Developmental Hegemony of South Korea

        허성우 이화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학센터 2013 Asian Journal of Women's Studies(AJWS) Vol.19 No.3

        This paper attempts to expand the political spaces of South Korean feminist politics of reproduction, which demands women’s biological reproductive rights from the state in the context of the developmental hegemony of Korean society. The case study of SMCs (Saemaul Mothers’ Clubs) shows that a long, deep, and continuous mobilization of women’s biological reproduction has been undertaken by the state within the frame of economic and socio-political development. In this process women have embodied developmentalism, creating strong consent for the associated state-led development policies. The feminist politics of reproduction calls for a shift from the politics of women’s biological reproductive rights with a strategy for engaging with the state in a struggle to deconstruct the developmental hegemony of reproduction that is simultaneously entrenched in people’s bodies, sexuality, mindsets, behavior patterns and in civil society groups, state institutions, and economic sectors at local, national, and global lev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