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글로벌 팬데믹 시대에 논하는 기독교 생사학 및 생사교육의 과제

        곽혜원 ( Hye Won Kwak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1 조직신학연구 Vol.39 No.-

        사상 초유의 COVID-19 팬데믹(pandemic) 사태가 대한민국을 위시하여 전 지구촌에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몰고 왔다. 그동안 인류 역사는 질병의 원인을 밝혀내고 치료함으로 생명 연장을 이룩한 경이로운 여정이었는데, COVID-19 사태로 인해 인간이 죽음이라는 절대적 한계에 직면한 유한한 존재임을 재차 실감하게 된 것이다. 지난 2년간 글로벌 팬데믹 시대에 돌입하면서 죽음에 대한 불안이 사람들의 폐부 깊숙이 각인됨으로써, 생전에 죽음을 성찰하고 준비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확산하고 있다. 그동안 삶과 죽음(生死)을 둘러싼 우리 사회의 기류가 변화의 조짐을 보여 왔는데, COVID-19 사태가 결정적 분기점이 되어 죽음을 공론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강한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대 분위기와 달리, 한국 교계와 신학계에서는 삶과 죽음을 성찰하는 생사학 및 생사교육에 대한 문제의식조차 제기되지 않는 현실이다. 우리나라에는 무수히 많은 신학대학이 있지만, 죽음을 앞둔 임종자를 위한 영적 돌봄을 가르치는 강좌나 사역 프로그램이 개설된 곳이 거의 전무하다. 설사 신학수업의 교과과정에 죽음에 관한 강좌가 있다고 해도 주로 예전적 측면에서 장례식 집례에 대한 전문지식을 제공하는 일에 치우친 경우가 많고, 죽음의 실체가 과연 무엇인지, 죽음을 앞둔 이를 어떻게 영적으로 돌봐야 하는지, 특히 죽음 앞에서 불안해하는 임종자가 복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어떻게 준비시켜야 하는지에 대해 강의하는 교과목이 개설된 적이 없다. 그렇지 않아도 오늘날 목회자는 임종과 죽음에 대해 아무 것도 모른채 목회자가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로 인해 많은 목회자는 죽음을 앞둔 환자와 그 가족에 대한 영적인 돌봄은 물론, 성도들에게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을 지키면서 존엄하게 죽음을 맞이하는 법에 대해 가르쳐야 할 중차대한 소임을 잘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 바로 이러한 연유로 인해 한국기독교계에서 생사학 및 생사교육이 사회의 다른 일반 공동체에서보다 훨씬 뒤처질 뿐만 아니라, 그리스도인의 죽음의 질이 타종교인이나 비종교인보다 더 열악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그러므로 생사교육이 긴급하게 요청되는 그룹은 목회자 및 신학자들이라 아니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필자는 성경에 기반하여 삶과 죽음을 논하는 기독교 생사학 및 생사교육에 천착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글로벌 팬데믹 시대에 봉착하여 생사학 및 생사교육이 한국 사회에 정착하지 못하는 현실, 기독교 생사학 및 생사교육 정립의 필요성, 기독교 생사학 및 생사교육의 지향점인 삶의 존엄·죽음의 존엄·인간의 존엄, 기독교 생사학 및 생사교육이 감당해야 할 과제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생사학 및 생사교육을 교회교육과 학교교육, 평생교육 차원에서 제도적으로 정착시킴으로써 죽음을 생애 전 과정을 통해 이루어야 할 과업으로 독려할 뿐만 아니라, 존엄한 삶-존엄한 죽음-존엄한 사회를 진작시키는 데 동기부여하고자 한다. The unprecedented COVID-19 pandemic has brought fear of death to the entire world. In the meantime, human history has been a remarkable process of prolonging life by discovering the cause of disease and treating it. However, due to the COVID-19 crisis, we have come to realize once again that humans are finite beings facing the absolute limit of death. With the advent of the global pandemic era over the past two years, there is a growing consensus that people should reflect on and prepare for death while living by feeling great anxiety about death. Until now, the atmosphere of our society surrounding life and death has shown signs of change, and the COVID-19 incident has become a decisive turning point, and the argument that death should be publicized has gained strong persuasion. However, unlike the current atmosphere, the Korean church does not even raise awareness about life-and-death studies and life-and-death education, which reflect on life and death. Although there are many seminaries in Korea, few have offered courses or ministry programs that teach spiritual care for those who are about to die. Even if there is a course on death in the curriculum of the theology class, it is often biased toward providing specialized knowledge about funeral service from the liturgical aspect, and what is the reality of death and how to spiritually learn about the person who is about to die. There has never been a course that lectures on how to take care, especially how to prepare a dying person who is anxious before death to face a blessed death. Even so, many pastors today become pastors without knowing anything about death. As a result, many pastors are unable to fulfill their important role of providing spiritual care for dying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s well as teaching believers how to die with dignity while maintaining their Christian identity. For this reason, there is concern that life-and-death studies and life-and-death education in Korean Christianity will lag far behind other areas of society, and that the quality of death for Christians will be worse than those of other religions and non-religious people. Therefore, the groups urgently requesting life-and-death education are pastors and theologians. In this problematic situation, I became proficient in Christian life-and-death studies and life-and-death education that discuss life-and-death based on the Bible. This thesis discusses the reality that life-and-death studies and life-death education cannot settle in Korean society in the face of a global pandemic, the justification for establishing Christian life-and-death studies and life-death education, and the dignity of life and death, which is the goal of Christian life-and-death studies and life-and-death education. I would like to discuss the challenges that Christian life-and-death studies and life-and-death education must face. Through this, life-and-death studies and life-and-death education are institutionally established at the level of school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thereby encouraging death as a task to be accomplished throughout the life cycle, as well as promoting a dignified life - dignified death - dignified society. want to motivate.

      • 좋은 임종의 실천 방안 고찰

        정순태 ( Soon-tae Jung ) 한국노인의료복지학회 2016 노인의료복지연구 Vol.8 No.1

        This article aims to induce even one person of us to agree with the fact that he/she must face death in dignity and to be able to feel the lesson of the life under death. A man who knows good death will realize what a dignified death is, and will prepare for such death for himself. In the moment a person entrusts himself to death, that is, in the moment he departs from the world permanently, the life ready for death will be the one of the person that did his best during his life. The author was able to look for the meaning of death as conditions for good death rather than biological meaning and an opportunity which teaches the preciousness of life. Furthermore, the author tried to clearly define the use of the glossary of death and various acts related to death as a glossary named ``Dying guidance``.

      • KCI등재

        좋은 죽음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김현심,이순영 대한산업경영학회 2022 산업융합연구 Vol.20 No.6

        본 연구는 좋은 죽음에 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종합하여 향후 좋은 죽음에 관한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 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학술지에 발표된 좋은 죽음 관련 66편의 논문을 분석준거 틀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좋은 죽음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년도는 2019년(18.2%)이었다. 연구설계 별 분석에서는 양적 연구가 52편(78.8%)으로 가장 많았고, 그 중 조사연구가 36편(54.5%)으로 나타났다. 연구분야 에서는 간호학 논문이 47편(71.2%)으로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다학제간 연구는 3편(4.5%)이었다. 좋은 죽음 연구 대상자는 주로 지역사회 노인과 간호대학생으로 이 각각 13편(19.7%)으로 나타났고, 환자 대상연구는 4편(6.1%) 으로 나타났다. 연구도구는 좋은 죽음 인식도구가 38편(73.1%)에서 사용되었다. 주요 연구 변인은 좋은 죽음 인식과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간호였고, 가족지지는 매개변인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좋은 죽음을 종합적으로 이해 하기 위해 다학제 연구와 다양하게 좋은 죽음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 개발을 제언한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suggest a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on good death by analyzing and synthesizing research trends on good death. For this purpose, 66 articles related to good death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in Korea from 2011 to 2021 were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frame of references. As a result, the year with the most good death studies was 2019 (18.2%). In the analysis by research design, 52 articles (78.8%) were the most quantitative studies, and 36 studies (54.5%) were survey studies. In the field of research, nursing studies were the most researched with 47 articles (71.2%), but multidisciplinary studies were three articles (4.5%). The subjects of the good death study were mainly the aged in the community and nursing students, each of which was 13 (19.7%), but the studies for patients were published only four articles (6.1%). The most used tool was the perception of a good death and conducted in in 38 articles (73.1%). The main research variables were the the perception of good death and hospice palliative and end-of-life care, and family support was used as mediating variables. Therefore, not only multidisciplinary research but also development research for vaious good death instruments may be suggested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good death.

      • KCI등재

        노인요양병원 노인의 품위 있는 죽음

        임승희(Lim, Seung Hee),신애란(Shin, Ai Ran)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社會科學硏究 Vol.2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병원에서 죽음을 맞이하는 노인의 죽음경험을 탐색하고 요양병원 노인의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현상학적 질적연구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경기북부에 소재한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병인 10명을 대상으로 비구조화면접법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주제분석법에 의해 분석을 하였고, 그 결과 8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8가지 주제는 ‘간병인에게 영향 받는 노인의 삶’, ‘죽음의 순간까지 인격적으로 대접받기’, ‘죽음준비에 대한 부족함’, ‘존엄성과 사생활을 보호해 줄 수 있는 준비된 공간에서 임종 맞이하기’, ‘가족 혹은 의미 있는 사람들과 임종을 함께하기’, ‘고통이 없는 편안한 죽음’,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하지 않기’, 마지막으로 ‘가슴에 담은 한 풀고 죽기’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세 가지의 제언과 연구의 한계점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ncounter of death and also has its purpose in investigating ways of providing dignified death for the elderly in geriatric hospital. For this purpose, we used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method and conducted in unstructured depth interviews with ten caregivers, who are employees of elderly geriatric hospitals in Northern Gyeonggi-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subjective analysis methodology. As a result, the studies showed that there were 8 subjects, which are as following;" the elderly"s life which affected by caregivers" "being treated as a whole human being until the time of death"," the lack of ready for death", "encountering death in a place that ensures one"s dignity and privacy", "encountering death with people who the ycareabout", "painless peaceful death", "not resulting to meaningless life-suspension procedures" and "resolving grudges and regrets before death". On the basis of the studies made, methods for providing dignified death for senior citizens in elderly nursing hospitals were introduced.

      • KCI등재

        기독교죽음윤리를 위한 ‘종교와 생사문제’의 응용적 읽기

        문시영 ( Siyoung Moo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이 글은 한국근대사회가 기독교와의 만남을 통해 이룬 근대적 전환(메타모포시스)에 관한 인문학적 성찰에 속하는 것으로서, 생사관의 메타모포시스에 관심하면서 응용적으로 질문한다. “한국기독교는 웰다잉 시대를 주도할 죽음윤리를 가지고 있는가?” 근대적 전환과정에서 기독교인들이 무의식적으로 ‘구천을 헤매고 있다’는 표현을 사용한 관행을 실마리로 삼아 좀비 콘텐츠에 장악된 대중문화를 무비판적으로 소비하는 오늘의 자화상을 자성한다. 방법론적으로, 한국근대 기독교사상가 최병헌, 채필근, 한치진이 생사관의 메타모포시스를 이루었다는 공통점에 착안하여 그들의 문헌을 살펴본다. 이러한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한국기독교가 메타모포시스를 제대로 계승하지 못하고 있으며 습합 우려에 노출되어 있음을 진단한다. 그리고 (1)삶과 죽음의 공동체적 관점 회복, (2)존엄한 삶을 위한 책임의식을 과제로 제시한다. This paper belongs to studies on humanities of metamorphosis achieved through encounter with Christianity in the modern Korean society, and asks an applied question while interested in the metamorphosis of the view of life and death. “Does Korean Christianity have ethics to lead the well-dying era?” Taking as a clue the trace that Korean modern Christians unconsciously told ‘wandering the nine celestial bodies,’ this paper reflects on today’s self-portrait that uncritically consuming popular culture dominated by zombie contents. Methodologically, focusing on the common point that Korean modern Christian thinkers Byunghun Choi, Pilgeun Chae, and Chijin Han formed a metamorphosis of life and death, this paper reads and interprets their texts. Based on text reading, this paper diagnoses that Korean Christianity does not inherit metamorphosis properly and is exposed to worries of syncretism. And this paper suggests tasks of Korean church as follows: (1)recovering a communitarian perspective to death and life, (2)practicing moral responsibility for dignified life.

      • KCI등재

        노인 장기요양기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의 임종 케어 경험과 역할에 관한 질적 연구

        김은경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5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ocial workers’ psycho·social experiences and roles during the end-of-life care process in elderly long-term care facilities.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through in-depth interviews, social workers experienced great exhaustion and burnout due to frequent death experiences during the end-of-life care process, and expressed regret for not being able to provide better service for the deceased and longing for loved ones. And in the event of a sudden death, social workers would undergo criticism and complaints. The main roles of social workers during end-of-life care were to contact and communicate with family members when signs of death appeared and support them after the death. The necessity of standardized manuals and education for end-of-life care, a recharging program and support group to prevent burnout of social workers, and a legal safety net for emergency preparedness and emergency measures were suggested. The necessity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hospice care, and advance medical directive was also emphasized for the dignified death of the elderly. 본 연구는 노인 장기요양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에서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들이 임종 케어 과정에서 겪는 심리·사회적 경험 및 역할에 대해 알아보았다. 심층 면접을 통한 자료 분석 결과 사회복지사들은 임종 케어 과정에서 빈번한 죽음 경험으로 인해 기가 빠지고 소진됨을 경험하였으며 돌아가신 노인분들에게 더 잘해드리지 못한 것에 대해 아쉬움과 정든 분에 대한 그리움을 나타냈다. 그리고 갑작스러운 죽음이 발생하면 가족들의 비난과 불평을 겪기도 하였다. 임종 케어시 사회복지사들의 주된 역할로 죽음 징후가 나타나면 가족들에게 수시로 연락하여 소통하였고 임종 후 주 부양자 가족들을 위로하고 지지하였다. 응급상황 대처를 위한 사전 준비와 응급조치에 대한 법적 안전망, 사회복지사들의 소진을 막기 위한 재충전 프로그램 및 지지 모임, 임종 케어를 위한 표준화된 매뉴얼과 교육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또한 노인분의 존엄한 죽음을 위하여 죽음 준비 교육, 호스피스 케어, 사전 의료의향서 등의 필요성도 강조되었다.

      • KCI등재후보

        한국 사회의 자살에 대한 시선

        송현동(Song, Hyeon-Dong)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2011 종교문화연구 Vol.- No.16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of the eyes upon suicide in Korean society. In most societies, for a long time, suicide has been a taboo and regarded as a forbidden topic to talk about. It has been not so much as an expression of basic human rights or liberty as a sin or an evil to be avoided. For the community, suicide has been an immoral and harmful behavior. In Korean society, suicide has greatly increase in recent years. In especial, the sudden suicide of former President Roh Moo-hyun was one of the most shocking incidents in Korean society. Accordingly, numerous and different interpretations has presented with regard to his death. Some have defined it as a political murder, and others as an egoistic or anomie suicide. As a result, suicide has come to attract a great concern from the public. As suicide is not mere a personal or social problem, we have to start from the question on suicide itself. Concerning the suicidal behavior and cause of the dead, it is not proper for those who are left to arbitrarily judge it according to specific political and social stances. It is necessary to be allowed for humans to think and talk about how to finish their lives. Suicide is a matter that should be discussed in relation with the decision and choice of those who are standing at the edge of life. Because the people has freedom to make one’s life planning. While humans have no right to get born, they have the right to die.

      • KCI등재

        죽음, 안락사, 생애마무리에 관한 헌법적 논의 ― ‘생애마무리 지원 법안’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

        백수원 미국헌법학회 2019 美國憲法硏究 Vol.30 No.3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granted the right to choose dignity of death, and there is room under current law that allows third parties, not themselves, to determine the course of dignity, such as the suspension of lifelong medical care. But even the closest euthanasia should not be allowed if the right to life is understood as a fundamental right derived from human dignity. For the very essence of the right to life is life itself. Therefore, when euthanasia takes a position to understand as a right derived from freedom of the body, euthanasia is constitutionally acceptable, and therefore, it seeks to find the constitutional basis of the right to life to freedom of the body. Even from the standpoint of interpreting the right to life as the realm of human dignity, there is no big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that dignity is essential in view of the recognition of dignity. However, euthanasia may be extended and allowed, but the method should not be meant as an unlimited allowance. From that point of view, it is logical to say that the right to die on the ground of equality is logically possible but requires some harmonious interpretation in relation to other fundamental rights, such as the right to life. The fact that current life-sustaining treatment cessation law sublimates the perception of human death or the right to die humanely to the law deserves high praise, but it does not allow euthanasia other than dignity death, which was prescribed by drugs and killed itself. Only very strict and limited euthanasia is recognized. In order for the law to be more constitutionally justified, the method of confirming the parties' opinions, such as the strengthening of consent requirements, should be more clear, and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explicit and firm expressions is strengthened, allowing for greater euthanasia. I think it is appropriate. On the other hand, the life-finding support legislation was established to expand self-determination over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death beyond death, and this bill aimed at acknowledging the responsibility of the state and providing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life-finishing. The bill calls for the establishment of a foundation to support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and to promote heritage donations. In particular, a significant point in the bill is a regulation requiring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to endeavor to provide equal access to education for the preparation of life and for all citizens. I would like to evaluate it as a step forward from the idea that every generation should take the necessary measures to get a lifelong education that is appropriate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dividual generation, so that appropriate preparations for death can be taken as part of life education. Death is, ultimately, a matter of self-determination and an area related to human dignity, as confirmed in the derivation of the constitutional basis for euthanasia. The most important task in the composition of good death is about the right to determine death itself, but in addition, to give the right to decide every moment leading to death can be seen as the core of the life support legislation. 존엄한 죽음을 선택할 권리를 헌법재판소가 인정하였고 연명의료 중단과 같은 존엄한 죽음의 과정을 본인이 아닌 제 3자가 결정할 수 있는 여지도 현행법상 열려있다. 그러나 생명권을 인간의 존엄성에서 도출되는 기본권으로 이해한다면 이러한 최협의의 안락사조차도 허용되어서는 아니된다. 생명권의 본질은 생명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체의 자유에서 파생된 권리로 이해하는 입장을 취할 때 안락사는 헌법적으로 허용 가능하기 때문에 생명권의 헌법적 근거를 신체의 자유에 찾고자 한다. 생명권을 인간의 존엄의 영역으로 해석하는 입장에서조차 존엄사는 인정하는 점을 고려하였을 때, 본질적으로 안락사의 허용이 필요하다는 점에 대한 인식은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안락사는 확대되어 허용될 수 있으나, 그 방식이 무제한적인 허용을 의미하는 것이어서는 안 된다고 본다. 그러한 관점에서 볼 때, 평등권을 이유로 죽을 권리가 인정되는 것은 논리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생명권 등 다른 기본권과의 관계에서 어느 정도 조화로운 해석이 요구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현행 연명치료중단 법률에서 인간다운 죽음 또는 인간답게 죽을 권리에 대한 인식을 법률로 승화시켰다는 점은 높은 평가를 받을 만하나 약물 등을 처방받아 스스로 목숨을 끊은 존엄사 외의 안락사에 대해서는 허용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매우 엄격하고 제한적 안락사만을 인정하고 있다. 동 법률이 보다 헌법적으로 정당화되기 위해서는 동의 요건 강화 등 당사자의 의사표시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더욱 명확성을 갖추어야 하고, 명시적이고 확고한 의사표시에 대한 자기결정권은 보다 강화되어 보다 넓은 의미의 안락사가 허용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한편, 죽음을 넘어 죽음을 준비하는 과정에 관한 자기결정권 확대를 위하여 생애마무리 지원 법안이 마련되었고, 동 법안은 생애마무리에 관하여서 국가의 책임을 인정하고 법・제도적 지원 수단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동 법안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지원책 마련과 유산 기부 등을 활성화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동 법안에서 의미 있는 지점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게 모든 국민에 대한 생애마무리와 그 준비를 위한 교육 기회가 동등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 규정이다. 모든 세대가 개별 세대의 특성에 적합한 생애마무리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필요한 시책을 강구하도록 하여, 죽음에 대한 적절한 대비를 생활 교육의 일환으로 받아들일 수 있게 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진일보한 법률안으로 평가하고 싶다. 죽음은 앞서의 안락사에 대한 헌법적 근거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궁극적으로 자기결정권의 문제인 동시에 인간의 존엄과 관련된 영역이다. 좋은 죽음의 구성에 있어 가장 중요한 과제는 죽음 자체를 결정할 수 있는 권리에 관한 내용이지만 이에 더하여 죽음으로 이르는 매 순간 순간을 결정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자는 것이 생애마무리 지원 법안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노년기 기독여성의 죽음인식 경험과 목회신학적 돌봄

        김성은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3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4 No.2

        This study makes an inquiry into the nature of death awareness experiences of senescent Christian women. The aim of the present thesis is to help Christian ministers provide pastoral-theological care for senescent Christian women by exploring their death awareness experiences. Along with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the researcher also applied pastoral care methodology of pastoral theologians such as Larry Kent Graham, Karen D. Scheib, and John Patton in order to draw some implications for performing pastoral ministry. Furthermore, a systematic approach was made to try a pastoral care for senescent Christian women in community, because it was reconfigured to sui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 nature of the death experiences of senescent Christian women consists of psychological dimension, relational dimension, and spiritual dimension. As conclusion, the researcher made a pastoral theological suggestion of healing, sustaining, guiding, reconciling and growth as a model of pastoral theological methodology; narrative therapy in a model of the organic relation as body of Christ; and death preparation education as a model of pastoral care in context. This study, by explicating the nature of the death awareness experience of senescent Christian women, made an investigation into what kind of care should be provided for senescent women in an aging society like our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make a meaningful contribution to developing a new care ministry for senescent women. 본 연구는 노년기 기독여성의 죽음인식 경험의 본질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자는 노년기 기독여성의 죽음인식 경험을 이해하고 그들에게 목회신학적 돌봄을 제공하려는 연구의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방법론과 함께 목회신학적 성찰을 위해서 목회신학자 Larry Kent Graham, Karen D. Scheib, John Patton의 목회적 돌봄 방법론을 적용했다. 그리고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되도록 연구방법론을 재구성하여 공동체에서 노년기 기독여성들을 위한 목회적 돌봄을 체계적 접근에서 시도하였다. 노년기 기독여성의 죽음경험의 본질은 심리적 차원, 관계적 차원, 영적 차원으로 구성된다. 연구자는 결론적으로 목회신학 방법론 모델을 치유, 지탱, 안내, 화해, 성장으로, 그리스도 몸으로서 유기적 관계 모델을 이야기 치료로, 상황적 돌봄 모델을 죽음 준비 교육으로 목회신학적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는 노년기 기독여성의 죽음인식 경험의 본질을 밝힘으로써 고령화 사회의 노인여성들에게 어떻게 돌봄을 제공할 것인가를 탐색했다. 연구자는 본 연구의 결과가 노인여성들을 위한 새로운 돌봄 목회를 만들어 가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 KCI등재

        노인요양시설 이용자의 존엄한 죽음에 대한 요양보호사의 경험연구

        장영미,정종화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23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 No.47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어르신에 대한 존엄한 죽음의 의미를 요양보호사의 돌봄 실천 경험 속에서현상학적 기법을 통하여 분석하고 그 의미를 재해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요양시설에서 5년 이상 근무한 경험이 있는 5명의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심층적 인터뷰를 2회를 실시하였고 지오르기(Giorgi)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 방법의 4단계로 분석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25개 의미 단위, 6개의 하위 구성요소, 3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으며, 그 구성요소는 첫째, 죽음을 사랑으로 껴안음, 하위 구성요소는 ‘외면했던죽음의 응시’, ‘노인의 죽음에 직면’ 둘째, 허무 속에서의 의미 발견, ‘유한한 실존 속에서의 무한 경험’, ‘무의미를 견디는 의미의 발견’ 셋째, 현재에서 나의 역사책 쓰기 ‘잡담 속에 묻혔던 과거의 소환’, ‘자기갱신 의례의 수행’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요양시설에서 노인 돌봄 노동을 수행하는 요양보호사의 어르신에 대한 존엄한 죽음의 경험 의미와 본질은 결국 요양보호사가 요양시설에서의 일상생활 가운데즐거움과 소통의 기회를 제공하고, 노인들의 고독감을 해소하며, 노인들이 자신의 삶에 만족감을 느낄 수있도록 가장 가까운 곳에서 돕는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