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 참여기구 운영상 문제점 및 개선 방안

        조금주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1

        The birth of participation committee that started from youth participation committee in 1988 has preview point in that the participation of youth was legally guaranteed. Though the participation right of youth is specified in the law, youths that works actually in youth policy participation committee are still exposing their operational difficulties. Thereupon I have a purpose of study in examining the operational problem and the required tasks of youth policy participation committee in our nation. For this, frist, I examined our nation’s youth policy participation committee and current status of activities. Second, I analyzed the operational problem of youth policy participation committee. Third, I tried to find the methods to improve the activity of youth policy participation committee. I enforced FGI in total seventeen members of committee that involved four in youth special conference, eight in youth participation committee and five in youth steering committee. As a results, I found that the following points were needed for revitalizing operating of youth policy participation committees: A strengthening public relation about participation committee, the connection class conference and school conference, a holding forum for accepting the opinion of youths, a installing of home page and an developing an app, an enforcement of a program contest exhibit that is needed for youth in an area of job and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1998년 청소년 참여위원회로부터 시작된 참여기구의 탄생은 청소년들의 참여를 법적으로 보장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갖는다. 청소년의 참여권리가 법적으로 명시되어 있고, 참여권리를 위한 제도적 틀을 갖추고 사회 참여 증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는 하나 실제 청소년 참여기구에서 활동하는 청소년들은 여전히 운영상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 청소년 참여기구의 운영상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청소년의 참여권리가 법적 권한에 그치지 않고 실제로 확보하는데 필요한 과제들을 살펴보는데 연구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추진하였다. 첫째, 우리나라 청소년 참여기구 및 활동 현황들을 살펴보고, 둘째, 청소년 참여기구 운영상 문제점을 분석하며, 셋째, 청소년 참여기구 활성화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들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특별회의 4명, 참여위원회 8명, 운영위원회 5명 등 총 17명의 위원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참여기구 활성화를 위해서는 참여기구에 대한 홍보 강화, 학급회의와 학교회의와의 연계, 청소년 의견 수렴을 위한 포럼 개최, 통합 홈페이지 설치와 앱 개발, 직업, 예체능 분야 등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프로그램 공모전 실시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생태학적 보육환경을 중심으로 한 보육시설운영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소고

        최윤이(Choi Yun-Yi),김경희(Kim Kyung-Hee)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2005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9 No.2

        보육시설의 공공성과 투명성 확립이라는 전제 아래, 보육시설운영위원회의 법적 실행이 본격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현재 보육시설운영위원회의 시행지침이 가지는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생태학적 보육환경을 중심으로 한 보육시설운영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해 몇 가지를 제언하였다. 우선 현행 보육시설운영위원회의 지침은 두 체제 간 여러 이질성에도 불구하고 학교운영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을 그대로 원용하되, 시범실시시간 등의 질적 재고 기간을 두지 않고 시행하는 것이 우선적인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이용자수 대비 운영위원회의 위원 정수 선정, 부모와 지역사회의 자율적 참여와 보육활동 지원보다는 관리감독에 더 비중을 두고 있다는 어려움을 가진다. 이에 본 연구는 영유아를 중심으로 한 환경이 상호작용하는 역동적 체계이며 따라서 미시적, 중간적, 외적 환경을 비롯한 제 환경과의 맥락 속에서 이해해야 한다는 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 관점을 토대로 운영위원회를 설치ㆍ운영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첫째, 미시체계 자원을 활용한 보육시설운영위원회의 구성, 둘째, 중간체계 자원의 역동성을 통한 대가족 대체 효과, 외체계 자원을 통한 보육활동 멘토링 기능 등이 포함되었다. By the time of institutionalization of childcare center steering Committee, this study looked forward to a method for activating childcare center steering Committee"s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focused on the view of Bronfenbrenner"s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In the cause of this method, through arranging current management standard of childcare center steering Committee, a number of problems were revealed. First, a term for the enactment of legislation and a public display of childcare center steering Committee"s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was not enough. Second, the total number of childcare center steering Committee should be reconsidered. Third, the function of autonomic participation and childcare support should be more strengthened than control or management. In conclusion, this study, focusing on the ecological childcare environment, is proposing following method for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childcare center steering Committee. First, organizing of childcare center steering Committee, utilizing microsystem resource. Second, alternative effect of an extended family, through dynamics of mesosystem resource. Third, strengthening function of childcare management mentoring, through exosystem resource.

      • KCI등재

        학교운영위원회의 구성과 성과 및 발전방안 연구 : 경북교육청 관할지역 공립중등학교 학부모위원 및 지역위원 인식을 중심으로

        유신애(Shin-Ae, YU),문진희(Jin-Hee, MOON),신연희(Yeon-Hee, SHIN)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0 상담심리교육복지 Vol.7 No.3

        본 연구는 학교운영위원회가 도입된 후 25년이 접어드는 시점에서 경북교육청 관할지역을 대상으로 공립 중등학교의 학교운영위원회 학부모위원, 지역위원 구성실태를 살펴보고 학교운영위원회의 성과, 문제점 및 대안에 대한 의견을 파악하여 학교운영위원회의 학부모위원 및 지역위원 역량 및 인식 개선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설문지를 통한 조사 연구를 수행하였다. 경상북도 23개 각 시·군의 공립 중등학교를 대상으로 하였다. 공립 중등학교 학부모 위원 및 지역위원(1,456명)의 약 33%인 48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최종 39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학교운영위원회의 구성과 역할에 관한 위원의 인식 분석 결과를 통해 학부모위원 및 지역위원의 대표성이 부족하다는 의견, 학부모위원 구성비율 증대가 필요하다는 의견, 소위원회 설치 및 운영이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의견, 학교운영위원회 전문성 강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학교운영위원회 발전방안으로 제시되었다.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countermeasures in order to improve the parents and regional members competence and perception in the school steering committee as an object of the jurisdiction of Gyeongsangbuk-do Office of Education at the point approaching 25 years after the school steering committee was introduced, by examining the composition status of the parents and regional members in the school steering committee in the public secondary school, and by grasping the opinion about the performance, problems and countermeasures in the school steering committee. Based on such analysis results of the perception by the parents and regional members about the composition and role of school steering committee, the opinion that the representativeness as parents members and regional members were insufficient, opinion that it needed to increase the parents members component ratio, opinion that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sub-committee should be activated, and opinion that it needed to strength the specialty of school steering committee were suggested as development plan in the school steering committee.

      • KCI등재

        국회 법률안 회부제도 연구 - 20대 국회 청년기본법안의 회부과정을 중심으로 -

        朴根厚,辛明珠 한국의정연구회 2021 의정논총 Vol.16 No.1

        이 연구는 국회 법률안의 회부제도를 검토한다. 19대 국회에서 시작해 20대 국회에서 통 과된 ‘청년기본법안’을 사례로 회부과정을 분석하고 법률안 회부제도와 과정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법안은 소관위원회 회부와 반송, 특별위원회의 설치 와 협의, 운영위원회의 소관위원회 결정 및 반송 등 소관위원회 결정에 어려움을 겪었다. 법률안의 효율적인 회부를 위해서 소관위원회의 결정기준의 서열화, 소관위원회 결정원 인의 기록, 관련위원회 의견 개진의 의무화, 국회의안소관조정위원회의 운영방법, 운영위 원회의 회의요건, 특별위원회의 의결권부여 등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reviews the referral system of bills which are unclear to decide jurisdictional authority or cut across existing jurisdictional boundaries of standing committees. During the legislation process of the 10 young man basic bills in 20th congress, bills were referred to different committee and returned and decided to refer to the same committee by the House Steering Committee and returned by the committee again. For referring legislative proposals to the competent committee efficiently, several recommendation are suggested. First, prioritize the criteria for deciding proper committee have to prioritized. Second, records which contain the reason to refer a bill to a committee should be made and used when similar bills were referred. Third, relevant committee has to make report about a bill mandatorily even if there is no opinion. Fourth, jurisdiction coordination committee would better work on practical point of view and have to hold a meeting before House steering committee to decide competent committee for a bill. Fifth, committee staff director and officials of the Executive branch have to attend when House steering committee open a session to decide competent committee. Sixth, select committee should have right to resolution when it consider a bill which could not be referred to one existing standing committee.

      • KCI우수등재

        충청지역 공공도서관 조례에 포함된 도서관운영위원회 조항 분석에 관한 연구

        심효정,노영희 한국문헌정보학회 202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6 No.3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public library steering committee-related ordinances, derive problems and implications, and based on this, suggest the contents and supplementations necessary for the construction of the library steering committee ordinance. To this end, first, we looked at the theoretical background such as the significance and role of the public library steering committee, and the nature of the ordinance. Second, it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five areas: the status of enactment of ordinances related to library steering committee, whether provisions related to library steering committee are included, composition content, composition method, function, conference and regulation enactment, and allowance payment. Based on this analysis, it was mentioned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department in charge of ordinances, a library steering committee, guarantee the participation of library directors and library experts, hold regular meetings, disclose minutes, and reflect the results of committee deliberation. In addition, when enacting a standard ordinance items containing the name, nature and role, composition, meeting, sub-organization, rule of the library steering committee.

      • KCI등재

        누가, 왜 국회법을 개정하려 하는가? 제19대 국회 국회법 개정안 발의 분석

        구본상 ( Koo Bonsang ),박원호 ( Park Wonho )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18 의정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국회법으로 통칭하는 국회를 운영하는 절차적 규칙 개정에 누가 관여하며, 무엇이 이를 추동하는가?”라는 연구 질문을 가지고 국회선진화법이 시행된 제19대 국회에서 일어난 국회법 개정안 발의를 분석한다. 국회법 개정안 대표 발의자를 중심으로 공동 발의 네트워크를 분석한 결과 정파성에 따라 뚜렷하게 구별되었다. 연결 중심성이 높은 소수의 의원은 발의 시 여야 간 협력을 시도하였으나 이들이 발의한 법안은 결과적으로 상임위원회의 관문을 넘지 못했다. 또한, 개별 의원을 단위로 국회법 개정안 발의 동인에 대한 네 가지 경쟁적 가설(‘위원회 가설’, ‘분배의 정치 가설’, ‘이념적 거리 가설’, ‘소속 정파 가설’)을 새로운 측정변수를 포함하여 회귀분석한 결과, ‘위원회 가설’과 ‘소속 정파 가설’만이 경험적으로 지지 되었다. 결국, 그 내용상 비정파적이고 탈이념적인 규칙에 관한 국회법에 대한 개정안 발의는 국회선진화법 이후에도 여전히 철저하게 정파적 고려만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제도보다는 정당 지도부의 지도력과 그들의 타협 의지가 국회 갈등 해결의 핵심이라는 함의를 도출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revision bills of the National Assembly Law in the 19th National Assembly in which the National Assembly Advancement Act was enacted, with the question “who are involved in the revision of the procedural rules, and what motivates them?” The cosponsor network analysis focusing on primary sponsors of the revision bills shows that the network was constructed by party affiliations. A small number of members with high degree centrality attempted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at the cosponsoring stage, but the legislation did not pass through the related committee. In addition, this study tests the four competitive hypotheses (the committee hypothesis, the distributive politics hypothesis, the ideological distance hypothesis, and the partisan affiliation hypothesis) about the motivation to propose amendments by using the regression models which include newly measured variables. Only the committee hypothesis and the partisan affiliation hypothesis are empirically supported. This implies that partisan consideration is still significant in amending the National Assembly Law even after the National Assembly Advancement Act, and thus party leaders’ willingness to seek bipartisan compromises is at the heart of problem-solving.

      • 국내 유전자은행 관련 법률 및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이정념,최경석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08 생명윤리정책연구 Vol.2 No.1

        A biobank is supposed to play an important role for the development of biomedical science. Bioethics and Safety Act (2005) in Korea regulates a gene bank, the function of which is almost the same as a biobank. This act has some problems related to a gene bank. First, the term 'gene bank' is not appropriate. It has to be replaced by “a biobank” in order to include most of units keeping human materials for studies. Second, a gene bank is legally allowed to directly use its own human material for research within its unit. This kind of use must be prohibited. Third, the government has a power to permit the establishment of a gene bank. But all of gene banks must be registered by notification in order to make them be covered by the act. According to a report of a survey and a site-visit, there are lots of gene banks whose standard operating practice is not fully developed and detailed. Most of gene banks have difficulties in hiring a full-time person for information security due to the financial burden. The government has a policy that human materials for research is distributed for free. One solution of this problem is a mutual exchange among gene banks for mutual benefits with the condition that all banks must be registered. For the improvement of operating a gene bank, we need a regularly-scheduled educational program. Especially, this program should focus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different units We also must give an effort to the clarification of notions related to a gene bank. For example, ‘personal information’ must be distinguished from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latter is one type of personal information. But the latter is not identical to the former. Especially, there is a confusion of anonymization. We have to distinguish anonymous data from anonymized data. Anonymized date can be divided into data unlinked to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ata linked to it. In the United Kingdom, even linked anonymized data are also divided into data whose key of code is held within a research team and held by the third party. One may think that researchers can be free from ethical review if they use anonymized human material or data. Anonymized information is not personal information that should be protected by Privacy Rule. But anonymization does not guarantee the exemption of IRB's or Steering committee's review. The fact that a certain information is not PHI(Protected Health Information) is one thing, and the requirement that a protocol must be reviewed by IRB or Steering committee is another.

      • KCI등재

        학교운영위원회 성과의 영향요인 -경상남도 일선 단위학교 운영위원회를 중심으로-

        김혜미,민병익 한국거버넌스학회 2012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19 No.3

        In this study, the school steering committee is evaluated and the factors influencing over the measured performance are identified; and then the policies are proposed for the rebirth of a successful school council. For this, a study model was established, consisting of 8 independent variables: the representative in the aspect of the election of committee members, representative in the aspect of operation by committee members, the expertise of committee members, the attendance of committee members, the speech frequencies of committee members, principal's view on open school operation, the supports from educational agencies and local communities and 4dependent variables : school's autonomy, school's democracy, school's uniqueness, the effectiveness of school education. To empirically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the teachers and the committee members of 6 elementary schools, 3 middle schools and 1 high school in two cities of Gyeongnam, and 6 elementary schools, 3 middle schools and 1 high school in 2 Guns, are sampled. 본 연구는 학교운영위원회의 전반적인 실태를 점검하고, 학교운영위원회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식별함으로써 학교운영위원회 성과를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상남도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학교운영위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분석결과 학교운영위원회의 선출상의 대표성은 그렇게 높지 않은 가운데 운영상의 대표성은 어느 정도 확보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위원들의 전문성은 그렇게 높지 않았으며, 운영위원들의 참여도는 매우 높은 가운데 초등학교 운영위원들의 참여도가 특히 높은 것이 특징적이었다. 그리고 운영위원들간에는 일정한 수준의 상호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학교운영위원회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단위학교의 자율성에는 교육행정기관 및 지역사회의 지원정도, 운영위원 간 신뢰정도 순으로, 단위학교의 민주성에는 학교장의 열린 학교운영 경영관, 운영위원의 출석률, 교육행정기관 및 지역사회의 지원정도, 운영위원의 운영상 대표성 순으로, 단위학교의 특수성에는 교육행정기관 및 지역사회의 지원정도, 학교장의 열린 학교운영 경영관, 운영위원의 선출상 대표성 순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며, 학교교육의 효과성에는 교육행정기관 및 지역사회의 지원정도, 운영위원의 운영상 대표성, 운영위원의 선출상 대표성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농촌개발사업에 선정된 마을의 정치과정

        손대원(Son Dae-won) 실천민속학회 2011 실천민속학연구 Vol.17 No.-

        이 글은 농촌개발사업에 선정된 마을에서 일어나는 정치과정을 통해 분석한 것이다. 농촌마을에서 마을 지도자의 역할을 수행한 이장 및 마을 권력집단과 국가정책에 의해 새롭게 만들어진 운영위원회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국가 정책이 마을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으로 인해 마을문화가 어떻게 변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운영위원회의 등장 배경과 함께 마을의 핵심 조직으로 부상한 운영위원회의 설립 과정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운영위원회의 부상으로 인해 마을 주민들의 운영위원회에 대한 인식은 어떻게 변했는지도 함께 살펴보았다. 둘째, 마을의 핵심 세력으로 부상한 운영위원회는 마을사회에 막강한 정치력을 발휘하지만 내외부적인 갈등이 발생하였다. 기존 마을 권력 집단과 운영위원회와의 갈등, 운영위원회 내부적인 갈등, 운영위원회와 마을 주민과의 갈등을 통해 마을의 정치화 과정을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운영위원회는 문화 인프라 구축이라는 명목으로 마을문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알아보았다. 농촌개발사업에 대한 연구가 낙후된 농촌경제의 활성화와 전통문화의 보존과 전승에만 초점을 두었던 기존 연구에서 벗어나 국가정책이 마을 정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있었다. 이장과 종손으로 대표되던 마을지도자들은 기존의 마을운영체계 속에서 자신들의 정치력을 유지해왔다. 하지만 산업화와 마을의 고령화로 농촌마을의 경제적ㆍ문화적 문제들이 발생하였다. 국가의 거대자본을 획득한 운영위원회는 마을의 정치 및 문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정치집단으로 성장했다. 운영위원회의 정치력이 마을과 지역사회에서 커지면서 마을문화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마을문화의 주체인 주민들이 설 자리를 잃게 되었다. 운영위원회는 자신들이 만들어놓은 판에 주민들은 따라오기만 하면 된다는 입장이다. 결국 마을문화의 주체자인 주민들이 자신들도 모르는 사이 서서히 마을문화의 주변인으로 전락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지식재산기본법의 의의 및 정책방향에 관한 소고

        윤원길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1 지식재산연구 Vol.6 No.2

        The Framework Act on Intellectual Property(FAIP) was passed at the National Assembly plenary session on April 29, 2011 after having been enacted in consultation with all the governmental departments concerned. Recent trend of economic globalization and smart media innovation suggest new opportunity and big challenge for Korean economy. In order to achieve US$ 30,000 per capita income in coming future soon, Korea is in the moment to take innovative approach for strengthening the knowledge competitiveness of Koran economy. At the macro level, investment on R&D should be increased and industrial renovation is needed to develop and expand knowledge industry. Korea should set up national policy to strengthen knowledge competitiveness of government, research institutions, and enterprises. Above all, FAIP would play great role in strengthening social infrastructure to enhance the knowledge capacity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and of region. According to FAIP, National Intellectual Property Steering Committee will be established comprising ministers concerned and opinion leaders of Korean society in July, 2011 in order to function as the control tower of national intellectual property policies. If the Committee do its best in harmonizing all the voices from society and in executing various policies in order to reform Korean economy at regional level and also at national level, Korea will be the power house of the world in the field of intellectual property in the near future. This article introduces the background of enacting FAIP and legislation processes and clarifies the leg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Act. It explains the overall structure of FAIP and individual articles of the Act. At the last part, it suggests some major policies to be implemented in the national framework envisaged in FAIP. 지난 4월 개최된 국회 본회의에서 지식재산기본법이 통과되었다. 17대 국회에서부터 법 제정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본격화되어 오랜 기간 동안 많은 논의를 거쳐 드디어 18대 국회에서 지식재산기본법이 제정되어 곧 시행을 앞두고 있다. 최근의 글로벌 경제의 심화와 스마트 혁명의 진전은 우리 경제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는 한편 큰 도전으로 다가오고 있다. 조속한 시일 내에 소득 3만 불의 선진경제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도 거시적으로는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지식서비스 산업 중심으로 과감하게 산업구조를 재편하고, 우리기업의 지식재산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범국가적 정책을 수립하여 정부, 기업, 연구소 등이 총체적으로 지식경쟁력을 높여나가야 한다. 금번에 제정된 지식재산기본법은 특히 우리 중소기업과 지역의 지식역량을 제고할 수 사회적 인프라를 강화하는데 큰 디딤돌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지식재산 기본법 시행에 따라 국가지식재산위원회가 설치되고, 민관이 함께 집단 지성을 발휘하여 우리 사회에서 지식재산의 가치가 최대한 발휘될 수 있는 사회적 여건과 제도적 기반을 조성하고, 국가지식재산 기본계획에 따라 중앙 정부와 지방 정부가 힘을 합쳐 지식재산 정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한다면 대한민국이 명실상부한 지식재산 강국으로 도약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 글은 지식재산기본법 제정을 추진하게 된 사회적 배경과 입법 절차를 소개하고, 지식재산기본법의 법적 성격 및 의미를 밝히고, 최종 공포된 지식재산기본법의 전체 구성과 조문별 내용을 설명하며 향후 정책방향 및 주요 과제를 제시함으로써 범국가적으로 추진해 나갈 지식재산강국 실천전략이 지식재산기본법이라는 법적 테두리 내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조문화되어 있으며 향후 구체적 정책으로 추진될 수 있는지를 밝히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