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제별 논단 : 연구논문 ; 해외직접투자 정의와 관련한 제 문제

        서문식 ( Mun Sik Seo ) 한국금융법학회 2015 金融法硏究 Vol.12 No.3

        Today when most advanced countries have abolished foreign exchange control regulations, the definition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such countries has meaning only for the purpose of statistics. In principle, each country should pay regard to the globally recommended standard definition for foreign direct investment. However, the Korean situation is not so simple. Given its ongoing foreign exchange controls, Korea needs a definition that serves the purpose of its foreign exchange controls. Though Korea has applied the same definition to both statistics and foreign exchange regulations, we may need two definitions each for statistics and foreign exchange control. The current Korean definition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at of the OECD Benchmark Definition, so it is not statistically comparable with other OECD countries.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definition also cannot satisfy Korean``s own purpose, foreign exchange controls because it reflects many characteristics of the OECD Benchmark Definition which are not relevant from the viewpoint of foreign exchange control. The examples for the former are : (1) the fact that a Korean parent company``s acquiring debt securities issued by foreign subsidiaries is excluded from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Korea``s definition, but included in the OECD definition, and (2) the fact that foreign construction services, overseas flight or transportation services, etc. undertaken by a foreign branch of a resident company are excluded from Korea``s definition, but included in the OECD definition. An example for the latter is the inclusion of lower level affiliate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companies into foreign direct investment enterprises even though such affiliates have little meaning for the purpose of foreign exchange controls.

      • KCI등재

        법조계 전관예우에 대한 인식유형의 탐색: Q-Methodology를 중심으로

        은종환,정광호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5 行政論叢 Vol.53 No.2

        In spite of long discussion, systemic research does not exist into the perception of preferential legal treatment of former government officials. Most of the research that does exist is made up of case studies or follows a legal-based approach. From the view of a legal-based approach, preferential legal treatment of former government officials carries a lot of problems. On the other hand, however such preferential treatment would be a natural consequence from various non-legal perspectives. Previous studies have limited their analytical frame to only the legal perspective. Consequently, preferential treatment has been criticized in unfair terms. However, there have been no empirical studies from multiple non-legal perspectives. From another point of view, preferential legal treatment has a social function. This study explores multiple perspectives on preferential legal treatment of former judicial officials, and studies the phenomenon using the Q-methodology. As a result, there were found to be five distinct perceptions concerning preferential legal treatment of former judicial officials. The five perceptions are: ① the legal view, ② realism, ③ nepotism, ④ market-orientation view, ⑤ ethical view. This study finds the social-nepotism and market-orientation points of view as additional perspectives. The study proposed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analyzing the ‘Law of Kim Youngnan’ and legislation against preferential legal treatment of former government officials. 전관예우를 둘러싼 오랜 논란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체계적인 문제정의나 심층적 인식유형에 대한 학술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대부분 사례연구나 법적 고찰에 치우친 나머지 실제 전관예우의 문제점을 다양한 각도에서 고찰하지는 못하였다. 전관예우가 법치주의나 법 적용의 공정성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지만, 여전히 한국 법조생태계의 큰 축으로 작동한다는 엄연한 현실을 두고서 왜 그런가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 부족했다. 선행연구의 경우 법조계 전관예우에 대한 부정적 측면에만 초점을 둔 나머지 그 이면에 작동하는 법조계 전관예우에 대한 법조생태계의 사회적 기능이나 정당성에 대해서는 간과했다. 법조계 전관예우는 다양하면서도 상충되는 문제인식의 틀이 중첩적으로 구성되어 있는바, 이를 전체 그림에서 종합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심층적 인식체계를 다양한 관점에서 분설할 수 있는 Q 방법론을 활용하여 법조계 전관예우에 내포된 인식 틀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법조계 전관예우에 대한 인식유형은 크게 ①법치주의, ②현실주의, ③사회적 연고주의, ④법조계 전관예우 시장, ⑤도덕우선주의 등 다섯 가지로 나타났다. 법조계 전관예우에 대한 문제정의에서 흔히 고려되는 법치주의와 도덕주의 이외에도 법조계 전관예우의 합리적 관행에 바탕을 둔 인식과 연고주의도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법조계 전관예우에 대한 인식 틀을 활용하여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김영란법’의 현실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법치주의와 법조계 전관예우 시장을 둘러싼 다양한 관점을 논의했고, 이를 근거로 법조계 전관예우에 대한 정책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교육법에서의 명확성 원칙의 법리에 관한 헌법재판소 결정 비판

        손희권(Sohn Heekwon) 한국헌법학회 2007 憲法學硏究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법에서의 명확성 원칙의 법리에 관한 헌법재판소 결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헌법재판소는 명확성의 원칙을 평등권, 과잉금지원칙, 본질적 내용 침해 금지의 원칙과 연결시켜 판시하는 경우가 있으나 서로 간에 성격이나 의미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판시는 부적절하다. 둘째, 헌법재판소는 명확성의 판단주체로 기본권 제한의 경우 통상인을, 표현의 자유의 제한의 경우 법집행자를, 죄형법정주의의 경우 건전한 법관과 통상인을, 위임 입법의 경우 수범자와 행정청을 제시하고 있으나 통상인의 경우 통상인 자신이 아닌 헌법재판소 재판관이 통상인의 입장에서 판단하는 문제가 있고 법집행자와 건전한 법관은 각각의 경우에 명확성을 요구하는 취지에 부합되지 아니하며 통상인의 판단기준으로서 상식, 감정, 지성 등은 교사의 권리 구제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고 초등학생의 경우 한글해독 능력을 고려할 때 그 보호자를 명확성의 판단주체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헌법재판소는 규율대상이 지극히 다양하거나 수시로 변하는 경우, 개인의 인격과 밀접히 연관된 민감한 정보가 아닌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규제 해제의 경우, 위임입법의 경우에는 완화된 기준을 적용하고 표현의 자유의 제한, 죄형법정주의, 부담적 성격의 법률의 경우에는 엄격한 기준을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위임입법의 경우에는 그 규율내용의 성격에 따라 달리 판단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부담적 성격을 가지는 규정이 지극히 다양하거나 수시로 변화될 것이 예상되는 내용을 규율할 경우 어느 기준을 적용해야 할 지 불분명하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니고 있으며 학칙에 위임하는 경우에도 교육의 자주성 및 대학의 자율성이라는 헌법적 요청을 감안하여 완화된 기준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넷째, 헌법재판소는 기본권 제한, 표현의 자유의 제한, 죄형법정주의에서 명확성을 주로 애매성 및 광범성의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으나 실제로 양자를 엄밀히 구별하지 아니하고 있으며 엄격한 기준이 적용되는 표현의 자유의 제한이나 죄형법정주의의 경우에도 법관의 보충적 해석이나 헌법합치적 법률 해석을 통하여 명확성의 요건을 사실상 완화시키는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는데 이는 교육 고유의 논리를 법률 해석에 충분히 반영하지 못할 위험성을 지니고 있다. 끝으로, 헌법재판소는 위임입법에서의 명확성을 예측가능성 및 지득가능성의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으나 위임입법은 입법부와 행정부 간의 권한 배분의 문제이므로 전자는 부적절하다.   The major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cases on the legal theory of the principle of definiteness in education law critically.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ourt related this principle to the Equal Protection Clause, the over-restriction principle, and the principle of non-infringement of the essential content of fundamental rights. However this relationship is inappropriate because they are different in their nature and meanings.<BR>  Second, the court suggested the different subject of the judgement for definiteness by the area of its application. For example, the reasonable person in the case of the restriction of fundamental rights, the law enforcer when free speech is restricted, the sound judge and the reasonable person in the case of the principle of nulla crimen, and the people and the administrative body in the case of the delegated order. However, the reasonable person standard has a weakness since not this person but the Justice judges definiteness from the reasonable person"s viewpoint. Next, the law enforcer and the sound judge are not 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requiring definiteness in the case of the restriction of free speech and the principles of nulla crimen. Finally, it is desirable that in the case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parent judges definiteness considering their linguistic development.<BR>  Third, the court approached to the reasonable person in terms of the ability of judgement, common sense, legal emotion, and the intelligence. This approach has some weaknesses. First, what they are and who should judge them are unclear. Also, they need the normative proving. Next, by distinguishing the have"s and the have-not"s this approach can oppress the possibility of the latter"s, in particular the teacher"s, litigation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of definiteness. Finally, the meaning and the court"s interpretation of the law is not necessarily consistent with the legal emotion.<BR>  Fourth, the court used the less restrictive standard in the case of the law with ever-changing and various facts, the collection of the less sensitive information, deregulation, and the delegated order while the more strict standard in the case of the restriction of free speech, the principle of nulla crimen, and the burdensome law. However this usage has two weak points. First, in the case of the delegated order it is necessary to use different standard by what is regulated. Further, which standard should be used is unclear in the case of the burdensome law with ever-changing and diverse facts. Finally, it is desirable to use the less restrictive standard in the case of delegation to the school regulation and rule.<BR>  Last, the court usually used vagueness and overbreadth as the criteria for judging definiteness in the case of the restriction of the fundamental rights and free speech and the principle of nulla crimen. However the court did not distinguish between vagueness and overbreadth and factually make the requirements for definiteness loose through the judges"s compensatory interpretation and the constitution-consistent one. Also, the court used foreseeability and intelligibility as the criterion for judging definiteness in the case of the delegated order. However, the former is not appropriate as this criteria because this order is the problem of power distribution between the legislative and the executive. Also,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judge"s compensatory interpretation does not reflect the unique logic of education.

      • KCI등재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 금지에 관한 법률(김영란법) 언론조항의 문제점

        손태규 한국공법학회 2015 공법연구 Vol.44 No.1

        기존 형법으로 처벌하기 어려운 공직자의 부정부패를 방지한다는 목적으로 입법된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 금지에 관한 법률(김영란법)“의 국회통과 앞뒤로 큰 논란이 일어났다. 법의 적용 대상에 언론인과 사립학교 교원이 포함되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김영란법’이 규정한 언론조항의 위헌성 등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 논문이 논의하는 문제는 다음과 같다. 언론조항은 첫째, 헌법상 특수한 지위를 가지는 공무원과 일반 사인인 언론인을 구별하지 않았으며 둘째, 언론조항이 언론사를 공적기관으로, 언론인을 공적업무 종사자로 규정한 것은 법적 근거가 없는 것이며, 그 이유로 처벌 대상으로 삼은 것은 헌법상 자의금지원칙 등을 위배한 것이다. 셋째, 언론인의 정의와 그 범위를 제대로 정하지 않아 명확성의 원칙을 위배했으며, 누구나 동의하는 언론인의 정의를 결정하는 지대한 어려움을 간과했다. 넷째, 언론인에 대한 부정청탁이 무엇인지를 규정하지 않아 처벌 대상이 되는 범죄를 알 수 없게 해 역시 명확성의 원칙을 위배했으며, 언론인의 경제활동을 정부가 제한토록 해 과잉금지원칙을 위배했다. 논문은 이러한 분석 과정에서 법률로 언론인의 범위를 규정하는 것에 관한 미국의 경험과 한국의 사례를 비교 논의한다. The passage of the Anti-Corruption and Conflicts of Interest Act (so-called Kim Young-ran Act) that includes the private journalists and personnel of private schools generated strong criticism on many counts. The Kim Young-ran Act was originally designed to prevent illegal solicitation to public officials or semi-public servants who are paid with tax. Some legal experts say the inclusion of parts of the private sector is potentially unconstitutional, including the violation of the principle of legalit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bill’s constitutional legitimacy focusing on the provisions concerning the press and journalist. This article, in particular, analyzes how improper and unclear the bill’s definition of the terms, press and journalist, are and how much the bill considers the changing nature of journalism, including the invention of new media. In that process, it introduces the failure to agree on a definition of journalist that has stalled efforts to enact a federal shield law for journalists in the United States.

      • KCI등재

        미필적 고의와 명확성원칙에 관한 고찰

        주용기(Joo, Yong-Ki) 한양법학회 2014 漢陽法學 Vol.25 No.3

        ‘Willful negligence’ and ‘cognitive negligence’ are not the concept of the positive law but the norm to be left to the judiciary’s discretion. Even so, those are actually carrying legal binding force in the Supreme Court etc., and also theories, such as ‘the theory of the tolerance’ etc., are influencing on the judgements of judges. In that respect, it requests to make a judgement whether or not to violate the principle of leg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eory of the will, it is insisted that we should beware of admitting the intention based on the only ‘cognition’ in the present risk-society. But the theory of the possibility based on the theory of the recognition will not easily give up the gate-keeping role to keep on eye on excessively permitting the limits of intention. Although choosing theory of the possibility, the cognition of the possibility of results is not made in abstract dimension, but in concrete with due regard to the circumstances of criminal behaviors. Therefore we can not necessarily say that the limits of intention will be expanded. The definiteness of ‘Criminal Code’ is depended upon whether it makes sure or not to secure the predictability and to exclude arbitrary law enforcement. It will be possible to say that if we can make a reasonable inference with the standards of the interpretation of law, there will be no violation against the principle of definiteness. Conclusionally, if we assign the validity of norms to the views, as the standards to distinguish between the essence of willful negligence and cognitive negligence, based on the theory of the recognition, it will be very possible to establish the standards specifically, to prohibit arbitrary decisions from evaluating those emotional?sentimental elements such as ‘tolerance’ or ‘submission’. Besides, from the legislation theory will be anticipated the clarity of Criminal Code §13. Also, based upon the unification of criminal justice system, it may be possible to overcome the debates concerning the standard of proving cognition in the criminal procedure.

      • KCI등재

        아동․청소년 복지의 개념과 법체계의 개선방안

        조성혜 한국법제연구원 2011 법제연구 Vol.- No.41

        아동복지(또는 청소년복지)와 관련한 법제를 연구하는 데는 다양한 접근이 가능하다. 최협의로는 아동복지법에 대한 연구이고, 최광의로는 아동 또는 청소년복지와 관련된 일체의 법령에 대한 연구이다. 또는 아동복지를 사회보장(사회복지)의 일종으로 보아 출산, 양육, 보육에 대한 경제적 지원으로 한정해 볼 수도 있다. 그런데 어떠한 접근을 하든 우리나라에서 아동복지 또는 청소년복지 관련 법이 무엇인가를 살펴보고자 하면 불가피하게 다음과 같은 미결의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우선 아동과 청소년의 개념이 불분명하다. 아동복지법은 18세 미만의 자를 아동이라고 하고 있는 반면(제2조 제1호), 청소년기본법에서는 “청소년”을 9세 이상 24세 이하의 자라고 하고 있고(제3조 제1호), 청소년보호법은 청소년을 만 19세 미만의 자를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다(제2조 제1호). 아동과 청소년의 법적 개념이 모호한 결과 아동복지와 청소년복지의 개념과 범위도 불분명해진다. 아동복지가 청소년복지를 포함하는 개념인지, 청소년복지가 아동복지를 포함하는 개념인지, 아니면 양자는 별개의 개념인지가 모호하다. 아동복지법에는 아동복지에 관한 개념 규정이 없고, 청소년기본법에서 청소년 복지를 “청소년이 정상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기본적인 여건을 조성하고 조화롭게 성장ㆍ발달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사회적ㆍ경제적 지원을 말한다”(제3조 제4호)고 정의하고 있으나, 아동복지와 청소년복지를 구분하는 단서는 없다. 또한 아동복지법과는 별도로 청소년복지지원법이 있는데, 양 법에 의해 아동복지와 청소년복지가 분리되는 것인지도 분명치 않다. ‘아동복지법’이든 ‘청소년복지지원법’이든 복지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는 차이가 없는데 ‘복지법’과 ‘복지지원법’이라는 명칭 때문에 아동복지와 청소년복지가 구분된다고 보는 것은 타당치 않아 보인다. 그런데 실제로 아동복지법은 요보호 아동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는 반면, 청소년복지지원법은 모든 청소년에 대한 보편적 복지를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그러한 연유에서인지 최근 사회복지 분야에서는 아동복지와 청소년복지를 구분하여 전자는 주로 요보호 아동에 대한 선별적 복지를, 후자는 모든 청소년에 대한 보편적인 복지를 의미한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용어만으로 볼 때 아동복지를 요보호 아동에 대한 복지, 청소년복지를 모든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복지라고 할 만한 근거는 없다. 이같은 문제를 염두고 두고 아래에서는 아동 및 청소년 관련법이 어떠한 이유로 현재의 혼란스러운 상태에 이르게 되었는가를 그 역사적 발전과정을 통해 살펴본 후 현행의 법률들이 아동 및 청소년을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가, 그 대상은 누구인가를 검토해 본다. 나아가 아동 및 청소년복지 법제의 헌법적 근거와 그 범위 획정에 대하여 알아보고, 법 체계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이 무엇인가를 모색해 보기로 한다. 주제어:개념, 개선, 법제, 아동복지, 청소년복지 Child and youth welfare law in Korea is vague and complex. In a narrow sense it means the research on the provisions of the Child Welfare Act. In a broad sense it embraces all of the social welfare system regarding to the protection for children and youth. Regardless of the scope of child and youth welfare law it should be cleared what the term of child and youth means in Korean legal regulation. Historically, child protection in Korea was based on the good intentions of individuals to protect war orphan children from poverty or danger after the end of the Korean War. It is the story of the evolving status of children from being viewed as dependant of the parents to becoming rights-based citizens, even not in Constitution. In Korea neither parents nor children have constitutionally recognized right. According to Korean Constitution the parents have only the obligation to educate their children. And the state ist obliged to improve the welfare of the youth(section 34). In compliance with this article there are lots of statutes regulating youth welfare. This article reviews the legal definition of child and youth to test the uncertain definition of child and youth welfare in relation to the treatment of children's and youth's legal status in Korea. According to the Child Welfare Act child is the person under age of 18, while the legal definition of youth oscillates between the person under the age of 19 and the person over the age 9 to the age of 23. As a result child welfare is often used as the synonym of youth welfare, and vice versa. The lack of the arrangement of the legal definition of child and youth is based on the historical reasons that the legal definitions of youth (under the age of 19 or over the age 9 to the age of 23) newly appeared in the statutes regulating youth welfare, whereas the Child Welfare Act still maintained the definition of child under the age of 18. In order to get rid of the confusion of the definition of the child and youth, a part of certain statues should combine with another Ac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individual amended statutes. And the definition of child and youth should be subdivided into 3 or 4 classes, namely infant(0-6), child(7-13), youth(14-18) and young adult(19-26). Furthermore this article proposes a reform of the existing legal system pursuant to the nature of the law, i.g. whether the issued or amended Act takes on a selective(residual) or universal character.

      • KCI등재

        공립미술관의 법적 정의에 대한 재고찰

        김지훈 한국법제연구원 2021 법제연구 Vol.- No.60

        Museums and Art Museums Act was enacted in Nov. 30th, 1991, that was basically rooted in Museums Act passed in 1984 and substituted it. For the first time the newly enacted law manifested the legal conception of art museum but also public municipal art museum. According to Art Museums Act of 1991, public municipal art museum is established and run by local government. Museums Act defined the public municipal museum is the museum local authority founded. Museums and Art Museum Act is differentiated from its predecessor for stressing the managerial conception on public municipal art museum. After its legislation, the definition of public municipal art museum has never revised. Its legal conception changed only one time, when Museums Act was abolished and Museums and Art Museums Support Act adopted. In contrast, the definition of art museum has been modified twice until 2020, although they were not dramatic. In this study, I pose a question consider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legal definition of public municipal art museums. The Korean society has experienced a variety of changes socially, economically, and politically after the enactment of the Art Museums Act. In accordance with Museums and Art Museums Support Act, public municipal art museum is conceptualized by 4 key words; art museum, local autonomous body, foundation, and management. Based upon the historical transition of art museum and local autonomy, and the reality of its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I examine the extent how far its legal definition is suitable to embrace the public municipal art museums in practice. 1991년 11월 30일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이 제정된 이후 미술관에 대한 공식적인 법적 개념이 처음으로 제시되었다. 해당 법률에 의하면 공립미술관은 지방자치단체가 설립·운영하는 미술관으로서 공공미술관의 일종이다. 이후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은 수차례 개정되며 박물관과 미술관에 대한 개념도 조금씩 수정되었으나 공립미술관의 정의는 제정 이후 단 한 차례도 변경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공립미술관의 법적 정의의 적절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이 제정된 이후 한국 사회는 사회적·경제적·정치적으로 다양한 변화를 경험하여 왔다. 이러한 변화 사항을 현재의 공립미술관에 대한 법적 개념은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에 의하면 공립미술관의 법적 개념의 핵심어는 ‘미술관·지방자치단체·설립·운영’이다. 미술관의 역사적 변천과 지방자치, 현실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미술관 설립과 운영 실태를 바탕으로 공립미술관의 법적 정의의 적합성을 살펴본다. 그 결과 “지방자치단체가 소유한 미술관”으로서 공립미술관의 개념 수정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채권자대위권행사에 의한 처분금지효에서 ‘처분’의 의미 - 대법원 2012. 5. 17. 선고 2011다87235 전원합의체 판결에 대한 평석을 겸하여 -

        이은영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2 법학논고 Vol.0 No.40

        The Supreme Court has accumulated a lot of precedents about the obligor's subrogation claim based on the Korean Civil Code §404, §405. In the meanwhile, the Supreme Court's precedents declared that the legal rescission of contracts are the act of disposal by obligor according to the Korean Civil Code §405 II. But the existing holdings are revised by the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on May 17, 2012(No. 2011Da87235 Unanimously Agreed Verdict). It declares that the legal rescission by trustee process is not disposition of obligor based on the Korean Civil Code §405 II. According to the Supreme Court verdict, the legal rescission is a just right of trustee process and not act of disposal by obligor. Nevertheless, it does not definitely declare the meaning of ‘Disposition’ in the Korean Civil Code §405 II. As a result, it makes impossible to effectiveness of claim for the subrogation right of a creditor or subrogating creditor. Therefore, we should examines it on the legal definition of disposition of obligor in the light of legislative purposes and effectiveness of subrogation right of obligee. What is the legal definition of ‘disposition’ of obligor in the light of the ideals of the subrogation right of cerditor? How can it be applied to the uniform standard in right of rescission by trustee process?This paper tried to categorize the new types of act of disposal and re-examines the legal meaning of disposition of obligor in the light of effectiveness of subrogation right of obligee. 민법 제405조 제1항은 채권자가 채권자대위권을 행사한 때에는 채무자에게 통지하여야 하고, 제2항은 채무자가 채권자로부터 대위권행사의 통지를 받은 후에는 그 권리를 처분하여도 채권자에게 대항하지 못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채권자의 대위권 행사시 대위권행사의 사실을 채무자에게 통지하도록 함으로써 채무자가 대위권행사에 저촉되는 행위를 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여 법률관계가 복잡해지는 것을 막고, 또 채무자의 협력을 통하여 대위권에 의한 권리행사가 적절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런데 제405조 제2항에서 규정하는 채무자의 ‘처분’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그로 인하여 학계와 실무계에서는 채무자의 채무불이행을 이유로 제3채무자가 매매계약을 해제하여 피대위권리를 소멸시키는 것이 채무자의 처분행위에 해당하는지가 논란이 되고 있다. 과거 대법원은 이를 채무자의 처분행위로 보는 태도를 유지해왔으나, 대상판결에서 제3채무자의 정당한 권리행사라는 이유로 채무자의 처분행위가 아니라고 판시하고 기존 판례를 변경하였다. 하지만 제3채무자의 권리행사라는 외관을 갖췄지만 실질적으로 채권자대위권의 행사를 방해할 목적으로 행사된 경우까지 ‘처분행위’에서 제외할 경우에는 채권자대위제도 그 자체를 유명무실하게 만들 우려가 있다. 이 글은 대상판결에서 드러난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채권자대위권행사에 의한 처분금지효에서 ‘처분’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려 한다. 이 글은 처분행위의 단순한 개념정의를 넘어서 채무자의 처분행위의 내용 및 채무자의 행태를 중심으로 처분행위의 유형화를 시도하고 각 유형에 따른 처분행위의 판단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체육・스포츠・무도 용어의 법적 정의와 개념에 대한 입법적 방안

        안용길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6 스포츠와 법 Vol.19 No.4

        본 연구는 대한민국 법률에서 정의한 체육・스포츠・무도 용어에 대한 고찰과 그 개념에 관한 입법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1962년 이후 제정된 법률 중에서 용어나 내용상 체육・스포츠・무도에 관한 법률을 비롯하여 법률 제정 및 개정과정에서 발행된 문헌을 심층적으로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첫째, 1962년 제정된 국민체육진흥법 제2조에 규정된 체육에 관한 정의가 체육・스포츠・무도와 관련하여 법 영역에서 등장한 최초의 개념이다. 동법률 제2조 1호에서는 체육을 운동경기를 비롯하여 야외활동 등 신체활동을 통하여 건전한 신체와 정신을 기르고 여가를 선용하는 것으로 정의하여 체육의 범위를 체육뿐만 아니라 스포츠, 레저, 레크리에이션 등 다양한 신체활동과 유사개념을 포괄적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후 제정된 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 학교체육진흥법 등에서 사용된 체육의 개념은 스포츠, 무도 기타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었다. 둘째, 스포츠에 관한 법적 정의는 2007년 제정된 스포츠산업진흥법 제2조 정의규정에서 최초로 등장한다. 동법 제2조 1호에서는 스포츠를 건강한 신체를 기르고 건전한 정신을 함양하며 질 높은 삶을 위하여 자발적으로 행하는 신체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문화적 행태로 정의하여, 스포츠의 개념 속에 체육의 개념을 포함하면서도 스포츠를 문화적 형태의 하나로서 규정하고 있다. 이처럼 스포츠가 체육을 포괄하게 되는 개념 역전현상이 나타난 것은 86・88 양대 국제스포츠행사를 개최하는 과정에서 각종 스포츠가 생활체육으로 대중 속에서 광범위하게 확대된 결과를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무도와 관련한 법적 정의는 2008년 제정된 전통무예진흥법에 최초로 등장한다. 동법 제2조 1호는 전통무예를 무(武)적 공법・기법, 격투체계로 정의함으로써 무예 속에 무술과 무도를 포함하여 전통무예를 정의하고 있다. 이는 80년대 이후 대학가를 중심으로 확대된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과 수요의 증가가 법률제정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한편, 2007년 제정된 태권도 진흥 및 태권도공원 조성 등에 관한 법률 제1조(목적)에서는 태권도를 우리 고유무도(武道)로 정의하면서도 태권도를 세계적인 무도 및 스포츠라고 하여, 무도와 스포츠를 병렬적으로 규정함으로써 무도와 스포츠가 서로 이질적인 영역임을 시사하고 있다. 이와 같이 법률 속에 규정된 체육・스포츠・무도 개념은 그 경계가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은 채 혼용되거나 시대에 따라 포함관계가 변하고 있어 용어의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좀 더 정치(精緻)한 용어의 정의를 위해서는 법률제정 및 제정과정에서 체육・스포츠・무도에 관한 학문적 정의와 학계의 견해가 충분히 반영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terms defined in the Acts and to grope for the legislative measures for the concept related with the words; Physical Education, Sports and Martial Arts. I examined deeply the articles and clauses of the Laws which were enacted from 1962 and several the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y have enacted the legal definition of the Physical Education firstly in the National Sports Promotion Act. It says “Physical Education means the developing of a healthy mind and body, and the effective use of leisure time through competitive sports, outdoor exercise and other physical activities” in article 2(1). It includes various activities and similar concept not only physical education but also sports, leasure and recreation. Second, the legal definition of the Sports was appeared firstly in the Sports Industry Promotion Act which was enacted 2007. It says “Sports means any sociocultural behavior, mainly featuring physical activities conducted on a voluntary basis to maintain a healthy body and achieve a sound mind for the purpose of enjoying an outstanding quality of life” in article 2(1). It sets forth sports as a sociocultural patterns as including the concept of the physical education in it of the sports. We can guess that the sports dispread in the ‘Sport for all’ after Asian games in 1986 and Olympic games in 1988. Third, the legal definition of the Martial Arts was appeared firstly in the Promotion of Traditional Martial Arts Act which was enacted 2008. It says “Traditional martial arts means martial skills, techniques, and systems for attack and fighting that have been created and systemized domestically or introduced from abroad and creatively formalized and systemized domestically, which are recognized as having traditional and cultural value worth promoting at the State level” in Article 2(1). I can guess that the increase of the attention and demand on the traditional culture make them this act. And I founded that the legal definition of the Physical Education, Sports and Martial Arts were used inaccurately. I think they need to reflect academic definition when they enact the laws about the Physical Education, Sports and Martial Arts to make the definition more accurately.

      • KCI등재

        영국판례를 통한 수상가옥의 법적 성질

        김인유(Kim In Yu),조민기(Cho Min Gi)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圓光法學 Vol.34 No.3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수상펜션의 법적 성질을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수상펜션을 선박으로 볼 것인지, 아니면 건축물로 볼 것인지, 그 이외의 다른 단순한 구조물로 볼 것인지에 따라 인허가상의 적용법규와 절차가 달라지고, 재산권보호를 위한 공시문제와 직결되기 때문에 수상펜션의 법적 성질의 규명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에는 이러한 수상펜션에 대한 법적 성질에 대한 선행연구나 판례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수상펜션이 구조적으로나 기능적으로 매우 유사하고, 또 영국에서 활성화되어 있는 수상가옥에 대한 영국판례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먼저 수상가옥의 선박성에 대하여 검토하기 위하여 영국판례에서 선박의 지위여부를 다투었던 수상구조물들에 관련된 판례들을 검토하고 선박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무엇인가에 대한 연구를 선행한다. 그리고 수상가옥에 관련된 영국판례를 찾아 다양한 법률적 관점 하에서의 법적 쟁점을 검토하는 한편, 도출된 결론을 수상가옥에 적용하여 수상가옥의 선박 해당성 및 동산ㆍ부동산성에 대한 법적 성질을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영국 판례의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의 수상펜션과 관련된 법제도 도입에 시사점을 제시한다. In this study, we purpose to clarify the legal status of floating pension currently spreading in regions of costal area of Korea. However, there clearly exist some issues in legal status of floating pensions in respect that, obviously due to its uncleared legal characteristic, various legally generated matters could arise. Nonetheless, relevant discussion detailed about the issue itself is quite insufficient. Legal application and proceeding for its licensing and permission matters will considerably change depending on our main aspect -whether floating pension could be considered as a ship or just a building structure, or neither of them. This leads the same problem to be directly connected with the matter of whether floating pension could be generally perceived as an object of public notification for ownership. Whilst relevant domestic case laws are virtually nil, we present an evaluation on legal status of floating pension mainly based on approaches to precedents of U.K courts dealing with house boat cases, of which main features (such as structure or functions) are fairly similar with that of domestic floating pension. Firstly, the study will go through a thematic examination whether floating pension could be categorized as a ship. To further identify the topic, we present possible legal issues of floating pension viewed in various legal perspectives according to relevant precedents. The findings came up from the research will be applied to evaluation of, whether floating pension could fall into the category as ship itself, or be categorized as chattel/real property. Possible implication for domestic legal system precedents of U.K courts stated in paper can have will also be suggested in conclu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