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낙태죄 제・개정 및 법적 논쟁의 역사:사회・정치적 맥락을 중심으로

        신유나,최규진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2020 민주주의와 인권 Vol.20 No.2

        This study summarizes the course of legislation and amendment of criminal abortion focusing on social and political background. In the 1950s, Korea was faced with inadequate circumstances due to the division of nation and the aftermath of the Korean War, and many women were forced to have abortions due to socioeconomic difficulties. However, the political community at the time included abortion in the Criminal Law of Korea thinking that population growth is necessary to strengthen national power. In the 1960s, population control was deemed necessary for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and family planning program was included in the first five-year economic development plan. In the early stage of family planning program, population control was attempted by promoting contraception, but this method was found to be very limited. Therefore, population control policy was followed by way of invalidating criminal abortion. However, the situation was open to change as long as the criminal abortion is specified in the Criminal Law. In 1987 and 1992, a plan was devised for the amendment of the Criminal Law in reference to criminal abortion as a way to produce the actual effect of allowing abortion. It was an attempt to preserve the criminal abortion and bring charge only against women who when through abortion, and thereby maintain the existing patriarchy in the larger framework of govern, while attaining the effect of allowing abortion. Confronted with strong resistance from the religious communities, however, only a few terms were modified. In the 2000s, the basic population condition completely changed to promote population growth policy emphasizing ‘abortion prevention.’ Even the progressive governments retained the criminal abortion and followed the nationalist population policy such as ‘policies in response to low fertility.’ This course of history eventually met with the conservative approach to artificial termination of pregnancy in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and resulted in the 2009 incident of GYNOB (Pro-life Society of Doctors) declaring suspension of illegal abortions and disclosing doctors who have carried out abortions. In the aftermath,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that the criminal abortion was constitutional in 2012. Nevertheless, the incident became a springboard for the growth of feminism in our society. The abortion debate which was sparked again in the Park Geun-hye government in 2016, resulted in an unconstitutionality suit at the Constitutional Court once again. This time, however, the case was concluded with a ‘constitutional discordance adjudication’ in the context of regime change and growth of feminism.

      • KCI등재

        낙태 법제에 대한 이론적 고찰

        윤진숙 법조협회 2012 法曹 Vol.61 No.1

        우리나라 형법은 낙태죄를 규정하여 처벌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낙태 관련 법제는 거의 적용되지 않았고 낙태죄로 처벌되는 사례도 매우 적었다. 최근 저출산 시대를 맞이하여 낙태 관련 법제가 다시 주목을 받고 있지만, 여전히 낙태는 크게 줄어들고 있지 않다. 이글에서는 낙태법제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 낙태 관련 법과 판례를 살펴보고 낙태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실효성 제고를 위한 방안을 알아보았다. 세계적으로 낙태가 점점 자유화되고 있지만, 임신 전 기간 동안 낙태를 허용하기보다는 24주 이내와 같이 일정한 기간 내에 낙태를 자유화하는 것처럼 기간의 제한이나, 의학적, 윤리적 제약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우리나라에서 형법상 낙태죄를 규정하고 있으면서도 모자보건법 상 제한적으로 낙태허용사유를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모자보건법에 해당하지 않는 낙태가 매우 빈번하게 이뤄지고 있다. 그러므로 낙태법제는 개선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 모자보건법에 낙태허용사유를보다 포괄적으로 규정하는 방법, 모자보건법상 허용되는 낙태에 있어서 배우자의 동의조항 삭제, 여성의 임신과 출산으로 인한 차별과 불이익을 배제할 수 있는 실질적이고도 지속적인 제도 보장, 성적 자기결정권 내지 재생산권의 주체로서 여성의 권리를 확인하고 장려하는 방법 등이 제고되어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criminality of abortion is stipulated under Korean criminal law, the abortion-related laws are hardly ever applied in practice, and so there are few cases of criminal punishment for abortions. In the current period of low birth rate, abortion laws are receiving r enewed attention in Korea, but there is no sign of any substantial decrease in the number of abortions.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abortion laws, this paper examines abortion-related statutes and cases, considers the theoretical aspects of the abortion laws, and explores measures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abortion laws. Although a liberal application of abortion is gradually becoming accepted throughout the world, abortion is permitted with temporal limitations as well as restrictions based on medical and ethical reasons. For example, rather than allowing an abortion at any time throughout the pregnancy, it is limited to a particular period, such as within the first 24weeks. Although the criminality of abortion is stipulated under Korean criminal law, the grounds for permissible abortion are prescribed under the Mother and Child Health Act, and as such, abortion can be considered as restrictively permitted in Korea. However, an abortion based on the free choice of a pregnant woman is not allowed. Furthermore, with a majority of the abortions not falling under the Mother and Child Health Act, Korea has one of the highest abortion rates in the world. The abortion laws, therefore, must be reformed. The laws must be improved by making the criteria for permissible abortion more comprehensive under the Mother and Child Health Act, by eliminating the spouse’s agreement requirement for abortions permitted under the Mother and Child Health Act, by guaranteeing a realistic and continuous system that can ban discrimination and eliminate disadvantages due to a woman’s pregnancy and child-bearing, and by enhancing the means of confirming and encouraging the rights of women as autonomous agents of sexual self-determination and reproductive rights.

      • 일반논문 : 낙태 범죄화와 여성 섹슈얼리티 통제 -"낙태죄 합헌결정"(헌법재판소 2 012. 8. 23. 선고 2010헌바402 결정)에 부쳐

        이연우 ( Yonu Lee ) 서울대학교 BK21 법학연구단 공익인권법연구센터 2015 공익과 인권 Vol.15 No.-

        『형법』제269조 이하가 규정하는 낙태죄는 원칙적으로 초기 낙태를 임신 후반부의 낙태와 차별하지 않고 처벌하고 있다. 예외적으로 낙태죄 처벌을 면하게 해주는 『모자보건법』상 허용사유를 보아도 사회경제적 요인으로 인한 불가피한 낙태는 임신 주차수와 상관없이 허용되지 않는다. 비교법적으로 볼 때 이는 많은 국가가 임신 초기 12주까지는 사회경제적 이유나 임부의 요청에 의해 낙태를 허용하는 것과 크게 비교된다. 이러한 과잉형벌화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낙태율은 그렇지 않은 국가에 비하여 높은 편이다. 반면 실제 처벌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다시 말해 사문화(死文化)된 규정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이미 입법단계에서도 논란을 낳았듯이 현재와 같은 낙태죄 규정은 낙태를 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대한 고려를 전혀 하지 않은, 현실과 괴리가 큰 법이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학계에서는 이러한 사실을 인지하고 대부분 낙태죄의 비범죄화를 주장하는 목소리를 내고 있으나 문제는 사회적 분위기이다. 낙태 범죄화와 낙태 반대는 엄연히 다른 문제이지만 많은 사람들은 이를 혼동한다. 낙태죄의 유지에 반대하는 이들도 낙태율 감소를 원한다. 그러나 자기낙태를 형사처벌하는 것은 낙태율 감소의 실익 없이 여성의 자기운명결정권을 침해하고, 남성중심사회의 여성에 대한 통제권만을 강화할 뿐이다. 현행『 형법』상 자기낙태죄에 있어 남성 파트너는 처벌받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성 파트너는『 모자보건법』상 허용사유에 해당하는 낙태에 있어 ‘동의권’을 갖는데, 이는 다시 말해 우리 법제상 남성은 낙태에 있어 원천적으로 죄는 없고 자신의 ‘씨’를 보전할 권리는 철저하게 보호받는다는 말이다. 이러한 동의는 심지어 임부의 생명이 위험한 경우에도 요구된다. 결국 존속하는 낙태죄 규정은 남성 파트너로 하여금 낙태를 한 여성 파트너에게 권력을 행사할 수 있게 만들 뿐더러, 낙태를 하지 않은 여성들도 이 문제에 있어 죄인의 위치에 놓이게 해 전체적으로 한 사회의 남성에 의한 여성의 섹슈얼리티 통제 권력을 강화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여성은 자신의 신체에 대한 통제권, 삶에 대한 최소한의 자기결정권, 위협을 받지 않고 안전한 삶을 영위할 권리 등을 심각하게 침해당하게 된다. 이에 이 글은 현행 낙태죄가 어떻게 위헌적인지를 설명하고 (헌법재판소의 낙태죄 합헌 결정에 대한 반박), 또한 이러한 낙태죄의 존속이 어떠한 메커니즘으로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통제하고 기본권을 침해하게 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Under the Penal Code, abortion in Korea is punishable by imprisonment for not more than 1 year regardless of the stages of pregnancy. There are several legitimate reasons justifying abortion provided by the Mother and Child Health Act. However abortion on socioeconomic grounds and abortion on demand are still not legally justified. This is a stark contrast with most of developed countries’ regulations which have already legalized early abortion on demand or abortion for socioeconomic reasons. Despite the highly restrictive abortion law, actual indictment for abortion is rare in Korea; while the assessment of the abortion incidence is higher than other countries. This is why the Article of criminal abortion in the Penal Code is called dead letters. However, it still survives and functions as a mechanism to control women’s lives and sexuality. Under the Penal Code, the male counterpart shall never be the subject of criminal abortion. However, he is secured of his right to disagree with the abortion under the Mother and Child Health Act without limitation. In other words the male’s right to preserve his blood is thoroughly protected while he is free of the original sin of abortion. This right to agree does not become extinct even when the health of the pregnant women is at stake. This article will explain how the criminalization of abortion enhances the male dominance over female and oppresses the sexuality of women in 4 ways; (i) to grant the superior position to male partners, (ii) to only blame the whole female population regarding abortion, (iii) to isolate the aborted women unprotected, (iv) to endanger the women’s health and control over her own body [part IV]. In Part III, the current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to deny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criminal abortion is also criticized; Article 269 of the Penal Code violates the women’sconstitutional right of s elf-determination.

      • KCI우수등재

        낙태 법제에 대한 이론적 고찰

        윤진숙 ( Jin Sook Yun ) 법조협회 2012 法曹 Vol.61 No.1

        Although the criminality of abortion is stipulated under Korean criminal Law, the abortion-related laws are hardly ever applied in practice, and so there are few cases of criminal punishment for abortions. In the current period of low birth rate, abortion Laws are receiving renewed attention in Korea, but there is no sign of any substantial decrease in the number of abortions.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abortion Laws, this paper examines abortion-related statutes and cases, considers the theoretical aspects of the abortion laws, and explores measures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abortion laws. Although a liberal application of abortion is gradually becoming accepted throughout the world, abortion is permitted with temporal Limitations as well as restrictions based on medical and ethical reasons. For example, rather than allowing an abortion at any time throughout the pregnancy, it is limited to a particular period, such as within the first 24 weeks. Although the criminality of abortion is stipulated under Korean criminal Law, the grounds for permissible abortion are prescribed under the Mother and Child Health Act, and as such, abortion can be considered as restrictively permitted in Korea. However, an abortion based on the free choice of a pregnant woman is not allowed. Furthermore, with a majority of the abortions not falling under the Mother and Child Health Act, Korea has one of the highest abortion rates in the world. The abortion laws, therefore, must be reformed. The Laws must be improved by making the criteria for permissible abortion more comprehensive under the Mother and Child Health Act, by eliminating the spouse`s agreement requirement for abortions permitted under the Mother and Child Health Act, by guaranteeing a realistic and continuous system that can ban discrimination and eliminate disadvantages due to a woman`s pregnancy and child-bearing, and by enhancing the means of confirming and encouraging the rights of women as autonomous agents of sexual self-determination and reproductive rights.

      • KCI등재

        모자보건법 제14조: 개정 필요성과 방향

        신동일 ( Dong Yiel Syn ) 안암법학회 2010 안암 법학 Vol.0 No.32

        Many years ago abortion was recognised an individual right by the U.S. Supreme Court. Today it is a public institution. As the Supreme Court observed in the 1992 Casey decision, which reaffirmed Roe v. Wade, a whole world has believed since 1973 in the similar expectation that legal abortion will be available if they want it. Criminal law, however, prescribes harsh criminal penalties for abortion. A prolife doctor`s union recently declares that no more silence or hesitation against abortion in clinics would be prevailed. It suddenly attracts public attention on this lament issue. Sometimes the word abortion is unavoidable, as in mass media accounts of the abortion debates, but then it is almost invariably preceded by a line of smarter-sounding words: "the right of a women-to-choose" abortion. Some private and public organizations that administer birth-control programmes and provide abortions, notably Korean Planned Parenthood, are closely tied to government bureaucracies. In truth abortion today is at Korea in the middle of a governmental commitment to controlling its population. The majority of feminists and their allies have stuck onto the ground of "Me Decade" possessive individualism, an ideology that has more in common than it admits with the prehistoric right, which it claims to oppose but has in fact, critic of the pro-choice position comes from his socialist premises. When the legal experts get to the topic of abortion, they again see that it has turned abortion into an "absolute right" on the Korean Constitution. One thing we must have a clear understanding is how Eugenics can be influenced to abortion. Eugenics is the idea that humans are only the sum of inferior and superior. Like F. Galton once projected, "advocating elimination of the lower class through birth control and abortion: you can start immediately to eliminate the barely educated, unhealthy and poor segment of our country." Eugenics was widely popular in the early 20th century, but has largely fallen into disrepute after having become associated with Nazi Germany. Since the postwar period, both the public and the scientific communities have associated eugenics with Nazi abuses, such as enforced racial hygiene, human experimentation, and the extermination of "undesired" population groups. However, developments in genetic, genomic, and reproductive technologies at the end of the 20th century from the basis on eugenic idea have been survived in many areas in the modern era. We can see its backlash in the abortion clauses at article 14 of Protection of Motherhood. It is unclear to anticipate how we can revise it along with the ideology of Constitution: the right to live.

      • KCI등재

        낙태죄 헌법불합치결정 및 입법개선방향에 대한 고찰 – 헌재 2019. 4. 11. 선고 2017헌바127 결정과 관련하여 -

        김광재 대한변호사협회 2020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87

        On April 11, 2019, the Constitutional Court declared it unconstitutional to the abortion clause of the Penal Code, which prohibits abortion. The constitutional decision was made on August 23, 2012, but it has changed in seven years. It is meaningful because it is a decision based on the worldwide decriminalization trend of abortion. However, the Constitutional Court did not make a simple unconstitutional decision(Opinion of three judges) to immediately abolish the provisions of abortion, and on the premise that abortion would not be allowed once a certain period of pregnancy had been reached, the Court made a constitutional discordance adjudication(Opinion of three judges) that continued to apply until December 31, 2020. Constitutional discordance opinion and unconstitutional opinion in this case, unlike the previous constitutional decision, saw that the state can vary the degree of protection or the means of protection depending on the stage of human life development. This means that it not only recognizes the right to life of the fetus but also considers the exercise of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by the expectant mother. As a result, countries can determine the means and extent of life protection for certain abortions before they reach 22 weeks of gestation, in which the fetus can have its own viability. Although the issue of abortion is a case of conflict between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and the right of life of the fetus, the constitutional discordance opinion (also unconstitutional) stated that the application of excessive prohibition principle, not the practical concordance, applies to the provision of self-abortion. However,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the debate on the judging criteria occurred by seeking a solu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practical concordance. I do not believe that the constitutional discordance adjudication in this case is justified because it continues to apply the penal code that has been confirmed unconstitutional. Even if there is a great concern about the legal gap that a simple unconstitutional decision will bring, and the demand for legal stability is significant, it should have been sentenced to a constitutional inconsistency decision to be suspended. On the other hand, the claimant applied for unconstitutional confirmation of the entire sentence of Article 270 (1) of the Criminal Code, but the Constitutional Court limited the object of the judgment to the “doctor” in the above provisions. However, the judgment of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korean medical doctor, midwife, pharmacist, and drug merchant’ section also applies the same judging scale as the ‘doctor’ part, so the judges should be extended to the whole of Article 270 (1) of the Criminal Code to declare unconstitutionality together. Parliament, which is obliged to enact legislation, must then enact a new legislation no later than December 31, 2020. Thus, the debate over illegal abortion is not over. The site has been moved to the National Assembly and is still in progress. The parlia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should refer to the legislation of each country, gather opinions from all walks of life, and make legislation appropriate and fast. Thus, this paper introduces an overview of the decision of the case, examines the main issues of the decision in detail, considers the meaning of the decision, and proposes a legislative task of Parliament. 헌법재판소는 2019년 4월 11일 임신의 전 기간 낙태를 금지한 형법상 자기낙태죄 조항 등에 대하여 위헌임을 선언하였다. 이는 2012년 8월 23일의 합헌결정을 7년 만에 변경한 것이고, 세계적인 낙태의 비범죄화 추세에 따른 결정이라 할 수 있다. 다만 헌법재판소는 여전히 일정 임신 주수에 도달하면 낙태가 허용될 수 없다는 전제하에, 자기낙태죄 조항 등을 즉시 폐기하는 단순위헌결정(재판관 3인 의견) 대신 “2020. 12. 31.까지 계속적용”을 명하는 헌법불합치결정을 하였다(재판관 4인 의견). 이 사건 결정의 헌법불합치의견 및 위헌의견은 종전 합헌결정과 달리 국가가 인간생명의 발달단계에 따라 그 보호정도나 보호수단을 달리할 수 있다고 보았다. 즉 태아의 생명권주체성을 인정하면서도 임부의 자기결정권 행사를 고려하여, 태아가 독자적 생존능력을 가질 수 있는 임신 22주 내외에 도달하기 전의 일정 낙태에 대해서는 국가가 생명보호의 수단 및 정도를 달리 정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낙태 문제는 임부의 자기결정권과 태아의 생명권이 충돌하는 사례임에도, 헌법불합치의견(위헌의견도 다르지 않음)은 자기낙태죄 조항 등에 대하여 기본권충돌의 해결방법인 실제적 조화의 원칙이 아닌 기본권제한의 위헌심사기준인 과잉금지원칙을 적용한다고 명시하였다. 그러나 과잉금지원칙을 적용해 나가는 과정에서 실제적 조화의 원칙에 따른 해결을 모색함으로써 심사기준에 대한 혼선을 빚었다. 이 사건 결정의 잠정적용 헌법불합치의견은 위헌성이 확인된 형벌법규를 그대로 적용하라는 것이므로 타당하지 못하다. 단순위헌결정이 가져올 법적 공백의 우려가 대단히 크고 법적 안정성의 요청이 현저하다 하더라도 적용중지 헌법불합치결정을 선고함에 그쳤어야 한다. 한편, 청구인이 형법 제270조 제1항 전체의 위헌확인을 구하였으나, 헌법재판소는 위 조항 중 ‘의사’에 관한 부분으로 심판대상을 한정하였다. 그러나 ‘한의사, 조산사, 약제사 또는 약종상’ 부분의 위헌성 판단도 ‘의사’ 부분과 동일한 심사척도가 적용되기 때문에 심판대상을 형법 제270조 제1항 전체로 확장하여 함께 위헌성을 확인했어야 한다. 자기낙태죄 조항 등에 대한 잠정적용 헌법불합치결정으로 인하여 국회는 늦어도 2020. 12. 31.까지 새로운 입법을 해야만 한다. 따라서 낙태죄를 둘러싼 논쟁은 끝난 것이 아니며 논의 장소가 국회로 옮겨졌을 뿐 여전히 현재 진행 중이다. 우리 국회는 각국의 입법례를 참고하고,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하여, 가장 유효적절한 내용으로, 가능한 한 빠른 시일 내에 개선입법을 이행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고는 이 사건 결정의 개요를 소개하고, 주요쟁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서 그 의미를 고찰함과 동시에 향후 국회의 입법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낙태 문제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세계 각국의 입법례와 판례를 중심으로 -

        김광재 대한변호사협회 2018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73

        It is a sensitive and difficult issue that allow abortion across the ages and in all countries of the world. After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on August 23, 2012, ruled that the abortion punishment is constitutional(2010HeonBa42), but this matter, which had been quiet for a while, became hot again on account of national petition on the internet website of the Blue House in autumn 2017. The Constitutional Court said that the division of the fetus according to the stages of growth can not legitimize and if the punishment is not executed, abortion will become more prevalent than it is now. And it is not enough to be an effective means of preventing abortion that realize universalization of contraception, sex education and support for pregnant women. However, many countries have succeeded in effectively abolishing the abortion rate by legalizing the abortion instead of punishing the abortion, through the social infrastructure movement and educational approach to contraception, providing information and counseling on pregnancy, and providing public services for abortion. The study of legislation cases, precedents, and abortion policies on abortions around the world suggests that the approach to abortion in our country, which is in a paradoxical situation with a high abortion rate, is punishing until the abortion in the early pregnancy. 낙태 허용 여부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민감하면서도 어려운 문제이다. 헌법재판소가 2012년 8월 23일 낙태 처벌 규정에 대해 합헌결정(2010헌바42)을 한 후 한동안 잠잠하던 이 문제는 2017년 가을 청와대 홈페이지 국민청원을 통해 다시 한번 뜨겁게 달아올랐다. 헌법재판소는 태아를 성장 단계에 따라 구분하여 보호의 정도를 달리하는 것은 정당화될 수 없고, 낙태를 처벌하지 않으면 현재보다도 훨씬 더 낙태가 만연하게 될 것이며, 성교육과 피임법의 보편적 상용, 임부에 대한 지원 등이 낙태를 방지할 효과적인 수단이 되기에는 부족하다고 보았다. 그러나 이미 많은 나라들은 낙태를 처벌하는 대신 합법화하면서도 피임에 대한 사회인프라운동과 교육적 접근, 임부에 대한 정보제공 및 상담, 낙태의 공공서비스 지원 등을 통해 효과적으로 낙태율을 낮추는데 성공하고 있다. 세계 각국의 낙태에 관한 입법례와 판례, 그리고 낙태 정책을 살펴보는 것은 임신 초기의 낙태까지 처벌하면서도 오히려 높은 낙태율을 보이는 역설적인 상황에 처한 우리나라의 낙태에 대한 접근 방식에 시사하는 바가 클 것이다.

      • KCI등재

        인공임신중절의 형사법적 쟁점

        이근우 한국의료윤리학회 2018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21 No.3

        형법에서는 원칙적으로 낙태죄를 처벌하면서 위법성조각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한 위법한 것으로 취급하지만, 모자보건법에서는 일정한 요건하에서 시술되는 의사에 의한 인공임신중절 수술에는 낙태죄를 적용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형법과 모자보건법의 규정은 정합적으로 들어맞는 것이아니라, 상당한 차이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이들 각각의 법률이 기본적으로 취하고 있는 입법목적상의차이를 고려하더라도 쉽게 해명되기 힘든 것이다. 거기에 시대 변화에 따라 낙태에서 임부의 지위에 대한 이해가 변화하였다. 그에 따라 낙태죄의 전면적 폐지론부터 형벌집행 강화론까지 다양한 견해가 대립하고 있는 것이다. 이 문제에서 간과되고 있는 몇 가지 이론적 문제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낙태’ 라는 주제는 그 자체로서 우리들에게 쉽게 말할 수 없는 윤리, 도덕적 무게로 다가오는 주제이다. 누구도 생존할 수 있는 태아를 모체에서 제거하여 죽음에 이르게 하는 행위를 맹장, 편도선을 제거하는 수술과 동일한 맥락에서 논의하려고 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또한 태아를 위해 임부가 자신의 삶을희생하는 것이 고귀한 행동으로 칭송 받을 수는 있지만, 그것을 형벌로 강제하는 것이 정당하다고도 보기는 힘들다. 지금도 각자의 가치관에 따라 첨예하게 대립하는 이 주제에 대해 아주 단편적인 시각만을제공할 수밖에 없는 형사법적 시각에서의 분석이 약간의 시사점이라도 제공하여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Korean criminal law punishes abortion in principle and treats it as illegal unless it falls within the scope of specific exceptions. However, the provisions of the criminal law and the Mother and Child Health Act are not entirely consistent with each other. In addition, societal views on the status of women in abortion have changed in recent years. Views now range from the total abolition of the ban on abortion to the strengthening of punishment for the crime of abortion. This article critically examines some of the theoretical issues that are overlooked in typical discussions concerning abortion. More specifically, the article examines abor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riminal law in an effort to provide some suggestions on how to resolve the moral conflict at the heart of the abortion debate.

      • KCI등재후보

        낙태규제에 있어서 형법의 효용성

        정현미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1 法學論集 Vol.16 No.2

        낙태에 대한 보수적인 입장이든, 자유주의 입장이든 낙태억제를 지향하는 점은 같다는 전제하에서 낙태규제를 위해 형법이 어떤 기능을 하는 것이 적절한지, 그 효용성을 증대시킬 방법이 무엇인지를 모색하였다. 낙태를 어느 범위에서 금지하고 허용할 것인가는 우선 입법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되며, 찬반의 논쟁을 통해 허용과 금지의 한계가 정해진다. 낙태규제법은 매우 엄격한 정도에서부터 매우 완화된 정도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스펙트럼 중 어느 한 점에 위치하게 될 것인데, 어떠한 형태의 낙태규제법이든 그것이 낙태를 억제하는 데 효율적인가는 엄격성과는 별개의 문제가 된다. 실제로 행해지는 수십만 건의 낙태를 떠올리면 일견 형법이 무용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지만, 형법이 실질적으로 아무런 기능을 하지 않는다고 할 수 없다. 형법은 다른 요인들과 더불어 낙태의 결정에 공동으로 영향을 미친다. 형법 이외에도 임부의 도덕적 태도, 임부를 둘러싼 주변사람들의 역할 등 낙태억제에 주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낙태의 경우 형법의 강제가 주된 억제요인이 될 수 없기 때문에 강압적으로 행동을 결정하게 하기보다, 자신의 행동에 책임을 지도록 하는 도덕적 신뢰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 낙태는 금지라는 식의 억압적 성격을 강화할 것이 아니라, 생명보호를 위한 양심에의 호소를 강화하고 임부를 심리적․사회적으로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확대한다면 더 큰 낙태억제의 효과가 기대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적응사유의 유무를 제3자가 판단하는 적응방식보다 임부가 자율적인 결정을 내리도록 조언해주는데 초점을 맞추는 기한방식이 사회적 소통의 기회를 더 부여하며 낙태규제방식으로 효용성이 더 클 것으로 보인다. The matter of effectiveness of criminal law on the regulation for abortion, there are great gaps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in opinion, but it is hard to analysis because it is based on anti-abortion opinion and opinion that abortion should be selected in personal values. However, based on common opinion that abortion is not right between conservative side and liberalistic side for abortion, we will need to find whether function of criminal laws are waived for regulation of abortion or we can find out appropriate function and the method for increasing its effectiveness For that, there is a side that the function of criminal laws is waived and the proper prevention effect can’t be expected with only criminal laws. In my opinion, however, the announcement that skeptics of criminal law are right shouldn’t be declared and the functions of criminal law may perform because counseling system is a part of system of regulation in criminal law although the decisive role in the decision of pregnancy continuation is not criminal prohibition but counseling system. Thus, we should find out appropriate function of criminal laws and increase its effectiveness with efficiently using confirmation process of adaptation reason and counseling system as a procedural precondition for regulation of abortions.

      • 낙태에 대한 한국 교회의 입장

        이경직 ( Kyung Jik Lee ) 백석대학교 기독교철학연구소 2007 기독교철학연구 Vol.8 No.-

        이 글의 목적은 한국 교회가 낙태 문제에 대해 어떤 입장에서 있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우선 낙태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전문용어가 모두 가치중립적이지 않다. 낙태라는 표현은 주로 윤리학계나 종교계에서 사용되는데 반해, 인공임신중절이라는 표현은 법조계와 의료계에서 사용된다. 용어 자체가 이미 이 문제에 대한 태도를 반영한다. 한국은 세계적으로 매우 높은 낙태율을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법적으로는 낙태가 금지되어 있으면서도 실질적으로는 낙태가 허용되는 모순된 상황 속에 한국은 있다. 한국 정부의 산아제한 정책과 임신 여성들의 권리 주장이 그 이유이다. 현실 의료현장에서는 태아의 생명권은 고려되지 않았다. 한국의 형법과 모자보건법 사이의 모순을 해소하기 위한 시도들은 다양하다. 낙태 옹호론자들은 모자보건법의 취지를 형법에 반영하는 방식으로 형법을 개정하려는 반면, 낙반연을 중심으로 하는 한국 기독교의 낙태반대운동은 형법과 모순되는 모자보건법을 폐지하려 한다. 그 결과는 낙태 옹호론자와 낙태 반대론자 모두에게 불만족스러웠다. 낙태죄를 명시하는 형법 조항은 그대로 남았으며, 실질적으로 낙태를 허용하는 모자보건법도 그대로 남았기 때문이다. 한국 기독교가 낙태를 반대하는 이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기독교인은 낙태율에 있어서 비기독교인과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한국 기독교 여성들은 태아의 생명권을 인정하면서도 막상 자신의 문제가 되는 경우 태아의 생명권보다 자신의 권리를 더 주장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태아의 생명권에 근거해서 낙태를 금지하는 한국 기독교의 규범은 낙태 여성들에게 필요한 위로와 치유를 제공하기에는 역부족이다. 그래서 기독교의 정의 개념뿐 아니라 사랑 개념도 필요하다. 현실적 어려움 때문에 낙태를 선택한 여성들에게 위로와 치유를 주는 사랑의 태도를 한국 기독교가 가져야 한다. 결국 낙태 금지라는 이상적 규범을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낙태 여성들을 위로해야 하는 이중적 과제가 한국 기독교에 있다. 또한 한국 기독교는 기독교 공동체 안에서 통용되는 윤리와, 종교와 가치를 넘어서는 보편적 윤리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한국 기독교 공동체 안에서만 통용되는 논리를 그 공동체 밖에 강요하는 것은 일종의 제국주의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 기독교는 공공의 영역에서 현실적으로 낙태를 줄여나가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한국 기독교는 모자보건법을 무조건 폐지하라는 주장에만 그치지 말고 차선책으로서 모자보건법의 철저한 이행을 촉구함으로써 불법적으로 시행되는 낙태를 방지해야 할 책임을 지녀야 한다. 이는 한국 기독교의 낙태반대운동이 미국의 낙태반대운동처럼 극단적으로 나가지 않도록 도울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Korean church`s attitude toward abortion. The term `abortion` is used in areas of ethics and religion, whereas the term `artificial termination` can be heard in the areas of laws and medicine. These terms are not value-free. They reflect some kinds of worldview. Korea has higher proportion of abortion in the world. Abortion is prohibited in laws but allowed in the reality because of the policy of birth control by Korean government and the right claim of pregnant women. Fetus` right of life is not counted in fields of medicine. Attempts to resolve inconsistency between criminal law and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are various but not successive. Upholders of abortion have tried to revise criminal laws in order to reflect the intent of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whereas those against abortion want to abolish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In spite of their attempts nothing is changed. It means that the inconsistency concerning the problem of abortion remains. It is true that the proportion of abortion among Korean Christians shows no difference with that among Korean non-Christians. Christian women admit fetus` right of life in theory but think that their right is more important than fetus` right of life in practice. Korean church teaches that abortion is sin but cannot give consolation and healing enough to cure the women who has experienced abortion. Korean church gives them only sense of guilty which discourages them from living as Christian. So not only the concept of justice but also of love is necessary in this case. In this sense Korean church has dual tasks, namely not to abandon ideal standard and to consolate the women who has committed abortion. Korean church don`t have to coerce Korean society to follow its norm, for its norm is admittable for Christians. It should attempt to find ways to reduce the proportion of abortion in public areas. For this purpose it should have a second best policy, namely that the exhaustive performance of 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