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미디어교육의 국제 네트워크 구조화: 벤치마킹 기법을 중심으로

        김광재,강신규 국제지역학회 2015 국제지역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미디어교육 분야의 국제적 협력 네트워크 구조화를 위한 방안 모색에 목표를 둔다. 연구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해외 미디어교육 관련 단체 현황을 수집해, 그들의 국제적 네트워크 현황, 활동사항 및 사업과제 등을 충실히 분석한다. 둘째, 미디어교육과 관련하여 국제적 네트워크를 통한 홍보 사례를 조사, 국제적 수준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제안점을 도출한다. 셋째, 한국형 미디어교육 홍보 및 선진적 정책 공유 등을 위하여 미디어교육 분야의 국제적 협력 네트워크 구조화를 위한 정책 방안을 제시한다. 이에 국제적 미디어교육 네트워크 구조화와 관련해 최적화된 퍼포먼스를 보여주고 있는 3개 기관(영국의 BFI, 프랑스의 CLEMI, UN의 UNESCO)을 대상으로 문헌연구, 심층인터뷰, 벤치마킹을 실시해, 한국 미디어교육이 국제 사회에서 포지셔닝하기 위한 5개의 핵심정책과제, 그리고 과제별 추진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제시한다.

      • KCI등재
      • KCI등재

        대한민국 임시정부 기록물의 일실에 대한 고찰

        김광재 한국근현대사학회 2018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87 No.-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KPG) produced many records for 27 years from 1919 to 1945 as it maintained and operated its organizations. However, after Yun Bong-gil’s heroic deed, the imperial Japanese confiscated the records, and many of the records were lost in Korean War. After Yun Bong-gil’s heroic deed performed on April 29, 1932, the imperial Japanese abruptly confiscated the records of the KPG, and they were stored at Japanese Consulate in Shanghai. This is the incident that took place in 1932 in which the police of Office of Japanese Consul General raided the building of the KPG to take away the records. The KPG which was liberated in August 1945 carried a total of 13 large leather bags of KPG’s records. But efforts have yet to be made to search for the records of the KPG.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19년부터 1945년까지 27년 동안 정부 조직을 유지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많은 기록물을 생산했다. 하지만 현재 남아 있는 임시정부 기록물은 결코 많다고 할 수 없다. 윤봉길의거 이후 일제의 압수와 6·25전쟁이라는 두 차례에 걸친 역사의 격변기 동안 일실되었기 때문이다. 1932년 4월 29일 윤봉길의거 이후 일제에 의해 전격적으로 압수된 임시정부 기록물은 상해 일본영사관에 보관되고 있었다. 바로 1932년 일본총영사관 경찰이 임시정부 청사를 급습하여 탈취해간 임시정부 기록물이었다. 그런데 이 임시정부 기록물이 3년 뒤인 일제패망 후 어떻게 되었는지는 여전히 확인되지 않고 있다. 1945년 8월 광복을 맞은 임시정부는 그동안 생산했던 정부 기록물을 13개의 대형 가죽 가방에 담아 귀국하였다. 이 임시정부 기록물은 6·25전쟁 통에 모두 사라져 버리고 말았다.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는 이 시점에서도 1932년 일제가 압수한 임시정부 기록물이나 6·25전쟁의 와중에 사라져버린 임시정부 기록물을 찾는 것은 여전히 숙제로 남아 있다.

      • KCI등재

        초고막형 보청기를 통한 폐쇄효과의 감소와 전화 사용 및 미용상의 만족도 향상 사례

        김광재,이경원,방정화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2017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Vol.13 No.3

        Purpose: One of the main complaints in hearing aid users is the abnormal perception of their voices, which is known as occlusion effect. Open fit hearing aids, for example, receiver-in-the-canal (RIC) hearing aid type is a good solution to the occlusion effect. However, here, two subjects avoid using RIC due to cosmetic unsatisfaction and difficulty of using a cell phon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reducing the occlusion effect and improving cell phone usage and cosmetic satisfaction using invisible-in the-canal (IIC) hearing aids. Methods: Two hearing impaired listeners who used bilateral RIC type hearing aids participated. IIC hearings were manufactured. Functional gain, real ear insertion gains, word recognition scores and a subjective hearing aids benefit questionnaire were assessed with RIC and IIC hearing aids, respectively. Subjective occlusion effect was also measured.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functional and insertion gains between two types of hearing aids. Participants did not complain the occlusion effect with IIC hearing aids. Conclusion: Although RIC hearing aids have an advantage of reducing the occlusion effects in both participants, they preferred to wear IIC hearing aids due to comforting of using a cell phone and cosmetic reasons.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howed objective and subjective functions of RIC and IIC hearing aids were not different each other in both participants. The RIC hearing aid type, open-fit hearing aid, is not the only one option for reducing the occlusion effects; audiologists should consider the individual’s needs.

      • KCI등재

        제헌절과 헌법전문의 “1948년 7월 12일에 제정되고”의 불일치에 관한 소고

        김광재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法學論叢 Vol.54 No.-

        July 17, 1948 can be said to be the day when the constitution based on constitutionalism in the modern sense appeared in the Republic of Korea. To commemorate this, July 17 is designated as Constitution Day, a national holiday. However, in the preamble to the Constitution, it is written that “enacted on July 12, 1948” rather than July 17. This is different from the Constitution Day as we know it. In addition, the official entry of the Ministry of Legislation on the Constitution is ‘[Constitution No. 1, 1948. 7. 17., enacted]’. This also does not match. This confusion originates from the fact that the Constitution was passed by the National Assembly on July 12, 1948 but promulgated on July 17. Since 1949, Constitution Day has been determined based on the date of promulgation rather than the date of resolu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However, the phrase “enacted on July 12” in the preamble to the Constitution is still maintained up to the current constitution despite several amendments. If the general public reads the phrase “It was enacted on July 12, 1948” in the preamble to the Constitution, it can be enough to ask the question, ‘Constitution Day is July 17, but what day is July 12?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the Constitutional Clause and the normative power of the preamble to the Constitution, it is undesirable to neglect the date inconsistency and it is necessary to resolve it. First, the ‘enactment’ of a law is completed not only as a resolution but also as a ‘fear’. Second, national institutions such as the Ministry of Legislation specify the ‘enactment date’ of a law based on the date of promulgation rather than the date of resolution. Lastly, since 1949, it has been commemorated as Constitution Day based on the date of promulgation rather than the date of resolution. If the preamble to the Constitution is amended in consideration of this, “enacted on July 12, 1948” should be changed to “enacted on July 17, 1948”. If the National Assembly's decision date is important and cannot be deleted, or if it is meaningful to leave that date, it can be left. However,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historical date of promulgation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Therefore, it is appropriate to state it as “resolved by the National Assembly on July 12, 1948 and promulgated and enacted on July 17 of the same year”. Although this change of sentence may not be directly related to the basic rights of the people or the basic principles of the Constitution. However, this will make the constitutional clause clearer, and will be meaningful to raise the status of the Korean Constitution as a 'normative constitution' and at the same time increase the effectiveness. 1948년 7월 17일은 근대적 의미에서의 입헌주의헌법이 대한민국에 등장한 날이라 할 수 있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7월 17일을 국경일로서 제헌절로 정하고 있다. 그런데 현행 헌법전문에서는 “1948년 7월 12일에 제정되고”라고 표현하고 있다. 이는 우리가 아는 제헌절과 괴리가 있다. 또한, 제헌헌법에 대한 법제처의 공적 기재인 ‘[헌법 제1호, 1948. 7. 17., 제정]’과도 일치하지 않는다. 이러한 혼란은 제헌헌법이 1948년 7월 12일 국회에서 의결되었지만 7월 17일 공포된 데서 기원한다. 1949년부터 제헌절을 국회의결일이 아닌 공포일을 기준으로 정하였지만, 제헌헌법 전문에 새겨졌던 ‘7월 12일에 제정’이란 자구는 몇 차례의 전문개정에도 불구하고 현행헌법까지 계속 유지되고 있다. 헌법전문의 “1948년 7월 12일에 제정되고”라는 문구를 국민이 접한다면 ‘제헌절은 7월 17일인데 7월 12일은 무슨 날일까’라는 의문을 가질 수 있다. 제헌절의 중요성 및 헌법전문의 규범력 등을 고려할 때, 이러한 불일치의 방치는 바람직 않으므로 해결할 필요성이 있다. 법의 ‘제정’은 의결뿐만 아니라 ‘공포’로써 완성된다는 점, 법제처 등 국가기관에서 의결일이 아닌 공포일을 기준으로 법의 ‘제정일’은 명시하고 있는 점, 1949년부터 의결일이 아닌 공포일을 기준으로 제헌절로 기념해 오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하면, 헌법전문 개정시 “1948년 7월 12일에 제정되고”를 “1948년 7월 17일에 제정되고”라고 변경해야 할 것이다. 가사 국회의결일도 중요하므로 삭제하지 않고 남겨 둘 의미를 인정하더라도, “1948년 7월 12일 국회의 의결 및 같은 해 7월 17일 공포로 제정되고”라고 하여 만천하에 대한민국헌법을 공포한 역사적인 날을 반드시 명시할 필요가 있다. 이는 비록 국민의 기본권이나 헌법의 기본원리와 직결되는 내용은 아닐지라도, 제헌절을 분명히 하면서 ‘규범적 헌법’으로서의 대한민국헌법의 위상과 실효성을 진전시키는 의미있는 일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