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노인돌봄서비스체계의 변화 <노인장기요양제도 시행 후>

        이수민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3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1 No.-

        현재 우리나라의 노인돌봄서비스는 보편주의 체계를 따르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하에서 건강이 중등증 이상인 자는 등급자로 장기요양보험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등급외자(A,B)는 지자체 중심의 노인돌봄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노인돌봄종합서비스는 선별주의적 사회서비스로 장기요양보험의 등급 외 등급(A나 B)이 필요하고, 전국가구 평균소득 150%이하 이어야 하며, 65세 이상으로 타인의 도움이 필요한 정도의 건강상태를 가지고 있어야 가능한 서비스이다. 특히 차상위 계층인 경우 경제적인 생활고를 벗어나지 못한 상태에서 장기요양서비스 대상에서 제외되어버리기 때문에 곧바로 돌봄 사각지대로 전락하고 만다. 노인돌봄서비스에서 사각지대가 발생하는 근본 원인은 돌봄서비스 재정이 열악하고, 돌봄서비스 이용 자격 수준이 너무 높아 돌봄서비스 대상자 급여 확대를 할 수 없다는 것에 있다. 돌봄체계의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지자체의 재정 자립도를 높이거나 국가의 지원을 확대하고, 소득기준에 따른 노인돌봄종합서비스 이용 자격제한을 완화시킴으로써 돌봄서비스 접근성을 높이며, 파편적인 돌봄서비스 체계를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것이 될 것이다. Currently, Korea's Elderly Care Services is unde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s for the elderly which complies with universal system. And people who are in middle and worst health situations can use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s and other people in Class A, B are able to benefit the Elderly Care Service from local government. Elderly full-Care Service is selective social service and other ratings besides rating of long-term care insurance(A or B) are required. To benefit from this service, applicant must be less than 150% of the whole household average income. And applicant must be over the 65 years old and have health conditions which depends on other’s help.Particularly, people in next higher level degenerate into the blind spots in a situation not getting out of the economical hardships of life because they are excluded from the list of long-term care services. The primary causes of the blind spots arising from Elderly Care Services are the poor finance of Care services. Also because the standard of qualification is too much high, the person's benefits for Care Services can not be expanded.The best way to resolve the blind spots for care system is to raise financial independence of local government, to increase national support, to increase accessibility to care services by easing the restriction of qualifications according to income level, and to organically connect the separated system for Care service

      • 요양보호사를 통한 재가노인 케어 서비스디자인 모델 연구

        조현주(Cho, Hyunjoo)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3 디자인지식저널 Vol.28 No.-

        본 연구는 재가노인을 위한 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는 요양 보호사를 통한 서비스 체계화와 질적 향상, 서비스 실행방안을 개발하기 위한 기반연구이다. 이를 위해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중심으로 한 서비스 디자인 단계를제시하였다. 방문형 재가노인서비스는 ‘공공서비스" 로서 접근해야 하기 때문에 서비스 환경 중 공공정책과 이에 대한 행정절차에 대한 파악과 현행 이슈를 우선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전문가의 의견 수렴을 위한 두 차례에 걸친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재가복지서비스의 개괄적 이슈, 재가서비스 선진화 방안, 요약보호사의 역할 관련, 요양보호사의 현황, 재가노인 안전 이슈로 나누어 정리하였으며 이를 통해 방문형 재가노인서비스를 진행하기 위한 서비스 지향점과 서비스 채널을 통한 디자인 실행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아이덴티티 및 케어 전문가로서의 자긍심을 확립하기위한 디자인 툴을 활용하여 서비스 대상 노인 및 가족이 인식 전환을 유도하는 것이다. 둘째, 재가노인의 주택에 안전시설을 지원하고 실행할 수 있는 서비스 가이드라인을 개발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통한 정서케어와 안전케어는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 모두의 만족도를 높이는 재가노인서비스의 디자인 지향점으로서 본 연구를 통해 실제 디자인 실행방안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This research service for the senior citizen in charge of the care services through geriatric care helper organize and improve the quality, service -based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action plans is for methodology, with a focus on Service Design phase is presented. Visiting senior citizen service type "public service" should be approached as a service environment because of the public policy and its administrative procedures for the identification and understanding of current issues. Primarily for experts to comment on two occasions over the expert interviews was performed. Interview the general issue of home care services, home services advanced methods, summarized the role of geriatric care helper regarding the status of geriatric care helper"s care. Safety issues dividing the visiting was organized to advance service for the senior citizen and service channels practices through the design has been proposed as follows. First, the nursing care geriatric care helper identity and self-esteem as an expert to establish service targets by utilizing design tools for the elderly and the family recognize that the transition is induced. Second, the home safety of the elderly housing facilities, support services, and can run is to propose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Emotional care and safe care through the service providers and users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both the service design of the senior citizen care.

      • KCI등재

        가정내보육서비스의 정합성 제고를 위한 탐색: 아이돌봄서비스를 중심으로

        유해미 한국사회정책학회 2021 한국사회정책 Vol.28 No.2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institutional coherence is required for family daycare and facility childcare in terms of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childcare services. The supply of child care services within a limited budget should be set by carefully reflecting the expansion of the care infrastructure that affects the demand. To this end, 2,076 people using child care services were asked if they would stop using child care services if the accessibility of the caring infrastructure was improved, and they identified who would continue to use the service. Consistence diagnosis of in-home childcare services is directly related to the demand. 1) Infant care facilities and full-day infant care services, 2) Infant care and education facilities, and part-time child care services, 3) After-school care facilities and part-time child care services.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a strategy for supplying child care services was suggested in terms of institutional consistence. Specifically, compared to part-time care, the share of the supply of full-day infant care services is increased, and part-time child care services, in particular, reduce the proportion of infants' supply first. It was suggested that support for low-income households should be increased overall, and service supply should be increased in the early morning and late afternoon hours in terms of service provision time. 이 연구는 아동돌봄서비스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 가정내보육서비스는 시설보육과의 정합성이 요구된다는 점에 주목하여 최근 공적 부문의 아이돌봄지원사업이 그 수요조차 명확하지 않은 채 예산 규모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므로 유관 서비스와의 정합성을 진단해보았다. 즉, 아이돌봄서비스는 시설 기반의 돌봄서비스의 대체 또는 보완적 성격을 지니므로 해당 돌봄 인프라의 확충 등을 면밀하게 반영하여 지원대상 및 공급 방식을 설정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를 위해 조사 시점을 기준으로 아이돌봄서비스를 이용 중인 2,076 가구에게 유관 돌봄 인프라의 접근성이 보장될 경우 아이돌봄서비스의 이용 여부를 질문하여 고유한 수요를 파악하였다. 가정내보육서비스의 정합성 진단은 1) 영아보육시설(어린이집)과 영아종일제 아이돌봄서비스, 2) 영유아 돌봄 인프라와 시간제 아이돌봄서비스, 3) 초등방과후 돌봄시설과 시간제 아이돌봄서비스로 구분하여 시도하였다. 이들 분석결과를 토대로 시설보육과의 정합성 제고를 위한 아이돌봄서비스의 공급 방향을 제시하였다. 전반적으로는 시간제 돌봄에 비해 영아종일제 아이돌봄서비스의 공급 비중을 확대하고, 지원대상으로는 어린이집의 종일제보육 만으로 그 수요를 충족하기 어려울 것으로 우려되는 ‘가’형 가구의 지원 비중을 늘리며, 이른 오전과 늦은 오후 시간대의 서비스 공급을 보다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였다.

      • KCI등재

        서울시 보육서비스 전달체계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형우(Lee, Hyung-U),정종원(Jeong, Jong-Won) 한국도시행정학회 2013 도시 행정 학보 Vol.26 No.1

        보육서비스의 성과는 서비스제공기관의 전달체계 개선을 통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보육서비스의 전달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우리의 경우도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에서 여러 유형이 혼합되어 보육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공립보육시설과 민간보육시설의 보육서비스의 전달체계가 서비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달체계를 분석하여 보다 효율적인 보육서비스의 생산과 공급을 위한 정책과제를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서울시 보육시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 국공립보육시설과 민간보육시설 간에는 질적양적으로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공립보육시설은 민간보육시설에 비해 관리적 요인(인적 요인, 리더십, 규모)과 환경적 요인(시설환경, 보육환경, 외부환경) 등에서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서비스 성과 또한 국공립시설이 민간보육시설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육서비스의 전달체계의 한 유형으로서의 국공립시설을 확충이 필요하며, 나아가 민간보육시설에 대한 재정, 인력, 시설 등의 지원을 함으로써 보육서비스의 소기의 성과를 달성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ervice performance of the child care services can be achieved by improvement of management system of service producing agencies. The delivery of child care services is done in various forms. In our cases, the multiple types of child care services are provided by the public and the private facilities. This study compares national and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with private child care facilities about the impact on service performance. Based on this results, this study has focused on proposing policy challenges for more efficient production and supply.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targeting child care facility workers of Seoul metropolitan, there are lots of differences between national and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and private child care facilities i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ervices. Comparison between the private child care facilities and the national and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the national and public facilities appeared to be superior in managerial factors(human resources factors, leadership, scale) and environmental factors (facility environment, child care environment, the external environment), etc. And, service performance of the national and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also appeared to be higher than private child care facilities.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child care services, the expansion of national and public facilities is a significant challenge and further, the supports for the private child care facilities in finance, personnel and facility are needed.

      • KCI등재후보

        노인돌봄서비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

        오봉욱(Oh, Bong-Yook) K교육연구학회 2020 사회과학리뷰 Vol.5 No.1

        본 연구는 노인돌봄 사업의 변화, 노인돌봄 사업의 유형과 서비스 대상, 서비스 내용을 이해하고, 노인돌봄 사업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또한 2020년 1월부터 시행되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사업과 지역사회 통합돌봄(커뮤니티 케어) 선도사업에 대한 비교하면서 나아갈 방향에 대해 고민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노인돌봄사업 안내서와 문헌고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재가복지와 유사한 노인 돌봄서비스가 유형별로 다양하게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어서 사업수행 기관과 사업 대상자에게 혼란을 주었기에 노인돌봄서비스의 통합 운영은 매우 적절하다. 둘째, ‘노인돌봄서비스’ 와 ‘커뮤니티 케어’라 불리는 두 사업의 전달체계를 명확히 해야 하고, 노인돌봄의 특성을 위해 의료와 복지가 통합되어 운영될 수 있도록 서비스 제공인력의 구성되어야 한다. 셋째, 서비스 제공인력의 전문성 향상과 처우 개선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넷째, 2020년부터 시행되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와 지역사회 통합돌봄 서비스에 대한 비교 연구를 통해 보다 나은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is study understands the changes in the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the types and services of the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the contents of the service, and identifies the problems of the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In addition, I would like to consider the direction to go forward by comparing the elderly personalized care service project and the leading community integrated care (community care) project that will take effect from January 2020.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guidebook for elderly care and literature review.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since the elderly care service similar to home welfare is provided in various ways by type, it is very appropriate to operate the integrated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because it has confused the organization and the target audience. Second, the delivery system of two projects called “elderly care service” and “community care” should be clarified, and the service provider must be composed so that medical care and welfare can be integrated and operat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care for the elderly. Third, attention should be paid to improving the professionalism and treatment of service providers. Fourth, better services should be provided through comparative research on elderly customized care services and community integrated care services that will be implemented from 2020.

      • KCI등재

        농촌노인의 재가복지서비스 수요의향 결정요인

        김규(Kyu Kim),김선희(Sun Hee Kim) 한국국제회계학회 2006 국제회계연구 Vol.0 No.15

        경제적ㆍ사회적ㆍ의료적 서비스가 열악한 농촌노인에 대한 차별적이고 효율적인 재가복지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재가복지서비스가 필요하거나, 잠재적 수요자 층인 농촌노인을 둘러싼 다양한 측면의 환경적 요인들이 재가복지서비스 수요의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농촌노인의 인구사회경제학적 요인, 건강관련 요인, 사회적지지 요인이 재가복지서비스인 가정봉사원서비스ㆍ주간보호서비스ㆍ단기보호서비스ㆍ방문가정간호서비스 수요의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남 산청군, 함양군, 하동군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384명이었다. 분석결과 인구사회경제학적 요인 중 성ㆍ연령은 가정봉사원서비스, 주간보호서비스, 방문가정간호서비스 수요의항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은 가정봉사원서비스, 주간보호서비스, 단기보호서비스 수요의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우자 유무상태는 가정몽사원서비스와 주간보호서비스 수용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녀와의 동거유무상태는 가정봉사원서비스, 주간보호서비스, 방문가정간호서비스에 정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유무변수는 주간보호서비스와 방문가정간호서비스 수요의항에 유의적으로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가구소득은 주간보호서비스와 단기보호서비스 수요의항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쳐, 소득이 높은 농촌노인일수록 이들 서비스수요의항은 높게 나타났다. 건강관련요인인 주관적 건강상태는 가정몽사원서비스, 주간보호서비스, 방문가정간호서비스의 수요의향에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비공식적인 지지체계로부터 사회적 지지를 많이 지각하는 농촌노인일수록 재가복지서비스 수요의향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aims to identify which factors are associated with rural elderlies’ demand determinants of community care services. The respondents for this study were sampled 384 rural elderlies residing in Sancheong, Hamyang, and Hadong, Gyeongnam. Based on the Behavioral Model of Anderson and Newman, demographic - socioeconomic factors, factors related to health, and social support factors are hypothesized to affect elderlies’ preference for demand of community care services such as home help services, day care services, short-stay care services, and home-visiting nurse services. Analyses of multiple regression show as follows : First, gender and age are found to have an impact on rural elderlies’ demand determinants of community care services such as home help services, day care services, and home-visiting nurse services. Education attainment of rural elderlies is revealed to influence home help services, day care services, and short-stay care services. Spouse variable is showed to be significant factor of rural elderlies’ demand determinants of home help services and day care services. Co-residence with children is positively related to home help services, day care services, and home-visiting nurse services. Household income i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rural elderlies’ demand determinants of day care services and short-stay care services. Second,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is showe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elderlies’ preference for demand of home help services, day care services, and home-visiting nurse service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not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at of all 4 services. Finally, the social support factors such as instrumental and emotional factors are found to affect rural elderlies’ demand determinants of community care services. Because neighbor plays a main role in rural elderlies’ social support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of social support by means of neighbor.

      • KCI등재

        장기요양서비스의 질 개념 정립과 향상 방안

        석재은(Seok, Jae-Eun) 한국사회복지학회 2014 한국사회복지학 Vol.66 No.1

        이 논문은 장기요양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하여 서비스 목표라 할 수 있는 ‘좋은 돌봄’의 개념을 정립 하고 그 구성요소를 찾아내며, 좋은 돌봄을 산출할 수 있는 조건에 대해 탐색했다. 또한 서비스 질을 어떻게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대해서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부가 채택하고 있는 질 확보 전략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돌봄의 근원적 속성을 탐구한 선행 문헌들을 검토하고 지난 5년간 서비스 제공 경험에서 축적된 서비스 현장의 지혜를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담아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좋은 돌봄’은 개개인의 총체적 삶의 질(total quality life)이 가능한 최대로 보장될 수 있도록 단순히 신체적?기능적 욕구 충족만이 아니라 진정한 관심이 결합되어야 한다. 좋은 돌봄을 위한 가장 중요한 조건은 ‘좋은 돌봄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돌봄제공자와 돌봄수급자 간 관계가 시장규범에 훼손되지 않고, 상호신뢰 및 존중과 진정한 소통으로 돌봄수급자 욕구를 중심에 둔 개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평가체계는 전면적인 상대평가보다는 시설서비스의 핵심적 질에 대하여는 기관규모별 절대기준 인증체계를 마련하고, 인증기준 이상 부분은 기관마다 자율적으로 특성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문 재가서비스 평가는 이용자 만족도, 돌봄종사자 만족도, 재가서비스기관의 사례관리체계 등이 평가내용으로 구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This paper has the objectives to define the concept of 'Good Care' which is the service goal we are aiming essentially for the improvement of long-term care service quality, to find out the components for 'Good Care', and to explore the conditions that create a good care. In addition, we tried to find the answer about what is the best way to measure the service quality. For this, I referred the advanced researches which explored the fundamental properties of care and tried to find the answer from the accumulated wisdom of service field through the 5-year long term care service experience. As a result of research, the good care can be defined as helping someone to be able to maintain his own life as maximum as possible with the goal to assure total quality life. The most important condition for good care is making 'a good care relationship'. Without damag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 provider and care receiver, the individualized service focusing on the demand of care receiver based on mutual reliability, mutual respect and smooth communication should be provided. For the evaluation system, it is reasonable to set the standard according to the size of each institution for the core quality of facility service and establish the certification system of absolute standard to carry out the quantitative evaluation rather than the relative evaluation in the whole. For the part over the absolute certification standard, it is reasonable for each institution to characterize its own characteristics autonomously and carry out the qualitative evaluation for this. For the evaluation of home visit care service, it is recommended to contain the evaluation contents such as user satisfaction, satisfaction of care worker, how well the case management system of home care service center is operated etc.

      • KCI등재

        장기요양보호서비스의 비용·효과적분석

        박창제(Chang Je Park) 한국노인복지학회 2010 노인복지연구 Vol.0 No.50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가장 핵심적인 장기요양보호서비스인 방문요양서비스와 요양시설보호 서비스에 대하여 비용·효과 분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주요한 정책적 함의를 논의 하고자 한다. 연구의 분석 표본은 방문요양서비스 이용자 38부, 노인요양시설 서비스 이용자 37부가 최종 선택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보호욕구가 강하여 요양등급이 높은 노인을 부양하는 부양자에게는 재가 서비스인 방문요양보다 시설보호인 노인요양시설이 스트레스 측면에서 더 효과적이다. 둘째, 스트레스 요인간 비용효과가 다르다. 1차적 스트레스 요인에서는 역할구속의 단위당 개선비용이 가장 낮았고 친교 상실이 단위당 개선비용이 가장 높았다. 2차 스트레스 요인 중에서는 근로갈등이 단위당 개선비용이 가장 낮았고 가족갈등이 단위당 개선비용이 가장 높았다. 셋째, 성과지표 전체에서 우울이 가장 비용·효과적이다. 종합적으로 검토하면 요양등급이 높은 노인을 부양하고 있는 가족은 노인요양시성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방문요양서비스 이용에 비하여 가족, 공적, 그리고 사회적 측면 모두에서 비용은 더 많이 발생시키겠지만 주부양자의 스트레스 요인들과 부정적 정신건강을 개선시키고 심리적 안녕을 증진하는데 효과적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st-effectiveness of care service in institutions for elderly vs in-home care service represented long term care services in Korea, and derive their implications using the results of analyses. For this research, primary caregivers that utilize in-home care service or care service in institutions for the elderly sanctioned as the elderly requiring institution care (care rank lth or 2th)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were drawn and surveyed. Among collected data, data for 38 primary caregivers utilizing in-home care service and 37 primary caregivers utilizing care service in institution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r primary caregivers of the elderly with high dependence, care service in institutions for elderly is more effective than in-home care service. Second, cost-effectiveness is different among stressors of primary caregiver. For costs spent to improve by 1 unit, there are role captivity the highest, next loss of intimate exchange, and role overload the lowest among primary stressors., and there were family conflict the highest, the next loss of self, and work conflict the lowest among secondary stressors. Taken together, it cost higher from the family perspective, public perspective, and social perspective but is effective to improve Stressors and negative mental health or psychology wellbeing that primary caregiver with the elderly sanctioned as the elderly requiring institution care (care rank lth or 2th)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utilizes care service in institutions rather than in-home care service.

      • KCI등재

        장기요양보호서비스 유형별 가족 부양스트레스 경로

        박창제(Park, Chang-Je),이성진(Lee, Sung-Jin) 한국노년학회 2011 한국노년학 Vol.31 No.3

        본 연구는 노인의 장기요양보호서비스 이용 유형별 부양가족의 부양스트레스 경로를 분석하여 그 함의를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자는 2008년 7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노인장기요양제도의 적용 대상자로 인정받은 65세 이상 노인과 그 부양가족이었고, 비확률표집을 통하여 주부양자를 대상으로 방문요양서비스와 노인요양서비스 유형을 구분하여 설문조사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방문요양 151부, 노인요양시설 107부 총 258부가 본 연구의 분석 표본으로 사용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시설이용 노인은 재가서비스 이용 노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여성비율과 고연령, 사별의 비율이 높고, 자녀수는 많았다. 둘째, 시설이용 노인은 평균적으로 재가서비스이용 노인에 비하여 ADL제한이 심하고 주요 질병으로 치매나 중풍의 비율이 높고 요양등급의 수준이 높았지만 그 반대인 경우도 있었다. 셋째, 재가서비스이용 노인의 주부양자는 시설이용 노인의 주부양자에 비하여 여성, 고연령, 저학력의 비율이 높았고, 관계는 배우자와 며느리의 비율이 높았으며 건강상태가 나쁘고 소득이 낮은 편이었다. 넷째, 장기요양서비스 이용 유형별로 부양자의 스트레스 경로형태에서 차이를 보였다. 즉, 장기요양서비스 유형별로 1차 스트레스 요인이 2차 스트레스요인에 미치는 경로방향이 다르고, 2차 스트레스요인이 우울에 미치는 경로도 다르다. 특히 방문요양 이용 부양자는 자아상실이 우울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보여주지만 노인요양시설 이용 부양자는 자아상실이 우울에 미치는 경로가 전혀 형성되지 않았다. 다섯째, 부양가족의 스트레스인 우울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 요인들은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 유형별로 차이를 보였다. 즉, 방문요양의 경우엔 2차 스트레스 요인 모두가 직접 영향을 미친 반면, 노인요양시설의 경우엔 2차 스트레스 요인 중 근로갈등과 가족갈등이라는 두 개의 요인은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자아상실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노인 부양가족의 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 정책이나 프로그램이 장기요양보호서비스 이용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요인과 스트레스 경로를 반영하여 다르게 설계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family caregivers' stress pathways by types of long term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and then to discuss the findings of analysis. For this research, primary caregivers that provide care the elderly requiring long term care services sanctioned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were drawn and surveyed. Among collected data, data for 258 primary caregivers by type of long term care service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n average, the elders that utilize care service in institutions for the elderly were higher proportion of women, older, higher rate of bereavement, more children than the elders that utilize in-home care service, but some cases were vice-versa. Second, the elders that utilize care service in institutions more ADL dependency, higher proportion of severe dementia or severe stroke, higher care rank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than the elders that utilize in-home care service on average. Third, primary caregivers with elders that utilize in-home care service were higher proportion of women, older, lower education level, higher rate of spouse and daughter-in-law in relationship with care recipient, less health, lower income than primary caregivers with elders that utilize care service in institutions. Fourth, subjective indicators representing caregivers' reactions to caregiving for the elderly significantly impact on caregivers' stress(ie, depression), and pathway of caregivers' stress are differentiated by type of long term care services. Fifth, stressors that have direct impacts on depression as caregiving family are differentiated by type of long term care services. Therefore, policies or programs to reduce negative mental health or stress of caregivig families should be designed differently by reflecting pathway of various stressors and stress by use types of long term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 KCI등재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이용형태 결정요인 연구

        이윤경(Yun-kyung, Lee) 한국노년학회 2009 한국노년학 Vol.29 No.3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forms of long-term care service use by elderly and the forms of use are classified facility care service, home care service, and unused. It is used data from the 2nd pilot program for the Long Term Care Insurance scheme and it is analysed 5,497 cases. Multi-nominal regression is used. According to the results, women use formal service more than man do, and wowen use facility care than home care. Those who eligible for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NBLSS) are shown to have higher use of formal care(especially facility care) than the middle income class, and the low income class than the middle income class has lower use of formal care. In addition, higher the family care is available, lower the taking part in the service. The big cities and mid sized cities than rural are used the formal service and moreover mid sized cities are used facility care than home care. Furthermore, the level of care need is determinants of service use and function of ADL, IADL, and abnormal behavior is also determinants of formal service(especially facility care). But nursing need and rehabilitation need are not determinants of formal service use. Based on the results, the recommendations are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the improvement the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본 연구는 새롭게 도입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체계 내에서 공적보호서비스(시설보호서비스와 재가보호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는 요인과 두 서비스유형간의 선택을 결정하게 되는 요인을 밝히고자 한다. Andersen의 행동모델에 기반하여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이용형태를 결정하는 소인요인과 자원요인, 욕구요인의 영향을 검증하는 연구모형을 구성하였으며, 노인장기요양보험 2차 시범사업의 서비스 이용권리가 있는 요양 1~3등급의 노인 5,497명의 서비스 이용자료와 개인적 특성 자료를 활용하여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 이용의 본인부담금을 나타내는 소득수준에 따라 서비스 이용형태에 차이가 나타났다. 국민기초생활보호대상자, 일반소득계층, 차상위계층의 순으로 서비스 이용이 높았으며, 재가보호서비스에 비해 시설보호서비스의 이용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군지역에 비해 대도시와 중소도시가 시설보호서비스 또는 재가보호서비스를 이용할 확률이 높으며, 특히 중소도시의 경우 재가보호서비스보다는 시설보호서비스 이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요양 1~2등급이 3등급에 비해 시설보호서비스 또는 재가보호서비스 이용이 높으나, 등급에 따른 서비스 이용 유형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일상생활수행능력(ADL),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IADL), 인지기능과 문제행동의 기능이 나쁠수록 시설보호서비스 이용이 높으며, 재가보호보다는 시설보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간호처치영역은 기능상태가 나쁠수록 서비스 이용이 적고, 재활영역의 기능상태는 통계적 유의미성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이와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현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본인부담금의 조정과 지역별 균형적인 서비스인프라 구축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또한 요양등급판정체계의 재검증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