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양가족의 의료기반 노인보호와 비의료기반 노인보호의 비용효과분석

        박창제 ( Chang Je Park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5 한국가족복지학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st-effectiveness of health care-based care for the elderly vs. care for the elderly that is not based on health care. For this research, family members who are primary caregivers that utilize health care-based care (i.e., a long-term care hospital) or non-health care based care (i.e., a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for the elderly who had qualified to receive long-term care services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were selected and surveyed. Among the collected data, data for 40 primary caregivers utilizing health care-based care and 48 primary caregivers utilizing non-health care-based care were used for this study. Cost-effectiveness analyses were conducted by utilizing the incremental cost-effectiveness ratio.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imary stressors of caregiving have cost-effectiveness in health care-based care relative to non-health care-based care. That is, role overload, role captivity, and loss of intimacy are cost-effective. Second, the secondary stressors of caregiving as role strains are different on cost-effectiveness. That is, among the secondary stressors, work conflict has only cost-effectiveness but family conflict and loss of self have no cost-effectiveness. Third, depression as a caregiving stress has no cost-effectiveness.

      • KCI등재

        중ㆍ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결정요인

        박창제(Park Chang Je) 한국사회복지학회 2008 한국사회복지학 Vol.6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중ㆍ고령자의 경제적 노후 준비와 그 결정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 데 있다. 분석자료는 통계청의 2007년 사회통계조사자료로서 이 조사에 포함되어 있는 45세에서 59세 사이의 중ㆍ고령자 18,354명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연구의 개념체계는 Andersen 모형에 기반했으며, 경제적 노후준비에 미치는 요인을 logistic 분석을 이용하여 찾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적 노후준비가 전혀 안된 중ㆍ고령자의 비율이 상당히 높고, 나이가 들수록 오히려 경제적 노후준비를 하지 않은 비율은 높다. 둘째, 남성, 교육수준, 결혼상태, 경제활동, 현재소득인식, 주택소유, 거주지역, 전반적 생활여건은 경제적 노후준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남성, 연령, 경제활동은 사적 경제적 노후준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교육수준, 현재소득인식, 전반적 생활여건향상은 사적 경제적 노후준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남성, 교육수준, 결혼상태, 경제활동, 현재소득인식, 주택소유, 거주지역, 전반적 생활여건향상, 장래소득기대는 부수적 경제적 노후준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연령은 부수적 경제적 노후준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economic preparations for aging of the middle and old-aged and their determinants empirically, and then to discuss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the results of analysis. Data from The Social Statistics Survey conducted by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re used in this study. From this dataset, 18,354 Middle and Old Citizens aged between 45 and 59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this study was based on Andersen's behavioral model and logistic model was used to investigate factors that affect economic preparation for ag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roportion of middle and old citizen with no economic preparation for aging was high, and old-aged had lower level of economic preparation for aging than relative less aged. Second, mal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economic activities, recognition of present income, housing ownership, residental location, and total life condition improvement is positive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conomic preparations for aging. Third, while male, age, and economic activities is negative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rivate economic preparations for aging, education level, recognition of present income, and total life condition improvement is positive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rivate economic preparations for aging. Fourth, while mal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economic activities, recognition of present income, housing ownership, residental location, and total life condition improvement, expectation of future income is positive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condary economic preparations for aging, age is negative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condary economic preparations for aging.

      • KCI등재

        고령자의 재무적 노후준비 경향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1998년, 2002년, 2009년, 2015년 비교

        박창제 ( Park Chang-je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7 사회복지정책 Vol.44 No.3

        본 연구는 통계청 사회조사자료를 사용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고령자의 노후준비경향을 살펴보고 그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7년 기간 동안 노후의 재무적 준비는 크게 증가하였으나 재무적 노후준비의 영향요인은 거의 변하지 않았다. 둘째, 성별이 남성이면 재무적 노후준비를 하는데 있어서 분석된 모든 연도(1998, 2002, 2009, 2015)에서 통계적으로 아주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령은 재무적 노후준비를 하는 데 있어서 분석된 모든 연도에서 통계적으로 아주 유의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육수준은 재무적 노후준비를 하는 데 있어서 분석된 모든 연도에서 통계적으로 아주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배우자가 있으면 분석된 모든 연도에서 재무적 노후준비를 하는 데 통계적으로 아주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경제활동은 분석된 모든 연도에서 재무적 노후준비를 하는 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광역시 거주가재무적 노후준비 정적인 영향을 미친 연도는 1998 뿐이고, 나머지 분석 연도엔 재무적 노후준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여덟째, 전반적 생활여건의 개선은 분석된 모든 연도에서 재무적 노후준비를 하는 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preparation trend for aging of the elders over time and their determinants empirically. Data from The Social Statistics Survey conducted on 1998, 2002, 2009, 2015 by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re used in this study. From these dataset, 40,987 elders over 60 years old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inancial preparation proportion for aging of elders have increased but factors affect financial preparation proportion for aging have not changed during past 17 years in Korea. Second, male is positive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inancial preparations for aging in all years analyzed(1998, 2002, 2009, 2015). Third, age is negative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inancial preparations for aging in all years analyzed. Fourth,, education is positive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inancial preparations for aging in all years analyzed. Fifth, having spouse is positive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inancial preparations for aging in all years analyzed. Sixth, economic activities is positive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inancial preparations for aging in all years analyzed. Seventh, residence in metropolitan city has positive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in 1998 but does not in other years for financial preparations for aging. Eighth, total life condition is positive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inancial preparations for aging in all years analyzed.

      • KCI등재
      • KCI등재

        베이비부머의 노후를 대비한 사적 재무적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박창제 ( Chang Je Park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1 사회보장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의 사적인 재무적 노후준비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노동연구원의 고령화연구패널 자료 중에서 1961년생에서 1955년생에 이르는 2,432명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의 개념체계는 Andersen 건강모형을 토대로 하였고 logistic 분석을 이용하여 영향요인을 찾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금성 보험가입여부로 측정한 사적 재무적 노후준비 비율은 낮은 편이었다. 둘째, 소인적 특성요인 중에는 연령과 교육수준이 사적 재무적 준비에 영향을 미쳤지만, 성별과 결혼 상태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셋째, 가능자원요인 중에서 자녀수와 경제만족도를 제외한 경제활동, 가계소득, 주택보유, 고이자저축, 주식 및 투자신탁보유, 유산상속, 부채 등 많은 요인들이 사적 재무적 준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필요요인 중에서는 장애가 있음은 베이비부머의 사적 재무적 노후준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반면, 장수가능성은 베이비부머의 사적 재무적 노후준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factors affecting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 for Aging of the Baby Boomers in Korea empirically, and then to discuss policy implications for the results of analysis. Data from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conducted by Korea Labor Institute are used in this study. From this dataset, 2,432 baby boomers born between 1961 and 1955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this study was based on Andersen`s health behavioral model. The result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aby boomers`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 proportion for aging measured by purchase of private pension insurances was low. Second, among predisposing characteristics, age and educ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 for aging, but gender and married statu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 for aging. Here is, age had negative effect, but positive effect on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 for aging. Third, among enabling resources, economic activities, household income, home ownership, high interest savings, having stocks and investment trusts, heritage gift possibility, having deb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 for aging of baby boomers. Here is, only having debts had negative effect on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 for aging. Fourth, among needs, having disabiliti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but subjective expectation of potential longev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 for aging of baby boomers.

      • KCI등재후보

        치매 노인 비공식 보호의 비용에 관한 연구

        박창제(Chang Je Park),강욱모(Wook Mo Kang) 한국노년학회 2002 한국노년학 Vol.2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비공식 부양지가 치매노인을 부양함으로써 입게되는 경제적 부담을 추정한 다음, 추정한 결과에 대한 정책적 합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65세 이상 치매노인을 수발하고 있는 주부양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사용 가능한 81부가 본 분석 표본으로 선정되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합의에 대하여 토의할 수 있다. 첫째, 치매 노인 부양 비용에서 무급 노동 비용의 비중이 가장 높다는 것이다. 치매 부양자가족이 직접 부담하는 비용인 치료 및 간호에 소요되는 금전적 비용은 치매환자당 월평균 289.000원, 심리적 비용은 월평균 24.000원인데 비해 간접 비용인 부양시간 비용은 493.500원이나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정부는 치매가족에 대한 자원을 고려할 때 부양시간을 가장 우선적 다를 필요가 없다. 둘째, 증중 치매노인의 경우, 가족이 보호하는 비공식 보호 비용이 노인전문요양 시설의 보호비용에 비해 더 높다. 사회적 자원이 관점에서 볼 때, 치매 노인전문요양시설 보화가 치매환자에 대한 적절한 선택이 될 수 있다. 치매노인 전문요양보호는 장기보호, 특히 ADL 의존도가 높은 치매노인에서 보다 경제적이다. 셋째, 치매의 정도가 심해질 수록 시설보호이 비용 효과성이 커진다. 본 분석에서 고도 이상에 해당하는 치매 노인에게는 치매가족의 비공식보호가 전문요양시설에 비해 비용이 월등하게 높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치매 정도가 심할수록 공적인 노인 전문요양시설 보호의 정당성을 더욱 강력하게 확인시켜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economic burden of caring for demented elderly by caregivers, and then to discuss policy implications for the estimated outcomes. For this research, a set of caregivers living with demented elderly were surveyed. Among collected data, date for 81 caregivers were used for this study. Cost measures include the following three items: caregiver's direct costs, caregiver's indirect, caregiver's psychic costs.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arger component of this cost is indirect costs. The total monthly cost of providing informal care to the demented elderly was estimated to be 806.000 won per patient in 2002. The indirect cost is the most of all categorized costs. That is, indirect cost is 493,000 won, with the direct costs being 289,000 won and psychic costs being 24.000 won. In this context, indirect costs are evaluated to be more significant item in social considerations for caregivers of the demented elderly. Second, for severely demented elderly, the cost encountered by nursing home facilities was found to be lower than the cost of informal care by families. From the social resources perspective, nursing home care may be an appropriate choice for dementia patients. Nursing home care is less expensive than family care for long-term care. Especially, for the demented elderly with severe or medium dependence. Third, compared to costs for informal family care, costs for caregiving by facilities was found to be lower relatively with disease severity. Because all aspects of costs increase with severity, and further indirect cost increase greatly by caregiving time's rapid expansion with disease severity.

      • KCI등재

        가족부양자의 노인장기요양보호서비스 유형 선택 결정요인분석

        박창제(Chang Je Park) 한국노인복지학회 2015 노인복지연구 Vol.0 No.70

        본 연구는 요보호 노인의 가족 부양자가 장기요양보호서비스 유형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함의를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장기요양을 필요로 하는 노인의 가족 부양자 280명(방문요양서비스 93, 노인요양시설 95, 노인요양병원 92)을 분석 표본으로 하여 장기요양서비스 유형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요보호노인의 연령이 많을수록 요양병원보다는 노인요양시설을 선택한다. 둘째, 요보호노인이 배우자가 있는 경우 시설보다는 방문요양서비스를 선택한다. 셋째, 부양자의 교육연수가 높을수록, 시설이나 요양병원보다는 방문요양서비스를 선택한다. 넷째, 부양자는 가계소득이 높을수록 방문요양보다는 노인요양시설이나 요양병원을, 노인요양시설 보다는 노인요양병원을 선택한다. 다섯째, 요보호노인이 치매가 있을 경우 방문요양이나 요양병원보다는 시설서비스를 선택한다. 여섯째, 요보호노인이 중풍이 있을 경우 의료기반인 요양병원보다는 비의료기반인 노인요양시설서비스나 방문요양서비스를 선택한다. 일곱째, 부양자는 요보호노인의 질병수가 많으면 노인요양시설보다는 방문요양을 방문요양보다는 요양병원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부양자가 중소도시지역 거주 노인을 돌보는 경우가 광역시 거주 노인의 부양하는 경우에 비하여 요양시설보다는 방문요양서비스를, 요양병원보다는 요양시설이나 방문요양서비스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부양자가 부양으로 인하여 부정적 정신건강(우울)이 높을수록 노인요양시설이나 방문요양서비스보다는 요양병원을 선택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determinants of caregivers` selecting the major types of long term care service for elderly with need of long term services, and then to discuss the findings. For this research, family members who are primary caregivers that utilize long-term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who had qualified by Long Term Care Insurance were selected and surveyed. Among the collected data, data for 280 primary caregivers utilizing long term care service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amily caregivers with older elderly select more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than long term care hospital. Second, family caregivers of the elderly with spouse select more in-home care than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Third, family caregivers with higher level of education select more in-home care than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or long term care hospital. Fourth, family caregivers with higher household income select more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or long term care hospital than in-home care and more long term care hospital than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Fifth, family caregiver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select more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than in-home care or long term care hospital. Sixth, family caregivers of the elderly with stoke select more in-home care or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than long term care hospital. Seventh, family caregivers of the elderly with more number of diseases select more in-home care than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and more long term care hospital than in-home care. Eighth, family caregivers of the elderly with metropolitan residence select more in-home care than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and more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or in-home care than long term care hospital. Ninth, family caregivers with higher level of negative mental health(depression) select more long term care hospital tan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or in-home care.

      • KCI등재

        고령자의 주요 사회참여활동 유형과 생활만족도의 관계

        박창제 ( Chang Je Park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5 사회보장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령자들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사회참여활동 유형과 관련 요인을 분석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분석 자료는 2013년 통계청 사회조사자료로서 이 조사에 포함되어 있는 55세 이상 고령자 12,476명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경제활동이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자원봉사활동은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사회단체참여는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교육수준과 유배우자, 노후준비, 가계소득, 소비생활만족도는 자원봉사활동에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연령과 거주 지역, 가구원수는 자원봉사활동에 유의하게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교육수준, 유배우자, 노후준비, 소비생활만족도, 주택소유, 가계소득은 사회단체가입에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연령, 가구원수는 사회단체가입에 유의하게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ffects on the elder``s life satisfaction of major types of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related factors empirically and then to discuss implications for the findings. The Social Statistics Survey conducted by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 2013 are used in this study. From this dataset, 12,476 elders aged above 55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conomic activity of the elders has negative effect on their life satisfaction. Second, voluntary activities of the elders has positive effect on their life satisfac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Third, the participation on various social group of the elders has positive effect on their life satisfac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Fourth, education level, having spouse, preparedness for aging, household income, and satisfaction level of consumption life have positive effect on voluntary activities of the elder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ut age, residental location(=city), number of household members have negative effect on i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Fifth, education level, having spouse, preparedness for aging, household income, and satisfaction level of consumption life have positive effect on the participation on various social group of the elder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ut ag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a have negative effect on i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 KCI등재

        은퇴시기가 주관적 신체적, 정서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창제(Park, Chang-Je) 한국노년학회 2013 한국노년학 Vol.33 No.3

        본 연구는 은퇴시기가 고령자의 주관적 신체적, 정서적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그 함의를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자료의 출처는 국민노후보장패널자료이며, 이 조사에 포함되어 있는 56-70세의 남성은퇴자 246명, 여성은퇴자 464명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의 이론체계는 은퇴시기와 주관적 건강의 함수관계를 설명하는 Calvo et al.(2013)의 이론에 기반을 두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은 남성의 주관적 정서건강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남성의 신체적 건강과 여성의 주관적 신체건강과 정서건강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둘째, 남성의 경우 은퇴시기의 주요인인 은퇴연령이 주관적 신체건강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은퇴연령제곱은 주관적 신체건강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여성은 두 요인 다 그렇지 않았다. 셋째, 남여 모두 은퇴시기 요인이 정서 건강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따라서 남성 고령자의 주관적 신체건강에 대한 연구결과는 적정한 때에 은퇴하는 것이 건강성과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는 문화ㆍ제도적 함수관계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은퇴시기와 남성의 주관적 정서건강, 여성의 주관적 신체건강ㆍ정서건강은 은퇴시기가 건강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가정하는 생물ㆍ심리학적 함수관계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s the effects of retirement timing on subjective physical and emotional health, and then discuss implications for the findings. Data from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in 2009 were used in this study. From this dataset, 246 retired male elders and 464 retired female elders aged between 56 and 70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theoretical framework was based on Calvo's 4 hypotheses approach explain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timing and subjective health. The results of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g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negatively with only subjective emotional health of retired male elders but i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ubjective physical health of retired male elders, subjective physical and emotional health of retired female elders. Second, for only male elder, retirement age as retirement timing factor is significantly associated positively with subjective physical health and retirement age squared is significantly associated negatively with subjective physical health, but for female elder, these factors are not associated significantly with subjective physical health. Third, retirement age and retirement age squared are not associated significantly with subjective emotional health in both male elder and female elder. Therefore, findings on subjective physical health of male elder support to cultural-institutional functional relationship suggesting that "on time" retirements produce the best outcomes. But findings on subjective emotional health of male elder, and subjective physical and emotional health of female elder support to bio-psychological functional relationship suggesting that retirement timing do not have an effect on health.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