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융합의 지형도 그리기

        김형숙(Kim, Hyungsook) 한국미술교육학회 2012 美術敎育論叢 Vol.26 No.2

        In the educational circles of South Korea. where convergent, consilient,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has become the issue of the day.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may be seen as the most actively discussed topic in both the academia and the field. However, while interest in the fostering of convergent and talented people has led to active discussions in science and technology, nuanced discussions on diverse levels such as the convergence of artistic genres, art and the humanities, art and science/technology, humanities and science/technology have yet to occur. The diverse areas of arts and technologies could be demonstrated by the convergence of sense and technologies. This convergence between sense and techniques are explained as the convergence of the use of new media, artistic techniques. and the process of creation. The convergence of arts and technologies brought about the shift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e sifts of these meant that the process of cognition, convergence educ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self-voluntariness of project learning, ICT educ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meeting the interest in and demand for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ematics (STEAM) convergence education at home and abroad and developing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based on project learning that makes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Therefore,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theoretical basis of project learning as discussed in constructivist theory and then addresses the characteristics of and educational discussions on project learning that makes use of ICT. Second. it proposes operation and development plans for the development of art and scienc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Through such examinations. the present study discusses the educational effect of ICT-based project learning on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It seeks to prove that visual arts education is not education merely for learners' functions and expressive techniques but a program to develop their exploratory processes, problem-solving abilities. voluntariness and activeness. and high-level cognitive abilities. 융합, 통섭, 학제간 연구와 교육의 상관성은 과연 무엇인가? 국내 교육계에서 논의 되는 이러한 이슈는 융합인재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관심으로 학계에서냐 교육현장에서 가장 많이 다루어지고 있다. 융합형 인재 양성에 대한 관심이 과학과 기술 영역에서부터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지만, 예술 장르간 융합, 예술과 인문학간의 융합, 예술과 과학기술간의 융합, 인문학과 과학기술간의 융합 등 다양한 층위에 대한 논의는 아직까지 정치(精微)하게 이루어지지는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융합인재교육 (STEAM)에 대한 국내·외적 관심과 요구에 부응하여 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를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에 토대를 둔 융합인재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이 연구에서는 융합의 지형도 그리기를 학습자의 인지적 측면과 융합인재교육과정 개발의 측면에서 다루고자 한다. 따라서 본고는 첫째, 구성주의 이론에서 논의되고 있는 프로젝트 학습의 이론적 토대에 관해 고찰해보고, 둘째 ICT 활용의 프로젝트학습의 특성과 교육적 논의에 관해 다룬다. 그리고 미술과 과학의 융합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발전방향을 제안한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ICT 기반의 프로젝트 학습이 융합인재교육과정에 미치는 교육적 성과에 관해 논의한다. 미술교육이 단순히 학습자의 기능과 표현기술을 위한 교육이 아니라, 학습자의 탐구과정, 문제해결력, 자발성과 능동성, 고차원적 사고능력을 함양하게 되어 여러 지식의 법주를 넘나들며 연결 짓고 자아성찰의 과정을 통하여 학습자의 인식의 지평을 확장하는 과정임을 밝히고자 한다.

      • 융합교육의 관점에서 본 초등학교 학생자치활동 사례연구

        여이주,정은영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 2020 융합교육연구 Vol.6 No.2

        융합이 강조되는 다양한 사회적, 학문적 요구에 따라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서도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융합형 인재를 기르기 위한 ‘융합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융합교육은 현실의 문제를 다각적인 시각으로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융합역량을 함양하고, 궁극적으로는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융합형 인재를 기르기 위한 교육이다. 이에 따라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함양하고 바른 인성을 지닌 창의·융합 인재 양성을 교육의 목표로 제시하며 ‘융합교육를 통한 융합인재 양성’이라는 교육 패러다임이 생겨났다. 우리나라에서는 과학기술 교과를 중심으로 다른 교과와의 연결을 시도하는 융합교육의 한 형태인 STEAM교육이 ‘융합인재교육’이라는 이름으로 활발하게 안내 및 확산되면서 융합교육의 대명사처럼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융합교육을 과학 중심의 융합인 STEAM교육이라고 생각하는 좁은 이해에서 벗어나 융합의 핵심 개념이나 주제를 다양화하고, 학생들이 배운 것을 자신의 실생활 문제와 연결 지을 수 있는 방향으로 융합교육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 학생들의 앎과 삶를 연결하는 융합교육 실현이 가능할 때, 21세기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진정한 창의·융합인재를 양성하는 교육으로서 융합고육이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자치활동의 실제를 이해하고, 융합교육의 관점에서 학생자치활동의 고육적 가치를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경상남도 통영시에 위치한 G초등학교에서 실시한 3년간의 학생자치활동 사례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여 질적 사례 연구를 실시했다. 질적 사례 연구는 사례를 탐색하여 심층적인 자료를 수집하고, 사례 기술과 사례분석을 실시하는 연구방법이다.

      • KCI등재

        인공지능 시대에서 기술 교육의 방향에 관한 고찰

        임미가(Lim, Mika) 한국실과교육학회 2020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3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 시대의 기술 교육에 대하여 고찰하고, 다가올 교육적 변화를 대비하고 선도하기 위한 유의미한 시사점을 얻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에 대한 교육, 인공지능을 활용한 교육, 기술 교육, 융합교육과정 등의 이론과 문헌을 고찰하였다. 고찰을 통해 얻은 연구의 결론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지능의 발달은 우리의 가정생활, 기술의 세계 및 예술, 금융, 국방, 노동시장 등 사회 여러 영역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인공지능은 교육의 흐름도 바꾸었는데 미국에서는 인공지능연합회가 결성되어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인공지능 교육과정을 체계적으로 계획하는 등 해외 여러 국가에서 인공지능 교육에 집중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인공지능을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AIED)은 크게 세가지 맥락으로 볼 수 있으며 그것은 비교적 구조화된 문제를 다루기에 적합한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ITS), 반구조화된 문제를 다루기에 적합한 대화형 튜터링 시스템(DBTS), 비구조화된 문제를 다루기에 적합한 탐구학습 시스템(ELE)로 나눌 수 있었다. 넷째, 기술적 소양과 인공지능의 소양은 내용과 방법이 유사한 특성을 보였으며, 인공지능의 문제해결 과정은 문제인식, 데이터 탐색 및 분류, 알고리즘 선정, 적용 및 일반화로써 기술적 문제해결과정인 문제이해, 아이디어탐색, 실현, 평가와 유사한 과정을 보였다. 다섯째, 기술교육은 인공지능 융합교육에 있어서 ‘무엇을 융합할 것인가?’와 ‘어떻게 융합할 것인가?’ 에 대하여 고민하여야 한다. 즉, 내용적 측면에서 어떠한 개념과 지식을 융합할 것인지와 융합의 범위를 고민하여야 하며, 과정적 측면에서 어떠한 과정을 융합할 것인지와 융합의 범위를 고민하여야 한다. 이와 함께 무엇을 중심으로 융합할지 즉, 기술 교육 중심(TE-oriented)으로 융합할 것인지, 인공지능 중심(AI-oriented)으로 융합할 것인지 고민하여야 한다. 또한, 종합적인 관점에서 다양한 융합교육 실현의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실현 방안에는 기술적 문제해결의 특성을 활용하는 방안, 인공지능 교육 시스템(AIED)의 특성을 활용하는 방안, 기술 교육에 적합한 AIED를 개발하는 방안 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echnology education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o obtain meaningful implications to prepare a foundation for the upcoming changes. To this end, theories and literature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ociety, education o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education, and convergence curriculum were review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has had a great influence on various areas of society such as our family life, the world of technology, art, finance, defense, and the labor market.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changed the flow of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the AI Association was formed to systematically plan artificial intelligence curriculum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many countries abroad are focusing on AI education. And it was found. Third, a system that can utilize artificial intelligence for education (AIED) can be seen in three main contexts, an intelligent tutoring system (ITS) suitable for dealing with relatively structured problems, and an interactive tutoring system suitable for dealing with semi-structured problems. (DBTS) and Inquiry Learning System (ELE) suitable for dealing with unstructured problems. Fourth, technology education aims to cultivate technological literacy, and technological literac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showed similar characteristics in terms of contents and methods. Fif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roblem solv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problem solving proces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similar to problem understanding, idea search, realization, and evaluation, which are technology problem solving processes by problem recognition, data search and classification, algorithm selection, application, and generalization. Showed. Sixth, technology education should consider what will be integrated? and how will it be integrated? in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hat concepts and knowledge will be fused in terms of content and the scope of fusion, and in terms of process, what process will be fused and the scope of fusion.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what to focus on, that is, whether to converge with TE-oriented or AI-oriented.

      • KCI등재

        대구⋅경북권 초⋅중등학교 현직교사의 융합수업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도 조사 연구

        구경연(Keong Yeun K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1

        목적 본 연구는 초⋅중등학교 융합수업 구현화에 있어서 필요한 융합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융합역량 요인별 중요성 정도와 교사가 가지고 있는 융합역량 정도를 분석하였다. 방법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눈덩이 표집방법을 통해 대구⋅경북권 초⋅중등학교 근무하는 현직교사들을 대상으로 구글폼즈 양식의 온라인 설문을 실시한 후 기술통계량과 독립표본 t-검정 방식을 활용하여 236명의 응답을 분석하고 더불어 Borich의 교육요구도 산출법을 적용하여 교사를 위한 융합교육프로그램의 교육요구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구와 경북의 초⋅중등학교 교사들은 융합수업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수업 설계 및 운영 역량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교사의 의지와 태도 역량, 협업 및 소통 역량, 그리고 ICT활용 역량 순으로 역량 요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는 융합수업을 구현화하는데 있어서 수업 설계 및 운영 역량과 의지 및 태도 역량을 가장 잘 갖추고 있다고 스스로를 평가한 반면에 ICT활용 역량과 협업 및 소통 역량은 다른 두 역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자신을 평가하였다. 결론 교육요구도 분석 결과에 따르면 수업 설계 및 운영 역량과 협업 및 소통 역량에 대한 교육이 가장 필요한 부분이고 그 중에서도 학교 관리자와의 소통을 통한 행⋅재정적 지원에 대한 요구가 가장 컸다는 점에서 교사들의 융합역량을 위한 교육뿐만 아니라 학교 관리자들의 융합역량 교육의 필요성도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융합수업이 초⋅중등학교에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한 교사교육프로그램의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ducation needs of convergence competences needed in implementing the convergence lessons in the primary and the secondary school classroom by analyzing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convergence competence model and the level of the competences the teachers have. Methods To achieve the study goal, using a Snowball sampling, primary and second school teachers in Daegu and Kyungpook were requested to respond to 30 questions through Google Forms. A total of 236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a descriptive data and an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education needs were calculated with a Borich’s formula to produce the degree of education needs. Results First, to implement the convergence classes in their classroom, the primary and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Daegu and Kyungpook perceived the class design and management competence to be the most important, and the willlingness and attitude competence, the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the ICT use competence were important in that order. Second, the teachers evaluated themselves as having the best class design and management competence and the willingness and attitude competence in applying convergence classes in their classroom, while their ICT use competence and the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were evaluated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other two competence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ducation needs analysis, the most necessary component in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was to develop the class design and management competence and their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Among the sub-components of these competences, the demand for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through communication with school administrators was the greatest, and it meant that there is a high need for training school administrators as well as school teachers to apply the convergence classes in schools. Finally, the findings of the study contributed to providing a guideline to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convergence classes in their classroom.

      • KCI등재후보

        국내대학 인문예술융합교육의 필요성과 현황 연구

        이희용 ( Hee Yong Lee ),윤아영 ( Ah Young Yoon ),김재득 ( Jae Deunk Kim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4 예술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육에 있어서 인문예술융합교육의 필요성과 대학 내에서 시행하고 있는 그 융합교육의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다. 우선 본 연구는 인문예술융합교육과 관련하여 그간 진행되어온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여 인문예술융합교육의 필요성과 전반적인 현황에 대한 논의들이 여전히 부족하다는 점과, 실증 연구에 있어서도 제도적 실태나 교육모델에 대한 단순한 소개에 그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홈페이지 등을 통해 전국대학에서 시행하고 있는 인문예술융합교육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을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인문학 및 예술 분야 융합교육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는 그룹심층인터뷰 조사를 선행적으로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문헌연구에서는 접근할 수 없었던 융합교육의 현장에 대한 다양한 차원의 실제적인 지식과 정보를 얻을 수 있었고, 다른 하나는, 기초조사 자료와 전문가들의 견해를 근거로 국내 대학에서 실행하고 있는 인문예술융합교육의 현황을 전반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국내 대학의 인문예술 분야에서의 융합 교육은 아직은 초기단계에 있지만 비교적 다양한 형태로 시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와 동시에 융합교육의 질적이고 제도적인 측면에서는 융합교육을 위한 교육체계와 교육프로그램들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그리고 심층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necessity and present state of humanities and arts convergence education in universities in Korea. Different from the most of previous research that only deals with narrow topics, theoretical reviews, presentation of models, or curriculum designs, this research widely scrutinizes overall universities in Korea. From this research, we could find several significant issues in the humanities and arts convergence education in universities in Korea. First, humanities and arts courses in a specific major or in general liberal arts programs are operated under the different goals. In the case of performing arts or cultural event designing major, the goal is to meet practical social use, combined with business, economics, and law. On the other hand, in the liberal arts education, the courses are developed based on the 7 medieval liberal arts tradition. Second, there were not many examples of mutually connected humanities and arts convergent education. Unfortunately, most of the courses were bound within its disciplines, whether a major program or liberal arts program. Even though Seoul National University exceptionally show some programs in the School of liberal studies, such as interconnected major, convergent major, and constructing major, however, these programs are not really interconnected to other programs in other departments. Finally, unfortunately, there were not many examples of humanities and arts convergent education mutually connected with other fields. Most of the courses were provided within its discipline, whether major program or liberal arts program. Exceptionally, Seoul National University provides several programs in the School of liberal studies, such as interconnected major, convergent major, and constructing major. However, these programs are not really interconnected to other departments or schools, and the various courses are only provided within the school. This leaves a future discussion behind for the continuing development and vitalizations of the humanities and arts convergence education.

      • KCI등재후보

        융합교육의 체계화를 위한 융합교육의 방향과 기초융합교과 설계에 대한 제언

        김혜영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2

        It is true that concurrent social phenomenon cannot be understood in a single academic framework since modern society lies on complicated environment. To facilitate persons who can lead complicated society, new types of education resources are required which implicate innovative insights and capabilities. A single notion of academy and segregated scholastic system are difficult to provide human resource satisfying the needs of complicated society. Therefore, the convergence of education is highlighted since it provides innovative socio-insight by emergence of different disciplines. Because of this, numerous universities suggest convergence education as an education tool to comprehend new streams of social phenomenon. However, existing convergence education only provides a single course which aggregates inter-dependent classes or solely independent classes which merged with other disciplines. Although indeed these two types of education take major role in the convergence education, some considerations might subsequently follow for establishing a system to stabilize objective of convergence educations. Taking various discipline related courses or practicing concurrent situation through multiple scholastic methods would not guarantee to student possess capability to understand new phenomenon and required knowledge. Thus, the universities need to response both desires of society on convergence education and rationale object of convergence education establishing basic convergence education system based on existing convergence education and classes for driving great impact of the education. This research suggests a way of establishing convergence education implicating on principle of convergence and its phenomenon. This will implicate hinges between the existing education system and convergence education. To do this, the research employs limitations of respected literatures, current state of convergence education and principle of convergence education to provide a guide line of establishing basis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현재의 사회현상들은 기존의 단일 학문들로는 해석이 되지 않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복잡한 사회현상에 적응하고 사회를 이끌어가기 위해서는 새로운 관점과 역량을 가진 새로운 인재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단일학문 또는 분화된 학문 체계로는 새로운 시대에 맞는 인재를 양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학문 간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관점을 갖게 하는 교육이 필요해진 것이다. 때문에 많은 국내·외 대학에서는 현상을 새롭게 설명하고 해석할 수 있는 학문으로 ‘융합’을 제안하고 교육으로 실현하고 있다. 융합교육이 전체 대학으로 확산되고 있는 현재의 시점에서 보다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철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학생들에게 교과과정에서 여러 학문에 관련된 수업을 듣도록 하는 것만으로 또는 현재의 현상을 여러 학문을 통해 해석해보는 연습을 시킨다고 해서 학생들이 앞으로 벌어질 새로운 현상을 해석하고 필요한 지식을 융합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는 것은 아닐 수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변할 사회에 대비하고자 할 때, 여러 가지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고 융합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를 만족시키면서 융합교과의 특징을 충실히 반영하여 융합교육과정을 완성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한 방법의 하나로 융합교육과정 안에서 기초적인 융합소양을 키울 수 있는 기초융합교과를 설계하여 융합교육의 기반을 튼튼히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융합교육의 현황을 점검하여, 바람직한 융합교육의 방향을 제안하고, 교양과목으로 융합의 원리 및 융합현상 등을 설명할 수 있는 기초융합교과의 설계를 제안함으로써 기존의 교육과 융합교육의 연결고리를 만들어줄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자들이 제안하고 분석하였던 현재 융합교육의 현황 및 한계, 융합교과의 요건 및 원칙 등을 통해 기초융합교과의 설계방향을 제안한다. 본 연구가 작은 초석이 되어 각 대학이 융합교육과정을 설계하고 구체적인 융합교과를 개설하고자 할 때 보다 쉽게 방법을 모색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우수등재

        중등학교에서 융합교육 실행의 쟁점과 과제

        오찬숙 한국교육학회 2015 敎育學硏究 Vol.53 No.3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plore tasks needed for implementing convergence education based upon an analysis of issues in convergence education. To achieve these goals, the concept and current status of convergence education were examined, and the theories concerning the convergence education were considered. The issues are as follow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convergence education being required in knowledge-convergence era, the policies such as a number of curriculum revision and STEAM education have been implemented, but genuinely meaningful convergence education is not practiced currently. And the biased convergence education focusing on the science subject is progressing at present. Furthermore, there is some controversy about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s executors of convergence education. In this connection, diversification of convergence methods to educate across the border of subjects, all subjects as the center of the convergence and teachers’ convergence competence development by making the collaboration culture among the teachers are suggested.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be oriented for the convergence education that the teachers participate in by themselves through making the collaborative culture in the schools, not formal participation by top-down execution. 본 연구는 기존에 실시되고 있는 융합교육의 쟁점을 분석하여 향후 융합교육 실행을 위해 요구되는 과제를 탐색하여 도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융합교육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고, 교육 현장의 실제 사례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쟁점해소를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우리 정부가 지식융합시대에 필요한 융합교육의 중요함을 인식하여 여러 차례의 교육과정 개정 및 STEAM 교육과 같은 정책들을 펼쳐왔지만 실제적으로 교과의 벽을 넘지 못하는 진정한 의미의 융합교육이 실천되지 못하고 있고, 정부주도로 과학교과 중심의 편향적인 융합교육이 진행되고 있으며, 융합교육 실행자로서 교사들의 전문성에 대한 논란이 있음이 쟁점으로 부각되었다. 이에 대해 교과의 경계를 넘나드는 융합교육을 위한 융합교육 방법의 다양화와 모든 교과가 중심이 되는 융합교육, 그리고 교사들 간의 협업문화 조성으로 교사 융합역량 개발을 과제로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하향식 실행에 의한 형식적인 참여가 아닌 교사들 간의 협업문화 조성을 통한 스스로 하는 융합교육을 지향해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수・과학영재와 발명영재의 인식 차이

        김성애(Kim Sung Ae),이상봉(Yi Sang B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수・과학영재와 발명영재의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인 식을 비교 분석하고, 영재교육에서의 융합인재교육(STEAM)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다. 이를 위해 경기도 수․과학영재 및 발명영재 총 6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 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과학영재와 발명영재는 모두 인식과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었다. 필요성에 대한 이유로는 수․과학영재들은 기존 의 내용이 아닌 새로운 과제를 통한 학습 동기 유발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으며, 발명 영재들은 다양한 과목의 융합으로 다양한 사고와 상상력 계발과 기존의 내용이 아 닌 신선하고 흥미로운 과제를 통해 학습 동기를 유발하기를 원하고, 미래 사회의 리 더가 될 수 있는 자질을 기르기 위해서라고 응답했다. 둘째, 현재 영재교육에서의 융합인재교육(STEAM) 실시 여부에 대해서는 발명영재는 실시하고 있다는 응답이 많았으나 수․과학영재는 받지 않는다고 응답하거나 잘 모르겠다고 응답한 경우가 많았다. 셋째, 융합인재교육(STEAM)에서 융합되고 있는 교과를 묻는 질문에는 발 명영재학급의 학생들과 수․과학영재는 모두 과학, 수학, 기술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발명영재는 과학, 수학, 기술 또는 과학, 수학, 기술, 예술로 양분된 반면 수학・과학 영재는 다른 과목을 제외하고 과학과 수학교과만이 융합되고 있다는 응 답도 존재했다. 넷째, 영재교육의 융합교육화(化)에 대해서는 수․과학영재와 발명 영재는 모두 한꺼번에 여러 가지를 융합하는 것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우려를 나타 내었다. 다섯째, 융합교육에 가장 적합한 주제는 수・과학영재와 발명영재들은 대부 분 로봇 등의 첨단기술을 꼽았으나, 수・과학영재는 자연재해, 식량문제, 윤리 및 도 덕성 등 다양한 분야에 응답했다. 여섯째, 융합교육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것에 대 해서는 수학․과학 영재들은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을, 발명영재는 다양한 도서 및 자료, 교구구비가 가장 필요하다는 의견을 보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to the perception towards the STEAM education for mathematics/science-gifted students and invention-gifted student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for STEAM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For that, 60 students of mathematics/science-gifted class and invention-gifted class at schools in Gyeonggi-do were survey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s: First, all students of mathematics/science-gifted class or invention-gifted class showed common perception and recognition. Particularly, the students of invention-gifted class showed higher rate of response to the need for STEAM education, compared to the students of mathematics/science-gifted class. In relation to the need for STEAM education, the students of mathematics/science-gifted class perceived the need for learning motivation through new tasks, not the conventional learning contents. Meanwhile, the students of invention-gifted class exhibited the desire to have the learning motivation stimulated through novel and interesting tasks, rather than conventional learning content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thinking perspectives and imagination based on the convergence of many different subjects, and answered that they pursued such direction to build up capabilities to transform themselves into the leaders of future society. Second, a large proportion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STEAM education was provided in the invention-gifted class under the current gifted education. However, the students who indicated that STEAM education was implemented turned out to be outnumbered by the students who answered that STEAM education was not provided in invention-gifted class or the students who answered that they were not sure. Third, students of both invention-gifted class and mathematics/science-gifted class answered that the subjects of science, mathematics, and engineering were the primary targets of convergence when they were asked to indicate the subjects that were converged in STEAM education. The students of invention-gifted class were split into one group that answered that the science, mathematics, and engineering were the major subjects of convergence and the other group that answered that the science, mathematics, engineering, and art were the primary subjects of convergence. By contrast, some students of mathematics/science gifted class indicated that only the science and mathematics were converged in STEAM education. Fourth, some students expressed concern, along with the anticipation, in relation to the convergence of many things altogether at a time in the converg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students. Fifth, most students of mathematics/science-gifted class and invention-gifted class singled out the state-of-art or cutting-edge technologies, such as robotics, etc., as the subject most ideal for the convergence education. However, the students of mathematics/science-gifted class pointed to various fields such as natural disasters, food crisis, ethics and morality, etc. Six, in relation to what were needed to spur the development the convergence education, the students of mathematics/science gifted class indicated that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was the most urgently required while the students of invention-gifted students answered that various books, materials, and education tools were the most urgent requirements.

      • KCI등재후보

        융합인재교육(STEAM)을 위한 초등학교 국악 수업방안 탐색

        박주만(Park, Joo-man) 한국국악교육학회 2017 국악교육 Vol.43 No.43

        본 연구는 최근 창의․융합인재 양성의 필요성이 부각되면서 교육계에 크게 강조되고 있는 STEAM 교육을 적용한 초등학교 국악수업의 학습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융합인재교육 수업활동의 특징은 국악을 중심으로 타 교과와의 연계를 통해 다른 영역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음악적 지식과 다양한 경험을 통하여 학생들의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사고력을 키우는데 중점을 두었다. 또한, 교육과정에 충실한 심화학습을 통해 관련 교과 내용이 국악을 중심으로 자연스럽게 융합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방향에 기초하여 제시된 국악 중심 STEAM 융합학습 방안의 유형은 크게 세 가지이며 그에 따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 교과 내 융합수업형으로, 이 유형은 국악내용을 바탕으로 관련 타 교과 요소를 연계한 학습이다. 예로 국악과 과학, 사회, 수학, 공학, 역사, 언어 등의 다양한 교과의 내용을 국악수업 활동과 융합하는 것이다. 둘째, 국악 교과 연계수업형으로, 이 유형은 국악과 관련된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여러관련 교과 내용을 연계하는 학습이다. 예로 국악과 타 예술교과 연계활동, 국악과 과학 관련 교과 연계활동, 국악과 인문학 교과 연계활동 등의 융합학습이 있다. 셋째, 국악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성형으로, 이 유형은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전체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거나 별도의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학습이다. 이때 주제는 국악 관련 내용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제목이 선정되며, 연계된 각 교과 시간에 소주제를 중심으로 한 융합수업을 순차적으로 시행하는 것이다. 예로 국악, 사회, 수학, 미술, 과학 등이 함께 하나의 대주제로 엮어 프로젝트 형태의 방법으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렇게 제시된 국악 중심 STEAM 학습방안은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으로 제시되고 있는 융합인재교육을 이해하는 데 기초가 될 것이며, 창의적 인재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STEAM 융합교육의 학교현장 적용 및 실천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learning method for elementary school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for STEAM education that has been highly stressed nowadays as the necessity of cultivating creative, convergent persons of ability is being highlighted. The characteristics of STEAM class activities suggested here in this study help students understand other fields by combining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other subjects and also cultivate their creative, convergent thinking skills through musical knowledge and a variety of experiences. Also, through in-depth learning faithful to the curriculum, related subject contents are organized in a way that can realize natural convergence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Based on this purpose, this author organized Korean traditional music-centered STEAM learning methods largely into three typ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first type is convergent class within the subjec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t is combined with other subject elements centering around the conten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example, various subject contents including science, society, math, engineering, history, or language are integrated with the activiti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second type is class rela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other subjects. This is a type of learning relating a certain topic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other subject contents. The examples include the activity rela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art subjects, activity rela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science, or activity rela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humanities-related subjects. The third is the type of curricular reorganization centering around Korean traditional music. This is a type of learning to reorganize the entire curriculum with a certain topic or plan programs additionally. For this, the topics are selected as inclusive topics involving Korean traditional music-related contents, and at the class of subjects related, subtopics are learned in order in the convergent class. For example, the class proceeds as a form of project by combining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society, math, art, or science with a single major topic. This method of STEAM learning centering around Korean traditional music will lay the grounds for helping students understand STEAM presently being suggested as a new paradigm of education and also aid the application and practice of STEAM education intended to cultivate creative persons of ability in the field of school education.

      • 융합교육전문가 양성을 위한 융합교육과정 개선방안

        신은수(Shin, Eun-Su),이영준(Lee, YoungJun)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 2020 융합교육연구 Vol.6 No.1

        이 연구는 교원양성대학인 한국교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융합교육전공생들을 대상으로 융합교육 수업적용 사례를 분석하고 융합교육전문가 양성을 위한 융합교육과정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한국교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융합교육전공자 3명을 대상으로 2019년 9월부터 11월까지 3차례에 걸쳐 90분간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을 위해 사전조사지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문항은 단답형이 아닌 개방형 문항으로 만들었다. 면담내용은 현장노트와 참여자와 나눈 문자, 전화, 면담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융합교육전공자들은 기존교육의 한계를 해결하고자 융합교육전공에 입학하였으며, 공통적으로 진로코칭 및 교육회사를 운영하고 있었다. 둘째, 융합교육은 주로 중학생을 대상으로 자유학기제, 자유학년제, 진로특강 등으로 적용하였고 자신과의 소통, 1:1맞춤형 교육, 사고확장 등으로 진행되었다. 셋째, 융합교육 수업의 문제점은 단발성 수업으로 인한 수업시간 부족,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시스템 부족, 수준별 교육을 위한 수업방식의 어려움 등이다. 넷째, 융합교육전문가들은 유튜브, 책, 연구물, 외부활동 등을 통해 스스로 개인적 역량을 기르고 있었으며, 교사 이외의 교육전문가들을 위한 교육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연구결과에 대한 제언으로 첫째, 효과적인 융합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실행과정 제안, 둘째, 융합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평가기준 마련, 셋째, 다양한 지원 및 외부활동 기회 제공, 넷째, 협업·소통의 장 마련이다. This study utilized the narratives of Clandinin and Connelly (2000)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for 90 minutes on three occasions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19. Item and the development of a preliminary study for the interview questions is not criticised A-levels which made an open question. The meeting participants and field notes with text messages, phone, was analyzed centering on the details of his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vergence education majors entered the convergence education major in order to solv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education and were operating career coaching and education companies in common in the education sector. Second, in the application method of convergence education, the free semester system, free grade system, special cours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were provided, and the education method was to communicate with oneself, 1:1 education, and activities to break the framework of thinking. Third, in the problems and requirements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class, they wanted to check their effectiveness or evaluation of their classes, such as the lack of class time due to the single class, the lack of the program effectiveness analysis system, and the difficulty of the class method for level education. Fourth, in the core competency of convergence education experts, it was found that they were developing their own personal capabilities through YouTube, books, research materials, and outside activities, and that education for education experts other than teachers was not being conducted. Four suggestions were made for this. First, proposed effective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planning and implementation process, second, prepared evaluation criteria for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third, providing diverse support and opportunities for outside activities, and fourth, preparing a venue for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