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융합교육의 관점에서 본 초등학교 학생자치활동 사례연구

        여이주,정은영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 2020 융합교육연구 Vol.6 No.2

        융합이 강조되는 다양한 사회적, 학문적 요구에 따라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서도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융합형 인재를 기르기 위한 ‘융합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융합교육은 현실의 문제를 다각적인 시각으로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융합역량을 함양하고, 궁극적으로는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융합형 인재를 기르기 위한 교육이다. 이에 따라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함양하고 바른 인성을 지닌 창의·융합 인재 양성을 교육의 목표로 제시하며 ‘융합교육를 통한 융합인재 양성’이라는 교육 패러다임이 생겨났다. 우리나라에서는 과학기술 교과를 중심으로 다른 교과와의 연결을 시도하는 융합교육의 한 형태인 STEAM교육이 ‘융합인재교육’이라는 이름으로 활발하게 안내 및 확산되면서 융합교육의 대명사처럼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융합교육을 과학 중심의 융합인 STEAM교육이라고 생각하는 좁은 이해에서 벗어나 융합의 핵심 개념이나 주제를 다양화하고, 학생들이 배운 것을 자신의 실생활 문제와 연결 지을 수 있는 방향으로 융합교육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 학생들의 앎과 삶를 연결하는 융합교육 실현이 가능할 때, 21세기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진정한 창의·융합인재를 양성하는 교육으로서 융합고육이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자치활동의 실제를 이해하고, 융합교육의 관점에서 학생자치활동의 고육적 가치를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경상남도 통영시에 위치한 G초등학교에서 실시한 3년간의 학생자치활동 사례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여 질적 사례 연구를 실시했다. 질적 사례 연구는 사례를 탐색하여 심층적인 자료를 수집하고, 사례 기술과 사례분석을 실시하는 연구방법이다.

      • 본위 선택에 따른 융합교육의 양태 고찰

        최성욱(Choi, Sung-Wook)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 2016 융합교육연구 Vol.2 No.1

        이 글은 융합교육의 본위를 융합과 교육의 두 가지로 나누고, 각각을 본위로 하는 융합교육의 가치구현 양태가 어떻게 다른지를 검토하고 있다. 이를 위해 융합과 교육의 의미와 가치를 중심으로 기존의 견해들을 비판적인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논의의 기초로 삼았다. 검토 결과, 융합을 본위로 한 융합교육은 학문과 기술의 최정상에 도달하는 것을 지상목표로 삼고 소수정예의 양성에 치중한 다. 다수의 낮은 성취자들은 실패자로 낙인찍힌다. 이는 보통 학교에서 볼 수 있는 장면과 조금도 다를 바 없다. 교육을 본위로 한 융합교육은 수준의 높낮이와 상관없이 어느 수준에서나 다음 단계를 목표로 삼고 상구교육과 하화교육의 흥겨운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배려한다. 여기에 최첨단의 지식과 기술은 교육의 고유한 가치체험을 구현하는데 오히려 방해가 된다. 본위에 따라 융합교육의 양태가 큰 차이를 보이는 만큼 그 본위선택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나아가, 융합의 목표실현을 위해서라도 교육의 자율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 보다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This paper is a study of a concept of convergence education with a critical review of meanings and values of it. The aims of convergence education are not convincingly fixed on convergence but on education equally, because education has its unique values which is identified within its own structure. The appearance of convergence education purposing the intrinsic value of education would differ from that of convergence. Those who accept convergence as the only primary reason insist that education is a way to master top-level knowledges and skills so as to accomplish the objectives of convergent education. Very few students harvest such victorious successes as winners, however, a vast number of students end in failures as losers. Obviously, the same situation happens in schools. When the intrinsic value of education is set prior to that of convergence, education begins to go its way: It does not force to students the highest level of knowledges and skills, just thrusting them to fall into frustration. Instead, it allows every students to find their own end-in-views, which are usually the next step to the present level. End-in-views are educative , because they are optimally challenging levels to facilitate the interactions with students, through which they can grow in their own speed. The ideals in the appearances of convergence education represents elitism and democratism, respectively.

      • 성을 주제로 한 융합프로그램의 개발 및 유용성, 현장 적용성에 관한 고찰

        김예진(Yejin Kim),이상휘(Sanghui Lee),노준호(Junho Rho),장세윤(Seyun Jang)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 2017 융합교육연구 Vol.3 No.1

        이 글은 성으로 본 융합 교육 프로그램의 가치와 그 한계를 다루고 앞으로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부 SPECIAL‘ 팀이 만든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성으로 본 융합교육의 가치와 한계를 다루고 있다. 현재 융합교육 프로그램은 ’성‘을 주제로 하는 프로그램이 부족하다. 성교육에서는 성에 대한 다양한 개념을 이해시키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STEAM 모델을 바탕으로 ’성‘을 주제로 한 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성에 다양한 과목 을 적용하여, 과학과 공학 중심의 프로그램이 아닌 인문 예술 계열로의 확장을 통해 다양한 시각에서 성을 바라봄으로서 성의 본질적 고찰을 통한 다양한 견문 확장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융합교육의 중심인 ’창의성‘에 의의를 두어 인지편향의 타파를 통한 창의성 계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values and limitations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which deals with the concept of sex. The program is developed by a group named SPECIAL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which connotes Sexuality Philosophical Essential Cultural Inquiring And Love. Currently, the Korean Convergence Education does not have a program baesd on the subject of sex . By applying the diverse curriculums of different subjects to the topic of sex , we are expecting to expand the value of sex which is not only based on science and engineering but also the art and humanities. Furthermore, this program aims to develop creativity through the breakthrough of cognitive bias with the significance of creativity which plays pivotal role in convergence education. Therefore, this paper is introducing about a syllabus of the convergence program on the theme of sex based on the STEAM model.

      • 협동학습 기반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인성요소 발달 탐색

        김고경(Kim, Go Kyoung),백성혜(Paik, Seoung-Hey)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 2019 융합교육연구 Vol.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에서 만든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고 앞으로의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에 기여하고자 하는 데 있다. 융합교육 프로그램은 중학교 자유학기제에 실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만들어져 있어 이를 연구 대상자인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수준으로 재구성하였다. 프로그램 차시별 활동은 연구 대상자의 특성과 초등학교 성취기준, 협동학습 구조를 바탕으로 하여 학생들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실생활의 문제를 중심으로 재구성하여 설계하였다. 수업은 5회에 걸쳐 10차시로 진행되었고, 동료평가는 3~4 차시에 1회, 5~6차시에 1회, 9~10차시에 1회, 총 3회 실시하였다.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학생들의 인성요소 변화 평가는 일반 수업과의 비교와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의 변화의 두 가지 관점에서 평가지 및 활동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일반 수업을 진행하였을 때와 협동학습 구조 및 토론 활동을 바탕으로 한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을 때의 학생들의 수업 참여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융합교육 프로그램이 진행될수록 학생들은 동료평가를 객관적으로 하게 되었고, 수업참여에도 변화된 모습을 보였다. 평소 수업에 적극적이고 참여도가 높으며 다른 친구들의 의견을 잘 들어준 학생들이 가장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활동에서도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한국교원대학교 융합연구소에서 개발·보급하고 있는 융합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다양한 평가를 바탕으로 더욱 발전된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제작 방법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a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created by the Institute for Convergence Education at Korean National University to sixth graders to identify its effect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futur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was designed to be implemented in the free semester of middle school, which was reconstructed to the level of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The program-by-programme activities were design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tudied, the achievement criteria of elementary schools, and the cooperative learning structure, focusing on real-life issues that enable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es. The class was conducted on 10 occasions over 5 occasions, and the peer review was conducted on 1 time between 3 and 4 times, 1 time between 5 and 6 times, 1 time between 9 and 10 times, and 3 times in total. The assessment of changes in students personality factors through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was analyzed from two perspectives: comparison with general classes and change in conducting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class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at in general classes and in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based on cooperative learning structures and discussion activities. Second, as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progressed, the students became more objective in peer review and showed a change in their participation in class. Based on the various evaluation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developed and distributed by th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 Convergence Research Institute, the Commission suggested how to produce more advanced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 예비교사교육에서 융합교육의 가치와 한계 : ‘Mystery Boxes’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지연(Choi, Jiyeon)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 2015 융합교육연구 Vol.1 No.1

        이 연구는 예비교사교육에서 융합교육이 어떠한 가치를 가지며, 한계는 무엇인지를 점검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2015학년도 2학기 교양강좌로 편성된 ‘창의성을 위한 융합교육’의 강의를 사례로 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는데, 이 강의는 자유선택에 의해 47명의 예비교사가 수강 신청 하였다. 강의는 세 명의 교수가 5주씩 진행하였으며, 연구자는 마지막 5주를 담당하였다. 적용된 융합교육 콘텐츠는 영국의 런던과학관 교사연수과정에서 제시한 미스터리 박스(Mystery Boxes) 활동이었다. 이 활동을 포함한 융합교육 강의 경험을 통해 예비교사들은 융합과 융합교육에 대한 개념화를 확장하게 되었는데, 통합, STEAM, 합치는 것 등 융합과 융합교육의 방법에 집중하던 개념화가 등장배경, 목적, 원리, 방법 등 다양한 관점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막연하던 융합, 융합교육에 대해 사례를 직접 경험해봄으로써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었고,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됨은 물론 이를 기반으로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는 보고가 있었다. 그러나 여전히 예비교사들은 융합, 융합교육에 대한 개념을 발전시켜야 하며, 과학과 공학 중심의 프로그램의 제시로 인해 인문이나 예술 계열 전공 예비교사가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드러나 보다 융합적인 콘텐츠와 프로그램의 확충과 보급이 필요하다는 한계가 공존하고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what the value and limitations of convergence education in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Convergence education for creativity courses and their students in the second semester 2015. 47 pre-service teachers have been signed this course by free choice. The lecture was conducted with three professors 5 weeks, the researchers were responsible for the last five weeks. The applied content as convergence activity was Mystery Boxes . This activity was one of London Science Museum s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in the U.K.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rough the convergence experiences including that activity, pre-service teachers were to extend the conception of the convergence and convergence education. They expanded the conception of the convergence and convergence education in various aspects, such as the emergence background, goals, principles and methods. In addition, they were understanding of the convergence and convergence education through the convergence experiences and the confidence in education was formed on the basis of this understanding. But still they should develop the concept of convergence and convergence education. And it was difficult convergence activities based on science and engineering. Therefore, it was required the development of various areas educational content and convergence program.

      • 융합교육전문가 양성을 위한 융합교육과정 개선방안

        신은수(Shin, Eun-Su),이영준(Lee, YoungJun)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 2020 융합교육연구 Vol.6 No.1

        이 연구는 교원양성대학인 한국교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융합교육전공생들을 대상으로 융합교육 수업적용 사례를 분석하고 융합교육전문가 양성을 위한 융합교육과정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한국교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융합교육전공자 3명을 대상으로 2019년 9월부터 11월까지 3차례에 걸쳐 90분간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을 위해 사전조사지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문항은 단답형이 아닌 개방형 문항으로 만들었다. 면담내용은 현장노트와 참여자와 나눈 문자, 전화, 면담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융합교육전공자들은 기존교육의 한계를 해결하고자 융합교육전공에 입학하였으며, 공통적으로 진로코칭 및 교육회사를 운영하고 있었다. 둘째, 융합교육은 주로 중학생을 대상으로 자유학기제, 자유학년제, 진로특강 등으로 적용하였고 자신과의 소통, 1:1맞춤형 교육, 사고확장 등으로 진행되었다. 셋째, 융합교육 수업의 문제점은 단발성 수업으로 인한 수업시간 부족,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시스템 부족, 수준별 교육을 위한 수업방식의 어려움 등이다. 넷째, 융합교육전문가들은 유튜브, 책, 연구물, 외부활동 등을 통해 스스로 개인적 역량을 기르고 있었으며, 교사 이외의 교육전문가들을 위한 교육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연구결과에 대한 제언으로 첫째, 효과적인 융합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실행과정 제안, 둘째, 융합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평가기준 마련, 셋째, 다양한 지원 및 외부활동 기회 제공, 넷째, 협업·소통의 장 마련이다. This study utilized the narratives of Clandinin and Connelly (2000)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for 90 minutes on three occasions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19. Item and the development of a preliminary study for the interview questions is not criticised A-levels which made an open question. The meeting participants and field notes with text messages, phone, was analyzed centering on the details of his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vergence education majors entered the convergence education major in order to solv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education and were operating career coaching and education companies in common in the education sector. Second, in the application method of convergence education, the free semester system, free grade system, special cours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were provided, and the education method was to communicate with oneself, 1:1 education, and activities to break the framework of thinking. Third, in the problems and requirements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class, they wanted to check their effectiveness or evaluation of their classes, such as the lack of class time due to the single class, the lack of the program effectiveness analysis system, and the difficulty of the class method for level education. Fourth, in the core competency of convergence education experts, it was found that they were developing their own personal capabilities through YouTube, books, research materials, and outside activities, and that education for education experts other than teachers was not being conducted. Four suggestions were made for this. First, proposed effective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planning and implementation process, second, prepared evaluation criteria for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third, providing diverse support and opportunities for outside activities, and fourth, preparing a venue for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 사회네트워크 분석법을 활용한 중등교사들의 융합 및 융합교육에 대한 인식 탐색

        신세인(Sein Shin),이준기(Jun-Ki Lee)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 2017 융합교육연구 Vol.3 No.1

        이 연구는 중등교사들이 생각하는 융합 및 융합교육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는데 그목적이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에서 실시하는 융합교육 연수에 참여한 총 254명이 참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융합 및 융합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융합의 의미, 둘째, 융합 프로그램의 목적, 셋째, 융합 프로그램의 장점, 넷째, 융합 프로그램의 단점에 대하여 묻는 4개의 서술형 문항을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수집된 비정형 언어 자료들은 사회네트워크분석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융합의 의미에 대해서는 특정 주제와 관련된 학습 요소들이나 다양한 교과 및 분야의 지식을 통합하고 연계하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둘째, 융합 프로그램의 목적에 대해서는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재양성을 위해 학생들의 다양하고 창의적인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을 함양시키는것으로 인식하였고, 셋째, 융합 프로그램의 장점에 대해서는 수업의 다양성을 통해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는 점과 교과 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지식의 통합적 접근을 시도해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와 문제해결력, 사고력을 확장시킨다는 점으로 인식하였으며, 넷째, 융합 프로그램의 단점으로는 교사의 입장에서 교과의 운영과재구성에 대한 문제, 교과의 기초적인 지식 함양이 어려워 전문성이 부족해질 수 있다는 점, 실질적 수업 진행의 어려움, 수업 준비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 융합프로 그램의 개발과 관련된 어려움, 다양한 교사 간 협력과 협동의 어려움, 학생 수준과 관련된 어려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about convergence and convergence education. A total of 254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of convergence education conducted by Convergenc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in KNUE. In this study, we collected the recognition data of teachers convergence and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For this purpose, four questionnaire items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questionnaires. First, the meaning of convergence, the purpose of convergence program, the merits of convergence program, and the weaknesses of convergence program. The collected atypical language data were analyzed by language network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recognized that the meaning of convergence is to integrate and link various learning subjects related to a specific subject or knowledge of various subjects and fields. Second, for the purpose of convergence program, Third, the merits of the convergence program are that they can induce students interest in the class through the diversity of the class and the integrated approach of knowledge based on cooperation among the subjects. In addition, it is recognized that the students creative thinking,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inking ability are expanded. Fourth, the disadvantages of the convergence program are that it is difficult to cultivate the basic knowledge of the subject, The ability to learn, Difficulties, difficulty in preparation of lessons, difficulties in developing convergence programs, difficulties in cooperating and cooperating with various teachers, and difficulties related to student level.

      • 예비음악교사 대상 융합기반 음악교육 수업 설계

        임새롬(Im, Saerom),최경식(Choi, Kyeongsik)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 2022 융합교육연구 Vol.8 No.1

        이 연구는 음악교육의 성공적인 목적 달성을 위한 예비음악교사 대상 융합기반음악교육 수업을 설계한 것이다. 이를 위해 Maxine Greene의 예술교육철학과 LCE예술교육, 융합교육을 고찰한 후 세 분야의 공통점과 특성을 고려하여 도출한 핵심적인 수업원리를 활용하였다. 설계 내용은 융합기반 음악교육의 수업목적과 수업설계의 방향, 수업단계,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을 설정하고 수업모형을 선정 후 세부내용으로 조직하였다. 이 수업은 융합기반 음악교육을 통해 예비음악교사의 미적 경험과 음악 중심의 융합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수업 전문성 및 긍정적 정체성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학습자의 개념 발달과 이해를 바탕으로 학습자가 의미를 재조직화할 수 있도록 구성주의에 입각한 ‘의식적 주목-체화 인지-의미 창조의 수업단계를 가지며, 각 단계는 강의, 교사 모델링, 마이크로티칭으로 구성된다. 6영역의 성취기준 및 ‘아쉬운-가능성 있는-우수한’의 서술형 3단계 성취수준으로 구분하였고, 수업모형은 Bybee의 5Es를 선정하였다. 한 학기 과정으로 총 12회기에 걸쳐 이루어지는 이 수업은 예비음악교사들이 수업 전문성을 발휘하여 자신의 음악적 삶뿐 아니라 학습자들의 삶에 음악이 깊이 자리하도록 안내할 수 있는 음악교사로 성장하게 할 것을 기대한다. This study designed convergence-based music education classes for prospective music teachers to achieve the successful purpose of music education. To this end, after contemplating Maxine Greene s philosophy of art education, LCE art education, and convergence education, the core teaching principles derived in consideration of the commonaliti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fields were used. To this end, after contemplating Maxine Greene s philosophy of art education, LCE art education, and convergence education, the core teaching principles derived in consideration of the commonaliti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fields were used. To this end, after contemplating Maxine Greene s philosophy of art education, LCE art education, and convergence education, the core teaching principles derived in consideration of the commonaliti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fields were used. This class aims to improve teaching expertise and positive identity by strengthening aesthetic experiences and music-oriented convergence capabilities for prospective music teachers through convergence-based music education. Based on learners concept development and understanding, there is a class stage of conscious attention-embodied recognition-meaning creation based on constructivism so that learners can reorganize their meanings, and each stage consists of lectures, teacher modeling, and micro-teaching. There are 6 areas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descriptive three-step achievement level of not enough-possible-outstanding were divided, and the class model was selected as Bybee’s 5Es. This class, which runs for a total of 12 sessions for a semester, is expected to help prospective music teachers grow into music teachers who can guide music deeply into learner’s lives as well as their own musical lives by demonstrating their teaching expertise

      • SW교육 선도학교 사례 분석을 통한 SW교육 중심 초등 융합인재교육 방안

        이소율(Yi, Soyul),이영준(Lee, YoungJun)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 2017 융합교육연구 Vol.3 No.1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는 사물 및 현상을 통합적이고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켜줄 수 있는 융합인재교육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학습자들의 컴퓨팅 사고력의 함양을 위한 SW교육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초등 교육의 성격과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의 융합인재교육에 대하여 살펴보고, 초등 교육에서의 융합인재교육의 실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에 따라 초등에서 SW교육을 중심으로 융합인재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시사점을 이끌어냈다. 또, 초등 SW교육 선도학교의 SW교육 중심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세 가지 사례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고, 각각의 사례에서 드러난 교과 융합 방법과 초등에서의 융합인재교육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ing methods of SW education–centered elementary STEAM education through case analysis of SW education leading school for cultivate creative and converged people who are future human resourc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For this,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STEAM educ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we discussed how to implement the STEAM education in elementary efficiently. And this led to the suggestion that it is more advantageous to conduct STEAM education centered on SW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han other school level. In addition, we analyzed the case of SW education relative with subjects in curriculum, the case of SW education centered STEAM project education, and the case of SW education using interactive art. We discussed the how to integrate of the subjects in each case and the STEAM education methods and practices in elementary school.

      • 프로젝트형 SW융합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융합적 문제해결력 및 소프트웨어 관련 진로지향도에 미치는 영향

        박민정(MinJeong Park),백성혜(Seoung-Hey Paik)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 2023 융합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프로젝트형 SW 융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융합적 문제해결력과 소프트웨어 관련 진로지향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군 27명, 대조군 27명을 대상으로 2022년 6월부터 7월까지 총 23차시의 연구가 진행되었다.실험집단의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불편함과 문제를 ‘발견’하고 이를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협력하여 융합적으로 해결하는 활동에 중점을 두었다. 연구 기간 동안 대조군은 국어,수학, 실과, 미술, 창의적 체험활동의 일반 교육과정을 수강하였다. 수업 전후에 두 집단 모두 동형시험지로 비슷한 시기에 융합적 문제해결력과 소프트웨어 관련 진로지향도를 평가하였다.융합적 문제해결력과 진로지향도를 대응표본 t-검정과 독립표본 t-검정으로 검정하였다. 하지만 코로나19 등 외부 변수로 인한 학습 격차로 학생들의 동질성을 확보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독립표본 t-검정뿐만 아니라, 대응표본 t-검정으로도 각 집단 내 질적, 양적 변화를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소프트웨어 관련 진로 인식에 대해서는 학생들의 설문조사를 통한 질적 연구가 동시에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프로젝트형 SW융합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융합적 문제해결능력과 소프트웨어 관련 진로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융합적 문제해결능력 검사의 응답 t-검정 결과 대부분의 하위영역에서 통제집단은 소폭 감소하였으나 실험집단은 소폭 증가하였다. 둘째, 소프트웨어 관련 진로지향성에서는 실험집단의 소프트웨어 관련 진로가치 인식 영역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반면 대조군의 경우 소프트웨어 관련 경력가치 인식 영역은 변화가 거의 없었고, 영역 평균은 소폭 감소했다. 마지막으로 소프트웨어 관련 진로지향에 대한 설문에 대한 응답에서 실험집단 학생 27명 중 21명이 소프트웨어 융합교육에 만족했으며 응답자 대부분이 소프트웨어 관련 진로의 중심이 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이를 통해 프로젝트형 SW융합 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소프트웨어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향후 진로를 고민하는 계기가 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지식 전달 위주의 기존 교수법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발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지식을 연결하고 융합한 경험이 학생들의 융합적 문제해결 능력에 도움이 되었다고 판단된다. 프로젝트형 SW융합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융합적 문제해결능력과 소프트웨어 관련 진로지향성을 향상시키는 유익한 교육방법으로, 소프트웨어 중심의 미래사회에 필요한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convergent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software-related career orientation after developing a project-type SW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A total of 23 studies were conducted from June to July 2022 on 27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7 control groups in the 6th grade of M elementary school in H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lows: First, the project-type SW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onvergent problem-solving ability of six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oftware-related career orientation. Second, in the software-related career orientation, the experimental group's software-related career value recognition area wa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rd, in the response to the questionnaire on software-related career orientation, 21 out of 27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atisfied with software convergence education, and most of the respondents said they would be the center of the job for software-related career. Through this, the project-type SW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gives students satisfaction with software and is judged to have become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future career paths. The project-type SW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is a beneficial educational method that improves students' convergent problem-solving ability and software-related career orientation. However, since this study was applied to a small number of sample students,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In the next follow-up study, a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should be applied to more sample students, and various variables should be 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