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습지향성 및 상사-부하 교환관계의 질이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온세현,박계홍,최영근 한국상업교육학회 2011 상업교육연구 Vol.25 No.2

        기업혁신의 선행요인으로 관련 연구들은 조직수준의 학습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기업이 구성원의 학습활동에 대해 장려하고 비전을 공유하며 구성원의 의견을 경영진이 의사결정에 적극 반영하여 시행하는 기업문화의 개념인 학습지향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학습지향성의 결과 변수로 조직수준의 혁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조직의 변화와 혁신은 새로운 가치창조 능력을 필요로 하며 가치창조는 구성원 개인에 의해 창출되는 것이기 때문에 개인수준의 혁신활동은 조직혁신의 원천이 될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습지향성이 개인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상사는 조직에서 혁신을 주도하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상사-부하의 교환관계 질은 부하의 혁신행동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상사-부하의 교환관계 질은 조직의 학습지향성이 개인혁신행동을 유발하는 것을 강화시킬 수 있는 관리적 조절요인으로서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세 가지 관점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조직의 학습지향성 수준이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고 실증분석 하였다. 둘째, 상사-부하의 교환관계 질에 따라 부하의 혁신행동이 달라지는지를 실증분석 하였다. 셋째, 학습지향성이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조절요인으로 상사-부하 교환관계의 질을 제시하고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조직의 학습지향성은 구성원의 혁신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사-부하 교환관계 또한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셋째, 조직의 학습지향성이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상사-부하 교환관계의 질이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문적으로 첫째, 학습지향성의 결과변수로 개인혁신행동의 개념을 제시하고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둘째로는 조직의 학습지향성이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강화할 수 있는 관리적 조절요인으로 상사-부하 교환관계의 질을 제시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실무적으로 기업현장에서 학습 지향적 조직문화를 통해 조직의 혁신을 위해 노력하는 경영진들에게 상사-부하 교환관계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긍정적인 상사-부하 교환관계는 조직공정성과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주로 선행요인으로 제시되고 있어 실무적으로 조직공정성에 대한 관리와 경영 관리자들에게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studies of innovation have suggested learning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s the antecedent of organization innovation. Especially, they have emphasized learning orientation, as a kind of organizational culture, which promotes the innovation activity of employees, shares the vision of organization, and actively adopts the opinion of employees. But because the organizational change and innovation require the ability of creation of new value and the new value is created by employees, the innovation activity at the individual level is the origin of organization innovation. Nevertheless, few researches examined the effect of learning orientation on individual innovative behavior and suggested managerially modulating factors to strength the effect. And also, because leaders are positioned to encourage innovation, leader-member exchange may influence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with three perspectives. First, we suggested and empirically verified the effect of learning orientation on the innovative behavior of employee. Second, we suggested and empirically verified if leader-member exchange may influence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Third, we suggested and empirically verified the modulating effect of leader-member exchan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orientation and the innovative behavior of employee. In the results, first, learning orientatio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dividual innovative behavior. Second, the quality of leader-member exchange also influences positively individual innovative behavior. Finally, the quality of leader-member exchange enforce positively the impact of learning orientation on individual innovative behavior. This study provides two academic contributions. First, we develop the individual innovative behavior as the dependent variable of learning orientation. Second, we introduce the quality of leader-member exchange that positively streng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orientation and the innovative behavior of employee. Practically, we provide the importance of leader-member exchange to top management that try to promote the innovative behavior of employee in the context of learning orientation. Organizational justice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re suggested as the major antecedents of the quality of leader-member exchange, so we provide the practical implication that top management should manage organizational justice and the education of leadership is very important.

      • KCI등재

        인간-로봇 소통의 인식론적 기초와 윤리

        조광제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1 철학논집 Vol.24 No.-

        우리는 타인의 현존이 필연적임을 밝혀내기 위해 "소통적 영역으로의 환원"(Reduktion zur kommunikative Sphare)을 수행함으로써 우리 삶의 실천적인 진실을 구해내야 한다. 소통 영역으로의 환원을 위한 네 단계의 과정을 찾을 수 있다. 첫째로, 내가 하나의 사물임을 정확하게 인정해서 받아들이는 과정이다. 둘째로, 나를 그러한 사물로 구축해 내는 이른바 타인의 시선을 나의 존재 조건으로 정확하게 인정해서 받아들이는 과정이다. 셋째로, 타인의 시선이 발휘되는 곳이 사물로 주어진다는 바로 그 사태를 바탕으로 해서 이윽고 나의 시선이 성립한다는 것을 정확하게 인정해서 받아들이는 것이다. 마지막 넷째로, 나와 타인 간에 시선 교환이 이루어지면서 서로에게서 사물성을 발견하는 바 사물성의 교환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정확하게 인정해서 받아들이는 것이다. 소통은 결국 행동을 주고받는 것, 즉 행동의 교환이다. 행동은 항상 상황 속에서 이루어지며 그 바탕은 몸 전반의 감각과 운동이다. 그래서 행동의 교환은 곧 감각의 교환이자 운동의 교환이다. 거기에 시선의 교환과 더불어 몸들 간의 사물성의 교환이 매설되어 있음은 말할 것도 없다. 여기에서 우리는 소통 자체가 또 하나의 행동임을 염두에 두고 있다. 행동을 통한 행동의 교환이 곧 소통인 것이다. 인간과 로봇 사이에 소통이 가능한가 하는 문제는 인간과 로봇의 관계가 소통 상황에 의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가, 말하자면 인간과 로봇 사이에 행동의 교환이 성립하는가, 즉 인간과 로봇 사이에 시선과 사물성의 동시적인 교환이 성립하는가 하는 문제로 연결된다. 또 이는 로봇의 동작에서 상황인 행동이 발휘되는가 하는 문제로 압축된다. 로봇에게 나를 바라보면서 나를 사물로서 느낄 수 있는 시선의 힘을 최대한 강화하고 보장해 줄 때, 나는 로봇과의 소통을 통해 새로운 방식으로 나를 사물로 느낄 수 있을 것이고, 그에 따라 새로운 방식으로 뭇 사물들과 공명할 수 있을 것이다. 중요한 것은 서로 간에 행동을 통해 시선과 사물을 상호 동시적이고 등가적으로 교환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점이다. 그럴 때 소통의 윤리적인 가치가 제대로 발생하고 작동할 것이기 때문이다. We ought to perform "reduction to communicative sphere" in order to discover the necessity of existence of others. This reduction can be performed through four processes. 1) to recognize and receive my own thingness. 2) to recognize and receive the fact that gaze of other man establish my own thingness and it is condition my own being. 3) to recognize and receive the fact that at first the place of gaze of other man is given as a sort of thing and then upon this my own gaze is emerged. 4) finally, to recognize and receive the fact that between me and other man exchange of thingness emerges in exchanging of gazes. Communication is finally an exchange of behaviors. It is impossible to deny that in such a communication, exchange of gazes and thingness is composed. We ought to consider communication itself is a behavior. Exchange behaviors through behavior, it is communication. The question that it is possible for human being and robot to communcate can be expressed as follows: can the relation of human being and robot be considered as one by communication-situation; can exchange of behaviors be consisted between two; can exchange of thingness and gazes be consisted between two; in a word, can robot perform the behavior as situation. As much as we establish and strengthen power of gaze in robot which makes me a thing, we could experience us things newly through communication with robot, and we resonate to all things. We must have a capacity to exchange gazes and thingness synchronously and equivalently through behaviors each other. As much as we success to achieve such a capacity, we can generate a true ethical value of communication.

      •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PECS) 중재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눈 맞춤, 구어 모방, 상동행동에 미치는 효과

        윤주연 한국심리협회 2013 심리행동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PECS)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눈 맞춤,구어 모방,상동행 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일반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11세의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1명을 대상으로 행동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통하여 기초선,중재,유지 순으로 중재를 적용하 였다.중재는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 1단계 교환의 원리,2단계 거리의 지속성 단계로 20분 동안 지원하였다.대상 아동의 행동 관찰은 그림교환의사소통 체계 중재가 끝난 이후 자연스러운 상황 에서 대상 아동 행동을 10분 동안 관찰하였다.자료 수집은 대상 아동이 정규 수업 시간이 마친 이후 방과 후 수업 시작 전 10분 동안 눈 맞춤 발생률,구어 모방 발생률,상동행동 발생률을 부 분 간격 기록법으로 측정하였다.연구 결과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 중재를 통해 눈 맞춤,구 어모방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상동행동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중재가 철 회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행동이 유지 되었다.

      • HPC 컨테이너 기반 고속 GPU자원 연동을 위한 다차원 자원관리 구조 활용 및 배치 기술

        길주현(JuHyun Kil),안재훈(Jae-Hoon An),김영환(Younghwan Kim) 대한전기학회 2021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오늘날 4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HPC(고성능컴퓨팅, High Performance Computing)) 환경에서의 머신러닝과 딥러닝의 워크로드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와 함께 데이터가 생겨나는 속도와 양이 증가하였고 HPC 환경에서 다루어야 할 컨테이너의 개수 또한 비약적으로 늘어났다. 이렇게 늘어난 컨테이너 관리 부담에 대응해 최근 많은 기업들은 이러한 HPC워크로드를 클라우드 환경으로 옮겨 컴퓨팅 리소스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 쿠버네티스와 같은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도구를 활용하였다. 또한 기존의 컴퓨팅 리소스 만으로는 늘어나는 부하를 감당할 수 없어 GPU와 같은 가속기를 사용해 부하를 줄이는 방법을 채택했다. 하지만 대규모 데이터 처리에 따른 효율적 리소스 관리를 위한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과 가속기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정작 컨테이너 환경에서 GPU응용을 수행할 때 리소스는 효율적으로 관리되지 못한다. 한 컨테이너가 전체 GPU를 독점하여 유휴자원으로 자원이 낭비되거나 컨테이너 스케줄링 시에도 GPU 상태를 고려하지 않아 최적의 스케줄링 결과를 얻어내지 못하는 상황이 생기기 때문이다. 따라서 GPU의 유휴자원을 최소화 하고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쓰기 위해 가상 GPU 환경에서의 GPU 나눠 쓰기가 필요하며 GPU 상태를 고려한 스케줄링을 통해 단축된 처리시간을 어. 이에 본 논문에서는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인 쿠버네티스 환경에서 GPU응용의 스케줄링 시 GPU상태와 관련한 다차원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과, 하나의 GPU자원을 동시에 여러 컨테이너들이 공유해 자원 활용률을 높이고 작업 시간 단축이 가능한 아키텍처를 제안한다.

      • KCI등재

        사회적 교환과 경찰공무원의 안전행동

        임운식(Lim Woon Sik) 한국공안행정학회 2007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16 No.4

        이 연구는 사회적 교환이론에 근거하여 경찰공무원의 안전행동에 대한 가설들을 설정하고, 대구 지역 경찰관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경험적으로 분석하여 그 가설들을 검증했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사회적 교환이론 변인은 직무만족(업무자체, 업무량, 승진, 급여 및 복리후생), 조직 내 교환관계(지각된 조직지지, 안전관련 지각된 조직지지, 상사-부하간 교환관계, 안전관련 상사-부하간 교환관계, 동료간 교환관계, 안전관련 동료간 교환관계), 의사소통만족(조직 및 상사와의 의사소통, 동료와의 의사소통, 안전의사소통)이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만족 요인들 중 업무량과 승진은 경찰공무원의 안전행동과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업무자체 변인과 급여 및 복리후생 변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조직 내 교환관계 요인들 중 안전관련 지각된 조직지지, 안전관련 상사-부하간 교환관계, 동료간 교환관계, 안전관련 동료간 교환관계는 안전행동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었지만 안전과 관련되지 않은 일반적인 지각된 조직지지, 상사-부하간 교환관계는 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의사소통만족 요인들은 모두 안전행동에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넷째,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난 변인들만 다 같이 포함시킨 최종 모형의 분석 결과 급여 및 복리후생, 의사소통 관련 변인들의 효과는 모두 사라졌고 업무자체, 안전관련 지각된 조직지지, 안전관련 상사-부하간 교환관계, 동료간 교환관계, 안전관련 동료간 교환관계는 여전히 안전행동에 강한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경찰공무원들의 안전행동을 증진하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police officers' safety behaviors based on social exchange theory. This study conceptualizes three components of social exchange which could be relevant to safety behavior : job satisfaction, exchanges in organization, and communication satisfaction. Specifically, each component of social exchange includes several factors as follow. First, job satisfaction is composed of "satisfaction in work itself", "workload", "promotion", and "salary and benefits." Second, the component of exchanges in organization consis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 general",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safety", "leader-member exchange", "leader-member exchange regarding safety", "co-worker exchange", and "co-worker exchange regarding safety." Finally,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is made up of "communication with organization and supervisor", "co-worker communication", and "safety communication." Principal component method is used to see which items cluster together in each factor and to calculate factor scor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dentifies several factors which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afety behavior. Key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among the factors of job satisfaction, "satisfaction in work itself" and "salary and benefits" have significant effects. Seco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safety", "leader-member exchange regarding safety", "co-worker exchange", and "co-worker exchange regarding safety" have significant effects. Third, all the factors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afety behavior. Finally, when all the variables with significant effects are included in the final model, the effects of "salary and benefits", "communication with organization and supervisor", "co-worker communication", and "safety communication" disappear, while the effects of "satisfaction in work itsel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safety", "leader-member exchange regarding safety", "co-worker exchange", and "co-worker exchange regarding safety" remain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some policy issues to promote police officers' safety behaviors.

      • 리더멤버 교환, 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한광현 전주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00 産經論叢 Vol.19 No.1

        본 연구에서는 첫째로 거래적, 변혁적 리더십 유형과 리더-멤버 교환이론에 따른 리더십 유형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둘째로, 각각의 리더십 유형과 그 하위구성요인에 따른 조직시민행동 효과 차이, 즉 거래적, 변혁적 리더십 유형 및 리더-멤버 교환관계에 따른 리더십유형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론적 배경을 통하여 설정하였던 가설은 일부 기각되었지만 대체로 지지되는 것으로 판명이 되었다. 먼저 리더-멤버 교환의 결과 다른 리더십 행동간의 상관관계는 변혁적 리더십과는 상호 영향을 미치는 정적 관련성을 보여주고 있다. 리더-멤버 교환의 질과 거래적 리더십의 경우 상황에 따른 보상과는 정적 관련성 그리고 예외에 의한 관리와는 부적 관련성이 확인되었다. 특히 리더의 행동수준과 부하들과의 상호작용에 따라서 거래적 리더십의 두 구성요인 즉 상황에 따른 보상과 예외에 의한 관리가 서로 상이한 결과를 보여주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었다. 거래적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과의 영향관계는 거래적 리더십의 두 구성요소 모두와 기대와는 다르게 부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변혁적 영향관계가 확인되었으나, 지적자극은 그 결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리더-멤버 교환관계의 질은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가장 조직시민행동을 잘 설명해 주는 것으로 밝혀져 흥미가 있었다. 직무와 연관된 성과차원 뿐 아니라 직무외적 성과차원을 설명하여 주는 조직시민행동과 리더-멤버 교환의 질에 대한 관련성의 확인은, 앞으로 이 분야에 대한 보다 정밀한 연구의 수행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조직 내 사회적 교환관계와 역할내․외 안전행동 간의 관계와 심리적 안전감의 매개역할 연구: 항공사 승무원을 중심으로

        서동희,김학수 한국항공경영학회 2024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saf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MX, TMX, and in-role and extra-role safety behavior among airline flight attendants. The safety management of airlines has gained attention particularly in these days due to incidents involving passengers attempting to open or opening exit doors during flights. Considering that flight attendants are responsible for the core aspect of in-flight safety, their safety behaviors can be deemed highly significant. It is essential to create a work atmosphere that fosters the promotion of flight attendants safety behaviors. The psychological safety is the belief that no matter what comments or actions they make, it will not lead to significant harm to themselves, as part of their perception of the work environment. In addition, flight attendants can foster a sense of psychological safety, conducive to active communication, by cultivating positive relationships with supervisors and colleagues with whom they work closely. The focus of this study lies on the organizational social exchange relationships, particularly Leader-Member Exchange (LMX) and Team-Member Exchange (TMX). LMX denotes a vertical exchange relationship characterized by long-term mutually beneficial norms, emotional support, and recognition between supervisors and subordinates. On the other hand, TMX signifies a horizontal exchange relationship within a team, involving the provision of task-related information and assistance among team members. By summarizing this logic, it was assumed that psychological safety would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MX, TMX, and in-role and extra-role safety behavior. Data from 304 airline flight attendants were collected using methods such as in-person visits and email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psychological safety had a positive effect on in-role and extra-role safety behavior. Secondly, LMX and TMX had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safety. Third, psychological safety was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hange relationships, LMX and TMX, and in-role and extra-role safety behavior. Specifically, LMX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in-role and extra-role safety behavior only through psychological safety enhancement, while TMX played both direct effects on in-role and extra-role safety behavior and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rough psychological safety. As implications of this study, it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flight attendants’ in-role and extra-role safety behaviors. Moreover, by elucidating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safety, which emphasizes interpersonal asp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MX, TMX, and in-role and extra-role safety behavior, the study expands the scholarly understanding of flight attendants’ safety behaviors. Furthermore, it is significant in that practical management strategies were proposed to encourage flight attendants’ in-role and extra-role safety behavior to the airline’s leaders and management.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사 승무원을 대상으로 LMX, TMX와 역할내․외 안전행동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전감의 매개역할을 규명하는 것이다. 승객이 비행 중인 항공기의 출입문을 개방하거나 개방하려는 시도가 발생하면서 항공사의 안전관리가 주목을 받고 있는데 승무원은 기내안전을 책임지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므로 승무원의 안전행동은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승무원의 안전행동을 촉진시킬 수 있는 업무 분위기를 조성할 필요가 있는데, 승무원이 업무환경에 대한 인식으로서 자신이 어떠한 발언 등을 하더라도 자신에게 큰 위해가 되지 않는다는 믿음인 심리적 안전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승무원은 같이 근무하는 상사, 동료와 좋은 관계가 형성되어야 의사소통을 활발하게 할 수 있는 심리적 안전감이 촉진될 수 있다. 조직 내 사회적 교환관계인 LMX(Leader-Member Exchange)와 TMX (Team-Member Exchange)에 관심을 두었는데, LMX는 상사와 부하직원 간의 장기적인 상호호혜적 규범, 정서적 관심․인정 등의 수직적인 교환관계를 의미하며, TMX는 팀원과 팀의 다른 구성원 간에 업무와 관련된 정보, 도움 등을 제공하는 수평적 교환관계를 의미한다. 이러한 논리를 정리하여 LMX, TMX와 역할내․외 안전행동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전감은 매개역할을 할 것으로 보았다. 직접 방문, 이메일 등의 방식으로 항공사 승무원 304명 자료를 수집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안전감은 역할내․외 안전행동에 정적인 영향이 나타났다. 둘째, LMX, TMX는 심리적 안전감에 정적인 영향이 나타났다. 셋째, LMX, TMX와 역할내․외 안전행동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전감의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LMX는 심리적 안전감을 통해서만 역할내․외 안전행동을 향상시키는 완전 매개효과가 나타났고, TMX는 역할내․외 안전행동의 직접적인 효과와 더불어 TMX가 심리적 안전감을 거쳐 역할내․외 안전행동을 향상시키는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승무원의 역할내․외 안전행동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조직 내 사회적 교환관계인 LMX, TMX와 역할내․외 안전행동 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심리적 안전감의 매개역할을 규명하면서 승무원의 안전행동에 대한 학문적 외연을 확장시켰다. 또한, 항공사의 경영진과 리더에게 승무원의 역할내․외 안전행동을 촉진시키는 실무적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구성원들의 조직지원인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동료 간 교환관계의 조절효과

        동중앙아시아경상학회 동중앙아시아경상학회 2018 동중앙아시아연구 Vol.29 No.1

        조직시민행동이 구성원과 조직에 모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변수라는 관점은 많은 연구자들로부터 강조되어 왔다. 조직시민행동은 총체적으로 조직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행동을 의미한다. 그래서 조직시 민행동은 조직성과에 기여하는 개인 수준의 바람직한 행동이라고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 연구는 조직시민행 동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조직지원인식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는 사회 교환 이론에 대한 기존의 연구에 따라, 조직 지원을 더 많이 인식하게 되면 구성원들이 조직에 더 보답하고 더 높은 성과를 달성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조직지원 인식의 역할을 규명하고 이에 따른 조직시민행동의 수준을 검증하였다. 또한 조직지원인식의 영향력을 증대시키는 방안으로 동료 간 교환관계의 역할을 강조하고 조직지원인식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동료 간 교환관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라 조직지원인식은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을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성원들이 조직지원을 인식할 때, 동료 간 교환관계가 높을수록 조직시민행동이 더 높아지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동료 간 교환관계는 조직지원 인식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이 연구는 이론에 대한 함의가 논의되었고 실무적 시사점들을 제시하였다. 더 나아가 향후 연구에 대한 방향성이 제시되었다. The role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s a positive variance in both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member has been emphasized by many researche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refers to the voluntary behavior that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organization. Therefor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can be seen as a desirable behavior at the individual level that contributes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focused o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 order to enhanc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ccording to precedent studies on social exchange theory, more awareness of organizational support leads organizational members to reward organizations and achieve higher performance. Thus, this research identified the rol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as verified by low or high degre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 addition, we emphasized the role of coworker exchange as a way to increase the influenc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coworker exchan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s research focused on workers in Korean companies and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organization support enhances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additi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creased when members more perceived support from their organizations. Moreove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creased when organizational member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igher rather than they perceived lower organizational support. Thus, the coworker exchange positive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its moderating effect has been verifi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Furthermore, this research suggeste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PECS)를 활용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은선,김은경 한국행동분석학회 2016 행동분석․지원연구 Vol.3 No.2

        이 연구에서는 그림교환 의사소통체계(PECS)를 활용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문제행 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중증 자폐성장애 학생 1명으로 복합 중재설계를 이용하여 그림교환 의사소통체계(PECS)를 활용한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를 실시하 였다. 특수학급 쉬는 시간 및 수업시간에 배경 및 선행사건 중재, 대체기술 교수 중재, 후속결과 중재를 포함하는 긍정적 행동지원을 실시하였으며 중재가 끝난 2주 후 유지 효과를 관찰하고 특수교사 및 특수 교육과 학부생 50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타당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그림교환 의사소통 체계(PECS)를 활용한 긍정적 행동지원을 통하여 대상 학생의 획득 기능 문제행동이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회피 기능 문 제행동은 약간 감소하였고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중재의 효과가 유지되었다. 이 연구는 그림교환 의사소 통 체계(PECS)를 활용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무발화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에게 의사소통의 형태를 갖추게 함으로써 문제행동 지도에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함을 보여주었다는 것과 감각자극에 문제를 지닌 자폐성 장애 초등학생에게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를 할 때 효과적인 중재와 효과성이 덜 나타난 중재의 차이를 보여주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