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료인의 환자 전인 치유를 위한 영적 돌봄

        노현기(Noh Hyun Ki)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2015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5 No.1

        "Cure the sick, raise the dead, cleanse those suffering from virulent skin-disease, drive out devils" (Matthew 10,8). Caring for those who are sick and suffering from the disease is an important duty of the Catholic church. Pain is subjective. In order to understand the patient's pain, it is important to acknowledge the patient as a person. Christianity proclaims that God created humans in the form of God. These contain the broad meaning of the existence of human beings as a whole which interacted, explain that the body, the soul and the spirit cannot be separated. Christian belief of God's presence in the very beginning of the creation of humans supports the transcendental connection between God and humans. Christianity acknowledges humans as holistic beings who strive for the profound meaning of spiritual origin and transcendence under the influence of the mutual relationship among body, soul and spirit. In today's medical practice, are we providing holistic car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as a whole? Although healthcare providers are aware of the basic principles of Geneva Convention which is the respect of the human being and its dignity, it is not easy for them to follow these principles in reality.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medical practice has focused on treating the disease instead of seeking the need of patients. This attitude creates a lack of humanity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In this situation, Jesus as a role model of holistic healthcare provider is well described in the Gospels. During his life as a human, Jesus always reached out for the sick to cure them with love and compassion. While praying in Getsemani, he showed us the importance of spiritual care along with the physical care when treating the sick. Jesus himself never hesitated to reach out and cure those who are sick. He approached them first and offered physical cure as well as spiritual healing. The resurrection of Jesus after crucifixion proved salvation from the suffering. He always prayed while curing the sick, and followed God's will to glorify God's divine power. Jesus' mission teaches us the divine power of prayers and consolation. Therefore, it becomes clear that the role of the healthcare providers should not focus only on the treatment of physical symptoms but also should involve spiritual care. Like the good Samarian, we should be compassionate for those who suffer from the pain and share God's love. With the talent given by God, healthcare providers should treat the patient as a person, share their pain and show respect so patients do not feel abandoned and isolated. At the same time, healthcare providers should approach the patients with love and compassion and encourage them to believe in God's healing. In order to provide holistic care, healthcare providers themselves should realize that they are also healed by God. By accepting themselves as the cured ones and the ones in need of spiritual care, they can share God's love and compassion. Only then, they can provide holistic care by leading the sick to the road of salvation through overcoming various difficulties caused by pain. "앓는 이들을 고쳐주고 죽은 이들을 일으켜 주어라. 나병 환자들을 깨끗하게 해 주고 마귀들을 쫓아내어라."(마태 10,8) 라는 예수님의 말씀처럼 가톨릭교회는 병자들에 대한 봉사를 교회의 주요 직무 가운데 하나로 여기고 있다. 환자의 고통에 전인적으로 응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환자, 즉 인간을 전인적 존재로 이해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리스도교는 하느님의 모상으로서 인간이 창조되었다고 고백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실은 인간이 영, 혼, 육으로 나눠진 부분의 집합체가 아니라 오히려 이러한 부분들이 상호 영향을 끼치고 있는 하나의 전체로서의 전인적 존재임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그리스도교 신앙은 인간 창조의 순간 하느님의 숨결이 함께 하였음을 고백함으로써 인간이 하느님과 초월적으로 연결된 영적 존재임을 고백하고 있다. 따라서 그리스도교는 영적 존재로서의 인간을 육체-정신-영혼의 상호 통교 아래에서 영의 본질적이며 초월적인 의미를 추구하고 사는 심오한 일체성을 갖춘 통합적 존재로 인식하고 있다. 그렇다면 오늘날 의료 현장에서는 이러한 인간 이해가 바탕이 된 전인적 치유가 이루어지고 있는가? 과학의 발달과 더불어 과학화ㆍ전문화ㆍ분업화된 의료는 환자를 의료행위의 주체가 아니라 대상으로 취급하게 되었고, 환자는 질병에 대한 기계적인 치료만을 받게 됨에 따라 질병 경험에 따른 근본적인 불안과 고통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게 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복음은 우리에게 전인적 치유의 모델로서의 예수 그리스도의 모습을 잘 전해주고 있다. 예수 그리스도는 공생활 가운데서 늘 병자들을 돌보셨으며 그들을 향한 자비와 사랑을 거두지 않으셨다. 뿐만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는 겟세마니 동산에서 고통 가운데 기도하시면서 고통 중에 있는 이들이 무엇을 갈망하고 있으며, 이들을 온전히 치유하기 위해서는 질병에 대한 육체적 치료 외에도 영적인 돌봄이 함께 병행되어야 함을 일깨워주셨다. 예수 그리스도는 당신이 만나는 모든 사람들을 언제 어디서나 고쳐주셨고, 이들의 아픔에 극진한 사랑과 연민의 마음으로 함께 하심으로써 육체적 질병뿐만 아니라 전인적 치유를 위한 영적인 돌봄도 함께 베풀어주셨다. 또한 십자가의 수난을 겪으시고 부활하심으로써 각자가 안고 있는 고통을 마주하는 가운데서 하느님과 하나 되는 구원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길을 마련해주셨다. 그리고 병자들과 함께 하시며 그들을 치유하시는 가운데서도 기도를 잊지 않으심으로써 당신의 모든 행위를 성부 하느님의 역사하심으로 성화시키셨고 기도가 가지는 거룩한 힘과 끝없는 위로를 우리에게 알려주셨다. 이제 오늘날 의료인들이 어떠한 모습으로 자리해야 하는지가 분명해졌다. 그들은 육체적ㆍ정신적 질병만을 치료하는 사람이 아니라 영적인 돌봄도 아끼지 않는 전인적 치유를 지향하는 돌봄 제공자로서의 의료인이 되어야 한다. 착한 사마리아인의 비유에서처럼 자비로운 마음과 연민의 마음으로 고통 중에 있는 이들 곁에 머무르는 따뜻한 동반자로서 하느님을 도와 하느님의 사랑을 전달해야 한다. 하느님으로부터 받은 치유의 능력을 발휘해 병을 직접 치료해주어야 하며, 하느님의 치유가 자리할 수 있도록 인격적인 친밀함 가운데 환자의 아픔을 함께 나누고 위로와 격려를 베풀어야 한다. 환대의 미덕을 통해서 그들에게 자신을 온전히 개방하여 고통 가운데서 버림받음과 소외됨을 느끼지 않도록 돌보아야 한다. 그리고 기도와 돌봄을 통해서 그들을 향한 하느님의 현존과 사랑을 드러냄으로써 희망을 잃어버리지 않게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의료인 스스로가 상처받은 치유자임을 인식함으로써 하느님과 깊은 관계에 머물러 있어야 한다. 자신 또한 똑같은 영적인 돌봄을 필요로 하며 같은 고통을 겪고 있는 한 명의 상처받은 인간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을 때 비로소 하느님의 사랑과 연민을 그들에게 전해줄 수 있다. 그리고 바로 그때 고통이 가져다주는 여러 가지 어려움을 넘어서서 진정한 구원을 향한 길, 전인적 치유를 향한 길로 그들을 이끌어 줄 수 있다.

      • KCI등재

        무의미한 연명의료의 중단과 존엄사의 제 문제

        문성제 법조협회 2009 法曹 Vol.58 No.6

        Modern medicine started from struggles for overcoming a variety of incurable diseases and has made steady and successful efforts to liberate human being from suffering of diseases, but involves unprecedented side effects as well, including those related to holistic medicine primarily for terminal diseases. On the one hand, the advancement of medical science and technologies has its own implications in a sense that it contributed to prolonging the life of patients. On the other hand, physical and mental pain patients feel has robbed terminal patients of even their own dignity. In this context, patients' self-determination right for death of dignity is to give a chance to terminal patients to opt for liberate themselves from overplus of pain. And this study focuses primarily on discussing how to resolve potential conflicts concerned with those issues of life. In order to respect the self-determination of patients, American judicial precedents and legislation has permitted patients' right to deny any medical treatment for prolonging life, i.e. passive euthanasia(easy death) since 1970's, to the certain extent allowable legally. In particular, Oregon Death with Dignity Act has acknowledged that terminal patients may commit physician-assisted suicide. Such a physician-assisted suicide of patients becomes a new way of death which has been never discussed in terms of active euthanasia since 1990's. Unlike passive euthanasia in which physician administers lethal dose of medicine to a patient for the purpose of his death, the active euthanasia is a mean for patients to use such lethal dose of medicine as prescribed by physician at their option for suicide. Crucial difference between active and passive euthanasia can be determined by whether ultimate behavior causing death of a patient is committed by physician or the patient himself. Thus, it is found that active euthanasia has faced relatively low objections against legitimation of physician-assisted suicide of patients in a sense that ultimate behavior to cause death of a patient is attributed to the patient himself, so it is easier for active euthanasia to attribute the death of a patient to his own responsibility than passive euthanasia, and the former also has relatively low risk of misuse or abuse in comparison with the latter. In reality, it is obvious that physician-assisted suicide of patients is an issue unacceptable among the public, since physician's behavior for active euthanasia may face other legal responsibilities such as aiding and abetting suicide as provided in criminal law. However, there have been proposed needs for exemption from any legal responsibility for physician-assisted suicide of terminal patients in respect of their self-determination right, as mentioned above. In order reflect such needs and perspectives on local legislation, the Oregon state(USA) has newly established and enforced the Oregon Death with Dignity Act.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historical backgrounds concerned with legislation of the Oregon Death with Dignity Act as well as major legal contents in said act to examine the issues about death of dignity, which may be pointed out in terms of hospice medicine in the future, and thereby consider potential problems concerned with death of dignity. 서울서부지방법원 2008가합6977사건 판결에서 무의미한 연명의료장치의 제거를 청구한 원고들의 주장을 받아들임으로써 무의미한 연명의료와 관련된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야기하였다. 현대 의료기술의 발전은 치유 불가능한 말기환자들에게 있어 생명연장이 가능하게 되었다는 점에서는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으나, 연명만을 위한 무의미한 의료를 통하여 환자들이 받는 육체적·정신적인 고통은 생명연장의 기쁨보다 인간으로서 존엄마저 상실시킬 수 있음이 지적됨에 따라, 환자들에게 스스로 고통으로부터 해방할 수 있는 선택권을 부여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에 이르렀는데 이것이 바로 소극적 안락사와 존엄사의 제 문제이다. 제 외국의 경우 치유 불가능한 말기환자에 대하여 치료중단으로 인한 소극적 안락사를 인정하려는 추세이며, 존엄사는 유일하게 미국 오리건 주에서 존엄사법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 2008가합6977 판결은 무의미하게 연명만을 위한 의료에서 나타나는 문제에 대한 해결의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는 판결이다. 그러나 본 판결이 우리 사회에서 보다 설득력을 갖기 위해서는 의료와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갈등의 문제를 어떻게 조화시키느냐에 따라 그 방향성이 정해질 것으로 본다. 이 같은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연구는 치유 불가능한 환자와 의료상의 제 문제를 중심으로 무의미한 연명의료장치의 제거와 환자의 자기결정 및 의사표시에 관한 제반문제를 검토하고 미국 오리건 주의 존엄사법의 주요 내용과 그 이후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생명 거버넌스의 관점에서 독일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실태: 한국에서의 시사점

        최승호 한독사회과학회 2020 한독사회과학논총 Vol.30 No.2

        This paper aims to present policy implications to Korea by referring to the status and institution of th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f Germany, which has not been introduced in Korea. The research content first deals with how to build life governance with respect to self-determination and holistic care as a theoretical basis. After the examination of the institutional development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n Germany, it is investigated for the applicable disease types, the type of service provided, the distribution of the number of facilities, the number of beds by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n each region, the educational system of service providers, as well the status of related organizations and their activity contents. It is implied from the case of Germany that self-determin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 health care plan during the institutional development process, as well as the equal distribution of medical resources and the establishment of a cooperative governance system with doctors and patients, local governments, and communities, should be prepar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legal system, education for death preparation should be generalized. 현대의 호스피스는 임종을 앞둔 말기 암이나 시한부 환자들이 연명의료를 중단하고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하거나 가정방문 호스피스를 통해 자연스러운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육체적·사회적·정신적으로 돌보는 것을 의미한다. 2003년부터 공적 호스피스 지원사업이 한국에서 시작되었지만 제도적 인프라가 미약하다. 이에 본 논문은 아직 국내에 소개되지 않은 독일 사례를 참고하여 한국에 주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독일 사례의 연구방법은 주로 문헌연구와 통계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내용은 우선 이론적 토대로 웰다잉(Well-dying)을 위한 자기결정권 존중과 전인적 돌봄을 제공하는 생명 거버넌스를 어떻게 구축할 것인지를 다룬다. 그 다음 독일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제도적인 발전을 조사한 후 해당 병종, 서비스 제공 유형, 호스피스·완화의료시설의 대상계층별 시설수와 병상수의 지역별 분포, 서비스 제공인력의 교육시스템, 관련 단체의 현황 및 활동내용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에 의하면 독일 사례에서 현재 소아청소년 병동의 부족과 시설 수의 지역적 편중이 보완점으로 거론되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법적 재정적 지원체계 등이 잘 갖추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독일 사례가 한국에 주는 시사점은 제도적 발전 과정에서 자기결정권 존중과 임종기 건강관리계획 수립, 다른 한편으로 평등한 의료자원의 지역적 배분, 의사와 환자, 지자체와 지역사회와의 협력적 거버넌스 체계 구축, 그리고 궁극적으로 법제도적 발전과 함께 임종기 전에 죽음준비교육이 일반화되어 주체적인 삶과 죽음을 맞이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 KCI등재

        하디의 전인적 선교사역에 대한 선교학적 평가 - 하디의 선교보고서를 중심으로 -

        이후천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6

        캐나다 출신 평신도 의료선교사로 내한한 로버트 알렉산더 하디(Robert Alexander Hardie, 河鯉泳: 1865~1949)는 교회사 학자들에 의하여 “한국교회 부흥의 아버지”로 평가받고 있다. 그가 한국교회의 아버지로 불리는 이유는 말씀의 능력에 의한 그의 성령체험과 공개적인 통회자복이 1903년 원산부흥운동과 1907년 평양부흥운동으로 이어지면서 한국교회 영적 각성운동의 초석이 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현재까지 하디에 대한 연구는 주로 그의 부흥운동과 회심에 대해서만 초점이 맞춰진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부흥운동가로서의 그의 선교활동은 개척자 정신에 투철한 선교사로서의 전체 생애 중 일부에 불과할 뿐이다. 역사적으로 하디는 단순히 부흥운동가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왕성한 활동을 했던 종합적이고 전인적인 선교사였다. 하디의 활동영역은 그의 본래적 활동인 의료선교 외에 신학교육, 한국교회의 영적 초석마련, 문서선교 등 다방면에 걸쳐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선교사인 그의 삶과 선교사역들을 소개하고 선교학적 관점에서 선교의 동기와 목적 그리고 그 방법에 대한 평가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하디의 선교 동기는 순수한 동기들과 불순한 동기들이 혼재되어 있다. 하나님의 이름을 열방에 드러내고자 하는 영광의 동기가 있는가 하면, 서구우월주의 입장에서 서구문화와 서구교회를 선교지에 이식시키려는 제국주의적 동기와 문화적 동기를 발견할 수 있다. 둘째, 그의 선교목적을 평가해 보면, 하디는 거시적 차원에서의 사회복음이나, 사회구조의 개선보다는, 개인 영혼의 구원, 교회설립, 교회성장을 주요한 선교목적으로 삼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그의 선교목적은 기본적으로 개인영혼의 구원이다. 셋째, 하디의 선교방법에는 복음전도와 같은 직접적인 사역에서 시작해서 교육과 의료 및 신학교육과 문서선교 등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간접적인 사역들이 포함된다. A Canadian medical lay missonary Robert Alexander Hardie(1865-1949) is well-known as "the father of Korean revival movement." He ignited the fire of the Korean spiritual revival movement through his spiritual experience based on the power of scripture and his open confession of sin to the public, which gave birth to Wonsan Revival Movement in 1903 and Pyeong Yang Revival Movement in 1907. However, the study on Hardie has been made focused on the revival movement and his conversion. Hardies' missionary ministry as a revival movement activist is merely a part of his life who had a strong pioneer spirit. He was not only a revival movement activist but also an active missionary with integrity who worked in various areas. His ministry covers a wide range of fields such as medical service, theological education and literature ministry as well as the spiritual revival movement. This article introduces his life and ministries and evaluates his reason, purpose and way of approach of the ministry. Firstly, Hardies motivation for his missionary ministry is mixed up with pure and impure ones. His ministry was pure in that his zeal for introducing God's name and revealing His glory to the all nations. On the other hand, we can find the impure aspect of his ministry in that he tried to plant the western culture and Christianity into the target country from an imperial perspective. Secondly, he set the purpose of his ministry not for the social gospel or improvement of social structure but for the individual salvation, church planting and church growth. Therefore the primary purpose of his mission ministry is the individual salvation. Thirdly, his mission approach covers a wide range of ministries such as delivering the gospel messages, education, medical ministry, theological education and literature ministry.

      • KCI등재

        빙엔의 힐데가르트와 의학적/영적 치유 -종교사와 의료인문학의 교차점-

        이민지 한국종교학회 2022 宗敎硏究 Vol.82 No.3

        This paper examines Hildegard of Bingen(1098-1179), a German Benedictine nun, and her religious/medical treatises. Her writings on human body, diseases, and treatments represent the intersections between healthcare and religion: salvation and soundness: health and healing: women and caring duties. While Medical Humanities is a new interdisciplinary field to focus on human experience in interpreting medical knowledge, practice, and health care with critical views, her visions, knowledge, practices, and miracles in healing people can be a good example to re-examine the medical history in relation to religion and women. Hildegard of Bingen’s views of the human body and soul represents how human beings became sick when they committed the original sin and how they could be recovered by regaining the balance of different humors as well as recovering faiths toward God as a community. Her case is useful in the History of Religion and Medical Humanities to understand importance of premodern religious women’s participation in medicine and religion, encouraging the modern readers to acknowledge the complicated concept of the human health and pulbic health.

      • KCI등재

        완화의료 전문인들의 일터영성(workplace spirituality)이 말기환자 돌봄수행에 미치는 영향

        홍영준 ( Hong Young Joon ),임성희 ( Lim Seonghee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가족복지학 Vol.57 No.-

        본 연구의 목적은 일터영성(공동체 의식, 일의 의미)과 돌봄수행(정서적, 사회적, 영적) 그리고 소진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일터영성이 돌봄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소진의 조절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설문조사는 전국 68개 완화의료 전문기관의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성직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114부를 SPSS Statistics 21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일터영성의 하위요인 중에서 공동체의식은 심리적 돌봄에 영향을 미치고, 일의의미는 사회적 돌봄과 영적 돌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진은 돌봄수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소진의 독립적 영향력을 측정한 사후분석에서 사회적 돌봄과 영적 돌봄에 미미한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소진은 일터영성이 돌봄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추후 연구과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rect effects of two workplace spirituality dimensions, community at work and meaning in work, and burnout on three caring dimensions, emotional, social and spiritual care, for terminally ill people. It also seek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burno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workplace spirituality dimensions and three caring dimensions. For these purposes, data were collected from 114 interdisciplinary team members, doctors, nurses, social workers and pastors, working in 68 palliative care in nationwide by questionnaires.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community at work has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care, and that meaning in work has a positive effect on social and spiritual care. The results also provided that burnout does not impact on three caring dimensions and has no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workplace spirituality dimensions and three caring dimensions. In the findings, managers or leaders from palliative care should consider the potentially positive influence of workplace spirituality on caring for terminally ill people and can improve practitioners` performance with any interventions to increase workplace spiritualit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 KCI우수등재

        무의미한 연명의료의 중단과 존엄사의 제 문제

        문성체 ( Seong Jea Moon ) 법조협회 2009 法曹 Vol.58 No.6

        Modern medicine started from struggles for overcoming a variety of incurable diseases and has made steady and successful efforts to liberate human being from suffering of diseases, but involves unprecedented side effects as well, including those related to holistic medicine primarily for terminal diseases. On the one hand, the advancement of medical science and technologies has its own implications in a sense that it contributed to prolonging the life of patients. On the other hand, physical and mental pain patients feel has robbed terminal patients of even their own dignity. In this context, patients` self-determination right for death of dignity is to give a chance to terminal patients to opt for liberate themselves from overplus of pain. And this study focuses primarily on discussing how to resolve potential conflicts concerned with those issues of life. In order to respect the self-determination of patients, American judicial precedents and legislation has permitted patients` right to deny any medical treatment for prolonging life, i.e. passive euthanasia(easy death) since 1970`s, to the certain extent allowable legally. In particular, Oregon Death with Dignity Act has acknowledged that terminal patients may commit physician-assisted suicide. Such a physician-assisted suicide of patients becomes a new way of death which has been never discussed in terms of active euthanasia since 1990`s. Unlike passive euthanasia in which physician administers lethal dose of medicine to a patient for the purpose of his death, the active euthanasia is a mean for patients to use such lethal dose of medicine as prescribed by physician at their option for suicide. Crucial difference between active and passive euthanasia can be determined by whether ultimate behavior causing death of a patient is committed by physician or the patient himself. Thus, it is found that active euthanasia has faced relatively low objections against legitimation of physician-assisted suicide of patients in a sense that ultimate behavior to cause death of a patient is attributed to the patient himself, so it is easier for active euthanasia to attribute the death of a patient to his own responsibility than passive euthanasia, and the former also has relatively low risk of misuse or abuse in comparison with the latter. In reality, it is obvious that physician-assisted suicide of patients is an issue unacceptable among the public, since physician`s behavior for active euthanasia may face other legal responsibilities such as aiding and abetting suicide as provided in criminal law. However, there have been proposed needs for exemption from any legal responsibility for physician-assisted suicide of terminal patients in respect of their self-determination right, as mentioned above. In order reflect such needs and perspectives on local legislation, the Oregon state(USA) has newly established and enforced the Oregon Death with Dignity Act.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historical backgrounds concerned with legislation of the Oregon Death with Dignity Act as well as major legal contents in said act to examine the issues about death of dignity, which may be pointed out in terms of hospice medicine in the future, and thereby consider potential problems concerned with death of dig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