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홍익인간 사상의 현대적 실현 및 적용가능성 모색

        임기추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0 No.2

        · Research topics: We tried to find the modern applicability of Hongik-Ingan(弘益人間)’s thought. The same research topic was set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re are three topics in this paper. First, what is the practice method of completion of the enlightenment and its execution(性通・功完) and Jaese-Iwha(在世理化) including laws, institutions about the thought? Second, how can the modern realization framework of the thought be conceived? Third, how can we explore the modern applicability of the thought? · Research background: After democratization, it was analyzed that although several governments presented the vision and direction of governance of state administration, they were not linked to a national development model. However, we attempted this study based on the paper that many scholars at home and abroad argue that the modern application of the thought is possible to various pending issues between individuals, countries, ethnicities, and races.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While previous studies have considered the definition of Hongik-Ingan’s concept or the nature of Jaese-Iwha, this paper is characterized by differences in that it seeks the modern realization framework and applicability of Hongik-Ingan’s thought. · Research method: Based on the explanation of modern practice methods for Hongik-Ingan’s thought and consideration of relative relations by the human’s category, this paper approaches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Hongik-Ingan’s perspective and the applicability consider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 Research results: The main findings sought applicability consideri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thought without discrimination in terms of explanation of modern practices for the thought, practical application and implementation of Jaese-Ihwa’s perspective.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In conclusion, this paper first demonstrated the modern feasibility of the thought in terms of human ideology, following the consideration of modern practices for the thought and the presentation of various rela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thought. Next, we sought the applicability of modern state administration in terms of the governing ideology of the thought.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opened up the possibility of spreading realization and application in various areas such as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in the future. · 연구 주제: 본 연구에서는 정치・경제적 양극화와 사회갈등 등의 국가적 내부 현안문제를 해결하면서 우리 모두의 이익이 실현될 수 있도록 홍익인간 사상의 현대적 적용가능성 모색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주제는 첫째, 홍익인간 사상의 성통・공완 수행과 법률・제도 등을 포함하는 재세이화의 실천방법은 무엇인가? 둘째, 홍익인간 사상의 현대적 실현방법을 어떻게 구상할 수 있는가? 셋째, 홍익인간 사상의 현대적 적용가능성을 어떻게 모색할 수 있을 것인가? 등이다. · 연구 배경: 민주화시기 이후 여러 정부에서 각각 국정운영의 비전과 정치방향을 제시하기는 하였으나, 성공적 국가발전모델로 연계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국내외에서 많은 학자들이 많은 논문에서 개인 사이, 국가 간, 민족 간 및 인종 간의 다양한 현안문제에 대해 홍익인간 사상의 현대적 적용이 가능하다고 주장하고 있는 점에 착안하여 본 분석을 시도한 것이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선행연구에서 홍익인간의 개념 정의나 재세이화에 관한 성격을 고찰한 데 비해, 본 연구는 홍익인간 사상의 현대적 실현방법과 적용가능성을 모색하는 점에 차별성의 특징이 있다. · 연구방법: 본 연구방법은 홍익인간 사상에 대한 현대적 실천방법 설명과 홍익인간의 범주별 상대관계 고려 등을 바탕으로, 재세이화의 실천 차원과 홍익인간 관점의 실천적 시행 측면에서 실현방법 구상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고려한 적용가능성 등으로 접근하는 것이다. ·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는 홍익인간 사상에 대한 현대적 성통·공완 수행과 재세이화의 실천방법 제시, 재세이화의 실천 차원과 홍익인간 관점의 실천적 적용 및 시행 측면의 실현방법 구상과, 도덕적 책임감의 자각으로 차별이 없도록 인구통계학적 상대관계에서 차별 없이 고려할 수 있는 적용가능성을 모색하였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먼저, 홍익인간 사상에 대한 현대적 실천방법의 고찰과 홍익인간의 다양한 상대관계의 제시에 따라 인간이념의 측면에서 홍익인간 사상의 현대적 실현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다음, 홍익인간 사상의 정치이념 측면에서 현대 국정운영의 적용가능성을 모색함으로써, 본 연구는 정치·경제·사회 등의 여러 영역에서 향후 확산적으로 실현 및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 점에 학술적 기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초기 계대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해동 후 효율적인 배양 방법

        백진아,김희선,설혜원,서진,정주원,윤보애,박용빈,오선경,구승엽,김석현,최영민,문신용,Baek, Jin-Ah,Kim, Hee-Sun,Seol, Hye-Won,Seo, Jin,Jung, Ju-Won,Yoon, Bo-Ae,Park, Yong-Bin,Oh, Sun-Kyung,Ku, Seung-Yup,Kim, Seok-Hyun,Choi, Young-Min,Moon, 대한생식의학회 2009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6 No.4

        목 적: 인간 배아줄기세포 (human embryonic stem cells; hESCs)는 미분화 상태로 무한 증식할 수 있는 자가 증식(self-renewal) 능력과 인체의 모든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전분화능 (pluripotency)의 특징을 가진 세포로, 손상된 세포를 건강한 세포로 대체하고자 하는 세포치료 (cell therapy) 연구에 활용하기 위한 세포 공급원 (cell source)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인간 배아줄기세포는 확립된 초기에 세포를 안정적으로 배양하고 유지하는 과정이 쉽지 않으며, 특히 동결보존되어 있던 세포를 해동한 후 배양할 때 자연 발생적 분화가 높기 때문에 세포주의 유지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본 연구에서는 동결보존되어 있던 초기 계대의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해동하여 다시 배양할 때 자연 발생적 분화 부분을 기계적 분리 방법으로 제거하여 미분화 상태의 세포를 보다 빠르게 확보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계대 배양한지 4일이 되는 날, 50% 이상의 자연 발생적 분화가 나타난 세포군에서 분화된 부분만을 절개용 유리 피펫 (drawn-out dissecting pasture pipette)을 사용하여 기계적인 방법으로 제거하였다. 이후 지속적으로 배양액을 교환해 주며 세포군의 제거된 부분을 7일째 되는 날까지 관찰하였다. 결 과: 기계적 분리 방법을 사용하여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자연 발생적인 분화 부분을 제거한 빈 공간에 미분화상태의 인간 배아줄기세포가 분열하여 채워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이 실험 방법을 연속 두 번 적용하여 배양했을 때 미분화 세포로 회복되는 세포군의 비율이 조금 더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 론: 동결되어 있던 초기 계대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해동 후, 자연 발생적 분화에 의해 미분화 상태를 유지하는 세포의 수가 적어 계대를 유지 하기가 어려울 때 이와 같은 기계적 분리 방법을 사용하여 자연 발생적 분화 부분을 제거한 후 배양을 지속하는 것이 단기간 내에 미분화 상태를 유지하는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양적 확보를 위한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Objective: Human embryonic stem cells (hESCs) have the capacity to differentiate into all of the cell types and therefore hold promise for cell therapeutic applications. In order to utilize this important potential of hESCs, enhancement of currently used technologies for handling and manipulating the cells is required. The cryopreservation of hESC colonies was successfully performed using the vitrification and slow freezing-rapid thawing method. However, most of the hESC colonies were showed extremely spontaneous differentiation after freezing and thawing. In this study, we were performed to rapidly collect of early passage hESCs, which was thawed and had high rate of spontaneously differentiation of SNUhES11 cell line. Methods: Four days after plating, partially spontaneously differentiated parts of hESC colony were cut off using finely drawn-out dissecting pipette, which is mechanical separation method. Results: After separating of spontaneously differentiated cells, we observed that removed parts were recovered by undifferentiated cells. Furthermore, mechanical separation method was more efficient for hESCs expansion after thawing when we repeated this method. The recovery rate after removing differentiated parts of hESC colonies were 55.0%, 74.5%, and 71.1% when we have applied this method to three passages. Conclusion: Mechanical separation method is highly effective for rapidly collecting and large volumes of undifferentiated cells after thawing of cryopreserved early passage hESCs.

      • KCI등재

        볼르노의 인간학에서 본 종교와 교육의 관계성 고찰

        한상진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69

        2차 대전 이후, 독일의 교육학적 저서들 속에서 인간학적 고찰 방법 혹은 인간학적 전망에 대한 논의가 새롭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자연과학자이며 철학자이고 교육학 자인 볼르노(O. F. Bollnow)는 인간학적 개념 속에서 자연과학적 측면보다는 정신과 학적이고 종교학적 측면에서 인간의 본질 자체를 고정적으로 정의하려는 유혹을 넘어 서서, 규정할 수 없는 존재로서의 인간 본질을 피력하였다. 인간학이라는 일반적 개념 을 교육학에 적용하면 다양한 현상들을 관찰할 수 있다. 첫째, 교육학 역사나 정신사를 보는 관찰 방법이 있는데, 이것은 과거의 위대한 교 육학자나 혹은 시대 정신의 인간관을 다루는 방법이다. 이런 인간관을 중심으로 해서 그들의 사상에 전체를 통일적으로 이해하려는 것이다. 이를 볼르노는 인간관 혹은 인 간성이라고도 표현한다. 둘째, 인간에 관한 특수 과학들을 종합한다는 의미에서 교육학적 인간학은 과거 심 리학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려는 종합 학문이다. 이러한 방식은 교육학적 관점 아래서 인간에 관하여 밝혀낸 다양한 인식들을 인간의 삶 전체 속에서 이해하고자 하 는 것이다. 셋째, 철학적 인간학을 교육학에 적용하는데 있어 교육학적 인간학보다는 볼르노와 그의 제자 로흐는 인간학적 입장에서 교육이라는 표현보다 교육학에 있어서 인간학적 고찰 방법이라고 규정한다. 넷째, 인간의 삶은 비정초적이고 심연적인 차원 에서 뿌리를 내리고 있기 때문에 측량될 수 없고 해명될 수 없는 인간의 존재성을 종 교 과학적 측면에서 성(聖)스럽게 말한다. 마지막으로 인간의 삶의 영역들과 마찬가지로, 교육적 현실과 그것을 다루는 교육 학에 다양한 이론들은 철학적, 인간학적, 종교학적 원리의 근거 하에 인간에 대한 전 체적 이해를 위한 우리 시대에 개방된 질문으로 미래의 유산으로 남겨진 난해한 과제 이다. After World War II, a new discuss of anthropological considerations or anthropological perspectives has emerged in German pedagogical writings. Expecially, O. F. Bollnow, who was natural scientist, philosopher and educator, expressed human essence as an undefinable being in psychiatric and religious terms rather than natural science in anthropological concepts. If we apply general concept of anthropology to pedagogy, we can observe various phenomena. First, there is a method of observation that looks at pedagogical or psychiatric history, which is a way of dealing with great pedagogue in the past or human view of the spirit of the times. With this view of human beings, they are trying to understand the whole of their ideas. Bollnow described this as the view of human being or humanity. Second, pedagogical anthropology is a comprehensive study that tries to overcome the limit of past psychology in the sense of synthesizing special sciences about human beings. This approach seeks to understand the various perceptions of man from the point of view of pedagogy throughout human life. Third, in applying philosophical anthropology to pedagogy Bollnow and his disciple Roch defined pedagogical anthropology as the anthropological consideration in pedagogy rather than education in view of anthropology. Fourth, human being unmeasurable and unexplainable is holy in view of religious science because human life is rooted at an indefinite and abysmal level. Finally, as in the realms of human life, the various theories of pedagogy are difficult tasks remained as future property for a holistic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based on philosophical, anthropological and religious principles

      • KCI등재

        국제법의 인간화에 대한 서론적 고찰

        김부찬(KIM Boochan) 대한국제법학회 2014 國際法學會論叢 Vol.59 No.4

        국제사회 및 국제법학계는 특히 제2차 세계대전의 경험을 바탕으로 인간의 존엄 및 인권의 소중함을 인식하고 개인의 법적 지위를 제고함은 물론 인간으로서의 기본적 자유와 권리를 국제적으로 보호하고 증진시키기 위한 국제인권법을 체계적으로 발전시키는 데 커다란 성공을 거두었다. 개인의 국제법적 지위가 확립되고 국제인권법이 체계화됨으로써 국제법의 전통적인 성격에 많은 변화가 초래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개인을 비롯한 새로운 참여자들에 의하여 국제법주체들이 다양화되도록 함은 물론 국제인권법의 영역을 벗어나 국제법 전반에 걸쳐서 인간적 가치가 좀 더 투영되도록 함으로써 일반국제법의 내용 및 연구방법론에도 많은 변화가 나타나도록 하고 있다. 국제인권법은 국가중심적 국제법 구조 하에서 그 역할이나 법적 지위가 인정되지 못하고 있던 기국가행위자들 가운데 국제사회 또는 국제공동체의 가장 기초적인 단위이자 구성원들인 개인의 국제법주체성과 법적인 역할이 인정됨으로써 국제법이 본격적으로 탈국가화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이자, 국제법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으로서 단지 개별국가들의 안보를 핵심적 개념으로 하는 ′국제평화 및 안전의 유지′를 초월하여 실질적 이념 또는 가치로서 인간적 가치가 국제법의 주요한 목표로 자리잡고 있음을 뚜렷이 보여주는 증거이다. 오늘날 국제인권법과 함께 국제인도법과 국제형법이 인권 및 인도주의를 이념적 기초로 하여 발전되고 있는 국제법의 대표적인 분야이다. 이제 개인 및 인권을 중시하는 국제법의 방법론적 태도는 이들 분야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국제법연원론이나 국제법주체론은 물론 국가책임법, 분쟁해결법, 나아가서 집단안보 분야에까지도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로써, 종래의 국가중심적 국제법은 점차 인간중심적 국제법 체제로 전환하는, 이른바 ′국제법의 인간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여러 가지 한계 때문에 국제법 전반에 걸친 인간화의 동향과 수준이 아니라 일반국제법에 대한 국제인권법의 영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결론적으로 언급하면, 국제법의 인간화, 즉 국제인권법이 일반국제법에 미친 영향이 아직은 국제법학의 방법론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키는 데까지 이르지는 못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지 않나 한다. 아직 국제인권법과 일반국제법은 서로 양방향에서 영향을 미치는, ′조화적′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보는 것이 온당하며, 국제인권법이 일방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단계는 아니라는 점에서 ′헌법적′ 접근방법의 적용은 시기상조라고 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국제법이나 국제법 전반에 걸친 학습이나 연구에 있어서 인권의 요구 또는 국제인권법의 방법론적 영향을 외면하는 것은 이미 불가능한 수준이 되었다고 보며, 향후 국제법의 인간화 문제에 대하여 계속 관심을 가지고 그 추이를 살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Since 1945,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has been established as a field of international law on the basis of the human values and the concept of human rights. The concept of human rights and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have positively influenced various fields of traditional or general international law. Nowadays,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became part and parcel of the international law, and could help to renew the substance of international law and introduce a new paradigm in international law. In this paper, the term ′humanization of international law′ means the process of impact(influence) of human rights law on general international law. Because of the peculiarities of human rights law, this influence cannot be taken for granted. It is sometimes said that the elaboration of human rights norms and institutions has produced no less than a revolution in the system of international law due to its significant influenc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background and trend of ′the humanization of international law′, that is ′the impact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on the general international law′ and demonstrate that the influence of human rights law has not remained confined to one sector of international law, and that its influence has spread to many other parts, though to varying degrees. Although human rights scholars must resist the urge to stand a triumphalist view that the impact of human rights have already had on all the fields of international law, we may insist that the relation between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and the general international law is ′two-way′. We can utilize the ′reconciliation approach′ for the study on ′the humanization of international law′, or ′the impact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on general international law′, since two branches of public international law should be reconciled with each other. But, in fact, ′the humanization of international law′ has progressively shifted its focus above all from State-centered to human-centered. In addition, it is admitted that general international law will continue to be challenged by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on a wide front. In conclusion, the process of ′the humanization of international law′ is a response to a deeply and widely felt need to make the international legal order more responsive to the needs of a wider range of actors than States. The permeat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through general international law constitutes a quiet revolution which invariably targets international law′s rigid State-centered features.

      • KCI등재

        제임스 로더의 기독교교육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적용: 중년기 생애의 재구성을 위한 접근

        김은주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8 기독교교육논총 Vol.56 No.-

        Humans are solitary beings constantly experiencing the unpleasant feeling of ‘void’ and the fear of ‘death’, solitary beings obsessed with achieving a single target - achievement and possession. James E. Loder’s theory needs to be re-examined to deliver true vitality and true humanity to human beings in death and uniformity. Loder gives the answer to human beings who live with “death.”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itial Loder, the area of ‘experience’ was highlighted in the encounter with the ‘Holy.’ In Christian Education, it was difficult to apply Loder’s theory because transformation comes from above. But Loder has made theoretical advances throughout his academic career. Such academic changes are presented by Loder’s unique methodology, which is the method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qualitative dialectic. Loder has a deep insight into the human existence’s ‘void’(death) from a interdisciplinary methodology. Starting with Freud’s psychoanalysis, Jung, Piaget, object relation theory and etc, one is provided with insight into each stage of human development. This is called the Interdisciplinary methodology. In addition, the qualitative dialectic can be utilized, a unique methodology in Kierkegaard that describes the moment when finite human existence meets the infinite Spirit of God. Loder uses both the Interdisciplinary and qualitative dialectic methods at the same time. This paper has rearranged Loder’s theories, focusing on the perspectives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God and the interpretation of human beings. Thus, Loder’s principles and indicators of Christian education are presented and illustrated under each point of view. Next, the area of transformation and development theory are rearranged into areas of development theory, demonstrating Loder’s development theory. There are insights and interpretations as to why God’s presence occurs in infancy, the meaning of the transitional object, the period of Oedipus children as the origin of worship, why school is a task and not a calling, why youth is liberated, what is the true closeness of youth, what is the orientation of middle age, and what is the true maturity of old age at each stage. In each of the eight stages, ‘The Spirit of God’ is connected to ‘the Spirit of mankind.’ To rediscover humanity’s ‘Holy’qualities, it was linked using the qualitative dialectic between ‘human spirit’ and ‘God’s Spirit.’ The theoretical contribution of Loder allows one to approach theories of the conduct of Christian education. Furthermore, this study has applied Loder’s theories to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 tween the human spirit and God’s Spirit, Loder’s life time work, is considered to provide powerful insights to Christian Education.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provides a brief summary of the research stated above and recommendations on the directions of future studies on James E. Loder’s theories. 인간은 ‘공허’ 즉, ‘죽음’을 안고 살아가는 고독한 존재이다. 고독한 인간은 ‘성취’와 ‘소유’에 집착하고 획일화된 목표를 추구하며 살아가고 있다. 죽음과 획일화된 삶의 이중구속 속에 있는 인간 존재에게 진정한 생기와 참된 인간관을 회복하기 위해 제임스 E. 로더의 이론을 재조명할 필요가 있다. 로더는 ‘공허(죽음)’를 안고 살아가는 인간에게 ‘거룩’이라는 답을 제시한다. 초기 로더의 관점에는 ‘거룩’과 만나는 ‘체험’의 영역이 강조되었다. 체험이 위로부터 오는 일방적인 영역이기에 로더의 이론을 기독교교육에 적용하기엔 난해한 입장이었다. 그러나 로더는 학문적인 생애 동안 이론적 발전을 보였다. 체험 이후에 로더는 발달이론의 관점으로 인간의 영을 다루었다. 로더는 인간 존재의 ‘공허(죽음)’를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을 시작으로 융과 피아제, 대상관계이론 외에도 다양한 관점에서 인간발달의 단계마다 깊은 통찰을 제공하였다. 이것이 간학문적 연구방법론이다. 다음으로는 질적 변증법이라는 독특한 방법론이 제시된다. 질적 변증법은 유한한 인간존재와 무한한 하나님의 영이 만나는 순간을 묘사하는 키에르케고르의 독특한 방법론이다. 로더는 간학문적 연구방법론과 질적 변증법을 동시에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로더의 질적 변증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로더의 인식론을 하나님 이해와 인간 이해의 관점으로 재배열 하였다. 삼위일체 하나님과 유한함과 무한함을 지닌 이중적 인간존재는 허무(죽음)에서 구원(거룩)을 바라는 4차원의 존재로 묘사된다. 하나님 이해와 인간 이해라는 각 관점에 기독교교육의 원리와 지표가 제시된다. 다음으로 체험의 영역과 발달이론의 영역으로 재배열하여 로더가 발달이론을 다루었음을 의도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유아기엔 왜 하나님의 임재가 나타나는지, 걸음마기의 중간대상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오이디푸스 아동의 시기가 왜 예배의 기원이 되는지, 학령기는 왜 일이 아닌 소명을, 청소년기가 되면 왜 영이 해방이 되는지, 청년기 진정한 친밀감은 어떻게 형성이 되는지, 중년기의 지향점은 무엇인지, 노년기의 진정한 완성은 무엇인지 각 단계마다 로더의 독특한 통찰과 해석을 볼 수 있다. 각 8단계별로 ‘하나님의 영’과 ‘인간의 영’이 연결되는 것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단계별 이론은 기독교교육의 행위에 로더의 이론을 구체적으로 적용 가능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은‘인간 영’과 ‘하나님 영’의 상관적 이해가 기독교교육현장 가운데 특별한 통찰을 제공해 주고 있다고 보고, 로더의 이론을 중년기 기독교교육 현장에 적용한 사례를 간략히 소개한다. 결론에서는 논의를 종합하여 요약하고 로더의 연구에 대한 앞으로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철학적 인간학과 의학적 인간학 -「고대 의학에 관하여」를 중심으로-

        반덕진 한국의철학회 2010 의철학연구 Vol.9 No.-

        히포크라테스 전집의 「고대 의학에 관하여」라는 논문은 기원전 5세기에 그리스 자연철학의 중요한 요소들로 그리스 전통의학을 혁신하려 했던 철학적 의학자들로부터 전통적인 섭생의학을 수호하려는 저자의 논박이 잘 담겨있다. 저자는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자연에 대한 탐구’에서 도출한 이론에 따라 한두 가지 요인들로 질병의 원인과 치료를 설명하려는 인과적 환원론과 몇 가지 원초적인 구성요소로 인간의 기원을 설명하는 인간본질론 및 그 위에 의학을 정립하려는 시도를 비판한다. 저자는 의학의 모든 것을 한두 가지 원리의 상호작용으로 설명하는 폐쇄체계를 비판하고 수많은 체액들의 혼화와 숙성으로서의 인간본질론이라는 개방체계를 제시하면서 인간본질에 대한 지식은오직 의학을 통해서만 얻을 수 있다고 반격한다. 저자와 그의 논적들은 의학이인간의 본질에 대한 보편적인 지식과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의견이다르지 않지만 인간의 본질에 대한 범위와 연구방법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다르다. 철학적 의학자들은 자연의 본질에 대한 연구(자연철학)를 통해 인간의 본질에 대한 탐구(인간학)가 가능하고 그에 의거하여 의학과 질병에 대해연구하는(의학) ‘하향식’ 방법을 주장한 반면, 저자는 요리법에서 출발한 의학의연구를 통해 인간의 본질에 대한 이해(인간학)가 가능하다는 ‘상향식’ 방법을제시했다. 저자는 철학적 영역에 속해 있던 인간본질론을 반복적인 관찰과 정교한 추론으로 얻은 새로운 인간본질론으로 대체하고자 했다. 철학적 의학자들에게 의학은 인간에 대한 사전 지식이 필요한 학문이었기에 독립적인 학문이 될수 없었으나 저자와 같은 전통의학자들에게 의학은 철학적 인간학을 전제할 필요가 없는 자족적인 학문이었고 나아가 그들은 철학적 인간학에 맞선 의학적인간학을 내세워 고대 세계의 인간본질에 대한 이해를 다채롭게 했음은 물론당대의 인간본질 논쟁을 가능케 했다.

      • KCI등재

        생태주의에서 본 교과관과 교육방법

        노상우(Ro Sang Woo),김관수(Kim Kwan Soo) 교육종합연구원 2007 교육종합연구 Vol.5 No.1

        본고는 생태주의에 입각하여 학교에서 가르치는 지식의 성격을 재검토하고, 인간과 자연의 상생의 관계를 도모할 수 있는 교육방법은 어떤 것이어야 하는가를 논의한다. 이를 위해 첫째, 인간중심의 과학적-객관주의적 지식관을 형성하게 된 사상사적 배경을 밝히도록 한다. 둘째, 학교에서 가르치는 현행 교과내용의 객관주의적 지식관의 한계가 무엇인지를 알아본다. 셋째, 인간과 자연의 상생의 관계에 기초한 교과관과 교육방법은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탐구하도록 한다. 첫 번째 연구목적에서 과학적-객관주의적 지식관을 형성하게 된 교육사상사적 배경을 인간중심주의의 철학적 사유를 분석하였고, 이것이 과학적 지식과 기술의 증대에 크게 기여했지만, 생태계에 대한 몰가치적 지식관을 뿌리내리게 했음을 논술하였다. 두 번째 연구목적에서는 현행 객관주의적 지식관은 철저한 인간중심주의이고,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려는 기술적인 방법론을 최우선시하며, 지식의 도구적 사용가치에 대한 도덕적 판단의 문제에는 소홀하였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세 번째 연구목적에 대해서는 생태주의가 강조하는 전일주의적(holistic) 접근을 통해서 인간에 집중한 ‘분리’된 지식으로부터 인간과 자연의 상생을 위한 새로운‘통합적 지식관’이 필요함을 주장하였으며, 교육방법 역시 교과연계적 학습방법, 즉 사례 혹은 주제중심의 교사간, 교사-학생간 협동학습을 하나의 교육방법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 critically the character of knowledge in the school textbook in perspective of ecology, and propose the view of ecological knowledge and the teaching method to increase the cooperative relation of the human being and nature. It inquires about three aims. First, it examine the bachground of philosophical history in context of the antropocentric scientific-objective view of knowledge. Second, it inquire into the limit of the objective view of knowledge in the school textbook. Third, it present the philosophy of curriculum and the teaching method on the basis of the ecology. We ascertain that the antropocentric scientific-objective view of knowledge contribute to the increase of the scientific knowledge and technique, but it accelerate the view of antropocentric knowledge against the ecological world. Also the existing objecktive philosophy of knowledge is basically antropocentric, and it develop the technical teaching method to increase only the quality of human being life, not of nature. This thought eliminate the interactive relation of human being and nature. This study emphasize on the educational philosophy on the basis of de-antropocentrism, the ecological-holistic view of knowledge, and the cooperative teaching method of the case study.

      • 상관관계 방법과 교리교육

        박종주(Park Jongju)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21 누리와 말씀 Vol.49 No.1

        백신 접종이 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코로나 재확산의 위험을 경고하는 팬데믹 상황은 여전히 교회를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 오랫동안 지속된 공동체 미사의 중단으로 무력해진 사목자의 역할에 대한 진지한 성찰에서부터, 신자와 사목자가 공동합의성(synodalitas)을 바탕으로 한 창의적 사목에 대한 기대까지, 교회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유튜브 미사와 성경 공부, 신자들에게 안부 편지 보내기는 기본이고, 워킹스루 영성체, 신자들 집 앞을 방문하여 엽서나 선물을 걸어 두기 등 지금까지 생각하지 못했던 참신한 방법들을 시도하며, 어떻게든 교회와 신자들의 유대를 놓지 않으려 노력하고 있다. 특별히 성당 안에서 작은 모임도 갖기 어려운 상황에서 교회는 비대면 교리교육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주교회의 여러 위원회의 검토를 거쳐 제작한 가톨릭 영상 교리는 신자들의 많은 호응을 얻었으며, 각 교구마다 영상 교리 공모전을 펼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런 교회의 노력들의 근저에는 인간의 상황과 그리스도교 메시지를 분리시키는 이분법적인 사고가 깔려 있다. 여전히 교회는 주는 입장에 있고 신자들은 교회에서 주는 것을 잘 받아야 하는 처지다. 코로나 이전에는 성당이라는 공간에서 대면적인 방법으로 안전하게 주고받았다면, 이제는 그 공간을 특정 매체가 대신하고 있을 뿐, 여전히 주는 교회와 받는 신자, 삶과 복음 메시지의 이분법적 분리는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폴 틸리히의 상관관계 방법은 이런 신앙의 내용과 인간의 실존에 관한 분석에서부터 출발한다. 그가 이분법적이라고 비판했던 초자연적인 방법, 인본주의적 방법, 이원론적인 방법은 에밀리오 알베리치 교수가 언급한 오늘날 교리교육 방법의 몇 가지 부적절한 모델과도 상응한다. 틸리히는 이러한 부적절한 신학 방법론을 극복하기 위해 상관관계 방법을 주창하였고, 이를 본고는 교리교육 안에서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찾아보았다. 경험과 그리스도교 이야기의 상관관계 방법에서는 경험도 메시지도 중요하다. 한편으로는 사람들이 자신의 삶과 경험을 철저하게 성찰하게 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그리스도교 신앙에 대한 철저한 교육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관관계 교리교육이란 삶에 관한, 혹은 신앙 안에서의 삶에 관한 주제들에 대한 성찰적 질문을 통해 비판적 검토와 대화가 이루어지고, 그리스도교 이야기와의 의미 있고 설득력 있는 만남을 통해 삶에서 실천으로 나아가는 교육이다. 다시 말하면 인간의 경험과 그리스도교 메시지가 변증법적 해석학을 통해 반복적으로 순환하는 과정이 상관관계 교리교육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흥미 위주의 교리교육, 일상의 궁금증에 대응하는 성경구절을 찾아주는 교리교육이 아니라 팬데믹이라는 상황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대화가 교리교육의 출발점이 되고, 유기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그리스도교 메시지와 만나, 이를 극복하기 위한 구체적인 응답을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에서 찾고 실천할 수 있도록 이끄는 것이 우리 시대의 상관관계 교리교육이다. 이제 교회는 더이상 이분법적인 도식에 갇혀 교리교육을 고민해서는 안 된다.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현실이 교리교육의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 몇몇 사목 방법을 바꾸는 주먹구구식 교리교육이 아니라 총체적 패러다임의 전환이 따라야 한다. 그래야 지금까지 교회가 교리교육을 행해 왔던 것에서 벗어나, 이제는 진정한 의미에서 교리교육이 교회를 건설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vaccination has started, pandemic situation which warns the danger of Corona resurgence still makes the Church to confuse. With long-held discontinuity of the Mass, the Church tried in various ways to solve this situation; from serious reflection on the role of effete pastor to the expectation of creative pastoral based on synodalitas between the faithful and pastor. YouTube Mass, Bible study, ‘Hello’ letter to the faithful are fundamental concepts, and tried unexpected but up-to-date methods like ‘walking-thru Communion’, ‘visiting the faithful and hanging post card and gift in front of the house’. Anyhow, all these efforts were to maintain the tie between the Church and the faithful. Especially, under the difficult situation that even small group meeting is not allowed in the church, the Church pay a lot of attention to untact catechesis. Catholic image catechesis by video which was made after reviewing by Bishops committee achieved big responses from the faithful and even carried out video catechesis contest in each diocese. But, in the bottom of such efforts, there lies all-or-nothing thinking that separate Christianity message and human condition. Still, the Church takes the position of giving, the faithful are the position of taking well. Before the Corona pandemic, ‘give and take’ was made safely in the space of ‘church’, but now this space is replaced with specific medium. The dualistic separations of ‘giving church’ and ‘taking faithful’, ‘life and Gospel message’ are still persisted. The method of correlation of Paul Tillich started from the analysis of such religion contents and human existence. The supernatural method, humanistic method, dualistic method, which he has criticized as to all-or-nothing thinking correspond to some inadequate models of current catechesis method that professor Emilllio Alberich mentioned. To overcome these inadequate theology methods, Tillich advocated correlation method. This study has searched how it can apply in catechesis. In correlation method between experience and Christianity story, both experiences and messages are important. One the one hand, people thinks about seriously their own lives and experiences, on the other hand, it includes thorough education on the faith. Therefore, correlation education is to be made the critical appraisal and conversation through reflective question on life or life with religion, to move forward from life to practice through the encounter with meaningful and persuasive Christianity stories. In other words, the repetitive cyclic process of personal experiences and Christianity messages through the dialectical analysis of the correlation catechesis is the core. Not the interest-oriented catechesis, seeking Bible verse respond to daily life curiosity but critical appraisal and conversation on pandemic situation become a starting point of catechesis. Meet the Christianity message in the method of systematic method, then to lead to practice is today’s correlation catechesis. Now, the Church no more agonize catechesis locked in dualistic diagram. The reality where we are living now should be the starting point of catechesis. Not clumsy catechesis changing some method but total paradigm shift should be followed. Only so, catechesis can build the Church in the true sense of the world, getting out of the catechesis until now.

      • KCI등재

        전자감시 글로벌리즘의 질적 전환을 위한 정치사상적 모색 -4차혁명을 추동하는 ‘지식기술 문제’에 관한 국가전략 수립과 학파 형성의 필요성-

        김병욱 ( Kim Byung-wook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18 倫理硏究 Vol.118 No.1

        전자감시 글로벌리즘에 관한 기존 정치사상적 담론은 기술주의적 낙관론, 후기 구조주의적 비관론, 자유주의적 양면론 등이 있다. 그러나 전자감시와 그것을 추동 하는 지식기술 자체만으로 낙관하거나, 비관하거나, 양면을 지니고 있다고 단순하게 규정할 수 없다. 전자감시하는 방법과 그와 관련한 지식기술을 사용하는 방법이 ‘어떤 방법’이냐에 따라서 전자감시하는 일과 그 밖의 지식기술을 연구하고 사용하는 일에서도 얼마든지 ‘질적 전환’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병든 상태’에서 ‘건강한 상태’로의 전환이라든가, ‘전쟁 상태’에서 ‘평화로운 상태’로의 전환이라든가, ‘악순환 상태’에서 ‘선순환 상태’로의 전환 등과 같이, ‘현실’ 에서 끊임없이 ‘질적 전환’하고 있는 ‘사람이 관여하는 일’(사람 일)에는 이처럼 ‘방법’이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사람 일의 ‘방법’에는 ‘지식기술 방법’과 ‘윤리방법’이 있다. 한편으로 ‘지식기술 방법’의 뒷받침을 받아 ‘윤리 방법’이 현실화된다. 다른 한편으로 ‘윤리 방법’의 뒷받침을 받아 ‘지식기술 방법’은 재구성되고 재배치된다. 그럼에도 기존 담론이 공통적으로 가정하거나 전제하고 있는 ‘인간 준거 메타 이론’은 이러한 ‘윤리 방법’을 그 이론적 기재 안에 처음부터 누락시켜놓고 있다. 이런 이유에서 기존 메타이론과 이에 기반을 두고 있는 기존 담론은 전자감시 글로벌리즘 문제의 정체가 ‘사람이 관여하는 일, 곧 문화의 질적 전환’을 요청하는 문제라는 것을 진단조차 하지 못한 채 그것을 제대로 다루고 있지 못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악화시켜놓고 있다. ‘사람이 관여하는 일’을 준거하여 그 안에서 ‘윤리 방법’에 따른 ‘사람 일의 질적 전환’을 잘 보여주는 ‘일 준거 메타이론’은 근현대 서구 사상과 문화의 저변에 깔려 있는 기존 메타이론의 결함을 치유하면서 그것을 포괄한다. ‘인간 준거 메타 이론’은 사람 일이 서로 견제, 감시, 대립, 투쟁, 지배하고 결과적으로 모두가 죽음에 이르는 악순환하는 면만 보여주지만, ‘일 준거 메타이론’은 ‘윤리 방법’에 따라때로 악순환하기도 하지만 때로 선순환하기도 하는 ‘사람 일의 질적 전환’을 동시 에 잘 보여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자감시 글로벌리즘 문제를 포함하여 남남갈등 문제, 남북분단 문제등과 같은 이 시대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질적 전환’을 요청하는 제반 문제들을 제대로 다루기 위해서는 정치하는 일과 학문하고 교육하는 일에서부터 ‘일 준거 메타이론’에 입각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일 준거 메타이론’을 함께 공유하면서 학문하고 교육하는 일을 추진하는 일단의 ‘학파’ 형성을 국가전략적으로 적극 지원할 필요가 있다. 특별히 이들 학파가 모범을 보여주는 창의적 학문과 교육을 위한 국가전략을 수립하고 육성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intends to review ‘Electronic Surveillance Globalism’ as an issue of political thought, and examine the existing discourses of optimistic technicism, pessimistic structuralism, optimistic and pessimistic liberalism on the issue. My themes in this article are three fold. First, This article will point out the necessity of ‘the new metatheory’ able to indicate the signification of ‘method’ used in human works. Second, This article will present the importance of ‘ethical method’ as well as ‘knowledge & technological method’ used in human works. Third, The culture accentuated a considerable point of ‘ethical method’ and ‘knowledge & technological method’ is ‘the method for qualitative conversion in 21st Electronic Surveillance Globalism’.

      • KCI등재

        ‘질문하는 인간’을 길러내는 인공지능 윤리 교육에 대한 제안

        홍예리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23 인간연구 Vol.- No.51

        본 논문은 오늘날 인공지능 윤리 교육은 ‘질문하는 인간’을 길러내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주장과 함께, ‘질문하는 인간’을 길러내기 위해서는 인공지능 윤리에 철학교육적인 방법론이 적용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러한 주장을 위해서, 우선 오늘날 인공지능 윤리 교육의 동향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인공지능 윤리 교육이 ‘질문하는 인간’을 길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이어서 본 논문에서 인공지능 윤리 교육에 적용하고자 하는 철학교육 방법론으로서 ‘어린이를 위한 철학(Philosophy for Children, P4C)’을 제시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철학교육 방법론을 적용한 인공지능 윤리 교육을 위한 토론 수업 방식을 하나 제안할 것이다. 이처럼 새롭게 제안하는 토론 수업 방식은 기존의 인공지능 윤리 교육과 비교하였을 때 보다 인문학적인 관점에서 인공지능 윤리 교육을 바라보고 있으며, 다양한 주제의 수업에도 응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지닌다. 무엇보다도, 이 수업 방식은 스스로 올바른 질문을 던질 줄 아는, 즉 철학할 줄 아는 인간을 길러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보의 혼돈 속에 올바른 판단 능력이 더욱 요구되는 오늘날, 이러한 인간상이야말로 오히려 인공지능 시대에 더 필요한 인간상일 것이다.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current artificial intelligence (AI) ethics education today should be oriented towards nurturing “questioning humans” and that in order to develop “questioning humans,” it is necessary to apply philosophical pedagogies to AI ethics. To make this argument, I will first examine the current trends in AI ethics education, and then show that AI ethics education needs to be aimed at fostering “questioning humans.” Next, I will introduce Philosophy for Children (P4C) as a methodology of teaching philosophy and apply it to AI ethics education. Finally, I will propose an approach for conducting classroom discussions on AI ethics education, based on P4C. This new approach takes a more humanistic view of AI ethics education than the existing AI ethics courses, and has the potential to be applied to a wide range of sub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