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명존중의식이 자살위험성과 공격성,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과 생명존중프로그램의 효과

        배정순,김춘경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7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life-respect consciousness on suicidal risk, aggression and meaning in life and to explore the effect of Life-respect Program on them. The subjects were some middle schools students in Daegu. The sheets of questionnaires were handed out to 630 students in these schools, and 464 sheets among them were analyzed. And 16 students(who were given high scores of aggression scale suicidal risk scal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rogram based on life-respect, 8 students(randomly) among whom took part in Life-respect Program and the other 8 students did not participate in any program during the same period. The influence of life-respect consciousness on each variable was found. If a student has higher life-respect consciousness, he or she will have higher level of meaning in life and have lower level of suicidal risk and aggression. There were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ife-respect consciousness and meaning in life,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life-respect consciousness and suicidal risk, and also a negative correlation life-respect consciousness and aggression. In secondary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alyzed each variable. The influence of life-respect consciousness was prov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dict levels of suicidal risk, aggression and meaning in life by the level of life-respect consciousness. The influence of life-respect program was also proved. This program based on life-respect can decrease suicidal risk, aggression, and increase life-respect consciousness and meaning in life. These findings indicate Life-respect Program has effects on control levels of life-respect consciousness, suicidal risk, aggression and meaning in life. Therefore, Life-respect Program will be helpful in decreasing suicidal risk, aggression, and increasing life-respect consciousness, meaning in life, I think it’s better to consider life-respect consciousness variable in counseling, education and other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gone through a series of problems in suicidal risk and aggression. 본 연구의 목적은 생명존중의식이 자살위험성과 공격성,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생명존중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중학생 464명을 연구대상으로 자료는 SPSS Statistics 19.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생명존중의식과 자살위험성, 공격성, 삶의 의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상관분석을, 생명존중의식이 자살위험성, 공격성,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생명존중의식과 삶의 의미와는 정적상관, 자살위험성과 공격성과는 부적 상관을 보여 모두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생명존중의식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한 회귀분석에서는 생명존중의식이 자살위험성, 공격성, 삶의 의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력이 검증된 생명존중의식을 주요기반으로 생명존중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중학생에게 실시한 결과, 생명존중 프로그램은 생명존중의식을 높이고 공격성을 낮추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으며, 자살위험성과 삶의 의미의 몇몇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냈다. 자살위험성 혹은 공격성이 높거나 삶의 의미를 잃은 학생들에게 치료와 예방적 차원의 다양한 활동을 실시할 때 생명존중의 요인을 포함하여 구성한다면 생명존중의식의 함양을 통해 청소년들의 자살위험성과 공격성을 줄이면서 삶의 의미를 찾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시사점을 얻었다.

      • KCI등재

        유아의 생명존중 소양 증진을 위한 자연친화적 생명존중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정미라 ( Mi Ra Ch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3

        본 연구는 유아의 생명존중 소양 증진을 위해 자연친화적 생명존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교육적 효과를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국내외 관련 문헌 고찰과 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생명존중교육의 실태, 그리고 자연친화형 모델을 위한 기초 요구 조사 결과를 토대로 자연과의 직접적 만남을 고려한 30개 활동으로 구성된 자연친화적 유아생명존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된 자연친화적 유아생명존중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생명존중 소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개발된 자연친화적 유아생명존중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전체 생명존중 소양과 하위영역인 생명존중 태도, 생명존중 지식, 생명존중 행동 모두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유아와 자연 간 직접적 만남을 중시하여 구성된 자연친화형 모델이 유아의 생명존중 소양 형성을 도모할 수 있는 생명존중교육 프로그램으로서의 현장 적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life-esteemed education based on nature friendly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life-esteemed literacy and to ascertain the effects this program has on the young children`s life-esteemed literacy. To this end, firstly, I developed program`s theoretical criteria through domestic and international`s preceding research related to children`s life-esteemed education and the nature friendly model. The program`s practical criteria was developed through research on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nd needs of life-esteemed education based on nature friendly model. The developed life-esteemed education program based on nature friendly model comprises 30 activities. An analusis of the applied program shows positive effects on young children`s entire life-esteemed literacy and it`s sub-divisions which include life-esteemed attitude, life-esteemed knowledge and life-esteemed behavior.

      • KCI등재

        유아 생명존중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불교생명존중사상의 유아교육적 함의

        류미향 ( Mi Hyang Ryu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1 교육과정연구 Vol.29 No.1

        지구온난화, 생태계 파괴 등의 환경문제뿐만 아니라 인간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과열된 경쟁체제와 생명경시 등의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생명성’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이러한 생명 위기 현상을 극복하고 세계화시대에 앞서 조화, 균형, 상생 등을 바탕으로 한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 확고한 철학을 가진 생명존중 교육과정의 개발이 어느 때보다도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가치관 형성이 시작되는 유아기에 적용될 수 있는 체계적인 생명존중 교육과정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이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국가수준 유치원교육과정의 생명존중교육의 내용이 어떠하며 유치원 교실에서 생명존중교육이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생명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한 불교 생명존중사상이 유아 교육과정 개발에 주는 함의점을 탐구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불교 생명존중사상을 중심으로 유아 생명존중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적용할 때에 주의해야 할 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불교 생명존중사상은 무정지물까지 포함하는 폭넓은 생명 개념을 바탕으로 단순히 생명을 존중하고 사랑하는 마음을 넘어서 자신을 희생하면서까지 다른 생명의 아픔을 함께 느끼고 아파하는 자비의 마음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불교사상을 바탕으로 한 유아 생명존중 교육과정에서는 생명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가 바탕이 되어서 올바른 생명존중에 대한 가치관을 확립하고 일상 생활 속에서 생명에 대한 사랑과 자비의 마음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유아 생명존중 교육과정이 효과적으로 실천되기 위해서는 유치원 교육과정이나 보육과정의 주제와 상보성을 가지고 일상적으로 실천되는 것이 필요하며 유치원 교사들이 자신의 교실의 유아들의 상황과 필요에 알맞은 교육과정을 개발 · 적용할 수 있도록 전문성 개발을 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Nowadays, the word ``life`` attracts our attentions as the societal problems such as excessive competition and the trend to make light of human life and the environmental crises such as global warming and the destruction of ecosystem are getting more serious. It is hence required to develop the curriculum of life respect education to overcome the life crises and to build a sustainable society based on balance, harmony, and togetherness. This study is a basic study to develop a curriculum for teaching respect of life for young children.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multifold. First, it examined the contents of life respect education included in the Korean Kindergarten Curriculum. Secon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life respect education is practiced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Third, it examined the Buddhist philosophy of life for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for developing the life respect education curriculum. Forth, it speculated the implications of the Buddhist philosophy of life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several tips for developing and practicing the life respect education curriculum. In the curriculum of life respect education, young children should be able to build a strong and healthy value system about respecting life based on a broad understanding about life and to practice their mind of love and respect for life in daily life.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the topics and subjects of the curriculum should be in complimentary relations with those of the Kindergarten Curriculum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 supports to develop their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bout life respect education.

      • KCI등재

        자연친화적 유아생명존중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요구

        정미라(Chung, Mi-Ra)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5

        본 연구는 유아생명존중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실태, 그리고 그 일환으로 강조되고 있는 자연친화적 유아생명존중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를 알아봄으로써 자연친화적 유아생명존중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G시와 M시에 소재하는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질문지 221부를 배부한 후 회수된 182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은 유아교육을 자연친화적 유아생명존중교육의 방향으로 전환해야 할 것을 요구하였으며, 가장 주된 이유는 자연에서 생명존중 소양과 정서적 안정감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었다. 둘째, 교사들은 우리 사회에서 가장 심각한 생명존중 문제는 타인을 위한 생명존중이고, 그 다음이 자연환경을 위한 생명존중, 나를 위한 생명존중이며, 따라서 타인을 위한 생명존중, 자연환경을 위한 생명존중, 나를 위한 생명존중 순으로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교사들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생명존중교육의 실시를 원하고는 있으나 프로그램 및 자료의 부족, 주변 환경의 여건 부족, 교육과정 운영상 시간 내기의 어려움 등으로 생명존중교육에 대한 필요성 인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실천도를 보였다. 넷째, 교사교육의 내용에 있어서 교사들은 유아와의 구체적인 대화법이나 생명존중교육을 위해 유아와 함께 할 수 있는 일과 같이 유아를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방법적 측면에 대한 교사교육과 생명존중교육을 위한 자료에 관한 정보나 생명존중교육의 중요성과 같은 생명존중교육 관련 전문 지식을 포함시킬 것을 요구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on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nd needs to develope children"s life-esteemed education programs based on nature friendly model. The study questions were given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teachers" perception and needs of children"s life-esteemed education? Second, what are teachers" perception and needs of life-esteemed education based on nature friendly model(LENFM)? The subjects were used in this study were 182 kindergarten teachers who worked in kindergarten in G city and M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nd needs of life-esteemed education was high, but teachers" practice of life-esteemed education was relatively low. Second,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converting for LENFM. Third, with regard to how to operate LENFM, many of kindergarten teachers replied that such programs should be executed regularly as planned, and should build contents on direct experiences of nature(living things).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was necessary developments of various LENFM programs.

      • KCI등재

        인구교육의 관점에서 바라본 초등학교 도덕과의 생명존중교육 내용 분석

        박종익,차우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敎員敎育 Vol.39 No.5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교육의 관점을 적용한 초등학교 도덕과의 생명존중교육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하여 ‘저출산⋅고령화’ 사회에서 인구교육과 도덕교육의 더 나은 방법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이에 본 연구에서 개발한 생명존중교육에 대한 내용 분석틀을 기준으로 분석을 진행하여 현재 초등학교 도덕과에서 생명존중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에 내용 분석 준거틀은 생명존중의 범주에서 각 영역을 ‘생명존중의 이해’, ‘생명존중의 위기’, ‘생명존중의 실천’으로 나누고 각 하위내용 요소를 12가지로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발한 내용 분석 준거틀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생명존중의 위기’ 영역에서 인간생명의 위기의 내용 요소와 ‘생명존중의 실천’ 영역에서 ‘인간생명의 존중’에 해당하는 내용 요소의 빈도가 가장 많았다. 그러나 ‘생명윤리의 갈등’과 ‘생명윤리의 회복’과 관련된 내용 요소는 부족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론 인구교육은 ‘저출산⋅고령화’ 사회에서 인구문제와 관련된 현상의 다양한 원인 중 하나를 사회⋅문화적 차원에서 발생하는 생명 경시 현상으로 파악하여, 이에 대한 해결의 방향을 교육으로 모색하려는 시도이다. 그렇기에 인구교육의 패러다임에서 강조하는 생명존중에 대한 가치교육은 학교 교육의 바탕이 되어야하며, 생명존중교육 내용 분석의 대상을 생명의 가치를 직접적으로 다루는 초등학교 도덕과를 통해 살펴본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에 초등학교 도덕과에서의 생명존중교육은 인구교육의 관점을 모두 포용할 수 있는 방향을 지향할 수 있어야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better ways to teach Population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in a ‘low birth rate and aging’ society through content analysis of life-respecting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morality classes applying the perspective of Population Education. Methods: Accordingly, an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framework of life-respecting education developed in this study to examine how life-respecting education is conducted in the morals subject of elementary schools. So, the content analysis framework divided each area into ‘understanding, crisis, practice of life respect’ and analyzed twelve sub-content element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developed content analysis framework, the content element of the crisis of human life in the ‘crisis of respect for life’ and the content element corresponding to ‘respect for human life’ in the ‘practice of respect for life’ were the most frequent areas. However, it was found that content elements related to ‘conflict of bioethics’ and ‘recovery of bioethics’ were insufficient. Conclusion: Population Education is an attempt to identify one of the various causes of phenomena related to population problems in a ‘low birth rate and aging’ society as a phenomenon of disregard for life at the social and cultural level and seek a direction to resolve it. Therefore, value educationon respect for life, which is emphasized in the Population Education, should be the basis of school education. Moreover, the subject of the analysis of the content of life-respect education was examined through morals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that directly deal with the value of life. Accordingly, life-respecting education in the morals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should move towards a direction that can embrace both Morals Education and the perspectives of Population Education.

      •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의 생명존중 교육내용 분석

        정미라 한국방과후아동지도학회 2009 아동중심실천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6차 유치원 교육과정과 2007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 및 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2007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있는 생명존중 교육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유․초 연계적 생명존중 교육과정의 기본 틀 마련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생명존중 교육내용의 변화와 연계성의 관점에서 ‘나’를 위한, ‘타인’을 위한, 그리고 ‘자연환경’을 위한 생명존중교육이라는 세 가지 내용 준거에 따른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대상 자료는 6차와 2007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의 ‘건강생활’, ‘사회생활’, ‘표현생활’, ‘언어생활’, ‘탐구생활’ 등 5개 생활영역 및 7차와 2007 개정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의 ‘우리들은 1학년’,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 ‘국어’ 등 전 교과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6차와 2007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 및 7차와 2007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나타난 생명존중 교육내용에 있어서, 유치원은 ‘나’와 ‘자연환경’을 위한 생명존중 교육내용이 확대된 반면, ‘타인’을 위한 생명존중 교육내용은 축소되었으며, 초등학교는 ‘나’를 위한 생명존중 교육내용이 확대된 반면, ‘타인’과 ‘자연환경’을 위한 생명존중 교육내용은 축소되었다. 둘째, 유치원 및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에서의 생명존중 교육내용의 연계성은 비교적 긍정적이나, 낮은 연계성을 가진 내용항목에 대해서 연계성을 높이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유․초 교육과정에 나타난 생명존중 교육내용의 연계성이 지니는 문제점과 그 해결 방안을 탐색함으로써 효과적인 유․초 연계적 생명존중 교육과정 마련에 실질적이고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 유치원,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 생명존중 교육내용

      • KCI등재

        생명존중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청소년의 생명존중의식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

        안선민(An, Sunmin),박경일(Park, Kyoungil)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한국청소년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생명존중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청소년들의 생명존중의식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울산광역시 남구 소재의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저소득층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만 생명존중 프로그램을 2014년 11월 14일부터 12월 15일까지 주 2회 총 10회기로 진행하고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효과검증을 위하여 유사실험 설계의 비동일 통제집단 전후 실험설계 모형을 채택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생명존중 프로그램에 참여한 저소득층 청소년들의 생명존중의식이 참여하지 않은 저소득층 청소년보다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생명존중 프로그램에 참여한 저소득층 청소년들의 자아탄력성이 참여하지 않은 저소득층 청소년보다 자아탄력성(활력성, 호기심, 낙관성)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생명존중 프로그램은 저소득층 청소년의 생명존중의식과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생명존중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청소년들에게 생명의 소중함과 긍정적인 자기 이미지를 갖고 청소년 자살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life respect program on sense of life respect and ego-resilience amongst teenagers from low-income families’. For this research, we selected teenagers from low-income families who were making use of community child centers located in Namgu, Ulsan. We applied the life respect program only to an experimental group twice a week from November 14th to December 15th, 2014 for a total of 10 sessions. A pre-to-post test was given, and we adopted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model’, of ‘Quasi-experimental design’ to prove the effectivenes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ense of life respect of teenagers from low-income families, who participated in the life respect program, increased more significantly than that of the teenagers from low-income familie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life respect program. Second, the ego-resilience (energy, curiosity, optimism) of teenagers from low-income families, who participated in the life respect program, increased more significantly than the teenagers from low-income familie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life respect program. In conclusion, the life respect program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in the sense of life respect and ego-resilience of teenagers from low-income families. Based on these findings, it suggests that the life respect program is an effective program to prevent youth suicide by making teenagers in low-income families have the importance of life and positive image of themselves.

      • KCI등재

        청소년의 생명존중의식이 자살위험성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배정순 ( Jeong Soon Bae ),김춘경 ( Choon Kyung Kim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5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생명존중의식과 자살위험성, 공격성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생명존중의식이 자살위험성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또 남녀간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대구지역 고등학생 460명으로,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19.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생명존중의식과 자살위험성, 공격성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상관분석을, 성별에 따른 생명 존중의식이 자살위험성 및 공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생명존중의식과 자살위험성, 공격성 간에는 모든 요인 간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남·녀 고등학생 모두 생명존중의식이 높으면 자살 위험성이나 공격성이 낮고, 생명존중의식이 낮으면 자살위험성이나 공격성이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그 영향력에 있어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여주었다. 생명 존중의식이 자살위험성이나 공격성에 영향을 주는 정도가 여학생의 경우가 남학생 보다 더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여학생의 생명존중의식을 높여주면 자살위험성과 공격성을 낮추는 데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자살위험성이나 공격성 조절을 위한 상담과 교육, 예방프로그램에서 생명존중의식의 요소를 포함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life respect consciousness on suicidal risk and aggression in adolescents. The subjects were 460 high schools students in Daegu. The influence of life respect consciousness on suicidal risk and aggression was proved. There were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life respect consciousness and suicidal risk, aggression. So if a student has higher life respect consciousness will have lower level of suicidal risk, aggression. In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alyzed each variable were efficaciou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dict level of suicidal risk, aggression by the level of life respect consciousness. Generally, the female students have high level than male students in suicidal risk. And suicidal risk, aggression in the female students were analyzed higher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in life respect consciousness. The life respect consciousness of female students can be powerful predictive variable on suicidal risk. These findings indicate life respect consciousness has effects on control levels of suicidal risk, aggression. This study showed that we have to consider life respect consciousness variable in counseling, education, various care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gone through a series of problems in suicidal risk and aggression.

      • KCI등재

        생명존중 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생명존중의식과 양육책임감에 미치는 효과

        이정은(Lee, Jung-Eun),강수경(Kang, Su-K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본 연구는 생명존중 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생명존중의식과 양육책임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 생명존중 교육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19년 2학기에 필수교양으로 개설된 생명존중관련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 270명이며, 학기가 시작하는 시점과 종료 시점에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생명존중의식은 생명존중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 한 후 교육 전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대학생의 양육책임감은 생명존중 교육 프로그램 실시 한 후 교육 전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변화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생명존중의식이 양육에 대한 책임감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을 보안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effect of the life-respect education program on university students life-respect consciousness and parenting responsibility, and to seek ways to improve the life-respect education program. The study subjects were 270 students who took courses related to life respect education, which were established as essential course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9, and pre-tests were conducted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semester.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ife respect consciousness of university students wa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at of pre-education after implementing the life respect education program. Second, the parenting responsi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after the life-respect education program compared to before the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 that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program so that life consciousness can lead to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parenting.

      • KCI등재

        현대사회와 생명존중사상

        송승현(Song, Seung-Hyun)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東亞法學 Vol.- No.79

        생명존중사상이라는 선언(宣言)은 우리가 익히 들어 잘 알고 있는 가르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가르침을 알고만 있는 것으로 만족하며 살고 있다. 사회가 발전하면서 알고는 있지만, 이를 준수하기란 현실적으로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런지 인간은 생물을 수단 내지 객체로 취급하여 경시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러나 인간은 인간 이외의 생물보다 그 존재방식이 우월할 뿐이지 모든 생명체는 평등하고 자연의 한 구성원으로서 모두 하나이다. 그러나 인간에게는 세계-내-존재로서 그 존재방식이 우월하기에 생명존중사상의 수용․인식주체로서의 지위가 부여된다고 할 수 있다. 즉, 생명을 존중하고 지켜야할 주체로서 생명이 존재하는 이유인 동시에 목적이라고 할 수 있는 인(仁)을 지켜야할 의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인간은 나 자신뿐만 아니라 타자의 인(仁)이 훼손되지 않도록 그 의무를 다해야 한다. 그러나 모든 생명체는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부득이 타자의 생명을 취할 수밖에 없다. 이는 의(義)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생명존중사상에 반하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세상만사에 절대적인 것은 존재할 수는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생명존중사상이라는 선언은 현대사회에서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