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류학에서의 비교연구

        박환영(Park, Hwan-Young) 비교민속학회 2014 비교민속학 Vol.0 No.53

        문화를 연구대상으로 삼는 대표적인 학문분야는 인류학과 민속학이다. 두 학문분야에서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는 문화연구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고찰하기 위하여 인류학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비교연구의 관점과 연구주제를 본 논문에서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즉 인류학에서의 비교연구가 가지고 있는 관점과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인류학적 입장에서의 비교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다음으로 이러한 비교연구가 민속학(특히 비교민속학)에서의 비교연구와 어떻게 연계되어 있으며 향후 비교민속학적 연구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본 논문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인류학에서의 비교연구는 초창기에는 문화진화론적인 입장에서 일방적인 측면에서의 문화 비교를 하면서 점차로 19세기 이후부터는 문화상대주의적 입장에서 다양한 인류문화를 대등한 입장에서 바라보는 통문화적인 문화의 상호비교(cross-cultural studies)로 바뀌게 된다. 더욱이 anthropology at home과 같이 자신의 문화를 연구하는 인류학의 경향은 비교연구의 방법을 더욱더 세분화하고 정밀하게 발전시키는 계기가 된다. 한편 초장기 한국민속학에서 비교민속학적인 접근을 취했던 20세기 초반의 민속학자들과 그들의 업적 중에서 민속학의 고유한 방법인 역사지리학적 방법은 인류학에서의 문화전파론적 방법과 만난다. 또한 1990년 전 세계적으로 사회주의가 본격적으로 약화되면서 한국민속학에서 아시아지역의 민속문화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된다. 특히 중국과 몽골 그리고 구 소련연방(USSR)에 속했던 사할린 연해주와 중앙아시아 지역의 민속연구를 위한 현지조사가 가능해지면서 인류학의 통문화적 연구와 밀접한 연계를 가지게 된다. 더욱이 21세기 다문화사회(multicultural society), 탈사회주의 사회(post-socialist society)1), ‘아시아적 가치(Asian Values; 아시아 지역의 다양한 민족이 공유하거나 공감할 수 있는 문화적 가치) 등 이제까지 인류학에서 연구대상으로 삼았던 다양한 인류문화와 비교해서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새로운 연구영역과 관심2)이 생겨나고 있어서 인류학과 비교민속학적 연구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즉 아시아 인류학자에 의한 또 다른 아시아의 문화연구는 비교민속학적인 입장에서 아시아 민속의 비교와 관련해서 살펴볼 수 있으며, 탈사회주의 사회에 대한 인류학적인 연구는 북한을 중심으로 사회주의 이전 문화와 사회주의 문화 그리고 향후 탈사회주의 문화를 상호 비교해서 한국의 민속문화와 비교민속학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고 있다. This article deals with “comparative studies” and how anthropological approaches these studies from the standpoint of its perspectives and research subjects. It shows how anthropological comparative studies are closely linked to folklore studies and furthermore may have an impact on future comparative studies. Comparative studies in anthropology based on cultural evolutionism and therefore were focused on one-side direction. However when cultural relativism emerged, various human cultures were equally treated and valued. As a result, the comparative study of cross-cultural perspectives gradually developed and solidated to the realm of anthropology. Furthermore, some recent research trends in anthropology such as “anthropology at home” contributes to delicate and broaden the methodology of anthropological comparison. On the other hand, some efforts (i.e. geographical and historical methods) of comparative folkloristic researches on early 20th century in Korea are connected to cultural diffusionism in anthropology. Since the decline of socialism in Asia and Eastern Europe in 1990, Korean folklorists could extend their research interests towards Asian regions. In particular, Korean folklorists started to carry out fieldwork in China, Mongolia and Korean minority communities in USSR, thus they contributed to the cross-cultural studies of anthropology. Today new cultural distinctions (such as multi-cultural society, post-socialist society, Asian values) stimulate further research topics and hence surely lead to a new paradigm of future anthropology and comparative folkloric studies.

      • KCI등재

        선교사를 위한 문화인류학에 대한 통합적 시각 연구의 필요성

        민장배,이수환 한국선교신학회 2023 선교신학 Vol.71 No.-

        본 논문은 효과적인 선교사역을 위한 문화인류학의 통합적 관점에 관한 연구이다. 그동안 선교사역의 사명과 선교사의 현지 부적응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어왔다. 그러므로 선교사들은 문화인류학을 통해 구체적인 선교사역과 관련된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현대 선교학 의 기초를 이루고 있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는 타문화 선교사에게 기본적인 문화인류학의 개념이해로 시작하여 문화인류학의 역사, 문화 인류학과 선교, 그리고 선교학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문화인류학 통합 적 관점은 찰스 크래프트, 폴 히버트와 강승삼의 이론을 중심으로 하였다. 선교사가 사역에서 문화인류학을 통합적인 관점에서의 인간 이해를 지향해야 한다. 그것은 인간이 복합적인 존재로서 신체적, 정신적, 감정적, 영적, 사회적, 도덕적인 측면 등을 가진 존재이기 때문에 문화인류학의 목표는 인간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려는 실천적인 학문이 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integrated perspective of cultural anthropology for effective missionary work. Until now, concerns have been raised about the mission of the missionary and the local maladjustment of the missionary. Therefore, missionaries need to understand specific missionary work through cultural anthropology. This study began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basic cultural anthropology for other cultural missionaries, not choices that form the basis of modern missionary science, and examined the history of cultural anthropology, cultural anthropology and missionary science. The integrated perspective of cultural anthropology was centered on the theories of Charles Kraft, Paul Hiebert, and Kang Seung-sam.

      • 문화인류학의 발전과 교육에 미친 영향

        정옥희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18 지식과 교양 Vol.- No.2

        본 연구는 문화와 개인의 관계에 둘러싼 논쟁으로 이루어진 인류학의 발전을 탐구한다. 문화와 개인의 관계를 초점으로 문화와 퍼스넬리티론이 심리 인류학으로 발전되고, 신진화 주의와 문화유물론을 주장한 마르크스 철학의 영향은 문화인류학의 토대가 되어 문화상대주의 관점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교육 이론에 미친 영향을 발견할 수 있다. 문화인류학은 교육학의 발전과 함께 문화 상대 주의적 관점에서 인간에 대한 이해를 문화 속에서 들여다보게 함으로써 교육을 인류학적 관점에서 탐구하고자 한 교육인류학의 태동을 가져왔음을 알게 해준다. 문화인류학의 발전이 교육에 미친 영향 관계를 탐색하는 것은 그동안 문화에 관한 당연한 믿음 속에서 선택된 지식과 정보가 교육으로 이행되는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개인과 문화의 관계 속에서 그동안 당연시 여겼던 문화적 믿음을 낯설게 함으로써 교육의 방향을 인류학적 관점에서 거시적으로 바라보는 계기가 될 수 있다.

      • KCI등재

        개별화된 문화실증주의: 보아스(F. Boas)의 문화 개념과 인류학 방법론에 대한 일고찰

        김동주 한국문화인류학회 2019 韓國文化人類學 Vol.52 No.2

        Franz Uri Boas(1858-1942), the founder of modern American anthropology, received his doctoral degree in physics at the University of Kiel in Germany. Working in the German tradition of Naturphilosophie, he expanded his academic interest to comparative geography and further into ethnology. Previous studies in the history of anthropology view this trajectory from a viewpoint emphasizing the influence of nineteenth–century German historicism. However, locating Boas exclusively in this tradition is misleading not least because the very term historicism is too broad to signify specifically meaningful characteristics. This article argues that Eric Wolf’ s “particularistic cultural positivism” is a better designation of Boas’ s position than the still widely used “historical particularism” after Marvin Harris. Specifically, I examine Boas’ s definition of culture and his view of anthropology as a field in his writings over time, focusing on The Mind of Primitive Man. Boas tried to show that there is no viable evidence supporting unilinear evolution and emphasizes that race, language, and culture do not coincide in historical processes or geographic distribution. He defined culture as being plural, without referring to universal history or any hierarchy among cultures, therefore objecting to certain versions of historicism in nineteenth-century Germany. Neo–Kantian ideas of perception and experience, and the distinction between a priori and a posteriori knowledge provided the basis for his developing ideas. Based on these reflections, he argued that mankind shares the same kind of thought process and intellectual abilities. Furthermore, the impossibility to reconstruct local histories prompted Boas to focus on the present, which already provided a genealogy of secondary explanations in cultures. And since Boas viewed these as philosophy or science in their own right, it is my contention that he was a forerunner of cosmography, which was started by Alexander von Humboldt and was revived after the ontological turn in anthropology. 프란츠 보아스(1858~1942)는 독일에서 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마친 후, 독일의 자연철학전통을 이어받아 비교지리학에 기반을 둔 인류학 연구를 통해 미국 인류학 전통, 특히 4분과 인류학의 기반을 마련한 학자이다. 현재까지의 인류학사 연구에서는 독일 역사주의에 입각한 보아스의 문화 개념과 역사적 접근 방법을 강조하여, 보아스의 자연과학적 접근과 신칸트주의 배경을 상대적으로 간과한 경향이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보아스가 독일 자연철학및 신칸트주의 전통에서 받은 영향을 살펴보고 그것이 가진 함의를 분석하여, 보아스의 인류학을 역사적 특수주의로 지칭하기보다는 개별화된 문화실증주의로 파악하는 것이 더 적절함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보아스의 문화 개념과 학문관이 인류학사의 맥락 안에서 가지는 의미를 심층적으로 검토하였다. 보아스의 문화 개념은 기존의 문화 개념들이 전제하던 보편사적 시간 차원을 없애면서, 문화의 복수성을 당연하게 포함하고 개인의 사회적 역할을 포함하는 등의새로운 요소들을 포함하였다. 즉, 문화를 사회적 관계 안에서 개인이 보이는 정신적, 육체적반응과 활동의 총체로 규정한 보아스는 이미 신칸트주의 문제의식을 가지고 선험성의 경계와 경험의 범위를 탐구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원시인이라고 알려져 있는 부족사회의 원주민들이 현대 문명인들과 지적인 능력의 측면에서 큰 차이가 없다는 관찰도 선험성과 실제경험의 관계에 대한 관심에서 나온 것이다. 또한 보아스는 특정한 지역의 역사를 재구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절감하여, 이차적 설명들이 전승되는 현재에 초점을 맞춰 인류학이 물질과 상징, 정신과 문화에 걸쳐 폭넓은 접근을 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이러한 이차적 설명들이 체계화된 형태가 철학이나 과학과 같은 위상을 가진다는 보아스의 시각은 분명히 코스모그래피의 계보에서 뿐만 아니라 현대 인류학의 시초로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 로컬리티 연구를 위한 접근방식으로서의 포스트모더니티에 대한 문화연구

        홍석준(Hong Seok-Joo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0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3

        이 논문은 포스트모던 시대의 포스트모더니티와 포스트모더니티에 대한 문화연구의 특성과 의미를 문헌연구를 통해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이 작업은 로컬리티(locality) 연구를 이론화하는 하나의 중요한 접근방식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포스트모더니티의 상황을 제시하고, 이러한 상황을 대중문화와 관련시켜 이해하고자 한다. 또한 포스트모더니티의 상황을 맥락의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문화인류학이라는 학문과의 관련성에 주목하여, 포스트모더니티와 문화인류학에서의 문화연구와의 관계 또는 상호작용의 특성과 그 의미를 이론적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최근 포스트모더니티의 문화인류학은 민족지나 문화인류학적 글쓰기의 여타 장르뿐만 아니라 로컬리티 연구와 관련된 사회이론, 문화이론, 심리학이론 등의 모든 수준에 수많은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이런 점에서 이 글에서는 포스트모더니티의 문화인류학이 로컬리티 연구의 접근 방식으로서 의미를 지니며, 이에 대한 문화인류학적 문화연구의 연구 성과와 그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 다양한 포스트모더니티 현상에 대한 로컬리티 문화연구의 특성과 의미를 맥락적 관점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postmodernity and cultural studies on postmodernity with special reference to an approach to theorize studies on locality. In this paper, I propose the approach and method to theorize studies on locality. In doing so, I examine the postmodern conditions a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postmodernity and popular culture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concept of locality. Paid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modernity and anthropology, I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interrelationship between postmodernity and anthropological cultural studies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which is focused on studies on the local and locality. Furthermore, I emphasize that anthropology and cultural studies would contribute to pursue and develop the theorization of studies on locality in the contextual point of view. In this sense, I investigate that the postmodern conditions close relation to popular culture and both anthropology and cultural studies have various academic fields and areas, which have dealt with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popular culture in postmodern conditions and postmodernities.

      • 불교 포교를 위한 민족지 연구방법 활용에 대한 고찰 : 불교 포교의 관점에서 본 문화인류학

        최윤희(효석) 동국대학교 종학연구소 2020 宗學硏究 Vol.4 No.-

        불교포교사는 동시대의 사람들에게 붓다의 가르침을 전하는 일을하는 사람들이다. 포교사는 붓다의 가르침을 사람들에게 전하기 위해포교 대상의 문화와 특성을 먼저 연구해야 한다. 문화는 사람들이 정신작용을 통해 만들어낸 모든 제도와 사상, 물질을 통틀어서 말하는것이다. 포교 연구는 바로 현지조사를 통해 사람들로부터 답을 찾아내는 일이다. 현지조사는 낯선 장소에서 낯선 사람들을 만나는 것부터 시작된다. 포교사가 포교를 위해 낯선 사람들을 만났을 때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친근감 즉 라포(rapport)를 조성하는 일이다. 문화인류학자들은 라포를 조성하기 위해 사전에 현지인들의 언어를 습득하고 그들의 관습과 예절을 우선적으로 익힌다. 그런 후에 참여관찰과 면담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질적 분석과 해석을 한다. 포교사와 문화인류학자는 추구하는 지향점과 방법론에서 유사한점이 많다. 포교사의 목표는 붓다가 설하신 고(苦)과 고로부터의 해방의 가르침을 널리 홍포하여 사람들을 행복하고 이익 되게 하는 것이며, 문화인류학자의 목표는 문화상대주의적인 관점으로 다른 문화를배우고 익혀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다툼을 줄여 화합하게하는 것이다. 본 소고의 목적은 문화인류학자들이 현지에서 활용하고 있는 민족지 연구방법들을 포교사가 어떻게 포교에 활용할까를 연구하기 위함이다.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 위해서 문화인류학적으로 어떻게 접근해야 하고, 포교일선에서 이러한 방법들을 어떻게 활용할수 있을지를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논문에서 포교와 문화인류학의 개념과 역사를 먼저 짚어보고, 포교를 위한 민족지 연구 방법을제시하고 난 후에 포교사와 문화인류학자의 역할을 비교분석하여 민족지적 연구방법이 포교에 적극 활용되어야 함을 고찰한다. A buddhist missionary is a person who works to convey the teachings of the Buddha to contemporaries. So the missionary should study the cul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of the mission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the people. Culture is all about the institutions, ideas, and materials that people have created through mental action. Missionary work research is the process of finding answers from people through field surveys. Field surveys begin when a missionary meets strangers in an unfamiliar place. When a missionary meets strangers for the mission, the first thing to do is to create rapport. Cultural anthropologists learn the language of the locals in advance and learn their customs and manners in advance in order to create the rapport. After that, data is collected through participating observation and interview, and qualitativ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re carried out. The missionaries and cultural anthropologists have a lot in common with the pursuits and methodologies. The goal of the missionary is to expose the Buddha's teachings of the suffering and the liberation from the suffering and to make people happy and profitable. The goal of cultural anthropologists is to learn different cultures from a cultural relativistic perspective and respect other culture, reduce contention and harmoniz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how anthropologists use the research methods that are being used locally by the missionary for mission work. The purpose is to study how to approach cultural anthropologically in order to broaden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and how to use these methods on the frontline of mission.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the concepts and history of missionary and cultural anthropology first, and after presenting cultural anthropological methods for missionary work, we will compare and analyze the role of missionary and cultural anthropologist to examine how anthropological methodology can be used in missionary work.

      • KCI등재

        음악교육학 연구의 외연 확장을 위한 시론적 고찰: 국내 교육인류학 내에서의 문화 개념 변화 과정을 중심으로

        윤혜경 한국예술교육학회 2019 예술교육연구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scope of music education research by seeking an educational anthropological approach which has not been tried in music education. For this, it examines the cultural theories of Anthropology such as Primitive culture, cultural idealism and the change of cultural concepts in Anthropology of Education. Such as culture as content, culture as a process, culture as a form of life and culture as a form of meta-life. And also, I have examined how the scope and method of research expanded in this filed according to culture concepts. Based on this cultural concepts, I suggested the following implication for the concept of music culture. First, there is no music culture defined as one. The music culture is constantly changing, creating and disappearing. It is important to expand the concept of various musical cultures through continuous discussions in understanding various cultural concepts. Second, music culture is an area of repeated order of human life a s a process and a way of becoming a musical human being. Third, music culture has a duality. It can be a process of domesticate the musician. Conversely musician discipline to the particular music culture. Thus, music culture create an identity as a member of a musical group. But may interfere with communication with other groups of music.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nquiry into the process of continuous change of the concept of educational anthropological culture can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subject, methods, theme. And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본고는 그동안 음악교육학에서 시도되지 않았던 교육인류학적 접근을 모색하여 음악교육학 연구의 외연 확 장의 가능성을 검토한 연구이다. 먼저 우리나라 교육인류학계가 초기에 채용한 문화인류학의 문화개념을 복합 총체론과 관념론을 중심으로 개괄하고, 교육인류학계 내에서 변화해 온 문화개념을 내용으로서의 문화, 과정으 로서의 문화, 삶의 형식으로서의 문화, 메타적 삶의 형식으로서의 문화를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문화개념에 따 라 해당 분야의 연구의 외연과 방식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확인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문화개념에 대한 국내 교육인류학계의 학문적 논의와 변화가 음악문화 개념에 주는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 째, 음악문화는 하나로 규정될 수 없다는 점에서 개방성을 가진다. 둘째, 음악문화는 음악을 하는 인간으로 되 어가는 과정과 방식으로서 역동성을 가진다. 셋째, 음악문화는 음악을 할 수 있는 사람으로 길들이는 과정으 로, 이로써 한 집단의 정체성을 형성하면서도 동시에 그 집단을 특정 음악문화로 길들여 다른 음악집단과의 소 통을 방해하는 이중성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본고에서는 위와 같은 논의에 기초하여 교육인류학적 문화개념의 지속적인 변화 과정에 대한 탐구와 음악교육과의 융합적 연구를 통해 연구의 대상, 방법, 주제의 확장을 견인 하여 음악교육학 연구의 외연을 총체적으로 확대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斗山이 指向했던 文化人類學의 始延: 文化領域說과 基層文化論

        전경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9 민족문화논총 Vol.43 No.-

        This paper aims solely at the late Professor Kim Taek-kyu(Doosan, his pen name) in terms of the history of Korean anthropology. Kim is the founder of the department of cultural anthropology at Youngnam University. The question for this paper started with his conversation with the author one year before he died at 1999. His master degree was bestowed by his thesis on "Shamanistic Literature"(1957) begun with the word of "anthropology". After finishing his master he moved to Tokyo University for one year as a research fellow. His renowned ethnography known as Hahoe ethnography was heavily influenced by the research method employed by Tokyo University. Kim's research references are almost always relied upon Japanese literatures. Finally he invented a concept of "basic culture area" as a research hypothesis for his lifelong project of the cyclical rituals(rites of intensification) of the Korean agriculture. The basic culture area comes from on the one hand "basic culture" inherited from German folklore through Japanese literature and on the another hand "culture area" from American culture historians like Clark Wissler through again Japanese scholars. One more interesting aspect of his starting point to meet with anthropology seems possibly to be related with Mr. Lee Seok-rak who was a key member of Korean Anthropological Association right after liberation of 1945. 본고는 문화인류학자 두산 김택규 교수의 학문적 역정과 그가 이룬 학문의 이론적 정향의 계보에 대한 학사적 검토의 결과이다. 1957년 “무교문학”이란 제목의 석사학위 논문에서부터 인류학에 관한 논의를 주로 하고 있는 김택규의 문화인류학 역정은 그후 일본의 레퍼런스를 만나면서 본격적인 인류학적 업적을 축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의 하회민속지는 한국학의 대표적인 업적으로 손꼽히고 있는데, 그 민속지의 방법론이 동경대학의 일본지역성연구의 방법론에 의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가 평생 업적으로 만들어낸 한국의 농경세시의례는 기층문화영역론이란 이론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이 이론의 원류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독일민속학으로부터 일본에 습득된 “기층문화”라는 개념과 미국 문화사학파에서 비롯되어 일본으로 수입된 문화영역설이 습합된 것이 두산이 만든 기층문화영역론이란 것이라는 점을 고증하였다. 두산의 인류학 역정이 시작하는 시점에 조선인류학회의 주역이었던 이석락과 관련이 있다는 점을 밝힌 것도 본고의 작업이 얻은 소득이다.

      • KCI등재

        문화개념에 관한 신약성경의 어원적 접근

        배춘섭 ( Bae Choon-sup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20 성경과신학 Vol.93 No.-

        본 논문은 역사적으로 인류학에서 발전된 문화개념을 살핀 후 ‘문화’에 상응하는 신약성경의 용어들을 어원적으로 고찰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복음이 제시하는 성경적 선교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먼저 시대적 흐름에 따른 문화개념의 역사-인류학적 발전은 다음과 같다: 1) 18세기 후반의 문화고전주의(Classicism), 2) 19세기 중반의 문화진화론주의(Evolutionism), 3) 19세기 중반의 문화결정주의(Determinism), 4) 20세기 초중반의 기능주의(Functionalism)와 구조주의(Structuralism), 5) 20세기 후반의 문화상징주의(Symbolism). 이런 인류학의 문화개념은 신약성경에서 나타난 세 용어에 집중한다. 그것은 □θνο□ (ethnos), □ναστρ□φη(anastrophe), κ□σμο□(Kosmos)이다. 이 용어들은 기본적으로 인류학이 제시하는 문화의 개념을 지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약성경은 그 용어들 안에 함축적으로 복음이 제시되었음을 드러낸다. 따라서 이 같은 인류학과 신약성경의 문화이해에 관한 차이는 다음과 같은 선교적 적용을 가능케 한다. 첫째, 선교는 문화의 다양성을 인식하면서도 복음의 절대성을 유의해야 한다. 둘째, 복음은 민족들(□θνη)로 하여금 죄를 회개하고 하나님 나라를 위해 살도록 이끈다. 셋째, 세속문화와 달리 기독교의 문화는 하나님의 거룩함을 추구한다. 넷째, 복음은 문화 속에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적 방식으로 전해져야 한다. 그러므로 선교는 문화가 복음보다 우위에 설 수 없으며, 복음은 문화변혁을 위해 성육신적으로 문화에 전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thropologically study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cept in the history and to etymologically investigate the terms that correspond to the ‘culture’ in the New Testament of the Bible. Ultimately, this paper aims to propose the directions for the future biblical mission works as presented by the Gospel. Firstly, the historical-anthropological development of the cultural concepts by the chronological changes is as follows: 1) Classicism in the late 18<sup>th</sup> century, 2) Evolutionism in the mid 19<sup>th</sup> century, 3) Determinism in the mid 19<sup>th</sup> century, 4) Functionalism in the early/mid 20<sup>th</sup> century and 5) Symbolism in the late 20<sup>th</sup> century. Such anthropological concepts of the culture is represented by the three key terms in the New Testaments of the Bible: □θνο□ (ethnos), □ναστρ□φη(anastrophe) and κ□σμο□(kosmos). The three terms reflect the basic cultural concepts presented in the anthropology. Meanwhile, in the New Testament of the Bible, these words connotatively convey the Gospel. Accordingly, the gap between the anthropological and biblical understanding of the culture allows possibilities of missionary applications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to note the absoluteness of the Gospel while recognizing the diversity of culture on missionary works. Second, the Gospel allows the people(□θνη) to repent their sin and lead them to live for the reign of God. Third, the Christian culture is different from the secular culture in that it seeks for the Holiness of God. Fourth, the Gospel must be spread in accordance with the incarnation of Jesus Christ in the culture. Therefore, in the missionary scene, culture must not be superior to the Gospel, which must be transferred to the culture along with the belief of incarnation of Jesus Christ.

      • KCI등재

        문화적 과정으로서의 교육 -교육인류학을 위한 비판적 고찰-

        정향진 ( Hyang Jin Jung ) 한국교육인류학회 2008 교육인류학연구 Vol.11 No.1

        이 글은 교육을 인간 문화의 핵심적 토대로서 이론화하기 위해 교육의 개념 및 속성, 인간 학습과 문화에 있어서의 교육의 역할, ‘사회화’와 ‘교육’의 구분, 문화의 두 차원과 관련한 교육적 과정의 이중성 등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또한 교육에 대한 규범적 접근이 가지는 한계를 지적하고, 교육인류학적 연구를 위하여 보다 포괄적이고 현실적인 교육 개념을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인간 학습의 특수성을 문화적 학습의 개념으로 살펴보고, 문화적 학습을 촉진하는 활동으로서 교육이 인간 고유의 활동이라는 점을 명확히 한다. 교육은 인간의 종(種) 보편적 행위이지만 특수한 문화적 맥락 속에서 수행되는 바, 교육의 보편성과 특수성의 두 차원은 문화 자체의 두 차원과 관련된다. 따라서 문화에 대한 상보적인 두 개념, 즉 보편주의적 문화 개념과 상대주의적 문화 개념을 검토하고, 이것이 교육의 이중적 차원과 연결되어 있음을 논의한다. 교육은 개인이 문화에 적응하도록 하게 하는 동시에 문화를 새롭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역동적인 과정인 바, 교육을 문화와의 관련 속에서 볼 때 기존의 ‘사회화’와 ‘교육’에 대한 이분법 및 교육에 대한 규범적 접근 대신, 보다 포괄적이고 현실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This paper proposes a concept of education that enables us to approach education in a more inclusive and realistic way, going beyond limitations of a prevailing, value-centered approach to education. In so doing, it firs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cultural learning, and identifies education as a quintessential human activity. Education is a species-universal phenomenon in human, yet it is carried out in particular cultural contexts. These two dimensions of education,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are linked with the two dimensions of culture. Thus two contrasting culture concepts, universalist and relativist are examined in relation to the dual nature of education. Education needs to be considered a dynamic process in which individuals are led to adapt to their culture, at the same time that culture is asked to meet the needs of the individuals. Education being conceptualized in this light, a dichotomy between "socialization" and "education" cannot be held. The paper claims that this conceptualization of education better serves the anthropology of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