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개 의과대학생의 말기 환자 치료 결정에 대한 태도

        오승민,조완제,김종구,이혜리,이덕철,심재용,Oh, Seung-Min,Cho, Wan-Je,Kim, Jong-Koo,Lee, Hye-Ree,Lee, Duk-Chul,Shim, Jae-Yong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8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1 No.3

        목적: 말기 암 환자의 증가, 노년인구의 증가, 연명치료기술의 발달 등으로 완치될 수 없는 질환을 가진 말기 환자에 대한 치료 결정(End of life decision making)은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의료진의 태도나 환자 및 보호자의 인식은 낮은 상태에 있고 이로 인해서 말기 환자에게 말기진정과 같은 결정이 필요한 경우에 있어서도 그 시행에 많은 제약이 있으며 때로는 잘못된 시행으로 윤리적으로 어긋나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이에 의과대학 교육과정을 통하여 말기 환자 치료 결정에 대한 올바른 태도 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며, 미래 의료계의 주역이 될 의과대학생들이 말기진정을 포함하여 능동적 안락사, 의사조력자살, 연명치료 유보 및 중단 등 말기 환자 치료결정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가지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07년 6월 25일부터 6월 29일 사이에 1개 의과대학 본과 1, 2학년 학생과 임상 실습중인 3학년 학생 총 388명을 대상으로 능동적 안락사, 의사조력자살, 연명치료 유보 및 중단, 말기 진정 등 말기 환자 치료결정에 대한 태도와 인구사회학적 자료를 설문 조사하였다. 응답이 완료된 267명을 대상으로 말기 환자 치료결정에 대한 태도와 각 인자들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일개 의과대학생 267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 조사에서 능동적 안락사, 의사조력자살, 연명치료의 유보 및 중단, 말기 진정의 시행에 찬성하는 비율은 각각 37.1%, 21.7%, 58.4%, 60.3%, 41.6%였다. 이 비율은 각 항목의 윤리적 타당성에 대한 설문 결과와 유사하였다. 1학년보다는 3학년에서 능동적 안락사와 의사조력자살은 더 반대하였고, 연명치료 유보 및 중단, 말기 진정에 대해서는 더 찬성하였다. 종교 활동 시간이 많을수록 각 항목에 대한 찬성이 적었으며 교육 경험 유무, 특히 임상실습경험이 있는 3학년 학생에서 말기 진정에 더 많이 찬성하였다. 연령, 임종 환자 경험 유무가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다. 결론: 말기 환자 치료 결정의 구체적 임상 행위에 대한 의과대학생의 태도에 이전 연구에서처럼 종교 또는 교육이 말기 환자 치료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임상실습을 통한 교육경험이 태도 변화에 중요하였다. Purpose: Sooner of later, end-of-life care decision-making will unfold and be settled during the professional lives of medical students. However, there is prevalent ambiguity and uncertainty between the palliative treatment and euthanasia. We conducted this survey to investigate attitudes of medical students towards end-of-life making decisions, and to find out which factors primarily influenced the attitudes. Methods: A study was conducted among medical students at one university, the Republic of Korea. A written questionnaire was sent to all the 1st, 2nd, and 3rd-year medical students. It presented 5 statements on end-of-life decision-making. Students were asked whether they agreed or disagreed with each statement. Results: The response rate was 74.4%, and 267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Percentages of agreement with each statements on Voluntary active euthanasia (VAE), Physician assisted suicide (PAS), Withholding life-sustaining management, Withdrawing life-sustaining management, and Terminal sedation (TS) was 37.1%, 21.7%, 58.4%, 60.3%, and 41.6%, respectively. The grade of students, religious activity, and educational experience were determinant factors. Agreement on each statements was higher in the low religious activity group than in the high religious activity group. Agreement on TS was higher among 3rd year students during their clerkship than among 1st and 2nd year students. Age of students and the experience of dying-people care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Conclusion: In end-of-life decision-making, religious and educational factors influenced medical students' attitudes. Especially, the experience of education during clerkship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ttitude. Proper teaching on end-of-life decisions should further be considered during medical students' clerkship.

      • KCI등재후보

        말기 환자의 수액요법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조현숙,조옥희,유양숙,Jo, Hyeon-Sook,Cho, Ok-Hee,Yoo, Yang-Sook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0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3 No.4

        목적: 본 연구는 말기 환자에게 실시하는 수액요법에 대한 간호사들의 인식과 수액요법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대상자는 서울에 소재한 3개 대학병원의 암 병동 간호사 87명과 보건복지부의 호스피스 시범사업 지원기관으로 선정된 1개 호스피스기관의 간호사 113명, 총 200명이었다. 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08년 3월 10일부터 3월 31일까지 수집하였으며, 수액요법에 대한 호스피스기관 간호사와 암 병동 간호사의 인식 차이는 $x^2test$와 ANCOVA로 알아보았다. 결과: 호스피스기관의 간호사가 암 병동 간호사에 비해 '말기 환자에게 수액을 주입하면 전신무력감이 호전되지 않는다', '수액을 주입하여도 섬망이나 안절부절함, 의식장애가 완화되지 않는다', '수액을 제한하면 폐부종이 감소되고 기침, 가래, 호흡곤란이 감소된다', '수액을 제한하면 복수가 최소화된다’고 응답한 경우가 많았다. 말기 환자에게 실시하는 수액요법에 대한 심리사회적인 측면의 인식도는 암 병동 간호사가 호스피스기관 간호사보다 높아 긍정적이었다. 호스피스기관이 암병동보다 말기 환자에게 수액을 말초정맥 혈관이나 지속적 피하 점적주사로 주입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주입하는 하루 평균 수액양이 적었다. 말기 환자에게 수액 요법을 하는 이유로 호스피스 기관은 '환자나 가족이 원해서'가 가장 많았으며, '환자 및 가족에게 치료를 지속하고 있다는 안정감을 주므로'와 '수액요법이 기본적인 처방이므로' 순이었으나 종합병원의 암 병동은 '환자나 가족에게 치료를 지속하고 있다는 안정감을 주므로', '환자나 가족이 원해서', '탈수를 교정하기 위해서' 순이었다. 결론: 종합병원의 암 병동 간호사들은 호스피스기관 간호사에 비하여 말기 환자에게 실시하는 수액요법에 대하여 긍정적이었으며, 두 기관 모두 환자나 가족이 원하여 말기 환자에게 수액요법을 시행하는 경우가 많았으므로 불필요한 수액요법을 시행하지 않도록 간호사는 물론 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교육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nurses who take care of terminal patients perceive fluid therapy and how this therapy is currently being used in hospitals. Methods: This survey included 200 nurses, 87 of whom were working in the oncology units of 3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Korea, and 113 were working in 18 hospice centers.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by means of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using the Statistical Analysis System softwar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towards fluid therapy between nurses working in oncology units and those working in hospice centers were examined using the $x^2$ 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 Results: Fluid therapy was perceived more negatively by the nurses from hospice centers than by those from oncology units. Continuous subcutaneous infusion was used in hospice centers, but not in oncology units. In addition, the average amount of fluid infused daily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oncology units and hospice centers. Conclusion: Our results show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towards fluid therapy between nurses in different clinical settings. Nurses caring for terminal and palliative care patients should not simply provide or withhold fluid therapy, but rather develop a wider range of views on fluid therapy, focusing on effective alternative interventions.

      • KCI우수등재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말기환자간호의 어려움과 도덕적 고뇌, 소진 및 직무만족과의 관계

        전꽃비,박미현 간호행정학회 2019 간호행정학회지 Vol.25 No.1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말기환자간호의 어려움과 도덕적 고뇌, 소진 및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는 3개 대학병원 중환자실에서 근무하고 있는 경력 1년 이상의 간호사 16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말기 환자간호의 어려움운 평균 3.42점이었고, 도덕적 고뇌는 평균 113.88점, 소진은 3.16점, 직무만족의 평균은 2.58점이었다. 말기 환자간호의 어려움은 도덕적 고뇌(r=.48, p<0.01), 소진(r=.26,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직무만족과는(r=-.17, p<0.05)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말기환자간호의 어려움은 도덕적 고뇌(β=.44, p<0.01), 소진(β=.26, p<0.01), 직무만족(β=-.18, p<0.05)을 예측하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중환자실 간호사의 말기환자간호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도덕적 고뇌와 소진의 경감, 직무만족의 향상을 위해 무엇보다 중환자실에서 말기환자간호를 하며 여러가지 어려움을 경험하는 간호사들에 대한 깊은 이해와 이를 반영한 현실적 지원이 중요하다. 그리고 인력지원을 포함한 병원 차원의 적극적 지원과 간호조직차원의 실질적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ifficulty of end-of-life care and moral distress,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working in intensive care units (ICUs). Methods: This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Participants were nurses who had more than one year of ICU experience and were recruited from three university hospitals (N=168). Results: The mean scores for ICU nurses’ difficulty in end-of-life care, moral distress,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were 3.42, 113.88, 3.16 and 2.58 points, respectively. Difficulty in end-of-life ca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oral distress (r=.48, p<.001) and burnout (r=.26, p=.001) an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r=-.17, p=.024). Difficulties in end-of-life was identified as a predictor of moral distress (β=.44, p<.001), burnout (β=.26, p=.001) and job satisfaction (β=-.18, p=.024).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following: it is important to have a deep understanding of ICU nurses who experience various difficulties in end-of-life care and to provide realist support for these nurses. And practical efforts by nursing organizations are needed, including support systems and education programs to alleviate ICU nurses’difficulties in end-of-life care. Key Word: Intensive care units, End of life care, Moral distress, Burnout, Job satisfaction

      • KCI등재

        말기환자를 위한 영적돌봄과 자율성 존중

        지영현(Jee, Young Hyun)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2011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1 No.1

        말기환자는 죽음 앞에서 자신의 존재에 대해 깊은 상념을 지닌 사람이다. 이들은 현대의학으로는 치유가 불가능한 병으로 인해 신체적, 사회 심리적 그리고 영적인 소외를 경험한다. 이러한 경험은 말기환자를 자기상실의 고통과 두려움에 빠뜨린다. 이 같은 상황에 직면한 말기환자들을 위해 할 수 있는 것은 희망을 안겨주는 것이다. 그 희망은 초월에서 찾을 수 있다. 한계와 나약함을 지닌 인간존재를 넘고 시간과 공간을 넘어 구원이라는 영원(永遠)안으로 인도할 때, 인간존재는 새로운 세계에 대한 희망과 꿈을 갖게 될 것이다. 알폰소 데켄은 말기환자에게 희망을 가져다주는 최상의 방법으로 자율성의 존중을 제안한다. 자율성을 잃어버린 환자는 자기존재상실의 위기에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환자는 스스로 자신의 존재의 필요성을 잃어버려 마치 있으나 마나한 불필요한 존재처럼 자신을 인식하게 되어 우울증적 반응을 보이거나 심지어 자살을 시도하기도 한다. 이처럼 자율성존중이란 인간이 존엄성을 지닌 가치 있는 존재가 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윤리원칙이다. 말기환자들의 자율성을 존중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우선적으로 환자를 존엄한 존재로 인식하고 존중하는 자세 곧 전인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환자에 대한 전인적 이해는 영적 돌봄(spiritual care)을 통해 이루어진다. 영적 돌봄은 한 사람의 신체적인 면과 사회심리적인 면 그리고 정신적인 면 모두를 포함한다. 또한 지나온 과거(history)와 앞으로 다가올 미래까지도 포괄한다. 그리고 한 개인이 가지고 있는 삶의 무게, 가치관, 세상과의 관계 그리고 그 안에서 얻게 된 아픔과 상처 그리고 치유까지도 영적 돌봄의 영역이다. 그러므로 영적 돌봄은 한 사람의 존엄성을 존중하며 세상에 존재할 가치가 있는 사람으로 인정하는 사건이다. 이 사건은 말기환자에게 스스로 새로운 힘을 갖게 하고 자신의 존재가치를 인정받음으로서 새로운 삶(구원)으로의 여행을 준비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영적 돌봄은 영적 돌봄 전문가-성직자-만의 몫이라기보다 환자를 돌보는 모든 의료인과 봉사자들 그리고 가족들의 몫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말기환자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일과 영적으로 돌보는 일은 같은 맥락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Terminal patients are the ones who face death and have question on their existence. They experience physical, social, psychological and spiritual isolation because of the disease which modern medicine cannot cure. This experience also leads them to suffering and fear about their self-loss. The kind care to these people is to help them to have hope, which comes from the world transcendental. They can have hope when they see the world which transcends the limits and weaknesses of human conditions and the limits of space and time, and when they see the new reality of eternity which is salvation. Alphonso Decken suggests Respect of Autonomy as the best way to give hope to the terminal patients. The patients who have lost their autonomy face crisis of self-loss. They tend to develop depression or often commit a suicide, feeling themselves unnecessary. That is why this respect of autonomy is one of the basic ethical principles and conditions for dignified human beings. One of the ways to respect autonomy of the terminal patients is to recognize them as dignified human beings, in other words, to understand them as a whole person. This comes from spiritual care. Spiritual care is to care the persons physically, socio-psycologically and spiritually. This includes dealing matters of the past and the future. It also includes dealing with pains and wounds and healing. Thus spiritual care attempts to respect and recognize the terminal patients as dignified, and valuable human beings. This encounter helps them to have courage, and prepares them to continue a journey into eternal life. This spiritual care is not a work only of the clergy, but is a work of those who provide medical treatment, voluntary helpers and the family. Therefore respect of autonomy and spiritual care for the terminal patients need to be dealt in the same context.

      • KCI등재

        말기환자 돌봄 교육 후 의과대학생의 인식과 태도 변화

        김현경,남은미,이경은,이순남,Kim, Hyun-Kyung,Nam, Eun-Mi,Lee, Kyoung-Eun,Lee, Soon-Nam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2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5 No.1

        목적: 우리나라에서는 의과대학에서 말기환자 돌봄에 대한 교육이 충분치 못하다. 이 연구는 의과대학생에서 말기환자 돌봄 교육이 학생들의 말기환자의 돌봄에 관한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화여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과 4학년 학생 166명을 대상으로 말기환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관한 설문조사를 교육 전과 후에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시기에 관한 질문에 교육 전에는 '임종이 가까운 말기'가 33.6%로 가장 빈도가 높았으나 교육 후에는 '건강할 때'가 58.7%로 가장 많았다. 무의미한 연명치료의 유보나 중지에 관하여는 수업 전과 후에 심폐소생술은 48.1% 대 92.5%, 기관삽관이나 인공호흡기 38.3% 대 92.5%, 혈압상승제 39.1% 대 85.8%, 혈액투석 60.9% 대 94.8%, 총정맥영양공급 27.8% 대 56.0%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안락사에 대한 반대 의사는 46.6%에서 82.1%로 현저히 증가하였다. 모든 학생이 말기환자 돌봄 교육이 필요하다고 동의하였다. 결론: 대부분의 의과대학생은 임종환자관리 교육과정을 통해 죽음의 의미에 대해 성찰하는 시간을 갖고 말기환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또한 말기환자의 돌봄에 관한 인식과 태도의 변화가 컸다. 향후 이러한 교육과정이 모든 의과대학에서 정규교육과정으로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s: Most medical schools in Korea do not provide adequate education in end-of-life ca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llustrate the need to improve end-of-life care education and to assess the effect of the education on fourth-year medical students'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s hospice and palliative care for terminally ill patients. Methods: One hundred sixty six fourth-year medical students were surveyed with questionnaires on end-of-life care before and after they received the education. Results: Before receiving the education, students most frequently answered "at the end of life" (33.6%) was appropriate time to write an advance medical directive. After the education, the most frequent answer was "in healthy status" (58.7%). More students agreed to withholding or withdrawing futile life-sustaining treatment increased after the education (48.1% vs. 92.5% (P<0.001)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38.3% vs. 92.5% (P<0.001) for intubation and mechanical ventilation, 39.1% vs. 85.8% (P<0.001) for inotropics, 60.9% vs. 94.8% (P<0.001) for dialysis and 27.8% vs. 56.0% (P<0.001) for total parenteral nutrition). Significantly more students opposed euthanasia after the education (46.6% vs. 82.1%, P<0.001). All students agreed to the need for education in end-of-life care. Conclusion: After reflecting on the meaning of death through the end-of-life care education, most students recognized the need for the education. The education brought remarkable changes in students'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s patients at the end of life. We suggest end-of-life care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in the regular curriculum of all medical schools in Korea.

      • KCI등재

        ‘김할머니’ 사례로 살펴본 가정적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연구 -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과 관련하여 -

        김장한 대한의료법학회 2016 의료법학 Vol.17 No.2

        Recently, the Well-dying Act was legislated in Korea, and it will come into effect in August 4, 2017. This Act allows to withdraw the life sustaining treatment from impending death patients and also provide the hospice and palliative treatment to terminal patients. In the Supreme Court’s case so called “Madam Kim”, medical condition of Madam Kim was a persistent vegetative status owing to brain damage and her family members wanted to remove the artificial ventilation. In 2009, the Supreme Court allowed to withdraw the artificial ventilation under the specific conditions. We applied this new Well-dying Act to the Madam Kim’s case hypothetically in order to know this Act can reasonably solve the problem of life sustaining treatment for dying or terminal patients. For the impending patients, the Well-dying Act has the problem not to withdraw the futile treatment due to the advance directives of patients. Vice versa, the terminal patients have no chance to withdraw the life sustaining treatment due to the this Act impose the duty to provide the hospice and palliative treatment despite of advance directives. We need to ruke out the persistent vegetative patients from the terminal patients caused by the cancer,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and chronic liver cirrhosis, In addition, we have to discuss the effect of the advance directives of terminal patients in view of self determination right. 최근에 환자연명의료결정법이 제정되었고, 2017년 8월 4일부터 효력을 발휘하게 된다. 이 법은 임종 과정 환자를 연명 의료 중단의 대상으로 하고, 말기 환자는 호스피스․완화의료를 받도록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김할머니 사건은 뇌손상으로 지속적 식물 상태에 빠진 환자에 대하여 가족이 인공호흡기 제거를 요청한 사건으로, 2009년 대법원이 일정한 요건을 인정하여 인공호흡기 제거를 허용한 사건이다. 김할머니 사건에 대하여 환자연명의료결정법을 적용하였을 때, 과연 대법원과 같은 내용의 결정이 내려 질 수 있는지 가정적 적용을 시도하였다. 환자연명의료결정법은 임종과정 환자 연명의료결정에 환자의 의사내용을 요건으로 하기 때문에, 도리어 인공호흡기 제거가 불가능할 수도 있고, 과잉적 의료개입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 반대로 말기 환자의 경우는 연명의료중단에 대하여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김할머니 사건에서 인공호흡기 제거가 불가능하다고 해석할 가능성도 있다. 현재 법에는 암, 후천성면역결핍증, 만성폐쇄성호흡기 질환, 만성간경화 및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질환을 말기 환자로 규정하고 있는데, 보건복지부 지침 등을 통하여 김할머니와 같은 지속적 식물상태를 명확하게 제외하다는 해석이 필요하고, 전체적으로는 말기 환자의 사전 연명 의료 의사에 대한 자기 결정권 인정 여부에 대하여 재논의도 필요하다.

      • 생애말기 환자의 커뮤니티 케어에 대한 연구

        김수정(Kim Soo Jung) 한국노인복지학회 2018 한국노인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11

        2018년 2월부터 연명의료결정법이 시행되면서 무의미한 연명치료가 환자나 가족 모두에게 바람직하지 않다는 인식도 정착되어가고 있고, 국가가 정책적 호스피스완화의료를 지원하며, 관련 의료기관도 늘고 있는 추세이다. 생애말기는 ‘죽음에 임박한 특정 시점’이 아니라 임종기를 향해가는 시간적 과정의 연속적 개념으로 생애말기 생활기반 안정(Well-Bing)정책과 임종기 생애마무리 지원(Well-Dying)정책이 동시에 지원되어야 한다. 국내 생애말기 지원정책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재택의료 서비스 미진으로 자택에 머물면서 치료하기 어려운 실정이 가장 심각한 문제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생애말기에 있는 환자들이 임종기 생애마무리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생애말기 커뮤니티 케어시스템 구축을 위한 욕구 조사에 바탕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광역시 호스피스 센터의 생애말기 환자의 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확인하고 현재 받고 있는 서비스의 만족도와 삶의 질을 파악함으로써 앞으로의 생애말기 커뮤니티 케어의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 있다. 부산광역시 호스피스센터에서 재가 서비스를 받고 있는 생애말기에 놓여있는 환자 205명을 대상으로 조사원 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기대여명이 6개월 미만의 생애말기 환자의 경우 어떠한 서비스와 선택의 기준을 하는지와 죽음준비 혹은 교육에 대한 이해정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서비스선택의 기준이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β= -.321, p<.001), 서비스 선택의 기준이 삶의 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서비스 선택기준이 죽음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β= -.237, p<.01)를 보여주었다. 서비스 선택기준이 죽음준비에 미치는 영향(β= -.200, p<.01)과 삶의 질에 있어서 죽음준비의 매개효과(β= .514, p<.001)를 분석한 결과,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With the enforcement of life extension decision Act, it is now well understood that meaningless life extension treatment is not desirable for both patients and their family. The government is, with its policy, supporting hospice palliative treatment and related medical institutions are increasing. End of life period should not be seen just as a certain point of time near death, but be seen as continuous period of time approaching toward death. In that period, governmental support is necessary especially for living condition improvement (well being) during end of life period and for ending life (well dying). According the analysis of governmental support for the domestic end of life period patients, the most serious problem was that patient could not get treatment at home due to the lack of home care services.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earch of people’s demand of establishing community end of life care system, which supports end of life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need of end of life period patients from Pusan area’s hospice center, and to assess satisfaction of the current service and the quality of life, and therefore to find out how to improve community care for end of life period patients. We have conducted a survey, filled in by the surveyor, on 205 end of life period patients who are provided with home care service from Pusan hospice center. From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we could understand the criteria that patients, with life expectation less than 6 months, use to decide which service they would choose, and how well they are prepared and educated for end of life. It is found that the patients’ criteria for choosing care services affected their quality of life and their criteria have negative impact on their quality of life. We have analyzed if their care service selecting criteria effect on the preparation for death, and found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them. Also we have analyzed the effect of service selecting criteria on death prepar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eath preparation on life quality, and found there exists mediating effect. the introduction of a number of new social care services for older people, the need to provide home support service for them has been criticized.

      • KCI등재

        호스피스의 환자공간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김정수,김광문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1997 의료·복지 건축 Vol.3 No.5

        According as the aging procese have been high, last stage patient become more important. Therefore, todays hospice ward of hospital is glandized, specified too. However, its study is few performed in domestic and its architectural planning data is few obtain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represent the standard of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the hospice ward in hospital. As its method, the present conditions, the interview with staffs, space programs of 4 hospice ward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dd to 2 free standing hospice were selected, theirs architectural space programing were studied.

      • KCI등재

        연명의료결정법과 자기결정권 강화의 실제 : 의료현장을 중심으로

        홍지형(Hong, Ji Hyung)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2020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10 No.1

        이 논문은 실제 의료 현장에서 생애 말기 시점에서 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를 위해 제정된 연명의료결정법 제정 10개월 시점에서의 연명의료결정법의 수행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명계획서상 환자 본인의 의사반영 비율, 연명의료계획의 내용, 연명의료계획서 작성에 미치는 환자의 임상적, 사회경제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2018년 2월 4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3차 대학병원에서 연명의료결정법 관련 서식을 작성한 환자는 총 669 명이었다. 이 중 35%의 환자가 연명의료계획서를 작성하였고, 환자 본인이 연명계획서를 작성하지는 않았지만, 연명의료에 관한 환자의 의사를 반영한 연명의료결정을 한 환자는 25%에 해당하여, 59%의 환자에게서 본인의 의사가 연명의료계획에 반영되었다. 연명의계획에 환자의 의사가 반영된 환자와 그렇지 않은 환자군 간 환자의 직업의 유무, 동반거주자의 유무, 고학력자, 주거형태 등에 차이가 있었다. 90% 이상의 환자들은 말기상태에서 심폐소생술, 인공호흡, 혈액투석, 항암치료 등의 적극적 치료에 동의하지 않았다. 연명의료계획서 작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단변량 분석에서 직업, 동반거주자, 학력, 주거형태, 사보험 여부, 주진단, 주진료과 등이 영향을 주었으나, 다변량 분석에서 주거형태, 주진료과, 주진단만이 영향력을 유지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연명의료결정법의 취지에 부합하는 의료현장에서의 연명의료계획의 수립과 수행에 자료제시 및 자기결정권 강화의 역할을 촉진할 수 있는 제반연구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Act on Life-Sustaining Treatment Determination on the patient s self-determination and autonomy about the end-of-life treatment at the 10-month time point of enactment of the Act on Life-Sustaining Treatment Determination in Korea. The percentage of reflection of the patient’s own opinion on end-of-life treatment, the contents of POLST, the clinical and socioeconomic factors affecting the completion of POLST were analyzed with retrospective manner. From February 4, 2018, to December 31, 2018, a total of 669 patients were enrolled at the tertiary university hospitals. Of these, 35% of the patients completed POLST and 25% of the patients did not write POLST, but their family members decided the end-of-life care treatment according to patients wish. Therefore, the wish of 59% of patients was reflected in the end-of-life decision. More than 90% of patients did not agree to active treatment, such as CPR, artificial respiration, hemodialysis, and chemotherapy, in the terminal period. In the univariate analysis, factors influencing the completion of POLST included employment states, educated degree, residential status, private insurance, department the patients were involved and diagnosis. However, only employment states, department the patients and patient’s diagnosis remained independency of influencing the completion of POLST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study of how to strengthen self-determination and autonomy in end-of-life care decisions.

      • KCI등재

        말기암환자에서 예후인자로서 혈청 Ferritin의 유용성

        이수희,최윤선,황인철,염창환,이준영,Lee, Soo Hee,Choi, Youn Seon,Hwang, In Cheol,Yeom, Chang Hwan,Lee, June Yeong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5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8 No.1

        목적: 말기암환자의 진료에 있어 여명을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여러 악성 종양에서 혈청 ferritin이 증가되어 있고 높은 수치의 혈청 ferritin은 질병의 진행 및 나쁜 예후와 관련이 있다고 밝혀져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말기암환자에서 ferritin과 생존기간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혈청 ferritin이 여명 예측 인자로 유용한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2년 3월부터 2012년 6월까지 완화병동에 입원한 말기암환자 65명을 대상으로 혈청 ferritin을 포함한 기본적인 혈액검사를 시행하였고, 인구 통계학적 특성 및 임상증상 등을 조사하였다. 혈청 ferritin과 각 변수들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 Wilcoxon Rank Sum test 또는Kruskal-Wallis test등을 실시하였고 혈청 ferritin의 예후인자로서의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다변수 콕스 비례위험 회귀분석(multivariable Cox's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였다. 결과: 상관 관계 분석 결과 ferritin은 생존기간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단변량 분석에서 생존기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성별, ECOG 기능상태 지수, 크레아티닌, 백혈구 수치와 나이의 효과를 보정한 상태에서 혈청 ferritin은 말기암환자들의 생존기간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 짧은 생존기간의 말기암환자에서도 혈청 ferritin은 독립적인 예후인자로 증명되었다. 기존의 여명 예측인자들과 더불어, 혈청 ferritin은 말기암환자들의 생존기간 예측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Purpose: Predicting life expectancy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is very important. In many studies, ferritin is detected at higher levels in the sera of cancer patients, and higher ferritin level correlates with aggressiveness of disease and poor outcomes of patients. This study evaluated a prognostic role of serum ferritin levels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Methods: This study enrolled 65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from March through June 2012. We assessed routine laboratory findings including serum ferritin levels as well as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ferritin levels and patient's characteristics, we used 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 Wilcoxon's rank sum test or Kruskal-Wallis test, as appropriately. For multivariate analysis, Cox's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evaluate significance of serum ferritin levels as a prognostic factor. Result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rum ferritin levels and survival time was found. After adjusting for sex, age, performance status, creatinine levels and white blood cell counts, serum ferritin level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urvival time. Conclusion: Even at the very end of life of terminal cancer patients, serum ferritin levels were an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for surviv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