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귀농‧귀촌여성의 농촌생활 경험 분석: 진안지역 사례

        진명숙,박성정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2 여성연구 Vol.79 No.-

        As a growing number of people turn to farming or farm villages, the phenomenon draws extensive social and policy-based attention. However, as only little attention is drawn to women who have turned to farming or farm villages, their actual status, the difficulties they face and policy-related demands have not been identified. This study has analyzed the reasons why such women have turned to farming or farm villages, as well as their identity, education of their children, economic activities and formation of relationships with fellow villager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women who have done so in Jinan, The objectives of this analysis are to draw a picture of the various aspects of their experience in farm villages, and thus to identify their satisfaction levels for living there and their difficulties, as well as the activities and roles required for their successful settlement and the development of these villages. Answers indicate that these women turned to farming or farm village because of a desire to provide a better educational environment for their children; skepticism about their jobs and urban lives; interest in ecology and nature; yearning for a rural life; happiness for the family; and a desire for a better life. They strove to find new lifestyles and new value systems in farm villages. They saw themselves not as people who “turned to farming or farm village” but as those who “moved” from a city to a 귀농 ‧귀촌여성의 농촌생활 경험 분석: 진안지역 사례 297farm village. Most of them are positive about raising their children in farm villages. They are looking for opportunities to engage in activities other than farming. Most of the interviewees said that they felt uncomfortable or there was possibility of being at odds with local villagers when such villagers excessively paid attention to or interfered with their efforts to settle in the village. However, they conceded that they should approach such issues from the viewpoints of the culture or sentiment in the farm village.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issue of turning to farming or farm village by focusing on the “individual” - whether it is a husband or a wife – rather than each “household.” This is because men and women –even if they have turned to farming or farm village together as a family – face different situations and difficulties. In order for the women who have turned to farming or farm village to successfully settle down in farm villages and to contribute to the rural community, more opportunities should be provided for them to show their ability and talents in the rural community, and the culture of the rural community should change so that women can make their voices heard. 최근 귀농‧귀촌자가 증가하면서 사회적, 정책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귀농‧귀촌 여성에 대한 관심은 거의 없어, 귀농‧귀촌여성의 실태와 어려움 그리고 정책요구가 전혀 파악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진안지역 귀농‧귀촌여성에 대한 심층 면담을 통해 귀농‧귀촌여성들의 귀농‧귀촌 동기, 정체성, 자녀교육, 경제활동, 마을주민과의 관계 형성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귀농‧귀촌여성들의 농촌생활 경험의 다양한 양상을 드러내보고자 하였다. 그 과정에서 귀농‧귀촌 여성들의 농촌생활 만족도와 어려움, 그리고 성공적인 농촌 정착과 농촌 발전을 위한 활동과 역할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여성들은 귀농‧귀촌의 동기를 자녀의 교육환경, 도시에서의 직장생활에 대한 회의, 생태와 자연에 대한 관심, 시골생활에 대한 동경, 가족의 행복, 좀 더 나은 삶 등으로 답하고, 생활 방식과 가치의 전환을 농촌에서 찾고자 하였다. 자신들을 ‘귀농‧귀촌한’ 사람이라기보다는 도시에서 농촌으로 ‘이사’한 사람으로 인식하고 있고, 대부분은 농촌에서 아이들을 키우고 있는 것에 긍정적이었다. 또 농업 외의 분야에서 귀농‧귀촌여성들이 활동할 수 있는 기회를 찾고 있었다. 조사대상자 대부분은 마을 적응 과정에서 주민들의 과도한 관심이나 간섭을 부담스러워하거나 갈등의 요소로 여기기도 하였다. 그러나 결국은 이를 농촌의 문화나 정서 안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태도를 보였다. 귀농‧귀촌은 ‘가구’ 단위로만 접근할 것이 아니라, 남편과 아내를 각자 주체적인 위치로 놓고 ‘사람’ 중심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귀농‧귀촌을 함께 했다 하더라도 남성과 여성이 처하는 상황과 어려움은 다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귀농‧귀촌여성들이 농촌에 정착하고, 또 귀농‧귀촌이 농촌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귀농‧귀촌 여성들이 자신이 지닌 역량과 재능을 농촌사회에 발휘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고, 여성들이 자기 목소리를 표출할 수 있도록 농촌사회의 문화가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농촌여성의 노동분화 양상

        박지은(Park, Gee eun) 한국농촌사회학회 2021 農村社會 Vol.31 No.1

        연구는 농촌여성의 노동-삶으로부터의 서사를 가시화하고자 하는 시도를 분석의 출발점으로 삼는다. 농촌여성의 실질적 노동은 국가적 인식의 표면에 잘 드러나지 않는데, 이를 여성 스스로의 삶에서 어떻게 수행하는지 파악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현재 농촌여성은 누구이며, 역사·사회적 맥락이 다르게 형성되어온 주체들의 노동분화 양상을 통해 이들이 노동권역과 생활권역에서 어떻게 살아가는지를 추적하고자 한다. 이 글의 연구방법은 참여관찰, 마을조사,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농촌여성의 노동과 삶에 대한 스스로의 인식과 실태를 이해하며 설명하고자 한다. 지역민이 보여주는 사실에 대한 이해를 다시 낯설게 보기 위해 2차, 3차 자료들과 중복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노력했다. 밭농업의 기계화와 상품생산의 가속화는 역설적으로 농촌여성의 노동 감당에서 한계를 직면하도록 만들었다. 대형 기계작업을 제외한 농업노동 전반에서 여성의 노동이 증가했으며, 가내와 가외 양자에서 복합적 노동을 수행해야 하는 여성의 역할은 세대에 따른 차이가 관측된다. 농촌여성은 가족과 농촌의 사회관계에서 공통적으로 자신의 자리가 명확하지 않은 채 경영주와 노동자 ‘사이’에 자리매김하며, ‘친밀한 노동’과 농업노동을 수행해왔다. 이와 유사한 자리매김은 결혼이주민에게 승계되는 한편으로 비숙련 노동은 이주노동자에게 할당되는 사회구조적 분업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여성이 해온 역할 즉 노동과 노동을 연결하고, 인간과 인간을 연결하는 초과노동과 추가노동에 의존하면서도 사회는 그 가치를 적절하게 인정하지 않았다. 여성의 노동 사례와 유형을 축적해나가며, 연구·미디어·제도·정책 차원에서 여성 생애적 관점의 공론화가 진전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농촌의 미래를 생각할 때 농촌여성에게 일면적으로 기대되는 역할은 전면적으로 재검토될 필요가 있으며, 가족, 사회, 국가가 제 몫을 찾아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takes an attempt to visualize the narrative from work-life of rural women as a starting point for analysis. It is an exploratory study to understand how rural women perform practical labor in their lives that are not well exposed on the surface of national perception. This paper tries to find out who are current rural women and how they live in the labor and living areas through the differentiation of labor of subjects whose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s have been differently formed. The research method in this article was focused on participatory observation, village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explain rural women"s own perceptions and realities in labor and life. In order to get an unfamiliar understanding of what local people show, this paper reviews the data duplicate checking with the 2nd and 3rd data. The mechanization of upland field and the acceleration of commodity production, paradoxically, made rural women face a limit in their labor endowment. Excluding large-scale mechanical work, women"s labor participation has increased in overall agricultural labor. Some cracks are observed according to the generations in the role of women who have to perform complex labor both at home and in and out of community. Rural women have established themselves as “between” managers and workers in common social relations between their families and rural communities, and have performed “intimate labor” and agricultural labor. It can be seen that a similar role is assigned to marriage migrant women, unskilled work is allocated to migrant workers as a social structural division of labor. While relying on the role that women have played, linking labor and labor, and connecting humans to humans, as excess labor and additional labor, society has not properly admitted its value. It is hoped that by accumulating examples and types of women"s labor, public debate from the perspective of women"s life in terms of research, media, institutions, and policies can progress. When thinking about the future of rural areas, it is necessary to fully review the role expected of rural women in one aspect that needs to reallocate portions by the family, society, and the state.

      • KCI등재

        농촌여성 평생학습센터 실태분석과 운영모델개발

        김진화,김소현,고영화,김경미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9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1 No.4

        Recently, the paradigm of lifelong learning is considered as a new strategic model of rural developmen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implementing status of rural women's lifelong learning center to develope the implementing systems and the programs, to prese to he effective implementing strategies. The research methods were adapted with reviewing the related literature, investigating the fields of 8 rural women's lifelong learning centers, interviewing from the officers and the staffs of rural women's lifelong learning center, and discussing with the related professional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women's lifelong learning center were explored by the accessability, the educative qualities of facilities, target clients, staff's competencies, organizational supporting climates, and informations of program. Second, Based on the identified characteristics, it was discussed on making the integrated diagnosis of rural women's lifelong learning center and on drawing the problem solving alternatives. Third, it was designed the management systems of rural women's lifelong learning center including vision, strategies, definition, program, effectiveness. Fourth, it were draw the fundamental orientations the effective implementing strategies and techniques for successful settlement of rural women's lifelong learning center. Fifth, it were developed the programs which were pastime and liberal arts oriented program, intercultural oriented program, rural women's management program, schooling and qualification oriented program. The above products might contribute for rural women's lifelong learning center to make settlement quickly in rural area by distributing the management systems and to implement efficiently the rural women's lifelong learning center. Also,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rural women's lifelong learning center result in developing rural women's competencies and in upgrading meaningly the quality of life-culture for rural women. 본 연구는 농촌발전의 새로운 전략으로 간주되고 있는 평생학습 패러다임을 적용하여 추진되고 있는 농촌여성 평생학습센터사업의 실태를 조사·분석하고, 농촌여성 평생학습센터의 운영체계와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효과적인 운영 전략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8개 지역에서 운영되고 있는 농촌여성 평생학습센터의 특성이 접근성, 시설, 대상범위, 담당자의 역량, 조직풍토, 차별화전략, 프로그램 정보 등에 의해서 확인되었다. 둘째, 이러한 실태조사의 결과에 근거하여 농촌여성 평생학습센터에 대한 종합적인 진단과 발전을 위한 해결방안이 논의되었다. 셋째, 농촌여성 평생학습센터의 비전, 전략, 정의, 프로그램, 기대효과 등이 포함된 운영체계가 설계되었다. 넷째, 농촌여성 평생학습센터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운영의 기본방향과 효과적인 운영 전략과 방법이 구상되었다. 다섯째, 농촌여성 평생학습센터의 프로그램운영 모델이 취미․교양 프로그램, 다문화 과정 프로그램, 여성농업인 경영 프로그램, 학력 및 자격증 인증 프로그램 등으로 개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운영모델이 지역에 보급됨으로써 농촌여성 평생학습센터가 농촌지역에 조기 정착이 가능하도록 하며, 농촌여성 평생학습센터 운영의 효율성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성공적인 농촌여성 평생학습센터의 운영은 농촌여성의 역량개발뿐만 아니라 농촌여성의 생활문화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의미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1930년대 황애덕의 농촌사업과 여성운동

        김성은(Kim Sungeun)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1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5 No.-

        본고는 이제까지 독립운동가로만 알려져 왔던 황애덕의 1920∼30년대 사 회운동-농촌사업과 여성운동-을 조명하고자 했다. 3·1운동의 좌절로 황애덕은 민족운동의 방향을 농촌계몽운동으로 잡고 농촌사업을 구상했다. 그리고 출감 후 이화학당 대학과를 졸업하고 사감 겸 교사를 하며 조선YWCA연합 회의 회원, 회장으로 활동하며 기독교여성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그러다 1925년 미국유학을 떠났는데 황애덕에게 미국유학은 여성지도자로서 실력과 자격을 갖춘다는 의미와 함께 미국기독교인 여성후원자들을 만나 귀국 후 전개할 농촌사업의 재정적 기반을 마련했다는데 큰 의의가 있었다. 또한 미국이라는 선진사회 부국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체험하는 계기가 되었다. 황애덕의 농촌사업과 여성운동은 미국유학에서 귀국 후 더욱 활발하게 전 개되었다. 협성여자신학교에 신설된 농촌사업지도교육과의 교수로 부임하여 학생들에게 농촌사업의 필요성을 가르치고 농촌현장에서의 실습을 지도했다. 또한 황해도 수안에 농장을 구입하고 농촌계몽운동을 전개하여 학교와 교회를 설립했고 이외에도 수안 부근, 만주 경성현 등으로 농촌사업을 확장했다. 그리고 조선YWCA연합회 농촌부 간사로서 농촌사업지를 수원 샘골로 정하고 최용신을 현장운동가, 농촌사업가로 파견했고, 농한기에 농촌부녀지도자 수양소를 개설하여 각지 농촌부녀들을 마을지도자로 육성했다. 한편 조선YWCA연합회 활동을 하는 이외에 경성여자소비조합, 조선직업 부인협회, 가정부인협회를 조직하여 도시여성의 단체활동을 전개했다. 여성의 경제의식·보건의식·사회의식 각성과 사회활동 경험, 여성의 친목 도모, 여성의 교양 증진과 생활개선을 꾀했다. 뿐만 아니라 여성교육에도 관심을 기울여 중앙보육학교를 인수하여 교장이 되어 학교를 경영하기도 했다. 이상에서 황애덕은 3.1독립운동이 좌절된 이후 기독교농촌운동, 여성경제 운동, 여성단체 활동, 교육운동과 같은 민족운동과 사회운동을 전개했다. Esther Whang was one of independence movement leaders. But independence movement was unveiled and she went to jail for 3 years. After that she was interested in rural work, rural enlightenment movement and women's campaign. So she went to U.S. for real ability training. She met a few American Christian women, supporters. Thanks to them she continued to study and be able to get money for rural work. She studied rural education at Colombia University, listened to agriculture at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and experienced farmer's life near that university. Returning home from abroad she was appointed teacher of new department of training rural workers at Hyubsung theological Seminary for women. She trained her students and sent to village for field practice. And she bought a land Suan in Whanghae Province. She wanted to make ideal farm for Korean farmers and developed rural enlightenment movement there with her students. Also she took charge of rural department of Korean YWCA. One of it's project was to send Choi Yongshin as leader and teacher and supported money for rural work at Suwon Samgol country. The other was to train country women for leading their neighbor women to improve farmer's life. In addition she organized Seoul consumer's cooperative society for women and run cooperative store for economic campaign for women and people with her comrades. She formed Housewives' society and tried to improve housewife's life with her like-minded people. These group are based on her women's right consciousness. Also she undertook and run Chungang Kindergarten Normal school as principal. Her passion for Korean women's education was great but she had to stop that because of lack of enough money to run school. Finally she was leader of national movement and women's campaign and educator.

      • KCI등재

        귀농ㆍ귀촌여성의 농촌생활 경험 분석: 진안지역 사례

        진명숙(Jin Myong-Suk),박성정(Park Sung-Ju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2 여성연구 Vol.83 No.-

        최근 귀농ㆍ귀촌자가 증가하면서 사회적, 정책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귀농ㆍ귀촌 여성에 대한 관심은 거의 없어, 귀농ㆍ귀촌여성의 실태와 어려움 그리고 정책요구가 전혀 파악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진안지역 귀농ㆍ귀촌여성에 대한 심층 면담을 통해 귀농ㆍ귀촌여성들의 귀농ㆍ귀촌동기, 정체성, 자녀교육, 경제활동, 마을주민과의 관계 형성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귀농ㆍ귀촌여성들의 농촌생활 경험의 다양한 양상을 드러내보고자 하였다. 그 과정에서 귀농ㆍ귀촌 여성들의 농촌생활 만족도와 어려움, 그리고 성공적인 농촌 정착과 농촌 발전을 위한 활동과 역할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여성들은 귀농ㆍ귀촌의 동기를 자녀의 교육환경, 도시에서의 직장생활에 대한 회의, 생태와 자연에 대한 관심, 시골생활에 대한 동경, 가족의 행복, 좀더 나은 삶 등으로 답하고, 생활 방식과 가치의 전환을 농촌에서 찾고자 하였다. 자신들을 ‘귀농ㆍ귀촌한’ 사람이라기보다는 도시에서 농촌으로 ‘이사’한 사람으로 인식하고 있고, 대부분은 농촌에서 아이들을 키우고 있는 것에 긍정적이었다. 또 농업 외의 분야에서 귀농ㆍ귀촌여성들이 활동할 수 있는 기회를 찾고 있었다. 조사대상자 대부분은 마을 적응 과정에서 주민들의 과도한 관심이나 간섭을 부담스러워하거나 갈등의 요소로 여기기도 하였다. 그러나 결국은 이를 농촌의 문화나 정서 안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태도를 보였다. 귀농ㆍ귀촌은 ‘가구’ 단위로만 접근할 것이 아니라, 남편과 아내를 각자 주체적인 위치로 놓고 ‘사람’ 중심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귀농ㆍ귀촌을 함께 했다 하더라도 남성과 여성이 처하는 상황과 어려움은 다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귀농ㆍ귀촌여성들이 농촌에 정착하고, 또 귀농ㆍ귀촌이 농촌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귀농ㆍ귀촌 여성들이 자신이 지닌 역량과 재능을 농촌사회에 발휘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고, 여성들이 자기 목소리를 표출할 수 있도록 농촌사회의 문화가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As a growing number of people turn to farming or farm villages, the phenomenon draws extensive social and policy-based attention. However, as only little attention is drawn to women who have turned to farming or farm villages, their actual status, the difficulties they face and policy-related demands have not been identified. This study has analyzed the reasons why such women have turned to farming or farm villages, as well as their identity, education of their children, economic activities and formation of relationships with fellow villager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women who have done so in Jinan, The objectives of this analysis are to draw a picture of the various aspects of their experience in farm villages, and thus to identify their satisfaction levels for living there and their difficulties, as well as the activities and roles required for their successful settlement and the development of these villages. Answers indicate that these women turned to farming or farm village because of a desire to provide a better educational environment for their children; skepticism about their jobs and urban lives; interest in ecology and nature; yearning for a rural life; happiness for the family; and a desire for a better life. They strove to find new lifestyles and new value systems in farm villages. They saw themselves not as people who “turned to farming or farm village” but as those who “moved” from a city to a farm village. Most of them are positive about raising their children in farm villages. They are looking for opportunities to engage in activities other than farming. Most of the interviewees said that they felt uncomfortable or there was possibility of being at odds with local villagers when such villagers excessively paid attention to or interfered with their efforts to settle in the village. However, they conceded that they should approach such issues from the viewpoints of the culture or sentiment in the farm village.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issue of turning to farming or farm village by focusing on the “individual” - whether it is a husband or a wife - rather than each “household.” This is because men and women - even if they have turned to farming or farm village together as a family - face different situations and difficulties. In order for the women who have turned to farming or farm village to successfully settle down in farm villages and to contribute to the rural community, more opportunities should be provided for them to show their ability and talents in the rural community, and the culture of the rural community should change so that women can make their voices heard.

      • 충북 농촌여성결혼 이민자 지원방안

        김학실 忠北大學校 社會大 社會科學硏究所 2011 사회과학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충청북도 농촌 여성결혼 이민자 정착 지원방안에 관한 것이다. 매년 충청북도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지원방안이 다양화 되고 있지 못한 가운데 사회적응 및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여성결혼이민자들은 경제활동을 원하고 있으나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교육 프로그램은 주로 언어교육에 치중하고 있어 여성들의 요구를 반영하고 있지 못한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충북지역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경제활동욕구를 분석하고, 충청북도의 지원정책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정착 지원방안으로써 생애주기를 고려한 정부지원, 장기적 관점에서의 영농후계자로 양성하기 위한 방안마련, 교육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교육지원금 지원등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1930년대 황애덕의 농촌사업과 여성운동

        김성은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1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5 No.-

        Esther Whang was one of independence movement leaders. But independence movement was unveiled and she went to jail for 3 years. After that she was interested in rural work, rural enlightenment movement and women's campaign. So she went to U.S. for real ability training. She met a few American Christian women, supporters. Thanks to them she continued to study and be able to get money for rural work. She studied rural education at Colombia University, listened to agriculture at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and experienced farmer's life near that university. Returning home from abroad she was appointed teacher of new department of training rural workers at Hyubsung theological Seminary for women. She trained her students and sent to village for field practice. And she bought a land Suan in Whanghae Province. She wanted to make ideal farm for Korean farmers and developed rural enlightenment movement there with her students. Also she took charge of rural department of Korean YWCA. One of it's project was to send Choi Yongshin as leader and teacher and supported money for rural work at Suwon Samgol country. The other was to train country women for leading their neighbor women to improve farmer's life. In addition she organized Seoul consumer's cooperative society for women and run cooperative store for economic campaign for women and people with her comrades. She formed Housewives' society and tried to improve housewife's life with her like-minded people. These group are based on her women's right consciousness. Also she undertook and run Chungang Kindergarten Normal school as principal. Her passion for Korean women's education was great but she had to stop that because of lack of enough money to run school. Finally she was leader of national movement and women's campaign and educator. 본고는 이제까지 독립운동가로만 알려져 왔던 황애덕의 1920∼30년대 사회운동『농촌사업과 여성운동』을 조명하고자 했다. 3․1운동의 좌절로 황애덕은 민족운동의 방향을 농촌계몽운동으로 잡고 농촌사업을 구상했다. 그리고 출감 후 이화학당 대학과를 졸업하고 사감 겸 교사를 하며 조선YWCA연합회의 회원, 회장으로 활동하며 기독교여성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그러다 1925년 미국유학을 떠났는데 황애덕에게 미국유학은 여성지도자로서 실력과 자격을 갖춘다는 의미와 함께 미국기독교인 여성후원자들을 만나 귀국 후 전개할 농촌사업의 재정적 기반을 마련했다는데 큰 의의가 있었다. 또한 미국이라는 선진사회 부국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체험하는 계기가 되었다. 황애덕의 농촌사업과 여성운동은 미국유학에서 귀국 후 더욱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협성여자신학교에 신설된 농촌사업지도교육과의 교수로 부임하여 학생들에게 농촌사업의 필요성을 가르치고 농촌현장에서의 실습을 지도했다. 또한 황해도 수안에 농장을 구입하고 농촌계몽운동을 전개하여 학교와 교회를 설립했고 이외에도 수안 부근, 만주 경성현 등으로 농촌사업을 확장했다. 그리고 조선YWCA연합회 농촌부 간사로서 농촌사업지를 수원 샘골로 정하고 최용신을 현장운동가, 농촌사업가로 파견했고, 농한기에 농촌부녀지도자수양소를 개설하여 각지 농촌부녀들을 마을지도자로 육성했다. 한편 조선YWCA연합회 활동을 하는 이외에 경성여자소비조합, 조선직업부인협회, 가정부인협회를 조직하여 도시여성의 단체활동을 전개했다. 여성의 경제의식․보건의식․사회의식 각성과 사회활동 경험, 여성의 친목 도모, 여성의 교양 증진과 생활개선을 꾀했다. 뿐만 아니라 여성교육에도 관심을 기울여 중앙보육학교를 인수하여 교장이 되어 학교를 경영하기도 했다. 이상에서 황애덕은 3.1독립운동이 좌절된 이후 기독교농촌운동, 여성경제운동, 여성단체 활동, 교육운동과 같은 민족운동과 사회운동을 전개했다.

      • KCI등재후보

        농촌지역 고령여성의 노동신화 분석 -마을기업의 보도기사를 중심으로-

        임선주 ( Sun Joo Im ),정경운 ( Kyung Woon Jwo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2

        최근 농촌마을기업은 소득향상과 당면한 농촌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살기좋은 농촌을 만들 수 있는 대안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마을기업 참여자들인 고령여성의 노동현황 측면에서 보면 노동량의 증대, 노동 영역의 다각화 등 결과적으로 노동과중이라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 글은 농촌마을기업에 참여하고 있는 농촌 고령여성들의 노동현실을 토대로, 한국사회에 작동하는 여성노동신화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농촌의 생산구조의 변화와 여성노동현황을 정리하여 농촌여성의 노동현황을 파악하고 둘째, 현재 농촌마을기업의 고령여성 참여의 성공적 사례를 홍보하기 위해 농촌관련 보도매체에서 작성된 관련기사를 선별하여 롤랑바르트의 기호분석을 통해 여성노동신화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성노동신화의 이데올로기적 효과를 노동중독, 저임금의 지배, 상품에 대한 모성적 판타지, 새로운 보살핌의 통치라는 네가지 측면에서 파악하였다. 분석된 여성노동신화와 이데올로기적 효과는 현재 농촌의 소득창출과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마을기업을 포함한 다수의 농촌 정책들의 문제점을 직시하여 문제화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 이는 농촌 활성화를 위한 정책수립에 있어 실제적이며 구체적인 방안을 도출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Recently, Village Corporations ar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solution that solve the problems on improving income and create livable rural areas. Examining the aspect of present work condition on elderly women who are participate on the village corporations, however, involve the excessive work problems which include increase of labor amount and diversification of the labor area. This article is intended to deduce the women’s labor myth which working in Korea through the labor reality of rural elderly women who are participating in rural village corporations. First, figure out the work situation of rural women through organize the rural production structure and women’s labor status. Second, elicit the women’s labor myth with the symbol analysis by Roland Barthes through articles written in the press media related to rural areas to promote the successful cases of elder women’s participation in the current rural village corporations. Finally, examine the ideological effects of women’s labor myth in four aspects as follows; inherent as labor addiction, domination of low wages, maternal fantasies, the governance of new care. The analysis of women’s labor myths and ideological effect provides the opportunity to become an issue through facing the problem of a large number of rural policy which includes the rural village corporations that are promoting for the purpose of income generat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rural. This is meaningful that can provide an opportunity to make policy for Rural Activation that can come up with a practical and specific measures.

      • KCI등재

        농촌가족노동의 분화와 여성의 역할

        박지은 한국농촌사회학회 2020 農村社會 Vol.30 No.2

        This study takes an attempt to visualize the narrative from rural women as a starting point for analysis, and attempts to explore how women's labor and roles change during the differentiation of family labor. Rural families are still the main pillar of rural production and reproduction, but if family labor is not understood as one unit, a narrative from another member that is not represented by the name of the family can be revealed. The research method of this article aims to participate and observe the field based on living in rural areas. This paper also aims to understand and explain the indigenous formalization of rural social relations. Participation in agricultural labor and peasants' markets, and visits to the daily life of the local community are the basics, and efforts have been made to duplicately review the 2nd and 3rd data in order to see an unfamiliar understanding of what local people show. Analyzing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the labor and roles of rural women based on this fact-finding survey, they are commonly unnamed “farming assistants” and are generally in charge of unnamed overtime work. It is regarded as the position of “worker through intimacy” in the relationship with male managers in the family, and in rural areas. It is in a contradictory position in which the value of work is not recognized even though an extended role of family is ordered. As the role of women performing various connections in the production and reproduction of families and rural areas is complicated. The new influx succeeds on the one hand to put the vulnerable status of Korean women, and on the other hand, is identified as the end of the layered hierarchy in rural areas. As rural family labor reaches the limit of self-reproduction, new labor is introduced by migrant labor and returning home to rural villages. Rural reproduction beyond the previous forecast is being achieved. Rural women have created their own role by opening a gap in structure despite structural inequality in rural areas. In addition to farming, women play a role in creating rural reproduction in another way through the family division of labor and division of labor in rural labor market that support farming. Such a role needs to be socially reevaluated that it is not a single unit of neutral 'family farming', but that women who perform various roles have been in charge with men. The agendas of social distancing in the pandemic crisis paradoxically reveal the value of essential labor that cannot be stopped. Discussions on institutionalizing the rights of migrants are competing with the position that it should be done at the level of nationals or at a limited level. Furthermore, women who are actually in charge of labor in rural area that have been avoided or neglected by national perspective. We look forward to progressing into discussions on how to be inclusive that has been excluded from institutionalization have become members of the rural area 이 연구는 농촌여성으로부터의 서사를 가시화하고자 하는 시도를 분석의 출발점으로 삼으며, 가족노동의 분화과정에서 여성의 노동과 역할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탐색해보고자 한다. 농촌가족은 여전히 농촌 재생산을 지탱하는 주요한 축이지만, 가족노동을 하나의 단위로 파악하지 않을 때 가족의 이름으로 대표되지 않는또다른 성원으로부터의 서사가 드러날 수 있다. 이 글의 연구방법은 농촌 현지에서살아가기를 바탕으로 현장을 참여관찰하고, 농촌 사회관계의 토착적 정식화를 이해하며 설명하고자 한다. 농업노동 및 농민시장 참여 그리고 지역사회의 일상적인삶에 방문하기를 기본으로 하며, 지역민들이 보여주는 것에 대한 이해를 다시 낯설게 보기 위해 2차, 3차 자료들과 중복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러한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농촌여성의 노동과 역할에서 공통과 차이를 분석해보면, 공통적으로 불분명한 호명의 ‘농사보조자’이며, 대체로 이름 없는 초과노동을 담당하고있다. 가족내 남성 경영주와의 관계에서 ‘친밀함을 매개로 하는 노동자’의 위치로서 간주되며, 농촌 내에서는 가족내에서의 확장된 역할을 주문받으면서도 노동의가치를 인정받지 못하는 모순적 지위에 있다. 가족과 농촌의 생산과 재생산에서 다양한 연결의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여성의 역할이 복잡화하는 가운데 새로운 유입자는 한편으로 내국인 여성의 취약한 지위를 승계하며, 다른 한편으로 농촌 내 중층적 위계의 말단으로 확인된다. 농촌가족노동이 자체 재생산의 한계에 달하면서, 결혼이주, 이주노동, 귀농귀촌 등에 의해서 새로운 노동이 유입되며 기존의 예측치를 넘어서는 농촌 재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농촌여성은 농촌의 구조적 불평등에도 불구하고 구조의 틈새를 열어가며, 자신의 역할을 만들어왔다. 영농뿐 아니라영농을 지탱해주는 노동분업에서 가족분업과 농촌노동시장에서의 다양한 인적분업을 통해 또 다른 방식으로 농촌재생산을 만들어가는 여성의 역할이 있다. 그러한역할은 무성적 '가족농'이라는 하나의 단위가 아니라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여성이 남성과 더불어 담당해왔음을 사회적으로 재평가할 필요가 있다. 팬더믹 위기에서 사회적 거리두기의 의제들은 역설적으로 중단될 수 없는 필수적 노동의 가치를드러낸다. 이주민의 권리를 제도화하는 논의는 내국인 수준 혹은 제한적 수준에서이루어져야 한다는 입장이 겨루고 있는데, 여기에서 더 나아가 그간 제도화에서 배제되었던 영역으로서 내국인도 회피하거나 경시했던 노동을 실질적으로 담당하는여성을 농촌의 성원으로 어떻게 포괄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논의로 진척될 수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여성농민의 사회적 정체성 형성과 여성농민운동의 발전

        박신규(Sin Kyu Park),정은정(Eun Jung Jeong) 한국농촌사회학회 2010 農村社會 Vol.20 No.1

        본 연구는 여성농민의 사회적 정체성 형성과 변화라는 개념을 가지고 여성농민운동사를 살펴보았다. 여성농민의 사회적 정체성의 `형성`과 `변화`라는 개념으로 여성농민운동사를 고찰하는 것은 여성농민의 사회적 정체성 형성과정이 운동조직을 통하여 개인들의 주체화 과정을 드러내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행위자의 해석과 능동적인 행위가 여성농민운동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바라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와 심층인터뷰, 그리고 참여관찰이라는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1970년대는 농촌의 근대화 과정에서 농촌 여성을 계몽과 농촌 개발 사업의 대상으로 설정된다. `농촌부녀`의 위치에서 `배우는 농촌여성 되기`로, 즉 계몽의 대상으로 표상된다. 1970년대 후반에 이르러 여성농민조직이 생겨나고 1980년대 사회운동의 발전과 더불어 여성농민운동도 사회의 한 부문운동으로 발전한다. 비로소 여성농민들은 농업현실의 당사자임을 인식하면서 `농민`의 정체성을 회득하고, 남성농민 혹은 가부장제의 성차별 구조와 현실 또한 직시하면서 `여성`의 정체성도 동시에 형성한다. 1980년대 운동과 조직화의 역량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1990년대에 이르러 여성농민운동은 자주적 여성농민운동으로서 독자조직을 결성하고 여성농민들의 생산자로서의 지위향상, 사회참여 등을 실현하기 위한 운동을 펼쳐나간다. 1980년대 중반을 넘어서면서 한국사회의 농업·농촌이 급격한 세계화 흐름에 가장 먼저 놓이게 되면서 전체 농민운동은 수입개방농정 반대라는 단일대오의 운동이 형성되었고, 이에 여성농민운동 진영 또한 적극적인 투쟁을 하게 된다. 외세와 가부장제라는 이중의 경계긋기를 설정하고 자주적 여성농민이라는 사회적 정체성을 기획 하려 하지만 세계화 흐름에 가장 먼저 농업·농촌이 휩쓸리게 되면서 오히려 80년대에 비해 여성농민, 혹은 자주적 여성농민이라는 정체성을 구현해내는데 한계를 지닌다. 2000년대부터 현재 시점에 이르는 여성농민운동 진영은 `씨앗을 지키는 여성농민`을 내세움으로써 경계와 연대를 통해 정체성을 기획하고 확장하게 된다. 투쟁만으로는 지금의 농업현실을 풀어나갈 수 없다는 인식이 넓게 형성되면서 `대안을 만드는 투쟁`을 내세운다. 이런 투쟁과 대안이 함께 해야 한다는 패러다임의 전환은 여성농민의 사회적 정체성 형성에 결정적 계기를 제공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history of women peasants movement(WPM) in Korea with the concept of the `forming` and `changing` social identity of women peasants. It means the forming process of the women peasants` social identity has revealed the subjectification process of the people through the social organization, and it sees the interpretation and active actions have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WPM. This study use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such as literature review, in-depth inter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Rural women had been targeted as the object of rural development projects during the rural modernization era in 1970s. They were projected as from rural women to `learning rural women`-the object of enlightenment`. By the late 1970s rural women`s organizations were formed, into the sub-sector of the social movement as the growth of social movements in Korea during 1980s. Not until then women peasants had got the `peasants` identity realizing themselves as the subjects of the agrarian reality. Also they had got the `female` identity realizing the gender-biased structure of the rural patriarchy. Since the rapid growth of the members and organizing ability in 1980s, WPM had been spread around the independent organization as an autonomous subject of the social movement through the motto of enhancing social status and participating as women agricultural producers in 1990s. The whole peasant movement of Korea had set the frontline against open market agricultural policy as Korean rural society and agriculture were attacked by rapid globalization trend, so had WPM. It set out the dual frontline as outer force and patriarchy and projected the social identity as autonomous women peasant, but it could be successful as the Korean agriculture·rural society fell to the victim of the globalization. The social identity of WPM has been recast and extended as the symbol of `seed-keeping women peasants` through bordering as well as associating. WPM has put ahead the concept of `struggles that make alternatives` because of the realization that struggles only cannot solve the agrarian problems. This kind of paradigm shift area border and solidarity has provided the critical momentum for reforming the social identity of women peas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