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술 로봇의 윤리적 쟁점

        송선영,변순용 한국윤리학회 2016 倫理硏究 Vol.106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ethical issues that have to do with surgical robots and the risks of their employment. Robot as technological agent, Issues of legal responsibility, Inequality problems in welfare, and teaching doctors in future. The surgical robots like the Da Vinci Robot System, work with human surgeons and sometimes replaces them in the surgery. Some 35 hospitals in Korea employ about 46 surgical robots in their daily operations. And 24,207 surgeries by robot were performed in Korea between 2005 and 2012. Surgeries by robots has increased and expanded with the advent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robotics. This paper attempts to deal with the questions about the legal and the moral status of surgical robots as follows. Firstly, of fear of robots, In this paper, robots are seen as technological agent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The surgical robot is not simple medical tools, but it has its own role and perform surgery directly on to human body. Secondly, we have another problem, "who is the subject of the surgery, human doctor or surgical robot?" A human doctor controls the operating console, and robot arms practice the surgery. An important feature is that the surgical robot has more precision in surgical process than a human doctor. Thirdly, of legal responsibility, there is a problem of side effects and complications. In 2011, Park, Ju-ah, Korean actress, for example, died of enterobrosia. The operation that ended the actress's life was performed by one of 45 surgical robots. This was the first publicized case of medical accident involved with surgical robot, and this has received lots of attention. Fourthly, the surgery by surgical robots is more expensive than by human doctors Concerning our task in future, the main question are “Should we further develop the surgical robots?” and “Can surgical robots protect the rights of patients to what extent?” The markets of medical robots are more and more expanding, and they are expected to spend 33 billion dollars in 2018. Societies must absorb the high costs of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surgical robots. And it is anticipated that a very selective countries or very few global medical companies would dominate the developing scene and uses of surgical robots. It would foster the gab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resulting in discriminations. It is all too apparent that the patient would become the means for the developing robotic surgery. In particular, there is a key issue of the education of future doctors. The advent of various medical robots manifests the increased benefits by using them. The new and advanced surgical robots will expand the range of robotic surgery, and they can perform surgeries at a lesser expense, especially when the societal resources can be borrowed for their uses. The risk is that the doctors become technicians. The doctors in future need medical skills and control skills. It will be worried about the true doctor, between human doctor and technician, like as between fighter pilot and mouse-clicker 이번 연구의 목적은 최근에 로봇공학의 발전과 더불어 수술 로봇이 확대됨에따라 발생할 수 있는 쟁점들을 윤리적으로 조명하는데 있다. 수술 로봇은 수술의전 과정 또는 일부를 의사 대신 또는 의사와 함께 작업하는 로봇을 말한다. 이번연구에서는 다음 세 가지에 주목하였다. 첫째, 도덕적 대리인(moral agent)으로서의 지위이다. 명령을 내리는 주체는 의사이지만, 그 명령에 따라 수술을 직접 시술하는 행위자(agent)는 바로 수술 로봇이기 때문에, 환자에 대한 도덕적 대리인으로서 지위를 갖는다. 둘째, 수술 로봇이 오히려 복합적인 요인에서 발생하는 합병증에 대한 책임 소재를 더 불분명하게 만들 수 있다. 셋째, 로봇 수술의 목적과 효과에 대한 윤리적 쟁점이 있다. 가령 아직 보험적용을 받지 못하는 로봇 수술을 더많이 시술함으로써 대형 병원이 환자의 건강보다는 이익을 추구한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로봇 수술이 환자의 건강과 행복을 더욱 공고히 마련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기술적 진보 과정에서 드러나는 윤리적 쟁점일 수밖에 없다. 마지막으로 인간의 본래적 활동으로서 의료술의 퇴보에 대한 우려이다. 이런 점에서 수술 콘솔을 조종하는 기술과 본래적인 인간 의료술의 능력을 모두 갖춘 참된 의사들로 성장하기 위한 교육적 방법들이 과제로 남아 있다.

      • KCI등재

        자초(Lithospermum erythrorhizon) 추출물이 UVB로 조사된 생쥐 피부에 미치는 영향

        송선영 韓國電子顯微鏡學會 2008 Applied microscopy Vol.38 No.3

        본 연구는 UVB 조사로 인해 손상된 피부에 있어서 자초추출물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생후 6주령된 제모한 C57BL/6 마우스를 대상으로 대조군, UVB 조사군 (UVB군), UVB 조사 후 자초추출물처치군(UVB+Le군)으로 구분하여 24시간, 48시간, 72시간, 120시간, 168시간의 시간대별로 관찰하였다. 경표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한 결과, UVB+Le군이 UVB군 보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TEWL이 감소하였다. 특히 168시간군에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5). 멜라닌 양 측정 결과, UVB+Le군이 UVB군 보다 낮게 나타났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은 없게 나타났다(p>0.05). 홍반 지수 측정 결과, UVB+Le group 24시간, 48시간, 72시간군에서 UVB group 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5). 주사전자현미경적 관찰 결과, UVB group 24시간군에서는 UVB group보다 팽윤현상이 완화되었다. 48시간군에서는 가피형성, 72시간군에서는 규칙적인 판상구조, 120시간군에서 새로운 각질세포 생성, 168시간군에서는 얇은 섬유망으로 덮혀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투과전자현미경적 관찰 결과, UVB+Le group은 층판소체의 증가와 층판소체의 재형성이 UVB group 보다 모든 군에서 촉진되었다. 특히 168시간군에서는 지질이중막의 구조가 거의 회복되어졌다. 이상의 모든 실험결과를 통해 자초추출물이 UVB 조사로 손상된 생쥐 피부를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in the UVB-irradiated mouse skin. The C57BL mic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control group, the UVB irradiated group (UVB group), and the group treated with Lithospermum erythrorhizon extracts after UVB irradiation (UVB+Le group). 10 mouses were collected and sacrificed at 24 hrs, 48 hrs, 72 hrs, 120 hrs, and 168 hrs, respectively. In the result, the 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 was decreased the UVB+Le group than UVB groups by time. At the 168 hrs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p<0.05). In the result, the melanin value was decreased in the UVB+Le group than UVB group, but meaningless (p>0.05). In the result of erythema index, the UVB+Le group was meaningfully lower at 24 hrs, 48 hrs, and 72 hrs group than UVB group (p<0.05). In the result of scanning electron micrograph observation, the UVB+Le group was allevited swelling than UVB group at the 24 hrs, formation of the scab at the 48 hrs, regular plate shap at the 72 hrs, new keratin observated at the 120 hrs partially, and fine fiber covered epidermis surface at the 168 hrs. In the result of transmission electron micrograph observation, the UVB+Le group was facilitation of increased lamellar bodies and reformation lamellar bodies than UVB group at the all groups. Almost all the structures were recovered at the 168 hrs group. In conclusion, Lithospermum erythema extracts may recovery on the UVB-irradiated mouse skin.

      • KCI등재

        모의 산후 우울과 아동의 사회정서 발달과의 관계

        송선영,김광웅 한국놀이치료학회 2000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3 No.1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degrees of depression after child birth and the factors concerning a postpartum depress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 postpartum de-pression and the social emotion development of her child.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 3,4, and 5 year-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in 8 kindergartens in Seoul, Inchon and Kyunggi district. The results of this examin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postpartum depression degrees are different in the factors concerning a postpartum depression Second, the mother's depression has an influence eel the child's self-control factors and its achievement motives, The damage to the perception of self-identity is an influential factor in explaining the factors concerning relationship with other children.

      • KCI등재

        카지노 복합리조트 방문객이 지각하는 회복적 서비스스케이프가 장소애착 및 장소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송선영,차길수 대한관광경영학회 2022 觀光硏究 Vol.37 No.8

        이 연구는 카지노 복합리조트 방문객이 지각하는 회복적 서비스스케이프가 장소애착 및 장소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과 회복적 서비스스케이프-장소 충성도 간의 관계에서의 장소애착의 효과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통하여 카지노 기업의 서비스 환경을 효과적으로 조성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차별적‧경쟁적 우위를 가질 수 있는 효율적인 장소마케팅 방안을 수립하고자 한다. 먼저, 선행조사를 통해 연구대상의 개념 및 특성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고안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이 연구의 설문지의 유효성을 높이고 카지노 복합리조트라는 개념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표본을 추출하고자, 인천 영종도의 파라다이스 시티 카지노 복합리조트 관리부문 종사자를 대상으로 면대면 오프라인 조사(face to face off-line research)를 실시하였다. 그 중 만 20세 이상으로 최근 2년 이내에 마카오, 필리핀, 싱가포르, 베트남, 라스베가스 등의 해외 카지노복합리조트를 방문한 경험이 있는 방문객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2020년 7월 3일부터 8월 11일까지 총 410부의 설문지를 배포‧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410부 중 부정확하거나 불성실한 경향을 보이는 36부를 제외한 374부의 유효 설문지만을 사용하여, SPSS 23.0과 AMOS 23.0, 구조분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 Sobel’s Z test를 활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카지노 복합리조트 방문객의 지각된 회복적 서비스스케이프는 각각 장소애착과 장소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방문객의 장소애착은 장소 충성도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규명하여, 장소애착은 회복적 서비스스케이프와 장소 충성도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partial mediation)하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국가브랜드를 통한 국제경쟁력 강화 방안 모색―한‧일 국가브랜드를 중심으로―

        송선영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11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 the world competitiveness, how it can be enhanced most effectively by the nation branding that is differentiated from image of nation, preferences of nation in the remarkable change of global economic environment. Nation branding operates similar to world competitiveness's strength : inducement of tourists, invigorates the inward investment, increases export and then currency stabilizes, continues buildup of national strength and benefits from nation branding. But, it is not applied to the nation branding enhancement, following brand management policy in Korea is a problem within a government, a private enterprise and the general public are under-appreciated than korean good economy. Thus, we can see that Korean merchandises are discounted in the global market's comparing to the same quality goods manufactured in the other countries. As the national brand of Korea rises in standing, Koreans and Korean companies will have greater respect and prestige, and its products and services will command a higher premium. With the mission to enhance Korea’s national brand in a systematic, strategic, and comprehensive way, the method of brand strengthening has just acquire the Korea's premium.

      • KCI등재

        벤담의 의무론과 도덕발달교육에 관한 연구 -AI 로봇 활용을 위한 윤리적 알고리즘의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송선영 한국공공사회학회 2021 공공사회연구 Vol.11 No.2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possible application of the calculating pleasures and pains in J. Bentham’s Deontology to the education of moral development, and to explore the probability of ethical algorithm to utilize AI robots. ‘Right’ is morally judged by the principle of utility, that is, to maximize general happiness. In Bentham’s scheme, any kind of sentiments and feelings related to the modes of any conduct is under pleasures and pains. According to him, nature has placed mankind under the governance of pleasure and pain to point out what we ought to do as well as to determine what we shall do. At that point, any moral agent is equal to be calculated in the principle of utility. Therefore, in this paper, the notion of duty in his work is the key to look for form ethical algorithm of moral development to utilize AI robots in education,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utility in J. Bentham. 이 연구의 목적은 벤담의 『의무론』의 양상에서 공리성의 원리를 도덕발달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양상을 검토하고, 이를 인공지능형 로봇 시스템에 활용할 수 있는 윤리적 알고리즘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있다. 공리성의 원리에 따르면, 쾌락과 고통의 계산에서 최대 행복의 결과를 산출하는 행동을 하는 것이 도덕적으로 올바르다. 벤담은 행위의 결과와 관련해서 다양한 감정과 느낌을 쾌락과 고통의 영역으로 단순화함으로써 자신의 『의무론』체계를 제시하였다. 이는 모든 사람의 쾌락과 고통을 동등하게 계산하고자 하고, 이들을 최대 행복을 산출하는 도덕적 행위자로 이끌고자 했던 그의 열망과 부합한다. 이를 오늘날 도덕교육의 과제와 연관해서 볼 때, AI Robots 활용을 위한 윤리적 알고리즘과 연계할 수 있다. 벤담의 『의무론』에서는 다양한 감정들과 느낌들이 쾌락과 고통의 영역으로 세분화되어 있고, 이를 바탕으로 고통 제거의 윤리적 알고리즘으로 제안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국가브랜드를 통한 국제경쟁력 강화 방안 모색―한·일 국가브랜드를 중심으로―

        송선영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11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 the world competitiveness, how it can be enhanced most effectively by the nation branding that is differentiated from image of nation, preferences of nation in the remarkable change of global economic environment. Nation branding operates similar to world competitiveness`s strength : inducement of tourists, invigorates the inward investment, increases export and then currency stabilizes, continues buildup of national strength and benefits from nation branding. But, it is not applied to the nation branding enhancement, following brand management policy in Korea is a problem within a government, a private enterprise and the general public are under-appreciated than korean good economy. Thus, we can see that Korean merchandises are discounted in the global market`s comparing to the same quality goods manufactured in the other countries. As the national brand of Korea rises in standing, Koreans and Korean companies will have greater respect and prestige, and its products and services will command a higher premium. With the mission to enhance Korea`s national brand in a systematic, strategic, and comprehensive way, the method of brand strengthening has just acquire the Korea`s premi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