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現代日本における文化哲學の意義 -カッシ―ラ―の思想を手がかりに- 現代日本における文化哲學の意義 -カッシ―ラ―の思想を手がかりに-

        아야쇼우지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08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4 No.-

        본고에서는, 카시러(Ernst Cassirer)의 문화철학의 내용을 검토하고, 이를 실마리로 현대 일본에 있어서 문화철학의 의의를 고찰한다. 제 1장에서는, 현대 일본에 있어서 문화라는 말의 사용법이 서양과 다르다는 점을 밝힌다. 그 차이에서 일본 문화의 특징이 발견된다. 제 2장에서는 카시러의 문화철학의 내용과 의의를 고찰한다. 제 3장에서는 일본의 문화적 상황의 문제점을 논하며, 배타성과 이중적 유연성이 일본 문화의 특징으로써 제시된다. 제 4장에서는 카시러의 철학을 통해서 현대 일본에 있어서 문화철학의 의의를 제시한다. 여기서 의의란, 우선 논리적·도덕적 자유의 존중에 의한 현대 일본문화의 단점인 배타성의 억제이다. 다음으로는, 일분문화의 장점인 유연한 산출력을 늘리고 개체와 보편의 양립을 가능하게 하고, 열린 일본문화를 구축하는 방향성을 이끄는 것이다. 문화 철학은, 현대 일본의 문화적 상황에 있어서, 이 두 가지를 제시한다는 의의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유진오의 일본어 문학에 나타난 조선적 가치의 재고 -일본어 소설 「남곡선생(南谷先生)」을 중심으로-

        김욱 ( Wook Kim )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15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11 No.-

        본 논문은 조선의 근대 지식인 작가 유진오가 일제강점하 조선 문단에서 어떻게 일본어 창작으로 나아갔는지, 일본어로 문학을 하면서 자신의 정체성에 다름없는 조선적인 것들을 어떻게 반영하였는지 일본어 소설 「남곡선생(南谷先生)」을 통해 살펴보는 글이다. 「남곡선생」은 주인공 수동과‘남곡선생’의 이야기를 통해 조선적인 것과 근대문화의 관계도를 그리며 그 안에서 조선적인 것의 가치를 이끌어내고 있다. 이 소설은 그의 일본적 전작 소설들보다 정신적이고 심층적인 영역으로 이행해가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작중인물의 의식의 흐름에 따라 ‘남곡선생’을 이해하는 방식으로 조선적인 것의 가치를 문학적으로 세밀하게 주제화시켰다는 점에서, 이 소설이 문학사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일제강점기에 강요되었던 서구적 근대화를 대타항으로 설정하면서 조선적인 가치의 재발견을 촉구하고 있으며, 그 가치들은‘남곡선생’으로 하여금 조선인 혹은 일본인 독자가 느꼈을 긍정적인 조선성의 여러 면모들에 다름없다. 식민지 조선의 교육자이자 법률가로서, 한국어는 물론 일본어도 유창한 이중언어작가로서, 일제 당국이 조선을 대표하는 인물로 주목했던 엘리트 지식인으로서 유진오는 본인의 의지와 외부의 인식에 의해 조선의 대변자라는 의식을 내면화하였다고 볼 수 있다. 때문에 식민지 지배라는 당시 조선의 뼈아픈 역사 속에서 일본어 문학을 통해 긍정적인 조선 표상 담론을 정신적인 영역으로 끌어올리는 것으로 식민지 지식인의 자기 정체성을 지키려 했던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a modern intellectual writer of Chosun, Yu, Jin-oh advanced into Japanese creation in the Chosun literary circle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and how he reflected things of Chosun like his identity while writing in Japanese through a Japanese novel 「Mr. Namgok」. While dra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ings of Chosun and modern culture through the story of the protagonist Sudong and Mr. Namgok, 「Mr. Namgok」 is deriving the value of things of Chosun in it. This novel shows the process of going to a more mental and in-depth domain than his Japanese previous novels. In particular, this novel is thought to have the value of the literary history in that the value of things of Chosun was topicalized literarily in detail in a way of understanding‘Mr. Namgok’depending on the stream of consciousness of characters in the story. In addition, setting Western modernization forced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as its counterpart, it urges the rediscovery Chosun’s value and those values are not different from the various aspects of positive traditional culture of Chosun that Yu, Jin-oh tried to convey to Koreans or Japanese readers through ‘Mr. Namgok.’As an educator and lawyer of colonial Chosun, a bilingual writer who is fluent in Japanese as well as Korean and an elite intellectual noted by Japanese authorities as a figure representing Chosun, Yu, Jin-oh can be seen to have internalized the awareness that he is a representative of Chosun by his willingness and external recognition. Thus, in the painful history of Chosun at that time, colonial rule, he tried to defend his identity of a colonial intellectual by elevating positive Chosun representation discourse to the mental area through Japanese language literature.

      • KCI등재후보

        유진오의 일본어 문학에 나타난 조선적 가치의 재고 ―일본어 소설 「南谷先生」을 중심으로―

        김욱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15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1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a modern intellectual writer of Chosun, Yu, Jin-oh advanced into Japanese creation in the Chosun literary circle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and how he reflected things of Chosun like his identity while writing in Japanese through a Japanese novel 「Mr. Namgok」. While dra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ings of Chosun and modern culture through the story of the protagonist Sudong and Mr. Namgok, 「Mr. Namgok」 is deriving the value of things of Chosun in it. This novel shows the process of going to a more mental and in-depth domain than his Japanese previous novels. In particular, this novel is thought to have the value of the literary history in that the value of things of Chosun was topicalized literarily in detail in a way of understanding‘Mr. Namgok’depending on the stream of consciousness of characters in the story. In addition, setting Western modernization forced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as its counterpart, it urges the rediscovery Chosun’s value and those values are not different from the various aspects of positive traditional culture of Chosun that Yu, Jin-oh tried to convey to Koreans or Japanese readers through ‘Mr. Namgok.’As an educator and lawyer of colonial Chosun, a bilingual writer who is fluent in Japanese as well as Korean and an elite intellectual noted by Japanese authorities as a figure representing Chosun, Yu, Jin-oh can be seen to have internalized the awareness that he is a representative of Chosun by his willingness and external recognition. Thus, in the painful history of Chosun at that time, colonial rule, he tried to defend his identity of a colonial intellectual by elevating positive Chosun representation discourse to the mental area through Japanese language literature. 본 논문은 조선의 근대 지식인 작가 유진오가 일제강점하 조선 문단에서 어떻게 일본어 창작으로 나아갔는지, 일본어로 문학을 하면서 자신의 정체성에 다름없는 조선적인 것들을 어떻게 반영하였는지 일본어 소설 「남곡선생(南谷先生)」을 통해 살펴보는 글이다. 「남곡선생」은 주인공 수동과‘남곡선생’의 이야기를 통해 조선적인 것과 근대문화의 관계도를 그리며 그 안에서 조선적인 것의 가치를 이끌어내고 있다. 이 소설은 그의 일본적 전작 소설들보다 정신적이고 심층적인 영역으로 이행해가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작중인물의 의식의 흐름에 따라 ‘남곡선생’을 이해하는 방식으로 조선적인 것의 가치를 문학적으로 세밀하게 주제화시켰다는 점에서, 이 소설이 문학사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일제강점기에 강요되었던 서구적 근대화를 대타항으로 설정하면서 조선적인 가치의 재발견을 촉구하고 있으며, 그 가치들은‘남곡선생’으로 하여금 조선인 혹은 일본인 독자가 느꼈을 긍정적인 조선성의 여러 면모들에 다름없다. 식민지 조선의 교육자이자 법률가로서, 한국어는 물론 일본어도 유창한 이중언어작가로서, 일제 당국이 조선을 대표하는 인물로 주목했던 엘리트 지식인으로서 유진오는 본인의 의지와 외부의 인식에 의해 조선의 대변자라는 의식을 내면화하였다고 볼 수 있다. 때문에 식민지 지배라는 당시 조선의 뼈아픈 역사 속에서 일본어 문학을 통해 긍정적인 조선 표상 담론을 정신적인 영역으로 끌어올리는 것으로 식민지 지식인의 자기 정체성을 지키려 했던 것이다.

      • KCI등재

        재조선 일본인 2세의 전후기억의 형성 ―1970년대 이후 ‘방어진회’의 결성과 집단기억―

        명수정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19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15 No.-

        This paper explores the collective memory which was formed by the second generation of Japanese settlers in colonial Korea after the defeat of the Japanese Empire in 1945. First, this paper examines how Japanese second generation was born and raised in colonial Korea. second, the collective memory of the second generation of Japanese settler formed as an extension of the colonialism was created and changed in a “homogeneous ethnic” and “peace state” discourse in Post-war Japan. third, in Japanese society since the 1970s, there has been a critical view of the colonial period by the progressive forces. The change in Japanese society also gives some members of the breakaway society a critical view of the colonial experience. Fourth, in the 1970s, second-generation students formed the Bangnyeo Society, Alumni association ‘Bangeujin-hoe’- was a place to share the everyday life and longing of Joseon and to share various memories that were excluded from the nation's discourse. lastly, the second generation faces their hometown directly through their official visits to Korea. In the process, the second generation of colonial settler face their hometown and receive a new identity as a medium for international exchange not just as a colonial ruler. Through this, it is confirmed that collective memory is socially organized and change. 본 논문에서는 식민지기 울산 방어진에서 태어난 재조선 일본인 2세들이 패전 후 형성한 집단기억과 정체성의 변화에 대해 고찰한다. 먼저 2세가 어떻게 식민지 조선에서 태어나 자랐는지에 대한 역사를 추적한다. 패전 후 일본 정부는 국가 재건을 위해 국민통합을 도모하며 단일민족, 평화주의 담론을 만들어냈다. 둘째, 패전 후 일본으로 귀환한 2세의 식민지 경험과 기억은 일본이 만든 담론의 경계 밖에 있어 결국 배제된다. 이렇게 극복되지 못한 식민주의 안에서 방어진은 그리운 고향으로만 존재할 수 있었다. 셋째, 1970년대 이후 일본사회에서는 혁신세력에 의해 식민지기에 대한 비판적인 관점이 제기된다. 일본 사회의 변화는 2세들에게 방어진을 그리운 고향으로만 기억하던 것을 초월하여 식민지 경험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제공했다. 넷째, 1970년대 2세들은 방어진공립 심상소학교 동창회인 방어진회를 결성한다. 방어진회는 조선에서의 기억과 그리움을 공유하는 곳이자, 국가의 담론에서 배제된 다양한 사적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곳이었다. 마지막으로 2세들은 방어진회를 주축으로 하여 한국방문을 시작한다. 이들은 국제교류, 모교 100주년 기념식에 참석하며 직접적으로 고향과 마주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2세는 식민자라는 정체성에서 국제교류의 매개자라는 새로운 정체성을 부여 받으며 고향과 새롭게 마주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2세가 가진 집단기억은 사회적으로 형성되며 정체성에 영향을 끼치며, 변화를 계속한다는 것을 확인한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 부부의 갈등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 부산내 중국과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

        단효금 ( Duan Xiaoqin )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21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17 No.-

        한국에서 다문화 가정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부부간 갈등의 요인들을 살펴보고, 한국사회가 어떤 방식으로 갈등을 해결하는데 일조할 수 있는지를 제안하는 것은 시급한 과제로 등장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부부를 대상으로 결혼 후 갈등의 정도가 결혼 이전 배우자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고 있었던 정도와 관련성이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연구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 결과 다문화가정의 이혼 가능성은 부부의 학력, 의사소통, 문화이해정도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밝혔다. 구체적으로, 결혼상담소를 통해 배우자를 만난 것보다는 친구나 지인소개로 만난 경우 이혼가능성이 낮았다. 의사소통이 가능한 경우에도 이혼 가능성이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또한 배우자가 조사대상자의 모국어를 어느 정도 이해하고 대화가 가능한 경우에도 이혼 가능성이 낮게 나타났다. 상대방 나라에서 유학이나 근무 혹은 거주한 경험이 있다면 부부의 정상적인 결혼생활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문화의 이해 정도가 이혼 가능성을 낮추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scope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conflict structure after marriage is culturally relevant to understanding the culture of the other country prior to marriage for couples of multicultural families who have married internationally, unlike the existing theoretical approaches.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factors of marital conflict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a situation where multicultural families are increasing in various forms, and to obtain answers through research on how Korean society should practice them.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ossibility of divorce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marital status of the couple, the background they met, communication, marriage period, cultural understanding level, and whether they had experience in the other country. Among them, if you look at the degree of divorce according to your educational background, it turns out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divorce if your educational background is higher than high school. If you look at the degree of divorc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you met with your spouse, if you met with friends or acquaintances, the chances of divorce were low when you met and married at work or school. On the other hand, if you met through a marriage counseling center, your chances of divorce and separation were very high. If communication was possible, the possibility of divorce was significantly lower.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divorce was low even when the spouse understood the native language of the survey subject to some extent and was able to communicate. The marriage period and divorce potential were not found. The result of cultural understanding and divorce function can be considered as significant if there is awareness of the culture of the other country before marriage. Looking at the results of your last country's experience and divorce potential, if you study abroad, work, or live in the other country before marriage, you will find it helpful to maintain a married couple's normal marriage. 

      • KCI등재후보

        한,일 음차(飮茶) 공간空間)의 조형특징과 내재의미 비교

        양쯔 ( Zi Yang )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15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11 No.-

        차(茶)는 동양 문화에서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갖고 있다. 시대가 발전함에 따라 차와 관련된 독특한 문화가 동양 여러 나라에서 꽃을 피웠고, 문화 유형으로서의 차례(茶禮)나 차회(茶會)뿐만 아니라 문학과 예술 영역에서도 차시(茶詩)와 아집도(雅集圖)를 통하여 차문화(茶文化)의 영향을 엿볼 수 있다. 건축은 어느 한 지역의 문화와 인간 정신의 외재적인 표현이다. 따라서 문화의 형성에 따라 반드시 일정한 문화적 공간이 형성된다. 일본에서 차문화의 산물로서 ‘다정(茶庭)’라는 음차 공간(飮茶空間)이 명확하게 존재하다는 것은 사실이다. 오늘 날에도 일본에는 다정의 명소가 많이 남아있다. 뿐만 아니라 일본에서 다정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많은 연구 성과를 거두었다. 한반도에서 차문화의 기원이 오래되었다. 차문화는 한국 전통 문화의 일환이라고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처럼 중요한 문화가 인간의 지역성과 문화성을 제대로 체현할 수 있는 건축의 영역에서 보면, 한국에서는 일본의 다정같은 건축 유형은 말할 것도 없고, 음차 공간과 관련된 문헌 기록조차 찾기 힘든 편이다. 본 논문은 한국과 일본 차문화의 성격, 한 걸음 더 나아가 한·일 양국의 문화와 민족적인 성격을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하여 한국과 일본의 음차 공간으로서의 건축 유형을 탐구해 보고자 한다. 또한 중국의 영향과 불교의 전래 등 역사적 배경 아래 한국과 일본 음차 공간의 조형적 특징과 미적 성향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것도 본 연구의 목적이다. Tea culture space is not only a kind of reflection of residential culture, but also can be used to generally describe the culture lives and value systems of a society. In Japan, the research on tea garden is relatively adequate. But there are not much researches about tea drinking space in Korea. The main reason for which is that the concept of tea drinking space was not explicit in Korea. And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space for tea drinking in Korea and that in Japan. The main goal of this paper is to discover this difference and to analyze the causes of it. Although there are many studies about tea culture of Japan and Korea, or Japanese tea garden, or traditional Korean garden. I have not found a comparative study on tea culture space of Korea and Japan which is got by studying tea culture of the two countries, and thu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national characters between Korea and Japan by this comparative study. In addition, the researches on Japanese culture and Korean culture almost belong to the category of history, sociology or anthropology. I think it is appropriate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social spirits and degrees of residential culture between Korea and Japan by studying the specific garden architectures.

      • KCI등재후보

        主流派プロテスタント教会におけるスピリチュアリティ -スピリットとスピリチュアリティの間で-

        후지노 요헤이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08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4 No.-

        현재 영성・붐이라 일컬어지는 상황이 전세계에 퍼지고 있다. 종교학에서도 그 모든 상이 보고 되면서, 지금까지 종교의 개념으로 파악되지 않았던 새로운 영역으로 그 대상을 확대시키고 있다. 이러한 현대사회의 종교성을 고찰하고, 종교와 종교관이라는 것을 다시 봐야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하지만 영성운동의 연구는 개념의 확대에 의해서 그 대상이 애매모호하게 되어있는 현상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종교인류학적으로 현지의 소리를 모우는 작업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또한 기독교를 영성운동의 관점에서 고찰 할 때 특유의 어려움이 존재한다. 그것은 영성이라고 번역되는 ‘스피리츄어리티’로 크리스트교 전통에 준한 성령개념인 ‘스피리트’와는 다르다. 양자를 잘 분류한 후 분석하지 않으면, 후자가 전자를 삼켜 영성연구라기 보다는 크리스트교 연구에 있어서 현재의 성령연구가 되어버린다. 크리스트교라는 문맥상의 영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양자를 풀어서 다시 생각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영성에 중점을 두고 있는 주류파 프로테스탄트 교회를 들어서, ‘성령’과 ‘영성’이라는 두 영성의 차이를 고려하면서, 장로교회 속에서도 영성적인 여러 활동을 중요시하고 있는 교회를 열거하여 그 여러 가지 모습을 고찰하였다.

      • KCI등재

        규슈지역 송국리문화의 확산과 문화변동

        이정은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19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15 No.-

        In case, it is hard to find out supporting evidence on whether a new type of material culture or its change has a self-regenerating ability or not, migration would be one of the convincing explanatory frames to interpret those phenomena. In this viewpoint, migration of the Songguk-ri Culture toward Japan plays a pivotal role in identifying important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Japan in prehistoric tim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examine and elaborate the migration of the Songguk-ri Culture to Japan applying a migration model.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how the cultural remains of Songguk-ri such as Songguk-ri type dwellings, dolmens, Songguk-ri type potteries, and polished stone tools are unfolded in the southeast of Korean Peninsula and northern Kyushu. Checklists Approach suggests a standard to see a various range of archeological aspects as migration. Applying the approach, those Songguk-ri Culture properties inside the Japanese Islands could be verified as a consequence of the migration. To illuminate the aspects of its cultural changes during and after the migration, Kim Jangsuk's model was applied in this article. And the migration of the Songguk-ri Culture toward Japan could be explained by a wave-of-advance model and a complexity one of a long-distance migration. Songguk-ri Culture seems to settle down in the region where an indigene - Jomon - had originally occupied and make the boundary between immigrants and indigenes blurred little by little. As time rolls on, the two cultures were slowly mixed and assimilated, and then the third one, so called Yayoi culture, came to arise. In the meantime, Songguk-ri Culture is also identified in northern Kyushu with a few different features in detail. Accordingly, it can be assumed that different cultural aspects would appear depending upon which side has much more power between immigrants and indigenes or how their population is distributed. 새로운 형태의 물질문화의 등장이나 변동과 관련하여 자생의 가능성을 뒷받침할 근거를 찾기 어려운 경우 이주는 이를 설명하는 유력한 해석 틀의 하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송국리문화 집단의 일본 이주는 선사시대 한일 간의 가장 중요한 교류 관계 파악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연구는 송국리문화의 일본으로의 확산 과정을 재검토하고 이주 모델에 적용시켜 설명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이를 위하여 송국리형 주거지, 지석묘, 송국리식 토기, 마제석기가 일본 내 송국리문화의 원류지로 지목되는 한반도 동남부지역과 이주지인 북부 규슈지역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체크리스트 접근법은 고고학적으로 나타나는 다양한 양상을 이주로 보기 위한 기준을 제시한다. 이를 적용하였을 때 일본 열도 내의 송국리문화요소를 이주의 결과로 볼 수 있음이 확인된다. 이주의 과정 및 이주 후 문화변동양상의 파악에는 김장석이 제시한 모델을 이용한다. 송국리문화 집단의 일본 이주는 wave-of-advance 모델과 장거리이주의 복합모델로 설명할 수 있다. 이주민인 송국리문화 집단은 재지 조몬인이 점유하고 있는 지역에 정착하여 느슨한 공간적 경계를 이루며, 점차 상호의 문화가 동화되고 양자의 문화가 혼합되어 제 3의 문화인 야요이문화가 발생한다. 한편 북부 규슈지역 내에서도 송국리문화가 세부적으로는 다르게 나타남이 확인되는데, 이주민과 재지인의 세력 및 분포에 따라 상이한 양상을 가지게 된 것으로 추측된다.

      • KCI등재후보

        한·일 음차 공간(飮茶空間)의 조형특징과 내재의미 비교

        양쯔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15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11 No.-

        차(茶)는 동양 문화에서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갖고 있다. 시대가 발전함에 따라 차와 관련된 독특한 문화가 동양 여러 나라에서 꽃을 피웠고, 문화 유형으로서의 차례(茶禮)나 차회(茶會)뿐만 아니라 문학과 예술 영역에서도 차시(茶詩)와 아집도(雅集圖)를 통하여 차문화(茶文化)의 영향을 엿볼 수 있다. 건축은 어느 한 지역의 문화와 인간 정신의 외재적인 표현이다. 따라서 문화의 형성에 따라 반드시 일정한 문화적 공간이 형성된다. 일본에서 차문화의 산물로서 ‘다정(茶庭)’라는 음차 공간(飮茶空間)이 명확하게 존재하다는 것은 사실이다. 오늘 날에도 일본에는 다정의 명소가 많이 남아있다. 뿐만 아니라 일본에서 다정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많은 연구 성과를 거두었다. 한반도에서 차문화의 기원이 오래되었다. 차문화는 한국 전통 문화의 일환이라고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처럼 중요한 문화가 인간의 지역성과 문화성을 제대로 체현할 수 있는 건축의 영역에서 보면, 한국에서는 일본의 다정같은 건축 유형은 말할 것도 없고, 음차 공간과 관련된 문헌 기록조차 찾기 힘든 편이다. 본 논문은 한국과 일본 차문화의 성격, 한 걸음 더 나아가 한·일 양국의 문화와 민족적인 성격을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하여 한국과 일본의 음차 공간으로서의 건축 유형을 탐구해 보고자 한다. 또한 중국의 영향과 불교의 전래 등 역사적 배경 아래 한국과 일본 음차 공간의 조형적 특징과 미적 성향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것도 본 연구의 목적이다. Tea culture space is not only a kind of reflection of residential culture, but also can be used to generally describe the culture lives and value systems of a society. In Japan, the research on tea garden is relatively adequate. But there are not much researches about tea drinking space in Korea. The main reason for which is that the concept of tea drinking space was not explicit in Korea. And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space for tea drinking in Korea and that in Japan. The main goal of this paper is to discover this difference and to analyze the causes of it. Although there are many studies about tea culture of Japan and Korea, or Japanese tea garden, or traditional Korean garden. I have not found a comparative study on tea culture space of Korea and Japan which is got by studying tea culture of the two countries, and thu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national characters between Korea and Japan by this comparative study. In addition, the researches on Japanese culture and Korean culture almost belong to the category of history, sociology or anthropology. I think it is appropriate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social spirits and degrees of residential culture between Korea and Japan by studying the specific garden architectures.

      • KCI등재후보

        가정위탁 지원제도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박건우 ( Park Geon Woo )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21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17 No.-

        본 연구는 가정위탁 및 아동에 대한 정부지원제도의 효과성 즉 정책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위탁가정에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지원제도에 대해서 실제 정책을 집행하고 있는 담당자에 대한 인터뷰조사를 통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한다. 이를 위해서, 법안의 개정에 따른 비용지출을 추정하기 위한 비용추계 방법을 연구에 활용하였다. 비용추계방법은 추가적인 정부 재정지출 및 소요를 추정하는데 상당히 효율적인 방법으로 입법과정에서 보편적으로 활용된다고 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위탁아동 양육수당 지원금의 인상을 통해 추가적인 재정소요를 살펴보았으며, 인터뷰 조사 결과에 더해 양육수당에 인상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향후, 가정위탁 및 아동에 대한 정부지원제도의 발전방안에 대해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는데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governmental support system for foster families and children, that is, the effect of polici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ctual policies regarding various support systems that are actually provided to foster families We would like to see how they perceive it through an interview survey of the person in charge of executing the program. To this end, a cost estimation method for estimating expenditure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the bill was used in the study. The cost estimation method is a fairly efficient method for estimating additional government expenditures and requirements, and can be viewed as being widely used in the legislative process. To this end, additional financial needs were examined through the increase of the foster care allowance subsidy. In addition to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survey, additional discussions on the increase of the childcare allowance are expected to be necessary. This study can contribute positively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future development of the government support system for foster families and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