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포츠스타, 영웅으로의 비상과 추락 : 홍명보 감독에 대한 신문프레임 분석

        장성구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7772894

        This study aimed to study how newspapers configured the frames on Coach Hong Myung-bo, a sports star, and in which way these frames contributed to fame gained and damages as a hero. To ensure the effectiveness and objectivity of this study, representative comprehensive daily newspaper Seoul Shinmun, Chosun Ilbo, and Hankyoreh were selected. Materials from February 2009 to July 2014 were collected, during which Hong served. To draw a systematic, objective means and to derive a reasonable inference. Contents analysis was performed. Thu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results from analyzing the frames of these newspapers found that these frames consisted a ‘Human Interest’ frame, a ‘Heroism’ frame, a ‘Competition’ frame, a ‘Nationalism’ frame, and a ‘Winning’ frame. Second,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on how the frames contributed to the fame–gained and damages as a hero, which were organiz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 periods divided into of those of birth and growth, expectations and beliefs, and hero and rebel. As a result,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period of birth and growth was the one when a hero was made. Thus, the frames tried to induce the interest of the public by delivering a Hong’s pubic image. In addition, the frames represented a challenge and competition as a novice director, attempting to make Hong a hero with the story of overcoming adversity. The period of expectations and beliefs was the one for the success as a coach. Leadership and loyalty is expressed as a heroic virtues of society needed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frames tried to express Hong as a national hero meeting the requirements. These frames showed the beliefs and expectations of the future about the hero leading the Republic of Korea. The hero and rebel periods was different in the configuration of the information before and after the World Cup in Brazil. The need for a win was stressed because of the performances degradation and poor results of the national team before the World Cup. In addition, the frames showed the earnest wish and belief for the success of the World Cup by expressing Hong as a figure who can represent the pain of the Sewol Ferry tragedy. However, after the World Cup started, the contents of the charisma, leadership, loyalty, etc, which had represented Hong, were pointed and delivered as the causes for the failure in entering the 2nd round. In the structure of the frames, the contents that had previously represented the hero changed into those that were representative of a rebel after the failure. 본 연구는 스포츠 스타인 홍명보 감독에 대해 신문은 어떤 프레임을 구성하였고 영웅으로의 비상과 추락에 어떻게 기여하는가를 연구하였다. 연구의 효율성과 객관성을 지키기 위해 대표 종합일간지인 서울신문, 조선일보, 한겨례신문 3개의 신문사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고 홍명보 감독이 역임하였던 2009년 2월부터 2014년 7월까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의미를 도출하고 타당한 추론을 이끌어내기 위해 내용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홍명보 감독의 전체 재임기간 중 신문 프레임의 구성을 분석한 결과 인간흥미 프레임, 영웅주의 프레임, 경쟁 프레임, 민족주의 프레임, 승리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둘째, 탄생과 성장, 기대와 믿음, 영웅과 역적으로 기간을 구분하고 각 기간에 따라 구성하고 있는 프레임이 영웅으로의 비상과 추락에 어떻게 기여하는가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탄생과 성장 기간은 영웅이 만들어 지는 시작단계이며 홍명보 감독의 대중적인 이미지를 전달하여 대중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있었다. 또한 초보 감독의 도전과 경쟁을 나타내며 홍명보 감독을 성공과 실패를 경험하는 역경의 극복자로 나타낸다. 역경 극복 스토리의 시작과 함께 영웅을 탄생시키는 프레임을 구성하고 있었다. 기대와 믿음 기간은 영웅에 대한 확신과 믿음의 단계이며 감독으로서 홍명보의 성공을 부각하고 있었다. 리더십과 의리는 대한민국 사회에 필요한 영웅의 덕목으로 표현되며 홍명보 감독이 이에 부합하는 국가적 영웅임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러한 프레임 구성들은 대한민국을 이끌 수 있는 영웅에 대한 믿음과 미래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내고 있었다. 영웅과 역적 기간은 브라질월드컵 시작 전과 후로 내용 구성에 차이가 있었다. 월드컵 시작 전 대표팀의 경기력 저하와 부진한 결과로 인해 승리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홍명보 감독을 세월호의 아픔을 대변할 수 있는 인물로 나타냄으로서 월드컵 성공의 간절함과 믿음을 나타내고 있었다. 그러나 월드컵 시작 후 홍명보 감독을 대표하던 카리스마, 리더십, 의리 등의 내용들은 16강 진출 실패의 원인으로 지적되어 전달되고 있었다. 앞서 영웅을 대표하던 내용들이 실패 이후 역적을 대표하는 내용으로 변화되어 프레임을 구성하고 있었다.

      •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홍명보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and share the organized life of a national soccer team manger to provide in-depth information to enhance management skills and provide effective operation skills and management techniques for future. Especially, regarding efficient management point of view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s within the sports organization, applying useful methods practically and understanding different situations in order to enhance manager role performance with in the national team. To reach the research goals, the study utilizes auto-ethnography as a methodological tool, in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 order to have a wide-ranging understanding of the personal experience as a former manager of the national soccer team. The collected data have been analyzed into three different stages including Youth National team, Olympic national team, and World Cup national team experiences. The categorized stages have been discussed with personal experiences of the researcher regarding team operation with each cases. Specifically, the meaning of game operations, team management and intention point was actualized. In order to generalized the research results, the study carried in-depth interviews to the coaches and players who have contributed to the team while the researcher served as a team manager. As a result, experience of relationship built with the players were described as a first assigned team manager. Moreover, adaptation and motivations were analyzed and the ‘international stage experience’ necessary for the young players were stated. During the Olympic national team stage, strategy and tactics for players under the name of ‘one team’ were emphasized by the researcher. And World Cup national team manager, the role of a leader and the necessity of team management was narrated. To conclude the results, three different approaches have been found. First, in order to perform as a successful national team manager one must play a role as a supervisor and an administrator of setting a team goal in a long term point of view.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find and train the appropriate players and also need to be the decision maker to tune all the team system in order to bring the team together. Secondly, unified team is not just made by individual players but also the harmony of the manager, coaches, and players is needed. A well-constructed team can perform well and achieve good results. Also, manager’s leadership can perform in many different ways but the most common needed factor that should not be passed over is how to motivate and sustain the motivation to the team members. Thirdly, rather than making decisions for short term results, a plan must be made in a long term point of view. Consisting the national team throughout youth to adult teams with the restricted resources of athletes, young players sharing continuous experience with the manager can assist with achieving the team goal. Also, inevitable situations with the replacement or substitution of the managers must be cautiously dealt with. A manager who can play a full roll must be appointed. There is no absolute answer of the role of manager leading a sports organization. Just because the manager is doing well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 team can achieve good results and having many talented players do not always mean that the team can be successful. The philosophy ‘One team’ in soccer built by the long personal experienc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achieving a team goal. Thorough planning in a long term point of perspective may provide an opportunity for the Korean soccer to take another leap.

      • 스포츠스타 광고 모델 활용에 따른 스포츠스타와 브랜드 간의 이미지 전이 효과 분석

        이정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330

        It is obvious that advertisers try to achieve competitive advantages against others by strongly positioning its image of brand and corporation in consumers’ mind through advertising under a so-called war of the brands’ images. Winning the war depends on how effectively the advertising, a main tool of image formation, is able to create, intensify, and change the image of the brand and the corporation. It is true that many corporations have already employed attractive and persuasive celebrities who project positive images to consumers. Recent trends show that, out of the diverse field of celebrities, celebrity athletes are the most popular for commercials according to consumers. Celebrity athletes have come into the spotlight because not only can they effectively attract consumers’ attention in advertising but they also play important roles as attractive image controllers on the basis of their professionalism and hero/heroine image, which have already been formed in the consumers’ mind. According to the image transfer theory, the role of the celebrity athlete as an image controller is rooted in the premise that the image of a popular professional athlete can be transferred to a product, brand, or corporation. Namely, the appearance of a celebrity athlete in advertising is closely connected to the image transfer between sports star professional athletes and the product advertised. However, very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regarding this matter, despite advertisers and producers having struggle to find a more effective way to engrave desired brand images into customers’ mind. Accordingly, this study seeks to analyze the process of image transfer between celebrity athletes and brand image, and furthermore, to develop a wa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image transfer in the light of an advertising context. The study implements experimental design research with four test groups. The test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the appearance of celebrity athletes in advertising can positively change a brand image. Secondly, it was found that an image of a celebrity athlete is transferred to a brand image when advertising a product. Third, it was observed that images are transferred much more effectively if the background of the advertising was related to an athlete’s sport (congruent context) rather than when the background of the advertising had nothing to do with his/her sport (incongruent context). For the image transfer pattern by image attributes, it was shown that an image of a celebrity is strongly transferred to a brand image in a congruent context. In particular, the attributes of the image that can be formed by those of the sport had much stronger transfer in congruent context advertising. Meanwhile, the images that have social attributes showed a positive image transfer pattern incongruent context advertising. Fourthly, it was found that advertising with celebrity athletes positively affects the consumers’ attitudes towards an advertised brand and [increases their] purchase intentions. Finally, congruent context advertising turned out to be much more effective in changing consumers’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an incongruent context advertising. From these test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a celebrity athlete endorsement in advertising is effective in enhancing a brand imag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Moreover, it was foun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advertising is much stronger when the celebrity athlete appears in congruent context advertising even though social images could successfully be transferred in incongruent context advertising as well. Therefore, advertisers should consider the best way to advertise their brands with celebrity athletes. 이미지 전쟁 속에서 기업들은 기업 및 브랜드의 이미지를 광고를 통해 소비자의 마음속에 강력하게 포지션함으로써 이미지의 경쟁 우위를 달성하고자 한다. 이미지 전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이미지 형성의 주요 도구가 되는 광고가 얼마나 효과적으로 기업 및 브랜드의 이미지를 창조·강화·변화 시킬 수 있느냐에 달려있다. 따라서 이미 많은 기업들이 주의 집중도가 높고 긍정적인 이미지로 소비자에게 설득력이 강한 유명인을 광고 모델로 기용한다. 다양한 부류의 유명인들 중에서도 최근에는 스포츠 선수의 광고 모델 기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스포츠 선수가 광고 모델로 각광 받는 이유는 광고에 대한 주의집중도 뿐 아니라, 스포츠스타로서의 전문성과 함께 소비자들의 마음속에 구축되어 있는 우상으로서의 이미지를 지니고 있어 매우 매력적인 이미지 조정자이다. 스포츠스타의 이미지 조정자로서의 역할은 의미전이이론을 바탕으로 스포츠스타가 지니고 있는 이미지가 광고 제품 및 브랜드 또는 기업에게 전이될 수 있다는 점에 기반을 둔다. 결국 스포츠스타가 광고 모델로 출연할 경우 스포츠스타의 이미지가 광고 브랜드의 이미지로 옮겨 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광고주나 광고 제작자의 입장에서는 광고를 통해 브랜드 이미지를 어떻게 보다 효과적으로 소비자에게 귀착시킬 수 있을 것인가가 주요 관심사인데, 이에 대한 해답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는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스타의 이미지가 광고 브랜드 이미지로 어떻게 전이되는지 분석함과 동시에, 어떠한 광고 맥락에서 이미지 전이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 분석함으로써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총 4개 실험 집단에 대한 실험 설계를 통한 연구 수행 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스포츠스타를 모델로 활용한 광고를 통해 광고 브랜드의 브랜드 이미지는 긍정적으로 변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스타의 이미지는 스포츠스타 모델 광고를 통해 브랜드 이미지로 전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미지 전이는 스포츠스타의 활동 영역과 일치하는 배경의 광고 즉 맥락일치 광고에서 맥락불일치 광고에서보다 더 강하게 전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속성 별 이미지 전이 패턴은 전반적으로 맥락일치 광고에서 스포츠스타 이미지가 브랜드 이미지로 강하게 전이되었고, 특히 스포츠스타의 활동 영역으로 스포츠 자체의 속성으로 인해 형성될 수 있는 이미지 속성들이 맥락일치 광고에서 매우 강하게 전이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적 이미지 속성들의 경우 맥락불일치 광고에서도 긍정적인 이미지 전이 패턴을 나타내었다. 넷째, 스포츠스타 광고에 의해 광고 브랜드에 대한 브랜드 태도와 구매 의도는 긍정적으로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광고 맥락에 따라 브랜드 태도와 구매 의도의 변화는 맥락일치 광고가 맥락불일치 광고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주요 결과들은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태도, 그리고 구매 의도의 향상을 위해 스포츠스타의 광고 모델 기용이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특히 광고 맥락에 따라 분석된 결과는 맥락일치 광고에서 이미지 전이와 브랜드 태도, 그리고 구매 의도 향상이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스포츠스타 모델을 활용한 광고 제작에서 광고 맥락의 효과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다만 맥락불일치 광고에서도 사회적 이미지 속성들은 효과적으로 전이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줌으로써 각 브랜드의 특성 혹은 브랜드가 추구하고자하는 이미지에 따라서 선택적 고려도 필요할 것이다.

      • 꿈을 위한 축구

        권순섭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319

        우리나라 아이들에게는 평범하고 단순한 놀이이자 건강을 위해 하는 축구가 전부인 아이들이 있다. 그 아이들에게 축구는 놀이이자 본인들의 꿈을 실현할 수 있는 아주 중요한 매개체이다. 그 아이들의 꿈을 실현시키기 위한 중심에 대한민국의 임흥세 감독이 있다. 임흥세 감독은 홍명보(U-20 국가대표 감독)와 김주성(대한축구협회 국제국 국장)의 축구 스승이다. 그는 5년 전 우리나라에서 비행기로 18시간 거리에 있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이하 남아공)으로 건너가 여러 가지의 힘든 여정을 거쳐 지금은 남아공의 행정수도인 프레토리아 인근의 빈민가 아이들을 대상으로 축구팀을 만들어 축구로 선교를 하고 있다. 이번 논문의 주제는 축구로 선교를 하고 있는 임흥세 감독의 꿈과 축구로 성공을 하는 것이 삶의 목표인 남아공 아이들의 꿈을 표현해 본 것이다. 아이들이 축구연습을 하는 각종 사진에서 우리와는 다른 모습과 축구에 대한 열정을 볼 수 있으며 임흥세 감독의 모습에서는 아이들에게 축구의 정확한 기본기와 각종 기술을 전달하는 모습들을 보았다. 이렇게 서로가 노력할 때 언젠가는 그와 그 아이들이 원하는 꿈이 반드시 이루어 지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 스포츠 선수 재단의 사회공헌활동이 선수이미지, 사회적 연결감, 기대감정에 미치는 영향

        김형근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318

        본 연구는 서울·경기지역의 일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스포츠 선수 재단의 사회공헌활동이 선수이미지, 사회적 연결감, 기대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향후 스포츠 선수재단이 좀 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시스템으로 사회공헌활동에 참여함으로써 그들의 이미지를 향상시키고 대중들과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대중들로부터 긍정적 감정을 쌓을 수 있는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스포츠 선수 재단을 홍명보 재단으로 선정하였으며 서울, 경기지역의 일반 성인남녀를 모집단으로 하여, 비확률표본추출방법 중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총 4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총 391부를 유효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방법은 PASW 1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스포츠 선수 재단의 사회공헌활동과 선수이미지(신뢰성)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공익사업활동, 자원봉사활동 요인은 선수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 선수 재단의 사회공헌활동과 선수이미지(매력성)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공익사업활동, 자원봉사활동 요인은 선수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 선수 재단의 사회공헌활동과 선수이미지(전문성)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원봉사활동, 공익사업활동 요인은 선수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포츠 선수 재단의 사회공헌활동과 사회적 연결감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원봉사활동, 공익사업활동, 기부협찬활동 요인은 선수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스포츠 선수 재단의 사회공헌활동과 기대감정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공익사업활동, 자원봉사활동, 기부협찬활동 요인은 선수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축구 국가대표 감독의 사회연결망과 성과와의 관계

        전상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317

        본 연구의 목적은 1990년도부터 올림픽에 출전한 한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의 사회연결망과 성과와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자료는 올림픽 축구 대표 감독들의 특성(선수경력, 지도자경력)과 사회연결망(고등학교, 대학교, 프로, 국가대표 지도자 및 선수명단)을 조사하였다. 성과는 감독들의 국가대표 지도자시절 국제대회(월드컵, 올림픽, 아시안게임, 아시안컵, FIFA-U20, FIFA-U17) 출전 경기 성과를 백분율(%)로 환산하였다. 자료 분석은 사회연결망 프로그램인 UCINET6과 NetDraw을 사용하였고, 상관관계 분석을 위해 SPSS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감독들의 사회연결망은 성과와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네트워크의 크기가 벤처기업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한 박우성과 박재용(2005)의 연구와 피겨스케이팅 지도자의 사회연결망을 분석하여 중앙성이 높은 지도자가 영향력 있는 지도자라는 것을 밝혀낸 이한주 등(2015)의 연구를 통해 일부 감독들의 연결망과 성과와의 관계가 나타난 것을 지지해주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인 5명의 감독들 중에 홍명보 감독과 허정무 감독이 규모가 크고 다양한 연결망을 가졌으며, 아이겐벡터 중앙성 값이 가장 높았다. 그리고 각각 60%와 40%의 승률로, 감독들 중에 경기 성과가 1, 2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올림픽 축구 대표 감독들의 관계는 학연, 지연관계로써, 선수-선수, 지도자-지도자, 지도자-선수, 선수-지도자의 관계로 나타났다. 특이한 점은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부터 2012 런던 올림픽까지 5명의 감독들 중에 3명이 연세대 출신이었으며, 2명이 고려대 출신이었다. 더불어 올림픽별 지도자들 총 17명 중에 11명이 연세대와 고려대 출신으로 확인되었다. 선수들도 연세대, 고려대 출신이 많았지만 시대가 흐를수록 점점 출신학교가 다양해지는 현상을 보였으며, 대신 지연관계가 늘어나는 현상을 나타냈다. 이는 감독이 코치 및 선수들을 선발함에 있어서 학연관계에 치우치기보다는 사람들과의 만남을 통한 관계 속에서 직접 경험해보고 느낀 것을 토대로, 연결망 속에 신뢰관계를 갖고 있는 사람들을 자신의 팀 구성원으로 선택한다는 것을 설명한다. 즉, 사회관계는 팀 구성의 토대가 되고, 이러한 사회연결망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스포츠 분야에서도 다양한 측면에서의 연결망을 조사 및 분석하여 성과와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올림픽 축구 대표 감독들의 사회연결망과 성과와의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연결망의 일부 중앙성 값이 감독들의 경기 성과와 관계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사회연결망과 성과와의 관계가 분명히 나타나게 하기 위한 다양한 측면에서의 사회연결망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팀은 지도자와 선수로만 구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다. 국가대표 지도자 및 선수들의 최종 선발을 결정하고, 팀을 지원해주는 협회 관계자부터 선수들이 최고의 경기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관리해주는 여러 스태프들, 상대팀과 본인 팀의 경기를 분석하여 팀의 경기력을 향상시키는 분석가 등 팀의 좋은 경기 성과를 위해 구성되어 있는 구성원들을 아우르는 사회연결망을 조사하여 후속연구를 진행한다면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ssociations between the social networks and performance outcomes of Korea national soccer team coaches that have participated in the Olympics since 1990. The study surveyed Korea Olympic soccer team coaches’ qualities(career as a soccer player, career as a coach) and social networks(high schools, universities, professional coaches and player rosters). Coaches' performance outcomes of international games(the World Cups, the Olympics, Asian games, Asian Cups, FIFA-U20, and FIFA-U17) participated in when they were national representative coaches were converted into a percentage. The data was analyzed with UCINET6 and NetDraw, and SPSS statistics program for correlat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coaches’ social networks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performance outcomes. However, Woo-Sung Park & Jae-Young Park(2005)' study that reported that the size of social network influenced business performances in venture companies, and Han Joo Lee et al(2015)’ study that analyzed figure skating coaches’ social networks and reported coaches who had high centrality were powerful leaders supported that some of coaches’ social networks was related to performance outcomes. This study found that Hong Myung-Bo and Huh Jung-Moo had the biggest and various social networks, and the highest centralities in Eigenvector centrality more over they had 60% and 40% winning rates and was the number 1, 2 in performance outcomes out of 5 coaches. In addition, the associations of Korea Olympic soccer team coaches were the relationship of player-player, coach-coach, coach-player, and player-coach as regionalism, school relations. It is worth noting that 3 coaches were from Yonsei university and 2 coaches were from Korean university out of 5 coaches from the Olympic Games in Barcelona in 1992 to London Olympics in 2012. Futhermore, 11 coaches were from Yonsei and Korean university out of 17 coaches in the Olympic Games. Many players went to Yonsei and Korean university first, but as the time goes by, players were graduated from different universities In contrast, regionalism has increased. It is found that coaches selected their own team members that had a trust relationship in their social networks, which they experienced and felt in person through meeting people not their school relations. The social relationship is based on the organization of a team. The importance of a social network is needed to be realized. The studies are needed to be don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performance outcomes by examining and analyzing the social network with various aspects in the fields of sports. This study did not present associations between social networks and performance outcomes of Korea Olympic soccer team coaches, but some centralities of the social networks were related to coaches’ performance outcomes. Therefore, the studies of social networks are needed to be investigated in different aspects to make associations between social networks and performance outcomes appeared clearly. Particularly, a team does not only consist of a coach and players. It is considered that a further study can be meaningful if a study examines social networks embracing team members that comprised for good performance outcomes such as soccer association officials that finally determine to select national representative coaches and players and support teams, staffs that manage to make players performance the best, and analysts that improve the team' performance outcomes by analyzing between their teams and an opposing teams.

      • 국내 스포츠선수 자선재단의 사회공헌활동, 스폰서기업이미지, 선수이미지, 소비자태도, 구매의도 간의 인과관계 모형

        구본수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박사

        RANK : 24731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philanthropic activities of domestic athlete's charitable foundation, image of corporate sponsor, athlete's image,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our charitable foundations out of local charitable foundations established by domestic athletes were selected as targets. The data collected from four charitable foundations was analyzed by one-way ANOVA in order to verify any differences and relationships among the philanthropic activities, image of corporate sponsor, athlete's image,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each foundation and the data was also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ng model to find out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The results that were found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s in the philanthropic activities, four charitable foundations established by domestic athlete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public interest and non-commerciality factor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s in the image of corporate sponsor, four charitable foundations established by domestic athletes showed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terms of corporate behavior and social contribution factor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s in the athlete's images, four charitable foundations established by domestic athlet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rustworthiness, attractiveness and expertness factor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s in the consumer's attitude, four charitable foundations established by domestic athletes showed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cognitive, affective and conative factors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s in the purchase intention, four charitable foundations established by domestic athlet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urchase intention factor. Sixth, the philanthropic activities by charitable foundations of domestic athletes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meaningful and to have a direct influence on image of corporate sponsor. Furthermore, those philanthropic activities had an indirect influence on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rough image of corporate sponsor. Seventh, the philanthropic activities by charitable foundations of domestic athlet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meaningful and to have a direct influence on athlete's image. In addition, those philanthropic activities had an indirect effect on image of corporate sponsor,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rough athlete's image. Eighth, the athlete's imag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mage of corporate sponsor and also showed a direct effect on image of corporate sponsor. In addition, the athlete's image showed an indirect effect on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rough image of corporate sponsor. Ninth, the image of corporate sponsor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meaningful and to have a direct influence on consumer's attitude. In addition, the image of corporate sponsor had an indirec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through consumer's attitude. Tenth, it was found that the athlete's image didn't have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nsumer's attitude. Bu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rect effect and a total effect on consumer's attitude through image of corporate sponsor. Eleventh, Consumer's attitude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meaningful and to have a direct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To summarize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complementary effect between charitable foundations established by athletes and their sponsored companies. The athletes who established a charitable foundation needs support from a reputable company in order to expand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nd manage their positive image. As public demand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has been growing recently, corporations can create positive images for themselves by supporting charitable foundations operated by moral athletes. This can lead to more tangible and intangible sa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show that it needs to make the contents of public businesses of charitable foundations public especially for people who simply think that charitable foundations are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tax evasion.

      • 철인(鐵人)교실 운영 기반 발달장애인의 스포츠 활동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송금열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316

        본 연구는 생활시설 내 제한 된 공간에서 무료하게 생활하던 발달장애인의 신체활동과 여가선용을 지원하기 위해 연구자가 직접 기획하고 출범시킨 사회통합적 스포츠 활동 중심의 철인교실프로그램을 실천현장의 수범적 사례로 제시하고자 의도한 연구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철인교실 역사 15년에 담긴 주요 활동사례의 실천과정을 재구성해보고 둘째, 이러한 과정 안에서 참여자가 철인교실을 통해 무엇을 경험할 수 있었는지, 이러한 경험이 참여자들 삶의 여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철인교실의 효과성 검증과, 셋째, 참여자들의 수용적 경험과 변화모습을 통해 철인교실이 담고 있는 평생 교육적 가치는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하였다. 연구자는 생활시설 내 발달장애인이 철인교실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마라톤을 매개로 세상과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기획하고 진행했던 직접적인 참여자로, 지난 2003년부터 15년이 지난 현재까지 철인교실이라는 스포츠 활동 중심의 철인 지향적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참여 발달장애인들과 함께 달리고 호흡하며 지근거리에서 그들의 숨결을 느끼면서 지켜본 관찰자이기도 하다. 자전적 글쓰기인 자문화기술지는 연구자의 개인적 경험에서 출발하여 본인과 타인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논리적 접근을 통해 자신에 대한 탐구는 물론 타인과 공유된 삶 속에 내재한 사회, 문화적 이해를 도모할 수 있기에(홍명보, 2016) 연구자 자신의 경험을 자문화기술지로 기술하여 철인교실 15년의 역사를 재조명해보았다. 본 연구의 한 축을 이루게 되는 연구 참여자는 A, B, C 그룹으로 하여, A 그룹은 철인교실 프로그램에 직접 참여하고 있는 발달장애인 당사자를, 정보제공자 격인 B 그룹은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A 그룹 참여자들을 지켜보면서 교사로 때로는 부모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는 생활시설직원을, C 그룹은 봉사자그룹으로 연구자와 함께 오랫동안 일상훈련과 국토대장정을 함께하며 철인교실의 동반자역할을 해온 지역사회 철인클럽과 마라톤 클럽의 동호회원 등으로 구성하였다. 자문화기술지는 연구자의 개인적인 기억자료(memory data)와 자기성찰(self-reflection)로 대표되는 개인내부 자료를 강조한다는 측면에서 연구자료 수집은 기억자료, 자기성찰 자료, 참여관찰 외에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선정한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을 통한 인터뷰자료, 철인교실 활동관련 사업계획서 및 프로그램일지, 각종 신문 및 방송보도자료, 활동내용을 담은 상세하게 CD제작물, 봉사활동에 참여하였던 철인 및 마라톤동호인들이 관련 사이트나 블로그에 올린 글 이외에도 연구자가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틈틈이 기록해 두었던 기록물 등 10년 넘게 축적되었던 다양한 자료들을 함께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류태호(2004)의 ‘귀납적범주분석(inductive categorical system)’ 방법을 참고하여 기술, 분석, 해석을 나선형적으로 수행하고, 자료의 타당도와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연구 참여자간 검토, 전문가회의, 삼각검증법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첫째, 철인교실 역사 15년은 발달장애로 인한 한계를 뛰어 넘을 수 있는 다양한 훈련과정의 적합화 시도를 통해 철인교실에 참여한 이들에게 삶의 주체임을 자각할 수 있게 더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는, 세상을 배움과 학습이 공존하는 커다란 교실로 인식할 수 있게 한 평생교육적 가치를 담아낸 실천기회의 장이었다. 둘째, 철인교실은 참여자 모두에게 크고 작은 변화의 과정이며 기회였다. 철인교실 참여 당사자인 발달장애인에게는 신체적, 정서적인 변화뿐만 아니라 운동을 통한 즐거움을 알게 하였으며, 이들이 삶의 주체로서 당당히 존재하기 위한 자립역량강화 기회의 장이였다. 또한 그들이 속한 시설에는 이용자중심의 환경으로 변화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연구자를 포함하여 함께했던 교사들과 봉사자들에게는 자신과 타인을 돌아볼 수 있는 자기성찰의 기회이기도 하였다. 셋째, 철인교실은 주류사회로부터 저평가 받는 발달장애인이 지역사회 안에서 삶의 주체로 인정받고 소통과 교감을 이루어 낼 수 있게 한 사회통합의 기회였다. 즉 철인교실 15년의 역사가 담아낸 의미는 철인교실에 참여한 이들이 건강하고 행복한 삶의 주체로 성장하기 위한 평생교육적 가치를 실현해 낸 실천기회의 장이었다. 스포츠는 우리의 삶을 건강하고 행복하게 만드는 것에 그 효과성이 매우 뛰어나기에 정부에서도 정책적으로 평생교육 범주 안에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장애인의 스포츠 접근환경은 매우 취약하다. 따라서 취약한 장애인스포츠 접근환경의 개선을 위해서는 철인교실과 같은 사회통합적 프로그램의 평생교육적 접근개입이 절실하다고 본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재조명해본 철인교실의 실천과정을 실천현장의 수범적 사례의 하나로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ronman class operation centering on social integrating sports activities planned and launched by an author to support physical activities and good use of spare time as exemplary case in a field . In order to achieve above mentioned purpose, the author of this study reorganized a practice process of main activity cases in fifteen history of ironman class and verified effectiveness of ironman class on life of participants and what experience they gained through ironman class and examined value of ironman class in terms of lifelong education by observing participants’ experience and change. The author of this study planned and provided various opportunities through which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in living institution can communicate with others by means of marathon through ironman class program. The author of this study have observed people with developmental while operating ironman oriented and sports activity driven program called ironman class for fifteen years since 2003. The author of this study shed new light on history of ironman class by describing experience in a form of autoethnography. According to a study conducted by Hong Myeongbo (2016), autoethnography enables a person to understand life in terms of society and culture by approaching interaction with others logically starting from personal experienc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classified into A, B, C groups. Group A consisted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participating in ironman class program. Group B consisted of staff of living institution who played a role as teacher and parents for people who belong to group A observing them. Group C consisted of members of ironman clubs and marathon clubs who played a role as companions in ironman class. Autoethnography considers personal data such as memory data and self-reflection important. The author of this study used various data which were accumulated for over ten years including interview data, memory data, self reflection data, project plan for ironman class activities, program sheet, press release, CD production containing details of activities and record. Data were analyzed by referring to ‘inductive categorical system’ developed by Ryu Taeho(2004).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were carried out in a spiral way. Examination among participants, expert meeting and triangulation were conducted to secure validity and veracity of data. Follow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fteen years of ironman class served as a place through which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can experience wider world and recognize the world as great classroom that learning and study coexist through optimization of various training which allows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to overcome such disability. Second, ironman class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all participants to make a difference. Ironman class allowed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to realize pleasure of exercise and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nges and improve their ability to live independently. Ironman class provided teachers, volunteers as well as the author of this study with an opportunity for introspection. Third, ironman class served as an opportunity of social integration through which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who are alienated from mainstream society can communicate with members of local community and can be recognized as the subject of life. In other words, ironman class played a role of providi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with an opportunity to grow as the subject of life and to lead a healthy and happy life. Korean government included sports in a category of lifelong education as it is aware that sports is very effective in helping people to lead a heathy and happy life. However, actually environment for people with disability to access sports is very limited. Therefore, intervention of social integration program such as ironman class is desperately needed to improve above mentioned poor environment. For this,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a practice process of ironman class as one of cases of practice.

      • 중학생의 축구활동 참여 실태에 관한 연구 : 충청남도 예산군 중학생을 중심으로

        이은상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315

        국문초록 중학생의 축구활동 참여 실태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과 체육교육전공 이은상 이 논문은 충청남도 예산군 관내 중학생들의 2002 한·일 월드컵 대회와 중학교 학생들의 축구활동 참여 실태를 규명하기 위하여 관내 중학교 8개교 624명을 대상으로 인구 사회학적 통계방법에 따라 연구하였다. 각각의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중학생들의 축구활동 참여 유형별 참여 정도는행동적 참여가 가장 높았고 정의적 참여, 인지적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요인에서 남자는 행동적 참여, 여자는 정의적 참여가 높았으며, 학교 형태별 요인에서는 남자 중학교가 여자중학교나 남녀공학 중학교보다, 지역별 요인에서는 읍내지역, 농촌, 면소재지 지역의 순으로 축구활동 참여 정도가 높았다. 축구활동 행동적 참여 실태는 신체건강유지와, 정서안정의 추구, 사회성함양의 이유로 참여하고 있으며, 축구활동 에로의 사회화의 측면에서는 대중매체, 친구, 형제, 부모, 유명선수, 선생님 등의 순서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행동적 참여를 함께 하는 대상은 친구집단, 동아리 집단, 가족, 기타의 순이며, 축구활동에 참여하는 시간은 30분 이상 1시간 미만의 활동시간이, 활동 빈도는주당 2∼3회, 활동 장소로는 학교 운동장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축구 활동에 대한 인지적 참여 실태는 축구관련 정보의 검색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중계방송 시청을 통해서 축구의 규칙에 관해 배우고 있고, 축구의 역사에 관한 인지 정도는 매우 기초적인 선에서 인식되고 있음을 파악할수 있다. 축구활동의 정의적 참여 실태는 직접 관람한 학생은 매우 적은 소수에 불과했으며, 좋아하는 팀은 국가대표팀을 가장 좋아하고 있으며 청소년 대표팀 역시 호감을 가지고 있고 축구부가 있는 학교에서는 본교 팀을 좋아한다는 학생도 있었다. 황선홍 선수를 가장 좋아하고, 홍명보, 이천수, 고종수, 설기현, 안정환, 이운재, 호나우도, 지단, 베컴, 피구, 등을 좋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2FIFA WORLD CUP 축구 대회 응원 및 관람 실태는 길거리 응원에 약90%의 학생이 최소 1회 이상 참여하였으며, 텔레비전을 통한 중계방송 시청 실태는 5∼15경기를 시청한 학생이 95%이상으로 나타났다. 2002 월드컵 축구대회 이후에 중학생들의 축구활동 참여실태는 직접 참여활동이 증가했다고 응답한 학생이 약94%의 절대적인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간접 참여활동의 실태도 직접 참여의 결과와 비슷한 통계를 보이고 있다. 이상의 결론을 정리해보면 충청남도 예산군 관내 중학생들의 축구활동의 참여 실태는 행동적 참여가 가장 많으며, 남 여학생을 불문하고 2002월드컵 축구 대회에 관한 관심이 높았으며 월드컵 대회 이후에는 축구활동의 직접참여와 축구에 관한 정의적 참여 또한 증가하였다. ABSTRACT A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for Soccer Activities Lee en-sang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Kong-ju National University This study is to examine 2002 Korea-Japan World Cup Games and the actual condi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soccer activities in Yesan county and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responses from 624 students of 8 middle schools in Yesan county by statistical method of population sociology. The result of each factor shows that as for the rate of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participation in soccer activit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behavioral participation was highest, affective and cognitive one took up next places in order. As for gender factor behavioral participation for boy students and affective participation for girl students were highest. More students of Boys' school participated than those of Girls' school and co-education. The rate of participation according to geographical factor was town, township and other area in order. As for the actual condition of behavioral participation in soccer activities the reason for the participation was maintenance of health, pursuit for emotional stability and promotion of sociality. In the aspect of socialization toward soccer activities students were influenced by mass media, friends, siblings, parents, famous players and teachers in the order of frequency. The playmate was friends, club, family and the others in the order of frequency. Students who spent from half an hour to less than one hour took up the highest place in the rate. Two or three times a week occupied the first place in the rate and school playground was most used. The actual condition of cognitive participation in soccer activities shows that while students had just the basic knowledge about the history of soccer, internet surfing for soccer related information and learning soccer rules by watching TV were actively performed. The actual condition of affective participation in soccer activities shows that only small number of students watched the game in person, favorite soccer team was the Korea National team, students have interest in Youth National team and some students who had a team in their school liked their school's. Hwangsunhong was the favorite soccer player and the players students liked were Hongmyeongbo, Leecheonsu, Gojongsu, Seolgihyeon, Anjeonghwan, Leeunjae, Ronaldo, Zidane, Beckham, Figo, etc. As for the cheering and viewing of 2002 FIFA WORLD CUP Games 90% of students took part in the street support at least once, 95% of students watched 5 to 15 games on TV. 94% of Students said that their direct participation increased after 2002 World Cup Games. And the result shows that indirect participation increased as once as the direct participation. To summarize the results the actual condition of participation in the soccer activities in Yesan County in Chungcheongnamdo shows that behavioral participation took up the first place, Both boy and girl students had increased interest in 2002 World Cup Soccer Games and direct and affective participation in soccer activities increased after 2002 World Cup Ga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