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내현적 자기애와 SNS상에서의 자기노출 관계에서 자기감시성의 매개효과

        한혜연 고려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많은 현대인들은 SNS(Social Network Service)환경 속에서 안정감을 느끼고, 그 안에서 페친, 팔로워, 인친으로 대표되는 특수화된 관계를 맺고, SNS상의 자기노출을 하나의 일상처럼 여기며 살아가고 있다. 살면서 감정이나 가치관을 나누고 싶어 하는 욕구와 그것이 사회적으로 적절하고 안전한지에 대한 불확실성은 끊임없이 충돌하는데, SNS는 현대인의 그런 불안을 해소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면서 크게 활성화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그런 SNS라는 특수한 사회 플랫폼에 적응하고, 가치를 공유하는 사람들의 성격적 특성 중 내현적 자기애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자기감시성이 그 관계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연구하면서, 그것을 통해 타인과 사회 현상을 이해하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SNS를 사용하는 555명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SNS상의 자기노출, 자기감시성 척도를 사용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내현적 자기애, 자기감시성, SNS상에서의 자기노출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내현적 자기애와 자기감시성은 성별에 따른 평균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반면 SNS상에서의 자기노출 점수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SNS상에서의 자기노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혼인상태에 따라 내현적 자기애, 자기감시성, SNS상에서의 자기노출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미혼인 경우가 기혼이거나 이혼한 경우보다 내현적 자기애성향이 강하며, 미혼인 경우가 기혼, 이혼, 사별한 경우보다 자기감시성이 더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 자기감시성, SNS상에서의 자기노출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내현적 자기애와 SNS상에서의 자기노출의 관계에서 자기감시성이 부분매개 한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내현적 자기애가 높아질수록 자기감시성은 많아지며 이에 따라 SNS상에서의 자기노출은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동시에 내현적 자기애는 SNS상에서의 자기노출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내현적 자기애와 SNS상에서의 자기노출관계에서 자기감시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낮은 경우에는 자기감시성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가 SNS상에서의 자기노출도 많았으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높을 경우에는 SNS상에서의 자기노출 차이가 현격히 줄었다. 이를 볼 때, 자기감시성이 SNS상에서의 자기노출에 미치는 영향력은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높은 경우 보다 낮은 경우에 더욱 강하게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내현적 자기애가 SNS상의 자기노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기감시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보여주며, 성별과 혼인상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시켜 주었다. 내현적 자기애와 SNS사용에 대해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지만 그 속에서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내현적 자기애 성격과 SNS사용 간의 관계를 강박적이거나 병리적으로 보는 관점에서 SNS라는 플랫폼의 기능과 상호보완 되어 현대사회를 적응하는 데에 적합한 성격특성이라는 관점으로 확장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가 내현적 자기애와 자기감시성의 성격특성을 이해하고, SNS상의 자기노출이라는 사회현상을 재탐색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SNS(Social Networking Service)에서 광고회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손려 동국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focused on the predictors of advertising avoidance in SNS. The predictors variables in this study were advertising-related variables(attitude toward advertising, advertising entertainment, advertising informativeness, advertising reliance, advertising intrusiveness) and medium-related variables(media usage time, media usage motive,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dvertising intrusiveness was the strongest advertising-related variable of advertising avoidance in SNS. That is, people who view SNS ads as informative, interesting, and less intrusive were not likely to avoid advertising. Second,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was the strongest medium-related variable of advertising avoidance in SNS. That is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increased the advertising avoidance in SNS.

      • 성인용 SNS 정서표현성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수연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만 19세~59세의 성인을 대상으로 SNS에서 드러나는 정서의 표현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성인용 SNS 정서표현성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연구에 기반하여 본 연구에서의 SNS 정서표현성은 네 가지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예비 연구는 SNS 정서표현성의 요인을 검토하고 예비 문항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이론적 접근 및 경험적 접근을 통하여 SNS 정서표현성의 구성개념을 정의하고 93개의 예비 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문항에 대한 내용 타당도와 안면 타당도의 검증 과정을 통하여 46개의 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예비문항을 바탕으로 성인 19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문항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EFA),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의 분석 과정을 통하여 32개의 문항과 4개의 요인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 299명을 대상으로 32문항을 실시하여 문항분석, 탐색적 요인분석(EFA) 및 확인적 요인분석(CFA), 그리고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인의 SNS 정서표현성 척도는 SNS 긍정 정서표현(4문항), SNS 부정 정서표현(4문항), SNS 친밀감 추구(4문항), SNS 인상관리(4문항)으로 총 16개의 문항과 4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수렴타당도의 검증 결과, 성인용 최종 SNS 정서표현성 척도는 정서표현성 척도(EES)와 대학생용 SNS 정서표현성 척도에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성인용 SNS 정서표현성 척도의 수렴타당도는 검증되었으나, 변별타당도는 검증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NS Emotional Expressivity Scale that measures the degree of emotional expression revealed on SNS of adults aged 19 to 59. Based on previous studies, SNS emotional expressivity consisted of 4 factor structures - SNS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SN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SNS impression management, SNS relationship management. A preliminary study aimed to examine the factors of SNS emotional expressivity and develop preliminary item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constructs of SNS emotional expressivity were defined based on theoretical and empirical approaches and 93 items were developed. 46 items were selected after two content validity and one face validity. The selected items were tested on samples of 199 and the sample data were analyzed through item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EFA(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rough analysis processes, 4 factors with 32 items were identified. In the main study, 32 items were administered by 299 adults for item analysis, EFA, CFA(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s a result, SNS Emotional Expressivity Scale for adults was developed into 16 items and 4 factors which were SNS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SN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SNS intimacy seeking, SNS impression management. And, this study checked the convergence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As a result of validating the convergence validity, the final SNS Emotional Expressivity for adults seemed to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Expressiveness Scale and SNS Emotional Expressivity for College students. The convergence validity of the final scale was verified, but the discriminant validity was not verified.

      • SNS상의 정치정보 노출과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페이스북을 통한 정파적 뉴스 노출과 SNS 중첩이용의 효과

        임정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SNS 이용과정에서 정치뉴스에 노출되었을 때, 이용자의 정치적 성향과 정치뉴스의 정파성 간 일치․불일치 여부와 스트레스 수준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더불어 그 관계의 메커니즘을 ‘선호’와 ‘반감’의 경향으로 구분하여 살펴봄으로써 어떠한 맥락에서 스트레스가 증감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SNS상의 정치 커뮤니케이션은 개인의 정치․사회참여를 증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주목을 받아왔다. 그러나 기존연구들은 SNS상의 의견분화나 갈등적 환경의 구조가 이용자의 스트레스를 유발할 가능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였다. 정치 커뮤니케이션에서 발생 가능한 스트레스는 ‘일상적 스트레스’의 관점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개인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지나친 스트레스는 건강한 소통을 저해하고 갈등상황을 심화시킬 수도 있다. 인지부조화 이론에 근거하여 SNS상에서 접촉하는 정치뉴스와 스트레스 간의 관계에 주목하였으며, 이용자의 정치적 성향과 정치뉴스의 정파성 간 일치․불일치 여부를 바탕으로 선호와 반감의 메커니즘을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다양한 유형의 SNS들이 등장하고 여러 SNS 플랫폼을 중첩적으로 이용하는 패턴을 함께 고려하여 중첩이용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에 따른 정치정보 노출과 스트레스 간의 관계 변화를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SNS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현장 실험을 실시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가장 대중적 SNS인 페이스북을 이용자들을 피험자로 모집한 뒤 각각 ‘보수 언론사 위주’, ‘진보 언론사 위주’, ‘보수와 진보 언론사가 혼합된’ 뉴스를 제공하는 집단에 무작위 배정하였다. 페이스북 페이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각 집단에 해당하는 자극물을 5일간 제공하였으며, 이후 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피험자의 정치적 성향과 정치뉴스의 정파성 간 일치․불일치 여부에 따른 스트레스 수준의 유의한 차이는 확인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페이스북 평균 이용량과 실험조건 간의 상호작용 관계를 살펴본 결과, 보수 페이지(즉, 정파성이 불일치되는 페이지)에 배정된 진보응답자는 페이스북 이용량이 증가할수록 스트레스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진보응답자를 대상으로 SNS 이용량에 따른 하위집단별 비교분석을 한 결과, 페이스북을 하루평균 1시간 이상 이용하는 경우 혼합 페이지에 배정된 이용자들보다 보수 페이지에 배정된 이용자의 스트레스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높았다. 이는 이용자의 정치성향과 상반된 정치뉴스에 노출될 때, 인지부조화가 발생함으로써 스트레스가 증가하였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또한, 평소 이용량이 많아 실험 기간 중 충분히 자극물에 노출되어 뚜렷한 관계가 나타났을 가능성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보수 및 중도 응답자는 유의한 관계가 확인되지 않았다. 잠재적 집단 분석 결과 개방성을 기준으로 ‘개방형 SNS 위주’, ‘폐쇄형 SNS 위주’, ‘포괄적’ 이용자로 유형화되었다. SNS 중첩 유형과 실험조건 간의 상호작용 관계를 확인하자 보수 페이지에 배정된 진보응답자는 포괄적 이용자 유형일 때 스트레스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진보응답자를 대상으로 중첩이용 유형에 따른 하위집단별 비교분석을 한 결과, 포괄적 이용자 유형의 경우 혼합 페이지에 배정된 이용자보다 보수 페이지에 배정된 이용자의 스트레스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다양한 특성을 가진 SNS를 함께 이용하여 인지부조화 혹은 인상관리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여기에 정파성이 불일치로 인한 인지부조화가 더해졌을 가능성이 있다. 혹은 포괄적 이용자들의 평균 페이스북 이용량이 많아 실험 기간 중 충분히 자극에 노출되어 뚜렷한 관계가 나타났을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SNS 중첩이용과 실험조건 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해석은 다양한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앞선 분석결과와 마찬가지로 보수 및 중도 응답자는 유의한 관계가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SNS상에서 정치뉴스에 노출되었을 때 ‘반감’의 경향을 통해 스트레스가 유발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점, 방법론적으로 온라인 현장 실험을 통해 인위성 문제를 감소하고 높은 외적 타당도를 확보하려는 시도에 의의가 있다. 또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반감의 경향이 SNS 연결망의 동류선호의 맥락과 결합하였을 때 정치적․사회적 양극화로 심화될 위험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SNS상의 정치뉴스 노출에 의한 스트레스 발생 경향을 줄여나가기 위해서는, 올바른 뉴스소비를 위한 뉴스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SNS 콘텐츠를 통한 자전적 캐릭터의 브랜딩화 : SNS 콘텐츠 <토북이>를 중심으로

        이승연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thesis is a study to show the inner self through SNS contents and define it as a multi-persona by expressing it as a character. The research paper was divided into 4 chapters to study the SNS content works of autobiographical characters. In the introduction of Chapter 1, the SNS platform was defined as a means of showing the unexpressed self and desires, and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Chapter 2, SNS content creation is defined as a play that is an expression of inner self. The relationship with the creator was arranged by analyzing the character who is the narrator in the contents produced by such play. In other words, the researcher organized the characters born from the creator's inner standard as multi-personas. Afterwards, by arranging past and present persona contents as examples, SNS contents proved to be a way of expressing one's small characteristics, inner self, and the self that one wants to show, unlike the appearance of society. After that, the character contents that are currently posted in various ways were organized and a new type, Short Form Contents, was defined as contents that establish a relationship between users that change quickly. In Chapter 3, the research work <Tobugii> character was produced in earnest. Through <Tobugii>, a narrator and multi-persona (autobiographical character) that describes experiences and desires as a graphic influencer created by the researcher, communication with viewers was conducted using the functions of the SNS platform. Chapter 4 confirmed the claim that autobiographical characters seen in SNS contents, which have become games that easily express the inner self through research works, are produced for the satisfaction of creators. The researcher set the work goal of character content to be continued through the creation and publication of SNS content through autobiographical characters. After writing this thesis, I want to brand an autobiographical character by additionally producing and posting SNS character content. 본 논문은 SNS 콘텐츠를 통해 내면의 자아를 보여주고 이를 캐릭터로 표현하여 멀티 페르소나로 정의하는 연구이다. 연구논문을 4장으로 나누어 자전적 캐릭터의 SNS 콘텐츠 작품 연구를 하였다. 제1장 서론에서는 표현되지 않는 자아와 욕구를 보여주는 수단으로 SNS 플랫폼을 정의하였고 본 연구의 목적과 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제2장에서는 SNS 콘텐츠 제작을 내면의 자아 표현인 하나의 놀이로 정의내렸다. 이러한 놀이로 제작된 콘텐츠에서의 화자인 캐릭터를 분석하여 창작자와의 관계를 정리하였다. 즉, 연구자는 창작자의 내면의 기준에서 탄생한 캐릭터를 멀티 페르소나로 정리하였다. 이후 과거와 현재의 페르소나 콘텐츠를 사례로 정리하여 SNS 콘텐츠는 사회의 모습과는 달리 자신의 작은 특징, 내면의 자아이자 보이고 싶은 자아를 표현하는 방법임을 증명하였다. 그 이후 현재 다양하게 게시되는 캐릭터 콘텐츠를 정리하여 새로운 유형인 숏 폼 콘텐츠 (Short Form Contents)를 빠른 단위로 변화는 사용자의 관계를 맺어주는 콘텐츠로 정의하였다. 제3장에서는 본격적으로 연구작품 <토북이> 캐릭터를 제작하였다. 연구자가 제작한 그래픽 인플루언서로 경험과 욕구를 서술하는 화자이자 멀티 페르소나 (자전적 캐릭터)인 <토북이>를 통해 SNS 플랫폼의 기능을 활용하여 콘텐츠를 보는 사람들과 소통을 진행하였다. 제4장에서는 연구작품을 통해 내면의 자아를 손쉽게 표현하는 놀이가 된 SNS 콘텐츠에서 보이는 자전적 캐릭터는 창작자의 만족을 위해 제작된다는 주장을 확인하였다. 연구자는 자전적 캐릭터를 통한 SNS 콘텐츠 제작과 게시를 통해 지속할 캐릭터 콘텐츠의 작업 목표를 설정하였다. 본 논문을 작성하고 SNS 캐릭터 콘텐츠를 추가 제작, 게시하여 자전적 캐릭터를 브랜딩화 하고자한다.

      • SNS 구전정보의 특성과 제품정보의 획득이 에스테틱 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우석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인터넷의 발달과 스마트폰 보급의 확대로 다양한 SNS 서비스가 등장하였고 SNS를 통한 정보탐색과 소통은 구전의 효과를 더욱 강력하게 만들었으며 마케팅 도구로서의 SNS의 중요성이 증가하였다. 아울러 피부관리실에서만 유통되던 에스테틱 화장품은 유통채널의 확대로 소비자와의 접점이 확대되었으며 SNS를 통해서 에스테틱 화장품에 관한 제품정보의 획득과 구매가 가능해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NS 구전정보의 특성과 제품정보에 관하여 알아보고 에스테틱 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SNS에서 에스테틱 화장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20대에서 50대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총 545부의 결과지를 토대로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교차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종합적인 분석 결과를 보면 SNS 구전정보의 특성과 제품정보의 획득이 에스테틱 화장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특히 연령에 따라 SNS에 대한 이용 행태와 구전정보의 수용 행태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기존의 SNS 구전정보와 관련된 선행논문에서는 다루어지지 않았던 유튜브가 SNS 중 가장 신뢰하고 가장 전문성이 있는 SNS로 꼽힌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마케팅 도구로서 SNS의 중요성과 유효성이 인지되길 바라고 기업의 SNS 마케팅 전략수립에 있어서 본 연구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spread of smartphones, diverse SNS platforms have emerged. Information search and communication through SNS have made word-of-mouth (WOM) effects more powerful. At the same time, a SNS platform has become more important as a marketing tool. In addition, the aesthetic cosmetics which would be distributed to aesthetic salons only are now directly delivered to consumers through the expansion of distribution channels. Consumers are able to get product information on such cosmetics and actually buy them through a SNS platform.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WOM information and product information on SNS and analyze their effects on aesthetic cosmetics purchase intention.

      • SNS 구전정보 특성이 베트남 유학생의 한국관광 구전수용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우현아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Tourism information delivered to potential travelers and consumers is important for tourism products that cannot be identified without experience. In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word of mouth using SNS was recognized along with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Vietnamese visiting Korea for tourism purposes. As the number of Vietnamese tourists visiting Korea increases, the number of Vietnam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is also on a steady rise. International students should also be interested in the domestic tourism industry as they can serve as ambassadors to Korea once they return to their home countries and promote Korea's tourism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domestic tourism attitude,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through the characteristic of word of mouth such as consensus, vividness, credibility and usefulness by Vietnamese students who are studying abroad in Korea. More so, through this route,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subjective norm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acceptance of word of mouth and behavior intentions by domestic tourism. Through this study, it can assist domestic tourism workers on how to manage electronic word of mouth information more effectively and domestic tourism behavior of Vietnamese students, their families and friends who are potential customers of future Korean tourism markets.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e characteristics of SNS word of mouth information were distinguished by consensus, vividness, credibility and usefulness and this study was designed, modeled and derived hypotheses using variables of attitude, subjective norm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cceptance of word of mouth, and behavior intentions based on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Vietnam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The survey was undertaken about five weeks and 312 vaild surveys data were analyzed to the study.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ound significant relationships partly between electronic word of mouth characteristics on Facebook and Naver Blog and attitudes,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econdly, attitudes,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ll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he acceptance of word of mouth. Third, attitudes,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ll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behavior intentions. Fourth, acceptance of word of mouth had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 intentions. From the study results implications are suggested as below. The theoretical implication is that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ourism information on SNS in line with the changing trend of the tourism industry, along with the continued increase in the number of Vietnamese students coming to Korea to study. Accordingly, the characteristics of SNS word of mouth information such as consensus, vividness, credibility, usefulness, attitude,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were utilized to determine whether Vietnamese students' korea tourism information acceptance of word of mouth and korea tourism behavior intentions.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SNS word of mouth information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 factors such as attitude,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how that it is possible to explain the Korea tourism information acceptance of word of mouth and Korea tourism behavior intention of Vietnamese students. The practic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In this study, two SNSs were selected as Facebook, an SNS used by 94% of Vietnam's total population, and Naver Blog, a Korean SNS, to compare the acceptance of word of mouth and behavior intentions of Vietnamese students who are studying in Korea. Through this, the two SNSs can be compared and analyzed when identifying the acceptance of word of mouth or behavior intention of Vietnamese students in Korea, and suggest that on tourism information and marketing methods have been prepared according to each characteristic. Finally, the limitations and future challeng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present study had survey parameters. In this study, Vietnam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e survey, but during the survey, they were concentrated on Vietnames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scope of the survey to other areas. Second,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failed to consider other variables because it selected consensus, vividness, credibility, and usefulness as the characteristics of SNS word of mouth on Facebook and Naver blogs. Third, it would be meaningful that if will consider at variables that show the characteristics of sender or recipients generated on SNS or online, it will be able to help Vietnamese students and potential tourists with more detailed marketing strategies in terms of Korea tour acceptance of word of mouth or Korea tour behavior intentions. Keyword: The Characteristics of SNS Word of Mouth Information, Attitude, Subjective Norm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cceptance of Word of Mouth, Behavior Intentions. 경험 해보지 않고 확인할 수 없는 관광상품의 경우 잠재 여행객이나 소비자들에게 전달되는 관광정보는 중요하다. 정보화시대에 베트남은 인터넷과 SNS의 사용자 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편, 관광을 목적으로 국내를 방문하는 베트남 관광객의 숫자도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한국에서 공부하는 베트남 유학생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유학생은 본국으로 돌아가 한국은 물론이고 한국의 관광지에 대해서도 알릴 수 있는 홍보대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베트남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SNS구전과 국내 관광행동의 연구를 통한 이론적·실무적 제시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공부하는 베트남 유학생을 대상으로 페이스북과 네이버 블로그의 구전 정보특성 동의성, 생생함, 신뢰성, 유용성에 따른 국내 관광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와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 경로를 통해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와 국내 관광에 대한 구전수용 및 행동의도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따라서, 향후 한국에서 공부하는 베트남 유학생들에 대한 온라인 구전정보를 더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미래 한국 관광시장의 잠재고객이 될 수 있는 베트남 유학생들의 가족 및 지인들의 국내 관광 행동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선행연구와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SNS 구전정보 특성을 동의성, 생생함, 신뢰성, 유용성으로 구분하였고 계획행동이론의 설명변수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와 구전수용 및 행동의도의 변수를 사용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가설을 도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한국에서 공부하는 베트남 유학생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조사는 약 5주 동안 이루어졌으며 총 312부의 설문지를 본 연구를 위한 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페이스북과 네이버 블로그의 구전정보 특성은 부분적으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에 유의한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는 구전수용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는 행동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구전수용과 행동의도는 유의한 영향 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실증분석을 통해 도출된 본 연구의 시사점은 아래와 같다. 이론적 시사점으로 본 연구는 한국에 공부하러 오는 베트남 유학생과 베트남인 관광객의 지속적인 증가를 파악하고, 변화하는 관광산업 트렌드에 따른 SNS 관광정보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따라서, SNS 구전정보 특성인 동의성, 생생함, 신뢰성, 유용성과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구전수용, 행동의도의 변수를 통해서 베트남 유학생들의 국내관광에 대한 구전수용과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이 결과 SNS 구전정보 특성과, 계획행동이론의 설명변수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는 베트남 유학생의 한국 관광정보의 구전수용과 국내관광 행동의도를 설명할 수 있는 영향변수로 나타났다. 실무적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의 전체 인구 94%가 사용하는 SNS인 페이스북과 한국의 SNS 네이버 블로그를 선정하여 두 SNS를 통해서 베트남 유학생들의 국내 관광에 대한 구전수용과 행동의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베트남 유학생의 한국 국내관광에 대한 구전수용이나 행동의도를 파악할 때 두 가지 SNS를 비교하여 분석할 수 있다. 또한, 각 SNS 구전정보특성에 따른 세분화 된 관광정보 나 마케팅방안의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표본의 일반화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유학하는 베트남 유학생을 조사대상자로 선정하였으나 조사 과정에서 대구·경북지역의 대학에 재학하는 베트남 유학생으로 편중되었다. 따라서 다른 지역으로 조사대상의 확대를 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두 번째로 페이스북과 네이버 블로그만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여 다른 SNS 구전정보 특성을 고려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점을 가진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구전의 정보특성 외에도 SNS나 온라인에서 발생되는 발신자나 수신자의 특성이 나타나는 변수들도 함께 고려하여 연구를 진행한다면 추후 베트남 유학생이나 잠재 관광객들에게 국내관광의 구전수용이나 행동의도의 영향관계를 이용하여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때 비교적 정확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SNS 구전정보 특성,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구전수용, 행동의도

      • SNS(Social Network Service) 사용자들의 관심사 파악을 통한 SNS 개선 방안 연구 : 트위터 중심으로

        김승아 동국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웹2.0이라 불리는 웹 패러다임은 참여, 공유, 개방의 개념을 바탕으로 사회 전반에 많은 변화를 일으켰다. 웹2.0 패러다임은 누구나 정보를 쉽게 생산하고, 빠르고 폭넓게 확산 시킬 수 있게 하여 1인 미디어와 플랫폼으로서의 웹을 이루어 냈다. 이러한 웹 공간의 진화로 인터넷 사용자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개방하고 공유함으로써 인간 개개인의 영향력을 증대 시켰다. 이에 따라 대형 검색 업체나 포털 사이트들은 자사 사이트에서만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는 폐쇄적인 구조를 버리고 자사 서비스를 공유, 개방하여 사용자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형태의 Open-API를 제공하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여러 웹사이트들의 Open-API를 제공받아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하는 매쉬업(Mashup) 서비스들이 만들어 지고 있으며 그로 인해 사용자들의 웹 인프라는 더욱더 풍요로워지고 있다. 하지만 수많은 정보와 서비스가 생성 되는 상황에서 사용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신뢰성 있는 정보를 찾거나 관리하기가 어려워졌다. 이로 인해 사용자들은 자신의 관심사와 개성을 공유하는 사람들과 연결된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하여 정보를 찾고 활용하는 경우가 많아졌지만 시간이 지나고 사용자들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 SNS 내에서도 정보 관리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SNS 사용자를 대상으로, 사용자들이 입력하는 글 정보와 검색 정보에서 색인어를 추출하여 관심사가 무엇인지 파악 하고자 하였다. 수많은 정보들 중에서 관심사와 연관성 있는 정보들만 분류하여 제공하거나 관련 서비스(타 사이트 연결, 타 사이트 검색)를 연결시켜 주는 시스템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쉽고 빠르게 사용자들이 SNS내에서 정보를 관리 및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SNS환경이 기존보다 발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Web paradigm called web 2.0 makes many changes in overall society on the basis of the concept of participation, sharing, and opening. As web 2.0 paradigm makes everybody able to produce information, spread rapidly and widely, it creates the one-person media and platform. Due to such a progression of web space, Internet users open and share their own information, so a man’s individual influence has been increased. Accordingly, large-scale search companies and portal sites open and share their own service instead of a closed structure of only using their site, and provide Open-API of leading users’ participation. In addition, as they receive many websites’ Open-API to make Mashup services creating a new service, users’ web infra is becoming abundant. However, users have a difficulty in searching reliable information they want to search or managing it due to creating numerous information and services. Therefore, users often search for and use information through SNS(Social Network Service) connected to people that users share with their interest and individuality. However, as time goes by and the number of users is growing, managing information within SNS is getting hard. To solve the problem this study abstracted the index from text information and search information that users input in order to grasp users’ interest by targeting mobile SNS users. This study is conducted to help users manage and use information in SNS more easily and quickly by suggesting the system that divides and provides information only related to a use’s interest among a lot of information as well as connects other relevant services(connecting other sites, searching other sites). Through this study, hopefully, SNS environment will be developed more than before.

      • SNS posting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기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묘성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SNS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사람들은 많은 시간을 SNS상에서 사용하고 있다. 이에 최근 많은 연구자들은 SNS이용과 관련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단순히 SNS의 이용과 관련된 연구가 아닌 SNS posting 자체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NS posting을 하는 것이 개인의 기대에 따라서 해당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 보고 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SNS에 posting을 하는 것이 해당 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SNS에 posting을 하는 것이 타인에 대한 기대가 있다면, 해당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SNS에 관련된 이전 문헌 확장에 기여하며, SNS에 posting을 하는 것이 해당 행복감에 더 깊은 이해와 통찰력을 제공함으로써, 실무적으로도 도움을 주는데 의의가 있다. The number of people using social media and their time spent on social media has increased. Accordingly, many researchers have recently studied SNS use. Unlike existing research, the present paper examines the mere effect of SNS posting. The author investigates whether the effect of SNS posting on happiness may differ depending on individuals' expectation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SNS posting did not directly influence happiness, but it significantly influenced happiness when there was an expectation for others. This paper contributes to expanding the existing literature on SNS and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with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posting and happiness.

      • SNS 광고활동에 대한 태도 모형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위험관리 가이드라인 제시

        이시종 동국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Social Network Service (SNS) has become widely used with the soaring popularity of the smartphone since the late 2000s and it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of molding public opinion thanks to its great influence bigger than any other form of the existing mass media. While a number of marketers have put considerable efforts to use SNS as a means of advertizing, they have been often unsuccessful due to the new features of SNS which could not be found in the existing media. This paper seeks to provide marketers with the guidelines useful for SNS-based advertising planning on the basis of systematic analysis of people’s attitude toward such advertisements with a risk management perspective. To this end, research was carried out, taking four steps. 1) We first analyzed existing research papers on consumers’ attitude toward traditional forms of advertisements and screened some key factors supposed to influence attitude. Based on these factors, we developed a hypothetical model which shows how SNS users accept advertisements. 2) To test the model, we conducted an experiment with SNS users as subjects and analyzed their responses to select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3) Based on the selected factors affecting attitude toward SNS advertisements, an extensive case analysis was carried out to find out risk factors tha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it comes to SNS-based advertising planning. 4) Keeping these risk factors in mind, we developed a checklist of item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SNS-based advertising planning and suggest an advertisement process which includes the risk factors. The suggested guidelines would be helpful for marketers to minimize mistakes and side effects that arise from running SNS-based advertis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