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DCM2와 Rubrene이 첨가된 TPDAlq₃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발광 특성

        趙晃新 中央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박사

        RANK : 247807

        Organic thin films of Alq3 doped with DCM2 and/or rubrene are grown and used to fabricate TPD/Alq3 organic electroluminescent(EL) devices. Luminescent characteristics of these thin films and EL devices are investigated. From the excitation and emission spectra measurements of Alq3:DCM2 and Alq3:rubrene thin films, it is found that an efficient dipole-dipole energy transfer occurs in each case from the host to respective dopant. It is also found for Alq3:DCM2,rubrene thin films that the probability of energy transfer from rubrene to DCM2 is enhanced with increasing rubrene concentration. The observed red shift in the emission peak and decreasing EL efficiency with increasing dopant concentration or with increasing doping thickness for TPD/Alq3:DCM2 EL devices can be accounted for as being caused by the effect of localized polarzation field and concentration quenching, respectively. Also the observed enhancement of emission peak due to Alq3 with increasing current density for these EL devices can be attributed to the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Alq3 excitons with shorter lifetimes. From the brightness-voltage characteristics and EL efficiency measurements for TPD/Alq3:rubrene EL devices with various dopant concentrations and doping locations, it is concluded that the direct formation of rubrene excitons due to the injection of holes from the HOMO level of TPD to that of rubrene can be a viable process in competition with the generation of rubrene excitons by the energy transfer from Alq3 excitons. It is found that TPD/Alq3 :DCM2,rubrene EL devices, as compared to TPD/Alq3:DCM2 EL devices, have lower threshold voltages and higher EL efficiencies as well as reduced intensity of emission peak due to Alq3 in EL spectra. These improvements in EL characteristics upon rubrene codoping can also be attributed to the direct formation of rubrene excitons mentioned earlier as well as to the possible energy transfer from rubren to DCM2. The maximum luminous efficiency of TPD/Alq3:DCM2(4 vol %) and TPD/Alq3:DCM2(4 vol %),rubrene(4 vol %) EL devices are found to be 0.43 lm/W and 1 lm/W, respectively. 본 연구에서는 DCM2와 rubrene을 첨가 또는 동시 첨가한 Alq3 유기박막 및 이러한 Alq3를 발광층으로 사용한 TPD/Alq3 유기 EL 소자를 제작하여 발광 특성을 조사하였다. Alq3:DCM2 및 Alq3:rubrene 유기 박막의 발광 및 들뜸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로부터 Alq3에서 DCM2 및 rubrene으로 각각 효율적인 쌍극자-쌍극자 에너지 전달이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Alq3:DCM2, rubrene 유기 박막의 경우는 rubrene의 첨가량이 증가됨에 따라 rubrene에서 DCM2로 에너지 전달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TPD/Alq3:DCM2 유기 EL 소자에서 전류 밀도가 증가됨에 따라 Alq3에 의한 발광 peak의 세기가 증가되는 현상은 수명이 짧은 Alq3 엑시톤의 농도가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DCM2의 첨가량 또는 첨가된 두께가 증가됨에 따라 DCM2에 의한 발광 peak가 장파장으로 이동하고 효율이 감소하는 것은 각각 국소화된 분극 장에 의한 효과와 농도 소광 효과로 설명될 수 있다. TPD/Alq3:rubrene 유기 EL 소자에서 rubrene의 첨가량과 첨가된 위치에 따른 휘도와 효율의 변화를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로부터 rubrene 엑시톤이 Alq3 엑시톤으로부터 에너지를 전달받아 형성될 뿐만 아니라 TPD의 HOMO 준위로부터 rubrene의 HOMO 준위로 직접 주입되는 정공에 의하여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TPD/Alq3:DCM2에 비하여 TPD/Alq3:DCM2,rubrene 유기 EL 소자의 경우 문턱 전압이 낮아지며 효율이 증가하고 Alq3에 의한 발광이 감소되어 색순도가 향상되는 것은 TPD/Alq3:rubrene 유기 EL 소자의 경우와 동일하게 rubrene 엑시톤이 직접 주입된 정공에 의하여 형성될 뿐만 아니라 DCM2로 에너지를 전달하여 주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TPD/Alq3:DCM2(4 vol%)와 TPD/Alq3:DCM2(4 vol%),rubrene(4 vol%) 유기 EL 소자의 최대 발광 효율은 각각 0.43 lm/W와 1 lm/W이었다.

      • DCM 유도체를 이용한 광전 유기 변환 소자의 특성

        이성안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신규 합성한 DCM 유도체를 발광층으로 한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OPVC (Organic Photo Voltaic Cell)을 제작하였으며, 소자의 전기적 ● 광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신규 합성한 DCM-A 유도체를 이용한 OLED 구조는 Ⅰ)ITO/DCM-A/Al, Ⅱ) ITO/-NPD/DCM-A/LiF/Al, Ⅲ) ITO/-NPD/DCM-A/Alq₃/LiF/Al 같이 세 가지 구조로 제작하였다. Ⅰ) 구조에서는 510 mA/㎠에서 1,050 nW/㎠의 휘도를 나타냈다. Ⅱ) 구조에서는 290 mA/㎠에서 39,000 nW/㎠으로 가장 우수한 휘도를 보였다. 최대 EL peak는 700 nm에서 나타나면서 적색발광을 보였다. Ⅲ) 구조는 6 mA/㎠에서 13,000 nW/㎠의 휘도를 보였으며. 최대 EL peak는 700 nm에서 나타났으며, Alq₃ 영향으로 장파장 쪽으로 shift된 적색발광을 보였다. 신규 합성한 DCM-B를 이용한 OPVC의 이용은 기존의 P3HT로 제작한 OPVC는 2.05 eV 밴드갭에 걸쳐지는 가시광영역의 항한 흡수대를 가지며, 높은 전하 캐리어 이동도를 갖는 높은 intermolecular order등 여러 가지 강점 때문에 아주 중요한 기술적 잠재력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PCBM:P3HT의 BHJ(Bulk hetero junction)구조에 DCM-B를 이용한 구조의 디바이스를 제안하였다. Ⅰ) ITO/PEDOT:PSS/PCBM:P3HT/Al, Ⅱ) ITO/PEDOT:PSS/PCBM:P3HT:DCM -B/Al의 구조로 각각의 시간에 따른 열처리 효과로 Ⅱ)구조에서 140℃에서 5분간 열처리 했을 때 Ⅰ)구조의 소자 보다 효율이 향상되었다. DCM derivatives were newly synthesized. The OLEDs with a DCM-A as an emitting layer and the OPVCs with a DCM-B, pyran-4-ylidene-2-cyanoacetate derivative, were fabricated and analyzed their opto-electrical properties. The structures of OLEDs were Ⅰ) ITO/DCM-A/Al, Ⅱ) ITO/ α-NPD/DCM-A/LiF/Al, and Ⅲ) ITO/ α-NPD/DCM-A/Alq₃/LiF/Al. The EL peak of the DCM-A shows the red emission in the range of 700 nm. The structure Ⅰ) shows that 1050 nW/㎠ at 510 mA/㎠. The structure Ⅱ) shows that takes the most excellent luminance about 39,000 nW/㎠ at 290 mA/㎠. The EL structure Ⅲ shows luminance about 13,000 nW/㎠ at 6 mA/㎠. The properties of the PV cell with the DCM-B-doped bulk heterojunction film based on poly(3-hexylthiophene) (P3HT) and 1-(3-methoxycarbonyl)-propyl-1-(6,6)C61 (PCBM) as an active layer have been investigated. We also explained the annealing effect of the active layer on the PV properties. The structures of the PV cells were ITO/PSS:PEDOT/P3HT:PCBM(1:1 wt.%)/Al and ITO/PSS:PEDOT/P3HT:PCBM: (1:1:0.5 wt.%) /Al electrode. The power conversion efficiency of the PV cell containing the DCM-B exhibited the better PV performance than the cell with the P3HT:PCBM blend layer. The dye-doped P3HT:PCBM PV cell resulted in 5-fold enhanced overall power efficiency of 2.0% in comparison with the P3HT:PCBM cell, even if annealed under an air atmosphere at 140℃for 5min.

      • DCM공법을 적용한 개량체에 관한 연구

        정선영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지금까지 연약지반처리공법으로 SCP(Sand Compaction Pile)공법이 많이 적용되었다. 하지만 모래의 재료비 상승과 모래 채취에 따른 환경파괴로 인해 최근에는 시멘트나 석회 등의 개량재를 지반과 혼합하여 고화하는 기술인 DCM (Deep Cement Mixing) 공법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DCM공법의 국내외 현황을 분석하고 DCM 개량체에 대한 실내 배합시험을 실시하여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인자들을 검토하였다. 시험결과, DCM 개량체의 일축압축강도는 물-시멘트비가 감소할수록 또한 시멘트의 배합비가 증가함에 따라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모래의 쇄석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혼합시료의 교반시간이 증가할수록 DCM 개량체의 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원지반 토의 유기물 함유량이 증가하면 DCM 개량체의 강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배합시료에 대한 중금속 용출시험을 수행한 결과 시멘트계 고화재 사용에 따른 주변 환경의 영향성은 극히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SCP (Sand Compaction Pile) method has been used to improve a soft soil so far. However, because of environmental damage for gathering sand and price rising of sand materials, The use of DCM (Deep Cement Mixing) method has been increasing. DCM method makes a soil harder with cement and lime. In this study, current situations of DCM method in domestic and abroad are analyzed. A series of laboratory tests are conducted on the improved specimens with DCM and various factors which can influence the strength of improved soil are investigated. Based on test results,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of improved soil with DCM is almost linearly increased with decreasing the ratio of water-cement and increasing the ratio of cement. The compressive strength is also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mixture ratio of sand or crushed stone and increasing the mixing time. On the other hand, the strength is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ration of organic in in-situ soil. In addition, environmental impact of the DCM method used the cement is very insignificant based on the extraction test results.

      • Visual Modflow를 이용한 DCM공법의 환경영향성평가

        윤희경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DCM공법(Deep Cement Mixing Method)은 연약지반(점성토, 사질토, 유기질토)내에 시멘트와 물을 혼합한 안정 처리재를 저압으로 주입하면서 연약토와 안정 처리재를 특수 교반기의 회전에 의해 교반 혼합하고 시멘트의 경화반응을 이용하여 원지반 내에 고화 시켜 원주형 및 직사각형의 말뚝체를 조성하여 차수공, 토류공, 기초공 지반의 안정강화 등을 목적으로 다양하게 적용되는 공법이다. 현재 국내외적으로 해상, 육상에서 수많은 공사경험을 가지고 있는 DCM공법은 지반개량 또는 지반보강에 많은 장점이 있지만 시멘트 슬러리(또는 시멘트 몰타르)를 안정재로 사용하여 시멘트 타설시 발암물질인 Cr^(6+) 등의 유해물질이 발생하여 지반을 오염시킬 수 있는 의견이 제시되어 왔다. 이 연구에서는 연약지반 대책공법 중 DCM공법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물-시멘트 비, 안정제 첨가량 등을 달리한 다양한 조건의 공시체를 제작하여 개량체의 압축강도를 측정하고 이를 설계 및 시공에 합리적으로 반영하고자 하였다. 또한 추후 시공 및 유지관리를 위하여 실내시험을 통해 개량체와 원지반토양, 개량토 주변토양에 대해 Cr^(6+)용출시험을 하였고 이를 Visual Modflow 프로그램을 통해 Cr^(6+)확산여부를 확인하여 개량체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내시험과 Visual Modflow 프로그램으로 통하여 DCM공법을 적용한 개량토에서의 Cr^(6+) 확산여부를 확인한 결과 DCM시공에 따른 지반환경에 끼치는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Visual Modflow의 모델링 부분은 일부구간을 통해 얻어진 결과이므로 일부구간 아닌 실제 대상지반을 모델링을 한다면 좀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The Deep Cement Mixing(DCM) method is widely used construction method which makes soil more stable for drainage, soil-arresting, and foundation works by infusing an stabilizing agent mixed with cement and water into soft ground - clay, sand, and organic soil - at a low pressure and mixing soft soil and the stabilizing agent by a specially-made stirrer and then solidifying them in the original strata using hardening reaction of cement to form cylindrical and rectangular poles. Used for a wide variety of land and offshore construction works at home and abroad so far, the DCM method is good for soil improvement or reinforcement, but some have raised the possibility of soil contamination due to harmful substances such as cancer-causing Cr^(6+) released when cement is paved using cement slurry, or cement mortar, as a stabilizer. In order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DCM method to improve soft ground, this study developed test samples of various conditions based on varied water-cement ratios and amounts of stabilizer added to measure compression strength of improved samples and apply it to design and construction reasonably. We also conducted an indoor test for subsequent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that included Cr^(6+) eruption test on improved samples, original strata soil, and surrounding soil of the improved ground and thereby looked to whether Cr^(6+) is diffused or not with a Visual Modflow program to identify environmental impacts of improved samples. Results from the indoor test and eruption test with the Visual Modflow program to see if Cr^(6+) is diffused or not in a DCM-based improved ground revealed that the DCM method had almost no impact on the soil condition. However, the Visual Modflow modeling was a simulation applied for a limited section of the site and is expected to generate more precise results, if applied to actual soil.

      • 해상 DCM 시공법에 따른 부상토 발생량 연구

        강주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6

        현재 국내·외적으로 지중내에 지반개량 또는 지반보강을 위해 심층혼합처리(DCM)공법이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이 공법은 크게 관입시 토출하는 방법과 인발시 토출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관입 토출하는 방식의 경우 DCM 장비를 착저층까지 시멘트를 주입하면서 교반하는 방식이며, 인발 토출 방식의 착저층까지 작업수를 통해 천공 완료후 착저층에서 시멘트를 주입하면서 교반하는 방식이며 이 두가지 시공법이 널리 사용되어 지고 있다. 또한 DCM 공법을 완료한 경우 부상토가 발생하게 되는데 최근에는 경제적, 환경적 측면에서 부상토 처리와 관련된 방법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과거에는 발생한 부상토를 준설을 실시한 후 해상 및 육상의 매립토사로 이용하거나, 외해투기 또는 육상으로 운반하여 폐기물 업체를 통하여 위탁처리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현재는 비용 및 경제적 측면에서 기초사석 일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해상 DCM 완료 후 부상토를 유용하는 현장이 증가함에 따라 시공법에 따른 부상토량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시공법이 다를 경우 부상토 발생량의 차이를 이해하고 설계시 시공법에 따른 부상토 발생 비율을 다르게 적용하기 위함이다. As oceanic DCM method has began to be used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the demand of private DCM line has also increases. Also, heaving soil is often used in most of projects when it was not used in previous years. Its advantage include reduction of additional costs and project schedul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at the use of past method of the Japanese’ oceanic DCM manual is not suitable for the advantage of our current development of new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 on current technology. There are currently limited information and evidences on heaving soil in relation to oceanic DCM at site. If there is any discrepancy between the heaving soil’s result and its architectural means, the information is not often released to the public and therefore the architecture and construction of heaving soil is currently inadequate. It is impractical to calculate the accurate measure of the advantages in using the advanced oceanic DCM. However, this paper will help in generating more information to be release in future circumstances and will further support in producing heaving soil within nation.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the cost depending where heaving soil is made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areas, but using certain method in producing heaving soil will somewhat help calculating the amount of increase in advantage. The condition of landscape, construction method, construction area, and the amount to cement that is used will also affect the result, but it is true that there should be a calculation that needs to be formed nationally.

      • 연약지반 연동침하 영향거리 산정과 DCM 설계 영향인자에 관한 사례 연구 : 부산명지지구 설계 및 시공 사례를 중심으로

        조석연 경상국립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4

        대한민국의 경제성장과 태동을 같이하는 국내 서해안·남해안 지역의 산업·물류·유통단지는 산업시설의 직접화와 고도화의 시대적 요구에 발맞춰 대규모(국가산업단지의 경우 330만㎡ 이상) 단지조성을 위한 개발사업이 이루어지고 있고 일반적으로 해당 사업을 시기적, 공간적으로 나누어 단계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이렇듯 대규모 단지조성을 위한 개발사업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Preloading 재하 성토 하중은 연약지반 인접부로 응력이 전이되어 연동침하를 유발시키고, 도로 침하 등 심각한 시설물 파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명지지구 2단계 지역의 연약지반 개량 공법과 1·2단계 연접부의 연동침하의 발생 가능 여부에 대해 시공단계 조건(분할 또는 일괄 성토) 별 분석을 실시하고, 도로 등 허용 잔류침하량(도로의 경우 10cm)을 초과하는 연동침하 유발 영향거리를 산출하고자 하며, 대표적인 연동침하 방지공법인 DCM의 설계·시공의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DCM의 직경, 간격, 중첩길이 등 시공규격과 일축압축강도 변화에 따른 변형계수 적용 등 여러 가지 설계 영향인자 별 수치해석을 실시하여 침하 안정성, 경제성 관점에서 최적의 설계 인자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론 1. 연약지반 개량 시 Preloading(선행재하공법)과 Surcharge(추가성토) 등 근접지역 재하성토고 5m 수준에서 연동 침하량이 도로 허용 잔류침하량 10cm를 초과하는 영향거리는 약 25m 이내로 확인되었다. 2. 연동침하 영향거리 산정 시 인접시설물 부위에 대한 분할 또는 일괄 성토 등 시공조건을 구분한 결과 연동침하량은 유사한 값으로 도출되어, 연동침하 영향거리는 성토고에 따른 재하하중이 가능 큰 영향인자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3. 단계적 개발 시 선행 개발단계에서 후행 개발 단계지역의 연약지반을 시기적으로 먼저 개발하는 경우 후행 개발지역의 연약지반 재하성토는 영향거리 범위 밖에서 이루어져, 연동침하가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관련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어, 사업계획 관점의 설계 VE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4. 대심도 연약지반 개량 시 근접지역 연동침하를 방지하는 공법은 DCM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데, DCM의 시공 규격이 다축일수록, 개량체 강도가 클수록, 변형계수가 클수록, 개량체 직경이 클수록 연동침하 방지 효과가 크고, 경제성이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5. DCM 해석의 가장 큰 불확실성 변수인 변형계수는 화산활동으로 생성된 일본 지반에서 적용되는 제안식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으로, DCM 설계 및 시공 발전을 위해 국내 연약지반 특성에 맞는 변형계수 산정을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6. DCM은 통상 4축 D1,000mm가 일반적으로 적용되지만, 변형계수 값에 따라 연약지반 연동침하 방지공법으로서 2축 시공도 안정성이 확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시공 직경 D가 클수록 천공길이 및 시멘트량 축소에 따라 경제성도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어 향후 변형계수 및 건설기계 용량에 맞춰 국내 DCM 설계 및 시공 가이드라인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7. 연약지반 연동침하량이 도로의 잔류 허용침하량 이내로 만족하더라도, 영향거리에 따른 연동침하량이 선형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도로 하부에 매설된 관로 등 지하매설물의 각변위에 대해서는 연동침하 영향거리에 따른 연동침하량과 해당 지점의 각변위 허용 값을 비교하여 안정성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8. 지반은 해석의 불확실성을 내재한 연구분야이므로, 실제 시공 시 지반조건에 대해 설계조건과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지반정수를 역해석하여 설계의 타당성을 지속적으로 검증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Industrial and logistics complexes in the west and south coasts of Korea have been the driving force behind Korea's economic growth and recently, large-scale projects (more than 3.3M㎡ in the case of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are being carried out for the advancement of industrial facilities, which is implemented in phases by dividing it into time and space. In this conditions, the load of soil which is generated by the preloading method for improving the soft ground, possibly causes interlocking settlement and serious facility damage such as road settlement. In this study, an analysis was conducted for each construction stage condition (division or collective embankment) for the soft ground improvement method in Busan Myeongji District Phase 2 area as well as the possibility of interlocking subsidence in the 1st and 2nd stage connections. And the influence distance causing interlocking settlement exceeding the allowable residual settlement amount (10cm in case of roads) was calculated and evaluated the field applicability of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DCM, as a representative prevention method. In addition, the DCM construction standards (diameter, spacing, overlapping length) and the application of the deformation factor according to the change in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were reviewed. Finally, numerical analysis was performed for each design influence factor to analyze the optimal design factors in terms of settlement stability and economic feasibility. The results are as follow. Results 1. Under the condition of improving soft ground with a loading height of 5m in the adjacent area, such as preloading (preloading method) and surcharge (additional embankment), the effect distance where the interlocking settlement exceeds the road allowable residual settlement of 10cm was confirmed to be within about 25m. 2. The interlocking settlement influence distance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the loading load according to the embankment height.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interlocking settlement amount was derived as a similar value when the construction conditions such as division or bulk embankment for adjacent facility parts were divided when calculating the interlocking settlement influence distance. 3.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design VE from the perspective of business plan is effective. This is because, in case of step-by-step development, when the soft ground in the later development stage is developed first in time in the preceding development stage, the loading of the soft ground in the later development area is carried out outside the range of influence, thereby minimizing interlocking settlement and reducing related construction costs. 4. It is considered that the more multiaxial construction specifications of DCM as a method to prevent interloking subisidence, the greater the strength of the modified body, the larger the deformation coefficient, and the larger the diameter of the modified body, the greater the interlocking settlement prevention effect and the better the economic feasibility. 5. Basically, the deformation coefficient, which is the largest uncertainty variable in DCM analysis, uses the proposed formula applied to the Japanese ground created by volcanic activity. Therefore, for the development of DCM design and construction, it is judged that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calculate the deformation coefficient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soft ground in Korea. 6. In General, 4-axis D1,000mm is generally applied to DCM, but it is considered that the stability of 2-axis construction can be secured as a method for preventing interlocking settlement of soft ground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deformation coefficient.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larger the construction diameter D, the better the economic feasibility due to the reduction of the drilling length and the amount of cement. Therefore,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domestic DCM design and construction guidelines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factor and capacity of construction machinery in the future. 7. Even if the soft ground interlocking settlement satisfies the allowable residual settlement of the road, stability review is conducted by comparing the interlocking settlement amount according to the interlocking settlement effect distance and the angular displacement allowable value of the point for the angular displacement of underground facilities such as pipelines buried under the road. This is because the amount of interlocking settlement changes linearly according to the impact distance. 8. Since the ground is a research field with inherent uncertainty in analysis,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the ground conditions match the design conditions during actual construction.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validity of the design should be continuously verified by reverse-analyzing the confirmed ground parameters.

      • DCM 계열의 새로운 적색 형광 유기 EL 물질의 연구

        박민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775

        지금까지 지난 몇 십년동안 OLEDs(Organic Light Emitting Diodes)의 물질과 소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이미 OLED가 상용화에 이르기도 했지만, 고효율과 색 재현성 그리고 수명적인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다. 그 중 적색 발광 물질에 대한 연구는 활발했으나 아직까지는 NTSC의 색 좌표인(0.67, 0.32)를 만족하는 물질 개발은 이루어 지지 못했다. 이 논문에서는 새로운 적색 발광 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몇 가지 (4-(dicyanomethylene)-2-methyl-6-[p-(dimethylamino)-styryl]-4H-pyran (DCM) 유도체의 합성과 소자 평가에 기반을 두어, 새로운 적색 발광물질을 디자인하여 합성하고 각기 다른 구조로 소자를 제작하여 물질들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새로 디자인하여 합성된 새로운 적색 발광 물질은 총 두 가지의 concept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그 중 tert-buthyl 같은 큰 부분을 도입한 2번째 series중에서 2-(6,8-di-tert-buthyl-2-(4-((4-tert-buthylphenyl)(3,5-di-tert-buthylphenyl)amino)styryl)-4H-chromen-4-ylidene)malononitrile (M-2)은 발광은 1890 cd/m2, 발광 효율과 전력 효율은 각각 20 mA/cm2에서 1.10 cd/A, 0.45 lm/W를 가지고 있으며, 색좌표 또한 (0.67, 0.32)로써 NTSC의 색좌표보다 완벽한 적색 형광을 발현한다. Over the past decades,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s) have developed rapidly owing to their potential applications in flat-panel-display technology. For full-color OLED display applications, a set of primary red, green, and blue emitters is required. Blue and green fluorescent materials satisfy the conditions of high efficiency, life time and suitable chromaticity. On the other hand, red fluorescent materials do not satisfy these prerequisites. In this paper, we synthesized new (4-(dicyanomethylene)-2-methyl-6-[p- (dimethylamino)-styryl]-4H-pyran (DCM) derivatives with the different spacer such as π-conjugation length or bulky moiety. Also, optical properties and electroluminescence (EL) properties of new red dopants are described. To explore the electroluminescence properties of theses materials, multilayered OLEDs were fabricated with the device structure of Indium Tin Oxide (ITO)/N,N'-diphenyl-N,N'-(2-napthyl)-(1,1'-phenyl)-4,4'-diamine (NPB) (50 nm)/tris(8-quionlinolato)-aluminium (Alq3) : Red dopants (30 nm, 2 %)/(BCP) (10 nm)/Alq3 (50 nm)/Liq (2 nm)/Al. A device using 2-(6,8-di-tert-buthyl-2-(4-((4-tert-buthylphenyl)(3,5-di-tert-buthyl phenyl)amino)styryl)-4H-chromen-4-ylidene)malononitrile (M-2) as a dopant had exhibited highly efficient red emission with luminance of 1890 cd/m2 and luminous and power efficiency of 1.10 cd/A, 0.45 lm/W at 20 mA/cm2, respectively. Furthermore, this device have proper CIE coordinates of (0.67, 0.32) at 7.0 V, which is close to the standard red NTSC coordinates of (0.67, 0.33).

      • PBPK모델링과 BMDS를 이용한 DCM의 한국인 근로자에 대한 발암위해성평가

        류형균 단국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758

        Dichloromethane(DCM)은 탈색제로 주로 이용되고 작업장에서 빈번히 노출되는 유기용매로 미국 환경청 (EPA)의 Group B2 probable human carcinogen으로 규정되어 있는 화학 물질이다. 이 DCM은 인체내에 들어가 glutathione-S-transferase에 의하여 대사된 대사 산물이 발암 물질로 작용함이 최근에 보고되었다. Glutathione-S-trasnferase는 개체간에 유전적 다형성을 나타내는 효소로 인종간 그 분포에 큰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서양인과 상이한 유전적 다형성을 보이는 한국인에게 서양의 노출 기준을 적용함은 적절하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작업장에서 많이 이용되는 DCM에 대한 민국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OSHA) 기준치 500pp에 노출시나리오에 대한 근로자들의 발암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일반인에 대한 생리, 대사, 화학적인 자료를 입력한 후 tissue dosimeter값을 구하고, Dose-Response Curve에 대입하여 근로자들의 발암위해성을 구하였다. 한편, population-based risk assessment를 행하기 위한 한국인의 GSTT1 null genotyping은 PCR을 이용하였다. 한국인의 GSTT1 null type의 분포는 causasian의 20%와는 달리 55%로 나타났으며, 한편 DCM에 대한 위해성은 OSHA 기준치를 적용할 경우 95%값의 경우 2.33X10^-2에서 3.84X10^-2로 65% 증가하였다. 이는 환경오염 물질 독성물질의 노출 기준을 정함에 한국인의 생리 및 약리 대사효소의 유전적 다형성 등 약동학적 차이를 고려한 위해성의 재평가가 요구됨을 시사한다. Dichloromethnae(DCM) is frequently encountered volatile organic solvent in work places where it is predominantly used as paint strippers and removers. DCM is defined as probable human carcinogen(Group B2, US EPA). This chemical within body is metabolised by glutathione-S-transferase(GST) and Mixed Function Oxidase. But the GST metabolite is reported to be carcinogenic. Clutathione-S-trasnferase is an enzyme which shows genetic polymorphism so different ethnic groups can have diverse responses to DCM. So, it is not proper to apply regulation standard of US EPA to Korean population that has different ethnic background. Therefore, in this paper, regulation standard(500 ppm) of America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OSHA) TWA value was applied to Korean population to re-evaluate the cancer risk in Korean population using Physiologically Based Pharmacokinetic modeling. National Toxicology Program(NTP) data were used for tissue dosimetry and Dose-Response Curve was obtained using Benchmark dose software distributed from US EPA. To assess the risk of Korean workers to the exposure of 500ppm, physiological, metabolic and biochemical data were modified from literature and used as input parameters. Tissue dosimeter was calculated and converted into risk to Korean population by using Dose-Response Curve. Meanwhile, to perform population-based risk assessment, GSTT1 null genotyping was done using PCR. The proportion of GSTT1 null type in Korean population was 55%, much higher than that of caucasian(20%). The cancer risk assessment of Korean population to 500 ppm OSHA TWA standard showed that 95 percentile risk was 3.84X10^-2, 65% higher risk than that(2.33X10^-2) of Caucasian population. This suggests the need to re-evaluate the risk to the chemicals of concern in Korean populations using Korean specific physiological and metabolic data including polymorphism when setting the regulation standards of environmental toxic chemicas.

      • 극저온 냉각장치를 이용한 Double Crystal Monochromator의 성능개선에 관한 연구

        양성선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743

        In this study, the design of double crystal monochromator(DCM) is investigated in the structure of the major devices and the design concept in accordance with the required performance, also produced a device to reflect the design studies, evaluate, and verify the result. DCM is a key component of synchrotron radiation accelerator beamline and is a device that allows to use the X-ray screening of suitable monochromatic wavelength in the test from the white light X-ray radiation emitted from the accelerator. The very fine angle adjustment problems between two crystals and the height variation of the output beam that occurs when X-ray energy is scanning are the major issues in the use of DCM. In this study, we examined how to develop DCM which adopted the cryogenic cooling system to improve the stability of parallelism between the two crystals through minimizing the thermal deformation of the surface of the 1st crystal. The thermal stability, angle changes in response to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oling line, the stability of parallelism, the long - term stability, etc. were evaluated. And the reliability of the design was confirmed to obtain a satisfactory resul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