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보통신윤리교육의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정선영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87

        국내 인터넷 사용인구가 2003년 4월 현재 전체의 70.8%로 나타났다. 이를 인구수로 추산해 보면 2,473만 명 이상이 인터넷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불과 몇 년 전에 비해 네티즌의 수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지금 살아가고 있는 정보화 사회는 그 어느 사회보다도 사용자 스스로 건전한 사이버 공간을 만들어 보겠다는 의지가 중요시 되는 사회이다. 이러한 정보화 사회는 정보통신기술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우리에게 이익을 줄 수도 있고 피해를 줄 수도 있는 양날의 칼과 같다. 정보통신기술을 건전한 방향으로 사용한다면 우리는 정보화 사회의 장점인 편리함과 다양성, 자유로운 의사 표현과 같은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반대로 정보통신기술을 욕구의 해소를 위한 도구나 금전적인 이익만을 위한 도구가 되어 건전하지 못한 방향으로 사용된다면, 정보의 공유라는 사이버 공간의 특성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에게 큰 피해를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정보화 사회에서 건전한 사이버 공간의 형성과 다양한 정보의 활용을 위해서는 정보통신윤리의 확립이 중요할 것이다. 정보통신윤리는 사이버 공간에서 자신에게 유익한 정보를 검색·활용하고, 자신의 정보를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데 있어 지켜야 할 규범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정보통신윤리의식을 가진 네티즌에 의해 사이버 공간은 올바른 정보 공유의 장소와 새로운 가상 공동체의 형성의 장소로 지켜져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네티즌에게 정보통신윤리의식을 함양시키기 위해 학교나 인터넷 사이트 내에서는 많은 정보통신윤리교육 자료와 프로그램을 제작·배포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그러한 자료들은 일회성의 교육을 위한 도구로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정보통신윤리교육과 관련이 깊은 도덕 교과나 컴퓨터 교과에서도 정보통신윤리교육에 관련된 내용은 매우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정보통신윤리교육은 학생과 교사, 성인을 위한 정보화 교육의 일부분으로서 다루어지고 있으며, 그 중요도 또한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는 방법에 비해 훨씬 적게 다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정보화 사회에 꼭 필요한 규범으로서의 정보통신윤리교육은 그 중요성이 간과되어서는 안 된다. 정보통신윤리는 도덕교과에서 전통윤리나 시민윤리와 함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해야 한다고 생각하며, 컴퓨터교과에서도 컴퓨터 사용 방법보다 기초의 부분으로서 정보통신윤리교육이 주의 깊게 정의되고 교육되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도덕교과나 컴퓨터교과에서만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타 교과와 연계되어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요즘 학교에서는 수행평가를 위해 많은 과제들을 제시하고 있으며, 학생들은 그러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타 교과에서도 과제를 수행하는 데 있어 지켜야 할 윤리, 즉 저작권의 침해라든가 올바른 언어 사용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학교에서의 정보통신윤리교육은 체계화 되어 있는 수업의 모습을 갖추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교사의 신념과 열의가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학교만의 교육이 아닌 가정과 학교와의 연계를 통한 교육도 필요하게 될 것이다. 네티즌은 컴퓨터 사용의 대부분을 가정에서 하고 있기 때문에 부모와의 연계가 크게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기 위해서는 부모의 올바른 정보통신윤리의식이 필요할 것이다. 사회에서도 계속적으로 일반 성인들을 위한 교육자료 개발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뿐만 아니라 빠르게 급변하는 정보화 사회에 대응할 수 있는 법률의 개정 역시 중요할 것이다. 현대의 정보화 사회는 많은 혜택을 줄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사회이다. 그 혜택을 더 많이 누리느냐, 누리지 못하느냐는 사이버 공간을 이용하는 네티즌의 문제일 것이다. 네티즌이 올바른 정보통신윤리의식을 가지고 있다면 사이버 공간은 우리에게 더 무한한 정보의 제공과 자유를 줄 수 있을 것이다. More than seventy percent of people in Korea are using the Interent as of April, 2003. That is, the users of the Internet are calculated at 25,000,000. And the number of netizens keep on growing rapidly, too.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n which we live puts a higher value on the importance of the strong will that every user should have in order to make the wholesome cyberspace than any other society. This information-oriented society does us both good and harm. It depends on the way we use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f we use them wholesomely, we can take the benefits of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such as conveniences, diversities, and free expressions of ideas. On the other hand, if we use them unwholesomely, for example, as the means for satisfying our desires or just for financial advantages, many people can be hurt because the harmful information can be shared easily on the Internet. Therefore, in this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t will be important that we should establish the ethics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o build the wholesome cyberspace and use the diverse information. The ethics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is the rule we have to keep when we look for the useful information and use it, and when we share our information with others. The cyberspace should be maintained as the space to share the information rightly and build the new imaginary community by the netizens who have the consciousness of the ethics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o cultivate the ethics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of the netizens, a lot of data and programs about the ethical education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have been made and distributed in the schools and Internet sites. But, in fact, those data have mostly been used as the means for education once for all. Also, even in the course of ethics or computer which is related to the ethical education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it has almost been neglected for a long time. The ethical education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which has been carried out in Korea has been just a part of the inform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teachers, and adults and it has been considered less important than the education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However, the importance of the ethical education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shouldn't be ignored because it's an essential rule in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n my opinion, in the moral education, the ethical education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must take an important part with traditional ethics or citizen ethics and in the computer education, it needs to be defined and educated as a basic part more carefully than how to use the computer. Recently, students are given many assignments for evaluation and students have to use the computer frequently to do their assignments. Therefore, in other subjects, the education of the ethics they should observe-piracies, right uses of languages- to do student's assignments must be enforced, too. Because the ethical education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in the schools hasn't been systematized well, teachers' confidence and enthusiasm are considered to be very important. Also, the education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schools and homes will be needed. It will be more effective because most of the netizens use the computer at their homes. So it will be essential for parents to have the ethical consciousness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also, it will be important to revise the law which corresponds to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that is changing rapidly. The present information-oriented society has the limitless possibilities to give us many benefits. It depends on the netizens whether they will have more benefits or not. If netizens have the right consciousness of ethics for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he cyberspace will give us infinite informationn and freedom.

      • 패션 AI 사이즈 추천 시스템을 위한 선호맞음새 예측 모형 연구

        정선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개인 소비자가 맞음새를 선호하는 패턴과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신경망 알고리즘을 활용한 다양한 선호맞음새 예측 모형을 구성하고, 성능 평가 및 비교를 통해 성능이 우수한 최종 모형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제6차 한국인 인체치수 3차원형상측정 사업에서 수집된 35세에서 39세 성인 남성 96명의 인체데이터와 인체측정을 마친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데이터이다. 설문데이터는 피트성이 필요하지 않은 의류 4가지 복종에 대한 선호의류사이즈와 12항목의 신체 인식 정도를 조사한 자료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계학습의 신경망 알고리즘인 다층퍼셉트론을 활용한 선호맞음새 예측 모형을 구현하기 위해 입력변수와 출력변수를 정의하였다. 입력변수는 기본신체치수, 인지체형, 실제체형, 인지체형과 실제체형의 차이로 설정하였다. 기본신체치수는 KS 규격에서 정의하는 의류사이즈 관련 신체 부위의 치수를 의미하며, 내의류 상의와 외의류 상의는 가슴둘레, 외의류 하의는 허리둘레, 내의류 하의는 엉덩이둘레이다. 인지체형은 설문 조사를 통해 측정된 신체 부위의 인식 정도 12항목이며, 실제체형은 인지체형의 신체 부위에 대응하는 체형지수 12항목이다. 인지체형과 실제체형의 차이는 인지체형 구간에서 실제체형인 체형지수의 구간을 뺀 값으로 정의한 인지차이 12항목이다. 출력변수인 선호맞음새는 선호의류사이즈와 표준의류사이즈의 차이로 정의하였으며, 선호의류사이즈는 설문을 통해 조사한 평소 착용 의류사이즈, 표준의류사이즈는 각 복종의 기본신체치수에 따라 권장되는 의류사이즈이다. 둘째, 출력변수인 선호맞음새에 대하여 선호의류사이즈와 입력변수의 하위항목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선호의류사이즈 구간별 선호맞음새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선호맞음새와 선호의류사이즈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모든 복종에서 평균의류사이즈 구간은 정사이즈를 착용하는 경우의 분포가 높았고, 평균사이즈보다 작은 의류사이즈 구간은 정사이즈보다 작게 착용하는 경우, 평균사이즈보다 큰 의류사이즈 구간은 정사이즈보다 크게 착용하는 경우의 분포가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선호맞음새 예측 모형의 입력변수를 선정하기 위해 선호맞음새와 각 요인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내의류 상의는 인지체형 2항목, 체형지수 5항목, 인지차이 5항목, 내의류 하의는 인지체형 2항목, 체형지수 6항목, 인지차이 6항목이 관련성을 보였다. 외의류 상의는 인지체형 1항목, 체형지수 3항목, 인지차이 3항목, 외의류 하의는 인지체형 2항목, 체형지수 5항목, 인지차이 4항목이 관련성을 보였다. 셋째, 복종별로 선호맞음새 예측 모형을 단일요인 모형, 복합요인 모형, 중요요인 모형으로 구성하고 성능을 평가 및 비교하였다. 또한 입력변수 37항목을 동시에 투입한 모형과 성능을 비교하였다. 단일요인 모형은 1가지 요인으로만 구성한 모형, 복합요인 모형은 기본신체치수로 구성한 기본모형과 다른 입력변수 요인을 결합한 모형, 중요요인 모형은 기본모형과 요인별 중요항목으로 구성한 모형이다. 모형은 복종별로 10가지씩, 총 40가지 모형을 구성하여 성능을 평가 및 비교하였다. 모형의 성능평가지표는 검정데이터의 macro F1 점수와 선호맞음새 유형별 F1 점수로 그 값이 크고 균형적일수록 성능이 우수하다고 평가하였다. 최종적으로 선정된 모형은 내의류 상의는 중요요인 모형인 모형 9(가슴둘레, 인지체형 복부비만도), 내의류 하의는 복합요인 모형인 모형 6(엉덩이둘레, 인지체형 복부비만도, 인지체형 복부비만도), 외의류 상의는 중요요인 모형인 모형 10(가슴둘레, 인지차이 복부비만도), 외의류 하의는 중요요인 모형인 모형 9(허리둘레, 인지체형 하체비만도)로 선정하였다. 동시투입 모형은 모든 복종에서 과적합 현상이 나타났으며, 내의류 하의와 외의류 상의에서는 분류가 누락되는 결과를 보임에 따라 모든 복종의 선호맞음새 예측 모형은 최종 모형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최종 모형은 대체로 중요요인을 추출하여 적용한 모형의 성능이 우수하였다. 넷째, 최종 모형을 구성하는 변수들과 선호맞음새의 관계를 분석하여 각 속성에 따른 선호맞음새의 경향을 파악하였다. 내의류 상의는 복부, 내의류 하의는 복부와 전신, 외의류 상의는 복부에 대한 인지체형이 중요한 속성으로 도출되었으며 각 부위에 대하여 뚱뚱하다고 인지하면 정사이즈보다 큰 사이즈, 마른 편으로 인지하면 정사이즈보다 작은 사이즈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외의류 하의는 하체의 인지정도가 영향을 미쳤으며, 하체를 보통이거나 마른 편으로 인지하면 정사이즈보다 작은 사이즈를 착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 소비자가 자신이 인지하고 있는 체형을 보완하거나 표현할 수 있는 의류사이즈를 선택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복부와 전신, 하체 등 특정 신체 부위에 대한 개인의 인지정도는 기본신체치수를 기반으로 선호맞음새 예측을 위해 고려되어야 하는 속성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층퍼셉트론을 활용하여 선호맞음새 예측을 위한 다양한 모형들을 구성하고, 모형 간 성능 비교를 통해 예측 성능을 향상시킨 속성을 찾아 복종별로 최종 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선호맞음새 예측 모형의 성능은 투입되는 변수의 개수보다 변수의 특징에 영향을 받음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추천시스템에서 어떤 데이터를 어떻게 수집하고 가공하여 사용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은 시스템의 활용도와 추천의 정확도를 결정하는 아주 중요한 문제이다. 하지만, 정확도 향상을 위해 인체와 의류의 다양한 측정 데이터를 활용하여 의류사이즈 추천 시스템을 설계하는 경우, 데이터의 수집 및 확보의 어려움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인지체형에 대한 간단한 설문과 최소한의 신체치수를 활용하여 정확도를 높인 예측 모형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인터넷 환경에서 의류사이즈 선택이 쉽지 않은 소비자들을 위해 의류사이즈 추천을 위한 개인정보 제공의 절차를 간소화하고 선호맞음새에 적합한 선호의류사이즈를 추천할 수 있는 의류사이즈 추천 시스템의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y analyzing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consumers selecting clothing fit, this study constructs various preferred fit prediction models using neural network algorithms and derives a final model with excellent performance through performance evaluation and comparison. The data used are body measurements of 96 men aged from 35 to 39 collected in “The 6th Korean Three-dimensional Shape Measurement Project” and survey data of participants who have participated in such measurement. The survey data are the materials that investigate the preferred clothing size and the level of body recognition of 12 items for four types of clothing that do not require a tight fit. The details of the research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put and output variables were defined to implement a preferred fit prediction model using a multi-layer perceptron, which is a neural network algorithm. The input variables were set as basic body measurement, perceived body shape, actual body shape, and the difference between perceived and actual body shape. The basic body measurement refers to the body part measurement related to the clothing size defined in the KS standard with the chest circumference for upper innerwear and outerwear, waist circumference for lower outerwear, and hip circumference for lower innerwear. The perceived body shape consists of 12 items on the level of body part recognition measurement performed through the survey, and the actual body shape consists of 12 items of the body shape index corresponding to the body part of the perceived body shap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ceived and the actual body shape are 12 items of perceived differences defined as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section of the actual body shape index from the perceived body shape section. The output variable that is the preferred fit is defined as the difference of the preferred from the standard clothing size. The former is that of cloth worn normally according to the survey, and the latter is that recommended according to each type of clothing’s basic body measurement. Second, the correlation to the sub-item of preferred clothing size and input variable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output variable of preferred fit. First,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eferred fit and preference of clothing for each preferred section of clothing size revealed that distribution in cases of wearing smaller than correct size was high in the section of clothing size smaller than average clothing size. The distribution in cases of wearing larger than correct size was high in the section of clothing size larger than average clothing size. Next, after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eferred fit and each factor to select the input variable of the preferred fit prediction model, upper innerwear showed correlations in two items of perceived body shape, five items of body shape index, and five items of perceived difference. Lower innerwear showed correlations in two items of perceived body shape, six items of body shape index, and six items of perceived difference. Upper outerwear showed correlations in one item of perceived body shape, three items of body shape index, and three items of perceived difference. Lower outerwear showed correlations in two items of perceived body type, five items of body shape index, and four items of perceived difference. Third, the preferred fit prediction per type of clothing was composed of a single-, a multi-, and a major-factor model, and their performances were evaluated and compared. In addition, the performance of a model which inserted 37 input variable items simultaneously was compared. The single-factor model is composed of just a single factor, the multi-factor model consists of a basic model composed of basic body measurements combined with other input variable factors, and the important factor model is composed of the basic model and important items per each factor. The performance of a model was evaluated and compared by constructing a total of 40 models made up of 10 for each type of clothing. The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of the model consists of test data of the macro F1 score and the F1 score per preferred fit type and it was evaluated that the larger and balanced the value, the better the performance. Major-factor Model 9 for upper innerwear, Model 6 for lower innerwear, Model 10 for upper outerwear, and Model 9 for lower outerwear were selected as the final models. The simultaneous input model exhibited overfitting in all types of clothing while a result was shown where classification was omitted for lower innerwear and upper outerwear, and it was therefore evaluated that the final model was excellent in terms of preferred fit prediction model in all types of clothing. The model that implemented extraction of major factors generally exhibited outstanding performance as the final model. Fourth, the inclination of preferred fit according to each attribute was identified by analyzing the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forming the final model and the preferred fit. The abdomen for upper innerwear, abdomen and the entire body for lower innerwear, and abdomen for upper outerwear were determined as the important attributes, while it was shown that those perceived as “fat” in each body part preferred larger than correct size, and those perceived as “slim” in each body part preferred smaller than correct size. Perceived level of the lower body affected lower outerwear, and behavior of wearing smaller than correct size was exhibited when the lower body was perceived as average or slim.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dividual consumers choose clothing sizes that can supplement or express the body shape that they perceive. Therefore, when predicting preferred match according to the basic body measurement, personal level of perception in terms of specific body parts such as the abdomen, entire body, or lower body should be considered. This study constructed various models for predicting preferred fit utilizing multi-layered perceptron, which is a type of neural network, and suggested final models for each type of clothing by finding the attribute that improved the prediction performance through comparing each model’s performances. In addition, it was empirically verifie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preferred fit prediction model is affected more by the characteristics of variables than the number thereof. Determining how to collect and fabricate as well as which data to use is of utmost importance in determining the accuracy of recommendation utilization of the system. However, difficulties arise in data collection and acquisition when constructing a clothing recommendation system using clothing and body measurement data to increase the accuracy. In this sense, the importance of this research result lies in that a prediction model with enhanced accuracy was deduced through utilizing just a simple survey on perceived body shape, and a minimal amount of body measurement.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serve as the basis of the clothing size recommendation system capable of recommending preferred size of clothing according to preferred match, as well as simplifying the procedure of providing and collecting personal information for recommending clothing sizes to consumers experiencing challenges in choosing the right size in an online environment.

      • 해외구매대행쇼핑몰의 언어와 가격인식이 소비자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선영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71

        With the rapid spread and diffusion of Internet, the electronic commerce market is actively developing. As mass media that can attract the public, Internet has its influences increase gradually and its commercial properties be reinforced; as a result, personal and corporate efforts continue to be made to use Internet to develop various profit-making models. With the development and changes in electronic commerce, Internet shopping malls became diversified, with goods as well as transaction modes diversified according to consumers' tastes and needs. Consequently, researches by analysis of trends and development of profit models to meet consumers' needs become important, with relevant researches under way. The increase of overseas trips due to changes in lifestyles of modern consumers led to more opportunities to meet other races and cultures; popularization of overseas contents through such media as broadcasting and cable TVs led to more opportunities to meet foreign cultures. In addition to American and Japanese soap operas, it became possible to meet various cultures through diverse show programs and have the globalized contemporary age. With the rapid increase in the demand for 'global shopping' due to popularized Internet, the number of consumers preferring rational middle- or low-priced foreign brands is gradually increasing. As the 'niche' demand for pursuing unique, characteristic foreign-brand goods becomes generalized enough to form a cultural code, shopping malls providing buying service for relevant goods become very popular. This phenomenon of higher preference of consumers for foreign brands and of the rapid increase in the demand can be explained by cultural paradox, value-paradox hypothesis, product crossover, and so on. People rather prefer products or advertisements of other cultures and are more favorable to and curious about exotic things. That is, Koreans in the Oriental culture show more positive and favorable attitudes toward cultural clues speaking for Western culture rather than visual or linguistic clues expressing the same Oriental culture; Western culture and values have naturally been absorbed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since the 20th century, forming the current Korean culture and val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see how consumers' attitudes (favorability, reliability, purchasing intention) vary by languages (Korean vs. English), which are a visual clue of overseas buying service shopping malls, on the basis of these cultural-paradox phenomena. An attempt is also made to see how consumers' attitudes in overseas buying service shopping malls vary by languages and price perception. Second, it is to examine specialized service properties unique to overseas buying service and analyze the properties. Third, a direction is presented for reverse overseas buying service to export local brands abroad as well as import buying servic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manufactured overseas buying service shopping malls in two versions of Korean and English in terms of languages and conducted an experiment by putting them on an website so that they could be considered as actual cones. Each question in the questionnaire was rated for statistical processing, and the analytic method is as follows: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validity of questions and Cronbach′s α was carried out to test reliability of the scale. T-test was used to determine differences in consumers' attitudes (favorability, reliability, purchasing intention, price perception) by languages and two-way ANOVA was used to determine differences in consumers' attitudes by languages and price perception. As a result of the survey, overseas buying service shopping malls in the English version showed more positive consumers' attitudes than those in the Korean version. This demonstrates that Korean consumers are more favorable and positive toward the English version and show more reliability on the version and feel stronger purchasing intention from it. It implies that languages play a major role as a cultural clue and have great effects on formation of attitudes toward sites. As for consumers' attitudes toward overseas purchasing service shopping malls by languages and price perception,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by examining standard deviation of middle and low price and getting the middle point to see price perception; only values differed, but results were identical, by languages. The higher the price of products in the English version was perceived, the stronger and more positive consumers' attitudes were. Likewise, the higher the price in the Korean version was perceived, the higher consumers' attitudes were. This demonstrates that irrespective of languages, there are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higher price within a fixed range for middle and low price of imported products and there is sufficient purchasing intention even if the perceived price is high.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re are few researches on overseas buying service shopping malls or those on site attitudes by the cultural paradox hypothesis; improved researches should be conducted through more diversified and concrete approaches in the future.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과 확산을 통해 전자상거래 시장이 활발히 발전하고 있다. 인터넷은 대중을 공략할 수 있는 매스미디어(mass media)로서 그 영향력이 점차 증대되고 있고 상업적 특성이 강화되면서, 인터넷을 활용하여 다양한 수익 창출 모델로 개발하기 위한 개인과 기업의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전자상거래의 발전과 변화에 따라 인터넷 쇼핑몰도 다변화되었는데, 상품거래방식 뿐만 아니라 소비자 취향과 욕구에 따라 취급상품도 다양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소비자의 니즈(needs)에 맞는 수익 모델 개발과 트렌드 분석에 따른 연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고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대 소비자들은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더 똑똑해지고 있으며, 제품을 선택할 때 그 기능은 물론이고, 감성적인 측면까지 고려하며, 대중으로부터 자기를 표현하고자하는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로 해외여행이 증가하면서 타인종, 타문화에 대해 접할 기회가 확대되고, 공중파, 케이블TV 등의 매체를 통해서 해외 컨텐츠가 대중화 되면서, 해외 문화를 접할 기회가 높아졌다. 미국, 일본 드라마는 물론이고 다채로운 쇼 프로그램을 통하여 다양한 문화를 접할 수 있게 되었고, 세계화 된 동시대를 살아갈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인터넷의 대중화로 '글로벌 쇼핑' 수요가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합리적인 중, 저가 해외브랜드를 선호하는 소비자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독특하고 개성 있는 해외브랜드 제품을 찾는 '틈새' 수요가 하나의 문화적 코드를 형성할 정도로 일반화되면서 관련 제품 구매를 대행해주는 쇼핑몰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이렇게 해외브랜드에 대해 소비자의 호감도가 높아지고 수요가 급증하는 현상은 문화역설(cultural paradox), 가치 패러독스(value-paradox hypothesis)가설, 제품 크로스오버(product crossover)등으로 설명될 수 있다. 자신과 다른 문화의 제품이나 광고를 오히려 더 선호하며, 낯선 것, 이국적인 것에 더 호의적이며, 흔치 않은 것이라 더 예외적이고 호기심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즉 동양 문화권에 속하는 한국 사람들은 같은 동양문화를 표출하는 시각적, 언어적 단서보다는 서양문화를 대변하는 문화적 단서에 더 긍정적이고 호의적인 태도를 보이는데, 이는 20세기 이후 근대화해야하는 과정에서 서양문화와 가치관이 자연스럽게 흡수되면서 현재 한국의 문화와 가치관을 형성하게 되었다. 급속한 경제성장을 했던 국가들 사이에서는 이러한 문화 역설 현상이 특히나 더 민감하게 받아들여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이러한 문화역설현상을 바탕으로 해외구매대행쇼핑몰의 시각적 단서인 언어(한국어 대 영어)에 따라 소비자태도(호감도, 신뢰도, 구매의사)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려고 한다. 그리고 언어와 가격인식에 따라 해외구매대행쇼핑몰의 소비자태도는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인터넷 쇼핑몰의 틈새시장인 해외구매대행만의 특화된 서비스 속성을 파악해보고 그 특성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셋째, 국내로 수입되는 구매대행 서비스 뿐 아니라, 자국 브랜드를 해외로 수출하는 역해외구매대행에 대한 방향성도 함께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언어에 따라 한국어, 영어 총 두 가지 버전의 해외구매대행쇼핑몰을 제작하였고, 실제 쇼핑몰처럼 느낄 수 있도록 웹사이트에 띄워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설문지의 각 문항을 점수화하여 통계처리 하였고,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설문 문항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하였고, 척도의 신뢰도 검사를 위하여 Cronbach′s α를 실시하였다. 또한 언어에 따른 소비자태도(호감도, 신뢰도, 구매의사)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를 사용하였으며, 언어와 가격인식에 따른 소비자태도(호감도, 신뢰도, 구매의사)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원변량분석을 사용하였다. 설문 결과, 영어버전 해외구매대행쇼핑몰이 한국어버전 해외구매대행쇼핑몰에 비해 더 긍정적인 소비자태도를 나타냈다. 한국 소비자는 영어버전에 대해 더욱 호의적이고 긍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고, 더 강한 구매의사를 느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언어가 문화단서로서 큰 역할을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 대한 태도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언어와 가격인식에 따른 해외구매대행쇼핑몰의 소비자태도를 살펴보면, 가격인식 조사를 위해 중. 저가의 표준편차를 조사한 후 중간 값을 취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는데, 언어 버전에 따라 수치만 상이할 뿐 결과는 동일하게 나왔다. 영어버전의 제품 가격이 높다고 인식할수록, 소비자태도가 더욱 강하고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한국어버전 역시, 가격이 비싸다고 인지할수록 소비자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언어와는 상관없이 해외구매대행쇼핑몰이 다루고 있는 해외에서 수입하는 중. 저가 제품가격에 대해, 해당 범위 내에서 가격이 높을수록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며, 인지된 가격이 높더라도 충분히 구매할 의사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해외구매대행쇼핑몰에 대한 연구 및 문화역설 가설에 의한 사이트 태도 연구가 미흡한 실정에서 진행된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좀 더 다각화되고 구체화 된 접근 방식을 통해서 향후, 발전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문화역설 가설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문화 단서인 ‘언어’만을 요인으로 사용하였기에 그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언어뿐만 아니라 문화 단서를 대변할 수 있는 다른 요인을 찾아내어 소비자태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국내에서 해외구매대행쇼핑몰이 하나의 트렌드로 이슈화 되듯, 국내 브랜드의 해외 수출로 인해 역구매대행이 많이 발생하여 국내 산업에 큰 보탬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육아휴직 후 복직간호사의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

        정선영 전남대학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육아휴직 후 복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일과 삶의 균형, 그릿이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 상자는 100병상 이상 종합병원에서 육아휴직 후 복직하여 1년 이하로 근무하는 간호사이다. 자료수집은 G 광역시와 J도의 상급종합병원 3곳, 종합병원 6곳에서 2023년 7월 7일부터 8월 7일까지 총 156부 자료를 수집하였고, 149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 설문지는 일반적 특성, 직무 및 육아 관련 특성, 직무스트레스, 일과 삶의 균형, 그릿, 직무배태성의 도구로 구성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점수는 평균 평점 5점 만점 3.61±0.65점이었으며, 일과 삶의 균형 점수는 평균 평점 6점 만점 2.29±0.96점이었고, 그릿 점수 는 평균 평점 5점 만점 2.94±0.38점이었으며, 대상자의 직무배태성 점수는 평균 평점 5점 만점 3.15±0.43점이었다. 2. 본 연구의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직무와 육아 관련 특성에 따른 직무배태 성의 차이를 확인해 보면 임상 경력(t=-2.09, p=.039), 육아휴직 사용이 삶 의 도움(t=-2,62, p=.010), 사직충동 빈도(t=2.59, p=.01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일과 삶의 균형, 그릿, 직무배태성 간 상관관계를 검증한 결과, 일과 삶의 균형(r=.27, p=.001), 그릿(r=.27, p=.001)은 통계 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직무스트레스(r=-.18, p=.033)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직무배태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그릿(β=.19 p=.017)로 나 타났으며, 이 요인은 육아휴직 후 복직간호사의 직무배태성을 15.7% 설명 하였다(Adj.R²= .157, F = 4.45, p<.001). 본 연구 결과, 대상자의 직무배태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그릿으로 확인되 었다. 따라서 간호조직은 육아휴직 후 복직간호사의 그릿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 로그램을 개발하고, 간호사의 열정과 지속적인 노력이 포기하지 않도록 임상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육아휴직 후 복직간호사의 직무배태성 향상을 위해 복직 전 업무환경에 대한 교육과 적응을 위한 정책적, 조직적 지원이 필요하다. 주요어 : 직무배태성, 직무스트레스, 일과 삶의 균형, 그릿

      • 병원간호사의 감염예방행위 중 손위생에 관한 구조모형

        정선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손위생 이행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고 이들 요인들로 이루어진 가설적 모형이 손위생 이행 행위를 설명하고 예측하는데 타당한지 검증하고자 실시되었다. 서울특별시, 충청도, 전라도, 제주도에 소재한 대학병원의 병원간호사 25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0년 12월부터 2011년 1월까지였다.본 모형에서 사용된 요인은 계획된 행위 이론을 구성하는 행위신념, 규범신념, 통제신념과 행위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 통제, 손위생 이행 의도, 손위생 이행 행위 등 총 8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구 모형의 적합도는 SAS PROC CALIS을 사용하여 카이제곱 통계량(X2), 적합지수(GFI), 조정적합지수(AGFI), 표준적합지수(NFI), 비교적합지수(CFI) 등의 전반적인 적합지수를 기준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평균 임상 경력은 83.25개월(약 6.9년)이었고 90.1%가 일반간호사였다. 손위생에 대한 지식 점수는 12점 만점에 평균 8.18점이었다. 2. 신념 요인의 평균평점은 규범신념 2.46점, 행위신념 2.27점, 통제신념은 -0.72점 순이었다. 핵심 요인의 평균평점은 주관적 규범 2.38점, 행위에 대한 태도 1.42점, 지각된 행위 통제 1.17점 순이었고 손위생 이행 의도는 5.63점이었다. 대상자의 손위생 이행률은 74.89%이었다. 3. 연령(F=5.62, p=.004)과 임상경력(F=3.01, p=.002)에 따라 행위신념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주임간호사(t=4.50, p=<.001), 수간호사(t=2.63, p=.009)와 동료간호사((t=3.08, p=.002)가 손위생 규정을 지키는 편이라 인식한 군에서 행위신념이 높았고, 주임간호사(t=2.27, p=.024), 의사(t=2.05, p=.042)와 동료간호사(t=2.54, p=.015)가 손위생 규정을 지키는 편이라 인식한 군에서 규범신념이 높았다. 4. 본 연구변수의 적합도 지수는 X2은 57.81 (p< .001), GFI는 .999, AGFI는 .999, NFI는 .933, CFI는 .947로 가설적 모형과 실제 자료가 전반적으로 적합하였다. 모형 내 예측 변수들에 의한 손위생 이행 의도에 대한 설명력은53.5%, 손위생 이행 행위에 대한 설명력은 11%이었다. 행위신념이 긍정적일수록(β=.922, t=13.186, p< .001) 행위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고, 규범신념이 강할수록(β=.593, t=10.405, p< .001) 주관적 규범의 정도가 높고, 통제신념이 강할수록(β=.834, t=11.583, p< .001) 지각된 행위 통제의 정도가 높았다. 행위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β=.316, t=3.083, p= .004), 주관적 규범(β=.118, t=2.257, p= .028)과 지각된 행위 통제(β=.414, t=5.319, p< .001)의 정도가 높을수록 손위생 이행 의도가 강하였고, 손위생 이행 의도가 강할수록(β=.237, t=3.269, p< .001) 손위생 이행 행위의 정도가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간호사의 손위생 증진 전략을 구상할 때 간호사의 손위생에 대한 행위신념, 규범신념, 통제신념을 강화하는 방안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간호사의 손위생 이행도를 높이고 손위생 증진 전략의 효과를 지속시켜 의료관련감염을 예방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which have effects on implementation of hand hygiene behavior, based on theory of planned behavior for clinical nurses, establish a hypothetical model consisting of such factors and verify whether it is suitable to predict and explain hand hygiene behaviors of a clinical nurse. Data were collected from 253 clinical nurses who were working in university hospitals located in Seoul, Chungcheong-Do, Jeonla-Do and Jeju-Do from December 2010 to January 2011. Eight factor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Behavioral beliefs, normative beliefs, control beliefs, attitude,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 control, intension and implementation of hand hygiene behavior, which are all elements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Fitness of the study model was verified with SAS PROC CALIS, based on overall goodness of fit index such as X2, GFI, AGFI, CFI and NFI.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mean scores of belief factors were 2.46 for normative beliefs, 2. 27 for behavioral beliefs and -0.72 for control beliefs. The mean scores of key elements were 2.38 for subjective norm, 1.42 for attitude and 1.17 for perceived behavior control. The mean score of intention was 5.63 while hand hygiene compliance rate was 74.89%.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ehavioral beliefs according to age (F=5.62, p=.004) and clinical experience (F=3.01, p=.02) of participants. The strength of behavioral beliefs in the group which recognized that charge nurse (t=4.50, p=<.001), head nurse (t=2.63, p=.009) and peer nurses (t=3.08, p=.002) well followed hand hygiene policies was high. 3. The overall fitness of the hypothetical model was good in general. The fitness of indices were X2 = 57.81(df=13, p<.001), GFI = .999, AGFI = .999, CFI = .947, NFI = .933. The variance of intention of hand hygiene by predictor variables was 53.6%, the variance of actual implementation of hand hygiene was 11%. Attitude was affected by behavioral beliefs (β=.922, t=13.186, p< .001), subjective norm was affected by normative beliefs (β=.593, t=10.405, p< .001)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was affected by control beliefs (β=.834, t=11.583, p< .001). Intention of hand hygiene was affected by attitude (β=.316, t=3.083, p= .004), subjective norm (β=.118, t=2.257, p= .028)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β=.414, t=5.319, p< .001). Hand hygiene implementation was affected by the intention of hand hygiene (β=.237, t=3.269, p< .001). In conclusion, measures to strengthen behavioral beliefs, normative beliefs and control beliefs should be considered in planning hand hygiene improvement strategy. Continual efforts on preventing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by improving hand hygiene compliance and keeping the effects of hand hygiene improvement strategy should be made.

      • 군 조직특성이 조직침묵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공군 간부를 중심으로

        정선영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Air Force published 『Air Force Vision 2050』, emphasizing the balanced development of soft power (cultural influence) and hard power (physical influence) in achieving capabilities to respond to threats from all directions in the future. What kind of efforts should members of the Air Force make to realize this vision? How do current members of the Air Force perceive the organizational culture? This study began with questions such as.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military has the absolute goal of national security and national defense, and has a distinct hierarchical order centered on the class structure. Due to the organizational nature of the military, most of the work is done according to existing regulations and procedures, and the priority, direction, and method of work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rders and instructions of superiors and commanders. This is close to hierarchical culture among organizational cultures.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at hierarchical culture increases organizational silence, silence is likely to occur frequently in Air Force organizations as well.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Air Forc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justice) affect Air Force executiv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silence.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correlation between Air Forc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justice), organizational sile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analyzed to provide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among Air Forc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factors that increase organizational sile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studying the factors hindering the Air Force organizational culture, we propose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the Air Force organizational culture and prepare practical implications that can be used as data for revitalizing the organization.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argeting air force officers (colonel and below), Noncommissioned officers, and Civilian worker in the military, and 1,351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insincere answer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As a result of the study, organizational cultur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silence. However, rational culture confirmed statistical results tha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defensive silence. Distributive justice among organizational justi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silence. Only procedural justi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silenc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ilence, it was confirmed that organizational silence partially mediates between developmental culture, group culture, r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excluding hierarchical culture. In addition, both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justi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only hierarchical culture among organizational cultures had a negative (-) effect. 공군은 『공군비전 2050』을 발간하여 미래 전방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역량 달성에 있어서 소프트파워(문화적 영향력)와 하드파워(물리적 영향력)의 균형 발전을 강조했다. 이러한 비전을 실천하기 위해서 공군의 조직구성원은 어떠한 노력을 해야 하는가? 현재 공군의 구성원은 조직문화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등의 질문에서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군의 조직문화는 국가 안전보장과 국토방위라는 절대적 목표를 가지며 계급구조를 중심으로 위계질서가 뚜렷한 특성을 갖는다. 군의 조직특성 상 업무 대부분은 기존의 규정과 절차에 따라 이뤄지고, 상급자, 지휘관의 명령, 지시에 따라 업무의 우선순위와 방향, 방법 등이 정해진다. 이는 조직문화 중 위계문화에 가깝다. 조직의 위계문화는 조직침묵을 증가시킨다는 선행 연구에 따르면 공군조직 내에도 침묵이 자주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공군 간부를 대상으로 공군 조직특성(조직문화, 조직공정성)이 간부들의 조직몰입과 조직침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그동안 선행되었던 연구를 기반으로 공군 조직특성(조직문화, 조직공정성)과, 조직침묵, 조직몰입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분석함으로써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공군 조직특성 중 조직침묵을 증가시키는 요인과 조직몰입을 저해하는 요인을 연구하여 공군 조직문화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 조직 활성화를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공군 장교(대령 이하), 부사관, 군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으며, 이 중 불성실 답변을 제외한 1,351부를 분석대상으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공군 간부를 중심으로 한 본 연구 결과 조직문화는 조직침묵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었다. 단 합리문화는 방어적침묵에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통계적 결과를 확인했다. 조직공정성 중 분배공정성은 조직침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절차공정성만 조직침묵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었다. 조직침묵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조직침묵은 위계문화를 제외한 발전문화, 집단문화, 합리문화, 조직공정성과 조직몰입 간을 부분매개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직문화와 조직공정성은 모두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는데 조직문화 중 위계문화만 부(-)의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핵심어 : 조직문화, 조직공정성, 조직침묵, 조직몰입

      • 취업주부의 다중역할 수행에서의 정서경험 : 자기구획화 및 자기조망의 조절효과

        정선영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working homemakers who performed multiple roles had different emotional experiences according to their way of self-compartmentalization and of viewing themselves in a bid to verify the effect of their self- compartmentalization and self-view. Defining one's own structure based on the level of compartment- alization refers to polarized structuralization of oneself. That is, one's own aspects that he or she considers important is structuralized as belief based on positive emotion, and one's own aspects that he or she considered unimportant is structuralized as belief based on negative emotion. Such a bipolar structure appears when one takes a single view of himself or herself. In the event of working housewives, what aspects of their own they consider important depends on whether they take a relationship-oriented or achievement-oriented view of themselves. Those who take an achievement-oriented self-view attach importance to their roles as office workers, and those who take a relationship-oriented self- view give weight to their roles as homemakers. In contrast, structuralizing oneself in a dualistic way means that he or she takes a dual-view of himself or herself. So those with a double-view structuralize themselves by owning both types of belief that are respectively based on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It's assumed in this study that working homemakers might compartmentalize themselves better when they have a single self-view, and that they might be less stressed about the performance of multiple roles and undergo less stress-related emotional changes when they take a double self-view. After a pilot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instruments to evaluate self-compartmentalization and self-view,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by including different sorts of scales that respectively covered self- compartmentalization/self-view, job stress, maternal stress, stress as a spouse, positive/negative emotion and depress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56 working housewives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Busan,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to gather data.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of housewives that had a relationship-oriented single self-view compartmentalized themselves significantly more than the group that took a double self-view. The hypothesis that the single self-view group might excel the double self-view group in self- compartmentalization was accepted in part, as only the relationship- oriented single self-view group surpassed the double self-view group in that regard. Second, in terms of stress about multiple roles, the housewives that took a double self-view suffered less stress as homemakers and company employees than the others who took a single self-view or took no view of themselves. The group with achievement-oriented self-view felt more stress as housewives than the others, while the relationship- oriented self-view group underwent more stress about the roles of office workers than the others. Third, as for emotional changes triggered by multiple-role stres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ort of self-view and stress level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their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but their changes in depression was under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ype of self-view and stress level. The stress level made no difference to the depression scores of the double self-view group, but in the groups with a single self-view and without any self- view, those who were more stressed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depression. In the low-stress group, the type of self-view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 to depression, whereas that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 depression of the high-stress group. The findings backed up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that a double self-view might be effective at regulating emotion in times of severe stress. According to Showers(1996), the experience of self-reflection was not effective at recovering from negative emotion in a group whose compartmentalization was at a higher level, but in another group whose compartmentalization was on a higher level, that was effective. The findings of the study also showed that the double self-view group that could be defined as a group whose compartmentalization was at a lower level controlled their depression or negative emotion in highly stressful situations. If it's believed that their self-reflection produced that effect, self-reflection could be said to make it possible for them to look at themselves from another perspective, to differentiate themselves and eventually to enlarge their self-view. In the long run, it could be said that enlarged self-view deterred the housewives from looking at themselves negatively and thereby from making a perverted self- evalu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an enlarged self-view made it possible to look at stressful incidents from multiple angles, and that it was one of mediating variables that functioned as a buffer in preventing stress from turning into negative emotion or depression. Clients who have been thrown into emotional confusion because of stressful incidents get to see the incidents in a new light and undergo less negative emotion or depression when they learn to take an enlarge view of themselves.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helping clients to take an enlarged self-view and interpret stressful incidents from a new perspective might be one of efficient therapeutic counseling mechanisms. 이 연구는 다중역할을 수행하는 취업주부들의 정서경험이 자기를 구획화하는 방식에 따라 그리고 자기에 대해 단일조망을 갖는가 이중조망을 갖는가에 따라 달라지는지, 즉 자기-구획화 및 자기조망의 정서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자기에 대한 구조를 구획화 정도로 정의하는 것은 자기가 중요시하는 자기의 측면을 긍정적 감정가를 갖는 신념으로 중요시하지 않는 자기의 측면을 부정적 감정가를 갖는 신념으로 구조화하는, 즉 양극적으로 구조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양극적 구조는 자기에 대해 하나의 조망을 가질 때 나타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취업주부의 경우, 자기에 대해 관계조망을 갖는가 아니면 성취조망을 갖는가에 따라 자기의 중요한 측면이 달라진다. 성취조망을 가진 취업주부는 직장인 역할을 중요시하고 관계조망을 가진 취업주부는 주부 역할을 중요시한다. 이와 달리 자기를 이원적으로 구조화한다는 것은 자기에 대해 이중조망을 갖는 것이다. 성취조망에서 보면 직장인 역할이 중요하고 관계조망에서 보면 주부 역할이 중요하다. 따라서 이중조망을 갖는 경우 자기의 각각의 측면에서 긍정적 감정가를 갖는 신념과 부정적 감정가를 갖는 신념이 공존하는 방식으로 구조화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취업주부가 자기에 대해 단일조망을 가지면 이중조망을 가질 때 보다 자기-구획화의 정도가 높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취업주부가 자기에 대해 이중조망을 가지면 단일조망을 가질 때보다 다중역할 스트레스를 낮게 경험하며, 스트레스로 인한 정서변화의 폭이 적을 것이라 가정하였다. 이 연구는 자기구획화 및 자기조망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예비연구 단계를 거쳐 자기구획화 및 자기조망 척도, 직무스트레스 척도, 양육스트레스 척도, 부부역할 스트레스 척도, 긍정적・부정적 정서 척도, 우울 척도로 질문지를 구성하여 서울, 경기, 부산 지역에 거주하는 취업주부 25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일조망 집단 중 관계조망 집단의 경우 이중조망 집단에 비해 자기 구획화의 정도가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단일조망 집단이 이중조망 집단 보다 자기구획화 수준이 높을 것이라는 가설은 관계조망 집단에서만 지지되었다. 둘째, 다중역할 스트레스에 있어서 이중조망 집단은 단일 조망 집단과 무조망 집단에 비해 주부 역할 스트레스 및 직장인 역할 스트레스를 낮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취조망 집단은 다른 집단들보다 주부 역할 스트레스를 높게 경험하며, 반대로 관계조망 집단은 다른 집단들에 비해 직장인 역할 스트레스를 높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중역할 스트레스로 인한 정서변화에 있어서 긍정적, 부정적 정서의 경우 조망집단과 스트레스 수준 간에 상호작용이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우울정서 변화에 있어서 조망집단과 스트레스 수준간에 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이중조망 집단은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우울점수의 차이가 없었지만 단일조망 집단과 무조망 집단에서는 스트레스가 높으면 우울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저 스트레스 집단에서는 조망 집단간에 우울의 수준이 유의하게 차이가 나지 않는 반면 고 스트레스 집단에서는 조망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에 대한 이중조망이 스트레스가 높아지는 경우 정서를 조절하는 효과를 가질 것이라는 본 연구의 가설을 지지하는 것이다. Showers(1996)는 부정적 정서로부터 회복하는데 자기성찰의 경험이 구획화 정도가 높은 집단에서는 비효과적이었으나 구획화 정도가 낮은 집단에서는 효과적이라는 것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도 낮은 구획화 집단의 일부 유형이라고 할 수 있는 이중조망 집단의 경우 고스트레스 상황에서 우울이나 부정적 정서를 조절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 결과를 자기성찰의 효과로 해석한다면, 자기성찰은 자기를 하나의 조망으로 바라보는 데에서 또 다른 조망으로 자기를 바라보게 됨으로써 자기를 분화시키고 자기에 대한 조망을 확대시키는 것이라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조망확대는 자기의 부정적 측면으로부터 전체적인 자기에 대한 평가가 오염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조망의 확대는 스트레스 사건에 대해 다원적인 평가를 가능하게 하여 스트레스 사건으로 인한 부정적 정서경험이나 우울 증상으로의 진행을 완충하는 중재적 변인임을 알 수 있다. 자기에 대한 조망의 확대가 일어날 경우 스트레스 사건에 대해 정서적 혼란을 경험하던 내담자가 스트레스 사건을 새로이 갖게 된 조망에서 재평가함으로써 부정적 정서 내지는 우울 정서를 적게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즉 이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자기에 대한 조망을 확대하여 스트레스 사건을 새롭게 해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상담치료 기제 중 하나가 될 수 있다는 점이다.

      •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위에 대한 인식 및 실천 정도

        정선영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위에 대한 인식 및 실천정도를 파악하고 그 상관성을 분석하여 환자의 의료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전국 2․3차 의료기관의 응급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191명이었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07년 7월 1일부터 동년 7월 30일까지였다. 자료 분석은 SPSS PC 12.0 프로그램으로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위에 대한 총 인식정도의 평균점수는 5점 만점 중 4.24±0.30점, 총 실천정도의 평균점수는 5점 만점 중 3.51±0.26점이었다.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위에 대한 영역별 인식정도와 실천정도 및 차이는 의사소통영역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직접간호업무영역, 환자정보관리영역 순이었으며, 연계업무영역이 가장 낮았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위에 대한 인식정도는 30세 이상이 30세 미만보다(t=-2.42, p<.05), 책임간호사가 일반간호사보다(F=3.78, p<.05), 응급실 근무 경력 5년 이상이 5년 미만보다(t=-1.99, p<.05) 그리고 의료정보 보호와 관련된 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t=2.12, p<.05)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위에 대한 실천정도는 30세 이상이 30세 미만보다(t=-2.46, p<.05), 책임간호사가 일반간호사보다(F=3.32, p<.05), 총 임상경력 5년 이상이 5년 미만보다(t=-2.10, p<.05) 그리고 의료정보 보호와 관련된 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t=4.24, p<.05)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4) 대상자의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위에 대한 인식정도와 실천정도간의 상관계수는 r=.56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보여 인식정도가 높을수록 실천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1). 환자정보관리영역의 상관계수가 r=.54로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고(p<.01), 연계업무영역의 상관계수는 r=.28로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위에 대한 인식과 실천정도간의 상관관계가 가장 낮았다(p<.01). 본 연구의 결과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위에 대한 인식정도와 실천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므로 응급실 간호사들의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위에 대한 인식정도를 높이기 위한 일반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 구체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실천정도를 높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웹 기반 토론 학습에서 학습자 통제 소재가 상호작용과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정선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55

        웹 기반 학습에 있어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는 여러 측면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웹 기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내용, 교수자 및 운영자, 학습자, 학습형태, 지원 환경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 중 학습자가 상호작용에 참여하는 정도는 학습자 요인과 관련되어있다는 가정 하에 많은 실험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정인성, 1999). 학습자 특성 중 내외 통제 소재란 학습자의 신념과 관련하여 행동의 결과에 대한 책임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내적 또는 외적으로 구분하는 것으로, 학습 상황에서 학습 과정을 이해하는 수단으로 제안되어지고 있다(Rotter, 1966). 그러나 웹 기반 학습에서 학습자의 내외 통제 소재가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인지에 대한 일관된 연구결과가 보고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 기반 토론 학습에서 학습자의 내외 통제 소재에 따라 상호작용의 양과 메시지 내용, 성취도에 차이가 있는지 좀더 심도 있게 살펴봄으로써, 웹 기반 교육에서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요인을 밝혀내는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웹 기반 토론 학습에서 학습자의 내외 통제 소재가 학습자간 상호작용의 양에 영향을 미치는가? 2. 웹 기반 토론 학습에서 학습자의 내외 통제 소재가 학습자간 상호작용 메시지의 내용에 영향을 미치는가? 3. 웹 기반 토론 학습에서 학습자의 내외 통제 소재가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S대학에서 웹 기반 통합형 수업을 수강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웹 기반 토론 학습은 강의 계획에 따라 정해진 기간 동안에 학습자들이 자신이 편리한 시간과 장소에서 비동시적으로 참여할 수 있었으며, 연구기간 동안 총 3개의 주제에 대한 토론이 이루어졌다. 학습자의 내외 통제 소재 측정은 Rotter(1966)의 내외 통제 척도(Internal-External Scale: I-E Scale)를 사용하였고, 상호작용의 양적분석은 학습자가 전체 토론방과 소그룹 토론방에 올린 메시지의 개수를, 메시지 내용 분석은 학습자가 게시한 토론 메시지를 Henri(1992)의 내용 분석 도구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토론이 끝난 후 토론 학습과 관련된 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첫째, 학습자의 내외 통제 소재에 따라 웹 기반 토론 학습의 상호작용 양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내적 통제 소재 집단이 게시한 메시지 개수와 외적 통제 소재 집단이 게시한 메시지 개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1.953, p>.05). 이는 컴퓨터 통신 학습과 관련된 요인 분석에서 외적 통제 소재는 전자우편에서 메시지 양에 유의미한 예측변인이라는 최성희(1996)의 연구와는 다른 결과를 보이고 있으나, 최성희(1996)는 외적 통제 소재자가 전자우편을 사용하는 것은 상호작용을 위해서가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메시지를 읽기 위해서라고 했기 때문에, 자신의 토론 내용이 동료 학습자에게 공개되는 웹 기반 토론 환경에서는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웹 기반 토론 학습에서 학습자의 내외 통제 소재는 토론 메시지의 내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는 것으로 나타났다(c² =1.251, p>.05). 이는 학습자의 내외 통제 소재가 가상수업에 참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김은옥(1998)의 연구와 외적 통제 소재는 원격교육과 비디오 컨퍼런싱의 성공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Osborn(2001)의 연구 결과와 맥락을 같이하고 있다. 셋째, 학습자의 내외 통제 소재에 따라 웹 기반 토론 학습의 성취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내적 통제 소재 집단(M=89.26)이 외적통제 집단(M=79.26)에 비해 높은 성취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t=2.627, p<.05). 이와 같은 결과는 내외 통제 소재는 학업성취를 예언해 주는 중요한 학습자 변인으로 작용한다는 Leftcourt(1982)의 견해와 일치하며, 컴퓨터 기반 학습에서 통제 소재가 학업 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Klein, Keller(1990)의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웹 기반 학습에서 학습자의 내외 통제 소재가 상호작용의 양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보다 명확한 결론을 위해서, 토론 게시판 뿐만 아니라 전자우편과 같이 공개되지 않은 상호작용 등을 비롯한 다양한 기준을 가지고 상호작용의 양적 측면을 측정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토론 학습에서의 상호작용 뿐만 아니라 전자우편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상호작용 환경에서의 메시지 내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에서의 메시지 내용에 대한 후속 연구도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학습자의 내외 통제 소재와 집단 구성 방식에 따른 상호작용의 차이를 분석하는 후속 연구가 진행된다면 학습자 내외 통제 소재와 상호작용에 관한 좀 더 심도 있는 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넷째, 본 연구에서 웹 기반 토론 학습에서도 내외 통제 소재가 성취도를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이라는 것을 증명하였고, 이는 Leftcourt(1982)의 견해와 일치한다. 계속적으로 웹 기반 토론 자체에 대한 결과인 토론 내용에 대한 완성도와 내외 통제 소재간의 관계를 밝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is paper examines interactivity using World Wide Web-based discussion Learning in relation to learners’ locus of control in a web-mediated learning environment. Through a learning process individuals will develop the belief that certain outcomes are a result of their action(internal) or a result of other forces independent of themselves(external)(Rotter, 1966). The locus of control is used as a vehicle to interpret the learning process in the web-based learning situation. In light of applying web discussion to web-based instruction, relationship between quantitative interactivity, content, and academic achievement, focusing on locus of control are addressed. Thirty students who take a course via the Web at S University participated in web conferencing three times within a certain time frame for this study and they accessed the system asynchronously. Rotter I-E Scale was used to measure locus of control and frequency of posting messages in a discussion board was used as an indicator to analyze the quantitative interactivity. Also Henri Content Analysis Model was used to classify the content of the posted messages.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a) The relationship between locus of control and quantitative interactivity was insignificant (t=1.953, p> .05). (b) The relationship between locus of control and contents of web discussion was insignificant (xy = 1.251, p> .05). (c) The subjects who had internal locus of control(M=89.26) than those who had external locus of control(M=79.26) showed significant academic achievement (t=2.627, p<.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