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패션모델의 직무수행 능력에 관한 연구

        양의식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study is intended to figure out and structuralize job performance competency of fashion models into 'competency group'-'competency'- 'criterion' which can contribute to the overall education activities to develop professional job skills of fashion models. Those activities include nurturing programs, retraining programs, and self-assessment, etc. The procedure and contents of the stud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im to identify a specific job of current fashion models and to define a job that can be reflected on a nurturing program by carrying out job analysis. After drawing out a job that can be reflected on a retraining program aimed for current fashion models, job performance competency of fashion models was defined and structuralized on the basis of perspective of experts. To draw a job performance competency, Delphi survey was used as a major research method and conducted three times of Delphi survey with the selection of 25 members of Delphi. The result of DACUM for jobs that should be performed by fashion models was structuralized into 86 tasks based on seven duties. As a job that should be learned at the entry level and can be reflected on a nurturing program, there were 32 tasks with six duties. And 52 tasks with six duties for a job that can be reflected on a retraining program were also structuralized. On a basis of the results of DACUM and Delphi survey, the job performance competency of fashion models were structuralized into four of 'competency group', ten of 'competency', and 34 of 'criterion'. 본 논문은 패션모델의 양성교육프로그램과 재교육프로그램, 패션모델의 자기평가 등 패션모델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제반 교육활동에 기여할 수 있는 패션모델의 직무수행능력을 ‘능력군’- ‘능력’- ‘기준’으로 규명하여 구조화 하는 데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의 절차와 내용은 첫째, 직무분석을 통하여 현직 패션모델의 구체적인 직무와 패션모델의 양성교육프로그램에 반영 가능한 직무를 규명하고, 둘째, 현직 패션모델을 대상으로 하는 재교육프로그램에 반영 가능한 직무를 도출한 후, 최종적으로 전문가의 인식에 기초하여 패션모델의 직무수행능력을 규명하여 구조화 하는 것이다. 패션모델의 직무수행능력을 도출하기 위하여 델파이 조사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델파이 위원 대상자 25명을 선정하여 세 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패션모델이 수행해야 하는 직무에 대한 데이컴 결과는 첫째, 7가지 임무(duty)에 따른 86가지 과업(task)으로 구조화되었고, 둘째, 패션모델의 입직초기에 익혀야할 직무로서 패션모델의 양성교육프로그램에 반영 가능한 직무는 6가지 임무(duty)에 따른 32가지 과업(task)으로, 셋째, 재교육프로그램에 반영 가능한 직무는 6가지 임무(duty)에 따른 52가지의 과업(task)으로 구조화되었다. 데이컴 결과와 델파이 조사 결과를 토대로 패션모델의 직무수행능력을 규명한 결과는 4가지의 직무수행 ‘능력군’과 10가지의 ‘능력’, 34가지의 ‘기준’으로 구조화 되었으며, 패션모델의 직무수행능력을 ‘능력군-능력-기준’으로 구조화하였다.

      • 패션모델의 신체, 워킹, 포즈에 대한 미적 고찰

        한설희 國民大學校 2005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패션모델의 신체, 워킹 및 포즈에 대한 미적 고찰을 통하여 패션모델의 전문성을 고양하고, 교육 자료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데에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하여 패션모델의 의상을 표현하는 주체로서의 신체, 그리고 의상의 성격과 이미지를 표현하는 동적 기술방법인 패션모델의 워킹과 정적 표현방법인 포즈를 개념, 구성, 표현으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패션에서 패션모델의 신체미는 모델의 신체 이미지를 통한 의사소통 과정에서 느껴지는 아름다움으로, 패션모델의 신체를 통한 미의 추구라 할 수 있다. 패션모델의 신체미를 표현하는데 필요한 요소들은 신체조건, 팔과 다리의 움직임, 그리고 얼굴표정으로 나누며 작은 얼굴, 긴팔과 긴다리 등의 조화로운 균형미와 비례가 패션모델에게 요구되는 신체조건이다. 패션모델의 다리는 워킹과 포즈의 주체가 되며 신체는 비례와 조화를 이루어야 아름다움이 표출된다. 패션모델의 팔은 다양한 위치에서 다양한 동작을 구사함으로써 워킹이나 포즈에서 보조의 역할을 담당한다. 패션모델의 얼굴표정에는 의상의 성격을 내포하는 이미지가 있다. 패션모델은 연기를 통하여 워킹과 포즈의 효과, 의상의 이미지를 가중시킨다. 그러므로 패션모델의 신체는 패션을 위하여 존재하는 것이다. 패션모델의 워킹동작은 인간의 신체를 통해 표현되는 걷기 동작 기술의 독특한 측면으로, 표현이라는 목적달성을 위한 기술성이 요구되는 동작이다. 그것이 동작기술의 보편적 기술성과 예술적 심미성이라는 특징을 지니게 되는 것이 패션모델의 워킹미이다. 워킹미의 구성요인은 움직임의 지속시간과 속도, 각도와 범위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따라서 워킹미의 표현요소는 신체미의 표현을 도우며, 바른 자세를 통한 의지와 자신감을 표현하고 있으며, 또한 패션모델 고유 워킹법의 바른 자세와 리듬감에 그 성패가 달려있다. 패션모델의 포즈는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가장 아름다운 정지 동작표현으로, 워킹과 턴을 적절하게 포착하여 연결시키고 디자이너가 의도하는 의상의 의미를 강조한 동작으로 압축시킨 형태이다. 포즈미를 구성하는 요인은 내면요인, 형식요인, 조화요인, 표상요인 등이 있다. 내면요인은 디자이너의 특성과 의상의 성격, 의상의 시대적 배경과 역사, 사회, 문화, 유행 등을 고려하여 의상이 요구하는 역할의 인물로 자신을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형식요인은 의미를 압축하여 상징적인 동작으로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조화 요인은 내면요인과 형식요인을 조화 시키는 것으로 무대, 특수효과, 장신구 및 소품, 음악, 조명 등 패션쇼 자체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응용되는 극적 요소가 필요하다. 표상의 요인은 패션모델의 내면적 표현 연기력을 의미한다. 패션모델의 얼굴을 통한 내면적 연기력이 의상과 모델을 종합적으로 이해시키며 총체적 표현을 형성하는데 기여한다. 따라서 포즈미의 표현요소는 표현방법의 다양성, 표현방법의 자연성, 내면적 연기력 등이다. 패션모델의 신체는 아름답다. 그 아름다움은 건강한 신체의 활동표현에서 비롯된다. 패션모델은 무대에서 활동적 에너지를 발산하고, 다양한 패턴의 감정을 묘사하며 의상의 이미지를 상징적으로 표현한다. 이러한 표현을 아름답게 하기위한 움직임이 워킹과 포즈이다. 단순한 몸짓에서 의도적으로 연출된 몸짓까지, 다양한 신체표현을 위하여 패션모델은 지속적인 훈련과 자기 통제하에 새로운 신체언어를 창조하는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at enhancing professionalism of fashion models and providing educational materials by aesthetically contemplating body, walking and pose of fashion models. To this end, I described 'Body' as a subject expressing clothes of fashion models, 'Walking' of fashion models as a dynamic descriptive way to express characteristics and images of clothes, and 'Pose' as a static expressional way, by concept, construction and expression. Physical beauty of fashion models in fashion, beauty felt during communicational process through physical images of models, is pursuit of beauty through body of fashion models. Factors needed to express physical beauty of fashion models are physical conditions, motion of arms and legs, and facial expression. Harmonized and balanced beauty and proportion of small face, long arms and legs are Physical conditions required to fashion models. Legs of fashion models, a subject of Walking and Pose, can display beauty only when being harmonized with physical proportion. Arms of fashion models serve as a assistant in Walking or Pose by displaying various motions in various positions. Facial expression of fashion models has images implying characteristics of clothes. Fahion models enhance efficiency of Walking and Pose and images of clothes through acting. In this regard, Body of fashion models exists for fashion. Walking motion of fashion models, a particular aspect of Walking motion technique expressed through human body, requires technique for purpose of expression. If it attains characteristics of general technique of motion technique and artistic aesthetics, it can prove Walking beauty of fashion models. Walking beauty is composed of duration and speed of motion, angle and range. In this respect, the expressional factor of Walking beauty, expression of willingness and self-confidence through right body posture, helps expression of physical beauty. Besides, it depends on right body posture and a sense of rhythm. Pose of fashion models, the most beautiful static motion produced in usual life, is a compressed form that connects Walking and Turn in a proper way, and emphasizes the meanings of clothes designers intended. Pose beauty is composed of internal factors, formal factors, harmonic factors and representative factors. Internal factors are to make oneself play a role that the clothes require, by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designers and clothes, temporal background and history of clothes, social and cultural factors and contemporary trend. Formal factors, as expressional means to express internal factors, are to compress meanings of various factors and express them through symbolic motions. Harmonic factors, serving as an intermediary of internal factors and formal factors, require dramatic factors that are applied in order to enhance efficiency of fashion shows such as special effect, accessories, property, music and lighting. Representative factors mean psychological expression of fashion models. Representative factors through facial expression of fashion models can got clothes and models through and contribute to forming whole expression. In this respect, expressional factors of Pose beauty are diversity of expressional methods, naturalness of expressional ways and internal acting. Body of fashion models is beautiful. The beauty results from healthy physical activities. Fashion models display energies, describe various patterns of emotions and express characteristics of clothes in a symbolic way on stage. Walking and Pose are motions to beautify these expressions. Fashion models create a new physical language through constant training and self-control in order for diverse physical expression ranging from simple motions to intended ones.

      • 패션모델의 직업전환 인식에 대한 연구

        이루영 가톨릭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Fashion model should have tall height and slim body shape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fixed appearance and because of these physical features, they cannot be freed from the age so shift to retirement, new jobs or related jobs is needed depending on the natural changes in physical strength and appearance, body shap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professionally high quality human resources such as fashion models to adjust to the society and to present it, utilize it as an important standard index in model industrial aspect by reviewing current status quo and project regarding the plan after retirement of fashion models generally, multilaterally in our country so that they can create new activity opportunities not losing professionalism even after retirement that our fashion model has accumulated, acquired during the short working terms related to other general jobs. To accomplish this study purpose, we studied about the research project afterwards and limits in the study. First, we studied theories and aspects about job shift of fashion models by referring to literatures, data and pilot studies that exist now about fashion model and job shift in our country. Second, at the background of fashion model experience more than 5~15 years, survey was done about total 50 fashion models who are 37 females and 13 males compose of models such as related field experts who have already finished job shift of are preparing for it while working as a fashion model even now then recognition about job shirt of fashion models, preparation status quo of job shirt and method were understood through in-depth interview and descriptive survey. Third, environment creation plan was pursued for job shift activation after diagnosing problems or difficulties upon job shift examining cases of job shift of fashion models. As a result, fashion models generally start to work from their late 10s to early 20s which is somehow low age as a beginner in the society, and currently, that age is becoming low and low. Having started their worklife at such a young age and encountering the time when they have to prepare for job shift for new, different environment outside the frame of the fashion models because they have to retire without any preparation, they face numerous unintended problems. Those things come as many difficulties and the burden can’t be even explained. When preparing for another new job shift outside the fashion and many working field, fashion models face many unintended problems and the biggest part of it in the preparation process was the time limit due to working schedule of models which is not regular when they have to learn something or acquire certificates to strengthen professional capabilities that they wish to pursue. Aside from it, there were nearby environment, age, physical conditions and economic status. Besides, it was shown that they feel lacking condition in the present and regard the need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s such as career acceptance centering on the field work and absence of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most importantly. Securement of knowledge information for job shift was mainly from cases focused on social relationship through juniors, seniors, acquaintances or sometimes through Internet or professional journals, but in reality, it was shown that job introduction through acquaintances took the large part. Limits of this connection focused on social relationship in the situation where work is lacking are the biggest problems and difficulties, factors that cannot be neglected in relationship connection at the same time. Likewise, since fashion models engross themselves in working as fashion models from the young age, there exist difficulties due to time limits for job shifting education or wide social relationship. Thus, it would be a very good plan if systematic career acceptance for smooth job shift as well as activating, constructing educational program for job shift after retirement or in preparation stage for retirement after experiencing fashion model works widely, variously.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there is need for discussion and study about professionalism of fashion models in preparation for early retirement and job shift due to features of fashion models and it lets us know that endeavors for prior preparation and improvement in related fields of model individuals are needed so that that professional ability, professionalism can be demonstrated continuously. 패션모델은 일정한 외모의 기준에 따라 큰 키와 날씬한 몸매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신체적인 특성 때문에 나이로부터 자유로울 수가 없으며 이는 외모나 체형 그리고 체력 등의 자연스러운 변화에 따라 은퇴 또는 새로운 직업이나 관련 직업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적인 직업에 비하여 활동기간이 짧고, 그 활동기간동안 습득하고 축적된 패션모델들이 갖추고 있는 전문성을 은퇴 이후에도 잃지 않고 새로운 활동 기회를 창출할 수 있도록 우리나라 패션모델의 은퇴 시기나 은퇴 이후 대책에 관한 현재의 실정과 과제를 총체적, 다각적으로 검토함으로서 앞으로 패션모델과 같은 전문 고급인력들이 사회에서 적응하며 모델산업 차원에서 중요한 준거 지표로 제시, 활용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과제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첫 번째로 우리나라의 패션모델과 직업전환에 대한 기존의 선행연구, 문헌 및 자료 등을 참고함으로서 패션모델의 직업전환에 관한 이론과 관점에 대해서 고찰하도록 하였다. 두 번째, 5년~15년 이상의 패션모델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현재 패션모델로 활동 중이면서 직업전환을 준비하고 있거나 이미 직업전환을 마친 관련업계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모델 여자 37명과 남자 13명, 총 50명의 패션모델들에 대하여 설문을 실시하여 패션모델들의 직업전환에 대한 인식, 직업전환 준비실태 및 방법 등을 심층면담과 서술적 설문조사 등을 통하여 파악하였다. 세 번째, 패션모델의 직업전환 사례에 대하여 살펴보고 직업전환 시 애로사항이나 문제점을 진단하여 보고 직업전환 활성화를 위한 환경조성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그 결과 패션모델들은 일반적으로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부터 활동을 시작하게 되는데 이는 사회초년생의 나이로는 다소 낮은 연령으로 현재에 와서는 그 연령대가 더욱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렇게 어린 나이에 시작하여 아무런 준비도 없이 은퇴의 시기가 되어 패션모델이라는 틀 안에서 벗어나 새로운 다른 직업전환을 준비해야할 시기가 다가올 때, 그들은 여러 가지의 뜻하지 않는 문제들과 부딪히게 된다. 그러한 것들이 여러 가지 애로사항으로 다가오며 그 부담감은 이루 설명 할 수가 없다. 패션 및 다양한 활동 분야의 울타리에서 벗어나 또 다른 새로운 직업전환을 준비 할 때에 패션모델들은 여러 가지 뜻하지 못한 문제들에 직면하게 되는데 그 준비과정 중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는 전환하기 희망하는 직종의 전문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자격증 취득이나 또는 배워야 하는 것들이 있을 때에 규칙적이지 않은 모델들의 활동 스케줄로 인한 시간적 제약의 문제가 있었다. 그 외에 주변 환경, 나이, 체력적인 이유와 경제적인 여건 등이 나타났다. 또한 현재의 여건은 매우 부족하게 느끼고 있으며 교육기관의 부재와 현장실무 중심의 경력인정 등 환경적 개선의 필요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전환을 위한 지식정보의 확보는 선, 후배 및 지인들을 통한 인맥중심의 사례가 대다수였으며 간혹 인터넷이나 전문 서적을 이용하는 하는 것이 전부였는데, 현실적으로 지인의 소개로 이루어지는 직업소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자리도 부족한 상황에서 이러한 인맥 중심 연결망의 한계는 가장 큰 문제점이자 애로사항임과 동시에 인맥 연결망의 간과할 수 없는 요소이다. 이렇듯 패션모델들이 어린나이로부터 패션모델로의 활동에 전념하다보니 폭 넓은 대인관계나 직업전환교육을 위한 시간적 할애를 못 하는 부분으로 인한 애로사항으로 분석된다. 즉 패션모델 활동을 폭 넓게 다양하게 경험한 뒤 은퇴 준비단계 또는 은퇴 후 직업전환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구축하고 활성화 하여야 하고 원활한 직업전환을 위한 제도적인 전문성 인정이 이루어진다면 좋은 방안이 될 것이다. 이러한 조사 결과들을 통하여 패션모델의 특성상 빠른 은퇴와 직업전환을 대비하여 패션모델의 전문성에 대한 논의와 연구가 필요하며 그 전문능력, 전문성을 지속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모델 개개인 및 관련업계의 개선과 사전 준비를 위한 노력들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패션모델 이미지 메이킹에 관한 연구

        윤은주 경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패션모델은 패션산업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필수적 요소로 각광받고 있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모델의 영역이 점차 확대됨에 따라 이제는 보다 전문적인 직업군으로 전문화된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모델 현장 교육에서 모델을 위한 이미지 메이킹 교육과정이 미흡하여 모델들이 필요로 하는 부분을 개선하기 위해 인터뷰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델 활동 시 패션모델들이 느끼는 문제점으로 65명중 55명(약 84.6%)의 모델들이 전문 관리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이는 비율에 대한 Z 검정을 통해 검정되었다. 둘째, 모델 에이전시, 전문대학 모델학과, 4년제 대학 모델학과의 교육과정을 조사, 분석한 결과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의 교육과정에서는 이미지 메이킹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반면 모델 에이전시에서는 이미지 메이킹, 이와 관련한 과목의 포트폴리오 교육이 없다. 또한 이미지 메이킹 관련 과목인 인체와 체형관리에 관한 교육이 부족하다. 따라서 모델들이 문제점으로 지적한 이미지 메이킹 전문 관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 외에도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내적 이미지 메이킹 분야의 요가, 다도, 명상, 컬러테라피(color theraple) 등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이 결과를 토대로 모델 에이전시에서 필요로 하는 이미지 메이킹 프로그램을 [표9], [표10]과 같이 3개월 과정, 5개월 과정의 패션모델 이미지 메이킹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앞으로 남자모델과 여자모델의 차이점, 내적 이미지 메이킹을 위한 과정 연구 등을 지속적으로 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pecialized image making management program as a fashion model for the people who dream to be a fashion model and so to develop the image making program suitable for it for even fashion model to be a more systematic and specialized profession group through the research on this fashion model image making at the point of time when the area of fashion model is increasingly expanded, since the fashion model has a higher dependence on not only fashion but also various fields in modern society than previous times and a fashion model has an absolute influence on the public relation or sale of an enterprise. As the method of study, the interview was performed for the people who now act as fashion models and Z official approval was executed for the data. And additional purpose is to develop the fashion model image making program by analyzing the educational courses on the image making of model agency and the curriculum related to image making of dept. of model, each university in the whole country. As a result of study, first, it was found the controversial points the fashion models feel in their model activities are 55(about 84.6%) among 65 model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specialized management program. And this was officially approved through Z approval to its ratio. Second,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curriculums of model agency and dept. of model of college and university, the image making is included in the curriculum of both college and university, but the portfolio education of concerned course wasn't in model agency. Additionally, the education on body and form control which are the courses related to image making is insufficient. Accordingly, the specialized image making management program is required, which was pointed out as a problem by models.

      • 한국 패션모델 에이전시 산업연구 : 모델라인의 사례를 중심으로

        장정인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국 패션을 표현하는 주체인 패션모델의 전개양상을 시대별로 살펴보고 그 흐름속의 패션모델의 행보와 활동영역의 확장 및 전문화 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아울러 인터뷰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여 앞으로 우리나라 패션에이젼시의 전망과 패션모델들의 영역확대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패션관련 각종 자료와 선행연구들을 통한 문헌고찰과 인터뷰를 통한 실증분석을 병행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국내패션 시장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패션모델들이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여야 한다. 국내패션산업의 침체로 인해 패션모델들이 활동할 수 있는 기회가 적고, 수익적인 부분이 불투명하다는 문제점이다. 즉, 패션에이전시나 패션산업의 정체로 인해 이러한 요구사항과 토대가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전문 패션모델들에게 경제적으로 꾸준한 수입창출이 될 수 있는 일을 제공하고, 패션모델이 패션모델로써 활동에 매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되어져야 한다. 둘째, 국내 패션산업과의 연계를 통한 패션에이전시의 활성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국내패션에이전시의 활성화와 패션모델의 전문화를 위해 국내패션산업과의 연계를 통한 제휴 마케팅과 전략을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현재 국내패션산업 역시 침체기라는 점을 고려할 때 이는 일석이조의 효과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셋째, 해외진출을 통한 패션산업과 패션에이전시의 발전이다. 현대의 모델산업은 국경과 인종을 무시하고 발전하고 있고, 다양한 시도와 변화들이 일어나고 있다. 우리나라 모델에이전시의 활성화방안과 모델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에이전시의 산업화가 필요하고, 국내 패션 시장뿐만 아니라 세계시장으로 눈을 돌려 전문 패션모델들의 세계화와 활동영역의 증대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앞으로 패션에이전시의 전문화와 산업화를 통해 국내 전문모델들의 해외 진출과 성장을 시도하고, 더불어 국내 패션에이전시 시장의 영세성을 탈피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미국, 파리, 밀라노 등 세계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많은 모델들 중에서 신선하게 다가갈 수 있는 ASIAN FACE를 꾸준히 발굴하고 양성하여 혜박, 강승현, 한혜진 등과 같이 세계적인 모델로 성장 시켜 패션모델 에이전시의 국제 산업화에도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plans to examine the development aspects of fashion models - which represents the Korean fashion - by each periods, and study the expansion and professionalization of fashion models' arena throughout the time. It also aims at preceding interviews for analysis and presenting a general plan for the future of Korea's fashion agency as well as expansion of the field of fashion models. To do this, posi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through studies of literature on preceding researches, other fashion related materials, and interviews.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rom the analysis. First, there is a need to overcome the limits of domestic fashion market and provide an environment for the fashion models to work in. The problem is that, due to the stagnation in domestic fashion industry, there are less opportunities for the fashion models and the benefits are also obscure. The reality is, these demands and foundations are insignificant because of the congestion in the fashion agencies and the fashion industry itself. Therefore, work for the professional fashion models to earn a constant profit for their economic reasons, as well as an environment for fashion models to concentrate on their work should be provided. Second, the fashion agencies should revitalize themselves through connections with the domestic fashion industry. A cooperative marketing strategy concerning this connection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domestic fashion agencies and the professionalization of fashion model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is will end up serving a double purpose, keeping in mind that the domestic fashion industry is also currently in recession. Third is the development of fashion industry and fashion agencies through overseas expansion. Modern model industry is developing regardless of the national boundaries and race; various attempts and changes are taking place. For the revitalization of Korean model agencies and the development of model industry, industrialization of the agencies is essential and a program for globalization of fashion models by expanding the activities to not only the domestic market but also the world market is necessary. To do this, domestic professional models should grow through overseas expansion and try to break away from the insignificance of the domestic fashion agency market by professional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the fashion agencies. With this in mind, the search for ASIAN FACE models that can be freshly approached and that are active in the United States, Paris, Milano, and other parts of the world should continue. Along with the search, training for these models to become worldwide famous models like , Hye Park, Kang Seung Hyun , and Han Hye Jin should go on for the international industrialization of the fashion model agencies.

      • 패션모델의 性格과 職務스트레스가 離職意圖에 미치는 影響

        김인 湖南大學校 産業經營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패션모델의 성격과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기 위해 전국의 패션모델 중 현재 직업적으로 수입을 창출하고 있는 250명을 대상으로 연구 조사하였다. 실제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그 중 가장 활동력이 왕성한 20대와 30대로 선별하였으며 부적절한 대상과 무성의한 응답자를 제외한 150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패션모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성별, 결혼여부, 학력, 수입, 경력에 따라 직무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패션모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성별, 수입에 따라 이직의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패션모델의 성격(A타입 행동)은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집단갈등과 이직의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패션모델의 성격(A타입 행동),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에 대한 상관관계 중 이직의도와 직무스트레스(시설환경, 급여)는 부적상관을, 직무스트레스와 하위요인(부상상해, 집단갈등, 기술난이도, 관중호응)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다섯째, 패션모델의 성격과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급여, 집단갈등, 기술 난이도는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패션모델의 성격(A타입 행동)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성격(A타입 행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양적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피 실험자 설문 내용을 통계처리 절차에 따라 수리적으로 해석을 국한하였다. 따라서 차후 연구에서는 열악한 한국의 패션모델 층을 감안할 때 실험자 대상 선정에 양적인 폭을 늘리고, 그들의 스타성을 고려해서 직접 면접 또 질적 연구방법을 통한 심층적 연구가 필요하겠다. This study was based on the survey which was conducted a questionnaire of 250 fashion models' nationwide who are having income as a model to show how their personalities and job stress influence on their turnover intention. Data which gave unfaithful answers and gave no answer for five items a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and the remaining data from 250 respondents are analyzed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obtained and these 150 answers are selected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who are the most active models in the field.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tress according to sex, marriage status, education, income and career of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fashion models.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sex and income of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fashion models. Third, among the factors of job stress, fashion models' personalities(A Type Behavior) cause a demographical difference on their group complication and turnover intention. Forth, Among the correlation between fashion models' personalities(A Type Behavior),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 between turnover intention and job stress(equipment & environment, pay) and a demographical positive 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subfactors(accident & injury, difficulty of technique and audience response). Fifth, among the factors of fashion models' personalities and job stress, pay, group complication and difficulty of technique influence on their turnover intention. In this study, the analysis was done in the quantitative way on the relation of fashion models' personalities(A Type Behavior) and job stress and how fashion model's personalities(A Type Behavior) and job stress influence their turnover intention. Problems were limited to a mathematical interpretation by making respondents' questionnaire data and undergoing statistical processing. Thu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at Korean fashion models' ranges are not very wide, in a following research there should be more wide selection of subjects and direct interview and qualitative methode of researches.

      • 패션모델전공 대학생의 신체조성, 영양섭취 및 식이태도에 관한 연구

        류일서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극단적인 식이 다이어트를 하는 패션모델은 무용수, 체급조절 운동선수 등과 함께 신체조성과 영양상태의 불균형이 우려되는 직업이다. 이런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의 S대학의 패션모델전공 학생(남자 36명, 여자 37명)들을 대상으로 인바디 270을 이용한 신체조성과, 팻시크릿을 이용한 식사일지 작성, KEAT-26 설문지를 통한 식이태도 검사를 시행하였고, 섭식장애 고위험군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신체조성 결과 골격근량은 남자 모델군과 비모델군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여자 모델군과 비모델군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체지방량, BMI, 체지방률은 남녀 모두 모델군과 비모델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1일 에너지 요구량에서는 남녀 모두 모델군과 비모델군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1일 에너지 섭취량에서는 남녀 모두 모델군과 비모델군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영양소 섭취 현황에서는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식이섬유, 포화지방, 불포화지방, 나트륨에서 남녀 모두 모델군과 비모델군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설탕, 다가불포화지방, 콜레스테롤에서는 여자 모델군과 비모델군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칼륨에서는 남자 모델군과 비모델군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에너지 적정 섭취 비율은 남녀 모두 모델군과 비모델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식이태도 검사에서는 남자 모델군은 고위험군이 0명으로 나타난 반면, 여자 모델군은 총 37명 중 고위험군이 12명이나 나타났다. 여자 모델군을 대상으로 한 식이태도 고위험군과 정상군의 신체조성 및 에너지섭취량 비교에서 BMI는 여자 고위험군과 여자 정상군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식이태도 고위험군 12명 중 9명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에서 패션모델들의 극단적인 다이어트와 그로 인한 여러 가지 건강상 우려되는 부분들이 확인되었다. 패션모델을 대상으로 한 건강에 관련된 연구는 극히 드물다. 이 연구의 결과가 패션모델의 건강에 대한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가 되길 바라며, 후속 연구로는 영양 교육과 운동 중재 등의 실험 연구를 통해 패션모델들의 건강과 의식 개선에 일조하고자 하는 바람이 있다. 또한 향후 연구는 전문 패션모델들로 그 대상을 넓힌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Fashion models who follow an extreme dietary diet are concerned about imbalances in body composition and nutritional status, along with dancers and weight-balanced athletes. To investigate these characteristics, body composition using InBody 270, meal diary using Fat Secret, and diet through KEAT-26 questionnaire were conducted on students majoring in fashion modeling (36 males, 37 females) at S University in Seoul. Attitude tests were conduc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he high-risk group for eating disorders. As a result of body compos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keletal muscle mass between the male model group and the non-model group,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emale model group and the non-model group. Body fat mass, BMI, and body fat percenta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odel group and the non-model group for both men and wome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odel group and the non-model group in both men and women in daily energy requirement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aily energy intake between the model group and the non-model group in both men and women. In terms of nutrient intak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odel group and the non-model group for both men and women in protein, carbohydrate, fat, dietary fiber, saturated fat, unsaturated fat, and sodiu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female model group and the non-model group in sugar, polyunsaturated fat, and cholesterol, a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ale model group and the non-model group in potassiu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nergy intake ratio between the model group and the non-model group for both men and women. In the dietary attitude test, the male model group showed 0 high-risk group, while the female model group showed 12 out of 37 high-risk group. In the comparison of body composition and energy intake between the high-risk group and the normal group for dietary attitudes in the female mode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MI between the high-risk female group and the normal female group. In an interview with 9 out of 12 people in the high-risk group for dietary attitude, extreme diets of fashion models and various health concerns were confirmed. Studies on the health of fashion models are extremely rare.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basic data for subsequent studies on the health of fashion models, and as follow-up studies, there is a desire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health and consciousness of fashion models through experimental studies such as nutrition education and exercise intervention. In addition, future research seems to require additional research that broadens the subject to professional fashion models.

      • 패션모델의 가치관과 쇼핑성향이 의복구매동기 및 평가기준에 미치는 영향

        박근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research identified correlations among life values, shopping propensity, fashion purchase intentions and evaluation criteria for fashion models as well as analyzed the relation of the variables. This research also increased the market understanding level of the fashion model profession, provided practical information for the fashion industry,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a practical marketing strategy that targets fashion models.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urvey conducted on male and female fashion models; subsequently, the survey produced 388 useful responses for data analysis with SPSS 20.0.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life values of fashion models were classified as stable life/relationship pursuit, pleasure pursuit and achievement pursuit. Shopping propensity goals were derived as ostentation, trend, price, quality, individuality and practicality. Fashion purchase intentions were triggered by personal reasons, other people, practical usage and impulsive choices. Fashion evaluation criteria were categorized as social-psychological standards, functional standards and aesthetic standards. Second, the pursuit of stable life/relationship value influenced ostentation goals, shopping propensity trends. Practical, personal fashion purchase intention goals also indicated the results of the fashion model life values that influenced shopping propensity and fashion purchase intentions. Pleasure pursuing life values influenced individual shopping propensity as well as practical, personal, and impulsive fashion purchase intentions. Pursuing value in achievement significantly influenced shopping propensity and purchase intentions via other people. Third, the results of fashion models shopping propensity influenced fashion evaluation criteria. Fashion purchase intentions were also triggered by other people and personal reasons that influenced social-psychological standards. Price and quality aimed shopping propensity significantly influenced social-psychological standards, functional standards and aesthetic standards. Individuality shopping propensity influenced social-psychological standards; however, practical aimed shopping propensity influenced social-psychological standards and functional standards. Fourth, the results on how fashion models' fashion purchase intentions influenced fashion evaluation criteria indicated that purchase intentions triggered via other people and personal reason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ocial-psychological standards and aesthetic standards. Practical purchase intentions influenced social-psychological standards and practical standards along with the influence of impulsive purchase intentions on aesthetic standards. Fashion models' life values also influenced fashion evaluation criteria along with the pursuit of stable life/relationship values and pursuing pleasure values that influenced social-psychological standards and aesthetic standards. Achievement pursuit values influenced social-psychological standards. The difference analysis among fashion models' life values also influenced ostentation, trend, price, quality, individuality and practical shopping propensity. There were differences found in purchase intentions (via other people), personal reasons and practical reasons. Fashion evaluation criteria, social-psychological and aesthetic standards showed notable differences. Difference analysis results alo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dicated that gender caused a difference according to: trend, practical aimed shopping propensity, impulsive, practical, personal purchase intentions, social -psychological standards and aesthetic standards. Age caused differences among ostentation, trend, price, quality, individuality aimed shopping propensity, all fashion purchase intentions and fashion evaluation criteria. Marriage status caused differences between quality, individuality shopping propensity and practical purchase intentions; however, academic background caused differences in trend, quality aimed shopping propensity, fashion purchase intentions, social-psychological standards, aesthetic standards. There were differences in ostentation, trend, price, quality, individuality aimed shopping propensity, fashion purchase intentions, social-psychological standards, and aesthetic standards towards fashion model working period. There were differences in every factor concerning average monthly income.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ummarizes the influence of fashion models' life value, shopping propensity, fashion purchase intentions and evaluation criteria. It also summarizes how life values and shopping propensity are important when fashion models have purchase intentions and evaluation criteria. The results provide useful fundamental data to establish a fashion model and fashion industry strategy along with practical data on fashion models' fashion purchase behavior, shopping characteristics and public influence. The scope of activities for fashion models should be expanded on with future research on the range of various activities, communication methods, fashion influences, and further analysis on other consumer variables that will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for future fashion industry marketing. 본 연구는 패션모델이 삶을 살아가면서 지향하는 가치관과 쇼핑성향, 의복구매동기 및 평가기준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고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했으며, 패션모델의 가치관집단과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쇼핑성향, 의복구매동기 및 평가기준의 차이를 밝힘으로써 패션모델 직업군에 대한 시장의 이해도를 높이고, 패션업계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며, 향후 패션모델을 타깃으로 한 마케팅 전략수립에 유용한 정보와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남녀패션모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총 388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고,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모델의 가치관은 안정된 생활/관계추구, 즐거움추구, 성취추구로 분류되었고, 쇼핑성향은 과시지향, 유행지향, 가격지향, 품질지향, 개성지향, 실용지향으로 도출되었다. 의복구매동기는 타인적, 실질적, 개인적, 충동적 구매동기로 구분되었고, 의복평가기준은 사회ㆍ심리적, 기능적, 심미적 기준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패션모델의 가치관이 쇼핑성향 및 의복구매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안정된 생활/관계추구 가치관은 과시지향, 유행지향 쇼핑성향과 실질적, 개인적 구매동기에 영향을 미쳤고, 즐거움추구 가치관은 개성지향 쇼핑성향과 실질적, 개인적, 충동적 구매동기에 영향을 주었으며, 성취추구 가치관은 쇼핑성향과 타인적 구매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패션모델의 쇼핑성향이 의복평가기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과시지향 쇼핑성향과 유행지향 쇼핑성향은 사회ㆍ심리적 기준에 영향을 미쳤으며, 가격지향과 품질지향 쇼핑성향은 사회ㆍ심리적, 기능적, 심미적 기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성지향 쇼핑성향은 사회ㆍ심리적 기준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실용지향 쇼핑성향은 사회ㆍ심리적, 기능적 기준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패션모델의 의복구매동기가 의복평가기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타인적, 개인적 구매동기는 사회ㆍ심리적 기준과 심미적 기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실질적 구매동기는 사회ㆍ심리적, 기능적 기준에 영향을 주었으며, 충동적 구매동기는 심미적 기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패션모델의 가치관이 의복평가기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안정된 생활/관계추구 가치관과 즐거움추구 가치관은 사회ㆍ심리적 기준과 심미적 기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성취추구 가치관은 사회ㆍ심리적 기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패션모델의 가치관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가치관 집단별로 과시지향, 유행지향, 가격지향, 품질지향, 실용지향 쇼핑성향에서 차이가 나타났고, 타인적, 실질적, 개인적 구매동기에서 차이가 났으며, 의복평가기준의 사회ㆍ심리적 기준과 심미적 기준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일곱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 결과, 성별에 따라서는 유행, 실용지향 쇼핑성향, 충동적, 실질적, 개인적 구매동기, 사회ㆍ심리적, 심미적 기준에서 차이가 있었고, 연령에 따라서는 과시, 유행, 가격, 품질, 개성지향 쇼핑성향과 모든 의복구매동기 및 평가기준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결혼여부에 따라서는 품질, 개성지향 쇼핑성향과 실질적 구매동기에서 차이가 있었고, 학력에 따라서는 유행, 품질지향 쇼핑성향과 의복구매동기, 사회ㆍ심리적, 심미적 기준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모델 활동기간에 따라서는 과시, 유행, 가격, 품질, 개성지향 쇼핑성향과 의복구매동기, 사회ㆍ심리적, 심미적 기준에서 차이가 있었고, 월평균 소득에 따라서는 모든 요인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패션모델의 가치관과 쇼핑성향, 의복구매동기 및 평가기준에 대한 분석을 통해 패션모델이 의복의 구매동기를 갖거나 평가하는데 있어 가치관과 쇼핑성향이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패션모델의 의복구매과정 및 특성에 대한 파악과 함께 대중에 대한 영향력을 고려하여 패션모델 및 패션관련 산업 전반에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향후에는 패션모델의 활동범위를 확대하여 다양한 활동영역에서의 연구와 패션모델과 소비자와의 소통, 영향력, 다른 변수간의 관련성 등을 분석한다면 패션업계의 마케팅에 유용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 광고모델과 패션제품의 유형, 유행관여도가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다애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광고모델과 패션제품의 유형, 유행관여도가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유명광고모델유형을 패션전문모델과 연예인으로 구분하고 더불어 쾌락적 제품과 실용적 제품으로 구분한 제품유형과 유행관여도가 효과적인 광고호의도와 제품 구매의도를 거둘 수 있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 설계를 2(광고모델 유형: 연예인 vs 패션전문모델) × 2(패션제품유형: 쾌락적 제품 vs 실용적 제품) ×2(유행관여도: 고 vs 저)의 3원 혼합설계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서울지역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20대-40대 여성 소비자 274명을 대상으로 오프라인 및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중 불성실한 답변을 한 43부를 제외한 231명이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18.0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3원분산분석, 단순상호작용분석 그리고 단순주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고 모델 유형, 제품유형, 유행관여도가 광고 호의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광고모델유형인 연예인과 패션전문모델, 제품유형인 쾌락적 제품(향수)과 실용적 제품(청바지), 유행관여도 고, 저에 따라 광고태도에 각각 유의한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둘째, 광고 모델 유형과 제품유형이 광고 호의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모델이 패션전문모델일 경우에 향수와 같은 쾌락적 제품보다는 청바지 같은 실용적 제품일 때 호의도와 구매의도가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광고 모델 유형, 패션제품유형, 유행관여도가 소비자의 광고태도인 호의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삼원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이러한 결과는 유행관여도가 높은 집단을 대상으로 광고할 때, 향수 같은 쾌락적 제품보다 청바지와 같은 실용적인 의류제품은 유명연예인보다 패션전문모델을 사용하여 광고하는 것이 소비자의 호의도와 구매의도가 더 높음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광고모델을 패션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하는 기업들은 무조건 유명 연예인만을 활용하기 보다는 자사의 상품 특성과 표적고객의 유행지향적 성향에 맞춰 효율적인 판촉 전략을 수립해야 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