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적극적 평화 구현 전략으로서의 통일전략

        송재근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통일은 정치 외교 안보 경제 , , , , 문화, 그리고 인도주의적인 면에서 많은 이익을 가져다 줄 것이다. 뿐만 아니라 통일은 우리민족이 평화의 공동체를 형성, 동북아는 물론 국제사회의 책임있는 구성원으로서 인류 평화와 번영에 동참하는 의미를 지니 는 것으로, 적극적 평화를 구현하는 것이다. 통일전략을 포함하여 외교와 안보 및 경제 등 제반 영역의 국가전략은 국제 역학관계의 추이, 주변정세, 국내정치적 세력 분포, 그리고 문명사의 흐름 등 우리 나라가 현재 처해있는 제반 환경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이다. 분단의 평화적 관리로 전쟁이나 국지적 충돌 등과 같은 물리적 폭력을 방지함으로써 소극적 평화를 공고히, 이러한 바탕 위에서 남북한 간에 존재하는 모든 구조적 폭력과 장애 및 문화적/이념적 장애를 극복하고, 21세기 인류문명의 흐름과 부합하 는 공존공영의 민족 공동체를 구현, 이른바 적극적 평화로서의 통일을 성취해야한다는 평화학적인 관점에서 통일전략을 추진해 나가야 한다. 한국이 추구해 나가야 할 바람직한 통일전략의 방향과 기조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당사자 해결 원칙 및 남북 기본합의서의 정신을 살려 나가야 한다. 한반도 문제는 민족 내부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국제적인 측면도 개재되어 있는 문제로서, 남북간 갈등이 증대되면 국제화의 정도가 증대되고, 그 반대로 남북간 협력의 정도가 깊어지면 국제화의 정도가 감소되게 된다. 국력경쟁에서 승자의 위치에 있는 남한이 이러한 역학관계를 유의하여 협력적 남북관계를 주도해 나가야 하며, 그리고 남북간 협력은 남북간에 기 합의한바 있는 남북기본합의서를 실행하는 것으로 모아져야 한다. 둘째, 당사자 해결 원칙을 높은 수준에서 관철하기 위해서는 정경분리 원칙에 입각하여 남북 간 교류와 협력을 지속적으로 전개하고 확대해 나가야 한다. 남북한간에 존재하는 뿌리 깊은 반목과 불신과 대립을 감안할 때, 갈등과 협력이 교차하는 복합적 상황은 단기간 내에 개선되기 어려운 것이며, 따라서 관계개선 과정에서 남북간에 우여곡절이 발생될 가능성이 항존하기 때문이다. 셋째, 역전이 불가능한 정도로 벌어진 남북한 간의 국력 격차 및 북한주민들이 겪고 있는 혹독한 경제난을 감안할 시, 상호주의의 엄격한 적용이 아니라 신축적이고 유연한 적용이 필요하다. 넷째, 통일국가의 모형으로서, 연방제 국가를 채택하는 세계적인 흐름 및 오랜 동안 상이한 이념과 제도 속에 살아 오면서 남북한 간에 불가피하게 발생한 이질성과 차이점 등을 감안할 시, 점진적이고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남북의 2개 구성단위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자족적인 기능과 자주적인 통치 역량을 지니는 다수의 구성단위의 다연방제의 통일국가를 모색, 채택, 추진해야 할 필요성과 타당성이 있다. 마지막으로, 남북 통일의 토대 사상 및 통일한국의 국가이념으로 홍익인간 사상이 채택되어야 한다. 홍익인간사상은 자유민주주의 이념과 부합되는 사상으로서 남북이 공히 국조로 인정하는 단군의 건국이념이자 자유와 평등의 가치가 조화를 이루 고 있다는 점, 관계를 중시하는 홍익인간 사상의 특성상 통일이후의 과정에서, 남한의 증대되어 가는 다문화 현상을 포함하여, 남북 사회 통합에 순기능적으로 기여할 것이라는 점, 보편적 평화주의 사상이기 때문이다.

      • 접경지역과 비접경지역 초등학생의 통일의식에 관한 비교 연구

        임요한 강원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통일에 대비하기 위해 필요한 통일교육을 구체화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통일을 앞당기기 위한 교육의 필요성뿐만 아니라 통일 이후의 삶을 준비하는 교육 역시 필요한 것이다. 준비 없이 통일이 갑자기 이루어졌을 경우 사회적 혼란은 매우 클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혼란을 미리 예견하고 통일 이후에도 남과 북이라는 서로 상이한 환경에서 성장한 우리 민족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계획을 세울 필요가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따라 제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통일교육의 목표와 내용은 이 같은 변화를 수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여기서 중요한 것은 바로 학교현장에서 이러한 변화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느냐가 문제이다. 변화하는 통일교육에 대하여 초등학교 학생들은 얼마나 민감하고 효과적으로 반응하고 있는가? 학교가 변화하려면 무엇보다 실제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의식과 태도의 변화가 요구된다. 즉, 효과적인 통일교육을 위한 요인에는 교사, 교육내용, 학생 등이 포함되지만 그중에서도 중요한 요소는 수요자인 어린이라고 할 수 있다. 어린이가 어느 정도 통일교육에 대하여 이해하느냐 하는 것은 교사의 수업목표를 정하는데 중요하며 어린이의 의식과 태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조기교육을 강조하는 이때에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통일의 기초를 다지고 시대적으로 효과적인 통일교육을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기에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하게 되었다.

      • U-learning의 통일교육 활용방안 연구

        이경숙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2000년 남북정상회담과 6.15 남북공동선언 이후 남북관계는 경제협력 및 남북교역, 사회문화 교류 등 양적, 질적으로 발전되어 왔다. 이어 7년 만에 이루어진 2007년 남북정상회담은 보다 실질적이며 구체적인 성과와 합의를 이루어 냄으로써 통일에 대한 국민적 정서와 한반도 평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이렇듯 남북관계가 발전함에 따라 남북한 사회 통합을 위한 통일교육 활성화의 필요성 및 중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통일교육은 민족 동질성 회복 및 국민들의 공감대 형성, 북한 실상 및 통일 환경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하고 있다.앞으로 통일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2005년 통일부 통일교육원이 개정한 <통일교육지원법>에 근거하여 통일교육의 목표에 맞게 (1) 통일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2) 급변하는 남북관계와 통일 환경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며, (3) 분단역사를 극복하고 통일 상태 달성에 기여하며, (4) 민족구성원 전체의 역량을 결집하는 통로가 되도록 추진하여야 한다.또한 통일교육은 단지 통일 전 교육으로 제한될 것이 아니라 통일 후를 지향하는 교육으로 추진되어야 하며, 집합교육과 사이버교육을 병행할 수 있는 통합교육 방식을 선택해야 한다. 더불어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평생교육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통일교육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그동안 각급 학교에서는 통일교육 교수기법의 다변화를 통해 금강산 체험 등 현장교육 및 각종 이벤트 실시, 찾아가는 통일교육 등 오프라인 통일교육을 활성화하는 데 치중하였다.또한 사회 통일교육기관인 통일교육원, 북한자료센터, 지역통일교육센터, 통일교육협의회 등에서는 세미나 개최, 북한영화상영, 새터민 초청 강연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통일교육을 실시하여 왔다.하지만, 현재의 각급 학교 및 교사 대상의 강의식, 집합식 통일교육과 현장 체험형, 참여형 교육은 대상이 극히 제한적이며 일회성 교육으로 평생교육, 국민교육을 지향하는 통일교육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리고 쉽게 통일교육을 접할 기회가 많지 않아 통일교육을 확산하고 교육효과를 제고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이러한 오프라인 상의 한계를 극복하고 통일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대안으로 사이버 통일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하지만 사이버 통일교육은 아직까지는 물리적 공간을 사이버 공간으로 전환하는 원격교육의 성격을 띠고 진행되고 있다. 대상도 교사와 공무원에 국한되어 e-learning의 초급수준에 불과하다. 따라서 오프라인 상의 통일교육 콘텐츠를 디지털화 하여 온라인 상에서 누구나 쉽게 통일교육을 접할 수 있는 사이버 교육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21세기 정보공학과 통신공학 등의 눈부신 발달로 인해 멀티미디어 시스템, 네트워크 시스템, 각종 프로그램 등이 교육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또한 교육공학의 발달로 교육매체 및 교수-학습이론, 교수설계 과정 등의 많은 변화가 있었으며, m-learning, u-learning이 도입되어 사이버 공간에서 누구든지 원하는 교육을 언제 어디서나 받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따라서 통일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초급 수준의 사이버 통일교육을e-learning, m-learning, u-learning으로 확대·발전시켜 나가야 하며, 이를 위한 인프라 구축 및 통일교육 디지털 콘텐츠가 개발되어야 한다.통일교육도 교육공학의 발달 수준에 맞춰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는 사이버 통일교육을 추진해야 할 것이며, 정부 주도의 ‘사이버 통일교육 통합센터(가칭)’ 발족과 예산 등 재정적인 지원 및 제도적 장치 마련을 통해 사이버 통일교육 확산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실제 m-learning 및 u-learning적 통일교육의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다 하더라도 콘텐츠가 부실하면 교육효과는 반감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피교육자의 대상별 정보화능력과 보유하고 있는 각종 매체에 따른 다양한 접근방법을 모색하고 그 환경에서 손쉽게 구현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콘텐츠 개발을 추진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통일교육 디지털 콘텐츠 센터’(가칭) 등의 설립도 신중히 고려되어야 한다.사이버 통일교육에 대한 인프라 구축 및 확대와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의 개발은 분명 통일교육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여기서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은 국민의 연령, 직업, 계층에 따라 사이버 통일교육에 친숙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현장의 목소리 및 교육과정에 대한 피드백을 위해서는 오프라인 교육도 병행해야 한다는 점이다. 오프라인 및 사이버상의 통일교육은 상호 보완될 때만이 통일교육의 효과가 제고될 수 있을 것이다.사이버 통일교육의 활성화는 남북한 동질성 회복 및 통일에 대한 국민 공감대 형성이라는 통일교육의 목표를 실현할 것이며, 향후 북한 주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통일 후 통일교육 프로그램을 준비할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이다. Since the South-North summit meeting and The June 15 Joint Declaration in 2000,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have evolved in both terms of quantity and quality, increasing economic cooperation, trade and social and cultural exchanges. The South-North summit meeting realized in 2007 or 7 years later achieved more substantial and specific goals and agreements only to enhance people''s sentiment for national unification and create an atmosphere of peace for the Korean peninsula.As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develops, it becomes more necessary and important to activate the unification education for a social integration between two Koreas. The unification education aims to recover Korean people''s homogeneity, form a consensus among people, and understand the conditions besetting North Korea and the environment for national unification.In order to activate the unification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meet the goals of unification education specified by 'Unification Education Support Act' amended by Education Center for Unification under the Ministry of Unification in 2005; (1) form a national consensus for national unification, (2) understand the rapidly changing South-North Korean relationship and the environment for national unification, (3) surmount the history of national division and contribute to achievement of national unification and (4) create a route concentrating Korean people''s entire capacity.In addition, the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pre-unification education but be oriented toward post-unification, while group education and cyber education should be integrated in parallel. Furthermore, it is essential to explore the ways to activate the unification education so that it can be a life-long education for all people.Meanwhile, schools at each level have activated the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diversification of off-line education methods: field education including tour to Mt. Geumgang and various events,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explorations, etc.On the other hand, such unification education centers as Education Center for Unification, Information Center on North Korea, local unification education centers and Unification Education Consultative Committee have operated such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s in the society as seminars, running of North Korean films, lectures inviting North Korean refugees, etc.However, the current system of unification education targeting schools at each level and teachers are much limited because it is centered about lectures, group education, field trips and participation. Moreover, as it is provided once, it is deemed too limited to achieve the goal of unification education pursuing a life-long education for all people. And as people are not given much opportunities for unification education, it is difficult to spread the unification education and enhance its effects.In order to surmount such limits of the off-line education and activate the unification education, the cyber education is provided for. However, the cyber unification education is still characterized by a remote education converting the physical space into a cyber space. Its targets are limited to teachers and public officials, while its level is the junior level of e-learning.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igitalize the contents of off-line unification education to create a cyber education environment easily accessible by any one.In the 21st century, owing to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information engineering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education is enormously influenced by multi-media systems, network systems and various programs. In addition, owing to development of education engineering, there have been much changes in education media, teaching-learning theories, teaching design processes, etc, while m-learning and e-learning have been introduced to allow any one to learn in the cyber space.Hence, in order to activate the unification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develop the junior level cyber unification education into e-learning, m-learning and u-learning, and to do so, it is essential to construct the infras and develop the digital contents for the unification education.In accordance with development of education engineering, the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a systematic and consistent cyber education. In this regard, the government is obliged to establish a ''Cyber Unification Education Integration Center'' and thereby, spread the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optimized supports of budget and systems.Even if the infras for m-learning and u-learning for the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constructed, the effects of education would be diminished if the contents should be poor. Therefore, it is required to explore diverse approaches in consideration of educatees'' informatization capacity and various media owned by them, and thereupon, develop the programs and contents easily implemented in the current environment. To this end, a careful consideration should be taken into to establish a ''Unification Education Digital Contents Center.''If the infras for the cyber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constructed and expanded and a variety of digital contents should be developed, the unification education would be activated. Here, what should not be overlooked is the possibility that people may not be familiar with the cyber unification education depending on their age, job and social class. So, it will be necessary to operate the off-line education system in parallel with the cyber system in order to feedback the field opinions about the curriculum into the system. Only when off-line and on-line education complement each other, the effects of unification education will be improved.Activation of the cyber unification education would serve to achieve the goals of unification education or recovery of homogeneit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and creation of people''s consensus and would provide for a foothold for preparation of the post-unification education programs.

      • 효과적인 통일교육 방법연구

        김경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문초록 효과적인 통일교육 방법연구 공주대학교대학원 윤리학과 윤리교육전공 김경희 수업방식을 달리하는 통일교육의 결과를 분석해 보면 몇 가지로 나뉠 수 있다 1. 전반적으로 ㅈ중학교의 통일교육의 효과가 ㅂ중학교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수업매체를 다양화하고 직접적인 수업보다는 흥미를 끌어들이고 주위 집중시키고 우회적으로 통일에 대해 접근하는 방식이 보다 효과적임을 전반적으로 알 수 있다 2. 강의식 수업방법은 이미 체계화 되어있고 상세화 되어있어 지식의 체계화시키는데에는 효과적이지만 오히려 지식이 전무하고 관심, 흥미도 없는 상태에서는 역효과 임을 알 수 있었다 예로 ㅂ중학교의 설문에서 교육 전에 막연하게 긍정적으로 통일을 생각하고 있던 다수의 학생이 이미 체계화 된 강의식 수업을 듣고 북한과 더 많은 괴리와 차이를 느끼고 통일에 대해 부정적으로 변하게 되는 양상에서 알 수 있다 3. 학생들의 통일의식을 바꾸는 것은 도덕시간에 주어진 몇 시간을 가지고는 불가능하다 그 예로 한결같이 설문에 부정적인 답을 한 학생은 몇 회의 교육을 실시해도 역시 부정적인 문항에 체크를 했다 의식은 하루아침에 변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요즘 학생들을 N세대라고 칭하고는 한다 비는 시간만 나면 핸드폰 붙잡고 문자보내고 컴퓨터 앞에 앉아있는 것이 제일 편하고 행복하다는 학생들에게 통일은 애초부터 관심밖에 일일 것이다 관심밖에 있는 영역을 그들의 관심 속에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역시 수업방법도 그들다워야 하고 그들이 충분히 흥미를 느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수업방법의 끊임없는 연구와 개발이 제일 시급한 과제이고 통일교육을 전담하는 교사의 본분이며, 통일교육을 도덕교사에게 일임하여 맡겨놓는 것이 아니라 교육 전체에서 담당해야 하고 단 몇 시간의 교과서의 분량의 주지적인 교육이 아니라 보다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이 계속 이루어 져야 하는 것이 통일교육에 가장 시급한 일일 것이다 ABSTRACT A Study on the efficient methods of teaching Department of Ethics Graduate school of Gongju University Advised by Professor Lee Hyo-Beom 1. Introduction Bring up the matters and their need for research It is true that education on unification has not been carried properly. The education for the younger generation has been treated considerably lightly in some relative indifference for its importance since a matter of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was discussed just by the older generation. So far, the education mainly dealt with passive security matters. It led to a limitation of buying or seeing materials on North Korea by students or even teachers who had doubts of the authenticity of the ones from the government and had indifference or wrong prejudice against the education itself. Outdated methods of the education also failed to attract the attention of the juveniles who were accustomed to the mass media. The methods have been applied to them as a cramming teaching without the consideration of their interests or development levels. There were lots of just political contents or methods for adults to apply directly to the students. Few studies on many ways and techniques for the unification have blocked the approach the many methods proper for the themes or goals. The old unification education have also weighed just on the establishment of its direction and goals. Even though the study on the establishments are essential and very meaningful, you should have taken interest in other methods of the educations such as an efficient program development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education and for the program's operation the development of helpful learning-teaching ones and new techniques or materials. This study is not aimed at researching the meanings or objects of the education, but at thinking of more effective way of unification in schools through the comparison of two groups which were applied different teaching methods each to know which is the one attracting the attention of students and getting the unification consciousness. 2. Plans and Subjects of the study 1) Study plans I looked into which is more efficient class after teaching two groups whose levels are almost the same and whose teaching methods are different to find more efficient teaching methods. I surveyed two classes at the second grade in neighboring middle schools. I taught one of them as the old cramming method while the other as the searching on their own one to investigate how many changes they had and how many things they saw after the classes. 2) Study subjects The samples were the similar groups because this is the thesis based on the comparison. The groups were one class from the second grade in J middle school while the other in B. I had classes using reconstructed textbook as searching on their own method in the former while as cramming method in the latter. Classes 1. Analyze the realities 1) Questionnaire on the education of unification 2) Assessment 2. Classes 1) Example of the J middle school(using the searching on their own method) 2) Example of the B middle school(cramming) Results and Suggestions The results from the second questionnaire after the classes were divided as follows. 1. Generally, the one of the J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one of the B. That means that more efficient method was the one which made use of a wide variety of means of the classes and of another approach to the education indirectly, not directly. 2. Cramming teaching has already been systemized and detailed to be available for the one who intends to systemize his/her knowledge but unavailable for the one who lacks the knowledge and interest. For example, many students of the B who had thought about positive unification vaguely before the class changed their mind to the negative with feelings of more differences to the North after the already systemized cramming class. 3. It is impossible to alter their recognition for the unification just with a few hours of Ethics. For example, the students who had answered negatively before the class checked the negative on after the class, regardless of its frequency. I think that consciousness could not change in a day. You often call today's students N generation. They think the most comfortable and happiest time is when they send messages through cellular phones and sit behind the computers whenever time is allowed. You may well say they never have interest in the unification from the beginning. You, therefore, should develop a new method of the education for attracting them. For that, the most urgent matters are to keep on study and development of the attracted method by the teachers, to fulfil the responsibility of the education by the whole education world, not only by the teachers and to go on more durable and systemized education, not a periodic one with a few hours by the textbooks.

      • A Study on the General Pattern of Korean Newspaper's Reporting and Commenting on Unification Issue

        沈埰鎭 경기대학교 국제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7

        탈냉전이라는 세계사적인 변화가 있었음에도 유독 우리 민족만은 냉전체제라는 20세기 ‘역사의 감옥’에 갇혀 있는 것이다. 한반도 통일의 외적조건이 크게 진전된 호기를 맞아 남과 북이 다시 하나가 되는 민족 공동체를 이룩하지 못하고 강경 냉전 세력들의 주도로 ‘적대적 의존’이라는 기묘하고도 역설적인 공존·공생관계를 유지하다 보니 반목적인 분단 대결 상황이 고착되고 불신과 증오가 내재화될 수밖에 없다. 역사의 長征에 발맞춰 이념적 대립을 해소하여 화해와 이해의 場을 넓히지 못하고 반민족사적인 행보를 거듭한 끝에 사회주의로는 경제파탄과 식량궁핍을 불러와 한해 1백여만명이 굶어 죽어가고 있고 자본주의로는 빚더미에 치여 실업과 도산 그리고 범죄로 집약되는 ‘IMF 난국’을 불러와 치욕과 고통을 감내해야 하는 잔인한 악몽의 역사를 엮어내고 있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최근 정부가 ‘분단의 안정적 관리정책’이라고 말할 수 있는 이른바 ‘햇볕론’을 對北政策의 기조로 삼고 아울러 일방적으로 덮치는 방식의 ‘흡수통일’을 배제하겠다고 내외에 밝힌 점에 일단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민족화해와 교류협력에는 어느정도 순기능을 할 수 있을 것 같기 때문이다. 부끄러운 냉전의 외딴섬 한반도를 脫냉전화 시키지 못하면 올바른 의미에서 우리는 21세기로 들어갈 수가 없으며 정보화 사회가 갖는 그 창조적 열림의 지평으로 나아갈 수도 없는 것이다. 분단된 한국사회에서 통일과 관련된 언론의 사회적 역할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을 정도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왜냐하면 정부의 통일정책 방향이나 북한의 실체 파악은 물론이고 통일환경의 변화 흐름이나 세대간의 의식 편차 등 모든 분야의 정보 전달 및 획득은 매스미디어를 통해서만 가능하고 또 통일에 대한 국민들의 의견을 수렴, 통일의지와 목표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것도 다름 아닌 언론이기 때문이다. 언론은 이와 같이 이데올로기적 사회체계로서 조정과 통합 그리고 지배적인 가치체계 및 규범의 유지와 전승에 큰 몫을 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세기말이라는 역사의 문턱에서 일반 국민들의 여론을 주도해 온 정보의 창문인 한국의 매스미디어, 그중에서도 특히 신문이 역사의 필연이며 민족의 정기인 통일문제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냉전벨트가 드리워진 속에서 실제로 어떻게 보도와 논평을 하고 있는지를 뉴스의 성격과 관련지어 보도경향을 알아보고자 고안되었다. 아울러 통일과정에서 언론이 할 수 있는 몫은 어떤 것이며 통일 지향적인 매스미디어가 되기 위해서 개선해 나가야 할 문제점들은 무엇인가를 한번 고찰해 본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서 우선 한겨레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 한국일보 등 5대 신문을 조사대상으로 임의 선정했다. 이들 신문에 게재된 1991년부터 최근 8년간의 북한관련 기사를 한국언론연구원의 중앙일간신문 기사 데이터베이스(Korea Integrated Newspapers Database System 이하 KINDS)를 통해 주요어 검색(‘북한’ ‘남북한’ ‘통일’의 3개 키워드)을 실시하여 장기적인 보도의 흐름을 밝혀냈다. 통일관련 기사의 총 보도량(뉴스 사설 칼럼 연재물 좌담 인터뷰 가십 인물평 통계 용어 해설등 모든 장르를 포함한 기사의 총계)을 분석(표 3 참조)하는가 하면 불신과 대결의 슬픈 고리에서 비롯되어 50년이나 계속된 반민족·반통일적인 매국 노선의 보도사례들을 서술적으로 점검해 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을 간추려 보면 국내외적 변화와 국민들의 통일에 대한 큰 기대에도 불구하고 한국언론은 아직도 냉전 시대적이며 반공 이데올로기적이고 폐쇄적이며 부정적이고 편파적인가 하면 일방적인 보도시각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최근들어 ‘뿔달린 도깨비’나 ‘촌스런 북한’식 사고에서 조금씩 벗어나는 바람직한 변화의 조짐을 보이고는 있지만 높이 평가하기에는 아직도 이른 감이 있다). 본보기를 들면 기아의 수렁에서 주린 배를 움켜쥐고 꺼져 가는 동포의 참상을 매몰차게 축소 왜곡하고 있고 제3국에서 아슬아슬한 떠돌이 삶을 살고 있는 탈북자 일가의 보도를 하면서 독자의 흥미 끌기에만 초점을 맞추어 인권과 안위는 아랑곳함이 없이 호들갑을 떨고 있는 것이다. 안보상업주의로 ‘햇볕론’을 공격하는 것은 언론자유의 몫이라 하더라도 북한의 미사일 시험발사나 잠수정 사건을 실제적 과장보도를 해가면서 긴장을 과도하게 가중시키는 것은 결코 통일 지향적인 자세는 아닌 것이다. 아울러 장님 코끼리 만지기식이라는 말이 딱 들어맞게 정확성·신빙성없는 기사들을 마구 쏟아내고 있는 것이다. 결코 ‘희망적인 사고’(wishful thinking)에 매몰 될 것이 아니라 실상을 보도하는 관행을 만들어 국민들에게 북한과 통일에 관한 올바른 인식을 갖게 하고 남북한의 적대감을 누그러뜨림으로써 ‘협력적 공존’을 정착시키는 실용주의 논리를 강조할 때가 된 것 같다. Notwithstanding the tumultuous changes that have swept through the post-Cold War world, the Korean Peninsula is still locked up in the legacy of that tragic period. The unprecedented opportunities to reunify the divided peninsula in the wake of the profound changes in the external conditions that have long stalled rapprochement were getting nowhere in the face of the deep-rooted ideological bigotry of the Cold War era. Indeed, that ideological prejudice is as deeply entrenched as to defy the most determined effort to do away with the ironic and bizarre symbiotic relationship of "confrontational interdependence." This counterproductive mentality, having so long characterized the way of thinking of those in power, has fundamentally undermined every attempt toward detente-minded approach that is so relevant against the backdrop of the new post-cold war trend. After all, such blinkered adherence to an ideology was bound to lead only to disastrous ends: a calamitous economic state has driven more than a million people to death on one half of the peninsula while a severe financial crisis has driven the other half to a humulitating situation where in the face of mounting economic and social woes its economy has come to be managed as prescribed by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In that context, it is noteworthy that the new government has renounced any intention whatsoever on its part to absorb the northern half and proclaimed the "sunshine" policy in a bid to put an end to the destructive internecine strife. Unless we have put the damaging legacy of the Cold War behind us, there could be little hope for us to make a meaningful embarkation on the new century that promises to open up the new horizon where so much is in store for those who are prepared to benefit from what will be offered by the unfolding age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At this critical juncture, the social role to be played by the press in terms of national reunification can hardly be overstated. It should be so because all information on government policy and the news on the other side are almost totally conveyed by the mass media, and also because the press could contribute immensely to building up a national consensus on the unification issue. Thus the press could be a vital tool for providing a proper ideological backdrop for the whold system as well as for defining and maintaining vital values and social codes. This thesis aims to analyze how information and news related with unification issue are dealt with by the mass media, especially by the newspapers, and to find out how they have actually affected the general perception of the issue. At the same time, it proposes to indicate what kind of task the press should be performing to help realize reunification and what reforms the press per se needs to undergo to meet that challenge. To sum up its conclusions, the Korean press is still very much under the influence of its traditional bias against communism. Despite the sweeping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and the mounting popular expectations for reunification, therefore, the press is still, to a great extent, subject to the Cold-War mentality and anti-communist ideology which, by definition, have prescribed closed, negative and unfair perspectives in reporting on inter-Korean affairs. Confined to this negative attitude, it is little wonder that, for instance, the severity of the north Korean famine was not truthfully reported and the stories of those who had fled from the north were getting eye-catching coverages as sensational individual acts of heroism at the cost of the human right and the safety of those individuals themselves as well as those who were related with them. Arguably, there is an aspect where the press may feel free, possibly motivated by its commercial reckoning, to criticize the government's "sunshine" policy. In all likelihood, however, such exaggeration of negative aspect as seen in the recent reporting on the submarine incident will not serve any useful purpose. It is high time the press rose above the wishful thinking as dictated by the Cold War mindset and displayed a more constructive approach toward the unification issue by promoting unbiased general perception of the issue, which is the first requirement for dispelling the deep-rooted mutual mistrust. In short, now is the time to see the relevance of pragmatic reasoning and to strive to usher in an era of 'cooperative coexistence.'

      • 민족통일을 향한 한국교회의 방향과 과제

        장지연 호남신학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지금까지 한반도 통일논의는 정부가 주로 주도하여 왔다. 한국교회는 통일운동의 한 주체로서 남북한 민간교류 발전에 기여해왔다. 한국교회는 70년대의 민주화운동을 통해 형성된 성숙한 시민의식을 바탕으로 80년대에 들어와서 한반도의 통일을 한국교회의 선교적 과제로 인식하고 이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1980년대 이전에는 반독재민주화, 인권옹호, 통일을 '기원하는' 수준에 머물렀다면 1980년대는 통일운동으로 전환된 시기로 볼 수 있다. 1988년 "민족의 통일과 평화에 대한 한국기독교회 선언"은 군사정권의 탄압 속에서 민족통일을 향한 남한교회의 선교적 사명을 표현함으로써 한국교회와 민간통일운동의 본격적 출발신호로 평가된다. 1990년대는 급변하는 국내외 정세로 80년대와는 전혀 다른 통일운동의 환경이 조성되었다. 독일통일, 사회주의체제의 붕괴, 남북한 유엔 동시가입, 남북기본합의서 등은 냉전시대를 벗어나 새로운 통일시대를 맞이하리라는 기대를 갖게 하였다. 90년대 들어서면서 보수교회들이 통일의 과정에 관심을 갖고 참여하면서 한국교회 통일운동은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가 주도하는 흐름과 한국기독교총연합회가 주도하는 흐름, 이렇게 두 흐름으로 나뉘어 전개되었다고 볼 수 있다. 전자는 북한교회를 통한 사회선교에, 후자는 남한교회가 중심이 된 교회재건에 중점을 두는 등 다른 선교정책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북한이 심각한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하자, 이를 돕기 위해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와 한국기독교총연합회가가 연합하여 북한동포돕기를 전개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하였다. 김대중 정권이 들어서고 남북정상회담이 이루어지자 '통일'은 당위론의 차원을 넘어서 버렸고, 이제 통일이 막연한 바램이 아닌 가시적인 결과로 다가와 있음을 실감할 수 있었다. 북한의 개혁개방정책과 함께 남한의 경제협력, 민간교류 등으로 화해 분위기를 이어가는 듯 했으나, 9·11 테러 사태를 계기로 미국의 일방주의적 외교가 더욱 강화되고 대북강경정책으로 인해 남북관계까지 경색될 위기를 맞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한국교회는 한반도 평화와 민족통일을 위한 항구적인 중심세력의 역할을 어떻게 감당할 것인가 하는 문제 앞에 서 있다. 본 논문은 한국교회가 이 문제를 해결해나가야 할 과제를 크게 (1) 사회적 차원에서의 교회의 과제 (2) 북한선교 차원에서의 교회의 과제로 나누어 정리하고자 한다. 가. 사회적 차원에서의 교회의 과제 한국교회는 민간통일운동에 기여하면서 남북관계의 변화발전과 평화통일운동에 끼친 성과는 적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는 것이 한국교회 통일운동의 현실이라 할 수 있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통일위원회가 95년 하반기에 두 차례 통일희년운동평가회를 갖고 정리한 내용을 먼저 참조해 보기로 하자. 이 평가 모임에 서는 희년 이후 기독교 통일운동의 활성화를 위해 (1) 각교회, 교단에 대한 제안 수준에서 탈피해 이들이 실천에 나서도록 교회협이 운동체의 성격을 강화할 것, (2) 통일운동의 대중적 기반을 확대할 것, (3) 교회 통일운동의 특성을 살리면서도 민간통일운동과 연대를 강화할 것, (4) 북의 민과 교류를 확대할 것 등을 제시하였다. 7년 전에 제시된 이 같은 과제를 살펴보면, 많은 부분이 지금도 여전히 유효한 문제제기라는 점에서 교회 통일운동을 둘러싼 환경이 본질적으로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이는 한국사회와 교회가 북한문제에 대해 갖는 여전한 보수성과 북한교회의 좁은 입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 같은 상태는 교회 통일운동뿐만 아니라 전체 통일운동의 실천과제인 휴전체제의 종식과 평화체제의 구축, 남북한 군비축소 등의 과제가 여전히 미해결 상태인 우리 사회 전반의 현실과 맥락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사회 통일운동에 일정하게 기여하기 위한 한국교회의 과제로 첫째, 한국교회는 통일 이후의 사회적 통합을 미리 연구하고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통일 후의 민족공동체의 모습은 자본주의와 사회주의를 넘어 새로운 구조 속으로 들어가는 제3의 길이어야 한다는 대안이 제시되고 있다. 제3의 차원이란 모호하기는 하지만, 제3의 길의 모색은 기독교 대 공산주의라는 상호 대립을 넘어서서 상호비판, 상호재해석, 상호접근을 통한 제3의 새로운 사회창출의 필요성을 제시해 준다 .... 통일의 길, 제3의 길은 남북의 대화와 협동에서 개척되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제3의 통일된 민주주의국가와 사회는 물론 상대적이고 따라서 새로운 미래에로 진전해야 할 단계다. 근 한 세기 동안 단련되어 온 민족민중의 민주역량은 제3의 통일된 민족국가와 사회를 창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조혜정은 사회를 체제 통합과 사회 통합의 두 차원으로 보면서 기존 통일논의가 체제 통합만 중시하고 사회 통합을 간과해왔음을 비판한다. 그리고 남북의 통일은 "단순히 두 개의 별도의 정치 경제 체계를 가진 두 국가의 통합이 아니라 그 동안의 근대사와 분단 체제가 만들어낸 여러 이질 집단을 다양한 형태로, 다양한 정도로 통합해낼, 곧 '다름'을 조직화해낼 수 있는 문화적 역량이 있어야 가능하다"는 사회문화적 통합의 차원에서 남북통일의 과제를 제안하기도 한다. 한국교회는 새로운 공동체를 향해 나가는 과정 속에서 그리스도의 복음이 그 원천이 되는 새로운 이념을 창출해 나가는 선교공동체가 되어야 하며, 남한과 북한 모두가 서로의 체제에 안주하지 않고 새로운 공동체의 모습을 바라볼 수 있도록, 그래서 '우리는 한 민족이다'라는 정체성을 갖고 특히 남한으로 하여금 더 고통받고 있는 북한을 껴안을 수 있도록 새로운 공동체에 대한 상상력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한국교회는 대화와 화해의 기능을 충실히 감당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한국사회 일반 특히 한국교회에 뿌리깊이 남아 있는 반공의식에 대한 교회의 신학적 극복노력과 구체적인 방안이 없다는 지적은 여전하다. 이념 갈등의 시대는 지나갔다고는 하지만 중요한 시기마다 한국사회와 교회 일각에서 반공의식이 표출되곤 했다. 최근만 해도 '김일성 조문파동', '8·15 방북단 파문사건' 등이 좋은 예이다. 서경석 목사는 지금 우리사회에는 대북관계와 관련하여 크게 (1) 북을 찬양고무하는 그룹, (2) 극단적 반공그룹, (3) 대북 지원활동과 북한과의 대화에 적극적인 그룹, (4) 남한의 '퍼주기'에 비판적이며 북의 인권문제를 제기하기 원하는 그룹이 있는데, 세 번째와 네 번째 그룹은 우리에게 필요한 그룹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이들이 실제 차이보다 훨씬 먼 것처럼 되어 있고, 이들의 갈등이 필요이상으로 부풀려 있는 사회에서 이들이 만나고 대화할 수 있도록 교회가 중간역할을 감당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러한 역할을 감당하기 위해 교회는 이념 대결로 빚어진 남북갈등과 남남갈등에 대한 중립의 원칙을 지켜나가야 한다. 어느 한쪽 정부에만 가치와 정당성을 주는 평가를 일체 하지 않으면서 평화공존과 교류의 필요성을 강하게 얘기해야 한다. 또한 교회가 화해자로서의 모범이 되기 위해서 교회지도자들이 하나가 되어야 할 것이다. 지금처럼 교단의 이해득실에 따라 각기 생각이 다른 성명을 내는 상황에서는 서로 배타적인 입장만 확인할 뿐이지, '다양성 속의 일치'라는 개념이 적용될 여지가 별로 보이지 않는다. 앞으로 한국교회는 남북관계에서 생기는 구체적 상황에 대해 협력하는 모습을 보이기 위해서는 자기희생의 각오, 즉 십자가의 정신이 더욱 필요하다. 셋째, 한국교회는 이제 소극적 의미의 평화를 넘어 '적극적 의미의 평화'를 구체화시켜야 할 시점에 와 있다. 남한은 통일을 원하면서도 우월한 군비확장을 통해 북한을 흡수하겠다는 방식이 주류를 이루어 왔다. 그리고 북한의 남침을 예방하고 건실한 국가안보 체제를 통한 안정을 구가하겠다는 삶의 방식이 이어져 왔다. 남한의 이러한 통일방식은 북측의 경우에도 형태는 다르나 내용은 궁극적으로 같은 발상을 담고 있다. 한반도에서의 냉전체제적 적대구조는 다른 어느 나라의 경우 보다 훨씬 더 경직되고 강화된 형태로 존속되어 온 것이다. 한국교회는 민주화과정을 거치면서 한국민중이 '분단구조'와 '분단논리'의 희생양으로 고통받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민족통일이라는 과제를 교회의 삶 속에서 실천하고자 '통일신학'이라는 이름으로 신학화작업을 해온 것도 사실이다. 남북분단의 외형적 원인과 민족내부의 내면적 요인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면서, 교회의 죄책을 고백하고 이것을 행동으로 옮기고자 하였다. 그러나 큰 틀에서 볼 때 한국교회의 통일운동의 모습은 평화가 지닌 소극적 의미인 '전쟁 부재상태'를 만들어야 통일의 여건이 조성된다는 논리의 테두리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한국교회는 소극적 의미의 평화를 넘어 적극적 의미의 평화를 만들어가야 할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적극적 평화는, 통일의 내용을 민족공동체적 삶의 구석구석에 '정의로운 평화' 내지는 '정의가 깃든 평화'를 정착시키는 데서 찾아야 한다. 이것은 한국교회 뿐만 아니라 세계교회의 공동과제이기도 하다. 세계교회는 샬롬 운동의 가장 근접한 현장이 바로 한반도라고 믿어 1990년에 '정의·평화·창조질서의 보전'(Justice, Peace, and the Integrity of Creation) 세계대회를 서울에서 개최한 바 있다. 경제사회적 정의, 정치·군사적 평화, 환경보호와 생명문화 운동 등이 샬롬의 내용이 될 것이다. 한국교회는 그 동안 민주화운동, 인권운동 등을 통해 반 평화적 모습에 대해 싸워왔다. 민주화의 목표는 민주사회에 몸담고 살아가는 모두의 평화적 상생의 삶이다. 그 동안의 한국교회의 모습이 적극적 의미의 평화의 모습과 전혀 동떨어져 있다고 볼 수는 없다. 그러나 JPIC의 요소들이 한반도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나 있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은 교회의 책임과도 연결되며, 한국교회는 구체적으로 정의와 헌신적 사랑을 짜집기하는 평화를 이 땅에 심을 수 있도록 분발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나. 북한선교 차원에서의 교회의 과제 첫째, 앞으로 민족통일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으로 한국교회가 나아가기 위해서는 좀더 통합적이고 포괄적인 신학적 접근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현재 한반도를 둘러싸고 있는 현실을 생각해 볼 때, 북한선교의 환경은 매우 급박하게 변하고 있으며, 앞으로 그 방향은 매우 다양해질 전망이다. 80년대까지 핵심적인 역할을 했던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도 이제는 다양한 북한선교의 실체를 인정하면서 변화를 계속 모색하고 있고, 한기총의 북한선교정책도 북의 조선그리스도교연맹을 대화의 상대로 인정하게 되었고 특히, 북한교회를 지원하는 면에서 도움을 많이 주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남한교회의 교단·기관들의 북한선교정책의 차이는 여전하며, 이로 인한 통일운동의 방향성과 내용의 혼란을 극복하는 일은 교회에 주어져 있는 중요한 과제이다. 김동선 교수는 큰 틀에서 남한교회를 포용할 수 있는 포괄적인 북한선교정책은 (1) 한국교회의 공식적인 북한선교의 방향이 조선그리스도교연맹의 위상을 높일 수 있는 쪽으로 가야하며, (2) 조선그리스도교연맹과의 기존의 협력관계를 발전시키면서, 동시에 조선그리스도교연맹과의 관계보다 훨씬 큰 차원의 통일환경에도 대처를 준비해야 한다는 두 가지 큰 원칙 위에서 수립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한국교회는 통합적이고 포괄적인 통일신학의 정립을 통하여 모든 계층과 민족을 화해시키는 이념과 실천적 방안을 부단히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구약성서의 희년정신과 예수그리스도의 비폭력 사랑을 우리 민족의 고난의 역사와 분단의 현실에서 재해석함으로써 민족의 통일적 신앙과 도덕성을 확보해야 한다. 특히 오늘 한국사회가 안고 있는 부정적 요소를 통일한국에 이식하는 일이 없도록 통일적 도덕성을 확립하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이홍정은 새로운 세기를 맞이한 한국교회가 다음과 같이 선교적 정체성을 가져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교회가 지향하는 바는 교인들로 하여금 우리 시대의 중요한 변화들, 즉 범 세계화, 개인주의, 남북분단과 동서갈등의 문제, 정치적 행위 주체의 문제, 생태적 문제들 속에서 그리스도의 길을 따라 복음의 삶을 살아가도록 돕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그 방법론에 있어서 교회 내에 참여민주주의를 심화 발전시키는 아래로부터의 과정이어야 한다. 이것은 교회가 인간의 얼굴을 한 지역공동체의 복원과 평화발전을 위해 시민사회단체들과 동반자가 될 것을 요청한다. 결국, 한국교회가 수립해야 할 통합적이고 포괄적인 선교정책은 교회 차원을 넘어서서 사회참여적 선교를 통한 민족통일에 기여하는 방향이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한국교회는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의 입장에 서서 고통받고 있는 북한에 대한 교회의 책임을 보다 더 인식해야 할 것이다. 남한교회는 북한과의 관계에서 북한에 '교회를 재건할 것인가' 아니면 북한에 '인간이 행복하게 사는 공동체를 건설할 것인가' 하는 근본 문제에 있어서 다른 생각들을 갖고 있다. 둘 다 필요한 일들이지만 시급성과 효율성의 문제에 비추어 보면, 당장 고통받고 있는 북한이 보다 행복한 상황을 맞을 수 있도록 남한교회가 기도하고 고통의 해결을 위해 행동으로 옮기는 것이 긴요하다고 본다. 김용복 박사와 주한 독일대사 폴러스 박사의 다음과 같은 각각의 지적은 한국교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한국교회가 남한사회의 물질적인 풍요를 하나님의 물질적인 축복으로 간주하는 너무나 안이한 신앙적 태도를 가져왔으며, 경제성장의 과정에서 경제적 약자와 희생자들을 소홀히 여겨왔음을 반성하여야 할 것이다. 오늘날 한국교회가 누리는 상대적인 물질적 풍요도 철저한 디아코니아(경제) 신학을 바탕으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며, 민족의 살림살이를 바로 잡는 선교적 사역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교회와 모든 기독교 신앙인들은 한국 민족 사회의 살림살이를 바로잡고, 그 희생자를 일으켜 세우는 디아코니아의 선교를 성실히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남한교회는 남한 자체 내에서 통일기반 조성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통일이 실현되는 경우, 북한에 대한 본질적 지원을 하고자 하는 남한 내의 정치의지가 존속되고 더 강화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남한주민들이 분단 때문에 가장 고통을 당하는 사람은 북한사람이라는 의식을 가지도록 환기시켜야 합니다. 그들에게 분단은 압박과 빈곤의 생활을 뜻합니다. 교회는 통일에 대한 남한 내의 토론에서 이 점을 분명히 주지시키도록 작업할 수 있을 것입니다. 위의 두 사람의 지적은, 교회가 예수의 가르침대로 보다 많은 고통을 당하는 사람들 편에 서서 통일운동을 전개해야 한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교회가 껴안아야 하는 고통 당하는 사람들의 범위가 제한적일 수는 없다. 그것은 남한이 되었든, 북한이 되었든, 나아가 세계의 어느 곳이라도 한국교회는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통일을 함께 이루어야 할 당사자인 북한 사람들이 지척에서 굶고 있는 상황이라면 한국교회는 더욱 무거운 선교적 책임을 느껴야 할 것이다. 북한동포돕기운동이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위해 꼭 필요한 일이라는 점은 지난 몇 년간의 경험 속에서 분명해졌다. 요즘 들어 시들해진 북 돕기의 열기를 활성화시켜 나가되, 어려운 결단이 되겠지만, 북한교회 재건을 위해 마련한 기금의 일부를 물질적 고통을 나누는 일에 사용한다면 남북 서로에게 좋은 도전이 되리라 본다. 남한교회는 북한사람들의 신음하는 고통을 결코 외면해서는 안 될 것이다. 셋째, 남북교회의 공동선교의 과제도 우리에게 남아있는 과제이다. 남북한교회는 관계를 더욱 돈독히 하여 공동선교의 가능성을 발견해야 한다. 1992년 8월 채택된 '1995년 희년을 향한 기독교 평화통일 협의회' 문서는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일방적 북한선교는, 자주적 평화통일의 과정에의 참여를 배제하고, 심지어 흡수통일을 최상의 시나리오로 전제하고 난 후 북한에 상륙하려는 안이한 '생각에 빠진다는 점에서, 경계하지 않으면 안 되는 신학적, 선교적 오류이다. 오히려 우리는 자주적 평화통일에 헌신하는 일 그자체가 선교적 과제임을 선명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이것은 결코 좁은 의미의 선교, 곧 전도를 부정하거나 폐기처분하려는 것이 아님을 확언한다. 남북교회의 공동선교는 지금까지 남한교회가 개교회의 확장이나 교회의 세력을 확산하려 해 온 데에서부터 과감히 탈피하여, 남한교회 내에 있는 물질주의와 우상숭배에 대한 회개운동을 펼치고, 북조선 그리스도인들이 어려운 여건 속에서 신앙을 가꾸어 온 고귀한 체험을 공유해 나가는 것이어야 한다. 수적으로나 물량적으로 우세한 남한교회가 영적으로도 북조선 교회보다 더 성숙하다는 우월의식과 교만을 버려야 한다. 남북교회의 공동선교가 이루어지려면 먼저 남한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의 교회갱신과 회심운동이 일어나야 한다. 남북교회의 공동선교가 이루어지려면 흡수통일의 발상은 버려야 한다. 북한 땅에서의 선교는 기본적으로 북한교회에 의한 자주적 선교일 것이고, 통일을 지향하는 한국교회로서는 이러한 자주적 선교를 전제로 하는 협력과 교류를 주된 주제로 삼아야 할 것이다. 현재 남북교회의 공동선교의 좋은 거울이 될 수 있는 것이 북한동포돕기운동이라고 본다. 이것을 통해 남한교회의 북한교회에 대한 태도와 방향을 엿볼 수 있기 때문이다. 1995년 마카오회의에 참석했던 조선그리스도교연맹의 한 목사의 이야기는 우리가 되새겨보아야 할 의미가 담겨 있다. 한 형제가 어려움에 처해 있다는 소식을 들은 다른 한 형제가 온 동네 사람들을 다 모아놓고, 어려움을 당한 형제를 돕는다는 것을 선전하면서 돕는다면 도움을 입는 그 형제가 얼마나 자존심을 상해할 것인지를 생각해 보았는지 모르겠다. 그러나 어려움을 당한 형제를 조용히 불러 따뜻한 식사 한끼 대접하면서 정성을 표시한다면 받는 그 형제가 어떤 마음을 가지고 그 집을 나서게 될지 생각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그의 말에 대해 요란하게 북한 지원에 나서고 있는 한국교회와 지원단체들이 한 번쯤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남한교회의 지원에 대해 북한 측이 감사표시에 합당한 입장표명한교회 내에 있기도 하였다. 이것은 바람직한 방법이 될 수 없다. 북한을 돕는 일이 남북 사이에 이해의 폭을 넓히고, 이를 바탕으로 신뢰관계를 형성하여 남북교회가 함께 감당할 수 있는 공동선교의 과제를 개발하는 쪽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북한동포돕기운동을 한 예로 들었지만, 남북교회가 서로 만나면서 공동선교의 과제들을 개발할 여지는 얼마든지 있다. 남북의 교회는 '새 하늘과 새 땅'을 이루는 하나님의 선교에 공동으로 참여하는 동역자이다. 남북교회는 분단현실로 갈라져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이다. 남북의 민중과 통일을 위한 대화와 연대를 강화해야 한다. 동서독교회는 지난 40년 동안 다른 어떤 조직보다 동질성을 다양한 영역에서 강하게 유지해 왔다. 동독개신교연맹은 독일전체 개신교인들과 특수한 공동체성 속에 있음을 고백하였다. 80년대에는 동서독 교회 사이에 자매관계가 수립되었다. 그들은 여건이 가능한 한 서로 협력하였다. 한국교회는 민족통일에 기여하기 위한 선교적 사명을 감당키 위해 자신을 개방하도록 요청 받는다. 예수그리스도의 십자가는 교회의 개방성을 위한 좋은 모델이 된다. 왜냐하면 십자가는 세상 모두를 향해 열려있음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십자가는 서로의 고통을 짊어지고 그 고통을 극복하며 마침내는 해방되어 자유를 찾게되는 데까지 나아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제는 남북한 교회가 서로 민족의 고통을 추구하지는 않지만 그 고통을 짊어질 수 있어야 한다. 아무도 그 고통을 짊어지려고 하지 않을 때에라도 교회가 그것을 짊어질 각오가 되어 있고, 그렇게 했을 때 교회는 하나님나라에로의 개방성을 가질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렇게 했을 때 교회는 자신이 그어놓은 경계 안에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이념의 경계를 넘어, 편견의 경계를 넘어, 교파의 경계를 넘어 진정한 화해의 길로 나아가게 될 것이다.

      • 통일신라 범천·제석천상 연구

        허형욱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불교가 발생하기 이전부터 인도의 바라문敎 신으로 숭배되었던 梵天(Brahma ̄)과 帝釋天(Indra)은 불교에 수용된 후, 각종 경전에서 불교의 가르침을 돕거나 보호하는 호법신으로 함께 등장하게 된다. 경전에서는 불교의 天部神으로서 행하는 일반적인 역할과 함께 범천은 부처에게 설법을 권청하고, 제석천은 불사리를 받드는 등의 개별적이고 특화된 행위를 일정하게 반복하는데, 이는 석가모니의 일대기를 다룬 佛傳경전의 내용으로부터 비롯되는 것이다. 범천과 제석천의 이와 같은 전형적 성격은 훗날 불교미술에서도 이들의 형상화에 일정한 영향을 끼친다. 인도와 간다라에서 범천과 제석천상은 불전미술품에 주로 보이며, 수행자형 범천상의 도상은 고대 인도의 四姓제도에서 제1계급인 바라문을, 그리고 왕공형 제석친상의 도상은 제2계급인 크샤트리아를 모델로 하여 성립되었다는 것이 통설이다. 불전미술을 포함하여, 본존상과 그 좌우에 범천·제석천상이 등장하는 형식은 이후 전개되는 불삼존상의 기원으로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중국에는 범천·제석천상이 등장하는 불전미술품이 많이 남아있지 않으나, 명문을 통해 확인되는 소라형 머리를 한 螺계梵王이라는 특정한 도상의 범천상이 남북조시대 6세기에 활발히 제작되었다. 범천상의 나계는 교리적으로 불교적 세계관에 관련 된 가르침을 함축하며, 그 도상적 연원은 범천을 받들었던 바라문집단의 외모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나계범왕상은 착의형식에 따라 몇가지로 분류되는데, 양식변천은 다른 상들과 비슷하여 동시대 불교조각의 보편성을 공유한다. 한편 동아시아 초기의 또 다른 범천상의 예로, 통일신라 초인 689년에 제작된 己丑銘 아미타여래불비 상에서 건물을 들고 있는 인물상 두 구를 주목했다. 본고에서 '捧宮殿 범천상'으로 명명한 이 상들은, 「법화경」 을 비롯한 각종 경전에서 부처께 자신의 궁전을 바치며 설법을 권청하는 범천의 전형적인 행위를 도상적 근거로 하여 형상화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중국 唐代의 범천·제석천상은 거의 전하지 않으나 문헌기록과 벽화자료를 통해 불 때 도상과 양식에서 점차 중국의 전통적인 요소를 흡수하며 중국화를 진행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盛唐期 이래 제작된 중국의 전통적 관리형, 제왕형, 여성형 범천·제석천의 도상은 인도나 서역에서는 전혀 볼 수 없던 것으로 중국적 사고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같이 중국화된 범천·제석천 도상은 우리나라에도 수용됨으로써 통일신라 후기에 제작되는 범천·제석천상에 영향을 미쳤다. 통일신라 범천·제석천상 제작의 배경으로는 불교의 범천·제석천 신앙과 결합된 재래의 전통적인 천신신앙의 기반과, 화엄의 영향 하에 전개된 신중신앙의 성행을 들 수 있다. 통일신라 초기, 제석천상이 존재했을 가능성을 지닌 사천왕사의 五方神將像에 대해서는, 이 상들 속에 제석천상뿐만 아니라 사천왕상 역시 포함되지 않았으며, 「濯頂經」 의 내용 그대로 다섯 구 모두 활을 쥔 무장형 상으로 만들어졌다고 보았다. 제석친상과 사천왕상의 결합은 오히려 통일신라 후기에 제작된 실상사 백장암 석탑의 1층 탑신에서 확인된다. 백장암 석탑 1층 탑신의 모습은 제석천을 중앙으로 하는 불교의 수미산 세계를 뜻하므로 이 경우야말로 사천왕상을 포함하는 오방신적인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8세기 중반에 제작된 석굴암 범천·제석천상에 대해서는 상 자체의 분석과, 석굴암 전체구조 속에서의 배치 문제로 나누어 고찰하는 二元的인 방법을 택하였다. 우선 도상과 양식은 「陀羅尼集經」 卷3 般若畵像法에 수록된 범천·제석천상의 묘사와 거의 같다. 석굴암 범천·제석천상의 광배(파기광: 키 모양의 광배)·대좌(수유좌: 양탄자로 된 대좌)·지물(불자와 정병, 금강저)은 기원과 의미, 그리고 형태면에서 국제성 강한 모티프인 것이 확인된다. 또한 이 상들의 복식은 같은 시기인 일본 奈良시대의 범천·제석천상들과 비교되는 한편, 일부 도상이나 양식에서는 고식성과 보수성을 띤다. 석굴암 범천·제석천상이 지닌 국제적인 동시대성과 고식성이라는 상반된 성격은 통일신라 조각의 독자성과 특수성을 잘 보여준다고 생각된다. 석굴암의 설계와 불상군의 배치는 비슷한 시기에 동아시아에서 유행했던 원형구도를 기본형으로 하는 불교존상의 군상배치 圖本들과 비교된다. 그러나 범천·제석천 상의 좌우위치와 배치면에서는 차이를 보이며 석굴암만의 특징을 지닌다. 석굴암 범 천·제석천상의 도상 자체는 「다라니집경」 과의 영향관계가 상정되나, 석굴암 내부에서 범천·제석천상의 위치와 배치상의 특수성이라는, 설계문제와 직결된 보다 근본적인 부분은 개별 도상집의 성격이 짙은 「다라니집경」 보다도, 석굴암 조영 당시 통일신라에서 유행했던 「화엄경」 이나 화엄사상, 화엄신앙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던 것으로 파악했다. 이는 석굴암 조영에 관여했던 주변 인물들의 화엄과의 관련성, 본존상의 성격, 그리고 화엄에서 범천·제석천이 차지하는 위상과 중요성으로도 뒷받침된다. 통일신라 후기의 범천·제석천상은 그동안 일부 부도의 예를 제외하면 거의 없는 것으로 소홀하게 인식되어져 왔으나, 막연하게 보살상이나 천부상으로 통칭되던 석탑과 석불 대좌 중대석의 상들 중에는 범천·제석천상이 적지 않게 포함되어 있다. 이 시기의 범천·제석천상은 복식과 지물, 자세에 의해 4가지 형식으로 분류된다. 석 탑과 사리기 표면에 새겨지는 범천·제석천상은 대부분 석굴암의 도상을 계승·변용 하였고, 이와 달리 부도와 석불 대좌 중대석의 범천·제석천상은 복식과 대좌 등에서 盛唐 이후의 중국화된 도상을 새롭게 수용하였다. 통일신라 후기의 서로 다른 계열의 범천·제석천상 도상은 함께 공존하며 각각의 양식적 전개를 보이는 한편, 고려 초기의 범천·제석친상으로 그 전통이 계승되었다. 이처럼 통일신라 후기의 범천·제석천상이 밀교도상을 따르지 않고, 오히려 고식적인 석굴암 범천·제석친상의 전통을 계승한 점은 같은 시기의 중국이나 일본과 차별화되는 독자적 성격을 보여주는 것이다. 통일신라 후기에 제작된 불교 석조물의 범천·제석천상은 사천왕, 금강역사 등 다른 종류의 神衆像들과 함께 새겨지며 석조물 전체의 성격이나 상징성을 규정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이러한 신중상들의 결합방식은 석조물의 종류, 범천·제석천상의 형식과 일정한 상관성을 보이며 몇가지로 구분되고, 이에 따라 범천·제석천상은 불세 계의 질서를 구현하거나 구조물 내부를 지키는 수호신의 뜻을 지니는 등으로 의미와 역할 면에서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인다. 범천·제석천상의 연구는 단순히 신중상의 연구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한국 고대조각사 연구 전반에 새로운 시각과 몇가지 중요한 문제를 제기해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Brahma and Indra worshiped as the gods in Brahmanism before Buddhism arose, served and guarded the Buddha's preaching in sutras appearing together within Buddhism. In the sutras on Sakyamuni's life they take special roles; Brahma persuades him to preach and Indra serves the Sarira as well as taking a general role as gods of devas. Some Iconographic features in Buddhist art are based on these typical roles. In India and Gandhara, Brahma and Indra are shown in the art on Buddha's life. Followed the Brahmana and Ksatriya in the Caste system Brahma appears disciplinant and Indra appears noble. Including the art on Buddha's life, the statues with Buddha on the right and left side by Brahma and Indra originates the form of Buddha triad. Even the art on Buddha's life rarely remains in China, in the 6th century, many records describe the icon of Brahma with shell-shaped head Nagye-Bumwang(螺?梵王). The shell-shaped head of Brahma expresses the instruction of Buddhism and the origin of the icon which comes from the appearance of Brahmanas worshiping Brahma. This kind of Brahma image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its costume, and the changes of the style have also general issue with other Buddhist sculpture. On the other hand, there is another example of Brahma image in the early Unified Silla dated on 689 A.D. It is two figures that hold buildings in the stone monument with Amitabha inscribed the year of Gichuk(己丑). The Brahma called 'Brahma holding up a palace' in the thesis has much possibility to be formed by the scenes from many sutras including Saddarma-pundarika sutra(法華經); Brahma entreats for Buddha's sermon dedicating his palace. Although the Brahma and Indra statues of Tang dynasty are seldom discovered, we can find that the icons and the style reflect traditional Chinese elements through records and mural paintings in the era. The images of Brahma and Indra in Chinese official uniform, emperor clothing and feminine garments produced during the high Tang, were very different from those of Indra and Central Asia. The Chinese icons of Brahma and Indra affected on those produced in the late Unified Silla. In the Unified Silla, Brahma and Indra of Buddhism were accepted and produced based on the traditional religion on the gods of Heaven and the prevalence of the multitude of deites under Avatamsaka(華嚴). Five-direction-Guardians(五方神將)of Sachonwang-sa temple(四天王寺, the temple of Four Heavenly Kings)in the early Unified Silla have been presumed to include Indra. However, the status just consisted of five armed figures with bows not Indra nor Four Heavenly Kings according to GwanJeong sutra(灌頂經). Rather, in the late Unified Silla, the combination of Indra and Four Heavenly Kings around, which expresses the world of Mt, Sumeru in Buddhism. It is needed to analyze in two ways on the Brahma and Indra of Sokkuram(石窟庵, late 8th century), which is the analysis on the status themselves and on the arrangement within the whole structure. At first, the icons and the style are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dited Dharani sutra(陀羅尼集經)by Atigosa(阿地瞿多). Their origins, meanings, and objects such as camera, kundika, vajra are common to the international motifs at those times. These reliefs have some elements comparable with the Brahma and Indra status of Tenpyo period in Japan, as well as respect of icon and style keep old fashioned and conservative aspects. This contrary aspects of the Brahma and Indra reliefs in Sukkuram between the contemporary and conservatory style explain the originality of the sculpture in the Unified Silla. The design of the Sukkuram cave is similar to the circular plan of Buddhist deities pervading in East Asia of that period. However, the location of the right and left and the arrangement of Brahma and Indra reliefs are different from other works and it is another character of Sukkuram. It is true that the icons of Brahma and Indra in Sukkuram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edited Dharani sutra, but the location and the arrangement are more related to Avatamasaka sutra or Avatamasaka ideas which was prevalent in the Unified Silla. It is consistent with the religious tendency of the patrons to the construction of Sukkuram toward Avatamasaka, the character of the principal Buddha and the major roles of Brahma and Indra in Avatamasaka sutra. Brahma and Indra statues in the late Unified Silla have not been recognized except for a few reliefs on pavilion stupas. We can rediscover Brahma and Indra among the images which have been recognized Buddhisttvas or devas. Brahma and Indra in the period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by the costume, the holding of scared goods and their posture. Usually the engraved Brahma and Indra on the stone pagodas or Sartra casket adopt the icons of the status from those of Sukkuram. On the other hand, the images on the pavilion stupas or the pedestal of stone Buddha take Chinese style in their robes and pedestals. The icons of following era, Goryeo. Compared with Chinese or Japanese sculptures it is the distinguished character of Korean Brahma and Indra sculpture which succeeded to the Sukkuram' canon instead of following the icons of the Esoteric Buddhism. Brahma and Indra engraved on the stone buildings are the important elements to determine the character of the buildings combining other deities as Four Heavenly Kings or Vajrapani, etc...They have roles that establish the order of the Buddhist world or protect the inner contents of the stone buildings. The ways of combining other deities suggests the relationship with not only the kinds of the stone buildings but also the types of Brahma and Indra icons.

      • 사회통일교육 뉴거버넌스 활성화 방안

        박소연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과거 우리나라의 통일교육은 정권변화 및 정치적 상황에 따라 내용과 추구방향이 달라졌다. 이는 기성세대들로 하여금 북한과 통일에 관한 편향된 지식을 갖게끔 하였으며 소모적인 논쟁과 갈등, 대립의 구조를 유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문제인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통일교육에 있어 일반시민들을 대상으로 범국민적인 차원의 통일의식 함양에 초점을 두고 있는 사회통일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사회통일교육은 범위가 광범위하고, 다양한 개인들을 대상으로 교육한다는 특성상 정부 단독으로 시행하기 어려우며,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협력과 협조가 상당히 요구된다. 하지만 이러한 사회통일교육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다양한 사회통일교육 시행주체들은 정치적 성향과 특성을 반영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그 내용과 방법에 많은 편차가 존재한다는 문제가 지적된다. 또한 시민들의 참여의 저조와 소극적인 형태로 시행되고 있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뉴거버넌스(New governance)적 접근을 통하여 사회통일교육의 주체들 간의 자발적인 참여와 네트워크, 파트너십 관계를 구축하고 활성화시키기 위한 실질적 연계 및 협력 방안을 마련하여 사회통일교육에 활성화를 모색하는 데 중점을 둔다. 특히 사회통일교육을 실시함에 있어 주체들 간의 긴밀한 협조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였던 독일의 사례를 통하여 시사점과 적용성에 관한 분석을 병행하여 독일의 사례를 적극 활용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사회통일교육 뉴거번넌스가 활성화 되면 일반시민들은 정부·지자체·민간·학계·시민사회 등 다양한 사회통일교육 주체들로 하여금 보다 질적이고 다양한 방법으로 지식을 습득하여 스스로 북한과 통일문제를 인식하고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를 통해 얻게 되는 결과로 향후 일반시민들에게 사회통일교육 접근이 용이해지고, 나아가 성숙한 통일시민 양성과 통일의지를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결과가 도출되기를 기대한다. In the past, unification education in our country was subject to changes in content and direction of pursuit depending on the regime change and political situation, which has provided a biased knowledge of North Korea and unification to the older generation, triggering a structure of wasteful bickering, conflict and confrontation. Through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which focuses on fostering a sense of the national unity of ordinary citizens.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is characterized by its wide range of education to various individuals.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the government to implement it alone. As a matter of fact, cooperation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are required considerably. However, despite the importance of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the various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is implemented in the course of education reflecting political orientations and characteristics, and there are many deviations in their content and methods. There is also a limit that citizens' participation is low.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voluntary participation in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the New Governance approach, and on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links and cooperative measures to establish and activate network and partnership relationships in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In particular, the implications and applicability to Korea are analyzed through the example of Germany, which actively engaged in the activities of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by forming close cooperation and network among actors. As a result, when the new governance of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is activated, ordinary citizens will be able to acquire knowledge in more qualitative and diverse way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he local government, academia, and the private sector. It will also be able to cultivate its own ability to recognize and judge the matter of North Korea and unification issues. Ultimately,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will result in easier access to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for ordinary citizens in the future, which will induce positive results in fostering a mature sense of citizenship and enhancing their will for unification.

      • 남북한 경제통합 제도에 관한 연구 : 통합단계별 이행방안을 중심으로

        백인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807

        남북한 경제통합이 어떠한 방식으로 진행될 것인가에 관하여 일률적으로 예측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과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북관계와 북한의 변화에 대비하여 남북한 경제통합 방식과 이행방안을 연구하는 것은 우리 헌법의 규범적인 요청일 뿐만 아니라, 남북한 장래의 생존과 번영을 위한 현실적인 과제이다. 본 연구는 남북한 경제통합이 단계적인 이행방식으로 진행되는 경우의 이론적 가능성을 모색하고, 동시에 경제통합 과정에서 단계적 통합을 어떻게 주장하고 시현해야 하는가에 대한 이행방안을 탐구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북한 체제이행이 남북한 경제통합을 단계별로 이행하도록 하는 중요한 전제조건이고, 경제통합의 단계별 이행과정에서 북한 체제이행이 일관성 있게 진행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남북한 경제통합이 단계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북한 체제이행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는 남북한 경제통합의 목적이 단일경제체제를 형성하는 것에 있으므로 남북한의 상이한 경제체제를 조정하기 위한 과정으로 북한의 계획경제를 시장경제로 이행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남한의 체제이행을 생각해 볼 수 있으나 역사적으로 계획경제가 실패하여 구소련이 붕괴한 점, 북한 스스로가 경제개혁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북한의 체제이행을 전제하는 것이 더욱 현실적인 방안이 된다. 북한의 체제이행 과정은 자유화, 사유화, 안정화 등의 정책프로그램과 시장경제 제도 정립 등의 두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체제이행 방식은 동유럽 등 사회주의국가 체제이행 과정에서 이루어진 조치들로 북한 체제이행 과정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하게 된다. 여기서 자유화는 계획경제에서 자율적인 시장경제체제로 전환하기 위해서 도입되는 정책프로그램을 말하며, 가격자유화가 핵심과제가 된다. 사유화는 국가 소유의 자산을 민간으로 이양하는 과정의 정책프로그램을 의미하며, 토지와 기업 등이 주된 대상이 된다. 안정화는 자유화, 사유화로 인해서 발생하는 인플레이션과 실업 문제 등에 대한 정책적 대응프로그램을 말한다. 남북한 경제통합은 통일방식이 점진적 방식인지 또는 급진적 방식인지에 따라서 경제통합의 속도와 내용 등에서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 점진적 통일방식은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남북한 합의와 조정을 통해서 통일이 진행되는 과정으로 남한의 민족공동체통일방안이 여기에 해당한다. 급진적 통일방식은 점진적 방식과는 달리 짧은 기간 동안 통일이 급격하게 진행되는 과정을 의미하고 대표적으로 북한 내부변화에 의한 통일방식이 여기에 해당한다. 점진적 통일방식에서의 남북한 경제통합은 남북한이 동등한 입장에서 합의와 조정을 통해서 단계적이며 절차적인 방식으로 통합과정이 진행된다. 반면, 급진적 통일방식에서는 짧은 시간적 상황으로 인해서 현재 시장경제 제도를 운용하고 있는 남한 제도를 중심으로 북한이 편입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게 된다. 남북한 경제통합 단계는 자유무역지역, 공동시장, 경제동맹 등 3단계로 구분하여 연구할 수 있다. 점진적 통일방식에서 남북한 경제통합의 과정은 자유무역지역의 CEPA 협정으로부터 시작돼서 경제동맹 단계에서 공동재정정책을 마련하게 되면 경제통합 완성단계에 도달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이르게 되면 남북한은 실질적인 통일국가로 진입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남북한 경제통합 제도 정립은 경제통합 과정의 기틀을 마련하고 기존 경로가 존재하지 않는 경제통합 과정에서 이정표와 같은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 경제가 자유화, 사유화, 안정화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체제이행이 진행되는 것을 전제한다. 이를 고려할 때 북한지역에서 이루어질 자유화, 사유화, 안정화로 대비되는 체제이행 정책프로그램의 내용을 검토하고 이와 동시에 남북한 경제통합의 단계별 제도 정립 과제와 이행방안이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It is very difficult to predict uniformly how the economic integration of the two Koreas will proceed. Nevertheless, it is not only a normative request of our constitution but also a realistic task for the future survival and prosperity of the two Koreas to study possible ways of economic integration and their implementation methods in preparation for evolving inter-Korean relations and changes in North Korea. This study examines the theoretical possibility of the economic integr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as a phased transition and also explores how to implement and demonstrate the phased integration in the process of economic integr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changing the economic system of North Korea is an important prerequisite for carrying out the phased economic integration of the two Koreas and that the change of the North Korean economy should proceed consistently in the process of economic integration of the two Koreas. In order for the economic integr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to progress gradually, changing North Korea’s economic system should come about first. This is because the purpose of the economic integration of the two Koreas is to form a single economic system, and it is necessary to shift North Korea's planned economy to a market economy as a process of integrating the different economic systems of the two Koreas. South Korea's system change is another possibility, but it is more realistic to assume North Korea's system change as the Soviet Union collapsed as result of the failure of its planned economy and North Korea itself is pushing for economic reforms. Changes in North Korean economic system will be carried out in two major aspects: First, in terms of policy directions such as liberalisation, privatisation, and stabilisation; and Second, in terms of the establishment of a market economy system. This system change will involve the measures taken by the Eastern European countries in their transitions from the socialist system and the same measures will apply to North Korea. Liberalisation refers to a policy program to be introduced in order to opt for free market economy in lieu of planned economy and price liberalisation is a key issue. Privatisation refers to a policy program for the transfer of state-owned assets to the private sector, with land and businesses being the main targets. Stabilisation is a policy response program for inflation and unemployment caused by liberalisation and privatisation. The economic integr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will differ in speed and content depending on whether the unification will be carried out in a gradual or radical manner. Gradual unification is a process of unification through consensus and coordination between the two Koreas over a sufficient time, and the National Community Unification Formula suggested by South Korea envisions such a gradual unification. Unlike the gradual approach, the radical unification means a process in which unification proceeds rapidly over a short period of time, and unification by North Koreas’ internal changes belongs to this radical category. In a gradual unification, the economic integration of the two Koreas will proceed in a phased, step-by-step manner through consensus and coordination of the two Koreas on an equal footing. By contrast, in a radical unification, the North Korean system will be integrated into the South Korean system of market economy due to the time limitations. The economic integ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Free Trade Area, Common Market, and Economic Union. In a gradual unification, the process of economic integration begins with the CEPA agreement of a Free Trade Area, and economic integration is completed when a common financial policy is established at the stage of Economic Union. When that happens, the two Koreas will have practically entered a unification phase. In this process, the establishment of the economic integration system of the two Koreas will lay the foundation of the economic integration process and play the role of setting milestones in the unchartered path of economic integration. This study assumes that North Korea’s economic system will change in three major directions of liberalisation, privatisation, and stabilisation. Based on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ontents of the system change in terms of policy programs and also to analyze the tasks at each phase of the economic integration of the two Koreas and the respective implementation plans for the corresponding ph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