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말하기 태도 연구 : 수업 상황에서 발표를 중심으로

        김미선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고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이 수업 상황에서 경험하는 공적인 말하기인 ‘발표하기’에서 어떠한 태도를 가지고 있는지 측정하고 그러한 태도를 형성하게 된 요인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말하기 태도 교육 내용을 마련할 수 있는 준거를 제시하여 학생들이 보다 긍정적인 말하기 태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말하기 태도의 개념을 정의하고 말하기 태도의 구성요소를 인지적 요소, 정의적 요소, 행동적 요소로 구분하였다. 각 구성요소별로 하위요소를 설정하여 문항을 개발하고 기초자료조사를 통해 그 실제성을 더하였다. 예비 조사와 신뢰도 검증을 거쳐 검사 문항을 최종 선별한 다음 서울, 인천, 경기 지역의 세 학교 5,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말하기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말하기 태도의 평균 점수는 5점 만점에 3.22로 나타났다. 인지적 요소와 행동적 요소는 상대적으로 높았고 정의적 요소가 전체 태도 평균 점수보다 낮았다. 하위요소별로는 말하기의 가치가 가장 높았고, 말하기 태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행동적 요소였다. 그러므로 학생들에게 발표가 즐거운 것이라고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학년별로는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요소에서 5학년 학생들의 평균 점수가 6학년 학생들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높았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점차 교사 중심적으로 수업이 진행됨에 따라 학생들의 진정한 자기 표현의 기회가 줄어든 데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말하기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별 요인의 평균 점수에 따라 상·중·하위로 집단을 나누고 구성 요소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말하기 문화를 제외한 나머지 요인에서 집단에 따라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요소의 유의차가 존재하였다.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말하기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 내적 변인, 과거 발표 경험에 대한 느낌 변인, 친구 변인, 교사 변인, 가정환경 변인의 순으로 나타났다. 말하기 태도를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항목은 개인 내적 변인이었고 과거 발표 경험에 대한 느낌이 긍정적일수록 친구 관계가 원만할수록 학생의 말하기 태도 수준이 높았다. 근본적으로 자아 개념은 대인 의사소통 과정을 통해 습득되고 유지되고 변한다. 사람들이 스스로를 어떻게 보느냐는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어떻게 본다고 생각하느냐에 달려있다. 자신을 스스로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대한 항목인 개인 내적 요소와 너는 친구가 너를 어떤 사람으로 인식한다고 생각하느냐에 대한 항목인 친구 요소는 자아 개념이라는 맥락에서 통한다. 결국 자아 개념이 높은 학생이 말하기 태도 수준도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정직한 자기 노출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자기를 표현하고 다른 사람들을 통해 피드백을 받아 긍정적인 자아 개념을 형성해야 한다. 그리고 자성 예언으로 자신을 긍정적인 말하기 태도의 소유자로 인식시켜 긍정적 자아 개념을 유지 발전시켜야 한다. 또한 최초로 의사소통을 경험하고 자아개념을 형성하는 터전인 가정환경의 역할이 중요하다. 말하기 태도를 형성시킬 결정적 경험이나 반복되는 말하기 성공 혹은 실패 경험으로 과거 말하기 경험에 대한 느낌이 굳어진다. 말하기 경험의 성공 여부는 청자의 반응으로 결정되므로 학생들의 긍정적 말하기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청자의 듣기 교육이 중요하다. 말하기 교육도 공감적 화법이나 상호주관성 화법과 같은 관계 지향적 관점으로 바뀌어야 한다. 현대화로 인해 학습자는 다양화되어 온 반면 학교 체계는 획일화되어 있었다. 교실에서 학생은 ‘발표’를 통해 형식을 재생산하도록 교육받았다. 교실 의사소통의 특성상 교실 대화는 불평등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며 전통적 유교 문화로 교사와 학생 간의 구분이 명확하였기 때문에 여러 가지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이러한 문제의 중심에 서있는 교사가 자신의 영향력을 깨닫고 학생과의 진정한 소통을 위해 노력할 때 학생들의 말하기 태도가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발표 거부 현상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는 연구와 학교 환경 요소를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 결과 말하기 문화가 말하기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밝혀졌는데 연구 대상이 중, 고등학생으로 달라진다면 말하기 문화의 영향력이 어떠할지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measured high‐grade elementary students’ attitude in ‘presentation,’ which is a public speech in class situation, and analyzed factors that form the attitude. Through these activities, this study purposed to suggest a ground for preparing the contents of speech attitude education and to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a more positive speech attitude in students. For this study, we first defined the concept of speech attitude, and divided the components of speech attitude into cognitive factor, affective factor and behavioral factor. For each factor, its sub‐factors were set, questions were developed for the sub‐factors, and the relevance of the questions was refined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s was tested through a preliminary survey, and the final questions were selected. And using the questionnaire, we tested the speech attitude of 5^(th)‐ and 6^(th)‐grade students at three school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respectively. The mean score of speech attitude was 3.22 out of 5. The scores of the cognitive factor and the behavioral factor were relatively high, and the score of the affective factor was lower than the mean score of general attitude. By sub‐factor, the value of speech was highest, and the behavioral factor ha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speech attitude. Therefore, it is effective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feel that presentation is enjoyable. By grade, 5^(th)‐grade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ean scores in the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factors than 6^(th)‐graders. This is probably because contents are more advanced and work load is larger in the higher grade. Based on the mean scores of the factors affecting speech attitude,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e high, middle and low groups, and differences in the factors among the group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factors. Whe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factors affecting speech attitude, effect on speech attitude was high in order of inner personality, feeling about past experiences in presentation, friend, teacher, and home environment. Basically, self‐concept is acquired, maintained and chang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others. That is, how one sees himself depends on how he thinks others see him. In this sense, self‐concept is related to ‘inner personality,’ which determines how one thinks of himself, and ‘friend,’ which determines what kind of person one thinks his friends perceive him to be. This means that students with high self‐concept have a good speech attitude. Therefore, positive self‐concept should be formed through the exposure of honest self. Moreover, positive self‐concept should be maintained and developed through self‐fulfilling prophecy. Also, the role of home environment, which is the ground for the formation of self‐esteem and self‐concept, is important. Feeling about past experiences in speech is hardened through decisive experiences that may form speech attitude or repeated experiences in success or failure in speech. Because success or failure in speech is decided by listeners’ responses, it is important to teach how to listen in order to provide students with positive speech experiences. Thus, speech education should be changed to relation‐oriented viewpoints such as sympathetic speech or inter‐subjective speech. With modernization, learners have been diversified but the school system has been uniformed. In classroom, students are educated to reproduce forms through ‘presentation.’ Teachers exert powerful influence in order to stimulate students’ active communication and to create supportive classroom environment. Therefore, realizing their influence, teachers should make efforts to maintain open communication with students. As this study was conducted at the beginning of a semester when the students’ relations with their teacher and friends were weak, the period of research may need to be adjusted. On the other hand, the survey method of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surveying high‐grade elementary students’ history of speech. Thus, by adopting a different research method, we may obtain better results.

      • 중학생의 사회적 기술이 학교폭력태도 및 체육수업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병은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ABSTRACT Effects of Social Skills in Middle School Student on School Violence Attitudes and Deviant Behavior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es Jun, Byeong Eu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Hee University Dept. Physical Education Directed by Prof. Jeon, Jeong Woo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was to verify relation among in middle school student social adaptive ability, thought and behavior level handling school violence, and negative awareness level in physical education class. It was objective data that understanding awareness and tendency about school violence and physical education class. Based on this, there was purpose that provided strategy data effectively to manage physical education clas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e present research carried out a questionnaire with the target of a total of 490 middle school student in Gyeonggi-do, and the surveyed result was analyzed by using a statistical analysis. First, in social skills of personal characteristic of middle school student, male student was higher self-control and sociality cause than female student, and female student was higher cooperation and sympathy cause than male student. In social skills of year,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student group was higher cooperation cause than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student group, and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student group was higher sociality cause than the second and third year of middle school student group. The higher grade, the higher cooperation, interaction, order, and sympathy cause. The more a close friend, the higher interaction and sociality cause. And group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y was higher cooperation, self-control, and sociality cause. group absent in sports activity was higher interaction cause than group participating in. Second, in school violence attitudes of personal characteristic of middle school student, male student was higher non-handle behavior than female student, and group in low grade was higher permissive attitude. Third, in deviant behavior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es of personal characteristic of middle school student, male student was higher complaint behavior than female student, female student was higher neglect behavior. The higher grade, the higher neglect behavior and rebellious behavior. The lower grade, the higher all deviant behavior of complaint behavior, neglect behavior and rebellious behavior. Fourth, social skills of self-control and sympathy had a negative effect on permissive attitude of school violence of middle school student. Social skills of self-control had a negative effect on join attitude of school violence. Social skills of soci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join attitude. And cooperation and sympathy had a negative effect on non-handle behavior about school violence, social skills of self-control had a positive effect on. Fifth, cooperation and sympathy had a negative effect on complaint behavior of deviant behavior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inter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omplaint behavior. Self-control had a negative effect on neglect behavior. And cooperation and sympathy had a negative effect on rebellious behavior, inter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ixth, permissive attitude, join attitude, and non-handle behavior in sub factor of school violence attitudes had a positive effect on complaint behavior, neglect behavior, and rebellious behavior in sub factor of deviant behavior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es. 본 연구는 중학생의 사회적 상황 적응 능력과 학교폭력에 대처하는 생각 및 행동 수준, 그리고 체육수업에서의 부정적 인식 수준 간의 관계를 탐색함으로써 그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는 청소년들의 학교폭력과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및 경향성을 파악하는 실증자료가 되며,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체육수업 운영을 위한 전략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소재 중학생 4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통계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자기통제와 사교 요인이 높고, 협동과 공감 요인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으며, 중1 집단이 중3집단보다 학년에 따른 사회적 기술에 대한 협동 요인이 높고, 중1집단이 중2, 중3집단보다 사교 요인이 높다. 또, 상위(학급 1-10등)집단이 중위(학급 11-20등)집단보다 협동요인이 높고, 중위(학급 11-20등)집단이 하위(학급 21등 이하)집단보다 협동요인이 높으며, 상위(학급 1-10등), 중위(학급 11-20등)집단이 하위(학급 21등 이하)집단보다 소통, 질서, 공감요인이 높다. 친한 친구 수가 10명 이상인 집단이 2명 이하, 3-5명인 집단보다 소통 요인이 높고, 친한 친구 수가 10명 이상인 집단이 3-5명인 집단보다 사교 요인이 높으며, 친한 친구 수가 3-5명인 집단이 2명 이하인 집단보다 사교 요인이 높다. 또한,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집단이 협동, 자기통제, 사교 요인이 높고,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집단이 참여하는 집단보다 소통 요인이 높다. 둘째, 남자집단이 여자집단보다 비대처 태도가 높고, 하위(학급 21등 이하)집단이 중위(학급 11-20등), 상위(학급 1-10등)집단 보다 허용적 태도가 높다. 셋째, 남자집단이 여자집단보다 불만행동이 높고, 여자집단이 남자집단보다 태만행동이 높으며, 중3집단이 중1집단보다 태만행동이 높고, 중3집단과 중2집단이 중1집단보다 반항행동이 높다. 또, 하위(학급 21등 이하)집단이 상위(학급 1-10등)집단과 중위(학급 11-20등)집단보다 불만행동, 태만행동, 반항행동 모든 요인이 높고,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집단이 태만행동, 반항행동이 높다. 넷째, 학교폭력태도에 대한 허용적 태도에는 자기통제와 공감의 사회적 기술이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또한 자기통제의 사회적 기술은 학교폭력에 대한 가담적 태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사교의 사회적 기술은 가담적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학교폭력에 대한 비대처 태도에는 협동과 공감이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자기통제의 사회적 기술은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체육수업 일탈행동 중 불만행동에는 협동과 공감이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소통은 불만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 체육수업 일탈행동의 태만행동에는 자기통제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반항행동에는 협동과 공감이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소통이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여섯째, 학교폭력태도의 하위요인인 허용적 태도, 가담적 태도 그리고 비대처 태도가 체육수업 일탈행동의 하위요인인 불만행동, 태만행동, 반항행동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과학관 체험학습에서 ICT활용 협동학습(TGT)모듈을 적용한 사전 학습 프로그램이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효과

        박순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학교 밖 과학교육으로서의 과학관 체험학습을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주어진 학습목표를 자기 맥락화하여 과학 관련 태도를 신장시킬 수 있도록 ICT활용 협동학습(TGT) 모듈을 적용한 과학관 체험학습 사전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의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협동학습 과정이 ICT 프로그램 안에서 이루어지도록 설계한 본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점에 주안점을 두었다. 첫째, 기존의 협동학습(TGT)방식의 장점인 중하위권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과학학습동기, 자아존중감에 대한 향상효과를 보존하고자 하였다. 둘째, 동 방식의 단점인 원 모둠에서 게임 모둠으로의 전환 시 매번 교실 내 빈번한 이동이 발생하여 매우 어수선해지며 학습 분위기가 흐트러지는 문제점, 보상구조의 문제에서 기인하는 상위권 학생들의 미약한 동기유발의 문제점 등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2008년 희망 경기 과학 축제 고양시 부스운영에 투입되어 1차 내용 수정을 하였으며, 전문가 그룹을 통하여 2차 수정을 거쳐 수정 보완한 후 수업에 투입되었다. 과학관 체험학습을 위한 사전학습 프로그램으로서 기존 ICT 수업방식과 개발된 ICT활용 협동학습(TGT) 모듈이 과학 관련 태도(TOSRA)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집단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즉, 개발된 ICT활용 협동학습(TGT) 모듈을 기존 정보통신기술(ICT) 수업방식으로 투여한 경우(ICT 처치반)와 팀게임 토너먼트 방식의 협동학습을 투여한 경우(TGT 처치반), 프로그램을 투여하지 않은 경우(NOR 일반반)등 총 3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효과를 상호 비교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협동학습(TGT)방식의 ICT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전체적인 과학 관련 태도(TOSRA)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고, 수업방식 간 통계적 유의차도 부분적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과학 관련 태도의 7개 범주에서의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았다. 먼저, 과학의 사회적 의미 영역,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 영역, 과학적 태도의 수용 영역, 과학수업의 즐거움 영역의 4개 영역에서는 대체로 TGT 처치반, ICT 처치반, NOR 일반반 순의 긍정적인 태도변화의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다. 이들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3개 영역 즉, 과학자의 평범성 영역, 과학에 대한 취미적 영역, 과학에 대한 직업적 관심 영역에서는 통계적 유의차가 발견되지 않았다. 셋째, 남학생보다는 여학생 집단에서 과학 관련 태도의 향상의 폭이 크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 넷째, 학업수준 하위집단보다는 상위집단에서 통계적인 유의차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제 관찰이 어려운 과학 영역에 대한 ICT활용을 통한 탐구대체 효과와 수업 효율성 향상 등의 장점과, 개별학습구조의 단점을 극복하는 협동학습 수업방식의 장점을 융합하는 새로운 수업방식의 시도라는 면에서 의미가 있다. TGT cooperative learning is suggested as a method which enables both the individualized teaching-learning and the small group learning in students-centered open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structional effects of the Pre-learning program applied by ICT-based TGT Cooperative module for science museum excursion on science related attitude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 Three classes of third graders (N=87) at a elementary school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ICT-based TGT cooperative learning group, the ICT learning group, and traditional learning group. The students were taught about the planning of exploring the moon in the chapter of the earth and the moon, for 1 class hour. Prior to the instructions, the TOSRA(test of science related attitude) and achievement test were administered. Two-way ANCOVA results revealed that the scores of the ICT-based TGT cooperative learning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learning groups for most of the TOSRA scales. However, there was a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 three distinct scales of TOSRA, Normality of Scientists, Leisure Interest in Science, and Career Interest in Science. Advantage/disadvantage and usefulness of ICT-based TGT cooperative learning were also discussed.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자아탄력성 및 분노조절능력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강정남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자아탄력성 및 분노조절능력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양육태도, 자아탄력성, 분노조절능력과 공격성의 상관은 어떠한가? 둘째, 부모양육태도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자아탄력성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분노조절능력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다섯째, 부모양육태도, 자아탄력성 및 분노조절능력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M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300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 중 284부가 회수되었고,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이 충실하지 못한 29부를 제외한 255부가 자료 분석에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부모양육태도, 자아탄력성, 분노조절능력과 공격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부모양육태도, 자아탄력성 및 분노조절능력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양육태도, 자아탄력성, 분노조절능력과 공격성은 유의미한 상관이 있다. 둘째, 부모양육태도는 공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부모양육태도의 애정적 태도는 공격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 셋째, 자아탄력성은 공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자아탄력성의 대인관계 요인이 공격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 넷째, 분노조절능력은 공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분노조절능력의 인지적 요인이 공격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부모양육태도와 분노조절능력이 공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자아탄력성은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부모양육태도와 분노조절능력이 공격성에 의미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분노조절능력이 공격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부모양육태도, 분노조절능력이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공격성을 예방하고 줄이기 위해서 분노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중학생의 긍정적인 사회활동과 건강한 대인관계 형성의 기본 바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분노조절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과 상담의 기회를 제공하고, 교육 프로그램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학교와 교육 기관의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그리고, 부모의 긍정적이고 애정적인 양육태도가 중요하며, 부모를 대상으로 올바른 양육태도를 형성하고 부모 역할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 여자청소년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신체존중감이 섭식태도에 미치는 영향

        최진주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basic data to variables influencing the eating attitudes of female adolescents having high interest in their appearance and body closely related to eating-attitud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and body-esteem of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s on eating attitudes.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440 fe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siding S region, Gyeonggi-do making use of the criterion to measure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and body-esteem and eating attitudes. Total 450 copies of collected questionnaire were used as final analysis data. The data was analyzed with technological statistics, t-test, correlation analysis, multi-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7.0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esteem and eating attitudes, but there was significantly high in female high schoolers than middle schoolers in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Second, there was significantly significant high in female youths experiencing diet in sociocultural attitudes, and significantly high in female youths not experiencing diet. Also in eating attitudes, there was significantly high in female youths experiencing diet only in diet and engrossing at diet. Third, there was significantly high in female youths thinking themselves stout than those not according to conviction in appearance, and there was significantly low in female youths thinking themselves stout in body-esteem. Also in eating attitudes, there was significantly high in diet and engrossing in diet at female youths thinking themselves stout, but in diet control, there was significantly high in female youths thinking themselves thin. Fourth, the result of correlation between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body-esteem and eating attitudes ha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 to eating attitudes, bu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eating attitudes. Fifth, the result of exploring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attitudes and body-esteem on eating attitudes showed that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iet and engrossing to diet of sub0variables of eating attitudes, and weight-esteem of body-esteem had a negative effect. Whereas, sociocultural attitudes to appeara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diet control of sub-variables of eating attitudes, but weight-esteem of body-estee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iet-control. Thus the findings of the above study showed that female youths' sociocultural attitudes to appearance and body-esteem is a factor to have a close effect on their eating attitudes. In addition, based on the findings indicating that female youths all show a potential negative eating attitudes regardless of body-esteem level, we should approach on a preventive level that female youths can have a right perception and cognition to their appearance and body, not lead to abnormal eating attitudes and eating disorder. Key word : Eating attitudes,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Body-esteem 본 연구는 외모 및 신체에 대한 관심이 높고, 섭식태도와 밀접한 관계에 있는 여자청소년들의 섭식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개인적인 심리 요인 중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신체존중감이 섭식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신체존중감 및 섭식태도를 측정하는 척도를 이용하여 경기도 S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여자 중․고등학생 440명을 대상으로 2012년 9월 23일부터 10월 12일까지 설문을 진행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총 405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에 따라 신체존중감 및 섭식태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에서는 여자고등학생이 여자중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다이어트 경험 유무에 따라서는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는 다이어트 경험이 있는 여자청소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신체존중감에서는 체중존중감만이 다이어트경험이 없는 여자청소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섭식태도에서는 절식 및 음식에 대한 몰두만이 다이어트 경험이 있는 여자청소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외모신념에 따라서는 뚱뚱하다고 생각하는 여자청소년이 그렇지 않은 여자청소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신체존중감은 뚱뚱하다고 생각하는 여자청소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섭식태도에서는 뚱뚱하다고 생각하는 여자청소년이 절식과 음식에 대한 몰두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섭식통제에서는 말랐다고 생각하는 여자청소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넷째,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신체존중감, 섭식태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는 신체존중감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섭식태도와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체존중감은 섭식태도와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신체존중감이 섭식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중 내면화는 섭식태도의 하위변인 중 절식과 음식에 대한 몰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존중감 중 체중존중감은 섭식태도의 하위변인 중 절식과 음식에 대한 몰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는 섭식태도의 하위변인 중 섭식통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신체존중감 중 체중존중감은 섭식통제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여자청소년들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및 신체존중감이 그들의 섭식태도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신체존중감 수준에 상관없이 여자청소년 모두 잠재적인 부정적 섭식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여자청소년들이 자신의 외모 및 신체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지각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이상섭식태도 및 섭식장애까지 이어지지 않도록 예방차원에서의 접근을 해나가야 할 것이다.

      •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정서지능 간의 관계

        김지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정서지능 간에는 어떤 유의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자녀의 정서지능 개발을 위한 부모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다루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정서지능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둘째,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갖는 아동의 정서지능에 대한 설명력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인천지역 4개 초등학교 2학년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452명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그 중에서 미완성되었거나 불성실하게 답한 설문지를 제외한 430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김혜영(1999)의 양육척도질문지와 문용린(1997)이 정서지능의 초기 모형(3영역 10요소 모형)에 입각하여 제작한 정서지능 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PSS WIN 12.0을 사용하여 단순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정서지능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정서지능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양육태도 하위변인과 정서지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 중 친밀감 및 합리성과 정서지능 간에는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이를 하위요인별로 살펴보았을 때, 정서인식, 정서표현, 감정이입, 정서조절과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통제와 방임은 정서지능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를 하위요인별로 살펴보았을 때, 통제는 정서지능 하위 요인 중 정서표현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방임은 정서지능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과잉보호는 정서지능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정서지능 하위요인인 정서표현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들은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친밀하고 합리적이라고 지각할수록 정서지능 수준이 높으며, 통제 또는 방임적이라고 지각할수록 정서지능 수준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둘째,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정서지능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어머니의 양육태도의 설명력은 27.9%로 나타났다. 특히, 어머니의 양육태도 중 친밀감 및 합리성(β=.483, p<.001)과 방임(β=-.111, p<.05)은 아동의 전체 정서지능에 의미 있는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아동의 정서지능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며, 특히 친밀감 및 합리성 양육태도가 아동의 정서지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자녀의 정서지능을 발달시켜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어머니가 자녀에게 애정적·수용적인 태도와 행동을 보여주고, 자녀의 일상생활에 많은 관심을 보여주며, 합리적으로 지도하는 양육태도를 가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학교를 비롯한 교육관련 기관 및 지역사회에서 아동의 정서지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다양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parents'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hrough examining what significant correlations exist between mother's attitude toward raising children, that the children perceive, and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by conducting a survey on the children of the lower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tudy questions to be dealt with are as follows. First, "What correlations are there between the mother's attitude toward raising children, that the children of the lower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perceive, and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What explaining power do the mother's attitudes toward raising children, which the children of the lower classes of elementary schools perceive, have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children?"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500 male and female pupils of second graders of four elementary schools in the region of Incheon Broad City and 452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incomplete and insincere responses were removed a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remaining 430 questionnaires.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s, the emotional intelligence inspections, which are prepared base on Kim Hye-yeong's(1999) Nurturing Measurement Questionnaires and Moon Yong-lin's(1997) The Early Models of Emotional Intelligence(3 realms and 10 factor models), were used. For data processing, simpl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WIN 1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ther's attitudes toward raising children, which the children of the lower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perceive, and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mother's attitudes toward raising children, that the children perceive, and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he results of examining correlations between the subordinate variables of attitudes toward raising children a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tha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intimacy and rationality of mother's attitudes toward raising children, which the children perceive, and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When these results are examined in each subordinate factor,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emotional perception, emotional expression, and empathy and emotional adjustment. Control and nonintervention were found to have negative correlations with emotional intelligence. When these results were examined in each subordinate factor, control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emotional expression of the subordinate factor of emotional intelligence. Nonintervention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all the subordinate 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Overprotection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emotional intelligence bu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emotional expression,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of emotional intelligence. It can be seen that the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children of the lower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is high when they perceive that their parents' attitudes toward raising children are intimate and rational. However the level of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is low when they perceive that their parents' attitudes toward raising children are of control and nonintervention. Seco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s that the mother's attitudes toward raising children, that the children of the lower classes of elementary schools perceive, have on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that the explaining power of the mother's attitudes toward raising children was found to be 27.9%. Particularly, intimacy, rationality(ß=.483, p<.001), and nonintervention(ß=-.111, p<.05) among the mother's attitudes toward raising children showed significant explaining power on the children's entire emotional intelligence. Based on the above research, it can be seen that mother's attitudes toward raising children, that the children of the lower classes of elementary schools perceive, are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development of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Particularly, intimacy and rationality of attitudes toward raising childre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children. Accordingly, in order to enable the children to develop emotional intelligence and form smooth human relations and lead a happy life, mothers should show loving and accommodating attitudes with behavior, being keenly interested in the children's daily life, and should have the attitudes of guiding the children rationally. Also, diverse education programs for parents that can be helpful in enhanc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children need to be developed and put into practice in schools, education-related organizations and the local community.

      • 문학 교육에서의 태도 교육 내용 연구 : 초등에서의 서사 텍스트를 중심으로

        하근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educational contents of attitude domain in literature education, which help students grow into humans enjoying literature. As literature makes holistic experience, enjoyment of literature is related to recovery of holistic humans. Enjoyment of literature needs cognitive education and affective education. Although it is regarded that affective domain in literature education is important, affective domain have not been particular elements of educational contents. Attitude domain as affective domain in literature education was borrowed from other fields of study. Attitude domain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education makes experience literary pleasure and helps recover holistic huma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attitude elements are arranged. In order to design educational contents of attitude domain in literature education, status and orientation should be obvious. First, concept of attitude is asked to clear, through other fields of study and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education. Attitude in literature education was defined operationally as "lasting psychological tendency about text or ego or society which was formed through reception and production of literature". Next, Attitudinal components are constructive components and changeable components. Compared with concept and components of attitude, concept is in confusion and attitude domain doesn't reflect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education in curriculum. In order to design valid educational contents of attitude domain,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should be examined. Teachers recognize importance of attitude domain, but don't know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As the results of research, students get lower scores in affective elements than cognitive elements. And lower scores in production than reception. Based on these discussions, attitude elements are selected and specialized. First, perspectives of literature education that encompass attitude elements are literature education focused on dialogue, literature education grounded on context, literature education of reflective thoughts. Next, attitude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process of reception and production so as to select attitude elements in literature education. Attitude before reception and production activity is 'attitude toward text'. Attitude during reception and production activity is 'attitude of reception and production'. And then, attitude elements was presented in accordance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vels. Attitude after reception and production activity is 'attitude toward reception and production'. This type is formed through repeated education. In order to apply attitude elements to literature education,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organized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attitude elements. Attitude elements are different from cognitive elements. Attitude elements are difficult to communicate directly, should be educated with cognitive elements, need to long-term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se discussions, criteria of contents organization are indirect communication, relationship, rationality. And types of attitude domain are divided. In accordance with three criteria, practices are realized for desirable attitude domain. This study clarified vague attitude domain and presented attitude elements.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raises a possibility of attitude domain in literature education. 본 논문의 목적은 학습자가 문학을 향유하는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문학 교육에서 태도 교육의 내용을 설계하는 데에 있다. 문학 텍스트는 삶의 총체적 체험을 가능하게 하므로, 문학의 향유는 인간의 총체성 회복과 연관된다. 이러한 문학의 향유는 문학에 대한 인지적 교육과 정의적 교육이 함께 이루어질 때 가능하다. 그러나 그간의 문학 교육은 정의적 영역에 대한 교육이 필요함을 인식하면서도, 구체적인 내용 요소를 마련하지 못하였다. 문학 교육에서 정의적 영역으로서 태도의 교육은 다른 학문의 논의를 차용하여 설명하는 수준에 머물렀다. 문학 교육의 특성을 반영한 태도 교육은 문학의 고유한 즐거움을 경험하게 하고, 인간의 총체성 회복을 돕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그러므로 문학 교육에서의 태도 요소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문학 교육에서 태도 교육의 내용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태도 교육의 위상과 지향을 분명히 하여야 한다. 먼저, 타 학문 분야의 태도 관련 연구물과 문학 교육의 특성을 고려하여, 문학 교육에서 태도의 개념을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 문학 교육에서 태도를 ‘문학 텍스트의 수용과 생산 활동을 통하여 형성된, 텍스트나 자아에 대한 지속적인 심리적 경향’으로 조작적으로 정의하였다. 다음으로, 문학 교육에서 태도의 요인을 태도를 구성하는 구성 요인과, 형성된 태도를 변화시키는 변화 요인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태도의 개념과 요인에 비추어 볼 때, 현재 교육과정에서는 태도 개념의 사용에 혼란이 나타났고, 문학 교육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다. 문학 교육에서 태도 교육의 내용을 타당하게 설계하기 위해서는, 문학 태도 교육의 실태를 철저하게 파악하여야 한다. 교사들은 문학 교육에서 태도 교육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면서도, 구체적인 교육의 내용과 방법은 알지 못하였다. 학습자의 태도 검사 결과, 인지적 요인에 비하여 정의적 요인의 점수가 낮았으며, 수용보다는 생산에 부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러한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문학 교육에서 태도 요소를 선정하고 상세화하였다. 먼저, 태도 형성을 고려한 문학 교육의 관점으로 대화 중심의 문학 교육, 맥락 기반의 문학 교육, 성찰적 사유의 문학 교육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문학 교육에서의 태도 요소를 선정하기 위하여, 문학 텍스트의 수용과 생산 과정을 중심으로 태도를 유형화하였다. 문학 텍스트의 수용과 생산 활동 전(前)의 태도 유형으로 ‘텍스트에 대한 태도’, 문학 텍스트의 수용과 생산 활동 중(中)의 태도 유형으로 ‘텍스트 수용과 생산의 태도’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초등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각 유형별로 교육해야 할 태도 요소를 제시하였다. 문학 텍스트의 수용과 생산 활동 후(後)의 태도 유형은 ‘텍스트의 수용과 생산에 대한 태도’로 설정하였다. 이 태도는 텍스트에 대한 태도와 텍스트의 수용과 생산의 태도를 반복적으로 교육함으로써 형성된다. 태도 요소를 반영한 문학 교육이 이루어지려면, 태도 요소의 성격을 고려하여 교육 내용을 조직하여야 한다. 문학 교육에서 태도의 요소는 인지적 영역의 요소와는 다른 특성을 가진다. 직접적인 전달이 어렵고, 인지적 영역의 요소와 함께 교육되어야 하며, 장기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내용을 고려하여 내용 조직의 준거로 간접 전달의 준거, 관계성의 준거, 합리성의 준거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문학 태도 교육의 유형을 나누고, 세 가지 내용 조직의 준거를 고려하여, 유형별로 바람직한 태도 교육의 실제를 구현하였다. 본 논문은 문학 교육에서 모호한 태도 교육의 실체를 분명히 하고, 구체적인 태도 요소를 제시함으로써, 태도 교육의 가능성을 높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중장년 성인의 죽음 태도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연령주의의 조절효과

        이유신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ABSTRACT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ttitud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Middle Aged Adults: The Moderation Effect of Ageism Lee, Yu Shin Dept. of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This research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age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toward death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middle-aged and older Koreans aged 35 to 64. An online self-report survey was conducted, comprising measures of attitudes toward death, psychological well-being, ageism, and demographic variables. Data from 325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Firstly, examining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it was found that the mean of neutral acceptance in death attitude was high, while the standard deviation for fear of death was also high. This suggests that many middle-aged individuals hold a neutral acceptance death attitude as a part of like, but their perceptions of fear of death vary. Additionally, when validating attitudes toward death based on participants’ gender and age, it was observed that woman exhibited higher levels of fear of death than men, and those in their 30s showed higher levels of fear of death compared to those in their 60s. Secondly, when examining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average monthly incom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Middle-aged individuals with monthly incomes below 1 million won, between 2~3 million won, and between 3~4 million won showed lower psychological well-being compared to those with incomes above 5 million won. This suggests that while an increase in income may not necessarily be directly related to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individuals, economic status can be a contributing factor to one’s psychological well-being, indicating the need for economic support and job creation for low-income and middle-income middle-aged individuals in Korea. Thirdly, regarding living arrangements, middle-aged individuals living alone showed lower psychological well-being compared to families consisting of men, women, or children in a nuclear family setting. This highlights the necessity for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s and policy development for individuals living alone who may face emotional difficulties. Fourthly,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the key variables, death attitud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geism. Attitudes like escape acceptance, fear of deat, death avoidance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while approach acceptance and neutral accepta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Moreover,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agei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dicating that higher tendencies of ageism mong middle-aged individuals lead to lower psychological well-being. Finally, it was found that ageism ha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when fear of death a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middle-aged individuals. Therefore, considering that ageism exacerbates the detrimental impact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s' fear of death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proposed interventions involving counseling and programs aimed at improving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nd aging. These interventions aim to raise awareness about the threat of ageism and address age-related biases to enhance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Key words: death attitude, fear of death, ageism, psychological well-being, moderating effect. 국 문 요 지 본 연구는 죽음에 대한 태도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연령주의(Ageism)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35세~64세 중장년 한국인을 대상으로 죽음에 대한 태도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 연령주의 척도,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변인으로 구성된 온라인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325명의 자료를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균과 표준편차를 살펴본 결과, 죽음의 태도 중 중립적 수용의 평균이 높았으며, 죽음공포의 표준편차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많은 중장년층은 죽음을 삶의 일부분으로 수용하는 중립적 수용 태도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그들에게 다른 죽음에 대한 태도와는 달리 죽음공포에 대한 인식은 다양했다는 것이다. 또한 연구대상자들의 성별, 연령에 따른 죽음에 대한 태도를 검증한 결과, 여성이 남성보다 죽음공포 수준이 높았으며, 30대가 60대보다 죽음공포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월평균 소득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을 살펴보았을 때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월평균 100만원 미만, 200~300만원 미만, 300~400만원미만 중장년층의 심리적 안녕감이 월평균 500만원 이상 중장년층보다 낮은 심리적 안녕감을 보였다. 이는 소득수준의 증가가 중장년층의 심리적 안녕과 반드시 연관이 있다는 것은 아니지만, 경제 수준이 하나의 심리적 안녕감과 관련된 요인이 될 수 있으며, 한국 저소득층 중장년층을 위한 경제적인 지원 및 일자리 창출 등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셋째, 거주 형태를 살펴보았을 때 1인 가구 중장년층이 남, 여, 자녀로 이루어진 핵가족 형태의 가족보다 심리적 안녕감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정서적 어려움을 가지고 있을 수 있는 1인 가구를 위한 심리적 지원 프로그램 및 정책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넷째, 주요변인인 죽음에 대한 태도, 심리적 안녕감, 그리고 연령주의 변인 모두 상호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죽음에 대한 태도 중 탈출적 수용, 죽음공포, 그리고 죽음 회피는 심리적 안녕감과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고, 접근 수용과 중립적 수용은 심리적 안녕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연령주의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유의한 부적 상황이 나타났다. 이는 중장년층의 연령주의 경향이 높을수록 낮은 심리적 안녕을 보인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죽음에 대한 태도 중 죽음공포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칠 때 연령주의(Ageism)가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장년의 죽음공포가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부적 영향에 대해 연령주의가 더욱 악화시키므로, 본 연구는 연령주의에 대한 위협을 인지하고 노인 및 노년에 대한 인식과 태도 개선에 대한 상담 및 프로그램의 개입을 제안하였다. 주요용어: 죽음태도, 죽음공포, 연령주의(Ageism), 심리적 안녕감, 조절효과

      • 경기지역 중학생이 인식하는 부모의 양육 태도와 진로 성숙간의 관계

        박건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aims wer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raising attitude and career maturity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about the parental raising attitud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2) How about the level of career maturity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 ents in Gyeonggi province? (3) What relations are there between the types of parental raising attitude and the level of career matur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3rd grades students in the middle school selected by the population. I have made a stratified sample group with the 350 numbers of 3rd grade students who are different 10 classes in 5 middle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The result has returned from the 320 pieces of the question sheet which was sent by mail and 28 of them are excluded because the reponses were not good. The research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parental raising attitude inventory and career maturity inventory. Analysis of data was performed using SPSS WIN 10.0 statistical data processing program. And, frequency analysis, t-test, F-test analysi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parental raising attitude and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 gender, academic achievement and standard of living. Then, to find correlations between parental raising attitude and career maturity,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 of this is as follows: First, the parental raising attitude typ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 was show Technical type(64.9%), Authoritative type(21.2%), Permissive type(10.6%) and disregardful(3.4%).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al raising attitude according to the gender and the standard of living,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echnical type of parental raising attitude according to the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e higher level of the career maturity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 was Independe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 gender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Also,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maturity except for Independence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living. Third, results from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Technical type of parental raising attitude and career maturity revealed that there were static correlations with Decisivenness and Involvement of the career maturity, and, tha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with Independence. Results from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authoritative type of parental raising attitude and career maturity revealed tha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with Independence of the career maturity. And results from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disregard type of parental raising attitude and career maturity revealed that there were static correlations with Independence of the career maturity, and tha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with Decisivenness and Involvement of the career maturity. Such results exhibits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rental raising attitude according to individually the variable, and there were correlations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raising attitude and career maturity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이 연구의 목적은 경기지역 중학생이 인식하는 부모 양육 태도와 진로 성숙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경기지역 중학생이 인식하는 부모 양육 태도는 어떠한가? (2) 경기지역 중학생의 진로 성숙도는 어떠한가? (3) 부모 양육 태도 유형에 따른 중학생의 진로 성숙도와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 대상은 경기지역 중학교 3학년 학생 전체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5개교 중학교 3학년 학생 남 여 350명을 무선 표집하였다. 우편으로 발송한 질문지 중 회수된 질문지 320부에서 무성의하게 응답한 28부를 제외한 292부를 분석하여 활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는 진로 성숙도 검사, 부모의 양육태도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0.0 통계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성별, 학업성취도, 생활수준에 따른 부모 양육 태도와 진로성숙도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 t-검정, F-검정을 하였고, 부모 양육 태도와 진로성숙도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기지역 중학생들이 인식하는 부모 양육 태도 유형은 전문형(64.9%), 권위형(21.2%), 허용형(10.6%), 무시형(3.4%) 순으로 나타났으며, 성별과 생활수준에 따라서는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업성취도에서는 전문형인 경우에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경기지역 중학생들의 진로 성숙도는 독립성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여 독립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과 학업성취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생활수준에 따라서는 독립성만을 제외하고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부모 양육 태도와 진로 성숙도간의 상관관계에서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전문형인 경우는 진로 성숙도의 결정성, 관여성과 정적 상관관계, 독립성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양육 태도가 권위형의 경우는 독립성과 부적 상관관계, 무시형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경기지역 중학교 3학년 학생이 인식하는 부모 양육태도는 각 변인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으며, 또한 부모 양육 태도와 진로 성숙도간에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