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방의회 의원들의 지방신문 이용과 충족 요인에 관한 연구 : 부산·울산광역시의회 및 경남도의회 중심의 실태 분석

        허상천 동명정보대학교 정보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research is background with utilization and sufficiency theory. It investigate awareness and contact, and satisfaction about the local newspaper for the councils of local government. Studied concretely whether the local newspaper is acting well-matched function and role in the local self-governme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how to understand and use the local newspaper for the councils of local government. This research established following subject of study about that is focus on the Councils of local government. Subject of study 1 : How do the councils of local government use the local newspaper in their parliamentarism activity in what form and utilize? Subject of study 2 : What do the councils of local government`s awareness about the local newspaper? Subject of study 3 : How do the councils of local government satisfaction for the local newspaper? Subject of study 4 : How often do the councils of local government use the local newspaper and what is their requirement? This research execute question investigation to the Busan, Woolsan, Kyongsang-namdo`s Councils of local government 107 members from 2004. 11. 10 to 2004. 11. 23, and handled figure. It summariz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ing. First, the councils of local government how to use and how to contact the local newspaper for their parliamentarism activity. Research target the councils of local government were doing utilization (44.9%) about average 30 minutes - 1 hours a day. Respondent who read the newspaper more than 1 hour displays 11.2% and appeared high more than average. In the newspaper subscription investigations display the subscription rate of the councils of local government is 5 times higher than Korean's average subscription rate, therefor the Councils of local government who is the local opinion leader display high subscription rate. Also, the councils of local government that use mainly the local newspaper in collection of information or data that serve parliamentarism activity 29.0% and was recognizing by important reason next to contact of local resident(43.9%). Therefore, investigation result shows that the local newspaper`s basic functions which are information offer and social watching are achieved faithfully. Second, the councils of local government`s awareness about the local newspaper (awareness degree investigation). They response local newspaper to help their parliamentarism activity (3.80), so local newspaper is important means next to contact of local resident. Investigated measures trust about the contents that local newspaper reports regarding the assembly(3.79). This backed in this research that local newspaper is more friendly about the local self-government activity than critical sight news. Third, The result of investigation about satisfaction of using the local newspaper display that the councils of local government were suffered damage by unfairness news(45.8%), therefor the method to relief that problem was advanced on the local news paper. Indicated things by complaints about the reports in the local newspaper are that they`re less-respectable to the councils of local government(35.5%), news focus on discord(22.4%). Following this survey, the councils of local government were responded for complaint after awareness that they handle the activities of the councils of local government as important, but they treat the local area less important and cynically. the councils of local government are using local newspaper by aid of their parliamentarism activity, but they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is not high level. Fourth, found out from the degree of utilizing the local newspaper that the speech public information business of local government should be supported systematically and it should be activated because it shows that the councils of local government offering of th public Information is assembly office of public information(37.4%), expert advisor (32.7%), are doing it by themselves(24.3%). Degree that parliamentarism activity quotes and utilizes news of the local newspaper using is high occupied (93.5%) and 24.3% was expose that utilize very much among the councils of local government. And there is experience that utilize because making out news release directly(72%), but responded that it did not receive, so almost unsatisfactory in practical use drawing. The councils of local government think that the local newspaper must pay attention more about improvement of local self-government system(50.5) and comprehension for the local oneself to do enlargement(29.0). From this result, judged that the councils of local government`s feeling is recognizing by sprouting step degree yet and the local newspaper is not high interest about the local self-government. 본 연구는 이용과 충족 이론을 배경으로 하여 지방 광역의회 의원들의 지방신문에 대한 인식과 접촉, 그리고 만족도를 조사한 것이다. 지방신문이 지방자치에 걸맞은 기능과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연구하였다. 지방 광역의회 의원들이 지 방신문을 어떻게 이해하고 활용하는지를 실증적으로 연구하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일차적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연구수행의 수월성에 따라 동남권 경제 블럭인 부산·경남·울산지역의 광역의회를 중심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 지방광역의회 의원들은 그들의 의정활동에 있어서 지방신문은 어떤 형태로 이용하고 활용하는가? 연구문제 2 : 지방의회 의원들의 지방신문에 대한 인식의 정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 지방광역의회 의원들은 지방신문이 그들의 의정활동을 어떻게 다루고 있다고 생각하며, 그 결과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4 : 지방광역의회 의원들은 지방신문을 활용하는 정도는 어떠하며, 얼마나 만족하는가? 본 연구의 검증을 위하여 2004.11.10 - 11.23까지 부산,울산,경남광역의회 의원 1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 광역의회 의원들은 그들의 의정활동에 있어서 지방신문을 어떤 형태로 접촉, 이용하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 지방의회의원들은 하루 평균 30분-1시간정도 이용(44.9%)하고 있었는데 1시간이상 신문을 읽는 응답자는 11.2%를 나타내어 우리나라 평균 신문 구독시간 (32분)보다 평균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지방신문을 구독하는 정도의 조사에서도 우리나라 국민의 평균 구독율 보다 5배가량 높은 결과를 나타내어 지역 opinion leader로서의 지방신문 접촉율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의정활동을 하기위한 정보나 자료의 수지에 있어서 지방신문을 주로 이용한다는 응답이 29.0%를 차지하여 지역주민의 접촉(43.9%) 다음으로 중요한 변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지방신문은 신문의 기본적인 기능인 정보제공기능과 사회적 감시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해야 한다는 점을 다시한번 확인시켜준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둘째, 지방의회의원은 지방신문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인식도조사)에 대하여는 지방신문의 보도내용이 의정활동에 도움이 된다(3.80)고 응답하여 실제로 의회활동에 지역주민 접촉 다음으로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방신문이 의회와 관련하여 보도하는 내용에 대해서도 어느정도 신뢰(3.79)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지방신문이 의회 및 지방자치 활동에 대해서 비판적 시각보다는 호의적 논조를 유지하려고 한다는 선행연구들과도 상당한 인식적 동조가 있음을 본 연구에서 뒷받침하였다. 셋째, 지방신문의 이용에 따른 만족의 정도는 어떠한가에서 불공정 보도로 인해서 피해를 입었거나 경험한 적이 있는 의회의원이 45.8%에 달해 언론의 피해구제 문제가 제기되었다. 지방의회에 대한 보도에서 불만으로 지적된 것은 의회 및 의원들을 경시한다(35.5%), 피상적인 보도태도(27.1%), 갈등 중심의 보도(22.4%)라고 응답하였는데 이는 지방의회의원들이 판달할 때 중앙정부의 국회의원의 의원활동이나 회기내의 활동은 중요하게 다루면서 자기지역의 의회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빈약하게 다루거나 냉소적이라는 인식이 불만요인으로 응답되어 졌다고 판단되었다. 지방의회의원들은 지방신문을 그들의 의정활동 조력수단으로 이용하고 있으나 이용에 따른 만족도는 높은 수준이 아님을 보여주었다. 넷째, 지방신문을 활용하는 정도는 어떠한가에서 의회의원들의 홍보자료 제공창구는 의회 공보실(37.4%), 전문위원(32.7%), 주로 본인이 직접 작성하는 것(24.3%)으로 나타나 지방의회의 언론홍보 업무가 체계적으로 지원되고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의정활동을 함에 있어서 지방신문의 보도를 인용·활용하는 정도는 매우 높은 편으로 활용한다(93.5%)를 차지했고 그중에서도 24.3%는 아주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보도자료를 직접 작성하여 활용한 경험은 있으나(72%) 그것이 거의 주목을 받지 못했다고 응답하여 활용도면에서는 불만족스러워 했다. 앞으로 지방신문이 더욱 관심을 기울여야 할 분야로 지방자체제도의 개선(50.5)과 지방자체에 대한 이해를 증대(29.0)시켜야 한다고 지적하여 의원들이 느끼는 지방자체제의 정착은 아직 발아단계정도로 인식하고 있으며 지방신문이 지방자치에 대해서 관심이 높지 않다고 판단하고 있었다.

      • 지방자치단체 정책수행에 있어서 지방신문의 역할

        한국선 경운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Inspite of many roles of local newspapers being carry out the local government policy, There were not to study about roles of local newspapers in the process of local government policy. This study is to analysis what the roles of local newspapers being carry out policy in the local government. How many degree that's roles be estated by citizen and civil service during the performance period in the Kyung-Joo International Culture Expo.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followed: First, the roles of local newspapers during the performance period of local policy were valued over medium degree by citizen and civil office in the local government policy stages: policy agenda setting, policy decision making, policy performance, and policy analysis. In which stages, local newspapers carry out well four roles. Second, there were four roles of local newspapers: an agent who deliver information about policy to citizen and civil service, build up public opinion about policy, reflect public opinion about policy in policy stages, and make an offer forum in the newspaper; a promoter who put up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public policy, urge local government to accomplish his policy, and take the lead in public policy process; a checker who criticise local policies, keep watch on policies, and hold public office's arbitrary in check; a recorder who record variety events of local government in written form, testify to facts of local government policies in future generation. In stages of local government policy, local newspapers accomplish well his main four roles.

      • 地方自治時代의 地方新聞 役割 硏究 : 釜山廣域市 市議員 및 區·郡議員들의 地方新聞 役割등에 대한 認識을 중심으로

        송승호 동아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rve as a basis for the rapid establishment of local autonomy system, by suggesting which function and role should be implemented by local newspaper, as the local autonomy system failed yet to get on the right track, even though it'd been 8 years since its revival in July, 1991. For attaining the purpose, a theoretical attempt to define local newspaper's function and role was made, and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against provincial councilors and county councilors about their view of local newspaper and their wish for its function and role to vitalize the local autonomy system.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a lot of negative evaluation against journalists of Pusan, although they were regarded as having a sense of mission for the press to some degree. So it's advisable, to prepare some programs for journalist. like reeducation program. The daily newspapers of Pusan were found to include appropriate amount of local news item. But many subjects showed a negative response toward their impartiality, and it's required to work out a countermeasure for this point. The credibility of newspaper accounts also appeared to be poor. Second, the subjects hoped the daily newspapers of Pusan would take more interest in local autonomy, local administration or local economy. Third, local newspapers were considered to make a great deal of contribution to developing the local autonomy system and to raise the resident's understanding. Fourth, the daily newspapers of Pusan recognized the pending local issues to some degree. Fifth, as the daily newspapers of Pusan were thought not to deal with council news faithfully, they needed to give more weight to council news by creating council column. Especially, they had to provide alternatives for pending local issues to take the initiative in resolving them, instead of just ending with reporting them. It's hop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might be useful to vitalizing the local autonomy system and stimulating local newspapers to fulfill their given function and role more faithfully.

      • 수도권 지방신문 시장의 특성에 관한 연구

        최원류 건국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산업조직분석(IOA)모델을 적용해 수도권지역 지방신문사의 시장구조와 행위 그리고 성과를 분석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안들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관련된 1차 및 2차 자료들을 수집·가공하고, 1차 자료가 미비하다는 점을 만회하기 위하여 수도권지역 지방신문에 종사하고 있는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이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수도권 지방신문의 시장구조는 전체 지방신문사의 24%에 해당하는 19곳이 몰려 다른 지역보다 더 경쟁적 시장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며 시장으로의 진·출입이 자주 이루어지고 있다는 특성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상대적으로 지리적 시장규모가 큰 지역이지만 여전히 서울이 아닌 수도권 지역이라는 제한된 판매시장과 광고시장을 대상으로 다수의 중소 신문사들이 생존을 위한 제살 깍아먹기식의 과당경쟁을 펼치지 않으면 안 되는 구조를 형성하고 있었다. 좀더 구체적으로 보면 소유구조면에서 지역 기업이나 재력가 중심의 신문사가 상대적으로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인력구조면에서는 제2사회부 즉, 주재기자의 수가 중앙일간지 및 다른 지역의 지방신문에 비해 특히 발달되어 있었다. 이는 기자로서 순기능인 기사취재와 보도보다 업무형 기자로 활동, 신문사 생존을 위한 경영 전략의 발달에서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광고시장 의존도가 매우 높아 광고시장의 변화에 민감한 시장환경이 특징적이었다 하지만, 수도권 지방신문들이 다른 지역의 지방신문보다는 재정적으로는 수익, 안정성 면에서 다소 높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한편 수도권 지방신문의 시장행위에서 나타나는 특성은 구독자와 광고주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으로 주재기자의 활성화가 가장 대표적인 시장전략이라는 점이다. 주재기자의 역할은 중앙일간지와 다른 지역 지방신문 주재기자에 비해 취재를 비롯한 판매 및 광고영업을 동시에 수행해야 하는 역할의 이중성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대부분의 주재기자들은 후자의 역할이 강조되면서 지역언론인으로의 기능은 줄어들고 오히려 지역 내 주민이나 기업들로 하여금 사회적 비용을 부담하도록 강요하는 역할에 전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그 결과 수도권 신문시장은 정상적인 경쟁보다는 비정상적인 경쟁이 일상화 되어 있는 비효율성을 안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적 한계 때문에 언론사로서의 기본적인 기능도 제약받고 지역언론매체로서 언론 활동 내용 또한 다양하지 못하다는 평가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수도권 지방신문들이 지역언론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첫째, 지방신문들이 존립할 수 있는 건전한 시장 환경의 조성과 이에 대한 정부차원의 법적,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동시에 지장 규모에 비해 난립하고 있는 신문사 수를 고려 할 때 앞으로는 언론매체로서의 공적 임무에 대한 규제의 강화가 필요하다. 둘째, 판매와 광고 시장에서의 과당경쟁을 줄이기 위해서는 신문사들간의 공동 협력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수도권 신문 조직의 가장 큰 특성이자 핵심적인 시장전략인 주재 기자의 이중성과 그 폐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과 지원이 필요하다.

      • 地方新聞 廣告促進의 方案에 관한 硏究

        安祥孝 진주산업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Korean society, local media means regular divisions by administrative districts: indeed, it means media acts in every small and big divisions. But among these, we can say all the local paper and local broadcasting are the best choices of all. But the programs of broadcasting are connected to the center and it does not affect much. Therefore, the main media are the local newspapers that are Published in every district . If our ultimate aim is to creating a perfect democratic society that everybody participates actively and Inlows their responsibilities, we need to the act of local media most of all. The success of democratic society depends on the local media that secures the freedom and delivers the ideas of local people. Due to Internet expansion, the informal ion-oriented society is growing rapidly, environment of media is changing fast and because of necessity of various and economical informal ion, the importance of the local newspapers is emphasized. For the activation of the advertisement market , the local media must try to play their role earnestly, and then, from the enhancement of the locality and distractive strategy is it approved to be the first local newspaper by the local people. And it needs to find the ways of activation of ad marketing base with new strategy establishment. Analysis of the problems from Chapter 4. To make this happen, they should cause the customer's interest and establ ish new market ing strategy, through the scientific decision of ad fee, database about local newspaper ad market. Also they should understand the democratic marketing circulat ion which has market competition Power, and enhance economic strength through the marketing competition structure . So the local media should provide competitive products, and have marketing oriented mind, ahninistrative mind which can be a help to the local media envirownental improvement. They should have scientific marketing access and be realistic without unscientific market mE access and bluffs so far.

      • 지방신문에 대한 언론인과 독자의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 광주지역을 중심으로

        최재호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reader and journalist about the content and the contribution of local newspaper, this research points out its problem and solu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solution of what could be the direction and the subject for the improvement of local newspaper. The conclusion of the research follows. First, readers are in favor of more than 31 pages of newspaper than journalists. Both reader and journalist felt that the subject of local newspaper mainly dealt with too much politics, events and accidents. Readers also are looking for more news about health, matter for women, culture and art just like what journalists felt: While then wants more news of culture and art. The news what readers do not want should be decreased even though journalists do not feel that way. Therefore, local newspapers should take reader's need in to consideration to produce better quality of local news. Second, the biggest problem of local newspaper has been the lack of depth in news. Readers and journalists all point out the incorrectness of report, too much advertisement and competition among the local newspapers problems. In general readers had more negative perception of local newspaper than what journalists do.

      • 지방정부의 광고와 지방신문 호의보도와의 상관관계 : 경기도 3대 지역신문을 중심으로

        김정훈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미디어 환경은 미디어 다변화 시대를 맞이하면서 인터넷 신문의 확장과 새로운 뉴미디어의 등장과 함께 신문 저널리즘은 인쇄신문이 쇠퇴하는 환경에 처해 변화되어 가고 있다. 트위터나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를 비롯 다양한 뉴미디어가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의 특성을 내걸어 새로운 광고매체로 부상하고 있는 것에 비해 종이신문은 광고주에게 차별화된 특장점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 신문산업이 비교적 짧은 기간에 급성장을 한 것에 비해 질적향상이 같이 이뤄졌다고 보는 시각은 그리 많지 않다. 2000년도 하반기부터 불어 닥친 경기한파로 인해 신문사마다 광고수익 측면에서 심각한 타격을 받았다. 우후죽순 생기는 인터넷 매체와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구독자들이 이탈하는 등 지속적인 구독 감소도 한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특히, 수도권 지방신문의 재정구조는 일부 신문을 제외하고는 태반이 적자경영 상태에 놓여 있는 실정으로 양적 성장만을 위해 치열한 판매경쟁과 광고유치에 혈안이 되어 저널리즘의 원칙을 준수하지 못하고 있다는 시각이 크다. 실제로 신문사와 광고주는 광고제공과 호의보도를 통해 서로에게 영향력을 행사하고 의존해가는 상호의존적 관계를 띄고 있다. 지방신문과 지방정부 역시 서로가 필요한 부분을 교환하며 협력하고 타협해 나갈 수 있다. 다수의 사람들은 지방정부와 지방신문사 간 광고제공을 통해 호의적인 기사를 게재해주는 소위 부당한 거래가 성립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혹에 찬 시선을 보내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지방신문의 지방정부에 대한 호의적인 보도와 광고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지방정부와 지방신문의 상관관계 즉 지방정부가 제공한 광고량과 지방신문이 지방정부에 대한 호의적인 보도기사량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며 지역시민을 위하고 지역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문제는 첫째, 지방정부의 호의보도와 지방정부가 지원하는 광고와의 상호관계는 어떠한지를 밝히고, 둘째, 지방정부와 지방신문 간의 어떠한 관계가 성립되고 있는지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셋째로는 지방정부와 지방신문 간 상호관계에 대해 기자들과 기관 관계자들은 어떠한 인식을 갖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은 기사와 광고의 교환 관계가 상대적으로 명확하게 나타날 것으로 판단되는 경기지방 신문사인 경인일보, 중부일보, 경기일보의 세 가지 신문을 중심으로 내용을 추출하였다. 세 신문은 경기도에서 가장 많은 발행 부수를 가지고 있는 신문들로써 소위 종합일간지의 3대지라 불리는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처럼 경기도 지역일간지 중 조·중·동이라 불리며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기 때문에 선정하였다. 분석기간은 2011년 12월부터 2012년 3월까지 4개월간의 추이변동을 통해 기사와 광고의 교환관계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4개월간의 종이신문을 매일 모아 총 발행된 2,040면을 검토하여 기사를 전수조사 하였다. 기간을 4개월간으로 선정한 이유는 지방정부의 한해 남은 홍보예산을 연말에 집중 발주하는 경우가 있고, 그 다음해 기관장 및 단체장 등 지방 세력가의 신년 인터뷰를 비롯해 기초단체별로 봄철 다양한 행사 등을 빌미로 한 광고지원을 통해 호의보도가 실제로 이뤄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연속성을 고려해 선정하였다. 지방신문은 중앙신문에 비해 열악한 취재구조를 가지고 있어 집행부인 지방정부에서 제공하는 보도자료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이러다보니 사실보도인 스트레이트 기사가 주를 이루고 있고 기획기사가 생산된다 해도 집행부와 이해가 물린 기사 위주이기 십상이다. 심각한 경영난에 처해있는 지방신문이 지방정부의 광고협찬을 거절하기 쉽지 않다. 그로인해 지방신문이 지역 여론형성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득권층과 결탁하여 이해관계가 반영된 취재와 보도를 주력하는 행태는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 기업이미지를 호의보도하여 소비자에게 우호적인 인식을 심어줄 수 있도록 하는 프로모셔널 저널리즘과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 있어 가장 중요한 주제인 4개월간의 세 신문 전체의 호의보도량과 광고량이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개월간 지방신문 3社의 신문을 매일 모아 총 발행된 2,040면을 검토하여 기사를 전수조사한 결과 지방신문과 지방정부간의 호의보도와 광고가 서로 교환되는 가능성을 발견했다. 지방신문이 지방정부나 권력기관 등과 야합하여 지역시민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삼지 않고, 지역여론을 형성하지 않으며 특수 이익집단들의 목소리를 대변한다면 지역발전을 꾀할 수 없으며 오히려 후퇴하는 직격탄을 맞게 된다. 이와 달리 지방신문이 지역시민을 대변하고 의견을 반영하여 지방행정의 투명성 등을 이끄는데 큰 역할을 해나갈 때 지역발전을 이끌 수 있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토대로 경기도 대표 지방신문인 경인일보, 중부일보, 경기일보 이들 세 곳이 본연의 저널리즘 가치를 회복하여 지역주민을 위하고 신뢰를 회복하여 상호 발전적 관계를 형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게 하는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 발전방안을 모색할 수 있길 기대한다.

      • 지방신문의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 대전지역 신문기자와 독자의 의식비교

        김형중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resent is greeting the flooded generation with the various media sorts. In the midst of diversifying mass media with on introduction of the new media, it is a reality for the newspapers to hugely struggle therein. The Korean newspapers, as with the economic crisis, arehaving a crisis due to the rapid decrease in the advertisement rate. As of this year, there has had one of the provincial newspapers requesting for the legal management and of the number of newspaper publishing companies closing down has increased. The provincial newspaper publishing companies, which are more reliant upon the advertisement than the metropolitan newspapers, are at the more critical state. It is at a point where, in order for the local newspapers to survive, it has to either create a good quality of newspaper centralized in the readers or lead the readers fitted to the editing method of the newspaper publishing company. As for the second case, the reality is lacking with the various tastes of the readers, and it seems that the readers level is not yet up to that height. Thus, it is more practical in making the good quality newspapers upon centralizing in the readers. Already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re are many successful stories appealing by publishing the newspapers created according by the readers. With this, there are many ongoing consciousness researches and strategic studies of the consumer, people, only to make a good quality of newspapers centralizing in the readers. Therefore, the way of activating the newspapers is to make the news oriented to the readers. It is viewed that it is rather difficult to make the new good quality of newspaper for the readers just with an ordinary newspaper publishing systems.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readers, a novel frame will be required. In order for the newspaper publishing companies to break out of the common way of thinking and the given frame and originate a new frame, they must first reform the business through such as the new minds and the bold investments. The business innovation methods are diversified as the offensive advertisement, active sales activity, reformation of newspaper delivering, and community cooperation construction. Among these, the most important thing is of how well the newspaper publisher is exactly acknowledging what the kind of newspaper the customer is satisfied and desiring. This type of recognition is becoming an essential element more so for the provincial newspapers suffering from the business operation. One of the foremost fundamental in a way of making the newspaper centralizing in the readers is that there needs to be a survey of the peoples ways of thinking. Because Unless the publishers knew what people are thinking about, it would be hard to make the newspaper satisfactory. In this research, it studies upon the idea of whether there would be a difference in thinking in between the people mostly composed of the employees (the customers) and the local reporters (the press). The customers and press thought of good quality newspapers were looked into for comparisons, then the local papers activation method was groped in grounding on the indicated. As the result of the survey, the people wanted to see the good quality newspaper that is the one with an articles digging out the bright side of the society and presenting the life of the people. In addition, the portion the local newspapers were to pay attention to be thought as the local governing as well as profoundly reporting the economic area while actively functioning for the pending problems at the local regions. Moreover, as much as the reporters producing of the articles, the qualification of the reporter was considered important. The difference in between customers and the press was that though the customers were aware of the troubling views whereas the press was more into the helping side on the local society developments. In addition, the consumer wanted the articles related to health and entertainment, when the press was leaning more towards the local government matters. Moreover, as for the local newspapers needed improvement part, on the contrast of the customers feeling that the reporters dealings about the society essential issues were shabby, the press tended to be comparatively understanding for them. In looking at the result as the above, the difference of thinking in between the customer and press has had existed and the provincial newspaper publishing companies were to spend further effort in re-training and qualification matters of the new producing reporters while working on the just criticism along with the obtaining of the positive consciousness. For the activation of the local paper, there is a necessity of lessening the gap in between the customer and the press, and focus on creating the newspaper that is made as for the people. Also there needs to be the look-over on why the U. S. newspapers are going towards the peoples favoring for the paper, and the importance of study and practice in the field was reoccurred. One could obtain the result that the only way for the provincial newspaper to survive is to convert into the showing newspapers, and customer-oriented newspapers with good qualities. These could be possible that the metropolitan newspapers are differentiate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re address and the papers are required.

      • 地方新聞의 地方選擧 報道性向에 관한 硏究

        김인철 東亞大學校 政策科學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1995년 6월27일과 1998년 6월4일 두 차례의 지방선거중 부산시장선거에서 후보자들은 지역감정을 선거에 어떻게 하면 적절히 이용할 수 있을까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이는 지방선거가 영·호남이라는 지역적 기반을 둔 정당이나 정치인의 대리전 양상 혹은 후보자 주변인물의 출신지 논쟁 등 그 어느 것 하나 지역할거 구도의 틀을 벗어나지 못했다는 것이 바로 그 이유다. 이런 가운데 후보자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보도해 선거권자가 최선의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도와 주어야할 사명을 가진 지방신문은 어떠했는가? 정도의 차인 있지만 지방선거에서 각 신문은 보도를 통해 특정 후보를 지지하거나 은연중에 부정적으로 평가절하 하는 등 편향적 보도성향을 띠고 있음을 찾을 수 있었다. 이는 지방신문이 지방선거 일정과 후보자 정보를 보도하는 기능과 후보자의 선거공약이나 정치적 성향을 해설·논의·평가해야하는 교육기능, 주민여론을 파악하고, 공정한 선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선거환경을 감시해야 하는 기능을 외면했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지방신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지방선거에 나선 후보자와 선거권자의 매개자로서 공정하고 진실한 보도를 위해 노력해야 하며 편파적이거나 왜곡된 보도를 예방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선거기간 동안 신문기사에 대한 사회 각 분야의 감시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두 지방선거에서 나타난 지방신문의 지방선거보도 성향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 바로 이번 논문의 연구 목적이다. 연구의 방법은 부산지역의 3개 지방신문인 부산일보와 국제신문, 부산매일신문을 그 연구 대상으로 삼았고 후보 등록일부터 선거 당일까지 보도된 기사를 중심으로 양적, 질적 분석을 함께 했다. 기사유형은 분석의 편의를 위해 스트레이트와 해설 초점, 사설, 칼럼, 스케치 등 5가지로 나누었으며 이를 토대로 보도량의 빈도를 통해 특정 신문이 선호하는 선거보도 성향을 분석했다. 또한 각 신문의 어떤 후보자를 긍정적으로 혹은 부정적으로 보고 있는지, 지역감정과 쟁점사안에 대한 보도성향 역시 신문지면의 사례를 근거로 분석했다. Up to date I analyzed the news item that the paper publishing company in Pusan reported the Pusan Metropolitan Mayoral Election on June the 27th, 1995 and June the 4th, 1998. In the Election on June the 27th each company most manipulated the news item of straight and sketch. Straight is above all managed by editors and sketch induces the movement and curiosity of the candidates. On the contrary, in the Election of June the 4th each company most manipulated the news item of explanation and straight. The item of explanation manages a case deeply and intensively. The local paper, which must lead the development of local autonomy and the desirable age of locality, reported the election report creepingly in the past. It is antinomous that the local paper, which has to play a major role in the development of local autonomy, reported the election report crawlingly. The local paper must improve the habitual and authoritarian attitude of report and the unfair behavior of edition. Accordingly in order to report fairly and truly, each company must an effort and prepare the instrument which prevent the partial and false report. The social forces have to prepare the way how they supervise the news i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