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 축제 공연 프로그램 개발 가능성 연구 : 금산인삼축제를 중심으로

        김은형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50703

        지역축제는 지역의 문화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방자치시대 이후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례로 삼은 금산의 인삼 축제도 금산지역의 특산물인 인삼의 이미지를 특성화하여 20여 년간 시행되어 오고 있는 지역축제의 한 유형이라 할 수 있다. 지역축제의 분류유형과 관련해 볼 때, 금산의 인삼 축제는 ‘산업형 문화관광 축제’로 분류될 수 있는데, 축제의 참여주체가 누구인지는 명확하지 않으며 내부인으로서의 지역민보다는 외부인 중심의 지역축제로서의 측면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지역축제에서 오히려 참여주체로서의 그 위치를 확인 받지 못했던 내부자(지역민) 측면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금산에서 행해지는 가장 큰 문화행사인 금산인삼축제를 구성하는 다양한 문화프로그램을 그 분석의 대상으로 삼아 다른 지역들과는 차별화 된 금산의 전통과 문화에 기초한 축제 문화행사 프로그램의 대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한 논의의 전개로서 먼저 2장에서는 지역축제를 개관함으로써 논의의 기초를 마련하였고, 3장에서는 사례연구로 2000년 금산인삼축제의 현황을 중심으로 지역축제의 특성 및 문제점등을 분석해 보았다. 이러한 연구는 문헌자료와 수 차례의 답사 및 인터뷰, 그리고 VTR 및 인터넷 자료까지 병행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마지막 4장에서는 금산인삼축제를 대상으로 지역축제에서의 공연 개발 가능성을 제시해보았다. 여기에서는 무대 공연과 민속 공연, 그리고 전시 및 부대 행사로 나누어 앞으로의 개선 방향에 대하여 공간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 그리고 기술, 재정적 측면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대표적인 모델을 선택하여 공연 프로그램 개발을 시도 하였다. 프로그램의 개발에서 또한 중요시되어야 할 것은 지역의 고유한 전통과 지리적 특성 및 문화적 요소를 통일된 이미지로 특화하여 축제의 구심점 형성과 차별성을 부각시켜야한다는 점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이를 지역의 상품화 및 수익사업으로 연결하여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토록 하고 무대 공연화 함으로써 많은 사람들이 지역의 축제에 공감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역축제에 관해 본고에서 제안해본(금산인삼제를 중심으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마당극과 전통민속 공연물의 개발을 들 수 있는데, 금산의 경우 ‘강처사 설화 마당극’ 같은 경우 개발의 여지가 아주 많은 작품이라고 보여진다. 강처사 설화에 금산의 구전 전설이나 설화 등의 요소를 더욱 첨가하여 보다 큰 스케일의 뮤지컬(창극)로 발전시키는 방안을 생각해 보았다. 다음으로 농바우 끄시기인데, 이는 전통민속공연으로서 상당히 드라마적인 요소가 많다. 민속놀이로서 그것이 가지고 있는 전설부터가 하나의 드라마이고 또한 그 형식이 퍼포먼스로의 개발 여지를 충분히 가지고 있다 둘째, 그 동안 지역축제의 획일성을 말해주는 대표적인 단서의 하나가 되었던 미인대회를 금산인삼축제의 이미지(일례로 인삼과 관련한 건강이미지)를 차별적으로 부각시킬 수 있는 기준과 쇼의 진행등, 차별화된 전략을 통해 진행하게 되면 금산 인삼아가씨 선발 또한 춘향제와 다름없이 금산인삼축제만의 볼거리와 대표성을 띠게 되리라고 생각한다. 다음으로 대중매체를 통한 축제 및 지역이미지의 지속적인 홍보를 통해 참가자들의 다양성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실제 축제 공연프로그램의 수행도 보다 젊은 층(주로 학생층)을 중심으로 운영해 나간다면, 지역역사, 문화와의 밀접한 관련성을 생각할 때 긍정적 효과가 창출되리라 생각된다. 넷째는 축제의 공간, 장소에 관한 중요성의 인식이다. 즉, 공간적으로 특화된 공연물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는데, 주무대(main stage)뿐만 아니라 다른 공간에서의 공연 이벤트 프로그램, 금산인삼축제 안에서 또 다른 차별화 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일례로 ‘금산 보석사에서의 야외 음악회’라는 프로그램 개발의 예를 제시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전통과 현대의 접목으로서의 가치 창조를 들 수 있다. 일례로 전통민속공연인 탑제의 개발 가능성을 들어보았다. 요즘 공연예술계에선 총체극, 또는 종합예술이라는 말들을 많이 사용한다. 왜냐하면 무대공연 작품이 만들어지려면 문학적 요소와 음악, 미술, 무대기술 등의 요소들이 총체적으로 동원되기 때문이다. 탑제는 그것이 시연되는 장소, 참여자, 시간대, 촛불행진, 탑돌이 음악 등 종합적인 축제의 장이 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지역축제는 지역민들에게 자신들이 살고 있는 지역에 대한 자부심과 정체성을 갖게 하고, 자신들의 삶의 터전 위에 발전되어 온 문화의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場이기도 하다. 그렇기에 참여자들에게 내면적 감동을 주기 위한 지역만의 차별화 된 프로그램이 있어야 하고, 그것은 지역의 전통, 문화 등의 역사적 측면과 지리 환경적 측면이 함께 고려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이다. After the implementing of local autonomy system, each local government has performed his own regional cultural festival. Recent researches, mostly, focused on the economic, political effects of regional festivals. So, they have some limitations in examining the implications of regional festivals as a means of the regional identity, cultural politics, etc. In other words, such studies tended to ignore the viewpoint of insiders as an important participants, focusing on the visitors and government officials. But these situations should not be taken for granted like naturalized things. Through this study, I tried to fi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insiders and regional festivals, not losing the practical effects(economic, political, communicative…) of them. So, firstly, I outlin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regional festivals. Then, I interpreted the concrete problems of regional festivals, especially focusing on Geumsan Ginseng Festival 2000 as a case. Through examining the history and present situation of Geumsan Ginseng Festival 2000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with other regional festivals, I could identify that it has lots of similarities to other regional festivals: program contents, performance style, the subject of festival. etc. After that, I would like to propose some concrete performing programs related to the indigenous regional history and cultures, and insiders's consciousness. The possible programs I'd like to propose are following, First, I'd like to propose the reconstruction of the indigenous narratives and yard performances related to the regional tradition and culture, focusing on the current flow and consciousness of participants. Second, almost all of regional festivals have their beauty-contest, but their concrete standard for being a festival beauty are not differentiated. So, I think that the meta(general, western) standard in selecting a beauty for representing regional images must be changed, adopting the theme of each festival. Third, through the national-wide and endurable marketing by mass media, we have to supply insiders and visitors with many spectacles and affectionate performances related to regional characteristics. Fourth, we hav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tages and performing places. In other words, regional festivals tend to have their differentiated programs related to special space and place: field, yard, mountains, streams and artificial stages. etc. Festival agents must try to represent the concrete and practical situations through the festival provisions and stage makings. For these purposes and especially the continuous improvements of regional festivals, we need more professional agents than the current preparatory committee. Such professional, I expect, could be able to cut lots of festival costs. Finally, we need to take some qualitative sides of regional festivals into considerations. For that time, many researchers and agents have focused on the quantitative effects of them, for examples economic spreading effects, cultural political strategies. etc. Regional festivals play important roles for constructing self-identification, place(regional)-identity, and reformulating regional traditions and indigenous values. So regional festivals have to find their own traditional (differentiated) values, then reflect their positive heritages on the programs of regional festivals. For such tries could be able to reinforce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ope with the changing of external worlds(globalization).

      • 地域社會開發을 위한 信用協同組合의 役割에 관한 硏究 : 大田廣域市 大田中央信協 事例를 中心으로

        김성운 韓南大學校 地域開發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50703

        This study focuses on the current situation of community development and credit union drive have something in common from many perspectives, such as goal, subject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ir operations are leading. However, community development can be achieved by not any single agency but harmonious efforts among different organizations that pull their weight separately. In this sense, community development and credit union drive are in reciprocal relation to each other. When it comes to credit union, it's needed first to discuss the thoughts of credit-union founders, including Robert Owen and Willian King from the United Kingdom, Purie from France, and Shulche Delrich and Leifeijen from Germany. The founders started with relief work, targeting community development, and established a community and credit association to benefit local residents financially. Moreover, the ICA principle also recognized the necessity for community development and stressed its importance. The ultimate goal of credit union lies in upgrading the quality of life of union members and local residents to build a welfare society. To attain the goal, the economic security of union member households should be given top priority. Meanwhile, credit union has devoted every possible effort for economic security of its member households, but regarding community development, their commitment is far from being satisfactory. Now, credit union is required to try to meet the changing circumstances and diverse member needs, enhance the quality of life for local residents, and thereby contribute to community development. The financial competition expected to be keener than ever in the future is strongly demanding merger. The credit union that will be extended geographically and organizationally should provide more reinforced education for its members and their families, and build a service delivery system with unique guidance, education, cultural and welfare services that are all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other financial institutions, and all the efforts will serve to set up a closer ties with local residents. As a result of making a survey of the members of Taejon Central Credit Union, there are some ways to boost community development: (1) In welfare sector, public facilities that can offer easier access and low-cost service for local residents should be increased. The children of the members who have excellent academic achievement should be awarded scholarship, and more help should be extended to adolescents who have to support their families. (2) In social education sector, local residents should be helped to enjoy better quality of life, by establishing cultural course(English or Japanese lesson), health course or community education services for housewives or senior citizens. (3) In social welfare, local residents had interest in backing for resident tax and health examination. So it's needed to improve their awareness of health care by health lecture or seminar. (4) Concerning community development, the Internet class should be offered for every resident to keep up with the Information Age, and sports class also should be prepared in a broad space. (5) Regarding counseling sector, systematic living-related counseling programs for law and financial technology should be mapped out, and lecture by specialist should be offered to widen resident knowledge. (6) Most members are interested a lot in an Internet consumer cooperative. So this cooperative should be prepared well and publicized widely for more effective use. (7) In distribution field, more opportunities to buy fresh low-price products should be supplied, and a wide variety of products should be prepared to meet consumer need. (8) Most members wanted that a large business- card case would be installed as part of public relations for people engaged in commerce. (9) Concerning health, a wide space equipped with various exercise machines, where is also available for golf practice, should be offered to be helpful for health care of local residents. (10) In convenient facility sector, public bath, study room and wedding hall should be increased for easier use. (11) Concerning activities for hobby or pleasure, various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such as calligraphy class or flower arrangement course. (12) Picnic or family climbing should be utilized two or three times a year to enhance a sense of community and promote mutual friendship among members. The credit union might be able to make a bigger contribution to community development through a few attempts: first, membership training should be reinforced to inspire a sense of ownership in members, to actualize its ideology "everybody for the sake of a single person, and a single person for the sake of everybody," and to take the lead in building a welfare society. Second, articulated operation between each credit union and the credit union federation should be intensified. Local specialties and farming products should be produced by cooperation between urban and rural credit unions so that local residents could purchase fresh products at low price. Third, social education should be extended. To realize better quality of life, differentiated guidance, cultural and educational services that aren't available by other financial institu- tions should be offered. Especially, systematic counseling programs for daily living should be developed, and lecture on law, health or financial technology should be given by specialists to satisfy local resident need. Fourth, it's necessary for credit business to have better competitive- ness to cope with financial liberalization. Community development will be possible only if there is a competitive credit business. To pull its weight as a local bank for living and the masses, a closer relationship should be built with local residents. Fifth, local residents should be encouraged, by more articulated coope- ration between credit union and social organizations, to join all sorts of events(bicycle or walk meeting, volunteer work or bazar) to enjoy better quality of life. Finally, creative management should be pursued to make a balanced development in guidance, welfare service, community development and credit business. Public relations should be strengthened to change the image of credit union as one that exists for the good of local residents, give satisfaction to members, and enjoy the confidence of the people. However, even the best idea cannot bear fruit without sustained efforts and self-reformation of credit union personnels. This study attempted to figure out what credit union members expected from that organization for community development and to present how to actualize their expectation, but there is something to be desired that detailed feasible program that can actually transform it into real practice wasn't studied. It's hoped, if possible, that how credit union social education center could be activated would be studied to produce more concrete scheme. If the ways suggested in this study to step up community development are put in practice, a higher quality of life pursued by credit union will be brought to community, a welfare society will be realized ahead of time, and ultimately, credit union will gain in its importance with a promising future in this fast-changing society.

      • 都市空間構造變化에 따른 旣存都心 活性化 方案에 관한 硏究 : 大田廣域市 事例를 中心으로

        권선택 韓南大學校 地域開發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50703

        인간이 영위하는 모든 활동이 공간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공간위에 자리잡고, 공간을 이용하며 공간에 의해 제약받고 있는 인간활동의 공간적 틀을 공간구조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의미에서 도시공간구조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이 있다. 또한 그 내부 구조에 나타나는 질서를 발견하는 도시공간구조 변화의 분석은 끊임없이 대두되고 있는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초가 될 뿐만 아니라 도시정책과 도시계획을 위한 방향이 되고 있다. 대전광역시는 정부의 수도권 집중완화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된 둔산 신시가지 개발과 행정구역 개편 등의 정책적인 요인에 의해서 도시공간 구조상의 다양한 변화의 조짐이 나타나, 1988년부터 시작된 둔산 지구의 신도시개발로 그간 도시의 중추적 기능을 담당해온 대전의 기존 도심은 급격히 쇠퇴하고 있다. 대전 기존도심에 자리잡았던 행정, 금융, 주상복합 업무기능 중 대다수의 부분이 이미 둔산지구로 이전된 상태이고, 이러한 경향은 앞으로도 심화될 전망이며, 또한, 장기적으로 기존도심의 물리적, 사회경제적 거주환경이 더욱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 대전 기존도심의 쇠퇴는 도심에서 거주기능이 업무기능에 밀려나는 일반적인 대도시의 공동화 현상과 다른 특수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 즉, 기존의 도심을 대체하는 신 도심이 단기간 내에 형성됨에 따라 기존도심의 업무기능과 거주기능이 동반적으로 이탈하는 것이 대전 기존도심 문제의 특징이다. 따라서 대전의 기존도심의 문제점을 이해하고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도시문제에 대한 일반론적 문제가 아니라 원천적으로 문제를 야기한 원인의 특수성으로부터 출발하여 해결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도심기능의 시대적 변화를 배경으로 최근 신 도심의 개발로 도심기능이 대거 이전하면서 공동화 현상이 발생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러한 공동화 현상에 대하여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도시공간구조변화에 따른 대전 기존도심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두었으며, 이는 무엇보다도 도시를 형성하는 정주인구와 상권의 변화 현상에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기존도심은 대전시 도시기본계획의 2도심(기존도심, 둔산신도심), 3부도심(유성, 진잠, 신탄진) 중 기존도심으로써 1905년 경부선 철도가 가설되면서 대전역을 중심으로 단핵 구조의 도시를 형성해 온 동구 원동, 정동, 중동, 인동, 삼성동과 중구의 은행동, 선화동, 대흥동 등 1900년대 도시성장의 중추적 기능을 담당하였던 지역으로 대전역~도청을 중심으로 한 동쪽은 경부선철로, 서쪽으로 충남도청 앞의 명정로, 북쪽으로 우암로, 남쪽으로 대흥로를 경계로 상업지역 약 2㎢을 기존도심이라 할 수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대전시가 계획하고 있는 기존도심 활성화 계획의 범위를 동·중구 전역의 189㎢를 구 도심 권역으로 설정 추진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동ㆍ중구 전역을 연구의 범위로 정하였다. 대전시의 도시공간 구조변화와 기존도심에 대한 공동화 원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계획과 개발정책에서 80년대 이후 시 외각 지역에 편중되었다. 먼저 대전시 도시기본계획의 변천내용을 보면 1) 대전시의 최초의 대전도시기본계획은 도시계획구역을 당시 행정구역 87.36㎢보다 6.3배가 넓은 556.71㎢에 2001년을 목표연도로 계획인구 165만명을 계획하였고, 도시공간구조 설정은 1도심 2부도심으로 기존도심지역을 중심으로 둔산과 유성을 부도심으로 설정하여 단핵의 도시공간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이는 처음으로 도시기본계획제도의 도입에 의한 계획으로 도시기능에 따른 공간의 기본구조와 도시개발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여 도시의 개성과 쾌적성을 보장할 수 있는 도시미래상의 틀을 형성했다는 데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2) 2차 대전도시기본계획은 도시계획구역 면적 562.35㎢에 목표연도 2001년, 계획인구 165만 명으로 계획 실행 상에 발생되는 도시문제와 여건변화에 따른 계획의 보완·수정과 상위계획 변경의 수용이 요구되었다. 이것이 대전시가 수도권에서 분산된 중추관리기능, 광역개발에 따른 행정, 업무, 교육, 연구(대전연구단지) 등으로 선도적인 국가중추기능의 담당과 첨단과학도시로 성장하는데 기반이 되었다. 도시공간구조의 특성은 중부권의 중심 대도시로의 기능과 역할 수행을 위한 도시구조를 기존의 단핵중심체계에서 다핵 구조로 개편하여 도시의 균형적 개발을 도모하였으며, 교통체계는 격자형 및 순환방사형 도로망체계로 구성하여 지하철 및 전철 등과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였으며, 특히 장래인구 300만 대도시로 성장할 것을 전제로 하여 도시공간구조 골격을 2도심, 2부도심의 틀을 구축하였다. 3) 5차 대전도시기본계획은 시대의 개발조류가 ‘개발과 보전’을 조화시키려는 이념 하에 상위계획인 제3차 국토종합개발계획의 수정변경과 정보화, 지방화 및 지방자치에 따른 개발욕구 증대 등의 변화수용, 그리고 21세기를 대비하는 대전의 도시미래상을 정립시키는데 기존의 도시기본계획으로는 한계에 직면하게 되었다. 따라서 대전시 도시기본계획에서 정한 도시공간구조의 종합해 보면 기존도심과 둔산 신도심의 2도심과 유성, 진잠, 신탄진의 3부도심 그리고 용계, 대덕연구단지, 중리, 용전, 유천, 서대전, 용문, 도마의 8부도심 체계로 이루어 졌으며, 이는 도시의 발전이 기존도심에서 서남부축으로 이전됨을 알 수 있다. 다음은 대전시의 개발정책이 그 동안 지나치게 신도시 개발 위주의 정책에 편중되어 투자되었다. 대전시의 도시개발 정책을 보면 기존도심에 대하여는 60-70년대 토지구획정리사업법에 의한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기존도심이 개발된 이후 83년 택지개발촉진법이 제정되면서 둔산 신도시를 비롯한 대덕연구단지개발, 제3-4공단 등 모든 개발사업들이 기존도심의 동구와 동구가 배제되고 서구와 유성구, 대덕구 등 서부와 북부 지역에 편중되어 개발되었다. 대전시의 도시공간 구조가 변화되면서 80년대 이후 토지구획정리사업을 비롯한 택지개발사업과 산업단지 개발 등 개발사업이 총24,218천㎡중 6.7%인 1,621천㎡만이 기존도시인 중구와 동구 지역에 개발되었고 나머지 93.3%인 22,597천㎡이 서북부지역에 편중되어 개발되었다. 도시개발에 있어 개발에 투자된 재원을 보면 총 투자비 3조 2,120억원 중 동구와 중구의 기존도시에 투자한 재원이 1,010억원으로 3.1%에 불과한 반면 서구와 유성구, 대덕구에 투자된 재원은 3조 1,110억원으로 96.9%가 집중 투자 되었다. 이것은 물론 대전시의 재원뿐 아니라 정부투자기관을 포함한 것으로 기존 도심의 재개발 사업이나 주거환경개선 사업 등에 투자가 부족했다. 둘째 : 기존도심의 인구감소와 산업구조의 변화를 들 수 있다. 1) 구별 인구 밀도의 변화 추이를 보면 지난 9년 간 인구밀도는 1990년의 1,977인/㎢에서 1999년에는 2,526인/㎢으로 약 27.8% 증가하였다. 특히, 서구의 경우 123.4%가 증가하였으며, 유성구가 87.0% 대덕구가 37.1% 증가하였다. 그러나 도심지역인 동구와 중구는 지난 9년 간 인구밀도가 각각 -17.4%와 -13.0%의 감소를 보여, 1990년 당시 4,799인/㎢으로 가장 인구밀도가 높던 중구의 경우 1999년 현재 4,173인/㎢로 서구보다 밀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동구의 경우에도 지난 9년 간 인구밀도가 감소하여 1,865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심인구는 표본동의 경우 인구밀도를 보면 동구 중앙동과 인동이 각각 -51.9%와 -34.3%가 감소하였고, 중구의 경우 은행ㆍ선화동이 -36.9%, 대흥동의 경우 -37.9%가 감소했다. 이와 같은 지역별 인구성장의 격차는 기존도심 지역과 신개발지역, 기타지역간의 사회적 인구변동(인구이동)의 차이에 기인하고 있다. 즉, 신개발지역의 인구 흡입요인과 기존도심 지역의 압출 요인의 상승작용으로 도심지역의 인구유출이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2) 산업구조와 상권의 변화를 보면 1998년 말 현재 도심(동ㆍ중구)지역의 총 사업체 수는 40,273업체로 대전시 전체 사업체의 49.6%를 차지하고 있다. 도심에 입지 한 업종중 도소매업의 비중이 전체사업체의 36.2%로 가장 높으며, 다음으로는 음식·숙박업(21.2%), 기타개인서비스업(13.0%)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종사자의 수에 있어서도 구성비에서는 차이가 있으나 도소매업(25.4%)과 음식숙박업(12.9%), 금융·보험업(9.2%) 종사자의 구성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품 및 서비스의 유형별로 주민들의 구매권역을 분석해 보면, 먼저 기초생필품의 경우 대체로 주거지역 주변에서 구매하는 반면, 각종 선매품은 구 도심과 신 도심 지역에 입지 한 전문상가와 백화점을, 그리고 귀금속제품의 경우 구도심의 전문상가를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초생필품의 경우 대형할인점이 입지 해 있는 신 도심 지역의 점유율이 전체의 34.5%로 상대적으로 높으며, 의류 등의 기호품과 가구·가전제품의 지역별 점유율은 구 도심 지역이 각각 59.2%와 53.7%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계와 보석등 귀금속류의 경우 전체 주민의 62.6%가 구 도심 지역의 전문상가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 도심 지역의 점유율은 18.8%에 불과하다. 서비스 이용권에 있어서도 기초(근린)생활권이나 지역생활권 중심의 서비스는 3개 지역별로 인구비례에 가까운 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나, 종합의료서비스와 문화·위락서비스 등 광역생활권 중심의 고차서비스는 아직까지 기존도심의 점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회·예식관련 서비스의 51.5%와 위락·문화서비스의 72.7%를 구 도심 지역이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이 대전시 도시공간 구조의 변화와 신도시 위주의 개발정책 편중에 따라 기존도심의 인구가 급격히 감소되었고 기존도심에 있던 법원ㆍ검찰청과 시청사 등 공공기관과 금융기관이 대거 둔산 신도시로 이전함에 따라 빈 건물이 속출하여 99년 말 현재 공실율이 15.9%로 나타났으며 기존도심에 거주하던 중산층이 둔산 지역으로 이주하면서 중산층을 겨냥한 대형 백화점과 유통시설이 둔산동에 입점 함으로서 기존도심은 심각한 공동화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대전시는 이러한 기존도심의 공동화 현상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하고 1999넌 9월 조직을 개편 전담 부서를 설치하고 활성화 대책을 수립 추진하고 있다. 대전시가 추진하고 있는 활성화 계획을 보면 단기와 중ㆍ장기로 나누어 124건을 선정 추진하고 있다. 단기사업으로는 재래시장 활성화, 특화거리조성, 청소는 문화마당 조성 등 34건과 중ㆍ장기사업으로는 도심 및 주택재개발사업, 주거환경개선사업, 택지개발, 대단위 아파트 단지조성 등으로 90건을 선정 추진한 결과 계속 감소되던 동구와 중구의 인구가 2000년 6월말 현재 1999년 12월보다 1,022명이 늘어나 0.2%의 증가 추세로 돌아섰으며, 빈 건물도 1999년 12월말 15.9%에서 2000년 6월말 현재 10.5%로 감소되는 등 미미한 실적이나마 점차 활성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ood on the inner city revitalization strategies according to urban spatial structure change in the Taejon metropolitan city. Taejon City selected for the case study has been developed with monocentric during the since 1990's. However, by the factor of policies such as Doonsan Newtown Development that is the national restrain policy of developing capital region, and the extension of administrative boundary, the spatial structure has been changing to multicentric system. The lack of business, investment, and most importantly, demand ebb in this disadvantaged urban areas, caused by the newtown development at Doonsan, the central part of the city, not only perpetuates a crushing cycle of depression but fuels other social problems such as vacant buildings and bankrupt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suburbanization and spillover expansion phenomena are continuously proceeding. Second, distribution pattern that is shown along the development axis and ring shaped axis in terms of regional and spatial features. Third, transition to multicentric structure is identified since the middle of 1990's. As a conclusion, some of politic ways for increasing quality of life and urban development can be suggested below. First, urban spacial structure should be reformed to multiplicative system in the future. Second, a balanced development is necessary through dual-center system that is consisted of existing urban center and Doonsan New town, and central functions should help each other mutually. Third, Triangle cores pattern should be considered as east urban center, middle urban center and west urban center where each specialized function works harmoniously.

      • 안면도국제꽃박람회가 지역경제에 미친 효과에 관한 연구

        이만희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 연구는 1993년 대전EXPO이후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 국제공인과 국내최초의 AIPH(국제원예생산자협회)의 국제공인을 받은 안면도국제꽃박람회가 행정구역상 변경에 위치한 지리적 단점에도 불구하고 사회간접자본(SOC) 부문 2,000억원 및 박람회 사업비 292억여원을 투입하여 24일간 꽃과 바다,휴양림이 어울어진 장관을 연출하여 국내외 165만명의 관람객들이 다녀간 지금 안면도국제꽃박람회가 효과적으로 개최되고 운영되었는지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또한 안면도국제꽃박람회가 표방한 우리나라 화훼산업발전과 꽃문화 수준향상, 해상국립공원이 자리한 태안을 중심으로 서해안권의 관광개발전략, 지역경제에 미친 영향 등의 개최목적을 어느정도 성취했는지를 뒤돌아 볼 필요가 있어 이에 대한 문헌과 사례조사 및 개최효과 분석자료등을 토대로 지역경제에 미친 효과와 향후 활용방안 등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대형이벤트의 가치는 행사기간 당시의 많은 관광객 유치를 기대하지만, 설사 목표치의 관광객 유치가 되지 않더라도 개최이후 홍보영향으로 개최지역에 증가된 관광객 방문을 유도할 수 있듯이 안면도 수목원지구와 꽃지지구을 중심으로 태안서산지구에 박람회가 끝난 이후에도 뚜렷이 관광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93년 대전엑스포 개최 전후를 통한 관광영향분석에 따르면 기대했던 지역이미지개선의 무형적 효과는 미미한 반면 도로정비, 도시개발의 유형적 효과가 매우 뚜렷했던 것으로 나타났고 ‘98년 경주문화엑스포나 강원관광엑스포 등도 접근로 개선을 위한 도로정비 등의 도시개발효과가 나타났던 것으로 파악 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꽃박람회의 개최효과는 지역개발을 10년이상 앞당기는 결과를 가져온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박람회장으로의 접근성 개선을 위한 주진입도로확장공사, 해안관광도로건설, 진입도로의 경관조성, 꽃길조성사업, 종합주차장 설치 등과 주변의 주거환경개선사업 등을 실시한 점들이 가장 뚜렷한 지역개발효과로 파악되었다. 국제꽃박람회를 10년마다 개최하고 있는 네덜란드는 화훼류 수출량이 `96년을 기준으로 36억달러에 달하고 있으나 한국은 2.9억 달러에 불과하여 전세계 화훼 생산국 중 11위에 머물러 있다. 세계적 화훼생산국인 네덜란드, 일본, 프랑스, 독일, 영국 등이 꽃박람회를 계기로 화훼 선진국으로 진입했고 최근에는 이탈리아, 중국, 캐나다 등이 전략산업화 하려는 추세에 있다. 태안지역의 화훼농가는 350여호로 충남지역의 40%에 해당하고 있으나 크게 주목을 받지 못 한 것이 사실이었으나 꽃박람회를 통해 화훼집산지로서 태안지역 화훼의 우수성을 과시하고 국제꽃박람회를 통해 태안화훼산업의 국제적 역량을 확인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꽃박람회를 통해 당초 200만불을 목표로 설정한 수출 계약고가 폐막일에 461만불로 우리나라 연간 수출고의 20% 수준을 달성함으로써 꽃박람회에 의한 국내 파급효과와 태안군의 경우 호접란, 신비디움 등에 대해 중국을 비롯한 외국바이어 들의 높은 관심과 태안군의 화훼생산력에 관심을 보임으로써 태안군 화훼산업의 교역 기회 확대를 유발한 것으로 평가 되었다.

      • 國庫補助金 運用實態와 改善方案에 關한 硏究

        황의윤 韓南大學校 地域開發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50671

        우리나라는 중앙집권 체제에서 분권화된 참여 민주주의로 발전하면서 본격적인 지방자치 시대를 열게 되었고, 지방자치는 중앙의 행정기능을 지방으로 이양하여 지방기능이 더욱더 확대되고, 도시화·산업화의 진전으로 사회집단간 상호의존성은 증가되고 있으며, 지역주민들의 욕구는 공공행정에 대한 다양화, 고급화, 집단화 되고, 이기주의와 개인주의가 팽배하고 있어 지방자치 단체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는 산적해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 지방재정은 그 역사가 짧고 매우 영세하여 교부세, 양여금, 국고보조금 등을 국가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방자치 단체에서 공공재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지 못한다면 주민들이 요구하는 다양한 욕구에 대응하지 못하고 지방자치 본질에 크게 손상 될수밖에 없다고 생각된다. 또한 자체수입의 부족으로 지방재정 운용의 경직성과, 구조의 경직성 등으로 인하여 그 본래의 기능이 제대로 수행되지 못하여 온 것이 사실이라 하겠다. 더욱이 지방자치제의 실시로 인하여 지방행정의 역할, 특히 지방재정의 확충은 그 어느때 보다도 중요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우리나라는 지방자치의 역사가 짧고 자치단체 자주재원이 빈약한 상황에서 재정력 부족을 보전해주는 지방재정 조정제도로 필요한 장치로서 존재해 왔다. 또한 국고보조금은 지방재정의 조정지원 이라는 기능적 측면에서 일익을 담당하였지만, 지방비 부담과중등 지방재정에 오히려 부담을 주는 모순을 낳게 되었다. 그리하여 종래의 보조금 관리법을 보조금의예산및관리에관한법률이 1986.12.31, 법률제3874호로 전문개정되어 보조금 신청주의, 사업별 기준보조율, 영세보조금의 통합 등 여러가지 제도를 도입하여 문제점을 보완하여 운용하고 있으나 아직도 운용상 미흡한 점들이 상존하고 있어 지방자치제를 실시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새로운 시각에서의 인식전환이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국고보조금 제도는 공공사업의 효율성 증대와 중앙과 지방의 재정연계 강화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나, 중앙의 기능이 지방으로 일부 이양되면서 지방재정의 자율성이 결여되어 합리적인 제도개편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보조금은 중앙정부의 자의적인 의사결정에 따라 운영되고 있으며 지방자치 단체의 의사는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고 있으며, 정책적인 불요불급한 사업은 임의적으로, 소규모 영세사업을 세분화하여 지방행정의 비효율성을 초래하고 있다. 문제점 으로는 첫째, 보조사업 지원에 따른 지방비 부담이 과중하고 영세사업의 지원과 보조금의 보조비율이 낮다는 것이다. 둘째, 보조사업의 신청미흡, 보조금의 예산편성과 집행절차의 불합리, 보조금 교부결정 지연, 보조신청이 없는 사업내시, 보조사업 임의변경 등이다. 셋째, 국가와 지방간 사무한계가 모호하여 국가사업을 지방비로 부담전가, 기준보조율 책정불합리, 보조금의 획일적 지원 등이다. 넷째, 국고보조의 기준보조율 임의변경 및 사업비변경 또는 지원중단, 보조금의 지역간 불균형 지원등 이다. 다섯째, 지방재정 계획측면에서 보조금 신청시 중기재정 계획과 연계가 미흡하고 재정전담 부서의 종합적인 조정, 통제가 안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개선방안은, 첫째 보조금신청 및 지방자치 단체의 예산편성 방식의 보완을 위한 보조신청의 실질화, 보조사업 신청내역의 종합·조정관리, 보조사업의 현실화, 영세한 사업의 통·폐합, 보조내시 체계 및 운용의 개선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지방재정의 자주성, 주체성, 행정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보조금의 포괄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셋째, 사무배분 및 기준보조율 재조정을 위한 사무배분의 구체적 법령화, 보조근거를 명시한 개별법의 통·폐합, 기준보조율 등의 적용및 재조정 등이 있어야 한다. 넷째, 보조금 지원의 안정성과 형평성 유지를 위해 보조사업의 안정적·지역별 균형지원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보조사업과 관련된 지방비부담 경감을 위해 지방비부담 지시 및 전가의 통제강화, 낮은 국고보조율의 인상, 지방비부담 부족재원의 보전, 차등보조율 제도의 확대 등이 이루어 져야 한다. 보조금의 효율성과 재원배분의 간소화를 위해 특정보조금의 통·폐합 또는 포괄보조금 제도의 도입이 시급한 실정이며, 차등보조율 제도는 지방자치 단체의 재정과 특수성을 적절히 고려하고 재정자립도가 낮은 자치단체는 차등인상율을 적용하여 자치단체간 재정불균형 해소와 선별지원을 강화 하는데 목적이 있는바 차등보조율 제도가 조기에 정착 되도록 기획예산처 에서는 재정능력이 취약한 자치단체에 실효성 있는 재정지원 수단이 되도록 보완되어야 하겠다 본연구의 과정에서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주요건의 사항 으로는 첫째, 보조금 신청원칙은 자치단체가 추진 하고자 하는 특정사업을 중심으로 하되 지역의 특수성과 인력, 시간, 사무능률을 고려하여 적용한다. 둘째, 보조사업의 원할한 수행을 위해 기준사업비를 현실화하고 지방비 부담을 경감하는 측면에서 보조금을 지원해야 한다. 셋째, 특정보조금 성격을 갖는 현행보조금 제도를 일반적 보조성격을 갖는 포괄보조금 제도를 도입한다. 넷째, 보조금의 배분방식에 있어 기존의 기준보조율과 정액보조 이외에도 지역의 특수여건을 감안, 시정배분 공식에 의하여 배분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한다. 다섯째, 특정지역의 경제여건과 사회개발 등이 타 지역에 비해 구조적으로 특별히 낙후되는 지역을 대상으로 특정지역 보조금 제도를 도입한다. 여섯째, 현행 정액보조율 40%, 60%, 80%, 100%를 재조정하여 지방자치 단체가 필요로 하는 공공수요적 특성을 갖는 사업을 중심으로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곱째, 차등보조율 적용대상 사업범위를 확대하고 적용기준이 되는 지표를 개선하여 대상지역의 주민들이 요구하는 수요를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앞으로 지방자치 단체의 재정력은 지속적으로 증가·확충 되어야 하며 그 가운데 국고보조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더욱 더 크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보조사업의 기준보조율과 차등보조율, 지방비 부담의 최소화, 지방비부담 협의기구 구축방안 등이 재정자립도가 빈약한 자치단체 에서는 보다 더 합리적인 재정운영과 함께 효율적인 국고보조금의 배분방식이 이루어 질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輸出自由地域의 制度改編에 따른 課題와 發展方向에 관한 硏究 : 馬山自由貿易地域을 中心으로

        김영균 韓南大學校 地域開發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MFTZ, according to the "special law" was extablished in January of 1970 to contribute to the national and local economy through attracting more foreign investment which focuses on export promotion and technical improvement.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WTO system and free trade, the world economy is witnessing the integration of trade, investment, and banking system centered-around the multinational companies. And countries around the globe are making all efforts to attract foreign investment in order to make the best use of the movement of the multinational companies. Moreover, Korea's neighbors such as China, Taiwan, and Singapore as well as the advanced nations are introducing free trade zone system in a way to become a hub of the world economy in 21century. the function of free trade zone is expanding to include one of the complex urban community with international trade and logistics, banking and R&D, not to mention production. MFTZ has enormous potential for the growth including the sound financial fundamental and technology but its growth has been limited due to the confined area and lack of systematic supports. Since its birth 30 years ago, Masan Free Trade Zone greatly contributed to the Korean economy to become a strong trading country and also to the growth of local economy and foreign investment. The export, which was mere US $860,000 in 1971, recorded $4.4 billion in 2000 increasing 60% from the previous year. In addition, the trade balance marked $12.6 billion of surplus. In this regard, it is believed that the role of Free Trade Zone has become more important than ever. Therefore we should find the improvement measures to tackle the current problems, to provide the systems and practices in line with the new global norms, to actively deal with the ever-changing economic trend and therefore to internationalize the Korean economy and enhance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To do so, first I suggest that should expand the area of free trade Zone in order to meet the increasing demands of both the existing and new companies. Second, I suggest that should innovate the structural problems in the current industrial complex and establish the in vestment environment on the competitive edge. Third, I suggest that should construct the systematic foundation of Free Trade Zone to which the international standards are applied through various tax incentives and deregulation. Forth, I suggest that should put focus on fostering Free Trade Zone as a hub of production, trade, investment, and logistics making the best use of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Japan and China in terms of geography and industrial development.

      • 스포츠 마케팅을 통한 사설 체육관의 발전방향

        이강길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50671

        스포츠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현대사회에 있어서 경영의 중심적 과제는 물적재화(物的財貨)나 서비스재(財)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것들을 어떻게 하면 개성화·다양화되고 있는 고객들의 욕구에 맞출 수 있는가 라는데 있다(국지, 1987). 따라서 시장의 창조(伊藤, 1987), 수요의 창조(伊藤, 1987)등과 같이 생산에 역점을 둔「제품지향」으로 경영하던 종래의 근시안적 시점이 아니라 판매에 비중을 둔「고객지향적 경영」이라는 새로운 입장이 요청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스포츠 마케팅과 관련하여 지역사회 내에서 전개되는 스포츠 활동 즉 지역사회스포츠를 통해 지역주민의 건강 및 체력증진, 건전한 주민의식함양, 건전 여가 문화의 조성, 지역사회발전과 주민의 삶의 질적 향상 등의 발전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첫째, 단일화되고, 획일화된 사설 체육관의 프로그램을 교육 대상자에 맞춰 교육시간과 교육내용, 교육방법등을 연구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주 5일 근무제도의 도입으로 시간적으로 여유를 갖는 사람들에게 맞춰 주말 프로그램의 신설과 가족이 함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주 5일 근무제도의 도입은 스포츠센터 뿐만 아니라 사설 체육관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주말엔 가족들이 모두 여행이나 관람, 캠핑등 실외에서 할 수 있으며, 가족애를 느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주로 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사설 도장에서는 주말을 이용하여 각 체육관에서의 주 프로그램을 제외하고 외부 강사나, 캠핑 혹은 관람 등의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하여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과 색다른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셋째, 사설 체육관은 등록된 사람들은 물론 주말이나 저녁시간 등에 지역주민 혹은 등록된 사람들의 가족이 모두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 인해서 스포츠에 관심 없던 주민들을 스포츠에 참여시키게 하며, 지역 주민들에게 1인 1스포츠 활동을 전개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렇듯 지역주민 모두가 사용할 수 있고 스포츠에 매료시키기 위해서는 사설 체육관의 시설을 좀더 환경적이고 위생적이며 편리시설을 만들어야 할 것이며, 시설을 사용함에 있어 지역 주민에 서비스한다는 차원에서 누구나 이용할 수 있게 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사설 체육관은 지역 자치단체와 연대하여 지역 주민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지역단체에서 추구하는 지역주민의 복지화는 물론 환경조성도 뒤따를 것이며, 지역단체의 조직화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넷째, 사설 체육관은 체육관끼리 연대하여 사설 경기를 운영함으로 사설 체육관의 프로그램을 서로 공유하며,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사설 경기는 우수선수의 발굴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都市 再開發區域內 資産鑑定評價에 관한 硏究

        문명성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50671

        I found that the plan of redevelopment area in city has been associated with interest groups since they worked this process. Then, the law of redevelopment in city rules to establish plan of legal management for equal exchange between previous property and property of sale in lots. This research found problems related to appraisal of real property, further proposal.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s, I classify evaluations of previous property, evaluations of sale in lots, evaluation of public and government lands by sale, free transfer of public facilities and evaluation of transfer. First , the evaluation of previous property is as follow. ① If they evaluate a site of other's buildings as bare ground, It deserve to devaluate this assets in practise because they think that lands hold superficies. ② We need to revise evaluation timing of redevelopment areas from the day in which they start to do business to the day in which they appoint lands as redevelopment areas ③ There is possible to exist constantly an un-equilibrium between the remained residents and the moved out ones because the price of standard land is much different compare with the actual price of it in redevelopment area. we have to consider the efficiency of possible land by sale up to discrepancy when they select a standard land ④ Considering the evaluation of roads within redevelopment areas, we have to check carefully the purposes of setting roads, surroundings, relations of occupations rather than 1/3 of neighboring lands. we would reflect its results to the value levels of neighboring lands. ⑤ Prices of a land more than a optimum scale in redevelopment areas would be arranged of lower value. Because a land more than a optimum scale regard as settlement of money. We have to consider differences of development benefits up to degree of lands and evaluate them. Second, we checked the evaluation of probable assets by sale on the aspect of law and fair method. Then, we compared apartment houses, shopping centers and compound facilities with financial supports with them without financial supports. Specially, apartments houses where will be sold are assigned of prices without considering feasibility, but only with considering prices of land and a standard of construction cost In fact, we have to improve how to assign prices of land with considering configurations. Third, in case of the evaluation of the public and government lands, we investigated occupied lands and unoccupied lands through related laws. Free transfer of public facilities and evaluation of transfer were investigated fairly by rules. this rules are for facility to change their functions, and for costs of public substituted facilities

      • 중앙일간지 지방판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대전·충남지역을 중심으로

        전성우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50671

        새로운 생활양식이자 가치인 풀뿌리민주주의의 성공적인 정착과 활성화를 위해 지역언론의 중요성은 새삼 강조할 필요도 없다. 이 같은 맥락에서 그동안 지방신문을 비롯한 지역언론의 활성화 방안 등에 대한 연구와 논의는 학계와 언론계, 시민사회운동단체 등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중앙지의 지방판은 이 논의 마당에서 늘 소외되어 왔다. 그렇다고 중앙언론에 대한 연구와 논의에서 지방판의 자리가 있었던 것도 전혀 아니다. 중앙지의 지방판은 중앙언론과 지역언론의 사이에서 사각지대로 방치되어 왔다. 본 연구는 중앙지의 지방판을 이 같은 연구 논의 마당에 올리기 위한 목적으로 출발했다. 엄연히 지역의 사안만을 다루는 지면인 중앙지의 지방판은 지역언론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이는 지방판을 담당하는 중앙지의 지방주재기자들이 해당 지역의 언론인임과 더불어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지방 신문시장은 사실상 중앙지가 장악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는 지방의 수많은 독자들이 중앙지 지방판을 보고 있다는 사실을 반증하며 이 같은 맥락에서 볼 때 중앙지 지방판이 지역언론에 대한 연구와 논의 마당에서 제외될 하등의 이유가 없는 것이다. 지역언론은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해야 한다. 본 연구는 지역언론에서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나 적지 않은 몫을 담당하고 있는 중앙지 지방판의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알찬 지면을 만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우선 그 실태를 분석했다. 10개 중앙일간지의 지방판(중부판)의 지면 수와 기사의 양, 기사의 유형, 기사의 주제 등을 분석하고, 주재기자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각 신문사의 지역취재 및 지방판 제작시스템을 조사했다. 이 같은 연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중앙지 지방판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했다. 그 결과는‘지역밀착형 보도’‘생활밀착형 보도’ 로 압축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매일 지방판을 발행하는 상시적인 지방판 제작시스템 등의 인프라가 구축되어야 하지만 조사 결과 중앙지의 지방판 발행일은 주당 3~6회로 들쭉날쭉했다. 중앙지는 여전히 지방 독자에 대한 지면 배려에 인색하고 소홀하다. 지면 분석 결과 지방판 기사는 지방행정기사가 가장 많았고 문화체육기사, 교육기사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행정기사의 상당수는 보도자료에 의존하는 관급기사였다. 기사의 유형 또한 스트레이트, 박스 등으로 단순화되어 있었다. 해설, 칼럼, 투고 등은 지방판에서 거의 찾아보기 힘들었다. 따라서 지방판 기사의 주제와 유형 등을 좀더 다양화시켜 독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최근 들어 일부 중앙지를 중심으로 지방 보도를 활성화하려는 새로운 노력을 기울이는 모습이 많이 발견되고 있다. 조선일보가 주재기자들이 편집까지 담당하는 사실상의 ‘지방 편집국 체제’를 운영하고, 중앙일보가 ‘네이션와이드’란 지방기획면을 주 1회 고정 제작하는 것 등이 그 좋은 예이다. 한국일보와 한겨레 등도 지방주재기자들이 공동 취재한 지역의 이슈를 기획기사로 과감히 키워 전국적인 이슈로 부각시키는 편집을 자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중앙지들이 ‘지방’을 점차 중요한 분야로 인식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There is no necessity for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a local press deliberately for the revitalization and the successful resettlement of grass-root democracy that is new way of our lives and a value. In this context during that time the study and a discussion about the revitalization program of a local press including a local newspaper have progressed actively around the academic world, the press and a civil-society-movement-body and so on. However a regional edition has always kept at a distance in the ground of this discussion. And there was no absolutely the place of a regional edition in the study and a discussion about the central press. The regional edition of the central press has been left to the dead ground between the central press and the local press. This research started for the purpose of bringing up the regional edition of the central press in the ground of this discussion. Solemnly the regional edition of a central press, the paper space that deals with only plans of the region, functions as the local press. This is a plain truth with the fact that stationed reporters of the region who have charge of the regional edition are journalists of a relevant region. Now central presses actually domain a local paper market in our country. This means that many country people read the regional edition of a central press and in this context it is very important in the study and the discussion about the local press. The local press should make contribution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local people. This study analysed the reality for the purpose of revitalizing the function of the regional edition of a central press that take a great shar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d finding the devices of making the best paper space. This research analysed the number of paper space, quantity, types and subjects of a press news in the regional edition(the middle regional edition) of 10 central daily newspaper and investigated how each newspaper company gathers regional news, and the production system of a regional edition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with stationed reporters.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is research's analysis, I presented the revitalizing plan of the regional edition of a central press. The result is 'a regional-close -adhesion- type news' and 'a life-close-adhesion-type news'. For this, infra, such as an ordinary production system of a regional edition that publishes it at ordinary times, should be established. But in consequence of the research the date of issue of a central press was uneven 3 or 6 times every week. The central press is yet stingy and indifferent in the concern about the paper space for local readers. As a result of the paper space analysis, there was most numerous local administration news, next cultural sports news, then educational news in a regional edition. A large percentage of a administrative news is government issue that depends on news data. In addition the type of news was simplified with a straight-article, box-article and so on. We little found commentary, column, the reader's contribution in a regional edition. So there is a need for an effort to satisfy reader's desire through diversifying the subject and type of a regional edition news. Recently we see such aspects that try to revitalize a local news around a certain central press. Good examles : In Chosun daily newspaper's case, stationed reporters run 'a local editorial department system' in fact and In Jungang daily newspaper's case, ‘Nation Wide’, a paper space for a local planning, is produced fixedly one time each week. Hankook daily newspaper and Hangyearee showed often editing that stationed local reporters gather news together and boldly stand out into country issue from the local issue. This is affirmatively evaluated in the light that central presses begin to see 'a local' as a important field.

      • 전라남도 지역산업의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강병태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50671

        During the last two decades, the policies and strategies of national land regional development have changed gradually in accordance with the shift of the economic and social environment, which is mainly distinguished by economic growth,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gional Industry in Jeon La Nam Do. This research is formed by for parts. The first parts is the introduction and the second part describe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regional industry. The third part explains the actual condition of Jeon nam region. The forth part reaches the plans and solutions, and the conclusion. The result of observing regional industry is following belows. Firstly, regional industry has to be grown as the gate of southern-west and those investing focused in welfare, industrial Jeon nam and cultural Jeon nam. Secondly, The develoment of using space in region has to be attained for connecting routes along Lwang-Yang gulf, Mok-Po gulf and cental inland part, as the new industrial region and this new industrial region should be developed as the central city industrial. Thirdlly, The nabagement of trading goods should be formed to strengthen the industry and technology as the grobal mind. The information science thechnology is not under other nations, but those network system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has to reach to bays, gulfs, and even islands for growing venture industry. This would also help to develop advanced welfare to regional life. For Jeon nam region, the welfore piblic sevice, industrial complex, caltural complex, bay complex should be coustructed for advanced life. At the last, preserving acean environment developing ocean industry and the grobal interchange should be related. The development of the Southen west would hasten the development of the whole Jeon nam regions. Additionally this reseach covers the whole industrial part efforts to relate all primory factors about economy development, regional economy and regional policy to th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