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패션 쇼핑몰의 제품리뷰가 구매동기와 구매만족에 미치는 영향 : 중국 대학생을 중심으로

        장바오쯔 동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814

        A new commercial opportunity was found cause the Internet users blooming, further new value was found by users through Internet. It has changed our lif e, with the expanding of electronic commerce, a new concept of fashion promotion was risen . At present, people ’s attention to the network fashion shopping center is increasing. On the other hand, f or the purchasing and using of specific product, consumer will ask for comments coming from other consumer whom has bought it if they have any doubts to reduce their sense of insecurity of their wrong purchasing behaviors . It’s worth noting that consumers who shopping online can obtain inf ormation about products and services online and exchang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in cyberspace, such as purchasing and using experience of products or services and evaluation of products or services. Research on how product reviews in fashion shopping malls aff ect buyers' motivation and satisfaction, focusing on these online environmental situations, can provide businesses or vendors with alternatives to reasonable and eff ective product sales growth and customer satisfaction, as well as advice on consumer universal purchasing decisions and consumer online purchasing psych이ogy. ln addition, these findings can be applied to the improvement of the product review system of the website fashion shopping mall, and can show the product review of fashion shopping mall to consumers in a more eff ective way. This study will take Chinese college students as object to study how the online shopping center messages W피 influence purchase motivation and purchasing satisfaction. 1. From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the first research,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online fashion posts and consumers ’ purchase motivation,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consumer satisfaction 2. For Chinese college students, understand the comments of online fashion products and its influence on consumers purchasing motivation in the online fashion product purchasing action. 3. For Chinese college students, understand the comments of online fashion products and its influence on consumers ’ purchasing satisfaction in the online fashion product purchasing action. 4. For Chinese college students, understand the influence of purchasing motivation and purchase satisfaction in the online fashion product purchasing action. To carry out this research purpose, the experience of purchasing in Internet fashion shopping mall is surveyed on Chinese university students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review, consumer purchasing motivation and purchase satisfaction f or fashion products. This paper will analyze questionn없re results with SPSS22.0. ln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of 400 college students li띠ng in Shandong province, C비na was conducted in March, 2020. The questionnaire was collected through the Internet, and 384 data were finally analyz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ln terms of the influence of the following posts on the online fashion shopping web-site on the purchase motivation, the posts are mainly reflected in the positive (+) influence of the factors of personalization, happiness, price and convenience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rchase motivation . 2, The research found that the influence of the online fashion shopping website ’s following posts on consumer satisfaction was positively (+) influenced by the attention to consumer satisfaction 3. l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rchase motivation of online fashion shopping centers and consumer satisfaction, factors such as personalization, happiness, price and convenience have a positive (+) influence on the degree of attention to satisfaction This shows that when Chinese college students purchase online at online fashion shopping mall, they are more focusing on network messages and personalization, happiness, price, convenience etc. All in all, considering college students ’ orientation is very important during the process of target market segmentation of follow-up comments, purchase motivation and marketing campaign. 인터넷 사용자의 급속한 성장은 기업에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제공 하고 인터넷을 통해 고객은 새로운 가치를 얻을 수 있게 되면서 우리의 소비 생활에도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인터넷의 출현은 패션마케팅에도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상거래라 는 새로운 유형의 비즈니스 모델이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 는 가운데 패션 쇼핑몰에 대한 관심 또한 날로 증대하는 추세이다. 한편, 소비자들은 특정 제품의 구매와 사용에 대하여 위험을 지각하게 되면 자신의 구매행동에 잘못된 선택에 대한 불안감을 감소시키기 위해 이미 해당 제품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다른 소비자의 의견을 구한다. 특 히 인터넷 쇼핑을 한 소비자들은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온라인으 로 제공받으며, 인터넷 공간속에서 제품이나 서비스의 구매와 사용 경 험, 제품 또는 서비스의 평가와 같은 정보를 상호 교환한다. 이러한 온 라인 환경적 상황을 중심으로 패션 쇼핑몰의 제품리뷰가 구매자의 구매 동기 및 만족에 어떤 는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소비자의 보편 적인 구매 의사결정에 대한 조언과 소비자의 온라인 구매 심리를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업 또는 판매상에게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상품 판매량 증가 및 고객 만족에 대한 대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연구결과는 웹사이트 패션 쇼핑몰의 제품리뷰 시스템의 개선에 응용할 수 있으며, 더욱 효과적인 방식으로 소비자들에게 패션 쇼핑몰의 제품리 뷰를 보여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패션 쇼핑몰의 제품리 뷰가 구매동기와 구매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 은 연구 문제를 제시한다, 첫째, 이론적 배경에서 선행연구를 통해 패션 쇼핑몰의 제품리뷰의 개 념과 소비자 구매동기 파악하고 구매만족의 개념을 알아본다. 둘째, 중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넷 패션제품 구매행동에서의 패션 쇼핑몰의 제품리뷰와 소비자 구매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셋째, 중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넷 패션제품 구매행동에서의 패션 쇼핑몰의 제품리뷰와 구매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넷째, 중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넷 패션제품 구매행동에서의 소비 자 구매동기와 구매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이 연구 목적을 실행하기 위하여 인터넷 패션쇼핑몰에서의 구매경험이 중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패션제품에 대한 제품리 뷰, 소비자 구매동기, 구매만족 간의 관계를 규명한다. 설문조사는 2020년 2월 15일부터 2020년 2월 25일 기간 동안 중국 산 동성(山末省)에 거주하는 대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설문지 는 인터넷으로 수집하였으며 총 384부를 최종 통계자료 분석에 이용하였 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SPSS 22.0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 쇼핑몰의 제품리뷰 구매동기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제품 리뷰는 구매동기 특성 중 개성화, 즐거움, 가격, 편리성의 각 요인이 유 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패션 쇼핑몰의 제품리뷰는 구매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구 매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패션 쇼핑몰의 구매동기는 구매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개 성화, 즐거움, 가격, 편리성의 각 요인이 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국 대학생 패션 쇼핑몰을 구매할 때 특히 인터넷 제품리뷰 빛 개성화, 즐거움, 가격, 편리성의 각 요인 등에 대하여 더욱 더 중요하 게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혁신적 하이테크 제품의 제품리뷰가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 소비자의 혁신성과 외로움을 중심으로

        김규한 성균관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82

        오늘날 우리는 스마트폰, 테블렛PC, LED TV 등 하이테크 제품을 사용하며 매일 일상생활을 살아가고 있다. 하이테크 제품들은 소비자의 삶에 있어서 꼭 필요한 존재가 되었고, 생산자에게도 큰 수익 창출의 대상이 되었다. 오늘날 인터넷 등 정보통신의 발달로 소비자는 제품과 생산자에 대한 정보와 경험을 광범위하게 갖게 되었다. 전통적인 제품 마케팅과 광고를 단순히 수용하던 소비자의 니즈에 변화가 생겼다. 이로 인해 소비자 스스로 하이테크 제품을 사용해보고 리뷰를 인터넷상에 올려 공유하는 현상이 생겼다. 기존의 제조사가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면 수용만 하던 수용자 입장에서 스스로 제품 정보를 생산해내는 생산자가 된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혁신적 하이테크 제품리뷰의 컨텐츠 유형에 따라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리고 구체적으로는 유튜브 영상리뷰와 블로그 텍스트사진리뷰에 따른 제품평가와 소비자의 혁신성과 외로움에 따른 차이도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제조사와 마케터에게는 온라인상 리뷰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새로운 마케팅 방법으로 접근하도록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연구자들에게도 새로운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온라인에서의 제품 평가정보가 소비자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제품 리뷰기사와 소비자 댓글의 구전효과

        김봉준 아주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32446

        지금까지 구전효과에 대한 수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관심이 온라인에서의 구전효과에 관한 연구로 이어져 오고 있다. 최근 온라인상에서는 디지털, 하이테크 제품을 중심으로, 해당 제품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전문 리뷰어가 제품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자료와 함께 기사화하여 소비자에게 제품에 대한 비교/평가정보를 제공하는 리뷰 전문 웹사이트가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리뷰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리뷰기사의 평가정보는 효과적인 온라인 구전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구전에 관한 기존의 연구를 보다 확장하여, 기존 소비자들의 제품사용후기나 댓글에 비해 보다 제품에 대해 객관적이고 전문성을 갖춘 제품평가정보로서 제품 리뷰기사가 갖는 구전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1에서는 제품 리뷰기사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와 리뷰기사 평가내용의 방향성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제품 리뷰기사는 광고만 제공한 경우에 비해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리뷰기사의 방향성에 따른 효과 또한 유의적이었다. 연구2에서는 리뷰기사의 평가정보, 제품에 대한 일반 소비자들의 댓글의견, 리뷰 전문 웹사이트의 신뢰도에 따라서 구매의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리뷰기사와 댓글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했으며, 리뷰기사의 효과는 웹사이트의 신뢰도 수준에 따라 조절되었다. 또한 리뷰기사와 댓글의견의 상호작용 효과도 나타났으며, 신뢰도에 따라 두 구전수단 사이의 상대적인 영향력이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미와 마케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의 방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 제품 기획을 위한 해석 가능한 머신러닝 기반의 소비자 니즈 분석 접근법

        정재연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399

        소비자 니즈가 다양해지고 제품 수명주기가 짧아짐에 따라, 현대 비즈니스 환경은 복잡해졌다. 이러한 비즈니스 환경에서 경쟁 우위를 점하고자 기업들은 제품 및 서비스에 소비자 니즈를 반영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소비자 니즈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들이 수행되었으나, 선행연구들은 몇 가지 한계점이 존재한다. 우선, 설문조사, 인터뷰와 같은 전통적인 자료조사 방법을 기반으로 소비자 니즈를 파악한 연구들의 경우,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자원의 투입과 한정된 데이터로 인한 응답자 편향이 발생한다. 이에, 복잡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소비자 니즈를 분석하기 위한 대량의 데이터 기반의 정량적인 접근법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활용하여 연구들은 데이터로부터 소비자 니즈를 발굴하였으나, 기업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방향성 제시가 미흡하다. 실제 기업의 제품 개발 과정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제품 개선 방향의 제시, 제품 기회 발굴 등의 추가적인 분석 단계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제품 기획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한 연구들은 중요한 제품특성을 정의하는 과정의 한계가 존재한다. 다수의 연구들은 텍스트 내의 키워드, 구절 등의 언급 빈도와 감성점수를 활용하여 소비자 니즈 중 중요한 제품특성을 정의하였다. 하지만 중요한 제품특성이 반드시 빈번하게 언급되는 것은 아니므로, 중요한 제품특성을 정의하는 새로운 접근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품 리뷰 데이터에 존재하는 소비자 니즈를 식별하고 해석 가능한 머신러닝 기반의 소비자 이해를 바탕으로 제품 기획 전략을 제시하는 접근법을 제안한다. 제시된 접근법은 1) 제품 리뷰 데이터 수집 및 전처리 2) 제품특성 식별 3) 제품특성 영향도 산출 4) 제품 개선 전략 제안의 절차를 따른다. 우선,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리뷰 데이터를 전처리하는 것을 시작으로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소비자 관점에서의 제품특성을 정의한다. 다음으로, 리뷰의 각 제품특성 언급 비율을 기반으로 제품 만족도를 분류하는 이진 분류모델을 구축한 뒤, 해석 가능한 머신러닝 기법인 SHAP을 적용하여 각 제품특성의 영향도를 산출한다. 마지막으로, 영향도를 기반으로 제품특성이 제품 만족도에 미치는 정도를 파악하는 두 가지 지표 Importance, Influence를 산출하여 소비자 니즈 포트폴리오 맵을 제시한다. 도출된 소비자 니즈 포트폴리오 맵을 바탕으로 제품 기획에 기여한다. 본 연구는 로봇 청소기를 대상 제품으로 선정하여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기여점이 존재한다. 우선, 본 연구는 토픽 모델링을 활용하여 텍스트의 문맥 속에 존재하는 소비자 니즈를 식별하였다. 다음으로, 리뷰 내 제품특성의 언급량을 활용하여 제품 만족도를 분류하는 인공신경망을 구축하고 해석가능한 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하여, 각 제품특성 별 영향도를 산출하였다. 영향도를 통해 소비자의 제품 만족도에 각 제품특성이 끼치는 영향의 크기와 방향성을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영향도를 바탕으로 한 Importance, Influence 지표를 통해 소비자 니즈 포트폴리오 맵을 제안하여 제품 기획 방안을 도출한다. 본 연구가 제안하는 접근법은 리뷰 데이터 내 소비자 니즈 식별을 시작으로 제품 기획 전략을 제시하는 종합적인 프레임워크로, 사례연구 결과로 대상 제품에 대한 제품 기획 전략을 성공적으로 제시한다. An interpretable machine learning approach to customer needs analysis for product planning Jung, Jeayeon Department of Industri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As customer needs diversify and product life cycles shorten, the modern business environment has become rapidly complicated. To gain a competitive edge, firms are making various efforts to reflect consumer needs in their products and services. Sever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identify consumer needs, but prior research has some limitations. First, in the case of studies that identify customer needs based on traditional methods such as surveys and interviews, the input of resources to acquire data and the bias of respondents occurs due to limited data. Therefore, a quantitative approach based on large amounts of data is needed to analyze complex and rapidly changing customer needs. Secondly, using user-generated content, studies have discovered customer needs from data, but suggesting directions to support firm's decision-making is insufficient.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actual firm's product development process, additional analysis step such as offering specific product improvement direction and discovering product opportunities are needed. Finally, studies that suggest product planning directions have limitations in defining important product features. Majority of studies have defined important product features among customer needs by using the frequency of mentions of keywords and phrases in the text and sentiment scores. However, important product features are not necessarily mentioned frequently, so a new approach to defining important product features is required.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n approach to identify customer needs from product review data and use interpretable machine learning to derive product planning strategies based on customer understanding. The proposed approach follows the steps. 1) Collecting and preprocessing product review data, 2) Identifying product features, 3) Calculating the effectiveness of product features, and 4) Proposing product improvement directions. Conducting a case study of robot vacuum cleaners, this study identified product features from customer perspective and calculated the effectiveness of product feature to derive product improvement directions based on customer understanding. In first, this study defines product features from customer perspective employing topic modeling, starting with preprocessing the collected review data. Next, after constructing a binary classification model that classifies product satisfaction through degree of mention of each review of product features, SHAP, an interpretable machine learning technique, is applied to calculate the effectiveness of each product feature. Finally, we present customer needs portfolio map by calculating two indices, Importance and Influence, that explain how much product features affect product satisfaction based on effectiveness. This approach contributes to product planning based on the derived customer needs portfolio map. This study conducted a case study by selecting a robot vacuum cleaner as a target product. The following contributions exist in this study. First of all, this study used topic modeling to identify customer needs that exist in the context of the review text. Next,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that classifies product satisfaction was constructed using the amount of mention of product features in the review and an interpretable machine learning technique was employed to calculate the effectiveness of each product feature. Through the value of effectiveness,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the effect of each product feature on the product satisfaction of customers are identified. Finally, a product planning plan is derived by proposing a consumer needs portfolio map through Importance and Influence indices based on effectiveness. The approach proposed in this study is a comprehensive framework that analyzes review data and presents product planning strategies starting with consumer needs identification, and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successfully present product planning strategies for the target product. Keyword : Product planning, Customer needs, Product review data, Interpretable machine learning

      • 온라인 구전에서 리뷰 유형과 리뷰 방향성이 소비자의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

        공만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397

        전자 상거래의 빠른 발전으로 인해 소비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온라인상에 다양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 소비자들은 온라인 쇼핑의 잠재적인 위험을 낮추기 위해 온라인 리뷰를 통해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지만 접촉하는 리뷰 정보가 과부하 되기 때문에 리뷰의 유용성을 판단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리뷰 유형(Factual vs. Evaluative) 및 초기리뷰와 추가리뷰 간의 방향성(Consistent vs. Conflictive)이 달라짐에 따라 소비자들의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고 이어서 귀인이론을 바탕으로 소비자들은 리뷰에 대한 제품 귀인이 이러한 관계에서의 매개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자기효능감이 조절변수로 개입되었을 때, 온라인 리뷰 유형과 방향이 소비자의 지각된 유용성에 대한 주효과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중국 온라인 쇼핑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온라인 리뷰 유형과 리뷰 방향성이 소비자의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평가적 리뷰에 비해 사실적 리뷰일 때 소비자의 지각된 유용성이 더 높게 나타났고 리뷰에 대한 제품 귀인은 이러한 영향에서 매개역할을 하였다. 마찬가지로 일치한 초기리뷰와 추가리뷰보다 모순된 초기리뷰와 추가리뷰일 때 소비자의 지각된 유용성이 더 높게 나타났고 리뷰에 대한 제품 귀인도 이러한 영향에서 매개역할을 하였다. 또한 사실적 리뷰를 제시하는 경우에, 자기효능감이 높은 소비자들은 리뷰에 대해 지각된 유용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에 반해 평가적 리뷰를 제시하는 경우에 자기효능감이 낮은 소비자들은 리뷰에 대해 지각된 유용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모순된 초기리뷰와 추가리뷰를 제시하는 경우에 자기효능감이 높은 소비자들은 지각된 유용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와 반해 일치한 초기리뷰와 추가리뷰를 제시하는 경우에 자기효능감이 낮은 소비자들은 지각된 유용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e-commerce, consumers can easily purchase various products online at any time and anywhere. Consumers can also search for information about a product or service through an online review to reduce the potential risk of online shopping, but it is difficult to judge the usefulness of the review because the consumer contact review information is overload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ain effect of online review type (factual vs. evaluative) and review valence (consistent vs. conflictive) on consumers' perceived usefulness, and then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roduct attribution based on attribution theory.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how this main effect changes when self-efficacy is involved as a moderator variable.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on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d online shopping in China. Survey results show that online review types and review valence influence consumers' perceived usefulness. More specifically, consumers' perceived usefulness was higher in factual reviews than in evaluative reviews, and product attribution played a medicated role here. Likewise, conflictive reviews (the valence between initial review and additional review is conflictive) can lead to more consumers' perceived usefulness than consistent reviews (the valence between initial review and additional review is consistent), and product attribution also played a medicated role here. Moreover, in the case of factual reviews, perceived usefulness of the reviews was higher for consumers with high self-efficacy.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evaluative reviews, perceived usefulness of the review was higher for consumers with low self-efficacy. In addition,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review valence and consumer’s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that in the case of conflictive reviews, perceived usefulness of the reviews was higher for consumers with high self-efficacy. Otherwise, in the case of consistent reviews, perceived usefulness of the review was higher for consumers with low self-efficacy.

      • 온라인 구매 후기에 따른 웹루밍 행동 연구 : 부정적 후기의 퀄리티를 중심으로

        김효정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364

        온라인 쇼핑의 확산과 모바일 쇼핑산업이 급성장하는 만큼 소비자들은 온라인 시장에서 개인의 경험 또는 제품에 대한 정보 공유를 자유롭게 표현하고 소비자들은 온라인 혹은 모바일 시장의 구매 과정에서 이전 구매자들의 리뷰를 읽고 제품 구매를 결정하는 행동을 보이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온라인 시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쇼핑의 실패 경험을 우려하여 소비자들은 제품의 정보를 더 습득하고자 오프라인 매장에서 제품을 체험하고 최종구매를 하는 ‘웹루밍’ 현상을 보이기도 한다. 이에 따라 온라인 소매업체는 온라인 구매에 대한 불확실성을 낮추고 온라인 구매 후기를 관리하는 중요성을 인식하지만, 온라인 구매 후기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가에 대한 의문이 남아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온라인 구매 후기 중 웹루밍을 유발하는 리뷰를 찾아내고자 부정적인 구매 후기가 온라인 구매에 대한 불확실성을 어떻게 증가시키는지 밝히고자 한다. 덧붙여, 본 연구는 부정적인 후기의 퀄리리틑 달리하여 퀄리티의 높고 낮음은 웹루밍 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실제 온라인 리뷰를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분석하고 이를 설문조사에 반영하여 소비자의 웹루밍 의도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온라인 구매후기 중 제품관련 리뷰보다 배송관련 리뷰가 온라인 쇼핑의 불신에 더 영향을 미치며 배송관련 부정적인 리뷰의 낮은 퀄리티가 웹루밍 전환 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 제품의 온라인 리뷰 정보의 전문성과 진실성이 구매자가 인지하는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김우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2303

        기업과 소비자의 의사소통 방식은 최근에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과거에는 기업이 일방적으로 소비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였었지만, 현재는 소비자가 능동적으로 자신에게 적합한 정보를 찾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정보 유통 방식을 전통적으로 구전 의사소통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인터넷을 통해서 유통되는 구전 의사소통은 기존의 구전 의사소통과는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정보의 양이 급증하고 정보 유통 경로가 다양해지면서 정보 제공자의 속성보다 정보 자체의 신뢰성이 더 중요해진 것이다. 따라서 정보 제공자가 수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배제하고 정보 자체의 속성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에서 활동하는 제품 평가자들이 제공하는 리뷰 정보의 신뢰성이 구매자가 인지하는 성능 위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X2 요인 설계 방법을 이용하여 120명을 대상으로 실험실 실험 방법을 실시하였다. 정보의 신뢰성을 전문성과 진실성으로 구분하고, 각각 높고 낮음의 2개 차원으로 하여 독립변수를 설정하였다. 전문성은 온라인 리뷰 정보에 제품에 대한 전문용어와 정제된 어투를 사용하는지의 여부로 정의하였고, 진실성을 온라인 리뷰 정보가 사실에 기반하여 정보를 제공하는지 여부로 정의하였다. 종속 변수는 소비자의 지각된 성능 위험으로 설정하였다.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정보의 신뢰성(credibility)를 구성하는 요소인 전문성(expertise)과 진실성(trustworthiness), 그리고 그 상호작용은 소비자가 지각하는 제품의 성능 위험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 작용 효과를 자세히 살펴보면 진실성이 높은 집단의 경우 전문성의 차이에 따라 종속 변수 평균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나 진실성이 낮은 집단의 경우 전문성의 차이에 따른 종속 변수의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문성이 낮은 집단의 경우 진실성의 차이에 따른 종속 변수의 평균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전문성이 높은 집단의 경우 진실성의 차이에 따른 종속 변수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즉, 전문성과 진실성이 함께 작용해야 사용자의 지각된 성능 위험을 낮춘다고 해석할 수 있었다.

      • 오피니언 마이닝의 제품 특징을 이용한 극성 분류

        서정열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2285

        컴퓨터와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전자상거래라는 비즈니스 모델이 출현하게 되었고, 전자상거래의 시장은 계속해서 발전하는 중이다. 전자상거래로 구매의 문제점은 구매자가 직접 물건을 보고 만진 후에 구매할 수 없으므로 불안감을 가지고 제품을 구매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을 위해 구매자들은 SNS(Social Networking Service)와 상품평을 통해 정보를 얻게 된다. 이 정보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오피니언 마이닝(Opinion Mining)이 있다. 오피니언 마이닝에서 사용하는 긍/부정 사전은 영어의 경우에는 WordNet-Affect, SentiWordNet 등 공개된 사전이 있지만, 한국어의 경우에는 공개된 사전이 없다. 이러한 사전을 구축하기 위해 수작업으로 진행하는 방법도 있지만,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단어의 극성을 분류하는 방법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 이 방법의 우수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실험을 시행하였다. 제안 방법은 단어의 극성을 분류하기 위한 SO-PMI(Semantic Orientation from Point-wise Mutual Information)를 이용하였다. 한국어의 극성을 분류할 때에 생기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학습 데이터 구축, 학습 데이터의 전처리, 특징을 이용한 극성 분류를 사용하여 정확도를 높였다. 서술어의 분석을 위해 제품의 특징 추출 방법과 추출한 제품 특징을 이용하여 문장의 끝맺음 규칙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특징별 극성 분류를 종합하여 특징별 감성 단어의 극성이 정확히 분류되었는지 평가하여 잘 못 분류된 결과를 확인한다. 평가 결과, 특징을 반영하지 않은 극성 분류에서는 제안한 극성 분류기가 기존의 SO-PMI와는 약 9%의 높은 성능을 보였고, SentiWordNet와는 약 5%의 높은 성능을 보였다. 특징을 반영한 극성 분류에서는 제안한 극성 분류기가 각각의 특징에서 다르게 사용되는 단어에 대한 극성 분류에서 기존의 SO-PMI와는 약 18%의 높은 성능을 보였고, SentiWordNet와는 약 11%의 높은 성능을 보였다. 또한, 학습 문서를 무작위로 수집하고 정제하여 학습 문서의 개수별 성능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무작위로 수집된 학습 문서에서도 기존의 SO-PMI보다 제안하는 극성 분류기가 더 좋은 성능을 보였다.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 and communications, the business model, e-commerce, occurred and it has been continuously growing. It has a problem that consumers have to buy products with a feeling of anxiety as they could not actually touch nor see the products. To solve this problem, buyers get information through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and rates. Opinion Mining is used to analyze this information. English Positive-Negative words dictionaries , such as WorldNet-Affecct, SentiWordNet are used in Opinion Mining, however, there are no Korean dictionaries. Dictionaries could be complied by hand, but it take lots of time and costs. The paper suggested the method for improving accuracy of the classification and conducted an experiment to verify superiority of it. SO-PMI(Semantic Orientation from Point-wise Mutual Information) is used to classify the polarity of words. To settle a matter, occurring when the polarity of Korean is classified, it improved the accuracy by establishing and preprocessing a learning data and considering characteristics. It analyzed predicate by extracting characteristics of products and using the characteristic and applying rules, used at the end of a sentence. It checked whether words, expressing emotions, were accurately classified by combining polarity classification for per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result, the new classifier performed better than the existing SO-PMI by 9% and by 5% than SentiWordNet in the classification, not reflecting characteristics. On the contrary, it was better than the existing SO-PMI by 18% and by 11% than SentiWordNet. Furthermore, it evaluated the performance for each amount of documents by randomly collecting and refining them. In this case, the classifier also performed better than the existing SO-PMI.

      • 뷰티 유튜버의 영상 콘텐츠 분석

        손희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2266

        현대 SNS, 1인 미디어 플랫폼에서 활동하는 다양한 분야의 인플루언서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그 중 뷰티 관련 콘텐츠는 세계적으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최대 동영상 사이트인 유튜브에서 활동하는 뷰티 인플루언서들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은 유튜브에서 뷰티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뷰티 인플루언서로서 뷰티 유튜버의 정체를 밝히고 미용학 관점에서 국내 뷰티 유튜버들의 특성과 유튜버들의 영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7년 10월부터 2018년 2월까지의 데이터로 구독자 수가 높은 순으로 국내 뷰티 유튜버 10인을 선정한 후, 선정된 10인의 뷰티 유튜버 영상 중 콘텐츠 유형별 높은 조회순으로 분석할 영상을 선별하였다. 콘텐츠 유형별로 나누어진 영상에 나타난 메이크업은 메이크업 특징 및 조형요소와 영상연출요소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도출된 뷰티 유튜버의 5가지 특성인 전문성, 매력도, 진실성, 유명도, 친근감을 기준으로, 선정된 포니, 씬님, 이사배, 다또아, 써니채널, 회사원A, 라뮤끄, 레나, 윤쨔미, 연두콩 10인의 뷰티 유튜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뷰티 유튜버의 정체성은 메이크업 분야의 전문적 지식과 테크닉, 정보전달 능력, 영상 콘텐츠 기획력과 관련된 전문가의 속성, 기존 유명인 인플루언서보다는 시청자와의 동질성, 친근감, 진실성을 지닌 일반인의 속성, 외모, 개성, 오락적 요소를 갖춘 연예인의 속성으로 나눌 수 있었다. 유튜버의 메이크업 영상 콘텐츠 중 캐릭터 및 테마 메이크업, 메이크업 튜토리얼, 제품리뷰영상 3가지 유형이 많이 나타났고 이를 바탕으로 10인의 뷰티 유튜버의 각 콘텐츠별 조회수가 가장 높은 영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들은 크게 정보형과 유희형의 영상으로 나눌 수 있었다. 캐릭터 및 테마 메이크업의 경우에는 아트워크의 요소를 갖고 있는 특수 분장, 아트 메이크업, 커버 메이크업으로서 이는 오락적이고 흥미를 유발하는 유희형 콘텐츠로 소비되었다. 메이크업 튜토리얼 영상의 경우는 쉽게 따라할 수 있고 유익한 정보들로 구성되어 있어 정보형 영상에 속하였다. 제품 리뷰 영상의 경우는 제품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신뢰할 수 있는 정보 중심형 콘텐츠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뷰티 유튜버의 정체를 파악하고 유튜버의 영상 콘텐츠를 분석함으로써 미용학 분야에 뷰티 유튜버 관련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와 MCN비즈니스, K-Beauty 홍보, 브랜드 홍보 전략 수립에 대한 참고자료를 제시하는데 의의를 둔다. With the appearance of influencers in various fields of the modern SNS and the one-person media platform, beauty-related content have made an impact on the world.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number of beauty influencers on YouTube, the largest video website. This paper aims to identify beauty influencers, or beauty YouTubers, who as beauty creators provide beauty-related video content on YouTube, an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video traits of Korean beauty YouTubers who are currently influencing the public from the cosmetology perspective. After selecting 10 Korean beauty YouTubers with the highest number of subscribers according to data ranging from October, 2017 to February 2018, videos to be analyzed were selected among the 10 beauty YouTubers by content type and order of high views. Makeup that were displayed in the videos classified by content type were analyzed according to makeup feature, formative factor and video production factor. In this study, 10 beauty YouTubers, PONY, SINN, RISABAE, DADDOA, SUNNY’s CHANNEL, CALARY GIRL, LAMUQE, LENA, YOONCHARMI, YEONDUKONG were selected to be analyzed based on the 5 characteristics of beauty YouTubers; professionalism, attractiveness, authenticity, degree of fame, and friendliness, which had been derived from previous research.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identity of a beauty YouTuber is characterized by; the professional knowledge and technique of makeup, the information transferring capability, the expertise related to video content planning, the relatable, friendly and authentic characteristics of a general person over existing famous influencers, and the looks, personality, and entertaining characteristics of a celebrity. Based on 3 types of content (excluding videos unrelated to makeup), the character and theme makeup, makeup tutorial, and product review, respective videos from the 10 beauty YouTubers with the highest number of views were analyzed. The results could be divided broadly into information-type and amusement-type videos. Viewers consumed amusement-type content as in the case of character and theme make-up videos comprised of special effect makeup, art makeup, and cover makeup, with amusing and entertaining content with elements of artwork. In the case of makeup tutorial videos, they would belong to the information-type videos, easy to follow and composed of informative information. As for product review videos, they were concluded to be categorized as information-type content containing accurate evaluation of products and reliable information. This research of identifying Beauty YouTubers and analyzing video content provides basic data for the follow-up study related to Beauty YouTubers contributing to the field of cosmetology,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the MCN business, K-beauty promotion and brand promotion strategy.

      • 온라인 리뷰가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인터넷 쇼핑몰을 중심으로

        최영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16046

        인터넷의 발전하기 전까지는 단순한 입소문, 즉 전통적인 구전으로 제품이나 브랜드의 이미지에 대해 영향을 주고 있었다면 인터넷의 발전은 전통적인 구전에서 온라인 구전으로, 즉 소비자들의 제품을 구매한 후 자신의 사용경험과 후기를 작성한 리뷰로 다른 잠재적 소비자들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후기는 빠르고, 신속하게, 광범위한 전달력, 오랜기간 저장이 되고 언제든지 소비자들이 참고하여 제품을 평가 할 수 있는 특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자신의 원하는 제품을 구매하기 전 다른 소비자들의 제품에 대한 사용후기를 참고하는 것은 당연한 것으로 자리매김하였다. 많은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온라인 리뷰의 유형과 소비자의 쾌락적 소비와 실용적 소비, 즉 제품을 쾌락재와 실용재로 나뉘었을때의 구매의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이론을 바탕으로 온라인 리뷰의 유형이 소비자들의 구매의도에 주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따라서 온라인 리뷰의 유형을 리뷰의 유용성, 리뷰의 신뢰성, 리뷰의 전문성, 리뷰의 수로 구성을 하였다. 또한 소비자들의 쾌락적 소비와 실용적 소비과정으로 제품을 쾌락재와 실용재로 구분을 하여 조절변인으로 사용을 하였다. 이와 같이 총8개의 가설을 수립하였다. 가설의 검증을 위해서는 다양한 인터넷 쇼핑업체가 존재하지만, 소비자의 사용량이 비교적 많고 대표적인 업체 중 하나라고 생각되는 쿠팡을 선택하였고 쿠팡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다. 자료에 의하면 2020년 기준으로 2000만명 이상의 한국인들이 쿠팡을 사용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로는 온라인에서의 리뷰의 유용성, 리뷰의 신뢰성, 리뷰의 전문성, 리뷰의 수는 소비자들의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리뷰의 유형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대한 관계에서 제품의 성격이 조절효과를 살펴보면 리뷰의 유용성과 리뷰의 전문성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리뷰의 유형이 잠재적 소비자들의 제품에 대한 구매 의사결정과의 관계를 검증하고 기업이 판매하고 있는 제품에 대해 새로운,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구현하는데 기초자료로서 도움을 줄 수 있는데 의의가 있다. Until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simple word of mouth, that is, traditional word of mouth, influenced the image of a product or brand. The reviews you write have an impact on the purchase intentions of other potential consumers. In addition, these review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able to evaluate products with reference to consumers at any time, as they are quickly, extensively delivered, stored for a long time. Therefore, it has become natural for consumers to refer to the reviews of other consumers' products before purchasing their desired product.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s, as a type of online review, it is necessary to study consumers' hedonic and practical consumption. i.e, purchase intention when products are divided into pleasure goods and utility goods. In this study, based on the theories of previous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effect of online review types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Therefore, the types of online reviews were composed of review usefulness, review reliability, review expertise, and number of reviews. In addition, according to consumers' hedonistic consumption and practical consumption process, products were classified into pleasure goods and practical goods, and used as control variables. In this way, a total of eight hypotheses were established. To test the hypothesis, there are various internet shopping companies, but Coupang, which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representative companies with relatively high usage by consumers, was selected. According to the data, as of 2020, more than 20 million Koreans are using Coupang.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usefulness of online reviews, the reliability of the reviews, the professionalism of the reviews, and the number of review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s. Also, looking at the moderating effect of product characteristic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view type and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it was found that the usefulness of reviews and the professionalism of reviews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fulness of reviews and the professionalism of reviews. Therefore, i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hat the type of online review can help as basic data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otential consumers' product purchase decision-making and to implement a new and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for the product the company is sel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