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

        김효정 아주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공감,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를 확인 하고자 하였다. 공감이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편의 표집 방법(Convenience Sampling)을 통해 서울시와 경기도의 중소도시에 재학 중 인 중,고등학생 558명을 대상으로 부모-자녀 의사소통 척도,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각 변인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여 Cronbach’ 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측정 변인들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집단 t검증을 실시, 부-자녀 의사소통, 모-자녀 의사소통, 공감, 대인관계 유능성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공감을 매개하여 대인관계 유능성에 간접효과를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회귀분석을 실시, 마지막으로 Sobel Test를 추가로 실시하여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공감을 매개하여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유의한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 공감, 대인관계 유능성과의 관계는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본 결과, 모-자녀 간 의사소통, 공감과 대인관계유능성의 하위 영역에서, 자기 노출, 정서적지지 및 조언, 대인갈등 다루기의 세 영역이 모두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더 높았다. 이는 여자청소년이 관계 지향적이므로, 동성의 주 양육자인 모와 개방적인 관계를 맺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여학생들이 관계 중심적 대화를 통해 상대방의 생각과 느낌을 잘 알아차리고 표현 하여 공감이 향상되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학교 급 에서는 중학생이, 부모- 자녀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유능성에서 처음 관계 맺기, 타인에 대한 불쾌감 주장, 자기노출이 유의하게 높았다. 대학입시가 중요한 한국의 사회분위기로 인하여 학업에 대한 성취 압력이 고등학생 자녀에게 더욱 가중되기 때문 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유능성과의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공감은 유의미하게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공감을 매개로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대인관계 유능성에,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공감이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고, 청소년은 발달시기와 따라 성별에 따라 부모-자녀 의사소통을 다르게 인식함을 밝혔다. 그러므로 청소년 자녀의 부모는 자녀의 발달과 특성을 인지한 상태에서 자녀의 생각과 감정 등을 잘 수용하고 공감하는 개방적인 대화를 함으로서 자녀가 대인관계에서 느끼는 여러 어려움을 감소시키고 대인관계를 잘 해낼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정책적으로는,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의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 할 때, 부모와 자녀간의 의사소통이 중요함을 강조 하고, 청소년들의 공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안들을 모색해 시기적절하게 조력해야 함을 시사한다.

      • 자연미술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 중학생을 중심으로

        김효정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자연미술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 중학생을 중심으로 - 김효정 교육학 미술교육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지도교수 서동석) 자연을 이루는 환경은 18세기 산업화와 20세기 전쟁과 혁명의 영향으로 오염이 심화하여 다양한 문제가 발생되었다. 레이첼 카슨(R. L. Carson)은 근대 문명의 귀결로 위기에선 환경문제가 자연의 다양성을 고갈시켜 봄이 와도 자연은 침묵하고 있다는 내용의 책을 쓴다. 기술만능주의로 우리의 삶이 파괴되고 인간의 존립까지 위협받고 있음에 경종을 울리며 1962년 출판된 봄의 침묵은 인류 환경사를 새롭게 씀으로써 세계적으로 주목받게 되었다.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자연은, 미래를 바라보는 세계관의 변화를 가져왔다.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환경에 대한 관심이 전 지구적 규모로 확대되면서, 이성 중심의 담론 대신 위기를 가져온 요소로써 자연감성이 더욱 중시되었다. 이처럼 20세기를 마감하며 인류는 환경의 종말을 고한 것이지만,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자연에 대한 새로운 지평이 열리게 되었다. 근대의 모더니즘 세계관으로부터 이어진 현대 미술과 교육은, 기본적으로 시대 배경과 개인 능력에 따른 방법론에 의해 인간 성장을 목적으로 전개되어왔다. 그러나 자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우리나라의 교육은 창의성과 인성을 바탕으로 하는 인재 양성을, 미술교육은 시각표현을 통한 이성과 감성의 균형 있는 발전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따라서 국가교육에서 인간과 환경을 아우르는 자연에 관한 새로운 논의가 필요하였다. 자연의 중요 가치를 미술과 교육으로 연관 지어 고찰한 결과, 환경을 중심으로 하는 예술과 교육이 등장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파생된 환경예술과 환경교육은, 차별화를 목적으로 하는 예술과 특화를 목적으로 하는 교육의 일부로 한정되어 나타났다. 이처럼 자연관점의 미술과 교육의 필요성이 절실함에도 아직 특정에만 국한된 느낌을 벗어나지 못하는 이유는, 자연은 어렵다는 선입견과 객관적 전공 지식인 자연학으로 간주하려는 경향을 꼽을 수 있다. 그러나 현대 문명의 출현에도 여전히 유효한 것은 자연이다. 따라서 적용범위가 줄어들면 그 한계가 드러나듯이, 현실에서의 미술과 교육은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으므로 자연은 더없이 중요한 요소이다. 21세기의 예술과 교육은 순수 자연성이 요구되며, 부분과 전체를 아울러 변화와 흐름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더욱 활발해질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단일 분야에 국한된 것이 아닌, 서로 다른 분야와 영역으로 탐구해도 자연형상으로 드러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가치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하는 자연에 대한 해석은, 새로운 시대의 요구를 따르며 미래의 잠재성을 포괄한다. 연구자는 조화로운 미술교육을 위해,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자연은 무엇이고 어떻게 미술로 교육할 것인가’에 대한 과제를 수행하였다. 결론적으로, 교육의 기초를 이루는 학문과 학문의 바탕을 이루는 지식은 16세기 환원주의를 기점으로 깊고 넓어졌다. 이러한 진리의 다원화 과정에서, 미술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 자연을 인식하는 것이 자연미술이며 교육을 더욱 잘 이해하기 위해 자연을 인식하는 것이 자연교육이다. 따라서 자연미술교육은, 미술교육을 위한 자연을 이론적으로 규정하는 일이다. 이러한 이해를 넘어, 예술과 교육을 비롯한 국가와 인간이 추구해야 할 지향점은 ‘자연을 위한 삶’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에 우리의 일차적 과제는, 자연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데 있다. 현대에는 자연미의 원리를, 예술과 교육에서 찾고 삶을 구하는 사람은 매우 드물다. 이에 분리된 삶으로 나뉜 서로 다른 분야의 영역과 장르는,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자연으로 돌아가라는 루소(Jean Jacques Rousseau)를 지나 르네상스의 다 빈치(Leonardo Da Vinci)를 거쳐 다윈주의의 진화론과 종의 기원을 만날 때, 자연이 함께 할 수 있다. 따라서 자연을 알아가는 과정에서, 고전과 실체로서의 재생과 부활을 통해 하나의 영속적인 생명으로 이어질 것이다. 이처럼 자연의 침묵으로부터 우리의 변화를 주시하면, 자연을 사랑하게 되어 보다 건강한 미래를 낳게 된다. 더불어 자연미술교육을 바탕으로 환경문제가 극복되길 바란다. Abstract Developing Programs for Nature Art Education - Focus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 Kim, Hyo Jung Major in Fine Art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suk University (Directed by prof. Seo, Dong Suk) As a result of industrialization in the 18th century, and war and revolution in the 20th century, environmental pollution has been exacerbated and various problems have arisen. Rachel Carson wrote a book that argues that environmental issues caused by modern civilization depleted natural diversity and the nature is silent even during the spring. Warning that technology fervor destroyed our life and threatens human existence, Silent Spring, published in 1962, rewrote the history of human environment and received worldwide attention. Environmental issues and nature brought change to worldview. As the attention to worsening environment increases worldwide, natural sentiment became more important than rational discussion. Despite the end of environment at the end of the 20th century, with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a new horizon opened up toward environment. Modern art and education that has been extended from modernist worldview has been developed based on methodology of historical background and individual capacity, aiming for human growth. However, at this time tha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nature, Korean education has been focused on talent training based on creativity and character, and art education on balanced development of reason and emotion through visual expression. Therefore, a new discussion on national education became necessary regarding nature that embraces human and nature. As a result of discussing important values of nature by linking art and education, it became apparent that art and education focused on environment arose. Environment art and education derived from this problem was shown limitedly as part of art that aims at differentiation and education for specialization. Despite the importance of art and education from the naturalistic point of view, it still seems limited to certain areas because of the prejudice that nature is a difficult subject and limited to specialized knowledge. However, nature is still important even after modern civilization. So in reality, because art education is bound to be very limited nature absolutely important. Art and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requires pure naturalism and more effort will be made to understand the overall change and current. Research shows that exploration in different fields and areas can be expressed in the form of nature. Likewise, interpretation of nature based on important values follows demand of the new era and includes potential of the future.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n art educa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author conducted a study on ‘nature and education of nature for students through art’. In conclusion, academy that forms basis of education and knowledge as foundation of academy, expanded from the 16th century reductionism. Nature art helps recognize nature in order to understand art better in the process of pluralism and nature education to understand education better. Therefore, nature art education defines nature for art education theoretically. Art, education, government, and human must focus on ‘life for nature’ rather than simply understanding it. Therefore, our primary task is to understand nature. In modern society, very few people seek principles of natural beauty in art and education. Nature can accompany life when we go back to Rousseau’s argument to return to nature, Da Vinci in renaissance, and the origin of species by Darwinism. Therefore,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nature, recreation and resurrection will lead to eternal life. Watching our change in silence of nature can bring more healthy future by loving nature. In addition, the author wishes that nature art education will help overcome environmental issues.

      • GaN계 광소자의 etch-induced damage의 제거 및 특성분석

        김효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자동차, 항공공학, 환경, 간접조명, 일반조명등에 응용할 수 있는 고온, 고출력을 위한 GaN계 전자기기의 개발에 많은 흥미를 보이고 있다. 특히, 3-5족 질화물계 반도체의 경우 넓은 band Gap과 높은 열전도도 등의 특별한 특성 때문에 Light Emitting Diode(LED)나 Laser Diode(LD)같은 광소자에 매우 매력적인 물질이다. 이런 광소자의 dry etching기술은 GaN의 화학적인 안정성 때문에 소자 제작 시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dry etching 특성상 공정 중에 소자의 특성을 감소시키는 etch-induced damage가 생성된다. damage가 형성되고 나면 이는 소자에서 저항을 증가시키는 결함으로 존재할 것이므로 소자의 특성을 감소시킬 것으로 여겨진다. 그래서 GaN계 광소자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etch-induced damage의 제거가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etching공정 진행 후의 GaN의 etch-induced damage에 대한 구조분석과 성분분석, 그리고 Blue LED소자를 이용하여 etch-induced damage의 형성 전, 후의 전기적 특성 및 광학적 특성의 변화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Transmission Line Measurement (TLM)를 이용하여 etch-induced damage 형성 전, 후의 contact특성, 그리고 etch-induced damage를 wet cleaning 공정을 이용하여 damage제거 후 소자의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GaN에 etch-induced damage를 형성하여 투과전자현미경을 통해 damage구조를 분석하였으며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XPS)를 이용하여 damage의 성분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damage가 layer로 10nm정도로 비정질 상태로 존재하며 에칭가스에 의해 Cl이 40~50% 함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Blue LED용 에피를 이용하여 damage가 존재하는 샘플과 damage가 존재하지 않는 LED를 형성하고 V-I 및 광도 특성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contact resistance도 측정하였다. 결과 damage는 소자에서 저항을 증가시키는 결함으로 존재함으로써 소자의 전기적 특성뿐만 아니라 광학적 특성 또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그래서 NaOH계 용액을 이용하여 damage layer 제거공정을 진행하였으며 damage의 제거 후 소자의 전기적특성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수학 영재아의 수학 문제해결력 발달 유형 분석

        김효정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우리나라는 우수한 인재의 발굴, 육성 및 개인의 자아실현, 우수한 인력양성을 통한 국가 사회의 발전을 위해 영재학교, 영재학급, 영재교육원과 같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서 영재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A 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에 소속된 수학심화과정 15명의 선발시험과 집중교육 후 치른 평가시험을 자료로 삼아 이 학생들에게서 학습 후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우선 선발시험과 1년의 교육기간 동안 치른 평가시험을 통해 4차례의 성적의 변화를 살펴보고, 선발된 후 수학영재아의 문제해결능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여러 학자들이 정의한 수학영재아의 행동특성을 학생 개개인에게서 찾아보고 선발시험 때와 학습 후의 변화를 분석해 보고 또 어떻게 발달되고 있는지 유형을 살펴보았다.

      • 초등학생의 놀이중심 체육수업 참여를 통한 사회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효정 한국체육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요약 초등학생의 놀이중심 체육수업 참여를 통한 사회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효정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생활체육전공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놀이중심 체육수업 참여를 통한 사회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최근 인기가 높아지고 있는 놀이중심 체육활동을 바탕으로 초등학생들의 사회성과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체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초등학교 정규 체육 교육과정의 체육활동에서 놀이중심 교육이 활성화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특별시 소재 S.J.초등학교에서 정규교육과정의 체육수업에서 놀이중심의 체육수업을 경험해 본 초등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이후 비확률표본추출방법 가운데 편의표본추출방법을 사용하여 271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이를 토대로 SPSS Version 23.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놀이중심 체육수업을 통한 집단 간 사회성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학년에서 6학년이 3학년보다 협동성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놀이중심 체육수업을 통한 집단 간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성별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자신감과 과제난이도 선호가 유의미하게 높았고, 학년에서 6학년이 3학년보다 자신감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놀이중심 체육수업을 통한 사회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사회성의 협동성과 근면성이 자신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성의 협동성, 책임성과 근면성이 자기조절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성의 협동성과 근면성은 과제난이도를 높게 선호하는 성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oci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Play-Based Physical Education Class Kim, Hyo Jeong Major in Life-Time Sport Graduate School of Social Physical Education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oci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play-bas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physical education programs that can enhance the sociality and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recent growing popularity of play-bas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to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play-based educ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the regular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elected trainees who S. J.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who had experienced play-bas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the regular education curriculum as a population, and 271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by sampling convenience samples from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Based on thi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variabl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Version 23.0, and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obtained.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s in sociality between groups through play-bas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it was found that sixth graders in grade perceived higher cooperation than third graders, and as a result of verifying differences in self-efficacy among groups through play-bas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male students in gender were significantly more confident and prefer task difficulty than female students, and sixth graders were significantly more confident than third graders. Second,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impact of sociality on self-efficacy through play-bas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showed that sociality's cooperation and diligenc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onfident, and cooperation and diligence and sense of responsibili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elf-regulatory ability, and sociality's cooperation and diligenc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tendency to prefer task difficulty.

      • 대상관계이론과 배려윤리에 기초한 인성교육 연구

        김효정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페어베언의 대상관계이론과 닐 나딩스의 배려윤리를 기반으로 한 인성교육에 대하여 재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상관계이론과 배려윤리에서 공통적으로 말하는 관계성에 기초하여 각각의 이론을 살펴본 후 인성교육적으로 접근하는 문헌연구이다. 페어베언의 대상관계이론은 대상과 관계를 형성하려고 하는 것을 인간의 본능적 욕구로 간주한다. 생애초기에 가졌던 주요 양육자와의 관계경험이 개인의 성격 형성과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나타내는 이론이다. 닐 나딩스의 배려윤리는 윤리적 생활에 있어서 관계성을 중시했다. 어머니와 자녀의 관계도 배려의 관계로서 서로 배려 받고 배려하는 상호보완적인 관계가 될 때 함께 성장할 수 있다. 인간의 삶은 항상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다고 볼 때 그 관계를 잘 맺지 못하면 여러 가지 부적응 현상이 나타난다. 현재 학교 현장에서도 집단 따돌림, 학교 폭력, 가출 등과 같은 학교 부적응이나 심한 경우 자살까지로 이어지는 경우가 빈번해지고 있다. 그래서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인성교육을 이제까지 해왔던 윤리·도덕적인 교육방식이 아니라 타인과의 관계 맺기에 초점을 둔 인성교육으로 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 본 논문에서는 대상관계이론과 배려윤리를 각각 적용한 인성교육을 살펴보고 그 한계점을 먼저 논의해 보았다. 그 후 두 이론을 상호 보완한 인성교육을 대인관계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타인과의 성숙한 관계를 맺기 위한 인성교육의 내용과 방법 등을 살펴보고 인성교육은 부모와 교사, 사회가 함께 유기적으로 연결된 배려공동체가 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reform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Object relations theory of Fairbairn and Ethics of care of Nel Noddings. This is a literature research that approaches character education after examing relations that both Object relations theory and Ethics of care commonly describe. Object relations theory of Fairbairn considers forming relations with the objects as human being's instinctive desire. This is a theory that describes how the relations with parents at the beginning of one's life affect formation of one's characteristic and the relationship with other people. Nel nodding's Ethics of care emphasizes that the relationships in the life of Ethics. As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the kids is also relationship of considerations, they can grow together when they care about each other. There exists maladjustments when the relationship is not proper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 life of human is composed of various relationships. Currently, one can often see maladoptions from school such as bullying, school violence, running away from home, and it even results in killing oneself. Therefore, one needs to change character education from Ethical/moral education to the education based on forming relationship with other people. In this paper, it examines character education that applied both Object relations theory and Ethics of care and also examines the limitations of them. This paper also scopes on character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ersonal relations. It examines contents and means of character education in order to form mature relationships with other people and suggests that character education needs to be a considerate community where the parents, the teachers, and the society are connected organically.

      • 예방적 차원의 집단표현예술치료가 초등학교 입학 초기 아동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효정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입학 초기 아동을 대상으로 예방적 차원의 집단표현예술치료를 실시하여 아동의 학교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새로운 학교 환경 및 생활 적응을 돕는 것에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P시의 C초등학교 1학년 2개 반 아동 50명으로 실험집단은 26명을 배치하고, 사전 검사를 실시하여 실험집단과 동질성이 검증된 아동 24명을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비교집단을 대상으로 사전검사 실시 후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매 회기 40분씩 주 2회, 총 12회기에 걸쳐 집단표현예술치료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최창진(2002)의 학교 적응 척도와 임미은(2011)의 학교 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통계적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2(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통계 검증에서 검사지 반응 분석의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집단의 회기 내용 및 담임교사의 보고를 참고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방적 차원의 집단표현예술치료는 초등학교 입학 초기 아동의 학교 적응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은 교사, 수업, 교우, 규칙 적응 하위 요인에서는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적응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환경 적응 하위 요인에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보다 평균점수가 상승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예방적 차원의 집단표현예술치료는 초등학교 입학 초기 아동의 학교 스트레스의 하위 요인인 교사, 친구, 학교생활 영역에서 실험집단 평균점수가 전체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비교집단과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예방적 차원의 집단표현예술치료가 초등학교 입학 초기 아동의 학교 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에 아동이 실제 많은 변화를 경험하는 학교 현장에서 담임교사와의 협력적 관계로 아동에 대한 이해 및 지속적인 지도를 도모하고, 예방적 차원의 집단표현예술치료가 학교 적응력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활용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둘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reduce school stress for first grade students and assist them in adjusting to a new school environment and life by using group expressive arts therapy as a preventive approach. The study sample consists of fifty students from two classes who were in their first grade at C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P city. After school adjustment and school stress tests were administered and evaluated, thes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similar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with 26 children and a control group with 24 childre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welve sessions of group expressive arts therapy, which took place twice a week for 40 minutes. Both groups were given pre-test before the art therapy sessions began. This study used a quantitative research approach. The pre-test and post-test us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group expressive arts therapy were Choi Chang Jin’s school adjustment measurement (2002) and Im Mi Eun’s school stress measurement (2011). An IBM SPSS Statistics 22(SPSS) program was used to conduct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program. A t-test was carried out to analyze each group’s pre-test and post-test scores. Researchers also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session progress and reports from teachers in order to make up for possible limits in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more school adjustment 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ub-factors, such as teacher, class, rule, peers of school adjustment. Group expressive arts therapy as a preventive approach failed to caus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on the sub-factors school adjustment of school environment. However,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mean scores from pre-test to post-test.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reduction in the mean school stress sub-factors such as teacher, peers, school life scores from pre-test to post-test. However, group expressive arts therapy as a preventive approach failed to caus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to the control group. The most significant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group expressive arts therapy as a preventive approach had a favorable effect the school adjustment of the first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se findings, group expressive arts therapy as a preventive approach allowed for better school adjustment ability than seen in the control group. The children's understanding and continuous guidance throughout the therapy imply that a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ir homeroom teacher is also necessary for in many changes that occurred.

      • 문화정책에 따른 무용예술 활성화에 관한 연구

        김효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2005년 대학원을 다니던 중 국립발레단의 기획팀에 들어가게 되면서 문화정책에 대한 관심으로 이와 같은 주제로 논문을 쓰게 되었다. 문화정책을 통해 본 무용예술의 활성화를 연구하고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또한 목적은 한국의 공연예술, 그 중에서도 무용의 발전과정에서 문화정책이 갖는 역사적 의의를 규명하기 위한 것으로 문화정책의 변천을 통해 무용예술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아보는데 두었다. 연구를 위하여 문화정책의 변천을 해방이후 최초의 공화국이 형성된 제1공화국부터 제6공화국까지를 조사, 연구하였으며 그에 따른 무용예술계의 변화를 50년대부터 현재까지를 10년 단위로 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무용예술은 문화정책 속에서 발전되어온 것이 사실이다. 문화정책의 변화 속에 무용의 장르화와 전문화가 이루어졌으며, 대학을 비롯한 예중, 예고 등 전문적인 교육시설이 생겨났고, 직업무용단들이 생겨나게 되었다. 또한 국가의 중요 행사들과 함께 무용의 영향력은 커졌으며, 무용을 바라보는 대중들의 시각도 변화하였다. 그리고 처음에는 열악한 환경이었으나 그러한 여건 속에서 초기 무용예술은 무용인들이 자신의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필요로 하는 것들은 정부에 요구하여, 무용예술을 자리 잡게 하였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현재 무용예술계는 정책의 발전과 지원에 반하여 그것을 100% 활용하지는 못하였다는 점도 엿볼 수 있었다. 나름대로 정책은 순수예술 전 분야에 걸쳐 발전을 목표로 많은 변화와 시책들을 내놓았다고 보여 진다. 그러나 무용행정 전문인의 부재로 적시적소에 정말 무용예술이 필요로 하는 정책이 나오지 못했고 또한 그러한 상황에서 우리 무용예술분야의 전문인들은 좀더 능동적인 자세로 정책을 우리에게 실질적인 방향에 맞추어질 수 있도록 바꾸려는 노력과 함께 이를 적극 활용했어야 하는데 그러한 노력이 부족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에 우리는 무용행정 전문가의 양성으로 우리 무용계를 대변하고 우리에게 필요한 부분을 피력하고 정책적으로 끌어낼 수 있는 적극적 자세를 가져야 할 것이다. 또한 무용교육 부문의 투자로 대중들이 무용의 사회적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람의 대중화를 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방안은 무용의 대중성과 더불어 무용예술인의 고용안정 문제와도 직결된다고 할 수 있다. 더불어 무용예술의 지원방식을 합리화 시키고, 데이터 베이스의 구축으로 향후 여러 변화에 따른 적극적인 문화예술정책의 실현과 그에 따른 발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 판단된다. In 2005 while I was attending the Graduate School, I entered the Planning Department of Korea National Ballet Company. With interest in the cultural policy, I came to write a thesis on such a topic. This study started with an aim to examine and probe the ways of developing and activating dance art through the policy of culture. Another purpose was to examine the historical meaning of cultural policy in the course of dance development. I studied how the changes of cultural policies have influenced the dance art of Korea. The changes of cultural policies have been studied according to each decade starting from the first republic of Korea to the 6th. I have ob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s. It is true that dance art has developed in the cultural policy. Through the changes in cultural policy, dance has become specific in genre and professional, not to mention the foundation of formal educational institutions like colleges, as well as art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Professional dancing groups have also been set up. Along with the major events of the nation, influence of dance has become greater, and the attitude of the public toward dancing has changed, too. Dancers of the early period made efforts to secure their realm despite inferior conditions. They also asked for the government what they had needed, building a foundation for art dance. However, contemporary dance art has failed to take full advantage of the development of the policy and its support. It seems that numerous changes and policies have been provided on the pure art realm. However, due to the absence of professional dance administrators, policies that dance art needed have failed to be given timely. At the same time, specialists in the dance art had to be more positive, trying to substantially change the policies. In this regard, they seem rather lacking in such efforts. For this reason, we should cultivate dance administrators that will represent the circle of Korean dance and express what we need, leading them into policies. Also, with the investment in the sector of dance education, we have to help the public recognize the social importance of dance art and popularize the dance audience. Such methods will be directly related with the stabilization of employment of dance artists along with the popularization of dance. It is esteemed that the ways of supporting the dance art should be rationalized and that the data base of dance art should be constructed for the positive realization of the policy of art culture, as well as its subsequent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