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재가노인돌봄서비스 품질 척도개발을 통한 품질수준 제고 방안에 관한연구 : 산동성을 중심으로

        염사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evel of service quality well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ent community care for the elderly in China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care for the elderly in China based on thi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first reviewed on the concept, development stage, operation status, and problems of the community care for the elderly through a literature review. In addition, a scale for measuring the quality of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in China was developed and quality level was measured. For data collection for the study, Shandong Province was selected as the study area,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elderly over 60 years of age who received home care services in Shandong Province communities. For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internal consistency analysis, valid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5 and AMOS 24.0 statistical programs. The main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inally developed a quality scale of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in Chinese communities through various and objective analysis processes using in-depth interviews and statistical programs with experts from both Korea and China. Second, the results of this study's analysis using the developed quality measurement scale confirmed that the current quality level of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in China is still low. In particular, problems such as unclear targets of service use, identification of service contents,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of home welfare service centers, training of professional manpower, vocational training for nursing care workers, cooperation with other institutions in the local community, and indiscriminate treatment to the elderly should be identified and improved quick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developed a scale that measures according to the home care for the elderly that does not exist in China. In ad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consideration of the points that service centers can well grasp the degree of resolution of service users and their problems and the direction of service improvement by using the quality scale of home care for the elderly developed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Finally, it is also significant in that the quality of service provided by home care service centers can be maintained and managed above a certain level through the quality scale of home care for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developed in this study. The improvement measures derived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riteria for selecting subjects for home care for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It is necessary for all home care centers to objectify the categories of the elderly subject to protection by subdividing the criteria for selecting the target elderly and classifying them according to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Second, the environment of the community home care service center for the elderly, the training of professional manpower, and vocational training. The government and related departments for problems such as the issuance of correlation certificates need to be integrated, input and support, and various policy alternatives. Third, in order to improve employee attitudes and job literacy, service centers should establish a service quality supervision and evaluation system by establishing stipulated regulations from the government side and implementing unified service standards and management systems. Fourth,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contents of the community home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services and programs that meet the personal needs of the elderly, not unify. Fifth, community connectivity needs to be further strengthened in order to fully utilize and integrate potential welfare resources distributed in the region so that they can be mobilized at any time. 본 연구는 중국 현행 지역사회 재가노인돌봄서비스의 실태분석을 통해 서비스품질수준을 잘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중국 재가노인돌봄서비스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문헌고찰을 통해 지역사회 재가노인돌봄서비스의 개념, 발전단계, 운영현황과 문제점에 대하여 이론적 배경을 검토하였다. 또한 중국 재가노인돌봄서비스 품질측정에 대한 척도를 개발하여 품질수준 측정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산동성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여 산동성 지역사회 재가노인돌봄서비스를 받은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과 AMOS 24.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내적일치도 분석, 타당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한중양국 전문가심층면담 및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각적, 객관적인 분석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중국 지역사회 재가노인돌봄서비스 품질척도를 개발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개발된 품질측정척도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현행 중국 재가노인돌봄서비스의 품질수준이 아직 낮은 편인으로 확인하였다. 특히 서비스의 이용대상 불명확, 서비스 내용의 동일화, 재가복지서비스센터의 내·외부 환경, 전문성 인력양성, 요양보호사에 대한 직업훈련, 지역사회의 다른 기관과 협력 그리고 노인에게 무차별 대우 등 문제점을 확인하였고 우선적으로 빠르게 개선해야 한다. 본 연구는 중국에서 기존에 존재하지 않는 재가노인돌봄서비스에 맞게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이용자 입장에서 개발된 재가노인돌봄서비스 품질척도를 활용하여 서비스센터가 서비스이용자와 그들이 가진 문제점의 해결정도 및 서비스 개선방향을 잘 파악할 수 있으므로, 이런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개발된 지역사회 재가노인돌봄서비스 품질척도를 통해 재가복지서비스센터들이 제공하는 서비스품질을 일정수준 이상으로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에 따라 도출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재가노인돌봄서비스 대상자 선정기준의 개선이 필요하다. 모든 재가노인복지세터가 대상노인 선정기준을 세분화하여 노인의 건강상태에 따라 분류하여 시설별 보호 대상노인의 범주를 객관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역사회 재가노인복지서비스센터의 환경, 전문 인력의 양성과 및 직업훈련. 상관 자격증의 발급 등 문제점에 대한 정부와 관련 부서는 통합하여 투입 및 지원하고 다양한 정책적인 대안이 필요하다. 셋째, 직원의 태도, 직업소양 등을 개선하기 위해 서비스센터가 자체적인 감사평가방법을 탐색하여 정부측면에서도 명문화된 규정을 마련하고 통일된 서비스표준과 관리제도를 실시하여 서비스품질의 감독 및 평가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넷째, 지역사회 재가노인돌봄서비스의 내용이 확대화가 필요하다. 단일화가 아니라 노인들의 개인적 수요에 맞는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다양화해야 한다. 다섯째, 지역에 분산되어 있는 잠재적 복지자원을 충분히 이용하고 통합하여 언제든지 동원할 수 있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연계성은 더 강화가 필요하다.

      • 노인의 재가복지서비스만족도와 생활만족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이가영 동명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노인의 재가복지서비스만족도와 생활만족도는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규명하여 노인의 재가복지서비스만족도와 생활만족도를 높이는데 필요한 탐구의 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필요성, 개념, 내용, 재가복지서비스만족도와 생활만족도를 알아보았다. 연구의 조사대상은 부산광역시 남구와 수영구 관할 지역에서 재가노인복지서비스를 이용하는 220명의 노인으로 하였다. 조사방법은 예비조사를 먼저 실시하고 본 조사는 설문지를 통하여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220부를 배부하여 그중 회수된 설문지 203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재가노인복지서비스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만족도가 6점 만점에 평균 5.15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들이 재가복지서비스만족도를 높게 느끼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노인의 일반적 특성과 재가복지서비스만족도 관계를 분석한 결과 연령, 배우자관계, 경제상태, 주거형태, 동거형태 등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동거형태에서는 독립변수에서 기준이 되는 혼자보다 손자, 손녀와 함께 사는 것이 재가복지서비스 만족에 영향을 더 크게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1에서 노인의 일반적 특성은 노인의 재가복지서비스만족도와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가? 에 대한 분석결과 노인의 연령, 배우자관계, 경제상태, 주거형태, 동거형태 등에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생활만족도가 5점 만점에 평균 3.12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생활만족도 9개 질문 중 “죽음이 오더라도 그때까지 죽음을 준비하고 생활 하겠다”라는 문항이 평균 5점 만점에 4.06으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넷째, 노인의 일반적 특성과 생활만족도 관계를 분석한 결과 종속변수인 생활만족도에 독립변수가 성별일 때 T=1.323, P=.251이고 연령일 때 F=.112, P=.894이고 학력일 때 F=2.599, P=.077이고 배우자유무일 때 T=4.239, P=.041로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2에서 노인의 일반적 특성은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가? 에 대한 분석결과 노인의 일반적 특성과 생활만족도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노인의 재가복지서비스만족도와 노인의 생활만족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가사지원서비스만족도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가사서비스의 하위유형 중에서 청소서비스, 세탁서비스, 주변정리서비스, 이‧미용서비스, 밥‧밑반찬서비스 등의 만족도가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가사지원서비스 만족도가 높을 때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연구문제 3에서 노인의 재가복지서비스만족도와 노인의 생활만족도는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가? 에 대한 분석결과 노인의 재가복지서비스만족도 중 가사서비스만족도가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재가복지서비스만족도와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적 학문적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국가와 지역사회는 노인의 재가복지서비스 시설을 확충하고 서비스 질을 꾸준히 향상시켜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높여 나가야 할 뿐만 아니라 복지예산 확충과 관계자들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재가노인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서비스 기술 수준을 높여나가야 할 것이다. 아울러 재가노인복지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계속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 재가노인복지의 증진을 위한 정부 역할에 관한 연구

        최효량 중앙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20세기를 걸쳐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의료기술의 발달로 국민수명의 연장과 함께 노인인구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미 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으며, 이러한 고령현상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었으며, 노인복지정책에 대한 중요성이 일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는 1980년대 후반부터 간호사업, 주간보호사업, 단기보호사업 등과 같은 재가노인복지서비스를 시행해 왔지만, 그 역사가 짧고 사업체계가 제대로 정립되지 않아 생활보호대상노인을 중심으로 정책을 실시하고 있으며, 모든 노인을 대상으로 증가하는 욕구에 상응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제공되는 서비스가 비전문적이고 단순생계보호수분에 머물고 있어 효율성 및 효과성에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인 가정봉사원 파견서비스, 주간보호서비스, 단기보호서비스, 방문의료서비스를 중심으로 이 서비스의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서비스 대상, 서비스 내용, 전달체계, 재정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 대상이 제한적이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재가노인복지서비스는 주로 국민기초생활보호대상 노인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일반 저소득층 노인들을 위한 프로그램이 미약한 실정이다. 또한 재가서비스에 대한 홍보부족, 대상자선별지정방식, 서비스 수혜에 대한 노인들의 소극성과 편견도 문제점이다. 둘째, 서비스 내용의 단편적․일률적이다. 현재 제공되는 재가복지서비스의 내용을 보면 주로 간단한 우애 서비스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나라 노인들이 가장 희망하는 기본적인 욕구는 건강관리에 관련된 서비스로 나타나고 있으며, 현재 제공되고 있는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중 간병이나 수발 등의 방문의료서비스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셋째, 전달체계의 분산으로 인한 수혜자의 접근성이 떨어지는데 있다.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전달체계가 수해자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고 행정기관이나 전문인력의 편의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지역 노인들의 요구하는 의료․복지 서비스의 연계성이 부족하여 노인들의 서비스 접근성이 떨어진다. 넷째, 재가노인을 위한 정부의 예산부족을 들 수 있다. 재가노인복지서비스는 정부재정지원의 비약적인 확충 없이는 재가노인복지서비스 향상을 위한 어떠한 노력도 실효를 거두기 어렵다. 다섯째, 지역사회와의 연계성 부족이다. 재가노인복지서비스는 지역사회와의 연계가 무엇보다 중요하지만 현재 거의 대부분의 재가노인복지 시설이나 기관에 있어서 홍보사업이 매우 소극적이며, 재가노인복지서비스에 관한 일반노인 및 수발 가족의 인지도와 이용도가 매우 낮은 편이다. 따라서 재가복지 서비스가 가지고 있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첫째, 대상 선정에 있어서, 지역사회 전체 노인에게 확대․실시하고 중산층 이상의 서비스 이용자에게는 비용을 유료나 실비로 의료․복지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재가노인서비스를 확중해야 할 것이다. 둘째, 단편적인 서비스 내용을 보완하고, 노인의 욕구가 가장 높은 건강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여야 한다. 즉, 가정방문간호사업을 적극 개발하여 만성질환,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을 위한 의료서비스의 지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전문인력을 확보하기 위한 교육적․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재가노인을 위한 간호서비스는 초기 단계에 있으며,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나 정착된다면 재가노인의 가정을 방문하여 간호서비스를 제공하여 문제를 해결하는데 바람직한 역할을 할 것이다. 셋째, 분산된 재가복지서비스의 전달체계를 수해자 중심으로 전화하고, 하나고 통일할 필요가 있으며, 노인들이 이용하기 편리한 장소와 시설에서 제공하도록 전달체계를 개선해야 할 것이다. 넷째, 재가복지서비스의 재정에 있어서는, 정부 재정의 일정한 확충 속에서 그 부족분을 충당하기 위해 민간부문 및 지역사회의 동참을 유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되어야 한다. 다섯째, 재가복지서비스의 지역연계성 부족을 위해서는 지역주민의 수준에 맞는 홍보전략을 개발하여야 한다. 아직은 재가노인복지서비스가 시작단계에 있어 미흡한 점이 많지만, 시설보호보다는 재가노인들을 위한 가정보호서비스와 지역사회 이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노인들의 시설입소를 예방하고 노인들의 가족․ 친지․이웃들과 더불어 친숙한 주거환경에서 계속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사회와 심리적인 안정을 유지하며 만족스러운 노후생활을 영위 할 수 있을 것이다.

      • 재가노인과 유료시설노인의 부양서비스에 따른 생활만족도 비교

        서명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주목적은 가족과 함께 살고 있는 재가노인과 유료노인복지시설에 입주하여 생활하고 있는 시설노인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부양형태에 따른 부양서비스의 차이와 노인의 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특히 재가노인과 시설노인의 사회인구학적인 특징과 경제적 만족도를 통제한 후 부양형태에 따른 부양서비스가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손자녀가 있는 재가노인 106명과 시설노인 9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노인의 일상생활 활동능력은 Choi(1992), 김윤정(1993), 김소희(1994)를 참고로 하여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노인이 제공받고 있는 부양서비스는 최혜경(1988)의 부양서비스 척도를 참고로 하여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노인의 주관적 생활만족도 척도는 윤진(1982)의 생활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서는 상관관계, t-검증, 중다회귀분석, 다단계 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Cronbach's Alpha로써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가노인과 시설노인의 차이비교에서는 재가노인과 시설노인은 교육수준과 주관적 건강수준은 차이가 없었고, 연령과 경제적인 만족도는 시설노인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일상생활 활동능력에서는 식사 및 개인위생과 배변 및 목욕의 기능적인 일상생활 활동능력은 시설노인이 더 높게 나타났고, 전화사용하기와 외출하기 등의 도구적 일상생활 활동능력은 차이가 없었다. 노인이 제공받고 있는 부양서비스에서는 재가노인은 정서적인 부양서비스를 더 많이 제공받고 있었으며, 시설노인은 도구적인 부양서비스를 더 많이 제공받고 있어서 부양형태에 따라서 노인이 제공받는 부양서비스는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노인의 생활만족도에서 긍정적 생활지각은 두 집단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부정적 생활지각에서는 재가노인들이 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재가노인들이 가족으로부터 부양서비스를 제공받을 때 심리적인 부담이나 스트레스로서 부정적인 생활지각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재가노인의 부양서비스와 생활만족도에서 재가노인들은 도구적인 부양서비스보다 정서적인 부양서비스를 더 많이 제공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재가노인들이 가족으로부터 제공받는 정서적 부양서비스는 긍정적 생활지각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도구적 부양서비스가 적을 때 부정적 생활지각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설노인의 부양서비스와 생활만족도에서 시설노인들은 재가노인에 비해서 규칙적이고 체계적인 도구적 부양서비스를 더 많이 제공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설노인의 생활만족도에서 긍정적 생활지각과 부정적 생활지각 모두에서 부양서비스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단지 교육수준과 경제적 만족도가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먼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긍정적 생활지각은 높으며, 부정적 생활지각은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노인들이 스스로 심리적 특성(우울감, 가치관, 자아개념, 존중감)을 잘 조절하며, 또한 노화에 의한 상실감도 잘 극복할 수 있는 심리적인 능력이 있을 때 생활만족도가 더 높아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 경제적 만족도가 높은 노인들일수록 부정적 생활지각이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경제적으로 만족도가 높은 노인들일수록 시설에 입주하기 전의 가족부양의 생활환경과 비교해서 시설의 생활환경의 변화가 경제적으로 불만족한 노인들보다 더 큰 것으로 상대적인 상실감 때문인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재가노인은 가족이나 자녀로부터 부양서비스를 제공받으며 심리적 부담감을 느끼고 있으며, 시설노인들은 시설에 입주해서 식사, 의료, 외출동행 서비스와 같은 도구적 부양서비스를 제공받고 있지만 가족이나 친구와 떨어져서 생활하는 것에 대해서 상실감을 느끼며 생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life satisfaction with respect to the difference of supporting type and supporting service between the aged living at home with family and those in paid welfare facilities. In particular, after controling the satisfaction degree of economy for the aged living at home and in paid welfare facilities, it was focused in the satisfaction degree of the aged regarding the supporting service base on supporting types. In this study, the group which was consisted of 201 the aged was surveyed 106 the aged of them have lived with their own families and the rest of them 95 the aged were in paid welfare facilities. Daily living activity was measured by the revised measurement from the reference written by Choi(1992), Kim Yun-Jung(1993), and Kim S0-Hee(1994). The supporting service furnished to the aged was used on the basic of the revised measurement written by Chio Hea-Kyoung(1998)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was made by those of Yun Jin(1982). The statistic procedure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frequency, t-test, Prea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In comparing supporting type, there was no difference education level and subjective health, but the aged in paid welfare facilities showed higher in the satisfaction degree of economy. The aged in paid welfare facilities had higher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they had no difference in 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 In supporting service, the aged at home had higher emotional supporting service but the aged in paid welfare facilities had higher instrumental supporting service. In life satisfaction, there were no difference in positive living perception, but the aged living at home had higher negative living perception. Second, In case of the aged living at home, they were supported by their own family economical support more than instrumental support, and those positive living perception was made no influence on emotional support. But low instrumental support significantly was related to the negative living perception. Third, In the case of the aged in paid welfare facilities, they were supported supporting service much regularly and systemically, but those life satisfaction didn't make influence on all supporting service. The findings from the present study in which the relations between supporting service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education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life satisfaction. The aged having higher educational level was related to higher positive living perception and lower negative living perception.

      • 노인의 재가복지서비스 이용 결정요인 : 가사지원서비스를 중심으로

        최종식 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aw data of an investigation b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into the state of elderly people's lives and welfare needs in 2004(Jeong Gyeong-hee, et. al., 2005) in a bid to find out what made elderly people utilize home care services. It's basically meant to make some suggestions about relevant policy setting and the practice of home care services. Th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by 40 professional investigators that were trained b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ccording to the lists of the institute. The investigators were divided into 10 teams that respectively included three investigators and one instructor. They visited every household in the selected regions to interview the selected subjects who were senior citizens. If there were two or more elderly people in a household, all of them were investigated. Out of the selected 3,278 elderly people, the direct responses from 3,029 elderly people(92.4%) were analyz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lderly people who used home care services got a mean of 12.43 in ADL, and those who didn't get a mean of 12.10. The former scored higher than the latter. In terms of IADL, the recipients of home care services got a mean of 11.15, and the non-recipients got a mean of 10.62. The former scored higher than the latter, and the gap between the two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01). Second, social support referred to the frequency of getting in touch with adult children. A high score in social support indicated a larger degree of social support. The recipients and non-recipients got a mean of 35.89 and 41.87 respectively, which showed that the latter received more social support. The gap between the two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01). Third, among predisposing factors involving residential area, gender, age and academic background, age was found as a determinant tha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use of home care services. Fourth, out of enabling factors including social support, household income and awareness of home care services, awareness of home care services was identified as a determinant that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use of home care services. Fifth, in the event of need factors involving ADL, IADL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IADL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use of home care services. Finally, age and IADL, which were respectively one of predisposing factors and one of need factors, exercised an influence on the use of home care services when an inclusive model was employed by connecting all the predisposing, enabling and need factor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Wald test statistics of the variables, whether they used home care services(W=44.77) w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followed by IADL(W=9.41) and age(W=3.15).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followings should be noted in relation to the elderly's use of home care services. First, who are eligible for home care services should clearly be determined. That is a very important factor to affect the efficiency of home care services that should be provided to needy clients by using limited resources. Most advanced countries attach the most importance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disability and the extent of disability as criteria to select recipients of home care services, and the second most crucial criterion was social support, followed by income level measured by means test. In our country, however, stereotyped selection standards are applied, such as the amount of income and criteria of responsible caregiver that are approved or selected by the elderly welfare law and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law. In fact, income level may be one of criteria to select recipients of home care services, and that is one of primary prioritizing factors. But whether one is a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 is not a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Although a limited number of people are eligible for home care services due to a limited range of resources, elderly people who have difficulties in ADL and IADL and are devoid of social support should be selected first of all, instead of regarding just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s as eligible. In other words, ADL, IADL and disability should be viewed as the most vital criteria that take precedence over anything else, and in the event of elderly people with similar degree of disabilities, those who aren't provided social support from families or relatives should be more eligible. Second, the object of social welfare is to step up the redistribution of income among all the people to let them lead the best life. In the field of home care services, institutional policies are consequently necessary, which provides the phase-in services to ordinary elderly people including those from quasi-poor class as long as they are in want of the services. Third, the current national voucher project for the elderly just offers abstract evaluation indices that are just based on the level of independence and required assistance. So it's not easy to get an accurate grasp of in which part of life elderly people face difficulties, and a preparation of more precise, numerical evaluation indices that could make a more objective evaluation like Barthel scale is required to make a better selection of those who are eligible for home care services. 이연구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우리나라 노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2004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정경희 외, 2005)의 원자료를 이용하여 노인의 재가복지서비스 이용 결정요인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이용에 대한 합리적인 정책수립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 재가노인복지실천에 주는 함의를 도출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조사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설계한 조사표를 기초로 하여 연구진에 의해 사전에 훈련된 전문조사원 40명(조사원 3명과 지도원 1명으로 구성된 10개팀)에 의해서 실시되었다. 조사형식은 조사원이 사전에 표본추출된 조사지역의 모든 가구를 직접방문하여 조사대상자를 직접면접 조사하였다. 개인조사는 가구내에 살고있는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되었고 가구내에 2명 이상의 노인이 거주하는 경우 노인 모두에 대하여 조사가 실시되었다. 조사대상 3,278명의 노인중 본인의 응답을 받은 3,029명(92.4%)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급권 노인집단의 ADL 평균은 12.43으로 비수급권 노인집단의 평균 12.10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IADL의 경우 수급자 노인집단의 평균은 11.15, 비수급자(일반) 노인집단의 평균은 10.62으로 수급자 노인집단의 평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p<0.001)하였다. 둘째, 사회적 지지는 자녀 등과 접촉 및 연락빈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지지정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수급자 노인집단의 평균이 35.89, 비수급자 노인집단의 평균이 41.87으로 나타나 수급권노인 보다 비수급권노인이 사회적 지지를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p<0.001)하였다. 셋째, 소인성 요인(predisposing factors)인 거주지역, 성별, 연령, 교육수준 중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이용 결정요인을 살펴본 결과 연령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가능성 요인(enabling factors)인 사회적 지지, 가구소득, 재가복지서비스 인지(認知) 중 재가복지서비스 이용 결정요인을 살펴본 결과 재가복지서비스 인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욕구 요인(need factors)인 ADL, IADL, 주관적 건강상태 중 재가복지서비스 이용 결정요인을 살펴본 결과 IADL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소인성 요인, 가능성 요인, 욕구 요인을 모두 투입한 통합모델 결과 소인성 요인은 노인의 연령, 욕구 요인은 IADL이 노인의 재가복지서비스 이용 결정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변수간 영향력의 크기를 알아보기 위해 Wald 검정통계량을 비교한 결과 통제변수인 수급권여부(W=44.77)가 가장 영향력이 큰 변수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IADL(W=9.41)과 연령(W=3.15)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재가복지서비스 이용을 위해 다음의 몇 가지 사항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첫째, 재가복지서비스의 대상자을 명확히 하는 것은 한정된 자원으로 필요한 대상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서비스의 효율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선진국들의 대부분은 재가서비스 대상자를 선정하는 기준을 가장먼저 장애(disability)의 유무와 정도 그리고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 마지막으로 소득수준(means test)을 기초로 한다. 반면, 우리나라 재가복지서비스 정책은 노인복지법과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소득인정액과 부양의무자 기준을 근거하여 획일화된 선정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물론 재가복지서비스 대상자를 선정하는 데 소득수준도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고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기는 하지만,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권자라는 필요충분조건이 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재원의 한계로 인한 대상자를 선별적으로 한정해야 할 경우에도, 재가복지서비스 대상자는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수급권여부 보다는 일상생활수행능력(ADL, IADL)에 어려움이 있고 사회적 지지가 없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정되어야 한다. 즉, 재가복지서비스 이용에 있어 무엇보다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장애를 가장 중요한 평가기준으로 하고 비슷한 정도의 장애를 가지고 있다면 가족이나 친척 등으로부터 사회적 지지가 없는 노인이 우선적이어야 한다. 둘째, 사회복지제도는 항시적으로 소득의 재분배기능을 수행하여 전체 국민들이 최적의 삶을 영위하도록 하는 사회복지정책의 목표에 맞게 재가노인복지 정책도 점진적으로 차상위계층을 포함한 일반노인도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욕구가 있으면 제공하는 보편적인 재가복지정책이 필요하다. 셋째, 노인의 신체적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평가항목이 최근 국가에서 시행하고 있는 노인돌보미 바우처사업의 평가지표가 완전자립, 부분도움, 완전도움 등으로 매우 추상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되어있어 어떤 항목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등 재가복지서비스 이용대상에 해당여부를 기존의 평가지표 보다 훨씬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Barthel 척도와 같은 구체적으로 수치화된 평가지표의 개발이 필요하다.

      • 재가노인복지사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화순 한영신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South Korea has been experiencing in dramatic change that is unparalleled in history in regard to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South Korea has accomplished improvements in politics, culture and society during a century, which took for a long time to the major developed countries in the world. It is especially surprising that we have developed in economics more than anything else. According as the industrialization is amazingly progressing, general income level has been increased and our living environment has been improved, and the average life expectancy has been significantly prolonged due largely to medical technology and naturally the aged have been significantly increased. However, the households looking after the aged people have been weaken through industrialization that lead to rapid changing of the framework of society by urbanization, nuclear family, decrease of children ad increase of double income family caused changing of structure and function in family. Furthermore, from extension of senescence the welfare for the aged required more attention in enlargement, diversification and higher grade. South Korea becoming an aging society is progressing very quickly, even it is even quicker than Japanese's record, it means it might be an unprecedented phenomenon in the world. In time of the aging society, the matter of supporting the aged becomes a pending problem to not only to the aged themselves and their families, but to the community as a common responsibility. Therefore, newly social supporting system for the aged is inevitably required. In spite of rapid changing to the aged society, according to Confucianism some of helpless old people have been taken to the institution for the aged and most old people have been kept up by their own families. Keeping up the aged in the welfare facilities have been criticized from its bureaucratic, control and inefficient operation. Besides, the limitation of finance of the welfare facilities cannot allow to keep up all of them in and since 1970s, the diffusion of the trend of the deinstitutionalization that implies normalization and social integration for the aged in the welfare facilities and other problems have led to the necessity of the welfare of being-at-home the aged as an alternative plan worked in by households and communities. Therefore, we should place high emphasis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nd study systematically on the welfare of being-at-home the ag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best way to activate welfare of being-at-home the aged that is applicable to Korean culture and the actual condition by comparing the major developed welfare countries which have been already put into operation of welfare of being-at-home the aged with Korea. I made theoretical definition of welfare of being-at-home and analyzed the status of current welfare service to make clear the problems we have, and based on those, I made alternative plans. For the purpose of above, I quoted from the study of documents regarding the welfare of being-at-home and statistics and research data on aged people. In order to arrive at recommendations for the welfare being-at-home the aged, this was done by aspects of the subject of the welfare, the contents of welfare, distribution system and finance and based on this the study was able to arrive at five recommendations. First, in connection with subject of welfare, the criteria for selection and applicable old people have to be improved. Second, in the contents of welfare, diverse programs to satisfy the aged have to be developed. Third, in distribution system, one-stop service and integration system are required and the standard of facility and development of officer are strengthen. Fourth, increasing finance by central government and legislation for replenishing a storage from non-government and communities are required and lastly, based on participation of community, all resources are utilized efficiently.

      •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이옥희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재가노인복지서비스를 분석하고 평가하여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주요한 목적이다. 대전광역시 서구 및 대덕구에 위치한 8개의 사회복지관의 재가노인복지서비스대상자 및 주민, 종사자를 대상으로 대상자의 적합성, 프로그램의 타당성, 지역사회자원의 동원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다. 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선정이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기준으로 선정되었다기 보다는 고령자 중심의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에 치우쳤다는 점이다. 또한, 선정된 대상자 중 신체적으로 불편하거나 질병이 있는 이들을 제외하고는 재가노인복지서비스에 대해 필요성을 못 느끼고 있었다. 즉, 대상자의 적합성이 취약하였다. 따라서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중심의 재가노인복지대상을 선정, 추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오히려 재가노인복지서비스 대상자에서 제외된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를 확충, 대상자의 욕구에 따른 개별적인 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현재는 대상자 중 장애인, 모자가정, 소년소녀 가장은 극소수인데 이들에 대한 요구조사와 함께 적용대상에 포함시켜야 한다. 그리고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선정시 정확한 근거를 토대로 선정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정부가 제시한 7가지의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필요성이 대단히 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도를 묻는 질문에 7가지의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중 결연서비스, 간병서비스, 의료서비스에 대한 필요도가 가장 높았고 이에 비해 가사서비스, 자립지원서비스, 주민교육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은 비교적 저조한 편이었다. 실제조사 결과 식사준비 및 취사서비스(72.3%), 청소서비스(78.5%), 약품구입서비스(48.7%)에 대해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고 답한 이가 상당히 많았다. 재가노인복지서비스가 사회심리적 서비스의 성격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행 우리나라 재가노인복지대상자들은 경제, 의료, 주택지원 등의 구체적인 물질적 행동 서비스를 더 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나, 대부분 말벗, 가사 등 정서적인 서비스를 주는데 그치고 있다. 셋째, 종사자에 있어서는 주로 비전문가인 자원봉사자에 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심층적인 서비스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또한, 다회 방문요구시 부응하지 못하는 점, 자원봉사자의 시혜적 태도, 무계획적인 봉사, 소극적인 태도 등이 재가노인복지대상자에게 불만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기관은 자원봉사자에 의존할 수 없으나 그나마도 자원봉사자의 확보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러한 현실속에서 담당사회복지사가 겪는 과중한 업무부담의 문제는 당연한 결과일 것이다. 따라서, 봉사센타의 전담요원을 증원 배치하고 처우개선이 되어야 한다. 넷째, 재정(자원)은 전액 국고와 지방비에서 충당되는데 예산이 턱없이 부족한 관계로 재가노인복지대상자에게 현실적이고 만족할 만한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역부족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정부의 재정지원의 비약적인 확충 없이는 재가서비스 향상을 위한 어떠한 노력도 실효를 거두기 어렵다. 재가서비스와 함께 제반의 사회안정망 구축을 위한 정부 재정 확충이 절실하다. 지역사회 자원의 동원가능성을 타진해 보았으나 지역사회의 전반적인 의식이 부족하며 후원자와 자원봉사자로 참여하고자 하는 비율이 10%를 웃도는 정도였다. 이 밖에 재가노인복지사업이 올바로 시행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시설 서비스를 보다 충실히 해야 하고, 사회보장이 미약한 우리나라 현실에서 노인들의 소득보장, 의료보장, 주택보장 등이 함께 해결되어야 사회적 서비스도 그 의미를 살릴 수 있는데, 이상의 선결조건에 대한 대책이 부족한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다. 이상의 문제점에 대한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개선방안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와 같은 단순 보호 위주의 선별주의 방식을 극복하고, 제도적·보편주의적 관점에 입각하여 전체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재가서비스로 전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무료 서비스를 양적·질적으로 확대하고, 중산층 이상의 노인들을 위한 실비의 다양한 유료 서비스를 개발·제공하여야 한다. 둘째, 서비스 내용을 다양화하여야 한다. 특히 보건·의료 서비스를 복지 서비스와 연계하여 보건·의료·복지의 종합적인 서비스 제공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전문인력을 확보하기 위한 교육적·재정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셋째, 수혜자 중심의 전달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서비스 기관의 일원화가 필요하겠지만, 현실적으로는 시범운영하고 있는 보건복지사무소의 활성화와 기존의 보건소 조직 및 사회복지계의 통합·상호 연계가 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수혜자가 종합적인 서비스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시스템 구축도 필요하다. 넷째, 정부 지원의 재정규모를 현실성 있게 확충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무급의 자원봉사를 통한 서비스의 단편성을 극복하여야 한다. 그리고, 정부 재정의 일정한 확충 속에서 그 부족분을 충당하기 위해 민간부문 및 지역사회의 동참을 유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도 마련되어야 한다. There are several institutions for the inmate in Korea. But it has found that residential care has carried many problems such as costliness, ineffectiveness and inhumanness. The necessity for the community-based In-Home service is base on all these facts written above. Though the developed foreign countries are systematically established the In-Home Service, this is at early stage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valuating the In-Home Service of urban Korea. I inquire into the appropriateness of the beneficiary, the validity of the program, the possible mobilization of the community's resources with the 106 beneficiary and workers of Welfare center and the inhabitants of seogu and daedukgu taejeon.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Most beneficiaries are the old who received the public assistance. Most of them except the sick and the handicapped do not feel the necessity of In-Home Service. Instead, the semi-destitute and inhabitants do. Therefore I think that the service must be given to those who need it rather than to the destitute. And it will be attained as an individualized service. 2. With the estimated appropriation of the In-Home Service center, the beneficiaries can receive only emotional services such as conversational partners, domestic affairs, etc.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this survey, among the seven programs they need concrete and material services such as nursing, medicine and connection service. This result show that In-Home service, which is a kind of socio-psychological service, should complete income, medical and housing maintenance in order to cope with needs above 3. Most home-makers are volunteers. Because they are un-experts, we cannot expect the profession service from them. Nevertheless the fact is that we can not help it now. Therefore there must be a certain method of securing volunteers and an increase and better treatment of the workers who take full charge in the service center. 4. In-Home Service is one of the community welfare which uses the community's resources. But there are littl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in the community. We should try to find a solution to this problem and make up the solidarity of the community by inspiring the awareness of relationships, the willingliness of participation in public affairs and the sence of responsibility into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 全南地域 在家老人福祉센터 運營實態에 관한 硏究

        김진례 광주대학교 경상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사회의 급속한 산업화, 도시화, 핵가족화 그리고 여성의 사회참여 증가는 가족기능의 약화를 초래하여 전통적인 가족의 노인부양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이같은 사회변화는 사회문제로서 노인문제를 야기하게 되었다. 한편, 지방자치시대의 도래로 지역사회의 복지는 지역주민이 주도적으로 담당하게 되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지방화시대의 사회복지는 주민들의 참여를 용이하게 하여야 하며 지역사회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하는 사회복지 전달체계를 확립하여야 한다. 위와 같은 배경에 따라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이론적인 연구를 함과 동시에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전남지역의 현황과 실태를 분석하여 현행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주요 분서 내용으로는 재가노인복지센터의 실설화 운영 현황, 재정 현황, 사업 현황, 행정지도 및 협조관계 등을 다루었다. 연구의 수행방법은 문헌조사와 실태조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실태조사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남지역의 재가노인복지센터 운영에 있어 그 기간이 짧고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둘째, 시설의 장비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셋째, 유·무급 자원봉사자의 수가 부족하다. 넷째, 재가노인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가 전개되지 못하고 있다. 다섯째, 재가노인복지센터 운영에서 인건비와 사업비를 분리하여 지원해야 한다는 욕구가 강하게 나타났다. 여섯째, 최초양성교육과 수시교육으로 이루어지는 자원봉사자 교육에 참여하는 부대비용이 지급되지 않고 있다. 일곱째, 재가노인복지센터는 감독기관과 대체로 협조적이고, 특히 사회복지전담 공무원의 도움을 1차적으로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따라 몇 가지 사항을 제시 하였다. 첫째, 전남지역의 재가노인복지센터 확대를 위해서는 먼저 이 지역의 노인복지 관련인과 단체의 적극적인 참여가 있어야 하겠다. 둘째, 재가노인복지센터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자원봉사자의 확보가 시급하다. 셋째, 재정지원을 위한 제도적인 변화가 있어야 한다. 넷째, 서비스의 다양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하루빨리 주간보호사업과 단기보호사업이 동시에 실시될 수 있도록 정부와 재가노인복지센터의 노력이 있어야 하겠다. 섯째,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교육을 원활하게 실시하기 위해서 교육에 참여하는 자원봉사자들이 경제적으로 부담을 갖지 않도록 실비 지원이 있어야 하겠다. 여섯째, 재가노인복지센터는 사회복지전담 공무원 뿐만 아니라 보다 폭넓은 협조관계를 위해 주변의 다양한 사회복지 관련 기관 및 단체 그리고 결연인들과 관계를 맺는 전략이 있어야 하겠다.

      • 재가와상노인의 사례관리 모형개발 및 효과 : RAI적용을 중심으로

        김희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48703

        장기요양보호가 필요한 재가노인의 수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지만, 필요한 요양시설이 충족되지 않은 실정에서, 효율적인 재가노인서비스 전달체계의 구축이 노인보건복지분야의 핵심과제가 되고있다. 이에 지역보건사업의 주축인 보건소를 중심으로 저렴하면서도 양질의 서비스로 지역자원이 적절히 연계되는 새로운 형태의 방문보건사업을 시도해 보고자 하였다. 우선 집중적인 서비스투입이 요구되는 와상노인을 대상으로, 사례관리기법에 근거한 재가와상노인 사례관리모형을 개발하고 2000년 3월부터 2001년 2월 까지 1년간 적용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사례관리 연구추진과정은 사례관리 체계구축과 사례관리 모형개발, 적용 및 평가단계로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 일개 구의 지역사회진단과정에서 발견된 ADL 기능저하 노인 중 지속적으로 6개월 이상 관리를 받은 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사례관리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가정방문을 하여 재가노인 기능평가도구(RAI MDS-HC)를 이용한 면담과 관찰을 통해 단일군 사전.사후 비교 평가를 하였다. 사례관리대상자의 기록지와 방문일지를 분석하고, 사례관리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재가와상노인 사례관리모형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개발된 RAI 전산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APs를 자동 선정하고, 백분율, X2 test, Fisher's exact test, median test, Kruskal- Wallis test,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재가와상노인 사례관리모형을 시행한 결과평가를 통해 얻은 효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재가와상노인들은 대부분이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71.0%)를 갖고 있어, 치유보다는 기능개선과 보존적인 관리가 기대되는 목표수준이었다. 2. 대상자는 인지기능에서 절반 이상이 기억력에 문제가 있고, 일상적인 의사결정이 더욱 의존적이 되어가나(P=0.014), 정서면에서는 우울, 불안, 슬픔의 징후가 줄어들었다(P=0.012). 자신의 건강이 악화되었고, 그렇게 될 것이라는 주관적 평가는 줄어들었다. 3. 사회적 기능에서 가족/친구에게 갈등이나 분노를 표현하거나, 대인교류가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와병기간이 길수록 아들, 며느리수발은 늘어나고, 배우자 수발은 감소하였다. 가족들의 IADL수행시 협조가 증가하였고(P= 0.072), ADL 수행 시에도 수발자들의 도움이 초기에 비해 재평가시 늘어났다(P=0.063). 4. ADL은 전반적인 수행에서 의존도가 줄고 기능이 향상되었으나(P=0.001), IADL 자가수행은 투약관리만 향상되었다(P=0.002). ADL은 침상에서의 움직임 (P=0.009), 상의 옷 입기(P=0.001), 하의 옷 입기(P=0.004), 음식 먹기(P=0.043), 화장실 이용(P=0.044), 개인위생(P=0.014)에서 의존도가 줄어들었다. 케어계획시 본인이나 수발자의 경우 좋아질 것을 기대하지 않았으나, 사례관리자가 좋아질것으로 평가한 경우에 기능개선이 되어, 전문가의 판단이 케어의 방향이나 지도에 매우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5. 기능평가에서 선정된 CAPs는 평균 11.5개이고, 사례관리 후 8.3개로 줄어 들었다. ADL Self-Performance Hierarchy에 따른 CAPs 빈도는 중증도가 높을 수록 문제수가 많아졌다(P=0.004). 초기 평가에서 많이 선정된 문제항목은 예방적 조치(96.8%), 의사소통장애(77.4%), 인지, 통증, 욕창, 요실금(각 71.0%) 순이고, 재평가에서는 보건예방서비스(96.8%), 의사지시이행(87.1%), 의사소통장애, 시각문제(각 80.6%) 순이었다. 기능개선에 따라 CAPs중 공식적 서비스 감소가 선정되어 케어의 목표를 변경하고 서비스의 양을 줄여나가는 방향으로 검토되었다. 그러나 병세가 악화된 노인은 완화케어(12.9%)가 요구되었다. 6. 환경평가에서 화장실과 욕실의 불편함이 지적되었고, 특히 거동이 가능해지면서 문턱이나 실내.외 이동상의 문제점이 지적되었으나 시정되지는 못했다. 지역사회 서비스 이용은 공공의료서비스 접근성이 확대되어, 차량지원으로 병원다녀오기, 외출하여 공원산책하기, 휠체어밀어주기, 드라이브, 말벗해주기 등 다양한 자원봉사지원과 가정봉사원이나 파출부의 가사지원서비스가 증가되었다. 7. 사례관리 만족도 조사에서 제공자측은 새로운 사례관리기법에 대해 만족하고, 자부심을 갖고 있었다. 수혜자인 가족이나 노인들은 서비스제공에는 만족하지만, 서비스 횟수나 방문시간은 늘려줄 것을 요구하였다. 수발부담이 큰 경우는 의료서비스보다는 가사서비스를 더 원하며, 사례관리는 보건소측에서 해 주기를 원하였다. 8. 사례관리 기간 중 제공된 방문횟수는 총 1,050회로 방문진료가 350회로 가구당 월 평균 5.6회였다. 1회 방문시 2시간 20분 정도 소요되어, 보건간호사들은 보건소의 원내 업무와 병행하면서 하루에 2∼3가구의 방문활동을 하였다. 위와 같이 재가와상노인의 사례관리모형의 개발과 적용을 통하여 대상자의 요구수준에 따른 개별화된 서비스를 계획하여 사례관리의 강도를 높여 집중적인 관리를 제공함으로서 대상자의 일상생활수행의 기능이 개선되고, 사회적 지원서비스가 증가되어 가족이나 대상자에게 지지가 되었음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사례관리 모형에 대해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재가와상노인의 사례관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노인의 복합적인 요구수준에 부합되는 서비스 자원을 적절하게 배분하고, 조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인력 풀이 모인 사례관리팀의 구성과 원활한 기능이다. 이러한 사례관리팀의 구성은 사례관리의 효과를 향상시키며, 관리과정을 통한 기관간, 직종간 협력관계를 촉진시켜 직무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재가와상노인 사례관리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어, 중요한 구성요소인 사례관리팀은 방문보건, 방문진료, 복지서비스를 담당하는 보건행정가, 방문진료의사, 방문보건간호사와 슈퍼바이저 역할을 담당한 간호학 교수 등의 적극적인 참여와 사례관리자로 선정된 간호사의 역량이 사례관리 과정을 효율적으로 이끄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사례관리 과정에서 대상자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신고.상담 전화설치와 노인에 대한 포괄적인 평가도구로 RAI MDS-HC를 사용하고, 요구수준에 따른 케어계획으로 연결하고, 적절하게 자원을 배분하고 스케쥴을 관리하였다. 수발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가사지원 등 복지서비스가 의료서비스와 중복되지 않도록 사례관리자에 의해 조정되어 제공되므로서 적은 자원으로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관리방법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사례관리자의 부담이 너무 크고, 다른기관에서의 협조체계가 공식적인 라인보다 개별접촉으로 이뤄진 것은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사례관리를 위한 네트웍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지역보건심의위원회를 통한 조례나 규정을 신설하여 다학제적인 팀구성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며, 사례관리자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확대, 비공식적 자원봉사팀 구성을 통한 자원확대 등 적극적인 개입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현재 노인관련 정보의 국내, 국제 간 공유를 위해 표준화된 도구로서 RAI가 사용되고 있는 추세에서, 사례관리를 위한 대상자평가도구로 RAI를 사용하여 다른 기관이나 자료들과 자료 풀링을 할 수 있는 점도 이 모형의 강점이 될 것이다. 이러한 사례관리모형은 지역의 보건센터로서 보건소를 중심으로 재가서비스 기관과 인력들이 상호 연계되어 자원의 효율적인 배치와 대상자의 요구수준에 따른 표준화된 서비스제공틀을 제공함으로서 재가노인보건복지사업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게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ase management model for bed-ridden elderly at home based on case management techniques, to extend the efficient visiting health nursing for them as well 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executed for a year from March 2000 to February 2001. The study of the case management was composed of its system construction; development of case management models; and its application and evaluation. Fifty elderly individuals were screened from those who showed a decline in the ADL function in the first place, considering their willingness to cooperate and economic situation, a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they had been diagnosed at the community diagnosis process conducted by a District Office (Ku) in Seoul. Of those fifty, thirty-one elderly individuals, who were under management successfully and continuously during six months, were the final subjects of this study. Interviews and examinations were executed on home visits, using RAI MDS-HC, the device of function evaluation for bed-ridden elderly, which finally provided the sources for a single group pre-and-post comparison and evaluation. The effectiveness of the case management model was verified, and records and visitation diary about each subject were analyzed, along with the inquiry into the case management satisfaction. The data was handled by the computerized program, RAI that automatically set CAPs and analyzed by percentage; X2 test; Fisher's exact test; median test; Kruskal-Wallis test; and paired t-test. The results from the evaluation of the case management model for bed-ridden elderly was as follow: 1. Because the bed-ridden elderly at home, mostly suffering from hemiplegia caused by cerebrovascular accident (71.0 percent of the subjects), the objectives were confined to function improvement and maintenance rather than cure. In their physical aspects, digestion and absorption did not improve since they developed more problems of taking water and food with longer bed-ridden status. Dental hygiene problem, however, was reduced, with which personal hygiene management displayed changes. The problems with hearing and vision remained, but they complained less. Urination control was improved by training while the continuous care was needed for skin related to the pressure ulcer. 2. In regard to their function of cognition, half of them had memory problems, generally becoming more dependent about decision-making (P=0.014). Depression, anxiety and sadness, were as well reduced (P=0.012) as their subjective thoughts that their health got worse or likely. 3. In regard to the social function, they expressed anger to their family and friend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others considerably lessened. The longer they were bed-ridden, the more they were assisted by sons and daughters-in-law and less by their spouse. The family members' assistance was increased on IADL performance (P= 0.072). On the ADL performance, too, they offered more help than at the beginning, which was proved by re-evaluation (P=0.063). But it indicates that the care-giver were relatively more burdened. 4. Patients became less dependent on general ADL performance with function improving (P=0.001) while only medication management was improved on IADL self-performance (P=0.002). Less dependency on ADL performance showed such as moving on bed (P=0.009); wearing upper clothes (P=0.001); wearing bottom clothes (P=0.004); eating (P=0.043); bathroom using (P=0.044); personal hygiene (P=0.014). In cases where the case manager expected to get an improvement on care plan setting, while the patient and the care-givers did not, an actual improvement was made: The specialist's decision seemed to be important for the direction and guidance. 5. The CAPs determined by function evaluation were 11.5 of average, which was reduced to 8.3 since the case management conducting. The CAPs frequency by ADL Self-Performance Hierarchy accompanied more problems along with conditions of the disease becoming more serious (P=0.004). Problems called from the early evaluation were ranked by prevention measurement (96.8 percent) followed by communication trouble (77.4 percent); perception; pain; pressure ulcer; urinary difficulty(respectively 71.4 percent). Re-evaluation displayed prevention health service (96.8 percent); compliance by doctor's direction (87.1 percent); communication trouble (80.6 percent); visual difficulty (80.6 percent). On function improvement, public service out of the CAPs was determined to reduction, which led the direction to changing care objectives and reducing the amount of service. The alleviated care, however, was requested for the patient whose disease was aggravated. 6. Toilets and bathrooms were evaluated to be uncomfortable for the bed-ridden elderly at home. Other uncomfortable conditions for movements, including thresholds, in the case of those elderly who were able to move, were pointed out, but were not adjusted. Public medical service approach was expanded in terms of community service, various home care assistance of volunteers, home-helpers, and maids. They included taking them to the hospital by supported transportation; to a walk in a park; driving a wheel chair; talking with them; and giving them a drive. 7. In regard to how satisfied people were with the case management, home-helpers answered that they satisfied with attitudes of attendance. Case managers took pride in being a pioneer of the case management method, feeling charged with the mission. Family members and the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 service, but they wanted longer service on more visits. They wanted home service more than medical service if they felt so burdened. They also wanted the public health center to help them when the support from public health center was reduced or replaced by other services. They were satisfied especially with encouraging caregivers. 8. Total number of visits during the period was 1,050 times: among them, 350 visits were conducted for medical consultation, 5.6 visits a month per household. Two hours and twenty minutes was normally spent on a visit. Nurses from public health center visited two or three households a day, performing their general duty at the center as well. They led patients to primary medical institutes in sixty cases. There were eight volunteers to help home care and other services. Visiting nurses conducted training for the care-givers and patient, which took up 38.5 percent of their activity, rehabilitation training (21.0 percent); nursing of medical treatment (19.4 percent); basic nursing (18.5 percent). The program for the case management model of bed-ridden elderly at home was implemented such above. Intensive service individually enforced, which responded to needs of patients through the model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 made it possible for the patient to improve the functions in daily life. It was also a big support for the caregivers as well as for the patient. Now, I want to discuss the requirements for later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case management model.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case management of the bed-ridden elderly at home is the composition of management team and its vigorous activity, to properly distribute and adjust the service resources. This kind of team structure can make the case management more effective and raise their satisfaction, promoting cooperative relationship among institutes and professions. The team consisted of health administrator, who was in charge of visiting health care, medical consultation and social welfare; visiting doctors; visiting nurses; their supervisor; and a professor of the science of nursing. They took part in the case management aggressively. The nurse assigned as a case manager played an important role of conducting an effective case management. Report and counseling desks were installed as a process of the case management for beneficiaries' easy approach. RAI MDS-HC was adopted for a comprehensive evaluation on seniors. Cares were planned to respond to their needs, followed by proper resource distribution and schedule management. The management itself was evaluated to be a cost effective way since the manager arranged services trying not to overlap welfare service, such as helping house chores, which reduced care-givers' burdens, with medical service. The fact that the responsibility of a manager was too high and personal contacts were made rather than official ones to obtain other institutional support requires the education about the case management to community service institutes for the elderly at home, or any manpower resources. The education, of course, should be followed by aggressive participation. Another strong point of this case management model using the RAI for the subject evaluation tool is data pooling enabling us to share different information, once the RAI is standardized to share domestic and international elderly-related information.

      • 在家老人福祉事業의 實態와 改善方案

        이필금 蔚山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 나라는 지난 30여 년간의 지속적인 경제발전과 보건의료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평균 수명이 연장되고 전체인구 중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2001년 현재 7.3%로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었다. 고령화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노인인구의 급증과 더불어 핵가족화 현상과 노인 부양의식의 약화로 경제적 불안정, 건강보호의 문제, 조기정년제, 역할상실, 고독과 외로움, 그리고 가족관계의 문제 등은 노인 스스로나 그들 가족의 힘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명백한 사회문제로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상황과 가족부양체계의 변화로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현황분석을 통해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재가복지 대상자의 선정기준이 저소득층으로 한정되어 있다. 대상자의 선정기준을 점차 확대하여 저소득층뿐만 아니라 중산층 이상의 노인들도 실비의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서비스의 내용을 다양화하고, 전문화하여야 한다. 현재의 재가복지서비스는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단편적 서비스만이 제공되고 있다. 서비스 공급자들의 교육을 강화하여 간단한 간호업무와 수발업무를 보다 전문적이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보호사를 양성하여 공급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전달체계의 다원화는 정책집행을 지연시키고 형식화시킬 뿐만 아니라 전문성의 결여로 비효율적이다. 그러므로 행정주체를 지방정부로 이관하여 복지관련 업무의 기획, 조정, 관리, 집행기관의 일원화를 통한 복지 업무 전반을 책임지는 조직체계의 구성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넷째, 재정지원의 확대가 이루어져야 한다.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여 정부예산을 대폭적으로 확대하고, 재가노인복지시설·기관의 규모와 대상노인의 장애·질환정도별 처우기능에 따라 차등적으로 지원하여야 한다. 또 공공예산의 지원과 함께 지역사회내의 각종 자원체계를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재가노인복지서비스는 노인이 자기가 살고 있는 곳에서 가족과 일가친척 또는 이웃과 더불어 편안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지역사회와 국가가 그 몫을 나누어 부담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경우 노인인구의 급격한 증가에 따라 노인문제가 가족뿐만 아니라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어감에도 불구하고 시대의 필요성에 부합하는 전문교육과 인력의 양성, 시설, 사회적 인식이 미비한 실정이다. 재가노인복지서비스가 우리 나라의 실정에 알맞게 제도화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책임 있는 정책수립과 함께 사회복지기관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For the last thirty years in Korea, life expectancy has been prolonged and the society has entered the phase of aging as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of more than 65 years 7.3% in 2001. Today in Korean society on its way to the aging society, the issues of economic instability, health care, early retirement, loss of social roles, lovelessness and solitude and conflicts in family have emerged as apparent social problems which the elderly and their families cannot settle by themselves due to dramatic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along with the spread of nuclear families and weakening awareness of care for the elderly. That is, these changes in social situations and family support systems call for a need for home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Thu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problems with home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through analysis of the present situations and to present several improvement methods as follows: First, the selection standards are limited only to the low-income clas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election standards and offer a variety of services to the elderly from the middle class at affordable prices. Second, the service contents should be various and professional. The present home care service is very limited due to the lack of professional hand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raining of the service providers in order to raise caregivers who can handle simple nursing and assistance work in a more professional and effective fashion. Third, pluralization makes policy execution delayed and formalized, and it is ineffective because of lack of professionalism. Thus, it is better to change the administration subject to local governments so that the administrations in charge are responsible for the overall welfare services through integration of welfare jobs-planning, coordination, management and execution. Fourth, financial assistance should be expanded. In preparation for the upcoming aging society, the government should expand budgeting for it and provide funding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ize of organizations and facilities of home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and to the elderly's diseases, disorders and their abilities to take care of daily activities. Home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enables the elderly to live in comfort where they have lived with their family, relatives and neighbors, and local communities and the state should share the burdens. However, in Korea, though the elderly issues are becoming serious problems for the society as well as for the families due to radical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professional training, education of related personnel, provision of related facilities and social awareness are insufficient to address the needs of the times. For the sake of proper institutionalization of home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in Korea, there should be efforts to develop a variety of programs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to develop appropriate policies in the gover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