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예비유아영어교사의 반성적 사고와 교수효능감 변화에 대한 사례연구

        김희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영어교사의 모의 발표수업을 통한 반성적 사고 및 교수 행동변화 내용, 그리고 교수 효능감의 변화를 탐색하는데 있다. 이에, 예비유아영어교사가 자신의 배경(i.e., 교수경험만 있는 집단, 연수경험만 있는 집단, 교수?연수 경험 둘 다 있는 집단, 교수?연수 둘 다 없는 집단)과 유아 영어 지도과에 입학한 동기(i.e., 영어가 좋아서, 유아가 좋아서, 주위의 권유로, 직업상 전망으로)가 교수 효능감 변화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예비유아영어교사가 자신의 신념과 자질 형성과정과 교수-학습방법의 변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P시에 소재한 P전문대학 2년제 유아영어지도학과 1학년 재학생 43명으로 아동극 수업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 예비유아교사들이 사전 사후 교사의 일반적인 효능감과 개인적인 효능감을 측정,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비모수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교수경험의 유무, 연수경험의 유무 등, 사전배경에 따른 예비유아영어교사의 일반적인 효능감과 개인적인 효능감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비모수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별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예비유아영어교사의 배경변인과 입학동기는 유아영어 교수효능감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전체 예비유아영어교사를 대상으로 반성적 사고의 사전 사후의 유아영어 교수 효능감의 변화량을 검정한 결과 일반적 교수 효능감과 개인적 교수 효능감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 경험의 유무와 연수 경험의 유무를 가지고 배경에 따른 집단의 교수 효능감을 비교한 결과 교수 경험과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보다 교수 경험이 없고 연수 경험이 없는 교사들의 교수 효능감이 상승하였다. 이에 반해 예비유아영어교사의 배경과 상관 없이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 예비유아영어교사들도 있었다. 유아지도학과 입학 동기에 따른 교수 효능감 비교 연구 결과에서는 유아영어교사를 선택 한 동기가 영어가 좋아서 또는 유아가 좋아서라고 답한 집단이 교수 효능감에서 유의한 수준을 보인 반면, 주위의 권유에 의한 과 선택은 교수 효능감 변화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덟 명의 예비유아영어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통한 신념과 교수행동 변화내용과 과정은 어떠한가? 반성적 사고 경험은 예비유아영어교사의 관심사가 개인에서 교사로 옮겨가는 계기가 되었다. 반성적 사고를 통해 문제상황을 발견하고 재구성하는 능력은 예비유아영어교사의 관심사를 기술적 이고 보편적인 관점에서 실천적이고 행동적으로 바뀌었다. 이는 교수행위에 있어서도 명확한 계획과 지침을 가지고 진행 해야 한다는 사고에서 학습자와 함께 생각하고 구성하고 경험하는 맥락적이고 상황중심적인 교수행위가 되어야 한다는 사고로 전환이 되었다. 반성적 사고 경험은 예비유아교사에게 기계적으로 학습된 지식을 실제에 적용함에 있어서 유연하게 구사하는 매개역할을 함으로써 교수 상황을 긍정적으로 이끌어 가기 위한 자신감과 성취감을 가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종합해보면 교사의 전문성을 위한 반성적 사고 교육은 연구 대상자에게 체계적인 상황과 과정을 제시하여 결과중심이 아닌 과정중심의 교사 양성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특히 예비유아영어교사의 반성적 저널쓰기를 통해 자기 자신에 대한 사고 변화와 교수활동에서의 문제 상황발견 및 재구성의 기회를 제공, 교사의 신념과 자질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남자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어려움과 보람

        부희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남자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가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그 어려움 속에서도 경험하게 되는 보람은 무엇인지 면담을 통해서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1. 남자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가 느끼는 어려움은 무엇인가?2. 남자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가 느끼는 보람은 무엇인가?이를 위해 선정된 연구 참여자는 연구자를 포함한 남자 현직유아교사 3명과 예비유아교사 3명이었고 본 연구는 2020년 3월부터 10월까지 8개월 동안 총 10차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집단면담을 통하여 공통적으로 느끼는 남자유아교사의 어려움과 보람은 무엇인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필요한 경우에는 개별면담도 진행되었다. 연구자는 수집된 모든 자료들을 반복적으로 읽고 파악하며 의미 있는 부분들을 찾아내고 분류하며 내용을 나타낼 수 있는 주제들을 찾아내어 코딩작업을 하였다. 이 때 서로 연관되거나 반복되는 남자유아교사, 유아, 학부모, 동료들과의 관계에 대한 내용들을 질적 자료 분석의 일반적인 절차인 전사-코딩-주제발견의 단계에 따라서 분석하였다. 남자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들과의 면담을 통하여 나타난 남자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가 느끼는 어려움은 ‘학교생활에서의 어려움’, ‘동료와의 관계에서 겪는 어려움’, ‘사회적 편견으로 인한 관계에서 겪는 어려움’, ‘남자유아교사의 불안한 미래’로 범주화 되었고 보람은 ‘필요한 남자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 ‘유아들이 좋아하는 남자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 ‘학부모가 좋아하는 남자 현직자유아교사’, ‘소수자로 살아가는 남자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로 범주화 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는 학교생활, 동료교사와의 관계, 사회적 편견으로 인한 관계, 불안한 미래로 인한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둘째, 남자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는 동료교사에게 필요한 교사, 유아, 학부모와의 관계, 소수자로 살아가며 느끼는 보람이 있다.

      • 예비유아교사의 전공선택동기와 전공만족도가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김승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전공선택동기와 진로성숙 간의 관계는 어떠하며, 전공선택동기와 전공만족도 간의 관계는 어떠한지, 그리고 전공선택동기와 전공만족도가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하위요인별로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예비유아교사의 전공선택동기와 진로성숙의 관계는 어떠한가? 2. 예비유아교사의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예비유아교사의 전공선택동기와 전공만족도가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남북도 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과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304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는 ‘전공선택동기 검사 도구’와 ‘전공만족도 검사 도구’와 ‘진로성숙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전공선택동기는 정보연(2010)과 송윤정(2014)의 연구에서 재구성한 도구를 본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거쳐 사용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전공만족도는 하혜숙(2000)의 연구에서 재구성한 도구를 본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거쳐 사용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진로성숙은 Crites(1978)의 진로성숙도검사(CMI)를 토대로 이기학(1997)이 개발한 진로성숙도 측정도구를 본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거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전공선택동기와 전공만족도, 진로성숙의 문항내적일관성 검증을 위하여 각각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전공선택동기와 진로성숙간의 관계와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전공선택동기와 전공만족도가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전공선택동기와 진로성숙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전공선택동기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내재적 동기일 경우 확신성, 준비성, 독립성, 결정성, 목적성 순으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외재적 동기일 경우 진로성숙과 상관관계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부분적으로 독립성과 목적성에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전공만족도 전체는 진로성숙 하위영역에서 확신성, 준비성, 결정성, 독립성, 목적성 순으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은 관련이 있으며 예비유아교사의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진로성숙이 높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전공선택동기와 전공만족도가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전공만족도가 전공선택동기 보다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진로성숙에 있어 전공만족도가 의미 있는 변인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공선택동기와 전공만족도의 하위요인이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단계적 회귀분석을 한 결과 외재적 동기, 내재적 동기, 일반만족 순으로 나타났다. 진로성숙의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결정성에는 일반만족, 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 순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성숙 준비성에는 인식만족, 일반만족, 외재적 동기 순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성숙 독립성에는 외재적 동기, 내재적 동기, 일반만족 순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성숙 목적성에는 외재적 동기, 내재적 동기, 일반만족 순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성숙 확신성에는 일반만족, 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 순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한 학기 교육실습에서 수퍼바이저의 지원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과 의미

        박지선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기존의 교육실습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기간 연장, 구체적인 프로그램 구성, 수퍼바이저의 지원 실행으로 보완함과 동시에 유아교육현장에 적용하여 그 과정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이를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한 학기 교육실습에서 이루어지는 수퍼바이저의 지원은 어떻게 실행되었는가? [연구문제 2] 수퍼바이저의 지원이 이루어지는 한 학기 교육실습에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과 의미는 무엇인가? 이상의 연구문제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실행연구의 일반적인 수행과정으로 볼 수 있는 문제규정, 자료수집, 자료분석, 결과도출 및 적용, 실행으로 나누어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자는 문제규정부터 결과도출 단계까지는 예비연구로, 결과 적용 및 실행은 본 연구로 나누어 실행하였다. 먼저, 교육실습에 대한 선행연구의 분석과 연구자의 경험으로부터,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실습의 문제점과 이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요구가 있음에도 실제 적용할 수 있는 개선안이 없는 현실을 문제로 규정하고, 교육실습의 대안으로써 장기간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보조교사제도를 기본 틀로 삼아 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보조교사제도가 교육실습의 개선안으로써 보편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서 그 원인을 분석하고, 실제 적용 가능한 교육실습의 대안을 찾기 위해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효율적인 교육실습이 운영되기 위해서는 교육실습 기간 조정과 체계적인 교육실습을 위한 프로그램을 필요로 하였다. 또한, 효율적인 교육실습 운영 및 지도를 위해서는 이를 조력하는 조력자가 필요하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예비연구 분석 결과와 외국의 장기 현장실습에 관한 선행연구를 적용한 실습프로그램을 계획하였으며, 이를 다시 실제 실행 가능한 구체적인 일정과 내용으로 구성하기 위해 대학에서 교육실습과목을 담당하고 있는 대학교수와 현장의 원장, 원감, 지도교사 그리고 연구 참여자인 예비유아교사들도 함께 참여하여 한 학기 교육실습에 필요한 내용이나 과정 등에 대해 협의가 이루어졌다. 이는 1차, 2차로 나뉘어 수정 및 협의과정을 가졌으며, 이와 함께 선행연구 및 문헌 고찰을 통해 한 학기동안 이루어지는 한 학기 교육실습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확정된 일정에 따라 연구자가 교육실습의 조력자인 수퍼바이저의 역할을 수행하고, 연구 참여자로 유아교육과 4학년 4명을 대상으로 19주간 실행되었다. 본 연구는 2013년 2월 18일부터 2013년 6월 14일까지 17주간 이루어질 계획이었으나 대학의 학사일정 및 연구 현장의 행사일정에 따라 일정을 수정하여 6월 28일까지 연장하였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19주간 이루어졌으며, 이는 연구 계획기간과 수정된 교육실습 일정을 모두 포함한 기간이다. 연구 자료는 연구 참여자의 저널과 연구자의 저널 즉, 수퍼바이저의 저널을 중심으로 수집되었으며, 면담자료는 집단면담과 개별면담 그리고 서신면담과 전화면담으로 세분화하여 수집하였다. 이외에 현장의 교사들 또는 연구 참여자들과 협의회에서 다루어진 내용을 기록하여 이를 자료로 활용하였다. 텍스트화 한 자료들은 반복적으로 읽어가며 한 학기 교육실습 실행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드러난 부분을 추출하고, 대표할 수 있는 단어를 찾아 그 단어들을 포괄적인 용어로 통합하여 각각의 분석 주제를 잡아나갔다. 이 과정에서 의미있는 문단별로 나타나는 소제목을 기록하며 해석을 덧붙였다. 처음 분류과정은 연구문제에 따라 수퍼바이저의 지원방법과 예비유아교사의 경험으로 크게 두 개로 나누고 그 안에서 각각 세부적으로 범주화하였다. 주제의 생성 과정에서는 ‘교육실습’ 주제와 관련된 이론적 참고문헌을 탐색하여 자료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보충자료로 활용하였다. 이상과 같이 진행된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퍼바이저의 지원은 연구 참여자들과의 관계 맺기를 시작으로 함께 예비유아교사를 평가하기보다는 함께 들어주고 고민하기를 하였으며, 개인의 차이에 따라 맞추어 방법을 달리하고 무엇보다 교육실습의 기본과정이 흔들리지 않도록 지원을 실행하였다. 둘째, 수퍼바이저의 지원을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은 한 학기 교육실습에서 정서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교육실습에 참여하고, 전문적 지원과 중재적 지원 그리고 보완적 지원과 개별적 지원을 경험할 수 있었다. 이는 예비유아교사들로 하여금 교육신념을 형성하고 수업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켰으며, 교사 효능감을 형성해가는 경험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한 학기 교육실습에서 수퍼바이저는 예비유아교사들에게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그들을 지원하고, 대학의 교육과정이 현장에서 흔들림 없이 현장교육으로 잘 연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예비유아교사들이 질 높은 교육실습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기에 한 학기 교육실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데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한 학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oblematic points of current teaching practice, to complement the practice with practice period extension, specific program development, and supervisor's support accomplishment, and to find a way of improving the practice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s: 1. How does a supervisor's support implement in teaching practice for a semester? 2. What are experiences and meaning of pre-service teachers in teaching practice for a semester? Based on research questions, the research was accomplished in two stages: pilot study and main study. In the pilot stage, problem identification, data collection, data analysis, and result induction. The results application and accomplishment were done in the main stage. The preceding research analysis and researcher's experience identified that the most serious problem was that there was no improvement idea even though there were problems and needs for advanced teaching practice. Therefore, in this study, teaching assistant system was selected as an alternative plan for current teaching practice. The teaching assistant system had not settled as an alternative for teaching practice and the cause of the problem was analyzed.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need for teaching practice period extension, systematic practice program development, and supervisor's support. The practice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pilot study results and preceding research analysis about long-term teaching practice. The developed program's content and process were specified and modified through twice meetings with a professor in charge of practice, directors, vice-directors, guid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The research played a role of supervisor and 4 pre-service teachers in the 4th grade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19 weeks. Originally 17 week program was planned but with university affair schedule and events in the field, finally the study was done for 19 weeks including research plan and practice from February to June. The data were collected mainly from participant's journal and researcher's journal(supervisor's journal), and interview data were classified by individual or group interviews, and letter or telephone interviews. In addition, meeting with teachers in field and participants were recorded and analyzed. The text data about teaching practice were read repeatedly and key words were induced and integrated in a certain number of universal concepts. In the case of meaningful paragraph, title and explanation were written. Firstly, data content were categorized in two: supervisor's support method and experience of per-service teachers, and secondly, within each category, the data were classified based on subjects. The reference books or journals related to teaching practice, helped to understand and analyze data. The research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upervisor started the role by making relationship with research participants, followed by listening and worrying together with participants rather than evaluating them, and differentiating guide methods based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without harming basic frame of practice. Second, through the supervisor's support,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practice in an emotionally stable atmosphere and experienced professional, mediated, complementary, and individual supports. The pre-service teachers could improve their self-confidence and teacher-efficacy about teaching by setting up educational beliefs. Therefore, the supervisor played the important role for efficient teaching practice by supporting pre-service teachers in a close distance, and by connecting fields and university curriculum, which lead that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d high-quality teaching practice. The pre-service teachers could form their own education beliefs through understanding teaching and education in an emotionally stable atmosphere and could increase teacher-efficacy and teaching specialty with professional support.

      • 예비 유아교사들의 직장 어린이집 취업 이야기

        박소영 전남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7

        유아교육, 보육 관련 학과 학생들의 경우 대부분 자신의 전공에 따라 유아교사로서의 취업을 선택하고 있다. 그 중 직장 어린이집은 많은 학생들이 관심을 보이는 취업 기관의 하나이다. 직장 어린이집의 교사는 타 설립유형 어린이집에 비해 높은 보수를 지급 받으며, 질 높은 교사 교육을 제공받음으로써 전문성을 향상할 기회가 많은 편이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예비 유아교사들의 직장 어린이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직장 어린이집의 양적 확대로 인해 직장 어린이집의 교사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직장 어린이집에 대한 예비 유아교사들의 높은 관심에 비해 관련 정보나 자료 탐색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취업 준비과정에서의 충분한 정보 탐색 제한 및 확신 부족은 교사의 이직, 보육⋅교육의 질 저하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장 어린이집에 취업하고자 하는 예비 유아교사들의 이야기를 탐색 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예비 유아교사들이 직장 어린이집 취업에 어떤 관점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과정을 통해 취업이 이루어지는지 보여줌으로써, 앞으로 예비 유아교사들의 진로 선택과 취업 준비 행동을 돕고자 하는 이들에게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직장 어린이집 취업을 준비하였던 예비 유아교사 6인을 참여자로 목적 표집 하였다. 자료 수집은 21년 1월 초부터 21년 2월 말까지 총 2개월의 기간 동안 이루어졌다. 6명의 연구 참여자 중 5명의 참여자들은 2번의 개별 면담, 1번의 집단 면담이 진행되었고, 1명의 참여자는 3번의 개별 면담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을 위해 텍스트로 정리된 자료들을 반복적으로 읽으며 분석적 메모를 작성하였고, 코드를 선정하여 선정한 코드별로 자료를 유목화 하였다. 자료의 유목화와 의미 추출을 통해 연구 결과를 나타낼 수 있는 주제를 개념화하였다. 연구의 타당도 확보를 위해 구성원 검토, 동료 연구자와 질적 연구 전문가의 확인과 조언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참여자들은 주변 환경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직장 어린이집 취업으로 향하게 되었고, 참여자 스스로도 직장 어린이집에 대한 정보를 찾아보며 취업 방향을 확정짓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또, 직장 어린이집 관련 정보를 탐색하기 위해 온, 오프라인 등의 다양한 출처를 참조하였고 실질적 취업 준비의 과정에서도 다양한 지원처로부터 도움을 받았다. 더불어 실습은 직장 어린이집을 실제로 경험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었지만, 추후 취업과 연결될 수 있어 부담스러운 부분도 있다고 하였다. 특히, 직장 어린이집의 채용과정에서 가장 결정적인 부분은 면접이라고 보았고 면접 준비에 많은 개인적인 노력들을 쏟았다. 더불어 이들이 직장 어린이집 취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느낀 아쉬움과 어려움, 혼란도 적지 않았던 것 같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교육적 의미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직장 어린이집 취업에 막연한 분위기로 자연스럽게 쏠리게 되는 것이 아닌, 보다 의식적이고 주체적으로 자신의 삶에서 마주치는 것들을 하나의 사건으로 만들고 탐색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자신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돕고 단기적인 취업 성공이 아닌 장기적인 자신의 삶을 고민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성공적인 진로 선택과 취업 준비를 위해서는 다양한 정보원, 지원처의 유연한 활용을 통해 자신에게 적절한 것으로 전환 시킬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하다. 따라서 정보의 홍수 속에서 필요한 정보를 찾고 정확한 정보를 판단하고 거짓 정보들을 걸러내는 등의 주체적 정보 문해력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보육실습은 교사의 자질을 갖추고 그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교사를 길러내기 위한 주요 과정으로 볼 수 있으나, 실습의 본래 목적이나 의미가 퇴색되어 평가와 취업 연계에 대한 두려움이 존재하였다. 이를 위해 원장, 지도교사는 성공적인 조력자 역할을 넘어 훌륭한 삶의 역할 모델이 될 필요가 있다. 넷째, 면접이 국한된 형태와 한정적인 상황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단편적인 측면만을 평가할 가능성이 컸다. 이러한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해 지원자들의 모든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다양한 면접 질문, 방식을 도입하는 변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는 직장 어린이집의 진로 지도, 취업 준비과정을 돕기 위한 의미 있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바람직한 진로 및 취업 지도의 방향을 고민함으로써 신중한 진로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Students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related departments mostly pursue employment in the institu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mong diverse institutions, workplace-based daycare centers are one of the most attractive institutions where many students show their interest. Teachers at workplace-based daycare centers are usually paid more than other types of daycare center and have more opportunities to improve their expertise by receiving high-quality teacher education from the institutions. Due to these advantage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showing an increased level of interest in workplace-based daycare centers. Furthermore,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workplace-based daycare centers has increased the demand for workplace-based daycare center teachers. Based on such situation, preservice teachers' interest in workplace-based daycare centers is increasing; however, getting relevant and precise information about the recruitment process is not easy. The limits of exploring a sufficient level of data during the employment preparation process and the lack of confidence are likely to lead teachers' career change, which might ultimately cause lower quality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tory of seeking employment in workplace-based daycare cent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basic data for those who intend on help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regard to choosing a career path and carrying out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by showing what perspective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toward employment at workplace-based daycare centers and what process takes place during the employment preparation process. Six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preparing for employment at workplace-based daycare center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wo individual interviews and one group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 from early January to late February in 2021. To analyze the data, all transcriptions from the interviews were repeatedly read and coded. By classifying the codes and extracting the meanings, the final themes were emerged. The study utilized a member check as well as the verification and advice from fellow researchers and qualitative research experts for the purpose of securing the validity of the study. The results show that the participants naturally tend toward employment at workplace-based daycare centers as a result of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participants themselves were revealed to have settled on a direction of employment by seeking information about workplace-based daycare centers. They also referred to variety of sources both on- and offline and received help from a variety of support institutions during the actual process of employment preparation. Although their practicum in workplace-based daycare centers was valuable for having actual experiences in the type of institutions, the participants also felt burdened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linking to their future employment chances. In particular, the participants viewed the interview as the most critical part in the recruitment process for workplace-based daycare centers and devoted much of their personal effort into the interview preparation. Furthermore, there was considerable regret, difficulty, and confusion experienced during the preparation process of employment at workplace-based daycare centers. Based on the results, some implications are discussed. First, it is important to help students create what they encounter in their lives consciously and independently as a single event and to explore this event, as opposed to spontaneously being driven by a vague atmosphere toward employment at workplace-based daycare center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help students sufficiently understand themselves and instruct them in a way that allows them to think over their life in the long-term rather than simply succeed in getting employed in short-term. Second,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have the ability to convert resources into something adequate for themselves by flexibly utilizing a variety of information sources and support institutions in order to successfully choose a career path and prepare for employment. Therefore, students require independent information literacy ability which involves finding the necessary information within a deluge of information, determining the accurate information, and filtering out false information. Third, although the practicum is a key process for developing preservice teachers with the necessary qualifications as teachers and the ability to successfully perform such a role, the original purpose and meaning of the practicum have been distorted into something that involves fear in terms of evaluation and employment linkage. Consequently, directors and mentor teachers need to serve as excellent life role models beyond the level of successful helpers. Fourth, as the interviews were limited in form and circumstance, it was only possible to make assessments about fragmentary aspects of the applicants.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it is necessary to make changes that involve adopting a variety of interview questions and methods capable of allowing applicants to exert all of their cap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meaningful data that guides career paths and aids the process of employment at workplace-based daycare centers. By being concerned with a more desirable direction of guidance for career paths and employment, it would hope that preservice teachers are able to carefully choose a career path and reduce the problem of childcare teacher turnover.

      • 예비유아교사의 전공만족도가 교사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김홍길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major satisfaction on the image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an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leadership. For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s. 1. Are there correlations betwee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ajor satisfaction, the teacher image, and the self-leadership? 2. Does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ajor satisfaction affect the teacher image? 3. Does the self-leadership have a mediating effect whe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ajor satisfaction affect the teacher ima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6 university students in the 4th year who belonged 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f 4-year college in Daejeon and Chungchungdo. For the major satisfaction, the major satisfaction measurement tool by Yejung Han(2014) and Markeum Yoo(2013), was revised for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For the teacher image, the items of the teacher image by Dongsup Ko(2001) was revised and used for this study. It was originally developed by Chilsun Ryu(1998). For the self-leardership, this sutdy used Abbreviat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ASLQ) of Jiyoon Park(2017), originally developed by Houghton, Dawley, and DiLiello (2012). After conducting the preliminary survey, this survey was conducted and a total of 284 questionnaires were used as final analysis data.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pre-service teachers' major satisfaction, the teacher image, the self-leadership were calculated and the reliability of the items was testified by Cronbach's alph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re-service teacher’s major satisfaction on the teacher image. Finally, the three-step regression method proposed by Baron and Kenny (1986) was us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teacher’s major satisfaction and the teacher image. This process was done through SPSS 2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pre-service teachers' major satisfaction, the teacher image, and the self-leadership were examined. Major expectation out of the major satisfaction, Occupational consciousness out of the teacher image, Task motivation out of the self-leadership showed the highest average sco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jor satisfaction and the teacher image, all the sub-factors of two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Occupational consciousness out of the teacher image had the strongest correlation with the major satisfaction.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average of the pre-service teachers' major satisfaction, the teacher image, and the self-leadership was generally high and there were correlations between them. Second, the effect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ajor satisfaction on the teacher image was confirmed except two sub-factors: Professional function, and Major Expectation. The major satisfaction gave an influence of the teacher image and the major satisfaction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was related closely to the Occupational consciousness out of the teacher image. Third, the self-leadership had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process of the major satisfaction’s influence on the teacher image. Thus, it was confirmed that if the self-leadership became stronger, the major satisfaction would gets higher and the teacher image could be improved positively.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major satisfaction gave an effect on the teacher image and the self-leadership was found to mediate all the sub-factors of the teacher im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data to support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y knowing the effects of pre-service teacher's satisfaction on the teacher image, and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between the major satisfaction and the teacher im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major satisfaction on the image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an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leadership. For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s. 1. Are there correlations betwee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ajor satisfaction, the teacher image, and the self-leadership? 2. Does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ajor satisfaction affect the teacher image? 3. Does the self-leadership have a mediating effect whe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ajor satisfaction affect the teacher ima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6 university students in the 4th year who belonged 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f 4-year college in Daejeon and Chungchungdo. For the major satisfaction, the major satisfaction measurement tool by Yejung Han(2014) and Markeum Yoo(2013), was revised for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For the teacher image, the items of the teacher image by Dongsup Ko(2001) was revised and used for this study. It was originally developed by Chilsun Ryu(1998). For the self-leardership, this sutdy used Abbreviat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ASLQ) of Jiyoon Park(2017), originally developed by Houghton, Dawley, and DiLiello (2012). After conducting the preliminary survey, this survey was conducted and a total of 284 questionnaires were used as final analysis data.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pre-service teachers' major satisfaction, the teacher image, the self-leadership were calculated and the reliability of the items was testified by Cronbach's alph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re-service teacher’s major satisfaction on the teacher image. Finally, the three-step regression method proposed by Baron and Kenny (1986) was us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teacher’s major satisfaction and the teacher image. This process was done through SPSS 2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pre-service teachers' major satisfaction, the teacher image, and the self-leadership were examined. Major expectation out of the major satisfaction, Occupational consciousness out of the teacher image, Task motivation out of the self-leadership showed the highest average sco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jor satisfaction and the teacher image, all the sub-factors of two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Occupational consciousness out of the teacher image had the strongest correlation with the major satisfaction.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average of the pre-service teachers' major satisfaction, the teacher image, and the self-leadership was generally high and there were correlations between them. Second, the effect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ajor satisfaction on the teacher image was confirmed except two sub-factors: Professional function, and Major Expectation. The major satisfaction gave an influence of the teacher image and the major satisfaction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was related closely to the Occupational consciousness out of the teacher image. Third, the self-leadership had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process of the major satisfaction’s influence on the teacher image. Thus, it was confirmed that if the self-leadership became stronger, the major satisfaction would gets higher and the teacher image could be improved positively.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major satisfaction gave an effect on the teacher image and the self-leadership was found to mediate all the sub-factors of the teacher im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data to support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y knowing the effects of pre-service teacher's satisfaction on the teacher image, and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between the major satisfaction and the teacher image. 목 차 국문개요 ⅰ 목차 ⅳ 표목차 ⅵ 그림목차 ⅶ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6 Ⅱ. 이론적 배경 7 1. 전공만족도 7 2. 교사이미지 13 3. 셀프리더십 20 Ⅲ. 연구 방법 27 1. 연구 대상 27 2. 연구 도구 28 3. 연구 절차 33 4. 자료 분석 35 Ⅳ. 결과 및 해석 37 1. 예비유아교사의 전공만족도와 교사이미지, 셀프리더십의 상관 37 2. 예비유아교사의 전공만족도가 교사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40 3. 예비유아교사의 전공만족도와 교사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 효과 44 Ⅴ. 논의 및 결론 58 1. 요약 및 논의 58 2. 결론 및 제언 64 참고문헌 66 ABSTRACT 76 부 록 80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전공만족도가 교사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선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예비유아교사의 전공만족도와 교사이미지, 셀프리더십의 상관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2. 예비유아교사의 전공만족도가 교사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문제 3. 예비유아교사의 전공만족도가 교사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서 셀프리더십이 매개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 충청권 소재 4년제 대학의 유아교육과에 다니고 있는 4학년 학생 중 교육실습을 완료한 예비유아교사 286 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 중 전공만족도는 한예정(2014)과 유맑음(2013)이 사용한 전공만족도 측정 도구를 예비유아교사에게 맞게 수정, 보완했다. 교사 이미지는 류칠선(1998)이 개발한 유치원 교사 이미지 평가 척도를 토대로 한 고동섭(2001)의 연구에서 사용된 교사 이미지 항목을 수정,보완 하여 사용하였다. 셀프리더십은 Houghton 과 Dawley, DiLiello(2012)가 개발한 단축된 셀프리더십 측정도구 ASLQ(Abbreviat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를 박지윤(2017)이 번안한 문항을 사용하였다. 예비조사를 거쳐 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84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전공만족도와 교사이미지, 셀프리더십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문항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 α 계수를 구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전공만족도가 교사이미지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지수를 산출하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전공만족도가 교사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Baron과 Kenny (1986)이 제시한 3단계 회귀 분석 방법을 사용하고 타당성을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SPSS 22.0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전공만족도와 교사이미지, 셀프리더십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본 결과 전공만족도는 전공기대가 교사이미지는 직업의식이 셀프리더십은 과제동기가 가장 높은 평균으로 나타났다. 전공만족도와 교사이미지의 상관성을 살펴보았을 때, 모두 상관이 있으며 교사이미지의 직업의식이 전공만족도와 가장 높은 상관이 있었다. 이로서 예비유아교사들이 전공만족도, 교사이미지, 셀프리더십이 평균과 표준편차가 대체적으로 높고, 상관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전공만족도가 교사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을 때, 하위 영역인 전문적 기능과 전공만족도 하위 영역이 전공 기대를 제외한 모든 하위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서 전공만족도는 교사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며, 그 중 예비유아교사들의 전공만족도가 교사이미지의 직업의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전공만족도가 교사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서 셀프리더십이 매개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살펴본 결과, 셀프리더십은 전공만족도가 교사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셀프리더십의 강화로 전공만족도를 높여 교사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전공만족도가 교사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볼 수 있었고, 셀프리더십이 모든 교사이미지의 하위영역에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전공만족도가 교사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예비유아교사에 대한 지원의 필요에 관련하여 재고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분노표현양식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최지혜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정서지능과 분노표현양식이 예비유아교사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며, 이를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대인관계능력을 증진하기 위한 교사양성 교육과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분노표현양식 및 대인관계문제는 어떠하며, 개인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분노표현양식 및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분노표현양식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P시에 소재하고 있는 2, 3년제 대학과 4년제 대학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40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정서지능을 측정하기 위해 최일선, 조은주(2010)의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분노표현양식 척도(STAXI-K), 대인인계문제 원형척도 단축형(KIIP-SC)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분노표현양식 및 대인관계문제의 인식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예비유아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정서지능과 분노표현양식 및 대인관계문제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정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분노표현양식 및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마지막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분노표현양식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의 정서지능과 분노표현양식(분노억제, 분노표출, 분노조절) 및 대인관계문제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정서지능은 5점 척도에서 평균 3.45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중 타인 정서인식하기를 가장 높게 인식하는 반면, 자기 정서조절하기를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였다. 분노표현양식 중 예비유아교사들은 분노조절과 분노억제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반면, 분노표출은 상대적으로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의 대인관계문제는 5점 척도에서 평균 2.34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중 자기희생과 관련된 문제를 가장 높게 인식하는 반면, 자기중심성과 관련된 대인관계문제는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변인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은 학년과 실습경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1학년 보다는 3학년이, 실습경험이 없는 예비유아교사 보다 실습경험이 있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정서지능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노표현양식 중 분노표출은 성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분노표출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분노표현양식 및 대인관계문제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분노표현양식 중 분노조절은 대인관계문제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분노표현양식 중 분노표출, 분노억제와 대인관계문제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분노표현양식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대인관계문제 전체에 대해 분노표현양식 중 분노억제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정서지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노억제는 대인관계문제의 모든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비주장성, 과순응성, 자기희생, 과관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서지능은 대인관계문제의 하위요인 중 자기중심과 냉담, 사회적 억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분노표출은 대인관계문제 전체에는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대인관계문제의 하위요인 중 통제지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예비유아교사들이 자신의 화난 감정을 자기 내부로 돌리거나 억압하려는 경향이 높을수록, 정서지능이 낮을수록 대인관계에서 오는 문제와 어려움을 많이 경험하게 됨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예비유아교사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정서지능과 분노표현양식의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조절하고, 일상생활에서 경험하게 되는 분노를 포함한 다양한 정서를 어떻게 표현하느냐에 따라 대인관계에서 오는 문제를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들은 졸업 후 교직에 입문하게 되는데, 대학시기에 겪는 대인관계의 문제나 어려움은 대학생활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이후 유아교사로서 다양한 대인관계 속에서 직무를 수행할 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교사양성 교육과정에서 대학생들의 정서역량을 강화하여 대인관계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훈련과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how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anger expression style affect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 and finally to provide reference data for developing teacher training program which can help enhance their interpersonal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1. What are the rang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what anger expression styles and interpersonal problems do they have? And do they vary based on personal variables?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anger expression style / interpersonal problems? 3. How do their personal intelligence and anger expression style affect their interpersonal problems? The surveys and interviews conducted as part of this study targeted those study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f 2, 3 and 4-year-course colleges based in P metropolitan city and the number of respondents was 406. The questionnaire used to measure the respondents’ emotional intelligence was based on and revised from the one devised by Il-Sun Choi and Eun-Joo Jo(2010). Also, STAXI-K and KIIP-SC were used to measure index of anger expression style and interpersonal problems respectively. SPSS 21.0 program was utilized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during this study. Firstly,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nd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o check the respondents’ level of recognition of the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ger expression style and interpersonal problems. Also, T-Test and one-way ANOVA were applied to learn how the respondents’ personal variables affect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ger expression style and interpersonal problems. Lastly, progressiv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see how the respondents’ emotional intelligence and anger expression style affect their interpersonal problem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pondents scored 3.45 points in average out of 5 in emotional intelligence, where as a sub-factor the respondents appeared to recognize others’ emotions rather than theirs. Regarding anger expression style, the respondents appeared to use anger control and anger-in more frequently than anger-out. They scored 2.34 points in average out of 5 in interpersonal problems, where as a sub-factor the respondents appeared to recognize the problems related to self-sacrifice more than the interpersonal problems related to egocentrism. The emotional intelligence varied among the respondents depending on their experience of training program. Senior students and those with relevant experience appeared to recognize the emotional intelligence better than junior students and those without. Also, there was a notabl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when it came to anger-out of anger expression style, which appeared that male students are more likely to use anger-out than female students are. Second,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regarding the relationships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ger expression style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re appeared to be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anger-out / anger-control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ird, Regarding the effec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anger expression style on their interpersonal problems, anger-in was found to have the most influence on all interpersonal problems more than the other anger expression styles. The second most influential factor affecting the interpersonal problems was emotional intelligence. Anger-in appeared to affect all sub-factors of interpersonal problems and especially, unassertiveness, over-adaptableness, self-sacrifice and over-participation appeared to be most affected by it. Also, emotional intelligence appeared to affect egocentrism, indifference and social inhibition more than any other sub-factors of interpersonal problems. Meanwhile, anger-out did not appear to affect all interpersonal problems, however, it was found to have most influence on Control-Dominance than the other sub-factors of interpersonal problems. In other words, the more they tend to control or keep their anger to themselves and the lower their emotional intelligences are, they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the problems and difficulties arising from their interpersonal problems. Through the course of this research, the effec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anger expression style on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 was learned, the result of which shows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ay decrease or increase the problems coming from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 depending on how they control and express their various emotions including anger which can be frequently experienced in their daily life. As their problems and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 will continue to occur throughout not only their time in college but also their entire life including their teaching career,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y need to have training and education to enhance their interpersonal relation abilities by improving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through various teacher-training programs.

      • 예비유아교사의 양성과정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이혜경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how pre in-service infant teachers recognize experiences that they would go through during infant teachers training proces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the study had an interview with a total of five pre in-service infant teacher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College A as a senior. The collected data as interview records, journals by the researcher and others collected via email and a messenger were processed into different codes by subject and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e in-service infant teachers said that they have understood early childhood education via lectures that they had attended at institutes during the infant teachers training process. The pre in-service infant teachers believed that, in order to underst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y need to know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the importance of infant teachers' responsibility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real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Second, the pre in-service infant teachers said that they got closer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via extra experiences other than what they have learned from lectures in the institutes during the infant teachers train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 in-service infant teachers, they came to understand mor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they would experience various roles of an infant teacher, building up practical teaching skills by themselves rather than only stay at school and listen to lectures. Third, the pre in-service infant teachers said that they could focu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personally visiting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They added that they got themselves into early childhood education even more as they studied levels of infants in the real field, built a relationship with teaching practice directors and forming one's own teaching philosophy as well.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들이 유아교사 양성과정 중에 일어나는 경험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A대학의 유아교육과 4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5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했다. 면담 녹음파일, 연구자 저널, e-mail이나 메신저로 수집된 자료는 연구목적에 따라 주제별로 코드화하여 분석의 과정을 거쳤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교사 양성과정동안 기관의 수업들을 통해 유아교육을 이해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교육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유아기기의 중요성, 유아교사직의 중요성, 유아교육현장을 이해해야 한다고 밝혔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교사 양성과정 동안 기관의 수업 이외의 경험들을 통해 유아교육에 가까워 질 수 있었다고 하였다. 예비유아교사들은 수업 이외에 유아교사의 다양한 역할을 경험하고, 개별적으로 자신들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 나가며 실천적인 교사교육의 경험을 쌓으면서 유아교육에 가까워졌다고 말했다. 셋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교육현장을 직접 경험함으로써 유아교육에 몰입할 수 있었다고 하였다.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의 수준을 파악하고 실습지도교사와 관계를 맺으면서 성장하고 나만의 교직관을 형성해 나감으로써 유아교육에 몰입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