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혼 후 아동양육 태도에 관한 연구 : 협의이혼 판결 대기자를 중심으로

        이창복 대전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가 혼인을 해서 일생을 마칠 때까지 공동생활을 영위하며 약속을 기반으로 정신적, 육체적, 경제적 관계를 이루면서 산다는 것은 행복을 추구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또한 가정을 이루며 부모와 자녀 관계에서 아동에 대한 부모역할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혼인 관계의 해소에서 이혼은 당사자뿐만 아니라 그 자녀의 인격형성과 정서 등이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고 사회적. 국가적 악영향이 될 위험 부담에 대한 우려가 된다.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사회구조의 변화와 가족구조의 변화, 그리고 가치관에 따라 가족 구조도 다양해져 가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이혼의 증가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이혼과 연결된 문제는 경제 문제, 자녀 문제, 정서적 문제, 대인 관계 문제로 나타난다. 그중 미성년 자녀 문제는 그들 대부분이 이혼의 실제적인 가장 큰 피해자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혼을 망설이게 하는 가장 큰 장애 요인으로 나타나며 이혼 당사자, 특히 부모에 대해 더 냉담한 사회적 비난이 가해지는 경향이 강하다 이혼으로 인한 자녀의 부양에 대한 책임의무를 가지게 되는 부모 중 어느 부(父)나 모(母)는 경제적으로 안정 되지 않으면 부(父)나 모(母)와 더불어 자녀들이 계속적인 유지가 어렵고, 자칫 불행을 초래하는 비극의 시작이 더 큰 비중을 가져 올 수 있다. 그러므로 이혼 후 부모는 아동에 대한 관심이 소홀해지면서 아동에게는 많은 스트레스와 부담을 주게 된다. 현재 협의이혼은 가정법원의 숙려제도를 도입하기 전 실시하는 절차의 단계에서 협의이혼 면담 및 상담을 통해 이혼하게 되는 당사자들이 신중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잘 활용되고 있으며, 미성년 자녀를 두고 있는 이혼 부모에게는 이혼 비율 저하에 좋은 성과를 거두기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혼 후 부모와 아동 관계에서 아동양육에 대한 관심을 알아보기 위해 이혼 부모 배경 변인 즉, 성별, 나이, 결혼 기간, 종교, 교육수준, 직업, 경제수준, 아동 양육처, 자녀가 부모 이혼사실 알게 되는 점. 이혼 이유. 이혼 당사자들의 미성년 자녀를 살펴보고, 아동양육비와 면접교섭, 이혼 후 부모의 아동양육에 대한 프로그램과 강좌를 통해 아동양육에 대한 관심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혼하게 되는 연령층으로 30대가 가장 많았다. 그리고 이혼 후 부/모의 직업에서 무직상태가 가장 많았고 월평균 소득이 없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둘째, 이혼하게 되는 이유에 대해서는 성격 차이가 가장 주된 이유로 나타났다. 셋째, 이혼 후 아동의 양육 처에 대한 사항에서는 생모가 가장 많았다. 넷째, 비 양육 부/모의 면접교섭에서 자녀와 접촉의 경우, 아동과의 통화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이 많았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가족 간 불화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다섯째, 비 양육 부/모가 아동을 양육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에 대한 항목 중에 교육비를 지원하게 되는 것에 대해서 교육비를 지원할 의사가 없다는 응답자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이혼 후 아동양육을 위해서 프로그램과 강좌를 실시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는지에 대해서 매우 긍정적인 의사를 가지고 있는 응답자가 많았다.

      • 장애아동 부모의 미술치료 서비스 요구에 관한 연구

        최효진 대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연구 목적은 장애아동에게 실시되고 있는 미술치료 서비스에 대한 부모의 요구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구학적변인, 장애아동 미술치료 서비스 이용실태, 장애아동 미술치료 서비스 만족도, 장애아동 미술치료 서비스 요구에 대한 4가지 영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구성하여, 장애아동 미술치료 서비스의 이용실태와 만족도 및 요구를 조사하고 이용자의 특성요인에 따른 미술치료 서비스 만족도의 차이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현재 복지관 및 사설 치료실에서 미술치료 서비스를 받고 있는 아동의 부모 300명을 대상으로, 장애아동 미술치료 및 유사 재활치료 서비스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구성된 설문지를 E-mail과 우편을 통해 배포하여 응답한 128명의 결과 중, 119부를 종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3년 4월 8일에 E-mail과 우편을 통해 1차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이후 4월 22일에 2차로 설문지를 재 배부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동 미술치료 서비스 이용 실태에서, 미술치료 서비스를 받는 아동은 학령 전기보다 학령기 아동인 경우가 더 많았으며, 장애 유형은 지적장애를 가진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치료 서비스 이용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살펴보면, 과정만족도, 환경만족도, 전반적만족도 및 전체 서비스만족도에서 평균적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술치료 서비스 이용자 특성에 따른 서비스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장애아동 부모의 직업이나 학력, 소득은 미술치료 서비스 만족도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재 장애아동 미술치료 서비스 이용자의 미술치료 서비스 요구를 살펴보면, 미술치료 서비스를 통한 아동의 변화 요구에서 아동의 사회성 향상을 요구하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 형태의 미술치료 서비스를 많이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rt therapy service needs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aries which constructed with 4 area such as demographical variables, art therapy service reality, art therapy service satisfaction and art therapy service need are constructed. With this survey, art therapy service reality, satisfaction and needs were investigated and differences according to user’s factor were examined. The subjects were 300 parents whose children is attending art therapy service in welfare center or private clinic. The questionaries constructed based on prior studies on art therapy of related rehabilitation therapy services, and distributed on e-mail and post mail. As a result, 128 people responded the survey and 119 data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questionaries delivered at April, 8th for the 1st survey, and April, 22nd for the 2nd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art therapy service reality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ho receiving art therapy service and service type were clarified. Second, in the art therapy service user satisfaction, parents were averagely satisfied with art therapy service in total service satisfaction and sub-factors. And parents’ job, scholarship and incomes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s on service satisfaction. Third, in the art therapy service needs, the needs on enhancing sociality showed most frequent needs on children’s changes, and group type art therapy service for enhancing sociality were verified as most needed service type.

      • 재외동포 아동 학습자용 한국어 교재의 학습 활동 연구 : 미주 지역을 중심으로

        현나래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아동 대상의 교육에서 ‘활동’은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학습 동기를 고취시키는 중요한 요소이다. 한국어 교육에서도 ‘활동’은 재미있게 한국어를 학습 하도록 하는 중요한 요소로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활동’의 중요성이 더욱 대두된다. 본 연구는 재외동포 아동 학습자용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학습 활동의 유형을 분석하고 개선점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재외동포 대상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방면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재외동포 학습자의 대다수가 아동인 점을 고려할 때 아동 학습자용 교재를 분석하고 개선점을 제안하는 것은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구를 위해 미국의 한글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교재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고 현지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된 3종의 교재를 분석하여 교재에 제시된 학습 활동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분석 대상의 교재는 『맞춤 한국어(영어권)』, 『한글학교 한국어』, 『한국어』로 3종이며 분석 결과 세 교재 모두 학습 활동의 유형이 2~3가지의 소수 유형에 지나치게 치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재의 학습 단계가 높아질수록 학습 활동의 유형 또한 다양화 되는 경향을 보이고는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2~3가지의 유형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어서 유형을 다양화 화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교사 대상의 요구 조사에서는 대다수의 교사가 아동 대상의 한국어 수업에서 다양한 학습 활동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보였으며 재미있는 활동이어도 반복적으로 제시되면 아동들의 집중력이 떨어지므로 적절한 시간 분배와 활동 방법에 다양한 변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수업 구성안을 제안하였다. 아동 학습자의 짧은 주의 집중력을 고려하여 활동에 지속적인 변화를 주는 것에 초점을 두었고 정적인 활동과 동적인 활동을 적절히 배분하여 수업을 진행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실제 수업에 적용한 결과를 도출하지 못했다는 제한점이 있으나 교사의 요구와 교재 분석을 바탕으로 보다 다양한 유형의 학습 활동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현지 맞춤형 한국어 교재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단계인 만큼 현지 교육 환경과 학습자 특성에 대한 조사와 연구가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며 재외동포 아동들의 특성과 흥미를 고려하여 활동 부분의 특성이 강화된 재미있고 활용도 높은 교재가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Activity" is an important factor to arouse the interest of the learner, to inculcate learning motivation in the education of children. The "Activity" is an important facto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f you would like to target the children, the importance of "Activity" has increased. In this study, it is an object of the invention to analyze the type of learning activities that are presented in Korean teaching materials for learners of overseas compatriots children, to seek improvements. Studi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have carried out in various fields.In view of learners majority are children, it may be that there is significant that analyze the materials for learning children, we propose improvements. To target the Korean school teacher in the United States for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an opinion on the materials you are currently using. Analyze the materials of three surveyed that is frequently used in the field, and classify the type of learning activities that are presented in the materials. Teaching material to be analyzed, is three 『Matchum Korean(English-speaking)』, 『HangeulHakgyo Korean』 and 『Korean』. Results of the analysis,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the type of learning activities for all three materials are concentrated too much on the type of 2~3. It shows a tendency that as learning phase of the materials is high, the type of learning activities to diversify. Types of 2-3 has appeared repeatedly in general. Therefore, it seems to be needed is an effort to diversify the type. In the needs assessment of teachers, in the classroom in Korean school children, teachers majority opinion showed learning various activities that they need. Even fun activities, and is repeatedly presented, concentration of children is reduced,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various changes are required for proper activity and how time allocation. In chapter 5, it suggested the lesson structure plan with a focus on activities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It was focused on having regard to the attention concentration short children learn to provide continuous change of the activity. Further, it was configured so as to be able to advance the teaching by appropriately distributing the dynamic activity and static activity. However, limitation that did not effect the results of applying the actual classes are provided. It could be based on analysis of the materials needs and teachers, to draw conclusions learning activities more various types that are required. In just a stage customization Korean local materials have been developed on an ongoing basis, and research study on student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 local should be done. It should be continuously developed teaching materials with high degree of leverage interesting that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interests of overseas Korean children, characteristic of the part of the activity is enhanced.

      • 아동시설 입소전문상담 필요성 연구 : 아동그룹홈중심으로

        김미향 전주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아동복지시설에 입소하고 있는 아동과 시설관계자를 대상으로 시설에 입소하기 전 입소에 관련한 전문적 접근 상담의 필요성을 연구하고자 진행되었다. 전라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아동공동생활가정(그룹홈) 38개소와 가출청소년쉼터 3개소의 시설을 대상으로 현재 실시되고 있는 입소상담에 대한 견해와 실태 및 입소상담을 전문적으로 접근해야할 입소전문상담의 필요성과 개발방안을 알고자 선행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를 본 연구에 맞도록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그 결과로 입소전문상담이 시설에 입소하게 될 아동의 부정적 감정(불안,두려움등)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 이라는 기대와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입소 상담으로도 시설의 부적응으로 인한 전원이 감소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입소전문상담 필요성 관련 질문은 5점 만점에 입소전문상담의 도움기대정도 3.83점, 부정적 감정(불안감등) 감소기대정도 3.63점, 입소전문상담의 시설적응 도움기대정도 3.82점, 입소상담의 전문가 필요성 3.54점으로 나타났다. 시설관계자와 아동들이 입소전문상담의 필요성과 도움에 대한 기대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In this study, the children admitted to child welfare officials and facility officials in the target before the entrance to entrance counseling regarding the need for a professional approach to research was conducted wish. Based in Jeolla Province in group homes for children (group home) 38 points and three places of shelter for street children who are being carried out in consultation with the views and Conditions and entrance counseling should approach a professional counselor to know the needs and development plans of the questionnaires used i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modifying the fit was used. As a result, the admission counselor for children to be admitted to the facility's negative emotions (anxiety, fear, etc.) will be able to reduce the need to recognize that the expectations, respectively. Also in consultation with the existing entrance power is reduced due to the misfit be identified. Questions need admission counselor entrance is situated on approximately 3.83 expected for the help of professional counseling, negative emotions (anxiety, etc.) decreased 3.63 points about expectations, expectations admission counselor about 3.82 for the help in adaptation, admission counseling professionals need 3.54 points, respectively. Facility officials and children are admitted in the need for professional counseling and help to understand the expectation was high.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 사회적 지지에 따른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태도

        김순기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자녀의 장애유무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비교해보고 사회적 지지와 양육태도간의 관계를 장애아동 어머니와 비장애아동 어머니를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만 2세에서 만7세까지의 장애아동 어머니 193명, 비장애아동 어머니 158명, 총 351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료 수집을 실시, 분석하였으며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동 어머니, 비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비장애아동 어머니가 전반적인 사회적 지지가 더 높고 애정적, 자율적인 양육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장애아동 어머니는 비장애아동 어머니보다 거부적 양육태도를 더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장애아동 어머니와 비장애아동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 양육태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장애아동 어머니 집단에서는 사회적 지지의 하위 요인중 정보적 지지가 애정적 태도, 자율적 태도, 통제적 태도와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비장애아동 어머니 집단에서는 애정적 태도, 자율적 태도만이 정보적 지지와 정적 상관을 보이는 차이점을 보였다. 셋째, 장애아동 어머니, 비장애아동 어머니에 따라 사회적 지지가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비장애아동 어머니는 정서적 지지가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장애아동 어머니는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가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장애아동 어머니와 비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태도에는 차이가 나고 이러한 양육태도를 조절하기 위해 장애아동 어머니에게 사회적, 심리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 한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아동 어머니의 심리상담 및 양육 상담에 대한 제언점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styles of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by comparing their parenting styles.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a total of 351 mothers - 193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and 158 mothers with normal children - living in the Greater Seoul Metropolitan Area, with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two to seve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amined if differences between the parenting styles of the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and mothers with normal children existed. The study found that mothers with normal children had higher social support and showed affectionate and autonomous parenting styles while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showedm more rejection toward their children than mothers with normal children. Second,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styles of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and mothers with normal children. The study concluded that the group with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formative support, a lower variable of social support and affectionate, autonomous, and dominant attitudes, but the group with mothers with normal childre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formative support and only affectionate and autonomous attitudes. Third, the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social support has on parenting styles of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and mothers with normal children. The result was that the parenting styles of mothers with normal children were influenced by emotional support while the parenting styles of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were influenced by both emotional support and appraisal support.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need social and psychological support in order to regulate their parenting styles as the parenting styles of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differ from the parenting styles of mothers with normal children. The study suggests the need for psychological and parenting counseling of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 아동사서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연구

        이숙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의 목적은 아동사서의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계속교육과정의 편성방향과 운영에 관한 내용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의 계속교육프로그램 운영방향, 미국과 일본의 계속교육현황을 사례로 살펴보고 또한 공공도서관의 어린이자료실에서 근무하는 사서를 대상으로 계속교육의 필요성과 필요로 하는 교육과정, 그리고 희망하는 교육기관을 살펴보았다.그 내용을 종합해 보면 국내 일부대학의 문헌정보학과에서는 아동사서 양성을 위해 어린이·청소년을 위한 장서개발과 독서지도교육과정을 개설하였고, 계속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대표적 기관으로는 국립중앙도서관, 느티나무도서관학교, 인표어린이도서관으로, 국립중앙도서관에서는 독서지도와 독서치료의 과정을 중점적으로, 느티나무도서관학교와 인표어린이도서관에서는 아동사서로서 지녀야할 전반적인 소양을 강좌로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일본의 경우는 일본도서관협회에서 일년에 2회에 걸쳐 아동사서 양성과정을 운영하고 전국아동도서관원대회를 매년 개최하여 아동사서의 전문성 향상을 지원하고 있다.미국의 경우에는 대학에서 아동사서가 되기 위해 이수해야 할 과목들을 개설하고 있으며, 현장에서 근무하는 아동사서의 전문성 및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계속교육은 미국도서관협회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국내 어린이서비스 담당사서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아동사서를 위한 계속교육은 필요하며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 계속교육을 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였다.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아동사서를 위한 계속교육프로그램 내용과 교육방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첫째, 계속교육과정에 포함되어야 할 교과목에는 아동사서가 수행해야 할 모든 업무가 이론적 실무적으로 포함되어야 함은 물론 새롭게 발전하는 주제분야를 신속히 반영하여야 한다. 또한 운영되는 계속교육프로그램은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 상으로 참가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보완 갱신될 수 있어야 한다.둘째, 계속교육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 적절한 교육방법을 도입하여 많은 아동사서가 참석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지방의 근무자를 위해 순회 교육도 실시하고 특히, 첨단의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교육방법을 도입하여 거리와 시간에 관계없이 아동사서가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또한 효과적인 계속교육과정으로 운영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여건이 조성될 것을 제시하였다.첫째, 아동사서에 대한 계속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은 어린이 및 청소년이 주 이용계층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 개발 운영하여야 한다. 2006년 개관한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은 국내 어린이도서관의 발전을 지원하여 어린이에게 바람직한 도서관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국내어린이도서관의 구심체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그 주요 기능으로 특히, 문화관광부령 제21조④항6에 의하면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은 “아동사서 육성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을 하도록 하고 있다.둘째, 아동사서를 위한 계속교육과정 개발과 관련하여 교육을 담당할 전문가 양성이 신속히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대학의 문헌정보학과 및 도서관 현장에서는 최근 사회적 동향을 반영하여 교육과정을 개편 혹은 보강하며 교육전문가를 양성하여야 한다.셋째, 아동사서가 적극적으로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이 조성되어야 한다. 사서가 일정수준의 계속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할 경우 아동사서로의 자격을 부여할 수 있는 방안도 그 한 가지 제안이다.마지막으로 아동사서가 소속되어있는 기관에서 사서들이 적극적으로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교육받은 사서에 대한 보직관리를 할 수 있는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교육받은 아동사서들이 지속적으로 어린이에 대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준다면 아동사서들은 전문성과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역량있는 아동사서로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핵심 되는 말: 아동사서, 어린이사서, 계속교육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and administration of continuing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specialization of children's librarians. This study takes as case studies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in Kore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nd examines, through the experiences of librarians working in children's collections of public libraries, the necessity and process of continuing education as well as those educational organizations catered toward continuing education.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thus: For the purpose of training children's librarians, Library Information Sciences departments at some Korean universities have upgraded their training programs in collection development and literacy education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Organizations that offer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include the National Library, the Neuti Namu(Zelkova Tree) Library School, and the Inpyo Children's Library. The National Library focuses on reading development (including remedial reading), while the Neuti Namu Library School and Inpyo Children's Library have established comprehensive training programs for children's librarians.In Japan the Japanese Library Association contributes to the specialization of children's librarians by administering a children's librarian training program twice a year and hosting an annual nationwide children's library conference. In the United States there is a specific curriculum in the universities for those wanting to become children's librarians.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supervised by the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actively cultivate the specialization and capabilities of children's librarians.Surveyed Korean librarians who are offering children's services believe that continuing education is necessary and should be managed by the National Children's Library.Such studies suggest a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for training children's librarians should take on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First, the curriculum should not only include theoretical and practice approaches to all functions of children's librarians, but also keep up with newly developing topics and fields. Th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should also provide a forum for feedback, both online and offline, and be open to constant improvement.Second, new methods should be applied, when appropriate, to incorporate as many children's librarians into th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as possible. A touring education program designed for librarians in the provinces should be implemented, and in particular a variety of educational methods incorporating newer technologies should be used to allow access by librarians regardless of distance or time considerations.To maintain an effectiv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the following conditions should be met.First, the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Young Adults, which caters mainly to children and young adults, should develop and manage this program. The task of the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Young Adults, which opened in 2006, is to serve as the core organization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Korea's children's libraries, and in accordance with a directive from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the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Young Adults is responsible for 'the development and administration of programs to train children's librarians.'Second, the cultivation of specialists in charge of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s librarians must proceed quickl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departments and libraries must revise and strengthen their training programs to reflect social changes and trends.Third, an organizational foundation must be constructed that will allow children's librarian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ir training. There is even a proposal to provide certification to those children's librarians who participate in such training to a certain extent.Finally, a policy must be implemented to encourage children's librarian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raining. If such assistance can be maintained, it will continue to produce capable, specialized, and experienced children's librarians.

      • 아동의 주체 성장 서사 연구 : 창작 단편동화 <너를 믿어봐> 외 4편 첨부

        장경숙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단편동화 <너를 믿어봐>, <돌고래 삼총사>, <따라쟁이 미나>, <달리기 선수 우주>, <한빛이와 물고기>등 다섯 편의 창작 작품과 작품의 창작 동기, 그리고 창작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동의 삶이 주체적으로 이루어지고 성장한다는 것은 주변 인물과의 소통이 제대로 되고, 갈등 극복에 주인공이 적극적으로 대응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그동안 실타래처럼 얽혀있던 문제가 해결되고 한 단계 더 성장한 주인공이 탄생한다. 본고는 동화의 전반적인 목적과 함께 아동이 주체가 되기 위한 과정을 정신분석학의 이론을 통해 알아보았다. 정신분석학은 주체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것들을 거울 단계, 오이디푸스 단계, 도착과 소외, 분리와 관계 맺기로 설명한다. 본고의 창작 단편동화를 중심으로 아동들이 동화를 통해 상상계에서 상징계로 진입하면서 생성되는 심리적 갈등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극복하며, 주체적 존재로 성장해 나가는지에 대해 연구해보고자 했다. <너를 믿어봐>에서 주인공 당당이는 엄마 새와의 분리 불안 때문에 심리적 증상과 신체적 증상을 함께 겪는다. 하지만 당당이에게 자신을 믿어보라고 충고하는 자벌레를 만나면서 온전한 분리를 통해 불안을 극복한다. <돌고래 삼총사>에서 돌고래 돌돌이는 오염된 물 때문에 엄마 돌고래가 죽게 되자 갑작스런 분리로 고통 속에서 힘들어하고 있다. 돌돌이는 친구들의 도움과 위로 덕분에 힘을 내고 새로운 보금자리를 찾아간다. <따라쟁이 미나>에서 주인공 미나는 주변의 관심을 받고 싶어 친구들의 행동을 무조건 따라하는 아동이다. 이 동화는 타자의 욕망에 소외되어 자신이 원하는 것을 하지 못하고 있는 미나가 글쓰기를 통해 자신이 진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게 되고 성장하는 이야기이다. <달리기 선수 우주>에서 비만아 우주는 자신의 모습을 부끄러워하며 자신감을 잃은 아동이다. 우주는 달리기도 잘 못하고, 축구도 잘 못해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하는 속에 소외와 결핍을 경험하게 된다. 그런 우주에게 기적 같은 일이 일어난다. 우주는 성교육 시간에 자신이 태어나기 전 아빠 씨였을 때 달리기 일등을 해서 태어날 수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 덕분에 우주는 자신감을 회복하게 되어 심리적인 불안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들을 치유하게 된다. <한빛이와 물고기>에서 주인공 한빛이는 타자의 아픔이나 감정을 수용하지 못하고 자신이 원하는 대로 행동하는 아동이다. 동생 한솔이 또한 자신이 하고 싶은 대로 행동하는 아동이다. 한빛이는 동생 한솔이라는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보며, 그동안 자신의 행동을 반성하게 되고 주체적인 존재로 성장해나간다. 다섯 편의 창작 동화 속 등장인물들의 한계 상황은 분리 불안, 소외 의식, 관계 결핍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작품 속 아동들은 소외와 분리의 과정을 거치면서 주체적으로 성장해나가는 모습을 보인다. 본고는 소외에서 분리로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주체적 존재로의 성장을 도모하고 발전해가는 성장기 아동의 모습을 이해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분리 불안을 겪는 아동들이 올바른 분리를 통해 성장하는 방법들을 배우고, 소외되고 결핍된 아동들이 글쓰기나 인지를 통해 치유되어가는 모습을 동화 속에 담았다. 태어나기 전부터 타자(부모)의 욕망을 자신의 욕망으로 알고 부모가 원하는 삶을 살아가는 아동들이 현실을 바르게 인식하고, 올바른 관계 맺기를 통해 주체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이는 아동이 소외에서 분리로 나아갈 수 있도록 어른들이 도와야 한다는 의미이며, 이것이 본고가 바라는 궁극적인 동화의 목적이고 지향점이다.

      • 수입 포장지를 이용한 영어 발음 교수 기법 연구 : 식품-중심 수입 포장지를 활용한 아동 영어 발음 수업을 중심으로

        전예은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makes a new headway into the field of English education for children. This study makes new headway into the field of English education for children. The idea proposed in this thesis is very unique and has a fresh perspective which can help build up a strong foundation for English learning. Many young learners of English language struggle to produce the right pronunciation when posed with new and simple words. The teacher faces many problems upon entering a young learner environment including discipline and student focus due to which teaching can be hampered. The need of the hour is something which young learners can easily adapt to so the suggestion of using imported covers for improving the phonetic ability of the students is proposed in this thesis. Young learners love colorful characters and food. They can immediately connect to the imported covers which have numerous fun characters and games. To make the study more deep and interesting it’s based on the following four pillars: student-student interaction, the student’s reverse approach, the picture guessing approach and the teacher action approach. The first approach focuses on student-student interaction. Young learners are able to learn from fellow students. The class is divided into student pairs. One student reads a word written on the imported cover and the other student spells it. It involves team work, because if the first student properly pronounces a word his fellow student is able to spell it correctly. The second approach is the opposite of first one. It’s the reverse student-student interaction. One student spells the word written on the imported box and other student needs to pronounce it correctly. If the student pronounces the word correctly he is awarded. It’s an interesting and innovative way of learning pronunciation of new words. The third approach is the picture guessing approach. The teacher holds the imported box and shows it to all the students. The students have to make the right guess about the picture on the box and then spell that word. The fourth and the last approach are the Teacher-Action approach in which the teacher interacts with the students and guides them on the right way to learn the correct pronunciation. The teacher’s role is very important in that. Proper imported boxes must be selected and the students should be guided properly through the complete activity. All these approaches build a better student-student as well as teacher-student bond. These approaches lead to confidence building in the students plus urging them to words quickly. The class methodology adopted for this study is simple and straight forward. Students can be involved in before, during and after class activities. In this new method, most of the material needed is available at home. These approaches are practical and cheap compared to conventional methods. These approaches are designed to create a positive synergy effect on the young learners mind. 요즈음에는 아동들의 인지적, 정의적, 신체적 특성을 고려하여 감각과 놀이에 의한 체험 학습, 발견 학습을 주로 하도록 하는 추세이기도 하다. 그리고 영어에 대한 친숙감과 자신감을 높여주어 조기 영어 교육 시기에 건실한 밑바탕을 만들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주류에서 영어가 인간 생활의 모든 영역에서 서서히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하게 되면서 조기 영어 교육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영어 교육 현장을 맡고 있는 일원으로서 조금 더 아동친화적인 학습 형태에 대한 책임을 절감하게 된다. 조기 영어교육이 본격적으로 첫 발을 내딛기 시작하면서 자질을 갖춘 영어교사나 원어민 교사 그리고 교실 내에서의 아동의 개인 차 등 아직 많은 문제점들이 산재해 있다. 이것은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로써, 아동들이 생활 주변에서 쉽게 접하고 흥미진진한 영어 수업의 적용이 가능한 실제자료인 수입 식품 포장지를 활용하여 모든 연령 대 아동들의 영어 단어 발음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번 연구를 위하여 본 연구자는 한 달 동안의 모의실험을 통해 본 논문의 수업이 실제 교육환경에서 실현가능한지 확인을 하고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 시킬 수 있는지를 확인한 후 실제 상위 수준 7세 미취학 아동 학생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입 식품 포장지를 활용한 4가지 기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포장지의 시각적인 철자를 활용하여 영어로 쓰인 포장지를 나누어 주고 한 아동이 정답을 알고 있으면서 진행자가 되어 상대편 아동에게 올바른 발음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정답을 맞춘 아동에게는 칭찬의 의미로 캔디를 부여한다. 둘째, 리버스(Reverse) 기법으로써 포장지에 쓰인 철자를 하나 골라 교사 또는 한 명의 아동 학습자가 발음을 먼저 하고 상대방 아동 학습자가 철자를 유추하여 단어를 찾아보는 방식이다. 셋째, 그림 이미지 연상 후 단어 발음 기법은 포장지에 나와 있는 여러 가지 동물들이나 사람의 캐릭터를 보고 아이들이 떠오르는 단어를 발음하기 시작하면 교사가 칠판에 철자를 써주고 그것을 다 함께 아동 학습자가 발음해보는 것이다. 넷째, 교사 중심 발음 유도 기법은 위에서 제시한 3가지 학습법을 전체적으로 복습하면서 단어의 철자를 다시 한 번 읽고 발음해보면서 아동 학습자에게 수업에 대한 목적을 상기시켜주는 것에 의미가 있다. 상황에 따라 각각의 수입 포장지 안의 내용물로써도 수업이 가능하다. 실험 집단은 7세 아동 18명으로써 전부 수입 포장지를 활용하여 수업이 잔행되었다. 동일한 교사에 의하여 실시되었으며, 본 연구 수업은 아동 학습자의 특성 상 집중력과 흥미 유지를 고려하여 수업 시간은 총 25분을 초과하지 않는다. 연구를 위해 실제 수업을 해 본 결과 세 가지의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수업 시 본 논문에 나와 있는 지도안과 모형을 바탕으로 하였고, 앞에서 언급했듯이 단계별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입 포장지를 이용한 아동 학습자들의 영어 발음 수업이 효율적이라는 결론을 도출해 내었다. 또한 단어 발음 능력의 영역과 흥미도와 참여도 및 자신감의 정의적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결과 흥미도와 참여도 및 자신감 같은 아동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영어 교육적으로 의미가 있는 수입 식품 포장지를 이용한 영어 단어 발음수업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그 결과 영어 교육 나아가 영어의 발음 학습을 위한 수입 식품 포장지의 가능성을 타진할 수 있었다. 수업 시 본 논문에 나와 있는 지도안과 모형을 바탕으로 하였고, 앞에서 언급했듯이 단계별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입 식품 포장지를 이용한 아동 학습자들의 영어 발음 수업이 효율적이라는 결론을 도출해 내었다. 또한 단어 발음 능력의 영역과 흥미도와 참여도 및 자신감의 정의적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결과 흥미도와 참여도 및 자신감 같은 아동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영어 교육적으로 의미가 있는 수입 식품 포장지를 이용한 영어 단어 발음수업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그 결과 영어 교육 나아가 영어의 발음 학습을 위한 수입 포장지의 가능성을 타진할 수 있었다. 7세 미취학 아동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수입 식품 포장지를 이용한 영어 발음 수업을 통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취학 아동의 조기 영어 교육 과정에서 문자언어 학습을 지나치게 제한할 필요가 없으며 문자 언어와 음성 언어 지도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초보 읽기 학습자들을 위해 구체적인 철자 발음 지도가 필요하다. 철자를 분해하거나 철자 분해를 통한 단어 발음 연습은 초보 학습자들의 영어 발음에서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으므로 조기 영어 교육의 첫 단계로 이루어져야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높은 수준의 학습자에게 초점을 맞추어 지도하고 연구하였으나 아동 학습자의 개인적인 차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넷째, 영어 단어 발음 지도를 위한 다양한 방법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수입 식품 포장지를 활용한 발음 지도를 통해 영어의 학습 흥미와 발음 능력의 향상을 가져왔듯이 아동 학습자를 위한 다양한 교수법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 빈곤의 관점에서 본 파키스탄의 아동인권: 아동노동문제 중심으로

        김영림 부산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Most of the people in the world persistently put the time and effort to keep the human rights as universal values. Eventually, these efforts are expanded to the rights of the child. As port of this effort, the international society have tried to solve the problem of poverty, but the elimination of poverty is not yet in sight. Poverty has a harmful effect on the fundamental life of people, having a direct impact on human rights. The effects are within a realm of possibility, this situation especially happen to second class citizen. Hence, this paper focuses on child labour. Today, there are still child labour existed in every corner of the world. According to ILO, there are an estimated 168 million child laborers aged 5 to 17. The hazardous working condition, which directly endangers children's health and safety count for over 50% of 85 million. The sub-saharan Africa remains the highness level of child labour, but on a closer view, the largest absolute number of child laborers is found in the Asia and the Pacific region. This is the reason why we do not overlook the problem of child labour. According to ‘Country Partnership Strategy for Pakistan’, we aid them mostly in the energy-centered industry. However, upon considering local condition, the first thing that we take an action is forcing on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it will extend to industrial competitiveness.The majority of child labour in Pakistan occurs in agriculture, next came services and industry. Among them, domestic labour is among the foremost worst forms of child labour and it have drawn the international society’s attention and concern. The reason of child labour in Pakistan consists of absolute poverty, lack of education and socio-cultural factors. Poverty is not only the greatest reason but also the result of child labour. In order to eliminate Child labour, Pakistan government has to overcome the poverty and strengthen th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