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유아 전통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김경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Young Children's Traditional Art Program through Storytelling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is program after applying it to five-year-old children.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What is Young Children's Traditional Art Program through Storytelling? 1-1. What is the goal and the objectives of Young Children's Traditional Art program through Storytelling? 1-2. What are the educational contents of Young Children's Traditional Art Program through Storytelling? 1-3. What are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of Young Children's Traditional Art Program through Storytelling? 1-4. What are the evaluation methods of Young Children's Traditional Art Program through Storytelling? 2. What were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Young Children's Traditional Art Program through Storytelling? 2-1. What were the effects of children's cognition of and preference for traditional culture of Young Children's Traditional Art Program through Storytelling? 2-2. What were the effects of children's art appreciation abilities of Young Children's Traditional Art Program through Storytelling? 2-3. What were the effects of the children's creativity of Young Children's Traditional Art Program through Storytelling? In order to develop program,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Furthermore, teacher interviews were performed and a draft of the program was developed. Suitability and validity of the draft was verified by experts. The goal of the program is to understand Korea's traditional culture through Korea's traditional art and to develop creative expression. The specific objectives included: ‘by experiencing Korean culture inherent in traditional arts, promote familiarity with traditional culture and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arts'; 'by experiencing the beauty of traditional art, promote aesthetic sensitivity and aesthetic attitude’;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traditional art activities, develop creative expression'.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program consists as follows: 'explore and recognize aesthetic elements of traditional art'; 'explore and recognize traditional art culture'; 'explore and recognize traditional culture'; 'interest in traditional art types'; 'explore traditional art materials and techniques'; 'express using materials and techniques in traditional art'; 'express creatively'; 'enjoy expression activities'; 'express thoughts and feelings about traditional culture'; 'appreciate traditional art works aesthetically and critically'; 'share thoughts and feelings about art works'; 'share thoughts and feelings about the process and outcome of expression activities'; 'interest in and understand of traditional life'; 'interest in and understand traditional play'; 'interest in and understand traditional history'; 'enjoy art work'.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of the program consists of teaching -learning principles, teaching-learning procedure, teaching strategies,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teacher’s roles. The principle of teaching-learning was of interaction and interest, as well as integration, experience, balance, sharing, creative expression, imitation and repetitio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of the program is conducted in three stages: 'appreciation of traditional arts through storytelling', 'expression' and 'appreciation of expression works'. The stage of 'appreciation of traditional arts through storytelling' consists of exploring and getting interested in traditional arts, sharing experience related to traditional arts, recognizing traditional arts, getting interested in traditional arts through storytelling, appreciating the beauty of traditional arts through storytelling, and integrating art appreciation. The stage of 'expression' consists of exploring art materials and tools, exploring expression techniques, and expressing them as art activities. The stage of 'appreciation of expression works' consists of displaying expression works, appreciating exhibition works, and evaluating activities. The teaching strategy consists of simulating interest through various media, sharing experience with others, providing various imaginary experiences, questioning and explaining, demonstrating the expressive techniques of traditional art, doing various positive interactions and encouraging free and creative expression. The teacher’s roles are motivator, provider, interactor and model.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consists of traditional art appreciation materials, storytelling media, and traditional art expression materials. Traditional art appreciation materials are traditional artworks. Storytelling media includes videos, photos and pictures, PPT, hand puppet, rod puppet. Traditional art expression materials includes painting tools, paint, paper, craft tools and various materials. The program evaluation consists of children's evaluation, teacher's evaluation. This program was applied to 46 children (23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3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at B kindergarten in Seoul from September, 2015 to December, 2015 in order to examine its effects. The pre-test for young children’s, cognition of and preference for traditional culture, art appreciation abilities, and creativity was evaluated before applying this program. After the 12-weeks period, the post-evaluation was done using same evaluation tool. Data was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s t-test. The effects of the post-test showed that cognit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its sub-categories(traditional clothing, food, houses, cultural assets, plays, art)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ffects of post-test show that preference for traditional culture and its sub-categories(traditional clothing, food, cultural assets, plays, art). However, traditional houses was not significantly improved. The effects of post-test showed that art appreciation abilities and its sub-categories(observation and description, topic setting, atmosphere of the work, attitude toward the work)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However, artistic elements were not significant. The effects of post-test showed that creativity and its sub-categories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imagination)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his program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The Young Children's Traditional Art Program through Storytelling showes effectiveness in increasing young children’s cognition of and preference for traditional culture, art appreciation abilities, and creativit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Young Children's Traditional Art Program through Storytelling is suitable for application in real educational field. It also highlights that this program is distinguished from previous traditional art education programs. 본 연구의 목적은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유아 전통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만5세 유아에게 적용하여 유아의 전통미술 인지도와 전통미술 선호도, 미술감상능력, 창의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유아 전통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 1-1.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유아 전통미술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는 무엇으로 설정할 것인가? 1-2.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유아 전통미술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1-3.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유아 전통미술교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어떻게 조직할 것인가? 1-4. 스토리텔링 유아전통미술교육 프로그램의 평가는 어떻게 할 것 인가? 연구문제 2.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유아 전통미술교육 프로그램의 적용효과는 어떠한가? 2-1.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유아 전통미술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전통문화 인지도와 선호도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2.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유아 전통미술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미술감상 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3.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유아 전통미술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유아 전통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검토하였으며, 이와 함께 교사면담을 진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프로그램의 시안을 개발하였고, 전문가 협의 및 예비연구를 통해 프로그램의 적합성 및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개발된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유아 전통미술교육 프로그램의 목적은 우리나라 전통미술을 통해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창의적 미술표현능력을 갖춘 유아를 기르는 것이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목표는 ‘전통미술에 담긴 우리 민족 고유의 문화를 경험함으로써 전통문화에 대한 친밀감과 전통미술에 대한 이해를 증진한다.’, ‘전통미술의 아름다움을 경험함으로써 미적 감성을 증진하고 심미적 태도를 기른다’ , ‘전통미술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창의적 표현 능력을 기른다.’이다. 프로그램의 교육 내용은 ‘전통미술의 미적 요소 탐색 및 인식하기’, ‘전통미술문화 탐색 및 인식하기’, ‘전통문화 탐색 및 인식하기’, ‘전통미술 유형에 관심가지기’, ‘전통 미술 재료와 기법 탐색하기’, ‘전통 미술 재료와 기법으로 표현하기’, ‘창의적으로 표현하기’, ‘표현활동 즐기기’, ‘전통문화에 대한 생각과 느낌 표현하기’, ‘심미적, 비평적으로 전통미술작품 감상하기’, ‘작품에 대한 생각과 느낌 나누기’, ‘표현활동의 과정과 결과에 대한 생각과 느낌 나누기’, ‘전통생활에 대해 관심 갖고 이해하기’, ‘전통놀이에 대해 관심 갖고 이해하기’, ‘전통역사에 대해 관심 갖고 이해하기’, ‘미술 작품 감상 즐기기’가 포함된다.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교수-학습 원리, 교수-학습 과정, 교수 전략, 교수-학습 자료, 교사 역할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교수-학습의 원리는 ‘상호작용의 원리’, ‘흥미의 원리’, ‘통합의 원리’, ‘경험의 원리’, ‘균형의 원리’, ‘공유의 원리’, ‘창의적 표현의 원리’, ‘모방과 반복의 원리’이다. 교수-학습 과정은 크게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전통미술 감상’, ‘표현’, ‘표현 작품 감상’의 3단계로 진행된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전통미술 감상’은 전통미술에 관심 가지고 탐색하기, 전통미술 관련 경험나누기, 전통미술 인식하기, 스토리텔링 통해 전통미술에 관심가지기, 스토리텔링 통해 전통미술의 아름다움 감상하기, 전통 미술 통합적 감상하기로 구성하였으며, ‘표현’은 미술재료와 도구 탐색하기, 표현 기법 탐색하기, 미술활동으로 표현하기로 구성하였고, ‘표현 작품 감상’은 표현 작품 전시하기, 전시 작품 감상하기, 활동 평가하기로 구성하였다. 교수전략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흥미 유발하기, 나의 경험과 다른 사람의 경험 나누도록 격려하기, 다양한 상상적 경험 제공하기, 질문하기와 설명하기, 전통미술의 표현 기법에 대해 시범보이기, 다양하고 능동적인 상호작용 하기, 자유롭고 창의적인 표현 격려하기로 구성하였다. 교사 역할은 동기유발, 자료와 환경의 제공, 모델링, 상호작용, 평가이며, 교수-학습 자료는 ‘전통미술 감상자료’, ‘스토리텔링 매체’, ‘전통미술 표현자료’로 구성되었으며 전통미술작품, 동영상, 사진 및 그림, PPT, 손인형, 막대인형, 채색용 도구와 재료, 종이류 재료, 공예용 도구와 재료가 포함된다. 프로그램의 평가는 대상에 따라 유아평가, 교사평 가로 제시하였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유아 전통미술교육의 적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2015년 9월부터 12월까지 서울시에 위치한 B유치원의 만 5세 유아 46명(실험집단 23명, 비교집단 2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적용에 앞서 전통문화 인지도와 전통문화 선호도, 미술감상능력, 창의성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12주간의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동일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결과를 바탕으로 집단 간의 차이 비교를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어진 프로그램 적용 효과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유아 전통미술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전통문화 인지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전통문화의 하위 요소인 의생활, 식생활, 주생활, 문화재, 전통놀이, 전통예술 모두에서 실험집단의 사후점수가 비교집단의 사후점수보다 높았으며 집단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전통문화 선호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전통문화 선호도 총점에서 실험집단의 사후점수가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문화의 하위 요소 중 의생활, 식생활, 문화재, 전통놀이, 전통예술은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비교집단의 유아들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주생활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유아 전통미술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전통문화 인지도와 전통문화 선호도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유아 전통미술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미술감상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미술감상능력의 총점에서 실험집단의 사후점수가 비교집단의 사후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미술감상능력의 하위요소 별로는 관찰 및 묘사, 주제 정하기, 작품의 분위기, 작품에 대한 태도에서 실험집단의 점수가 비교집단의 점수에 비해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나 미술요소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유아 전통미술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창의성의 총점과 창의성의 하위요소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의 요소에서 실험집단의 사후점수가 비교집단의 사후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따라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유아 전통미술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유아 전통미술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전통문화 인지도와 전통문화 선호도, 미술감상능력, 창의성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유아 전통미술교육 프로그램이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 가능함을 보여주는 것이며, 기존에 이루어졌던 유아 전통미술교육 프로그램과 차별화된 프로그램으로서의 가치가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동양화 감상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이지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바람직한 미술교육은 모든 사람이 전문적인 기능을 연마하여 미술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이 아니라 미술을 통해 바람직한 성장을 돕고 미적 안목을 길러 삶을 풍요롭게 즐길 수 있는 교양인을 기르는 교육을 해야 한다. 그렇다면 아이들이게 미술의 끈을 놓지 않고 아름다움과 성취감을 향유하면서 자신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삶을 살아 갈 수 있는 힘을 길러주는 방법은 무엇일까? 내 주변의 가족, 자연을 바라보듯 자연스럽고 편안하게 미술 감상을 하며 가까운 친구처럼 다가갈 수 있는 미술수업을 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학교 미술교육에서도 체험, 감상 영역이 강조되고 전통미술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분위기와 인식의 부족으로 선생님과 학생들이 전통미술을 어려워하고 감상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안타까운 마음이다. 학교 현장에서 미술수업을 하면서 느꼈던 점과 필요성을 생각하며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미술 감상수업을 위해 동양화를 생각하고 동양화에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는 방법으로 이야기를 중심으로 한 스토리텔링 감상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목적의 수행을 위해 먼저 Ⅱ장에서 문헌연구를 통하여 동양화를 이용한 스토리텔링 적용 방안과 가능성에 대해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Ⅲ장에서 스토리텔링의 여러 모형에 대해 살펴보고 동양화 스토리텔링 수업에 적합한 모형을 구안하였다. Ⅳ장에서는 구안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이야기 요소에 따라 작품을 나누고 제발에 담긴 의미와 일화와 관련한 스토리텔링 감상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와 같이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동양화 감상 수업의 지도방안을 연구하고 적용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야기와 함께 동양화를 감상해 봄으로써 전통 미술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고 동양화를 친근하게 대하게 되었다. 둘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동양화 감상 프로그램은 미술 감상 수업에 대한 흥미도를 높이고 자기를 표현하는 능력이 향상 되었으며 자신의 이야기를 문자나 말로 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줄어들었다. 셋째, 자기 자신에 대해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모습, 자신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좋은 점을 찾아내려는 모습이 긍정적이며 자신감이 생겼다. 또한 동양화 감상 활동을 통해 스스로 만든 이야기를 발표하고 친구의 이야기를 듣는 과정에서 자신을 이해하고 친구를 배려하는 마음이 생겼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동양화 감상수업은 이야기를 통해 자연스럽게 동양화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제발에 담겨져 있는 의미를 알아보고, 일화를 듣고 그림에 숨은 뜻을 알아보는 과정을 통해 조상들의 삶의 지혜와 교훈을 배우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동양화 감상 프로그램은 작품의 결과물을 중시하는 미술수업이 아니라 과정을 중요시하고 과정과 결과에 이야기로 표현하고 나타내는 것을 중요시하였기 때문에 학생들의 표현력이 향상되었다. 또한 이야기를 만들고 듣고 나누는 과정에서 감수성과 자신감이 길러져 인성에도 좋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초등학교 3학년에서 동양화 수업을 하기 위해서는 학생들 눈높이에 맞는 이야기, 다양한 자료와 배경지식 등 아쉬운 부분이 많았으나 스토리텔링을 통해 자신의 이야기를 만들어보고 공유하는 활동은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의미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처음에는 낯선 동양화지만 선생님의 이야기를 집중해서 듣는 모습,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표현할 수 있는 능력, 친구들의 이야기를 들어줄 수 있는 배려의 모습들은 학생들이 미술문화를 지속적으로 향유하고 삶을 풍요롭게 할 수 있는 밑바탕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

      • 미술수업에서 스토리텔링의 적용

        이혜숙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미술수업에서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을 적용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스토리텔링은 우리말로 ‘이야기 하기’ 정도로 옮겨진다. 특히 문화영역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때 ‘이야기’는 원형이 되는 총체적인 의미로서의 ‘이야기’ 개념이고, ‘말하기’는 원형이 되는 어떤 이야기를 타인에게 전달하는 담화의 방식, 또는 소통의 과정이다. 인터넷과 디지털미디어의 눈부신 발전은 정보의 생산 및 수용체계를 일방적 방향에서 쌍방향으로 변모시켰다. 지식정보사회에서는 전통적인 분석적 · 논리적 사유가 아닌 통합적 · 성찰적 사유를 요구하고 있다. 스토리텔링은 이러한 사회적 변화와 요구에 대한 응답이다. 그리고 학교교육에서도 스토리텔링은 미래교육 방식의 유력한 대안으로 수용하고 있다. 연구자는 미술수업에서 스토리텔링을 적용하고, 도출한 결과가 갖는 교육적 의미와 시사점을 확인하였다. 세 가지 유형의 스토리텔링 수업을 전개하였는데, ‘(1) 서사 스토리텔링-창작 동화책만들기, (2) 만화 스토리텔링-카툰 프로젝트(Cartoon Project), (3) 역사 스토리텔링-담양의 누정과 인물’이 그것이다. 각 유형별 수업은 자기로부터 이웃, 지역, 역사로 인식의 대상을 확장하고 심화하려는 의도로 구분하고 배열한 것이다. 수업대상자는 담양군 소재 공립중학교 2 · 3학년 학생이고, 공동창작 방식을 견지하였다. 이 과정에서 미술 · 영어 · 국어 · 사회교과와 연계 수업을 진행하였다. 각 수업의 결과물 형태는 창작 동화책, 애니메이션, 영어 만화, 역사 만화, 역사 인물캐릭터 등이다. 스토리텔링을 수업에 적용한 결과, 학습동기· 수업참여도 · 동료 및 교사 사이의 의사소통 정도, 성과에 대한 만족도 등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정서적 측면에서도 유의미한 결과가 있었다. 자아정체성, 이웃에 대한 수용적인 태도, 사회적 관계에 대한 성찰적 사고 등에서 상당한 변화를 감지하였다. 평범한 일상에서 문화적 표현이 가능하다는 자각도 소중한 성과의 하나이다. 미술수업에 스토리텔링을 적용하면서 몇 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얻었다. 학생들의 잠재한 표현 욕구는 대단하지만, 우리의 교육현실이 뒷받침을 제대로 못한다는 점을 새삼 실감했다. 둘째, 현대사회의 의사소통의 부재에서 학생들도 자유롭지 못하다는 사실이다. 학생들은 외롭고, 방황하며, 의지할 무엇을 찾고 있다는 점을 그들의 작품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성적과 상상력이 정비례하지 않는다는 점도 의미 있는 발견이다. 넷째, 수업에서 공동창작 방식이 갖는 소통과 연대의 힘을 보았다. 의견을 개진하고, 다양한 견해를 조율하며, 서로를 신뢰하는 경험은 결코 개인 창작에서는 얻기 힘든 경험임을 확인한 것이다. 이점은 교사에게도 마찬가지였다. 교과 간 연계 수업은 학습효과를 배가하였고, 성과도 높았던 것이다. 마지막으로, 미술교과야말로 스토리텔링을 수업에 적용하고, 연계 수업을 진행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교과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 사회와 교육에서 문화와 예술이 갖는 힘과 가치를 새삼 깨달았다는 뜻이다. The splendid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digital media has driven a communication system making information interactive. This Information Age is likely to demand the integrative and introspective speculation rather than a traditional way of thinking. The storytelling method corresponds with the needs of this rapidly changing society. In fact, it is certain that this method should be accepted as prominent alternative in school education. This research was to apply the storytelling teaching method to a Fine Arts class and to examine its results and effects. "Storytelling" is "Iyagi" literally in Korean. Above all, this storytelling method has recently been in the spotlight throughout cultural areas. Storytelling is a compound word which is made up of both "story" and "telling". The former word "story" is a general concept from an archetype of narrative, while the latter connotation, "telling", means the process of discourse to convey the story which can be an archetype of a certain narrative to other individuals. According to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preceding study, it is true that the storytelling teaching methods used with other subjects are able to have educational effects. Three kinds of project models were embarked on. The first one was to create storybooks as a type of narrative storytelling. The second project was a Cartoon Project for a cartoon storytelling exercise. Finally, the last one was the discovery of famous Damyang historic figures and related pavilions as a way of historic storytelling. Those respective projects were arranged and divided so that students could expand a range of perspectives from their own understandings such as a neighborhood, regions and so forth. This study was intended for 2nd and 3rd graders of public middle schools throughout the Damyang area and was implemented based on cooperative group work. This project has been developed in conjunction with English, Korean and Social Science classes simultaneously. Each project has created a bulk of visual products. Korean, English and Social Science classes made fairy tale books, English version cartoons and Korean historic cartoons respectively. A short animation and creating historical characters during classes were also completed within those subjects. The research found that the students' motivation,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regarding the lessons were boosted while cooperating with each other throughout the projects. These cross-curricular projects helped peer teachers to communicate much efficiently. Furthermore, achievement was gained affected aspects which made the considerable impact on students' positive attitude toward others, development of their social abilities as well as helping them to find their own identity. The students became aware that it is possible to express ordinary life throughout art, which evidently is another excellent result of the program. Four suggestions with respect to the storytelling teaching method applied here for instruction in a classroom setting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reaffirmed that Korean educational system hindered students' potential motivation owing to other misleading academic cliques that may be presented. Second, this study revealed that students also had difficulty managing the lack of communication in within society. The drive to search for something to depend on as well as to free themselves from isolation and frequently emptiness were founded in their work. Thir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chool grade ranking system does not always have an impact with the creativity level of students. Lastly, it was a hopeful and positive disposition. Cooperative Group work held a powerful push forward a mutual understanding within individuals each other. The students have built confidence while going through the process, to yield their opinions and to iron out the difficulties they encountered. This optimistic attribute worked for the teachers who involved within these projects. The cross-curricular projects make the effectiveness of lessons much more desirable. Finally, this study served as a momentum to make sure that a Fine Arts is a very effective subject, not only for the application of a storytelling teaching method, but also for the integrative instruction with other subjects. In other words, culture and the arts are considered highly crucial and influential in our society and in education.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문학 감상 교육 방안 연구 : 천상병의「귀천」을 중심으로

        이경은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문학은 또 다른 내가 살 수 있는 세상이다. 문학의 심미적 감상을 통해 우리는 보고 듣고 느끼고 생각한 것을 우리의 삶과 일치시키려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문학 작품에 대한 개개인의 생각과 마음의 출렁임은 모두 다를 수밖에 없다. 이 점은 문학이 삶과 상호적 관계를 맺고 있음을 지향한다. 염두에 둔 것은 학습자들이 타인과의 이야기를 공유하는 가운데 자신의 생각을 들여다 볼 수 있는 문학 감상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학 감상 교육의 현황이었다. 지금까지의 문학 감상 교육에서는 문학의 심미성을 향유하지 못한 채, 문학의 구조만을 교육함으로써 왜곡된 문학 감상 교육을 보여주었다. 오늘날 7차 교육과정에서의 문학은 그 목표가 ‘작품의 수용을 함으로써 문학적 감수성과 상상력을 기르고, 문학을 통하여 자아를 실현하고 세계를 이해하며, 문학의 가치를 자신의 삶으로 통합하려는 태도를 지닌다’이다. 그래서인지 문학 작품에 대한 감상의 비중이 점증되고 있다. 능동적인 표현과 주체적인 감상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이야기를 전달하는 담화 양식인 스토리텔링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했다. 일찍이 아리스토텔레스는『시학』에서 스토리텔링을 ‘보여주기’와 ‘말하기’라는 두 가지 타입을 통해 우리는 자신의 경험이나 타인의 경험을 글 또는 말을 이용하여 표현하는 데 익숙하다고 말했다. Chris Huntley는『DRAMATICA』에서 스토리텔링은 전달하는 이야기뿐만 아니라 청자 스스로 그 이상의 것을 창조하고 상상할 수 있는 활동이라고 말했다. 즉 스토리텔링은 그 과정 속에서 청자의 반응이 표출되고 수용되는 참여가 가능하며, 구연자 역시 청자에게 적절한 반응을 보이게 된다는 점에서 상호작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때문에 학습자들이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자유롭게 이야기(표현) 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문학 감상 교육의 방법으로 스토리텔링이 적합하다고 여겼다. 이런 면에서 본고는 이야기, 사진, 신문 기사, 그림, 음악, 영상의 스토리텔링을 천상병의 「귀천」작품에 활용하여 문학 감상의 본질적인 측면에 접근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했다. 이에 스토리텔링이 가지고 있는 ‘동기를 통한 몰입 유도’와 ‘상호작용의 가능성’, ‘상상력과 창조력 신장’의 세 가지 특징을 통해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문학 감상의 필요성 또한 고찰하고자 했다. 학습자들은 다양한 스토리텔링 과정 속에서 자유롭게 스스로의 자세를 가질 수 있고, 그로인해 삶의 길잡이 역할을 문학 감상 속에서 찾고 추구함으로써 그동안의 문학 감상 속에서 잃어버렸던 자아를 찾을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스토리텔링이 교육 영역으로 들어오게 될 때, 문학 감상은 더 이상 강요가 아닌 유혹이 된다는 점이다. 이것이야말로 문학 감상의 본질이고, 문학 감상의 올바른 목표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논의의 초점에 따라 천상병의 「귀천」작품을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문학 감상 교육을 전개하고, 학습자의 수업 및 작품 감상문을 통해 문학 감상의 의미를 검증해 봄으로써 본 연구의 효과적인 문학 감상 교육 방법에 대한 스토리텔링의 효용성 및 가치를 입증하고자 한다. Literature is the world where another "I" can live. We usually try to identify what we see, hear, feel and think of through appreciating literature aesthetically with our own lives. Thus, the impression each person has in mind is quite different. This is because literature is interwoven with our lives. The main consideration was with the current literature appreciation education where readers don't look into their thoughts while sharing stories with others. The education of literature appreciation has been distorted while teaching only the structure of literature without helping sense the aesthetic elements. Today, the aim of literature course in the 7th curriculum is "to have an attitude to integrate the literary value within one's own life, to understand the world and achieve self-fulfillment through literature, and to raise literary sensibility and imagination by accepting literary works." That is why people stress the importance of appreciating literary works more and more. Storytelling, which is the discourse style to deliver stories, is considered to be effective for active expression and subjective appreciation. Earlier, in Poetics, Aristotle explained storytelling as 'showing' and 'telling', saying that we are accustomed to expressing others' experiences as well as our own experiences through writing and speaking. In『DRAMATICA』, Chris Huntley said that storytelling is an activity that lets the listener create and imagine more than the story itself that he heard. That is, storytelling makes it possible for the listeners to express their responses in its process, and the storyteller also can show appropriate responses to the listeners. In that sense, storytelling makes interaction between the listeners and the storytellers possible. Thus, in order to let the learners express their own thoughts and feelings more freely, storytelling is considered to be appropriate as for the educational method for the appreciation of literature. In this respect, this thesis tries to seek for the way to approach essential aspects of appreciating literary works by applying storytelling of stories, pictures, newspaper articles, photos, music and video to Cheon Sangbyeong's 「Guicheon : Return to Heaven」. The necessity of appreciating literary works through storytelling will also be considered in this thesis by three characteristics of storytelling; 'creation of absorption through motivation', 'possibility of interaction' and 'increase of imagination and creativity'. Learners can have their own attitudes toward literary works in the various storytelling processes, and, by doing so, they can seek for the guidance of their lives and achieve self-fulfillment that they lost in the past education of literature appreciation. The important thing is that when storytelling comes into the education field, appreciation of literature no longer becomes pressure but fascination. This is the essence and the true purpose of appreciating literary works. According to such discussion, this thesis is going to prove the effect and value of storytelling in the education of appreciating literary works, by showing the actual process of appreciating Cheon Sangbyeong's 「Guicheon : Return to Heaven」 via storytelling, and proving the meaning of appreciation through the learners' comments on the work and the class itself.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시(詩) 감상 지도의 효과 연구

        권봉희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시(詩) 작품 감상 지도가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과 효과를 탐색하여 시 교육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시(詩) 감상 지도가 학습자의 시 읽기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2.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시(詩) 감상 지도가 학습자의 공감 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가? 3.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시(詩) 감상 지도가 학습자의 소통 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남자 일반계 S고등학교 2학년 학생 6명을 대상으로 시 읽기 태도, 공감 능력, 소통 능력 사전 검사를 실시하고 7주 동안 총 7회기의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시 감상 지도를 실시하였다. 그 적용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습자의 시 읽기 태도 변화, 공감 능력 변화, 소통 능력의 변화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지도가 끝난 후에는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시 감상 지도의 효과 검증을 위해서 t검정을 실시하여 양적 분석을 하였고, 검사지에 의한 양적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각 회기별 프로그램을 직접 실시한 연구자의 관찰 및 평가를 기술한 내용,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활동지나 대화 등을 바탕으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시 감상 지도의 효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시 감상 지도를 실시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 읽기 태도’에 관한 사전, 사후 검사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시 읽기 태도의 하위 영역인 시 읽기 자신감, 시 학습 불안, 시 읽기 흥미, 시 학습 태도, 시 학습 동기 5개 하위 영역에서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의 소감 분석 결과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시 감상 수업이 매우 흥미롭고 즐거우며, 시에 대한 접근이 과거 수업에 비해 더 쉽고 재미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둘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시 감상 지도를 실시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공감 능력’에 관한 사전, 사후 검사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또한 학생들의 대화와 수업 평가에서 시를 배움으로써 힐링(치유)되는 느낌이라는 응답이 있었으며 시 감상 활동지 분석 결과 자신의 감정과 다른 사람의 감정을 고려하고, 배려하는 반응을 나타내었다. 셋째, ‘소통 능력’에 관한 사전, 사후 검사 결과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따라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시 감상 지도는 학습자의 시 읽기 태도 및 공감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시 감상 수업에 스토리텔링 기법을 적용하여 문학 수업 방법의 효과를 입증하였다. 이는 이 프로그램을 더욱 다양한 형태로 구안하여 시를 비롯한 문학 수업에 확대·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a poetry education by searching for the effects and influences of appreciation lesson of poems using storytelling.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Does the poetry appreciation lesson using storytelling affect the poetry reading attitude of learners? 2. Does the poetry appreciation lesson using storytelling affect the enhancement of sympathy ability of learners? 3. Does the poetry appreciation lesson using storytelling affect the improvements of communication skills of learners? The poetry appreciation lesson was conducted to verify such questions by implementing the pre-tests of poetry reading attitude, sympathy ability, communication skill of 6 sophomore male students in S academic high school, and the poetry appreciation lesson during the 7 sessions within 7 weeks. The changes of them in the testing were profoundly analysed, and the post-test was conducted after the lesson. The quantitative analysis was implemented by carrying out the t-test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oetry appreciation lesson using storytelling, and the qualitative one was conducted based on the descriptions of observations and evaluations by researchers who directly operated the program by each session, and work sheets and dialogues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o complement the limits of quantitative one through paper sensors. The findings of effects of poetry appreciation lesson using storytelling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pre/post tests regarding the 'poetry reading attitudes'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poetry appreciation lesson using storytelling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5). There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5 sub-areas of the poetry reading attitude : confidence for reading poems, anxiety for learning them, interest for reading them, learning attitude for them and learning motive for them. In addition, the results of analysis on students' impressions mainly suggested that it was very interesting and pleasant to learn and also the access to a poetry was easier and more exciting in the poetry appreciation classes using storytelling, than in the previous classes, according to major opinions. Second, the results of pre/post tests regarding the 'sympathy abilities'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poetry appreciation lesson using storytelling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5). In addition, one student responded that he/she felt to be healed by learning the poems in the evaluation of dialogues and classes. And the analysis of work sheets of appreciating poems showed the consideration of their own emotions and others' ones, and considerate responses. Third, the results of pre/post tests regarding the 'communication skills' of them showed statistically in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findings above, it can be found that the poetry appreciation lesson using storytelling is efficient in enhancing the poetry reading attitude and sympathy ability. This study proves the effects of teaching method of Korean literature by applying the storytelling technique to the poetry appreciation lessons for high school students. It has a meaning in that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expand and apply the program to Korean literature classes including a poetry by organizing it into various forms. Key Words: Poetry appreciation lesson, Storytelling, Poetry reading attitude, sympathy ability, Communication skill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창의적 미술수업 방안연구, 발상표현을 중심으로

        권현주 동아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 사회는 다양한 능력을 요구한다. 그 중에서 가장 필요한 것은 타 인과는 다른 창의적 사고 능력이다. 이런 관점에서 현 시대의 미술 교육 은 아동의 창의성을 계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이 필요성에 착안하여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창의적 미술 프로그램을 개 발하고자 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실제로 아동에게 적용하여 앞으로의 미 술 교육 방향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시에 소재한 본 연구자가 운영하는 A 미술학원 수강생 중 초등학교 1~2학년 아동 32명을 대상으로 프로그 램을 적용해보았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창의적 미술 수업을 총 12차시 에 걸쳐 실시하였다. 수업 시간은 40분씩 주 2회 정도로 진행하였다. 스 토리텔링을 활용한 창의적 미술 수업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해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창의적 미 술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수업에 대한 아동의 인식 ii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와 면담, 수업 내용을 기록한 동영상 자료 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창의적 미술 수업을 적용하기 전과 그 후 에 아동은 학습 동기 · 자신감 · 문제 해결력 · 교사와의 의사소통 능력 에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아동은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창의적 미술 수업에 대해 높은 만 족도를 보였다. 이 수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지속적인 실시에 대해서도 찬성도가 높았다. 셋째, 아동은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창의적 미술 수업 활동인「마인드 맵을 활용한 다양한 연상 활동」「결점열거법을 활용한 관절인형 만들 기」「색다른 용도법을 활용한 샌들 만들기」「스캠퍼 기법을 활용한 앞 표지 꾸미기」「강제 결합법을 활용한 주인 찾기」등을 통해 유창성 · 재구성력 · 융통성 · 민감성 · 독창성 · 집요성 · 정교성 등의 요소가 향 상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볼 때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창의적 미술 수업 은 아동의 학습 동기 · 자신감 · 문제 해결력 · 교사와의 의사소통 능력 과 관련한 학습 태도 및 창의적 사고력 향상에 효과적인 영향력을 보여 주었다. 스토리텔링 기법 자체가 미술에 대한 아동의 접근을 용이하게 만들고 상상력 자극 및 창의성 신장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경험 서사를 활용한 시 창작 교육 방법 연구 : 경험 서사의 스토리텔링 활동을 중심으로

        박정숙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시는 인간의 마음을 언어를 통해 표현하는 예술이다. 시를 읽고 쓰는 활동을 통해서 자신의 마음을 표현하고 타인의 마음을 이해하며, 자신의 감정이나 정서의 반영을 통해 소통하면서 문학적 체험뿐 아니라 개인의 성장까지 기대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시 감상 및 창작에 관한 내용이 빠지지 않고 수록 되어 있다. 초등학교 1학년에서부터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두루 시를 배우지만 학생들은 반복되는 단어의 나열이나 흉내 내는 소리 등을 섞어 시를 상투적으로 표현하는 경향을 보이며 학생 스스로 시 창작을 부담스러워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이유는 시를 쓰는 효과적인 방법 제시나 구체적인 안내보다는 주제와 제목만 주고 시를 쓰는 것이 통용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본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러한 시 창작의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자신의 경험을 스토리텔링 하는 기법으로 시 창작을 접근해 보려고 한다. 살아 있는 솔직한 어린이 시를 쓰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나를 알아야 하고, 나를 알기 위해서는 나의 경험을 살피고 그 경험으로부터의 생각이나 느낌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자신이 직접 경험한 일을 바탕으로 시를 진솔하게 창작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본 연구를 다음과 같이 설계하여 진행하였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선행 연구를 살펴보고 연구 내용 및 방법을 검토한 후 Ⅱ장에서는 경험 서사의 개념과 특징, 스토리텔링의 개념을 알아본 후 경험 서사와 스토리텔링의 관계에 대해 파악하였다. 스토리텔링의 주요 속성이 인간 행동과 사건을 주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시간적 순서에 따라 표현이 되기 때문에 인간 경험 서사와 스토리텔링은 깊은 관련이 있다. 서사의 범주를 삶 속에 만연되어 있는 모든 이야기로 보고 그러한 서사를 이야기로 전달하는 모든 과정을 스토리텔링이라고 볼 수 있었다. 그리하여 자신의 경험을 글로 전달하는 것, 그림으로 표현하는 것, 시로 표현하는 것 등 일괄의 활동을 스토리텔링의 영역에 포함된다고 보고 스토리텔링의 교육적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경험 스토리텔링은 학습자의 기능적 글쓰기 능력의 향상 차원을 넘어서서 학습자 스스로 자신을 성찰하고 발견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시 창작에서의 경험 스토리텔링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Ⅲ장에서 구체적으로 설계해 보았다. 예비 연구를 진행한 후 예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경험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시 창작 방법 수업을 다음과 같이 구성해 보았다. 첫째, 경험 스토리북을 활용하여 경험 서사를 기록하여 시 창작의 글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경험 서사의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시 창작 방법을 세 가지로 나누어 접근을 하였다. 경험을 이야기화하는 방법(생각그물로 표현하기, 시각, 청각 등의 감각적인 경험 위주로 표현하기), 경험을 이미지화 하는 방법, 경험의 시점을 바꾸는 방법이 그것으로 각각의 전략을 세워 보았다. 마지막으로 경험 서사를 활용한 시 창작 교수․학습 모형을 고안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고안한 구체적 방법을 적용하여 실제 수업을 통한 연구를 진행하고 수업 결과를 분석해 보았다. 위와 같은 연구의 설계 및 진행을 통해 본 연구에 나타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시 창작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시를 처음 접해 보고 어려울 것만 같다고 느꼈던 학생들이 경험 서사의 스토리텔링 활동으로 시를 창작하는 것을 통해 시를 쓰는 일이 어렵기만 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이야기를 담아 솔직하게 쓰는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다양한 경험 스토리텔링 활동을 통해(이야기화, 이미지화, 시점 변화) 시를 창작하면서 자신의 이야기를 생활 속 언어를 선택하여 시로 표현하게 되었다. 둘째, 시를 통해 친구들을 이해하고 소통할 수 있게 되었다. 시 창작 후 활동으로 친구의 시를 읽으면서 친구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게 되고 그 이야기 안에 있는 사건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이다. 그 안에서 슬픈 이야기, 힘들었던 이야기, 기쁜 이야기를 발견하고 자신의 이야기도 나누면서 서로 이해하는 시간을 마련할 수 있었다. 그런 시간을 통해 문학적으로 소통하면서 한 단계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셋째, 경험 스토리텔링 활동을 통해서 학생들은 주변의 이야기를 수집하여 스토리북에 메모하는 습관이 생겼다. 학급의 반 이상의 학생들이 좀 더 다양한 글감을 모아 두기 위해서 수시로 있었던 일을 메모하기 시작했다. 학생들이 자신의 이야기가 소중한 글감이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상의 논의로 경험의 스토리텔링이 시 창작에 미치는 영향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고등학교 중국어 지도 방안 : 중국 신화를 중심으로

        김민경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2009개정 교육과정 중국어Ⅰ·Ⅱ 과목은 중국어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기초적인 능력을 배양할 뿐만 아니라 중국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목표로 함을 명시하고 있다. 즉,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과 더불어 중국의 생활, 문화 등에 대한 이해가 가능한 수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고등학교 학습자의 수준, 학습 시간, 학습 단계 등을 고려하여 볼 때, 스토리텔링 교수법은 온전한 스토리로 학습 지도가 이루어지는 특성 덕분에 지속적인 흥미와 동기 유발에 적합하고 스토리텔링 전·중·후 세 부분으로 나누어 이루어지는 활동 속에서 말하기·듣기·읽기·쓰기의 언어 네 가지 기능의 총체적 발달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스토리텔링 교수법은 실제 교과서 단원 관련 수업에 활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완전한 스토리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활동 속에서 어휘, 의사소통 표현, 문법 등의 복습 자료로도 활용 가능하다. 한편, 중국 신화는 고대 중국인의 사상, 문화를 다양하게 포함하는 장르이므로 언어 학습 뿐 아니라 문화 학습에 있어서도 적합한 스토리텔링의 재료가 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중국어Ⅰ과 중국어Ⅱ의 학습을 마친 학습자가 하나의 최종적인 복습 자료로 중국 신화 스토리를 활용한 스토리텔링을 진행하는 수업 모형과 지도안을 제시하여 고등학교 중국어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절차는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을 명시하고,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연구의 범위와 방법을 정하였다. Ⅱ장에서는 중국어 수업에서의 스토리텔링에 대한 정의를 재정립하고, Ellis&Brewster의 스토리텔링 이론에 근거하여 학습 단계별 활동 종류를 살펴보고, 스토리텔링 교수법의 교육적 가치를 살펴보았다. 또한 스토리텔링 준비 단계로서, 스토리 선정 기준과 재구성의 원리, 효율적인 스토리텔링을 위한 기술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중국 신화를 활용한 스토리텔링을 위하여 교육적 가치에 적합한 중국 신화 작품 4개를 선정하여 재구성하는 과정을 거쳐 본문, 본문 번역, 2009개정 교과서와의 대조 분석을 통한 어휘 및 의사소통 표현 분석, 교육적·문화적 가치를 나열함으로써 실제 교사가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실용성을 높였다. 그리고 4종 신화의 대화문을 분석하여 적절한 활용 시점과 각각의 신화에 중점적으로 포함된 문법 항목을 열거하여 교사가 수업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Ⅳ장에서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중국어 수업 모형을 설계하고, 이에 근거하여 ‘항아분월’ 작품을 택하여 1차시부터 4차시까지의 교수-학습 지도안을 구상하였다. Ⅴ장에서는 본 논문의 내용을 종합하고 논문의 특징을 정리한 후, 스토리텔링 교수법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중국신화 스토리의 구성 어휘, 문법의 난이도가 초중급 이상인 것을 감안하여 교과서 수업 완료 이후의 복습 자료로 활용할 것을 제안하고, 교사가 참고 가능한 어휘, 의사소통 표현, 문법 항목을 Ⅲ장과 Ⅳ장에 정리하여 교사가 자율적으로 복습 항목을 선택하고 그에 초점을 맞추어 활용 가능하도록 제시하였다. 학습자는 형식적인 복습 방법에서 벗어나 중국 신화 이야기를 활용한 스토리텔링을 통해 그 동안의 실력을 점검하고, 중국어와 중국 문화에 대한 흥미로운 학습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스토리텔링 후 이루어지는 다양한 활동을 통해 협동을 통한 집단학습, 주체적 학습을 이끌어낼 수 있다. 사실상 ‘스토리텔링 전’과 ‘스토리텔링 중’에 이루어지는 활동은 보편적이고 제한적이지만 ‘스토리텔링 후’ 활동은 교사의 지도와 학습자의 참여도 및 적극성에 따라 가능한 활동이 무궁무진하다. 앞으로의 스토리텔링 교수법에 대한 연구는 그 활용 범위가 무궁무진한 ‘스토리텔링 후’ 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진다면 자료 활용의 다양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라 본다. 본 논문이 단지 스토리텔링 교수법에 국한되지 않고 더 나아가 스토리텔링 교수법과 관련하여 다양한 학습 활동을 개발하고 적용시키는 데 한 걸음 나아갈 수 있는 발판으로 제공되기를 바란다.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지역 음악 축제 활성화 연구 : 한국과 러시아의 축제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박태환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지역 축제의 문제점을 살펴본 후 지역 축제가 나아갈 방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세계적으로 문화예술이 강조되는 관광산업의 추세 속에서 음악을 연계하여 지역 축제를 활성화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에서 개최되고 있는 지역 축제의 발전과정과 문제점을 짚어보고, 현재 정부가 주도하는 관광 전략을 확인하였으며, 문화 콘텐츠와 연계한 문화예술 관광과 공연예술 축제의 성공 가능성을 알아본 후 문화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전략으로 스토리텔링을 제시하였다. 성공한 스토리텔링의 구체적인 근거로는 이탈리아 베로나와 핀란드 로바니에미의 관광산업, 에든버러의 국제 페스티벌, 프린지 페스티벌과 군악대 축제를 살펴보았다. 이후 음악 축제의 필요성 및 중요성과 함께 국내 음악 축제의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치밀한 스토리텔링 전략을 통해 차별화된 음악 축제로써 잘츠부르크 페스티벌, 브레겐츠 페스티벌과 몬트리올 국제 재즈 페스티벌 등 세계 유명 축제의 사례를 검토한 후 국내 음악 축제에 스토리텔링을 적용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연구하였다. 끝으로, 저자가 개최했던 한국과 러시아의 여러 축제 및 연주회를 스토리텔링이 적용된 축제의 성공적인 개최 사례로 제시하였으며, 향후 음악 축제의 전망을 밝혔다. This thesis tried to examine the problems of local festivals and the future direction of local festivals. In particular, it tried to find a way to revitalize local festivals by linking music in the trend of the tourism industry, where culture and arts are emphasized worldwide. To this end, it examined the development process and problems of local festivals held in Korea, and confirms the tourism strategy currently led by the government. In addition, it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success of cultural art tourism and performing arts festivals linked with cultural contents. After that, it presented storytelling as a strategy to effectively show cultural contents. As a concrete basis for successful storytelling, I looked at the tourism industry in Verona, Italy and Rovaniemi, Finland, and the International Festival, Festival Fringe, and Royal Edinburgh Military Tattoo in Edinburgh. Afterwards, I checked the problems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music festivals along with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music festivals. And after examining the cases of Salzburg Festival, Bregenz Festival, and Montreal International Jazz Festival as differentiated music festivals through a detailed storytelling strategy, I studied specific ways to apply storytelling to domestic music festival. Finally, I presented the various festivals and concerts in Korea and Russia that I had hosted as successful cases of festivals that applied storytelling, and revealed the prospects for future music festivals.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명화감상활동이 아동의 미술 감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 초등 1,2학년을 중심으로

        장영신 순천향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명화감상활동이 아동의 미술 감상능력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명화감상활동이 아동의 미술 감상능력에 미치는 효과(작품의 느낌에 대한 언어적 표현, 작품에 대한 세심한 관찰, 미적요소의 발견, 작품의 존중감, 감상태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사회적 경제적 수준이 유사한 충남 천안시에 위치한 C초등학교 보육교실의 1,2학년 아동 10명과 B초등학교 보육교실의 1,2학년 아동 10명을 각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은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명화감상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지 않고 작품을 보여주고 작품과 관련하여 Feldman이 제시한 명화감상활동 단계에 따라 교사가 발문하는 감상활동을 실시하였다. 아동의 미술 감상능력을 평가하기위한 도구는 Schirrmacher(1993)의 유아미술발달평가, Eisner(1972)의 미술평가 관점, Barnes(1987)의 유아미술 평가를 참고로 정미경(1999), 임경례(2007)가 재구성하여 제작한 평가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보완 · 재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15.0 Progra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명화감상활동이 아동의 미술 감상능력의 증진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두 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고 사후검사 영역별 점수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변량(ANCOVA)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명화감상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아동들이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지 않고 작품을 보여주고 작품과 관련하여 Feldman이 제시한 명화감상활동 단계에 따라 교사가 발문하는 명화감상활동에 참여한 비교집단의 아동들보다 미술 감상능력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 감상능력의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 감상능력의 하위영역 중 ‘작품의 느낌에 대한 언어적 표현’은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명화감상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아동들이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지 않고 작품을 보여주고 작품과 관련하여 Feldman이 제시한 명화감상활동 단계에 따라 교사가 발문하는 명화감상활동에 참여한 비교집단 아동들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미술 감상능력의 하위영역 중 ‘작품에 대한 세심한 관찰’은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명화감상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아동들이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지 않고 작품을 보여주고 작품과 관련하여 Feldman이 제시한 명화감상활동 단계에 따라 교사가 발문하는 명화감상활동에 참여한 비교집단 아동들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술 감상능력의 하위영역 중 ‘미적요소의 발견’은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명화감상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아동들이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지 않고 작품을 보여주고 작품과 관련하여 Feldman이 제시한 명화감상활동 단계에 따라 교사가 발문하는 명화감상활동에 참여한 비교집단 아동들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넷째, 미술 감상능력의 하위영역 중 ‘작품의 존중감’은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명화감상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아동들이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지 않고 작품을 보여주고 작품과 관련하여 Feldman이 제시한 명화감상활동 단계에 따라 교사가 발문하는 명화감상활동에 참여한 비교집단 아동들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미술 감상능력의 하위영역 중 ‘감상태도’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명화감상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아동들이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지 않고 작품을 보여주고 작품과 관련하여 Feldman이 제시한 명화감상활동 단계에 따라 교사가 발문하는 명화감상활동에 참여한 비교집단 아동들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activities using storytelling, on children's appreciation of art.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was set. Research question: How does the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activities using storytelling effect children's art appreciation ability in terms of feelings evoked by the painting, inspection of the painting in detail, discovering elements of the paintings, respect for the paintings, and behavior while appreciating the paintings?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 consisted of ten students from first and second grade of C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Cheonan city, chungnam and ten students from a day-care facility of B Elementary School, both of which have equal social and economic status. Both groups of children were exposed to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activities but he methods varied depending on the group, group A, the target group, focused on appreciation through storytelling, group B, the comparison group, focused on appreciation through the traditional methods of raised questions and followed the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rule(Feldman). The tools used to evaluate the children's ability of appreciating paintings were edited versions of a number of questions made by Gyoung-Rea Im(2007). The 5 point rating measure system was derived from Mi-Gyeong Jeong's(1999) reconstruction of schirrmacher's(1993) ‘Evaluation of Children's Development of Painting', Eisner's(1972) 'Perspective of Evaluating Painting' and Barnes'(1987) 'Children's Evaluation of Painting. The collected data was investigated using the SPSS15.0 Program. To figure out how storytelling effect a child's ability to appreciate pain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scores of the two group's tests before the experiment (which is pre-experiment covariate variable) and the scores of two groups's tests after the experiment (which is after-experiment dependent variable) was calculated as the analysis of variance(ANC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s of children who used storytelling on appreciation activities of famous paintings have significantly higher appreciation abilities for art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of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appreciation activities of a famous painting which did not use storytelling and followed the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activities rule(Feldman). The low rank territory of appreciation ability of art is as follows: First, the terms of feelings evoked by the painting in the low rank territory of appreciation ability of art i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of children using storytelling on appreciation of a famous painting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of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appreciation activities of a famous painting which did not use storytelling and follow the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activities rule(Feldman). Second, the inspection of the painting in details in the low rank territory of appreciation ability of art haㅇ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experimental group of children using storytelling on appreciation of a famous painting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of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appreciation activities of a famous painting which did not use storytelling and followed the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activities rule(Feldman). Third, discovering elements of the paintings in the low rank territory of appreciation ability of art i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of children using storytelling on appreciation of a famous painting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of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appreciation activities of a famous painting which did not use storytelling and follow the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activities rule(Feldman). Fourth, the respect for the paintings in the low rank territory of appreciation ability of art is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experimental group of children using storytelling on appreciation of a famous painting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of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appreciation activities of a famous painting which did not use storytelling and followed the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activities rule(Feldman). Fifth, the behavior while appreciating the paintings in the low rank territory of appreciation ability of art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experimental group of children using storytelling on appreciation of a famous painting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of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appreciation activities of a famous painting which did not use storytelling and followed the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activities rule(Feldm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