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환대산업전공학생들의 인턴십 선택속성이 직업선택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미연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27

        ABSTRACT The Effect(s) of internship selection attributes of students in hospitality industry major on the future job choice Jung, Mi-yeon Department of Tourism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of Tourism Sejong University This study aims to define the influential relation describing how satisfactions of students majoring in the hospitality industry after experiencing internship to their anticipated career satisfactions by examining differences between the criticality and the satisfaction of internship selection factor. Based on this study, schools should present directions in choosing where to focus to select selecting companies offering internship and effective internship measures to select future potential jobs for students while companies should select potentially excellent talents by defining influential relations of impacts of satisfactions after experiencing internships of students to their job selection intentions. Also,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research methodology by examining the research area extended to cover actual participants beyond traditional methods studying internship theories. Also, the examination on the applicability of internship that is critically influential to job selections is expected to have more significantly meaningful in practices. First, through literary researches, selection factors of internship(practical training) are drawn. The empirical research is performed by the investigation with the internship experienced students majoring in the hospitality industry. Such investigation is performed for 40 days from February 15 to March 25, 2016 by collecting data from distributed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s are in the short answer type asking students to respond by writing their answers. Total 300 copies are distributed and total 280 copies are collected. The analysis is conducted with 251 copies containing valid answers from the collected copies. The analysis results of investigation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the factor analysis on the satisfaction of internship selection factors defines 5 sub-factors of the connection to majored study, the personal relation, the internship condition, the social reputation and the welfare. Second,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shows that the satisfaction of internship selection factor has significant partial impacts to the satisfaction of anticipated career and the job selection intention. It is found that, in sub-factors of the satisfaction of internship selection factor, the connection to the majored study has positive impacts to the job selection intention along with negative impacts to the personal relation, the social reputation and the welfare. It is also shown that, if the connection to the majored study in sub-factors of the satisfaction of internship selection factor increases, the job selection intention increases as well. Only the connection to the majored study and the social reputation are factors having positive impacts of the satisfaction of internship selection to the anticipated career satisfaction. And, the anticipated career satisfaction is shown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impacts to the job selection intention. Third, results of media effect analysis on the anticipated career satisfaction show that the connection to the majored study in the factors of the satisfaction of internship selection factors plays a partial mediator role for the job selection intention. Fourth, according to averages of IPA analysis result performed to check the difference between the criticality of internship selection factors and the satisfaction after experiencing internship, the satisfaction after experiencing internship is shown to be lower than the criticality on internship selection in all accounts. “The relation to the majored area”, “the company popularity”, “the company image”. “the help for the future self-growth”, “the friendly relation between employees”, “the possibility to build new personal network”, “the adequate daily work hours”, “the possibility to learn new practical knowledge/technology”, “the career helpful for company employment”, “the help to increase the knowledge and ability in the majored study”, “the help for the capability to utilize in the majored area” and “the help for information of career in the majored area” are shown to have high criticality and satisfaction so to be noticed as the areas requiring continuous maintenance of high performances. “Work environment/ Welfare” entry is shown to be the area requiring focused improvements for its low satisfaction against its high criticality. “Wage”, “Internship Program”, “Company Location”, “Use Experience as Consumer”, “Dormitory Availability” and “Internship Work Hour” are found to be the entries showing low criticality and satisfaction. The entry showing low criticality, yet, high satisfaction, is “the possibility to form a fellow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a positive career choices and improve upon the job satisfaction for students, schools, and companies in internship (practical training) by finding expected job satisfaction and a positive (+) factors in affecting the degree of occupation in hospitality industry. Keyword: hospitality industry, criticality of internship selection factor , satisfaction, anticipated career satisfactions, job selection intentions 논문요약 환대산업전공학생들의 인턴십 선택속성이 직업선택의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환대산업전공학생들의 인턴십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인턴십 경험 후 만족도가 예상되는 직업만족도와 직업선택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영향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토대로 학교에서는 인턴십 산업체 선택 시 어떤 부분에 역점을 두어 학생들을 지도해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성과 학생들에게 장래성과 발전 가능성 있는 직업의 선택을 위한 효과적인 인턴십 방안을 제시하고, 산업체에서는 학생의 인턴십 경험 후 만족도가 직업선택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바탕으로 잠재적인 우수한 인재를 선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인턴십 이론을 연구하는 전통적인 방법에서 벗어나서 실제 참여자들로 연구 영역을 확대하여 검토해 본다는 점에서 연구방법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직업선택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인턴십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한다는 점에서 실무적으로도 의미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하여 인턴십(현장실습) 선택속성의 요소를 도출하고 실증적 연구는 환대산업을 전공하는 학생들 가운데 인턴십을 경험한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조사기간은 2016년 2월 15일부터 3월 25일 까지 40일간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회수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설문지에 대한 응답은 설문에 응하는 학생들이 직접 기입하는 자기 기입식 설문방식을 사용하였고 설문지는 총 300부를 배포하여 280부를 회수 하였으며 이중 유효한 응답을 한 251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분석 결과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턴십 선택속성 만족도에 대한 요인분석을 전공 연계성, 대인관계, 인턴십 조건, 사회적 평판, 후생/복지의 5개의 하위요인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변수들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인턴십 선택속성 만족도는 예상되는 직업만족도, 직업선택의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턴십 선택속성 만족도 요인 중에서 전공연계성은 직업선택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대인관계, 인턴십조건, 사회적 평판, 후생/복지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턴십 선택속성 만족도의 요인 중 전공연계성이 높아지면 직업선택의도도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턴십 선택속성 만족도가 예상되는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전공연계성, 사회적 평판 요인만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예상되는 직업만족도가 직업선택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상되는 직업만족도의 매개효과 분석을 수행한 결과, 인턴십 선택속성 만족도의 요인 중 전공연계성이 직업선택의도에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턴십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인턴십 경험 후 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IPA분석을 실시한 결과 평균값은 인턴십 경험 후 만족도가 인턴십 선택 시 중요도보다 모두 낮게 나타났다. 또한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높게 나타나서 지속적으로 좋은 성과를 유지해야 하는 영역으로 “전공분야관련성”, “산업체 유명도”, “산업체이미지”, “향후자아성장도움”, “직원 간 호의적관계”, “새 인맥형성가능성”, “일근무시간적정성”, “새 실무지식/기술획득가능성”, “취업시 경력도움”, “전공지식능력향상도움”, “전공분야활용능력도움”, “전공분야진로정보도움”으로 나타났고, 중요도는 높지만 만족도가 낮게 나타나서 중점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영역으로는 “근무환경/복리후생” 항목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낮게 나타난 항목은 “급여”, “인턴십프로그램”,“산업체 위치”, “소비자로서 이용경험”, “기숙사제공여부”, “인턴십 근무기간”으로 나타났고, 중요도는 낮지만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항목은 “유대감형성가능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환대산업전공 학생들의 인턴십 선택속성 만족도 하위요인을 찾아냄으로써, 예상되는 직업만족도와 직업선택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잘 파악하여 학생, 학교, 산업체 측면에서 인턴십(현장실습)의 만족도를 높이고 나아가 직업선택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하려고 한다. 주제어 : 환대산업, 인턴십 선택속성 중요도, 만족도, 예상되는 직업만족도, 직업선택의도

      • 중국 청소년 태권도 선수들의 태권도복 선택속성만족도, 태도 및 재구매의도의 관계 : 관여도의 매개된 조절 효과

        윤풍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9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n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involv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form selection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through the associated attitude. For the study, we conducted research on 280 Chinese Taekwondo Competition Players who studying in sports school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by using a multiple regression and slope analysis, the moderation effect of the involv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ection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is found. Second, the moderation effect of the relation of involv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ection satisfaction and attitude is found using a multiple regression and slope analysis. Thirdly,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involvement through attitude is found to be significa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ssociated selection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the noted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the repurchase of Chinese Taekwondo competition player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논문은 중국 청소년 태권도 선수의 태권도복 선택속성만족도와 재구매의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태도를 통한 관여도의 매개된 조절효과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 체육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태권도 겨루기 선수 28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선택속성만족도와 재구매의도의 관계에서 관여도의 조절효과 검증결과, 관여도는 선택속성만조도와 유의한 상호작용을 나타내었다. 둘째, 선택속성만족도와 태도의 관계에서 관여도의 조절 효과 검증결과, 관여도는 선택속성만족도와 유의한 상호작용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SPSS Macro PROCESS Model 8(Hayes, 2018)을 이용하여 태도를 통한 관여도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재구매의도를 예측하는 선택속성만족도와 관여도의 상호작용항이 태도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된 조절 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선택속성만족도의 긍정적 영향을 촉진하고, 중국 청소년 태권도 선수의 재구매의도와 태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관여도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였다.

      • 헤어숍 고객의 선택속성에 따른 고객만족도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모남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3343

        The beauty sector is a rapidly growing industry because of the rapid economic growth, daily use of mass media, advances in science and medical technology, new developments in beauty appliances and beauty techniques, and a social environment that highly values good looks, and increasing engagement of women in the society. For this study, I have surveyed both female and male customers aged twenty or above who have experience in using hair shop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and distributed questionnaires via online as well as offline using self-written methods for the research from 5th April to 4th May 2022. I referred only 467 answer sheets out of 500, as the database for the current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of verified variables with help of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for optional attributes of hair shops,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ing intention. Seco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selection attributes of hair shop,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ing inten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ird,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election attributes of hair shop,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ing inten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hair shop usage patterns. Fourth, understanding th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ing intention according to the selection attributes of hair shop customers. Fifth, examine the effect of customer satisfaction on revisiting intention. The data collected were studied by using the SPSSWIN 25.0 program and applied Frequency analysi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and Scheffe 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Regression analysis are used for post-validation. The reliability of the reliability verification measurement tool used in the survey was found to satisfy the confidence level as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higher than 0.6 in all areas. In Validity analysis, five factors such as human factors, physical factors, efficiency factors, accessibility factors and external image were found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on the hair shop optional attributes. In the case of customer satisfaction, the Factor Loading was .5 or more, the Eigen-value was 7.06 or more, and the total variance explanatory was 58.8% indicating thereby that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items was secure, to some extent. The following are results of this study: In the general, the purpose of hair shop use of those who surveyed, hair cut is the highest followed by perm, and dyeing; and the maximum expenditure for using the service was between 20,000 Won and 50,000 Won respectively. Among the types of hair shops, single handed hair shops were the highest in the rate of preference and self-satisfaction was the major reason cited by the highest number of customers for using the service. The recommendation of a particular hair shop by family members or friends was the most common while choosing on services. The highest rated motivation for revisiting a particular hair shop was the shop’s capability of creating a desired hair style and other appointed services among the preference benefits. In the Correlation analysis,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s p<.01 for the sub-variables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selection attributes, human factors, physical factors, efficiency factors, and accessibility factors.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s p<.01 for the sub-variables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ing intention, human factors, physical factors, efficiency factors, and accessibility factors.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s p<.01 in case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ing int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higher the customer satisfaction, higher the revisiting intention. In the analysis of differences for selection attributes of hair shop,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ing inten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in physical factors, efficiency factors, accessibility factors, and external image factors. In the case of occupation, the accessibility factor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physical factors and the accessibility factors in the case of the academic qualification. In the differenc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ir shop use,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st, types of hair shop, purpose of use, initiative source of visit, and motivation to revisit. In terms of the effect of hair shop selection on customer satisfaction, it can be seen that customer satisfaction increases when human, physical, and external image factors are high; revisit increases when human, physical, and external image factors are high, and revisit increases when customer satisfaction is high. The higher the academic qualification, the higher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ing intention, and the higher the income, the higher the physical and efficiency factors. Therefore, based on this study, hopefully the efficiency of start-up and management of hair shops can be assessed and enhanced, and it is believed that it can be used as a database to provide distinguishable services catering to the demands of the rapidly growing beauty industry. Last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re are some issues concerning the nature and size of sample while generalizing the research results, since the sampling survey was conducted on customers in a specific region, and the research is circumscribed due to insufficient detailing of data collection of individual differences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occupation and having a job or not. In addition, facts such as the participation rate of male is lower than female and the participation rate of those in their 20s is lower than that of other age groups have some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research results, regretfully. In subsequent studi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need for allocating sufficient research time, and more specific and qualitative research that includes people from a wider range of occupations and from diverse regions. 대중매체의 일상화, 경제적 발전, 과학과 의료 기술의 발달, 미용 장비와 기술의 발전,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적 환경, 여성의 사회적 진출 확대 등과 맞물려 미용분야는 급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연구를 위해 대구. 경북지역의 헤어숍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20세 이상의 여성. 남성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자기기입식 방법을 통해 2022년 4월 5일부터 5월 4일까지 총 500부를 배포하였으며 최종 설문지 467부를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헤어숍 선택속성, 고객만족도, 재방문의도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분석과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검증된 각 변수의 인과관계를 분석한다. 둘째,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헤어숍 선택속성, 고객만족도, 재방문의도의 차이를 알아본다. 셋째, 헤어숍 이용형태 특성에 따른 헤어숍 선택속성, 고객만족도, 재방문의도의 차이를 알아본다. 넷째, 헤어숍 고객의 선택속성에 따른 고객만족도,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다섯째, 고객만족도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수집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주성분 분석(Principle Component Analysis),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그리고 사후검증을 위해 쉐페(Scheffe) 검증,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신뢰도 검증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모든 영역에서 크론바하 알파(Cronbach's α)계수가 0.6이상의 수치로 신뢰수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타당성 검증에서 헤어숍 선택속성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적 요인, 물리적 요인, 효율성 요인, 접근성 요인, 대외 이미지 요인으로 총 5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고객만족도의 경우 요인적재량(factor loading)은 .5이상으로 나타났고 고유값(eigen-value)이 7.06이상으로 총 분산 설명력은 58.8%로 나타나 측정항목들의 타당도가 어느 정도 확보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의 헤어숍 이용형태에 관한 일반적 특성에서는 이용서비스의 경우 컷트, 퍼머, 염색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출비용은 2만원-5만원이 가장 많았다. 헤어숍 형태에서는 1인 경영 개인 헤어숍이 가장 많았고, 이용목적은 자기만족을 위해가 가장 높았다. 방문계기에서는 가족이나 지인의 소개가 가장 높았으며, 재방문 동기는 내가 원하는 스타일 연출, 선호 혜택에서는 예약 서비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상관관계분석에서 고객만족도와 선택속성 하위변인 인적 요인, 물리적 요인, 효율성 요인, 접근성 요인의 경우 p<.01로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보였으며, 재방문의도와 선택속성 하위변인 인적 요인, 물리적 요인, 효율성 요인, 접근성 요인의 경우 p<.01로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고객만족도와 재방문의도의 경우 상관관계 값 p<.01로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고객만족도가 높을수록 재방문의도가 높아진다.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헤어숍 선택속성, 고객만족도, 재방문의도의 차이분석에서는 연령의 경우 물리적 요인, 효율성 요인, 접근성 요인, 대외 이미지 요인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직업의 경우 접근성 요인이 최종학력의 경우 물리적 요인과 접근성 요인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헤어숍 이용형태 특성의 차이분석에서는 지출비용, 헤어숍 형태, 이용목적, 방문계기, 재방문 동기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헤어숍 선택속성이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헤어숍 선택속성 하위변인 인적 요인, 물리적 요인, 대외 이미지 요인이 높은 경우 고객만족도가 높아지고, 인적 요인, 물리적 요인, 대외 이미지 요인이 높은 경우 재방문의도가 높아지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고객만족도가 높은 경우 재방문의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학력이 높을수록 고객만족 및 재방문의도가 높고, 소득이 높은 경우 물리적 요인, 효율성 요인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헤어숍의 창업과 운영이 활성화될 수 있기를 바라며, 향후 미용시장이 급속히 성장해 가는 추세이기에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한계점을 짚어보면 다음과 같다. 특정 지역의 고객들을 대상으로 표집 조사하였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으며 또한 직업의 종류와 유·무에 따른 개인적 차이의 세분화와 데이터 수집이 미흡하여 제한적인 연구에 그쳤다. 그리고 여성에 비해 낮은 남성의 참여율과 타 연령대에 비해 낮은 20대의 참여율과 같은 사실은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다소 한계가 있어서 아쉬움이 남는다. 후속 연구에서는 광범위한 환경의 직업 종사자와 지역을 대상으로 더 충분한 시간과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질적 연구의 필요성을 염두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향토음식의 선택속성에 따른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2018 평창 동계올림픽특구를 중심으로

        신성룡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3343

        최근 우리나라 지방향토음식점 업계의 동향을 관찰해보면 현대인들의 웰빙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는 식생활문화에 맞추어 그 지역에서 생산하는 농수산물 식재료 을 사용하여 전통적인조리법으로 음식 을 만들어낸 토속적인 향토음식점은 현대인들의 입맛을 높이고 고객 만족도 향상과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따라서 향토음식점에 대한 소비자의 선택속성인식과 고객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와 분석이 필요한 시점으로 고객들이 향토음식점을 선택하는 취향과 동기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문제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대안을제시하기위해서 2018평창 동계올림픽 특구지역의 문제점을 살펴보며 관광객들의 가장큰불만은 음식점의 위생 상태나 불친절함, 해소시키고 특히 타 지역에서 찾아오는 관광객들의 재방문으로 향토음식 소비향상을 지속적으로 이끌어 평창, 강릉, 정선 지역경제 활성화구축요인을 분석함으로서 지역 향토음식의 선택속성에 따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연구에 대한 학문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자료로 본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세부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방법(Literature Research)과 실증연구방법(Empirical Research)을 병행하였다. 문헌적 연구방법으로는 국내외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관련 서적과, 저널지, 한국 학술 진흥 정보, 국회도서관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고, 각종 통계자료와 기타 논문을 통해 이론을 정리하고, 실증분석의 틀을 마련하였다. 또한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도출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서베이 방법(survey method)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실증연구를 한다. 실증적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기초로 설문 문항을 채택하여 설문지 조사 방법을 통하여 강원도 지역의 향토음식점으로 한정하였으며, 설문대상은 강원도 향토음식점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고객을 대상을 대상자로 하여 실시한다. 본 연구는 2016년 7월 10일부터 7월 25일까지 예비설문을 실시하였고, 예비설문 결과를 토대로 설문 항목을 수정하여 2016년 8월 10일부터 8월 30일까지 20일간에 걸쳐 약 260명의 고객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0.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e analysis), 기술 통계분석,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품질이 관계품질과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각 요인(factor)을 구성하고 있는 변수(variable)들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세부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음식점에 대한 선택속성(건강식, 물리적 환경, 서비스품질, 음식품질, 매력성, 프로모션)이 고객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향토음식점 선택속성(건강식, 물리적 환경, 서비스품질, 음식품질, 매력 성, 프로모션)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고객만족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의 세부적인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를 통하여 독립, 만족도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개관하여 주요 구성요소들을 규명하고 이들이 사회적 책임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포괄적인 연구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제안된 연구 모형의 실증적 검증을 통하여 연구모형의 적합성을 검토하고, 변수 간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에 관한 연구 가설들을 설정하고 이를 검정하고자 한다. 셋째, 가설검증 결과에 관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들을 논하고 향후 연구를 위한 과제들을 제공하고자 한다. 넷째, 관련 연구에 대한 연구자들의 관심을 유도하고, 외식업계에 걸친 경영 전략 다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런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최근 향토음식점의 패러다임과 트렌드가 새로운 외식산업 경영 전략을 세우는데 있어 방문고객이 건강식, 물리적 환경, 음식품질, 서비스품질, 매력 성, 프로모션 등 선택속성 향상을 위해 어떤 차원에 지원을 더 많이 배분해야 하는지, 특히 기존고객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어떤 차원을 더 강조해야 하는지와 기존 고객들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검증하여 향토음식점이 장기적 경쟁 우위를 확보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전략적 시사점 제안과 강원도지역의 향토음식점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형성하게 함으로 지역시장 활성화에도 기여하고자 한다. When it comes to the recent trend of native local food restaurants, restaurants try to satisfy the tastes of the moderns,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and raise its competitiveness by being compliant with the dietary culture of the moderns, who pursue for the well-being life style, using the local specialties and food ingredients made in traditional ways. Gangwon-do in which the Taebaek Mountains range from the north to the south at length and divide Gangwon-do into Yeongdong and Yeongseo, has quit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foods. Yeongdong that means the east of Daegwallyeong, the divide of Baekdudaegan, stands for Gangneung, Donghae, Sokcho and Samcheok. The special zone for the PyeongChang 2018 Olympic recognized by the government and Gangwon-do on January 11, 2014 is based on 「The Special Law on Support for The PyeongChang 2018 Olympic and the Paralympic Winter Gam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pecial Law on Support for Games」. The special zone that is designated to support a successful opening of the Olympic Games and even promote sustainable local development of a host city after the games, ranges up to 27.4㎢(9.5 times bigger than Yeouido) of Pyeongchang, Gangneung, Ilwon Jeongseon where the Olympic Games will be held.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ecial zone for the PyeongChang 2018 Olympic, while the zone enjoys boom during the vocation periods in summer and winter, it enters off-season in March, April and May in spring and September, October and November in winter. While travelers, who visit Yeongdong in peak seasons in winter and summer grow and the sales of the restaurants increase, due to unkind services and the problems of parking facilities and unsatisfactory sanitation of toilets of the restaurants and shopping centers, travelers suffers from discomfort. Accordingly, there is a story request that the local government should prepare for measures to solve the unkind services and sanitation, accommodations and information written in foreign languages of the restaurants and shopping centers in Gangneung and Jeongseon, and the restaurants should make general measures for insufficiency of menu in foreign languages and lack of parking lots. Accordingly, in order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problems and suggest measures, this study examines the problems of the special zone for the PyeongChang 2018 Olympic, and solves the biggest dissatisfaction of the sanitary conditions and unkindness of the restaurants, and particularly brings about the consumption improvement of local foods from alien tourists‘revisit. This study can be regarded as academically recognized for research on the effects on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local foods by analyzing the construction factors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in Pyeongchang, Gangneung and Jeongseon. Based on this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istribution of support to improve selective properties of the native local restaurants, in particular the emphasis to consistently maintain existing customers, and the relationship of satisfaction between existing customers, and suggest strategic implications to have a long -term competitiveness, and contribute to revitalizing the local market by forming positive images on the native local restaurants in the Gangwon-do region. The specific purposes to achieve the goals are as follow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service quality on relationship quality and customer loyalty. For this, each factor is composed to understand variables. The specific purposes to achieve the goals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selective attributes of the native local restaurant (health food, physical environment, service quality, food quality, attractiveness, promotion) on customer satisfaction have been verified. Second, the differences of the native local restaurant (health food, physical environment, service quality, food quality, attractiveness, promo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ave been verified. Third, the differences of customer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 have been verified. Therefore, the specific research goal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amines preceding studies on independence, satisfaction to clarify main components, and suggest a comprehensive research model about the relationship with social responsibility. Second, through practical verification of the suggested research model, suitability of the research model is reviewed and research hypothe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re established for verification. Third, theoretical and practical suggestions on the results of hypothesis verification are discussed and assignments for the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Third, the interest of the researchers is drawn, and methods to influence diversification of the business strategy ranging over the restaurant business are suggested.

      • 청·장년층 직업훈련 교육서비스의 선택속성, 학습동기가 만족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대전지역을 중심으로

        최유미 배재대학교 관광축제호텔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청·장년층을 대상으로 직업훈련 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 교육기관 및 학습자의 선택속성 및 학습동기 요인을 분석하여 청·장년층 교육서비스 프로그램의 발전방안과 대책들을 제언하고자 하며 교육기관 입장에서의 만족도와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학습자 입장에서의 학습동기가 교육을 만족하고 추천함에 있어 어떠한 요인이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설문지 및 실증연구와 통계분석을 병행하여 수행하였고, 실증분석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각 요인들에 대한 측정문항을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문항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은 대전 지역 청·장년층 취업자 및 일반 구직자중 교육 이수 경험이 있는 대상자로 하였으며, 2019년 8월29일∼9월24일 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60명의 응답을 최종 분석하여 사용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통계처리를 위해 설문조사 실시 이후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정을 거쳐 연구문제의 해결과 가설 검증을 위해 SPSS WIN Version 25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의 일반적인 특성을 분석하고자 명목척도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실증분석 방법으로는 선택속성, 학습동기, 만족도, 추천의도의 변수에 관련한 설문조사를 Likert-scale 5점 척도, 등간척도로 구성하였고, 선택속성, 학습동기, 만족도, 추천의도간의 상관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타당성 확보를 위해 크론바하 알파(Cronbach's alpha)계수를 활용하여 신뢰성 검증과 다변량 통계분석(multi-variate analysis)방법 중의 하나인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영향력 검증을 위한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직업훈련 교육서비스의 선택속성은 만족도에 부분적으로 정(+)의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그 중 편리성이 가장 밀접한 영향관계가 있는 요인임을 확인 할 수 있었고, 교육프로그램 요인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직업훈련 교육서비스의 선택속성은 추천의도에 부분적으로 정(+)의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교육시설이 가장 밀접한 영향관계가 있는 요인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셋째, 직업훈련 교육서비스의 학습동기는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직업훈련 교육서비스의 학습동기는 추천의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청·장년층이 직업훈련에 참여하여 전문지식을 익히고 학습을 통한 삶의 만족을 느끼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직업훈련 교육서비스의 만족도는 추천의도에 정(+)의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교육생 만족도가 높아지면 추천의도가 상승이 되며 추천의도 향상을 위해서는 추후 다양한 교육서비스의 요인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검증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제시한다면 첫째, 청년층 여성이 희망하는 단기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장기적(6개월 이상) 교육을 희망하는 자를 위하여 교육기관의 입장에서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개설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훈련생을 취·창업으로 연계하여 교육기관의 이미지와 보다 나은 강사의 전문성을 갖추어 홍보를 한다면 교육생 모집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셋째, 주기적으로 기업체 및 교육생의 의견 수렴 및 반영을 통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면 만족도는 높아질 것이며, 긍정적인 추천의도를 유발하여 교육기관의 이미지를 높일 수 있는 시너지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selection attribute factor of educational institutions which provide job training services for young adults and middle-aged people and learning motivation factor of learners and suggest the development plans and measures for education service programs for young adults and middle-aged people. It also aims to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on educational institution’s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which factors may have an impact on learner satisfaction in that learning motivation has an impact on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To achieve this, literature review, questionnaire, empirical study and statistical analysis were combined, and in empirical testing, the measurement items whose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verified, by factor in the precedent studies were modified and complemented before use. The research subjects were those who had experience with completion of education among young adults and middle-aged people who were employed in Daejeon and ordinary work-seekers and our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 29 to Sept. 24, 2019. The responses from 260 subjects were used for our final analysis and for data analysis, our survey was conducted for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data collected and then our data were coded and for solving research questions and verifying hypotheses, SPSS WIN Version 25 was used for analysis.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vey subject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with nominal scale, and as empirical testing method, the survey related to selection attribute, learning motivation,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factors was composed of 5-point Likert Scale and Interval Scale, and to verify the correlation between selection attribute, learning motivation,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ensuring validity, reliability verification using Cronbach's alph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e of the multi-variate analyses were conducted for hypothesis testing which was intended to verify the influence.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 could be drawn. First, it was analyzed that the selection attribute of job training services had a partially positive (+) impact on satisfaction and among which, convenience was a factor having the closest influencing relationship and educational program factor did not have an impact on satisfaction. Second, it was analyzed that the selection attribute of job training services had a partially positive (+) impact on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educational facility was a factor having the closest influencing relationship. Third, it was analyzed that the learning motivation of job training servic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atisfaction. Fourth, it was analyzed that the learning motivation of job training services had a partially significant impact on recommendation motive and young adults and middle-aged people participated in vocational training and learned specialized knowledge and felt the satisfaction with life through learning. Fifth, it was analyzed that the satisfaction with job training services had a positive (+) impact on recommendation intention. This suggests that the higher the trainee’s satisfaction,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increases and to improve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the factor analysis of various education services will be needed later. To provide suggestions based on such verified finding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short-term educational programs that young women hope to have and open more professional and systematic education courses for those who hope to receive long-term (6 months or more) education. Second, if educational institution’s image together with the instructors having better professionalism is promoted by connecting trainees with their employment and business start-up, it would be more effective for trainee recruitment. Third, if various programs are developed and operated by collecting enterprises’ and trainees’ opinions and reflecting them regularly, the satisfaction will get higher and this will cause positive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so the synergy effect to improve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image will appear.

      • 국내 항공사 선택속성이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여행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허지우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343

        Aviation transport industry has been developed continuously. With the appearance of Full Service Carrier (FSC) and Low Cost Carrier (LCC), the competition for lead in the aviation industry is getting fierce. In Korea,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flights have grown rapidly, starting with Low Cost Carrier (LCC) since 2006. Airlines have invested aggressively in service and facility expansion, route expansion, etc in order to attract customers. However, worldwide economic slump, large-scale terrorist attack, etc took a heavy toll on world aviation industry. Especially worldwide pandemic like swine flu, SARS, and MERS caused a great crisis to the aviation industry. The slump in the aviation industry reoccurred in 2020 with the outbreak of COVID-19. This caused airlines to take countermeasures to prepare for COVID-19 as well as service and facility expansion and route expansion. Many precedent researches have studied the impact of selection attributes o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but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mediating effect of involvement after outbreak of COVID-19.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what selection attributes airlines provided with customers after COVID-19 and based on this, find out the impact o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and look at the travel involvement from various perspectives. At the same time, it set up travel involvement as moderating variable and identified the discriminative effect of involvement between selection attribute and satisfaction and provided a new aviation market considering travel involvement as well as selection attribut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reviewed precedent researches and considered theories, and based on this, developed survey items and conducted a survey. Our survey was conducted in consumers who had ever used domestic airlines and 320 valid sampl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in this study. For statistical processing of data, SPSS 18.0 was us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principal component factor analysis, it was found that four airline selection attributes included sanitary and quarantine factor, convenience and safety factor, service diversity factor, and employee friendliness factor and each was drawn as a single factor from factor analysis of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As a result of likelihood ratio test to verify the between-group difference depending on travel involvement in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of airline selection attribute on satisfaction, it was verified that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between high-involvement group and low-involvement group. In high-involvement group, sanitary and quarantine, convenience and safety, service diversity, and employee friendlines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behavioral intention, whereas in low-involvement group, sanitary and quarantine, convenience and safety, and employee friendlines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behavioral intention. Based on such study findings, it is considered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important base data for positioning strategy by forming an appropriate outline on aviation market considering various selection attributes and situational variables for airline customers and establishing a system accordingly and doing marketing and promotion. 항공 운송 산업은 지속적으로 발전 해 왔으며, 대형항공사 및 저가 항공사가 생겨나면서 항공 산업의 경쟁은 치열해 지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2006년 이후 저비용항공사(LCC)를 시작으로 국내선 및 국제선 모두 급속한 성장세를 보여 왔다. 각 항공사에서는 고객유치를 위해서 서비스 및 시설확대, 노선확대 등 다양한 방면에서 적극적인 투자를 진행해 오고 있다. 그러나 세계적인 경제 불황, 대규모 테러 등은 세계 항공 산업에 큰 타격을 입혔다. 특히 신종플루, 사스(SARS), 메르스(MERS)와 같은 전 세계적인 전염병은 항공 산업에 큰 위기를 야기 시켰다. 이와 같은 세계적 전염병에 따른 항공 산업의 불황은 2020년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의 등장으로 재 발생 하였다. 이로 인해 각 항공사에서는 서비스, 시설확대, 노선확대 등 물리적인 서비스 부분뿐만 아니라,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에 대비하기 위한 대응책을 실시하였다. 기존의 많은 선행 연구에서 선택속성이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나, 선택속성 요인 중 COVID-19발생 후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통한 선택속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COVID-19 이후 항공사가 고객에게 어떠한 선택속성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여행관여도에 대한 다양한 관점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여행관여도를 조절변수로 설정함으로써 관여도가 선택속성과 만족도 사이에서 어떤 차별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파악하여, 선택속성에 여행관여도까지 고려한 새로운 항공시장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이론을 고찰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설문항목을 개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국내항공사를 이용한 적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유효표본 320부를 본 연구의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18.0 LIMDEP 8.0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성분석, 다중회귀분석, 단순회귀분석, 매개회귀분석, 우도비율검정(LR-test) 등을 실시하였다. 주성분 요인분석을 한 결과 항공사 선택속성은 위생 및 방역요인, 편리성 및 안전성요인, 서비스의 다양성요인, 직원친절성요인의 4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대한 요인분석에서 각각 단일요인으로 도출하였다. 항공사 선택속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여행관여도에 따른 집단 간 차이 유무를 검증하기 위해 우도비율검정을 실시한 결과 고관여도, 저관여도 집단 간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고관여도 집단에서는 위생 및 방역, 편리성 및 안전성, 서비스의 다양성, 직원친절성이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저 관여도 집단에서는 위생 및 방역, 편리성 및 안전성, 직원친절성이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자료를 바탕으로 항공사 이용고객의 다양한 선택속성과 상황변수를 고려한 항공시장에 대하여 적절한 개요를 구성하고 그에 따른 시스템을 구축하여 마케팅 및 홍보를 통해 포지셔닝 전략에 중요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커피전문점 선택속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위생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원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서비스산업에 따라 외식산업 또한 발전하고 있으며, 커피산업은 이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현 시점에 새로운 선택속성요인이 추가 구성되어진 결정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새로운 시장 수요를 간접적으로 파악하고자 했으며, 이러한 선택속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개인의 위생인식도를 조절변수로 두어 위생인식도가 선택속성과 만족도 사이에서 차별적이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것을 파악하여, 선택속성에 위생인식도까지 고려하여 특성화되고 세분화되어진 전략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이론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통해 개발한 설문도구를 통해 서울과 수도권 지역(경기, 인천)을 중심으로 커피전문점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이용객을 대상으로 유효표본 332부를 연구의 자료로 분석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의 통계를 위해 통계 프로그램인 SPSS 22.0과 LIMDEP 8.0을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 신뢰성 분석, 요인분석, 우도비율검정 등을 실시했다. 요인분석 결과 커피전문점의 선택속성은 ‘서비스 요인’, ‘위생 요인’, ‘친환경 요인’, ‘커피 요인’, ‘브랜드 요인’, ‘마케팅 요인’, ‘분위기 요인’의 7개의 요인으로 나타났다. 만족도와 위생인식에 대한 요인분석은 모두 단일요인으로 도출 되었다. 커피전문점의 선택속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위생인식에 따른 고관여 집단과 저관여 집단 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우도비율검정(Likelihood Ratio Test)의 결과에서는 조절효과가 유의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고관여 집단에서는 서비스 요인, 위생 요인, 친환경 요인, 커피 요인, 브랜드 요인, 분위기 요인이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관여도 집단에서는 커피 요인, 브랜드 요인, 분위기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이용하여 커피전문점은 커피 및 분위기뿐만 아니라 코로나19로 인해 관심이 대두 되고 있는 위생인식 또한 고려하고 선택속성을 고려하여 시장 세분화를 하여 이에 따른 전략을 구성하고 그에 따른 전략을 실행하여 마케팅을 구현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별 미용실 선택속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진윤정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3342

        미용실 이용고객의 성격유형 별로 미용실 점포 선택속성이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에 따른 미용 서비스업의 경쟁력 강화를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실증조사는 서울과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20살에서 39살까지의 표본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총 398부를 SPSS 24.0을 이용해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검정, 분산분석, 단계적 선택법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표본은 20세에서 23세까지의 대학교 재학 또는 졸업 학력의 여성으로 월 평균 200만원 미만의 소득을 가진 학생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중 2번 유형인 조력자 유형이 가장 많았다. 둘째, 미용실만족도와 고객만족도의 차원을 알아보기 위해 신뢰도 분석을 한 결과 모두 0.6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미용실만족도는 5가지 요인, 고객만족도는 3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조사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미용실 선택속성과 고객만족도간에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성별, 연령, 직업, 월 평균 소득에 따라 미용실 선택속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과 직업에 따라 고객만족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사대상자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별로 미용실 선택속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성격 유형 별로 미용실 선택속성과 고객 만족에 상호 연관성이 확인되었고 그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별로 미용실 선택속성요인이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다르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고객의 성격뿐만 아니라, 고객이 미용실을 선택하는 요인에 따라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결론에 따른 개선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20대에서 30대까지의 수도권에 거주하는 대학교 재학 또는 졸업 학력의 여성을 대상으로 표본이 한정되었기에 보다 폭넓은 연구를 위해 후속 연구에서는 표본 범위를 확대하여 객관성을 확보해야 할 것으로 보여 진다. 둘째, 에니어그램 성격 유형 도구는 단순히 9가지로 나누어지지 않고 하위 항목으로 18개의 날개와 54개의 본능적 변형으로 나누어 진다. 따라서 보다 심도 깊은 연구를 위해 후속 연구에서는 더욱 세부적인 항목으로 나누어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effects of selection factor on satisfaction factor of hair salon by enneagram personality types, so that beauty industry can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practical survey was taken place by research subjects who live in Seoul and Gyeonggi area, age between 20 to 39 with 398 questionnaires and SPSS24.0 research tool to analyze frequenc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varianc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 sample survey was carried out mostly from 20~23 years old female college undergraduates/graduates students whose income is approximately under 2,000,000 won. And the number of research subjects who has personality of enneagram type two which is called the helper was the most. Second, after reliability analysis to find out each level of hair salon selection factor and satisfaction factor, all the results appeared to be greater then 0.6. Also there are 5 factors for selection factor, 3 factors for satisfaction factors. Third, a variance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er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selection factors of beauty and the satisfaction factor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table. As a result, differences in beary salons selection factors vary depending on gender, age, occupation, and monthly average income, and satisfaction factors vary according to age and occupation, depending on age and occupation. Four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beauty salons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of the research subjects by enneagram personality types. As the result, the effects of selection factors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level diffe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enneagram personality types. Through this, it is important to provide different services depending on not only the customer’s personality but also the factors how customer choose beauty salon. The followings are suggesting improvement points. First, the study need to be conducted with wider range of region and age to generalize the outcome to have better objectivity because this study is limited to those in their age 20s to 30s, and living in capital area. Second, enneagram personality type is not only divided into 9 types, but also divided into 54 lower subjects. For more deep study following research will be needed to progressed by dividing into more detailed personality types

      • RMR(Restaurant Meal Replacement) 선택속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 블루의 조절효과

        이상원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342

        The HMR market grew rapidly due to the prolonged Corona situation. As aresult, many companies have launched and sold new HMR products to consumers. Furthermore, the advanced HMR has evolved into RMR(Restaurant Meal Replacemen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HMR. It has developed a product that allows users to feel the experience of dining out at home as it has been upgraded more than existing HMR.Unlike this growing RMR market, there is no research on RMR itself and it is true that it is lacking.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 relationship of RMR selection attributes on satisfaction and to verify the effect relationship of the regulation effect of Corona Blue. In addition, we run an empirical analysis to learn the impact relationship by leveraging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technique of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RMR selection properties.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RMR selection attributes, satisfaction, and corona blue were measured, and sub variables of RMR selection attributes consisted of quality, price, brand, and convenience. This study organized a questionnaire with measurement items derived based on prior research and conducted a survey on consumers who have purchased and used RMR products within the last six month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Statistics Program. Accordingly, demographic properties were identified, frequency analysis, multiple response analysis,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IP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easurement questions. Accordingly, the following findings were derived First, 'RMR selection propertie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is shown to have a partial significant positive effect. Quality, price, and convenience among RMR selection properties have been found to have significant (+) effects, and brands have not been shown to have significant effects. The above results can stat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RMR and HMR that consumers feel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Second, the hypothesis H2 shows that Corona Blue adjusts(Moderating Effect) RMR selection properties to satisfaction relationships. so Hypothesis H2 was adopted in part. Price has been found to have the effect of Corona Blue having an adversarial effect between price factors and satisfaction in the role of satisfaction (+). In the prolonged Corona situation, consumers seemed to need factors for convenience. However, consumers may think that the price factors of RMR products are not important, just as retaliatory consumption is prevalent if the corona situation is prolonged. Third, the maintenance enhancement item, the maintenance improvement item, and the progressive improvement item were identified through the IPA of the entire target using the RMR selection property. According to the analysis, most consumers are satisfied with convenience and brand factors compared to importance. However, in the case of quality and price factors, most consumers showed higher importance than satisfaction, indicating the same IPA as conventional HMRs.Through the study, we confirmed that RMR selection properties and satisfaction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except for brand factors, and also verified the adjusts (Moderating Effect) effect by Corona Blue. Eventually, the company will meet the needs of consumers if it releases new products by intensivelystrengthening price factors and convenience factors for the growth of the RMR market in the face of prolonged Corona 19. 장기화한 코로나 상황으로 인해 HMR 시장은 더욱 빠르게 성장하였고 이에 따라 대다수 많은 기업은 신규 HMR 제품을 출시하고 판촉하며 소비자들에게 판매하였다. 나아가 발전된 HMR은 기존 HMR의 특징을 가진 레스토랑 대체 간편식인 MR (Restaurant Meal Replacement)로 업그레이드되었다. 단순 가정식뿐만 아닌 외식에서 느끼던 경험을 집에서도 느낄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한 것이다. 이처럼 성장하는 RMR 시장과는 달리 RMR 자체에 관한 연구는 전무하며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RMR 선택속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며 코로나 블루의 조절 효과 영향관계를 검증하는 목적이 있다. 더불어 RMR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의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기법을 활용하여 영향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실증분석을 실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RMR 선택속성, 만족도, 코로나 블루를 측정하였고, RMR 선택속성의 하위 변수는 품질, 가격, 브랜드, 편의성으로 구성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도출한 측정항목으로 설문지를 구성하며 최근 6개월 이내에 RMR 제품을 구매하고 사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인구 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였고 측정 문항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빈도분석, 다중반응분석, 중요도-만족도 분석(IPA) 기술통계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연구 가설 검증을 위해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했다. 첫째, ‘RMR 선택속성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RMR 선택속성 중 품질, 가격, 편의성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브랜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는 소비자들이 느끼는 RMR의 특성과 HMR의 특성이 크게 다르지 않은 것을 말할 수 있다. 둘째, 가설 H2의 분석 결과 ‘코로나 블루는 RMR 선택속성과 만족도 관계에 조절효과를 할 것이다.’ 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H2는 부분 채택되었다. 품질 요인과 브랜드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편의성 요인은 만족도의 정(+)의 역할에서 코로나 블루가 강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가격은 만족도의 정(+)의 역할에서 코로나 블루가 가격 요인과 만족도 사이에서 대립의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장기화한 코로나 상황에서 편의성에 대한 요인이 소비자들에게 필요해지는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가격 요인의 경우 코로나 상황이 길어지면 보복 소비가 성행하듯 소비자는 RMR 상품의 가격 요인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셋째, RMR 선택속성을 사용한 전체의 대상자 IPA를 통해 유지강화 항목, 중점개선 항목. 점진개선 항목을 알 수 있었다. 분석결과 편의성, 브랜드 요인은 대다수에 소비자가 중요도 대비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품질, 가격 요인의 경우 대.다수에 소비자가 만족도 대비 중요도가 높게 나타나 이는 기존 HMR과 같은 IPA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RMR 선택속성과 만족도에 브랜드 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이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했고 코로나 블루에 의한 조절효과 또한 검증하였다. 결국, 기업은 장기화한 코로나 19 상황에서 RMR 시장의 성장을 위해 가격 요인과 편의성 요인을 좀 더 집중적으로 강화하여 신규 제품을 출시한다면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임을 시사한다.

      • 중국관광객의 한국관광지 선택속성만족에 대한 연구

        진성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3342

        Now the pattern of tourism in China has changed dramatically from group tourists to individuals. Leading to economic growth, RMB appreciation, but also because of location, easier access to South Korea, and by many factors such as South Korea stay. According to a 2011 South Korean National Tourist Board report on international arrivals in South Korea, the number of Chinese tourists visiting South Korea made up 36.1% of group tourists and 61.8% of individual tourists, while the number of individual tourists and free-riders increased from last ye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attributes of choice of destination, the impression of destination, the satisfaction of tourists and the intention of behavior in order to draw a hypothetical structur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paper conducted an in-depth review and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evant literature. The types of theoretical methods used in this study include a review of online sources such as predecessors, books, periodicals, dissertations, statistics and 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 selected attributes of the destination, four sub-factors of the catering industry, convenience facilities, traditional culture and natural landscape are proposed. The four sub-factor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ourist satisfac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followed by the catering industry and convenience facilities. Secondly, the satisfaction of individual tourists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tourist's intention to visit. It can be assumed that Chinese tourists will visit again when they are satisfied with the attributes of South Korean tourist destinations. Thirdly, the satisfaction of individual tourist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Once Chinese tourists are satisfied with the selection of properties in South Korea, they will recommend South Korea as a safe tourist destination. Therefore, Chinese tourists are very satisfied with the attributes of South Korean tourist attractions. Once satisfied, they will re-evaluate and recommend South Korea. 금세기 유럽 선진국 일변도였던 세계관광시장에 들어 변화가 일어났다. 중국과 한국 일본 등 아시아 국가들이 중국관광객들이 유치에서 얻은 성과를 괄목할 만하다. 중국은 2020년까지 50만 명을 유치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그리고 요즘에 인간의 욕망도 점점 다양해지면서 개인생활 가장주요 관광 분야하고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16년 전에 출국관광 하는 중국관광객의 인수가 년 평균 500만 있는 데, 2011년에 출국관광 인수가 년 7000만 명으로 증장하였다. 세계관광조직의 예측에 의하여 중국관광객은 2020년까지 해외관광을 나가는 인수가 1억으로 증장할 것이다. 한국에 오는 중국관광객들은 질적. 양적인 면에서 증가하고 있으며 더욱더 다양해지고 있다. 한국으로 방문을 결정한 중국관광객들은 한국문화와 한국관광지에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방한중국관광객은 직접 한국 관광지를 체험해 보고 한국 관광지에 대한 좋은 이미지가 갖게 된다면 한국경제적인 면과 해외에 한국 및 한국 관광이미지를 홍보하는 중요한 사업이 될 것이다. 하지만 중국관광객에 관한 연구는 매우 적었고, 중국관광객의 증가에 따라서 관광지에 대한 관심이 끈 것은 비교적인 최근의 일 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관광객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관광지 이미지가 관광객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따라서 연구들은 아직 그 너비나 깊이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한국 관광지 이미지와 관광객만족도의 상관관계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논문은 방한 중국관광객들이 한국 관광지 이미지에 대해서 어떤 이미지가 형성하고 있는지 .그리고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하는 것이다. 방한 중국관광객들은 한국 관광지의 인지적인 이미지를 편견과 오해 없이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실제적으로 이들은 자기나라로 돌아가서 한국 및 한국관광을 관련된 중요한 여러 가지 층면의 정책 사례를 기획ㆍ 결정하는 업무가 수행하기 도 하고 다른 사람에게 한국 관광지 이미지를 부정적이나 긍정적으로 얘기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광광대하여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구체적으로, 중국관광객들의 한국관광지에 관한 일반적 이용특성과 인구 통계적인 특성에 따라 한국 관광지 이미지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체크하며, 또한 한국 관광지 이미지에 따른 관광객만족도가 어떤 차이가 나는지 살펴보았다. 중국관광객을 대상으로 한국 관광지이미지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관광마케팅 전략의 연구의 목적이 있고 또한 출발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방한 중국관광객들의 한국 관광지에 대한 이미지가 어떻게 급히 형성되어 있는지 본 설문 조사를 통해서 알아 볼 연구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한중국관광객의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한국 관광목적지 이미지는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중국관광객의 한국 관광지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이미지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셋째, 한국 관광지 이미지와 관광객만족도는 어떤 상관관계를 갖는지 알아보고자한다. 설문조사는 명동, 동대문, 강남, 홍대, 광화문이 많이 방문하고 있는 관광지 5개를 선정한 후, 이 관광지에 방문하는 중국관광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한국관광 이용에 대한 특성, 관광목적지 선택속성의 중요도, 관광지 이미지, 관광객만족도, 관광객의 행동의도, 한국 관광지이미지와 관련된 항목, 인구 통계적인 변수로 나누어 한국 관광지에 대한 전반적인 이미지, 관광만족도를 여러 측면에서는 포착 하고자 하였다. 위의 연구문제에 관한 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관광객들의 한국 관광지에 대한 한국이미지를 살펴보면 대부분 응답자들한테 한국 관광지에 대한 관광이미지는 긍정적 형성되어 있었다. 환경적 청결성 . 자원의 다양성과 국가의 문화 및 과학 선진성 요인에 긍정적 인식되고 있다. 둘째, 방한중국관광객들의 인구통계적인 특성에 따라서 한국 관광지에 대한 관광이미지의 차이점에 있어서는 우선 방한중국관광객의 연령, 성별, 학력, 월소비, 관광비용에는 유의한 차이를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방한중국관광객들의 성별과 한국거주지는 한국 관광지에 대한 관광이미지에 통계적인 영향을 끼치고 결과로 나타났다. 셋째, 방한중국관광객은 한국 관광지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한국 관광지에 대한 관광이미지의 차이점에 있어서는 관광지 선택속성이 한국 관광지 이미지와 인구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넷째, 한국 관광지 관광이미지가 좋을수록 관광객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관광지의 환경적 청결성 자원의 다양성 및 국가의 과학 선진성 등 요인수준이 높을수록 관광객만족도가 높다는 그 통계결과를 나타났다 .즉 관광지 인지적 관광이미지가 관광객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