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상담전공대학원생의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관여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문선경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상담전공대학원생들의 진로발달을 위해 개인의 실천적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진로관여행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관여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상담전공대학원생의 계획된우연기술,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관여행동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상담전공대학원생의 계획된우연기술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셋째, 상담전공대학원생의 계획된우연기술, 진로관여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있는가? 이와 같이 설정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상담을 전공하고 있는 서울, 경기, 인천 소재 석사 과정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오프라인 176부, 온라인 119부 총 295부를 회수하였고 이들 중 불성실한 자료 8부를 제외하고 총 287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계획된우연기술의 5가지 하위변인(호기심, 유연성, 인내심, 낙관성, 위험감수)은 모두 진로관여행동은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하위요인 중 ‘호기심’이 종속변인인 진로관여행동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보였다. 둘째, 계획된우연기술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문제해결, 목표선택, 직업정보, 미래계획)은 모두 진로관여행동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목표선택’과 ‘직업정보’가 진로관여행동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보였다. 넷째, 계획된우연기술과 진로관여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직업환경을 고려하여 상담전공대학원생의 현재와 미래 직업세계에 대한 적응력이 중요시되는 시대적 요구를 반영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미래의 상담전문가가 될 전공생들의 진로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인지와 동기 및 행동적 차원의 통합적인 관점을 기반으로 연구한 점에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대부분이 초심상담자인 상담전공생에게 자신과 일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행동적 변인인 진로관여행동을 높이기 위해 상담전략 및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의의가 있다.

      •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스트레스가 우울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돌봄의 조절효과

        진미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스트레스와 우울 및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자기돌봄이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에 있는 상담전공 석사과정 대학원생 227명이었으며, 자료수집에는 개정판 대학생 생활 스트레스 척도, 시간 부족 지각 척도, 신체적 자기지각(건강) 척도, 임상실습 스트레스 척도, 자기돌봄 척도, 아동상담자의 자기돌봄(전문적 도움 추구) 척도, 우울척도, 삶의 만족도 척도를 연구 도구로 사용하였다.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스트레스는 우울 및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를 자기돌봄이 조절할 것이다. 셋째,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자기돌봄이 조절할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관계 및 학업/진로 스트레스는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학업/진로 스트레스는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스트레스와 우울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자기돌봄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돌봄의 하위요인인 일·휴식 균형유지 및 전문적 도움추구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스트레스에 대해서 연구했다는 것과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정신건강을 위해서 활용할 수 있는 자기돌봄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a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 total of 227 counseling graduate students nationwid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completed Revised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RLSS-CS), Visual Deficit Perception, Physical self – Description Questionnaire(PSDQ; health), Clinical Practice Stress Scale, Professional Self-Care Scale for Korean Counselors, Self-Care Scale for Child Counselors(seeking professional help), Center for Epio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cademic/career str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and academic/career str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are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and life satisfac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maintaining work–life balance and seeking professional help, which are subscale of self-care, was significa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tudied the stress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and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importance of self-care that can be used for mental health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Limitation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상담 전공 대학원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인상담의사

        김경은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33327

        본 연구는 상담관련 전공 대학원생이 노인을 대상으로 상담을 하는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노인에 대한 태도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인천, 경기, 충남, 대전 지역의 상담관련 전공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218명의 자료를 분석 하였다. 노인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한정란(2004)의 연령집단에 대한 태도 척도를 사용하였고 노화불안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최순옥, 김숙남, 신경일, 이정희(2008)가 번안한 Lasher와 Faulkender(1993)의 노화불안 척도(AAS)를 사용하였으며 노인상담의사를 보기 위해 박중순(2010)의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을 도입하여 노인상담의사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의 목적에 따라 중다회귀분석과 단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관련 전공자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는 연령, 성별, 봉사활동 경험 유무, 노인 관련 과목에 대한 수강의지, 그리고 노인과의 동거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성보다는 남성이, 그리고 연령이 높은 대학원생보다 적은 대학원생이 노인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노인관련 봉사활동 경험이 있고, 노인에 대해 친밀하게 느끼고, 노인과 동거한 경험이 있는 경우 노인에 대해 더 긍정적이었다. 또한 노인관련 과목 수강의지가 높은 대학원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가 수강의지가 낮은 대학원생에 비해 더 긍정적이었으나 노인관련 과목 수강여부는 노인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노화불안, 노인에 대한 친밀감 정도, 그리고 향후 노인관련 과목 수강이 노인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담관련 전공자들의 노화불안이 낮을수록, 노인과의 정서적 친밀감이 높을수록, 그리고 노인과목에 대한 향후 수강의지가 높을수록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것을 의미한다. 특히 노화불안은 노인에 대한 태도를 설명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담관련 전공자들은 다른 연령대 보다 노인에 대한 상담 선호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상자의 과반수이상가 노인을 대상으로 상담 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넷째, 상담관련 전공자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는 노인상담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향후 노인상담을 할 가능성도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 상담관련 전공자의 노인에 대한 태도는 노화불안, 노인에 대한 친밀도, 그리고 향수 노인 과목 수강 의사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노인에 대한 태도는 노인상담의사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향후 상담관련 대학원생들의 노인상담의사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교육적, 사회적 분위기와 기회를 제공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를 바탕으로 논의와 추후 연구에 대한 제안 등을 전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ounseling graduate students' attitude toward elderly and to analyze their willingness to provide counseling for the elderly.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18 counseling graduate students in Seoul, Gyeonggi-do, Inchen, Choongchung-namdo and Daejeon areas. Using SPSS,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multiple regression, and simple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d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the counseling students, men had more positive atttiudes toward elderly than females, and younger students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elderly. Also, students with higher intention to take gerontological courses, with more volunteer experiences with elderly, with more experience living with elderly, and who felt closer to their grandparents held more favorable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Second, students' anxiety about aging, degree of intimacy with the elderly, and willingness to take gerontological courses in the future significantly predicted attitudes toward elderly. More specifically, when the students had lower the aging anxiety, higher the emotional intimacy, and higher willingness to take gerontological courses, their attitudes toward elderly were more positive. Third, counseling graduate students preferred to counseling young clients if they were able to choose their clients. However, more than half of those respondents were willing to provide counseling to the elderly if they had to. Fourth, counseling graduate students attitudes toward elderly senior counseling predicted their willingness to counsel older adults. When counseling graduate students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they were more willing to provide counseling to the elder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ging anxiety was the major predictor of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mong graduate students in counseling. Thus, a positive shift in attitude toward the elderly would increase intention to counsel elderly.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provided some suggestions for gerontological counseling education and future research.

      • 상담전공 석사과정 대학원생이 겪은 연구의 어려움과 대처경험

        김영진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311

        본 연구는 상담전공 석사과정 대학원생이 경험하는 연구의 어려움과 대처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석사학위 논문을 작성하고 상담전공으로 석사학위를 수여 받은 8명의 참여자에게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심층 면접을 진행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2개의 하위요소, 8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는 <연구에 대해 알지 못해 막막함을 느낌>, <학교에서 연구와 관련된 도움을 받지 못함>, <연구방법에 대한 시행착오를 겪음>, <연구 과정에서 내적 위기감을 느낌>, <연구에 대한 내적 동기로 인해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하게 됨>, <지지와 격려를 통해 심리적인 안정감을 느끼게 됨>, <연구를 위한 공부를 스스로 함>, <주변 사람들에게 연구에 대한 실질적인 도움을 받음>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상담전공 석사과정 대학원생이 경험한 연구의 어려움과 대처방법에 대해 심층적으로 연구함으로써 본질적 구조를 밝혔다는 데 의의를 둘 수 있다. 또한, 상담전공 석사과정 대학원생들의 대학원 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상담과 연구를 서로 접목한 교육을 기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search difficulties and coping methods experienced by graduate students in the master's course in counseling.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data were analyzed for 8 participants who wrote a master's thesis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nd received a master's degree in counseling majo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22 subcomponents and 8 components were generated. The result of study are <Feeling hopeless because you don't know about the research>, <Not getting help related to research at school>, <Experienced trial and error in research methods>, <Feeling an inner sense of crisis in the course of the study>, <Internal motivation for research leads to end-to-end without giving up>, <Psychological stability through support and encouragement>, <Studying for research by oneself>, <Get practical help from people around you for your research>. Through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hat the fundamental structure was revealed by in-depth research on the difficulties and coping methods of the research experienced by the graduate students of the master's course in counseling. In addition, By providing basic data on graduate school education for graduate students in the master's course in counseling major, you can expect an education that combines counseling and research.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made.

      • 상담전공대학원생들의 진로결정동기와 대학생활적응간의 관계 : 성격과 가치의 조절효과

        김안나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3311

        본 연구에서는 상담전공 대학원생들의 진로결정동기를 상담에 긍정적 영향력, 상담에 대한 관심, 인정받는 진로, 융통성 있는 직업으로 나누어 대학생활적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으며, 진로결정동기를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로 나누어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아울러 내,외적동기와 대학생활적응간에 성격5요인과 일의 가치가 조절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대상자는 서울, 경기지역에 상담전공 대학원생들이며, 총 2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Pearson의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첫째, 진로결정동기, 성격5요인, 일의 가치의 하위요인 중 성격 5요인의 개방성을 제외한 나머지 모두가 대학생활적응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결정동기의 하위요인 모두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담의 긍정적 엉향력, 상담에 대한 관심, 인정받는 진로, 융통성 있는 직업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결정동기를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로 나누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내적 동기가 대학생활적응에 더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격5요인의 하위요인인 외향성의 수준에 의해 진로결정동기의 외적 동기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가 조절되었다. 넷째, 일의 가치의 하위요인인 이타주의와 경제보수 수준에 의해 진로결정 내적동기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가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보수의 수준이 진로결정 외적 동기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가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대학생활적응 연구를 진행하여 상담전공 대학원생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identify the effect of the career decision motivation on the college adjustment for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at graduate school. The motivation are divided into 4 foctors. The foctors are: posiive effects on counseling, interest in counseling, counselor's social reputation and job flexibility. Motivation was divided into inner motive and outer motive.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personality, work values between motivation of career decision and college adjustment. Date was collected from sample of 201 students in majoring in counseling at graduate school in seoul and gyung gi. The method of analysis wa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study, first, variation of motivation, personality and work values are all related with college adjustment except openness. Second, motivation career decision’s sub-variation are all related with college adjustment. It was order by positive effects on counseling, interest in counseling, counselor's social reputation and job flexibility. Identify the effect of inner and outer motivation on the college adjustment, inner motivation is more affected. Third, neurotiousness and extroversion was shows the moderating effect between outer motivation of career decision and college adjustment. Fourth, only altruism was shows the moderating effect between inner motivation of career decision and college adjustment. Also economy was shows the moderating effect between outer motivation of career decision and college adjustment. The research has been done with college adjustment for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at graduate school, and it suggested the need for study for them.

      •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질적 연구 수행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안유진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311

        본 연구는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질적 연구 수행경험을 살펴봄으로써 상담과 질적 연구가 어떠한 상호작용을 주고받는지에 대한 구체적 자료를 제공하여 질적 연구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Giorgi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상담전공 대학원생 총 7명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23개의 하위구성요소와 7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는 ‘나와 타인에 대한 관심이 연구의 기반이 됨’, ‘연구참여자와의 면담에서 시행착오를 겪음’, ‘연구참여자의 이야기를 이끌어내기 위해 노력함’, ‘연구참여자와의 거리를 적절하게 유지하기 위해 노력함’, ‘상담자의 모습과 질적 연구자의 모습이 유사하게 느껴짐’, ‘상담자로서의 역량이 성장함’, ‘나 자신이 성장함’, ‘연구의 의미를 알게 됨’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질적 연구 수행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탐색과 이해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를 둘 수 있다. 또한 상담전공 대학원생이 질적 연구를 수행하며 갖추어야 할 태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연구를 통한 상담자의 발달에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상담전공 대학원생들의 질적 연구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필요한 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상담치료전공대학원생의 자기성찰 경험에 관한 연구

        정미향 신라대학교 상담치료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3311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치료전공 대학원생의 자기성찰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상담치료 대학원생의 교육경험을 이해할 수 있는 구체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Giorgi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동원하였고 상담전공 5학기차 이상 이수한 대학원생과 졸업생 8명에게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자료를 획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12개의 하위구성요소와 4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긍정적 정서 경험’, ‘성숙한 관계형성’, ‘자기인식의 확장’, ‘전문상담가로의 도약’으로 의미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볼 때 상담전공 대학원생은 대학원 과정을 통해 자기성찰을 경험함으로써 부정적인 경험이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관계에서 긍정적 변화를 경함하며 인간적으로 성장하고, 추후 전문상담자가 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와 관련한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elf-reflective experience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therapy to provide specific data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counseling therapy graduate students. To this end, Giorgi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were mobiliz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data were obtained from 8 graduate students and graduates who had completed more than 5 semesters of counseling majors. As a result of the data analysis, 12 subcomponents and 4 component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the study, meaning was derived from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 'mature relationship building', 'expansion of self-awareness', and 'leap to professional counselor'. Through this study, it has been shown that graduate students in counseling experience self-reflection through graduate study, so that negative experiences change positively, that they recognize positive changes in relationships, that they grow humanely, and that they set goals to become professional counselors in the future. Finally, limitations related to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made.

      • 성인진입기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진로모색 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곽지영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33311

        본 연구의 목적은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성인진입기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진로모색 과정을 설명하는 실체이론을 제시하는 것이다. 성인진입기 상담전공 대학원생들이 진로모색 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고, 진로모색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성인진입기 상담전공 대학원생 1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고, Strauss &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개방코딩에서 89개의 개념과 39개의 하위범주, 1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고, 중심현상은 ‘현실과 내적 가치 사이의 불균형’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의 원인이 된 인과적 조건은 ‘내적 가치에 이끌려 상담의 길에 들어섬’으로 나타났으며, 중심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조건은 ‘사회적 기대와 시선의 인식’, ‘독립이라는 발달과업’, ‘기대와는 다른 상담자의 현실’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에 대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조절하는 중재적 조건은 ‘상담자에 대한 부모의 태도’, ‘주변의 정서적 지지’로 나타났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모호함을 홀로 감내하기’, ‘진로를 고민하며 결정을 망설이기’, ‘내적 진로동기를 강화하기’, ‘패기 있게 도전하기’, ‘현실적인 제약을 극복해 나가기’, ‘상담자 상에 대한 인식을 제고 하기’, ‘상담자의 길에 한 걸음 다가서기’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결과는 ‘현실을 마주하고 진로를 모색해감’, ‘상담공부를 통해 정체감을 형성해감’, ‘진로에 대한 확신을 갖게 됨’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성인진입기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진로모색 과정은 ‘갈등 및 혼란 단계’, ‘불안정 단계’, ‘시도 단계’, ‘명료화 단계’의 4단계로 나타났으며, 선택코딩 절차를 통해 핵심범주는 ‘현실과 내적 가치 사이의 불균형 속에서 현실을 마주하고 내적 동기와 가치를 기억하며 진로를 모색해 나아감’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성인진입기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진로모색 과정을 이해하고, 그들이 진로를 모색하는 데 필요한 실질적인 방안 및 지원책 마련을 위한 경험적 근거자료를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ubstantive theory that explains the career exploration process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in their emerging adulthood. Apply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this study examines what these students experience throughout their career exploration process, and what elements they are affected by. Total 13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in their emerging adulthood were interviewed, in which its result was analyzed based on the ground theory suggested by Strauss & Corbin(1998). The analysis resulted in 89 concepts, 39 sub-categories, and 17 categories, in which the central phenomenon was identified as ‘the discrepancy between reality and internal value’. The causal condition of the central phenomenon was identified as ‘entering the counseling field driven by internal value’, while the contextual condition that affects the central phenomenon was identified as ‘recognizing social expectations and perspectives’, ‘independence as a developmental task’, and ‘the discrepancy between expectation and reality as a counselor’. The intervening conditions that controls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y for the central phenomenon were seen as ‘Parents’ attitude towards counselors’, and ‘emotional support from surroundings’.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tolerating the ambiguity alone’, ‘hesitating to make a career choice’, ‘reinforcing internal career motivation’, ‘taking on bold challenges’, ‘overcoming practical constraints’, ‘an improved perception of the counselor image’, and ‘taking a step forward to become a counselor’. Their following results were ‘facing the reality and proceeding to career exploration’, ‘forming a sense of self identity by studying counseling’, and ‘becoming certain about the career path’. The chronological process of career exploration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in their emerging adulthood derived from this study is presented in four stages, ‘Conflict and Confusion’, ‘Instability’, ‘Attempt’, and ‘Clarification’. The core category examined by the optional coding process is found as ‘Facing the reality and proceeding towards career exploration, reminding oneself of the internal motivation amid the discrepancy between reality and internal valu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s understands the career exploration experience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in their emerging adulthood and provides an experiential evidence for future development of necessary practical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