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공지능 시대 기술레짐 비판 : 기술비판이론의 확장적 재구성

        김현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03

        이 논문은 인공지능 시대, 지능정보사회에서 과학기술과 사회문화를 분리키기는 이원론적 모더니티 하에서 과학기술의 가치중립성을 유일한 합리성으로 포장하는 기술중립론적 기술신화 체제인 기술레짐을 해석하고 비판하며 나아가 대안적인 민주적 기술합리성과 기술정치학을 모색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탐구하며 구축한다. 이를 위해 과학기술학의 구성주의 전통 하에서 앤드류 핀버그의 기술비판이론을 중심으로 뒤르켐주의 기술문화사회학 등을 도입하여 기술비판이론의 이론적 재구성과 문화연구적, 사회학적 확장을 도모하고 통합적 기술문화연구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이로써 오늘날 보다 정교해지고 심화된 기술중립론, 기술결정론, 기술 투명성 신화를 담지하는 인공지능 기술레짐과 새롭게 등장한 AI 기술합리성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정립한다. 오늘날 과학기술과 그것의 혁신에 대한 지배적 견해는 기술 설계에서 사회∙문화적 차원을 배제시키고 기술을 투명하고 중립적이며 자율적인 것으로 간주하는 데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술중립론은 기술해법만능주의, 기술지상주의와 함께 과학기술의 설계를 결정하는 기술레짐을 만들어 내며 기술권력 또는 기술관료제의 지배력을 공고히 하는데 일조하고 있다. 기술에 대한 유일한 합리성으로 간주되는 이 지배적 견해는 물질적 기술과 사회적 문화를 분리시키는 이원론적 모더니티에 기반을 두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은 이 기술신화와 기술레짐의 중심적이고도 문제적이며 논쟁적인 장소와 인공 사물이 되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기술신화와 기술레짐을 이론적으로 정교하게 포착하고 비판하기 위해 기술비판이론의 재구성과 확장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핀버그의 기술비판이론이 핵심적 자원임을 강조하면서 이를 체계적으로 해명하고 재구성한다. 이를 통해 구성주의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기술비판이론이 본질주의 기술철학을 비판하고 기술적 원리와 사회적 힘의 이분법을 극복하며 기술정치적 실천에 기여할 수 있는 성찰적 기술비판이론임을 드러낸다. 그리고 이 논문은 기술비판이론이 기술레짐의 문화적 논리, 기술의 문화적 심층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알렉산더가 발전시킨 뒤르켐주의 기술문화사회학의 보충이 요청된다고 주장한다. 여기서는 보다 심층적이고 통합적인 기술문화연구 프로그램으로 확장하기 위해서 기술의 문화 지평을 중시하는 문화이론들을 도입하고 이것의 기술비판이론적 함의를 밝힌다. 이로써 문화사회학은 기술레짐과 기술합리성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결과적으로 비판이론과 문화사회학적 접근들이 모두 모더니티 기술신화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극복하기 위한 유용한 이론적 자원임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기술비판이론을 AI 문제에 관한 문화연구 및 사회이론으로 확장, 적용하여 AI 국면에서 기술레짐의 변동을 읽어내고 신종 AI 기술합리성의 문제를 드러낸다. 이에 생성형∙대화형 인공지능은 체계와 생활세계를 상호 침투시키고 매개함으로써 커뮤니케이션과 기술레짐을 생성, 확장시키고 새로운 기술합리성을 생성, 관철시키는 새로운 조절매체 권력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설적으로 이러한 테크노시스템이 기술적 시민주체들의 개입 지점이 될 수 있다는 양가적 가능성을 고려하면서 문화적 차원으로 보충되고 확장된 구성주의적 기술비판이론의 기술정치학적 의의를 드러낸다. This paper explores and build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interpreting and critiquing the technological regime, a techno-neutralist system of technological mythology that packages the value-neutral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s the only rationality under the dualistic modernity that separates science and technology from society and culture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and further explores an alternative democratic technological rationality and technological politics. To this end, this research propose an integrated program of techno-cultural studies, focusing on Andrew Feenberg's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in the constructivist tradi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and introducing Durkheimian techno-cultural sociology to reconstruct the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and expand it to cultural studies and sociology. In doing so, this study establish a critical perspective on the AI technological regime and the emerging AI technological rationality, which today contain more sophisticated and deepened techno-neutralism, technological determinism, and techno-transparency myths. The dominant view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its innovation today is to exclude social and cultural dimensions from the design of technology and to consider technology as transparent, neutral, and autonomous. This techno-neutralism, along with techno-solutionalism and techno-terrestrialism, creates a technological regime that determines the design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helps to consolidate the dominance of technocracy or techno-bureaucracy. This dominant view of technology as the only rationality is based on a dualistic modernity that separates material technology from socio-culture. Artificial intelligence, in particular, has become a central, problematic, and contested site and artifact of this technological myth and technological regime. This paper argues that a reconstruction and expansion of the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is needed to capture and critique these technological myths and technological regimes in a theoretically sophisticated manner. To this end, it systematically elucidates and reconstructs Feenberg's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emphasizing it as a key resource. In doing so, it reveals that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which critically embraces constructivism, is a reflective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that can critique essentialist philosophies of technology, overcome the dichotomy of technical principles and social forces, and contribute to technological political practice. This paper argues that technocritical theory needs to be supplemented by Durkheimian cultural sociology of technology developed by Jeffrey Alexand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ltural logic of technological regimes and the cultural depth of technology. It introduces cultural theories that emphasize the cultural horizons of technology and reveals their implications for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in order to expand it into a deeper and more integrated cultural studies of technolgy research program. It is argued that cultural sociology can contribute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echnological regimes and technological rationality. The results show that both critical theory and cultural sociological approaches are useful theoretical resources for critically analyzing and overcoming modernity's technological myths. Finally, by extending and applying the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to cultural studies and social theory on of AI issue, we read the fluctuation of technological regimes in the conjuncture of AI and reveal the problem of new kinds of AI technological rationality. It is argued that generative and interactive AI is emerging as a new mediating power that creates and expands communication and technological regimes and creates and enforces new technological rationalities by interpenetrating and mediating the system and the living world. It also considers the ambivalent possibility that these technosystems can nevertheless paradoxically become points of intervention for technological citizens, revealing the technopolitical implications of a constructivist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supplemented and extended with a cultural dimension.

      • 한국 근현대 과학기술문화의 식민지성 : 국립과학관사(國立科學館史)를 중심으로

        정인경 고려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8703

        이 논문은 국립과학관의 역사를 통해, 일제에 의해 이식된 식민지 과학기술과 이것이 탈식민화된 사회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한국에 과학관이 처음 설립된 것은 식민지시기였던 1920년대 후반이었다. 은사기념과학관이란 이름으로 일제에 의해 세워진 과학관은 해방이후 국립과학박물관으로 개칭되었다가 1950년 6.25전쟁으로 완전히 소실되었다. 그후 1970년대 국립과학관이 재건립되었고 1990년대 국립중앙과학관, 국립서울과학관으로 발전해 오늘에 이르렀다. 식민지 지배과정에서 이식된 과학관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낳았다. 첫째 과학관이 정치권력의 선전수단으로 이용되었다. 식민지 과학관의 건축, 전시, 운영의 모든 면이 공공연하게 권력의 정책방향을 선전, 옹호하고 그것이 '개발', '발전'이라는 장밋빛 환상을 심었다. 둘째 식민지 과학관에서 과학기술은 '결과'와 '도구'로 취급되었다. 일제는 과학이 사회적 위기를 해결했던 역사적, 문화적 산물임을 부정하고 '도구적 합리성'만을 증대시켰다. 셋째 식민지 과학관에서 다루었던 과학기술은 매우 수준 낮은 것이었다. 생활의 과학화를 내세우며 교육했던 것은 근대적 규율을 내면화시켜 권력이 요구하는 노동자형 인간을 양성하기 위한 것이었다. 1970년대 국립과학관과 은사기념과학관 사이에는 수 십년의 세월이 흘렀다. 은사기념과학관은 전쟁통에 사라지고 새로운 국립과학관이 식민지 과학관으로부터 완전히 단절된 채 출현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1970년대 박정희 정권의 국가주도형 근대화과정에서 '전 국민의 과학화운동'이 등장하고 이것의 선전수단으로 국립과학관이 주목받게 된 것은 과학관의 식민지적 잔재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 식민지 과학관이 순수하게 과학교육과 연구기관으로 기능하지 않았던 것처럼 탈식민화된 사회에서 새로운 과학관도 정치적 목적을 가지고 왜곡된 형태로 출범하였던 것이다. 국립과학관은 '전국민의 과학화'와 같은 관제운동에 동원되었고 '중화학공업기지'를 전시하며 정부정책을 선전하였다. 과학관을 통해서 본 한국 과학기술문화의 식민지성은 지금까지 한국 과학기술문화가 정치권력에 의해 강제되었고 그 과정에서 문화적 자생력을 가질 수 없었다는 것이다. 일제는 식민지 지배를 정당화하기 위해 과학관을 이용하여 식민주의를 심었고 박정희 정권은 유신독재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전국민의 과학화운동을 펼쳤으며 여기에서 과학관은 실행조직으로 활용되었다.

      • 技術持株會社를 통한 文化技術의 事業化 促進方案 硏究

        정우채 고려대학교 법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미래 국가경제성장의 핵심동력인 문화기술의 사회•경제적 가치 극대화를 위한 방안으로 기술지주회사의 설립•운영을 통한 사업화 촉진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OSMU(one source multi use)를 특징으로 하는 문화기술은 기술과 아이디어의 집적도와 산업연계성 및 사회경제적 파급도 등이 타기술분야와 비교할 때 매우 광범위하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나날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대학 및 공공부문, 기업 등의 민간 주체의 문화기술 연구주체와 역량 있는 파트너와의 연계를 통해 원천기술과 상용화 사이의 간극을 기술지주회사의 운용을 통해 상쇄하고 학제간 연구의 장려, 지속적인 미래형 콘텐츠의 개발 및 보급하는 등 문화기술의 선순환형 사업화 모델을 수립하여 국가 문화산업의 발전은 물론 미래 문화기술 선도국가로서의 경쟁력을 크게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문화콘텐츠산업의 문화기술 연구개발 시스템 연구

        권병웅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8703

        Abstract Research on the R&D System of Culture Technology in Cultural Content Industry Name : Byung Woong, Kwon Department : Study of Cultural Content, Applied Linguistics and Culture Studies Thesis Advisor : Youngdai Yoo Keywords : CT, CT R&D, Cultural Content, Value Chain, Digital Convergence, CT Complex, Culture Technology, Culture Contents Industry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implementation scheme for CT(Culture Technology) R&D infrastructure which will enhance technological growth in Cultural Content Industry and suggest appropriate method through empirical research and policy analysis by observing relationship between Value Chain and Cultural Technology. For this research, the concepts of 'Cultural Content, Cultural Content Industry, Culture Technology, CT Complex, CT Cube, Digital Road, CT Chain, CT City, CT Platform, CT Product, CT Packaging, CT Service and etc had been applied. And the concept of Cultural Content was defined as recreated as a aesthetic, social and economic value and transformed to a commodity transformed into the type of Intellectual Property as the tangible and intangible content was recreated as aesthetic, social and economic value while the concept of Cultural Content Industry was defined as knowledge-based fusion industry by specifying Humanities Sciences and Culture & Arts as Text and Technology based competitive market as Context. And the concept of Culture Technology was defined as a related technology which functions to create the content as a knowledge based commodity value while the aesthetic, humanistic, social and managerial factor were defined as identity of content and methodology. The market trend of Cultural Content Industry home and abroad is characterized by the incessant competitiveness weakness and the strengthened governance of global hybrid enterprise. Therefore, the future Cultural Content Industry is expected to be worsen by their monopolistic power. It is observed from the research trend of foreign Culture Technology that the growth requirements of Cultural Content Industry can be made when the content makes convergent research and its environment which will lead the technology. In other words, the success of Cultural Cont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beral Art and Cultural Arts can be achieved when the sensitivity and creativeness lead the problems of genre and technology. This research suggested the implementation scheme of Space Chain according to the Value Chain of Cultural Content Industry and One Stop Networking System of CT R&D. The strategic development factors for implementation of CT R&D are internally the totality, efficiency, interactivity, and diversity while external factors are the characteristic, structure and meaningfulness. The development model of implementation scheme of CT R&D is CT Complex, as it has industrial characteristic where Cultural Contend Industry demands multiple features according to the Value Chain. This development model, as a sustainable urban village, means convergence of nationwide CT R&D function to seek sustainable development of Culture Technology City, a Cultural Content Industrial City. The implementation plan for CT Complex was proposed as the type of CT Chain linked to business chain such as the support environment for Creative Industry, Open R&D environment, Self-sufficient CT Chain environment, Co-work of enterprises, Stable environment for developing talent, Test-bed environment suitable for OSMU application, and Industrial image with green growth. The objective of development strategy, presented as one of CT R&D implementation schemes, is to construct 'Convergent R&D System" This was considered from the perspective of New Urbanism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he convergent CT R&D system means R&D environment where the value creation structure was reflected according to the Value Chain of Cultural Content Industry. CT R&D System is configured as a convergent system where CT R&D, CT Product, CT Platform and CT Service process are blended. Also it has multiple functions where Policy, Planning, R&D, Product, Packaging, Platform and Service are interrelated. Because the functional integration of generic technologies from development to service, the convergent R&D environment is necessary. Culture Technology Cube was presented for the space plan for CT R&D, as a development concept of CT Complex. For the development concept of space plan and facility plan, Cube, the integration of Unit which includes Dot was set as a motive. As the premise of space development plan, the diagram of space construction was presented. The space development should be equipped with 4 core functions of CT such as R&D, Production and processing, Distribution Platform and Service according to the Value Chain of Cultural Content Industry. For the R&D site plan, Product site for technology-based production site, Platform site for public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Service site for commercial service space and Refresh site for community space should be prepared in one target location. Also, in this research, I suggested political task, legal/regulatory task, industrial/ technological task and academic/educational task as the issues to be solved. Conclusively, the issues on the CT R&D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re converged to the implementation of technology-based multiple functions for the value creation of Cultural Content Industry. The implementation of technology-based multiple functions is to build the convergent CT R&D System where the value creation of Cultural Content Industry are well structured systematically. The convergent research environment of CT R&D must be the convergent research and convergent production environment where the content will lead the technology through grafting Humanities with Arts. When the sensitivity and creativeness lead the technological problem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ities & Arts and Cultural Technology, we can make industrial success in Content. As a result, The CT R&D implementation infrastructure will be advanced to global content market and will function as an island of Low-Carbon Ecology Cultural Content Industry and Landmark of Cultural Content Industry. Also, it would be a momentum to improve the country brand value and urban marketing effect of Culture Technology City in the future. 본 논문의 주제는 문화콘텐츠산업의 기술적 성장을 도모할 문화기술(CT, Culture Technology) R&D 기반구축 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가치사슬(Value Chain)과 문화기술(CT)과의 인과관계를 고찰하고, 실증연구와 정책연구를 통해 문화콘텐츠산업의 가치창출구조를 분석하여 이에 적합한 CT R&D 기반구축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의 기본개념은 '문화콘텐츠, 문화콘텐츠산업, 문화기술, CT Complex, CT Cube, 디지털로드(Digital Road), CT Chain, CT City, CT Platform, CT Product, CT Packaging, CT Service' 등의 개념을 적용하였다. 문화콘텐츠의 개념은 유무형의 콘텐츠가 미적․사회적․경제적 가치로 재탄생되어 지적재산(Intellectual Property)의 형태로 전화(轉化)된 재화로 규정하였다. 문화콘텐츠산업의 개념은 인문사회와 문화예술을 텍스트(Text)로, 기술기반 경쟁시장을 콘텍스트(Context)로 하는 지식기반 융합산업으로 규정하였다. 또한 문화기술(Culture Technology)의 개념은 콘텐츠가 지식기반 형태의 재화적 가치로 창출되는데 기능하는 제반기술로 규정하였고, 미적, 인문적, 사회적, 경영적 요소는 콘텐츠의 정체성이자 방법론으로 규정하였다. 국내․외 문화콘텐츠산업의 시장동향은 국내 문화콘텐츠산업의 경쟁력이 지속적으로 약화되고 글로벌 복합기업들의 지배구조가 강화되어 글로벌 문화콘텐츠산업의 독과점 구조가 심화되는 특징을 지닌다. 해외 문화기술(CT) 연구동향을 통해 살펴 본 시사점은 문화콘텐츠산업의 성장의 요건은 콘텐츠가 기술을 선도하는 융합연구 및 융합제작 환경을 만들 때 성취될 수 있다는 사실이다. 즉, 문화콘텐츠의 성공은 인문예술과 문화기술과의 관계에 있어 감성․창의성이 장르와 기술의 문제를 선도할 때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 CT R&D 기반구축 전략은 문화콘텐츠산업의 가치사슬에 따른 공간사슬(Space Chain)의 구축을 목표로 한다. 즉, 가치사슬과정인 개발-기획-제작-가공-유통-소비과정의 CT R&D 원스톱시스템(One Stop Networking System)의 구축방안을 목표로 제시되었다. CT R&D 구축의 전략적 개발요소로는 내재적으로 전체성․효율성․상호작용성․다양성을, 외재적 요소로는 특징성․구조성․의미성을 제시하였다. CT R&D 기반구축 방안의 개발모델은 문화기술 복합단지(CT Complex)이다. 이는 문화콘텐츠산업이 가치사슬에 따른 복합기능을 요구하는 산업적 특성을 지녔기 때문이다. 개발모델은 지속가능한 어반빌리지 개발모델이자 문화콘텐츠산업도시인 문화기술도시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추구하는 모델이다. 또한 국가적 차원의 CT R&D 기능의 융복합화를 의미한다. 문화기술 복합단지의 조성방안은 창조산업(Creative Industry)의 지원환경 구축, 개방형 연구개발 환경 구축, 자족적 CT Chain 환경, 기업의 Co-Work 환경, 인재육성을 위한 쾌적한 정주환경, OSMU 개발응용에 적합한 Test-bed 환경, 저탄소 녹색성장의 산업이미지 구축 등 가치사슬과 공간과 기능이 사슬화된 CT Chain으로 구축되어야 한다. CT R&D 기반구축의 방안의 일환으로 뉴어바니즘(New Urbanism)과 지속가능한 개발(Sustainable Development)의 관점에서 개발전략을 고찰하였는 바 개발전략 수립의 핵심은 ‘융합형 R&D 시스템 구축’이다. 융합형 CT R&D 시스템이란 문화콘텐츠산업의 가치사슬에 따른 가치창출구조가 반영된 연구개발 환경을 의미한다. 이 R&D 시스템은 문화콘텐츠산업의 가치창출구조인 CT R&D 과정, CT Product 과정, CT Platform 과정, CT Service 과정이 융합된 체계로 구성된다. 또한 CT R&D 시스템 기능구축은 정책((Policy), 기획(Planning), 연구개발(R&D), 제작(Product), 가공(Packaging), 유통(Platform), 소비(Service)가 연결된 복합기능이다. 개발에서 소비까지 기반기술간 기능의 집적화가 필요하기 때문에 융합형 R&D 환경이 필요하다. CT R&D 공간계획은 CT Complex의 개발컨셉으로 문화기술큐브(Culture Technology Cube)를 제시하였다. 공간계획과 시설계획의 개발컨셉은 요소(Dot)를 포괄하는 단위(Unit)들의 집합체인 문화기술큐브(Cube)를 모티브로 하였다. 공간개발 계획의 전제로 공간구축 다이아그램이 제시되었다. 공간개발은 문화콘텐츠산업의 가치사슬에 따른 CT의 4가지 핵심기능인 연구개발(R&D), 제작 및 가공(Product), 유통플랫폼(Platform), 서비스(Service)를 갖추어야 한다. CT R&D 기반구축을 위한 R&D Site 계획은 연구개발 집적공간인 R&D Site, 기술기반 제작단지인 Product Site, 대중적 유통 및 소비공간인 Platform Site, 상용서비스 공간인 Service Site, 커뮤니티 공간인 Refresh Site가 하나의 대상지 안에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CT R&D 사업의 특성과 기반구축 과정에 요구되는 현안 과제로 정책적 과제, 법․제도적 과제, 산업․기술적 과제, 학술․교육적 과제를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CT R&D 기반구축의 방안은 문화콘텐츠산업의 가치창출을 위한 기술기반 복합기능의 구축 문제로 귀결된다. 기술기반 복합기능의 구축이란 문화콘텐츠산업의 가치창출구조가 체계화된 융합형 CT R&D 시스템의 구축을 의미하며, 이는 문화콘텐츠산업의 발전에 적합한 개발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CT R&D 융합형 연구환경을 선도할 철학적, 미학적 가치는 인문학과 예술의 접목을 통해 콘텐츠가 기술을 선도하는 융합연구 및 융합제작 환경을 구축하는데 있다. 인문예술과 문화기술과의 관계에 있어 감성․창의성이 장르와 기술의 문제를 선도할 때 문화콘텐츠의 산업적 성공이 성취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CT R&D 구축기반은 글로벌 콘텐츠마켓으로 발전하고, 문화콘텐츠산업의 랜드마크 및 아일랜드로서 기능과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또한 CT R&D 구축기반은 미래 문화기술도시 구축의 토대이자 도시마케팅 효과와 국가브랜드 가치를 상승시키는 모멘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문화기술의 개념과 적용에 관한 연구

        정창국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언제부터인가 문화기술이라는 용어가 인터넷이나 방송뉴스를 통해 언급되고 있다. 하지만 이 용어에 대한 일반적인 반응은 ‘우리 주변의 문화와 관련한 무엇인가를 표현하는 기술’ 정도로 막연하게 이해하는 정도이다. 본 연구는 문화기술에 대한 개념적 정의에 대해 명확히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문화기술과 관련하여 정부의 정책이나 연구개발의 영역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그리고 문화예술분야에서는 문화기술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했다. 그리고 그러한 과정을 통해 드러나는 문제점을 공론의 장으로 끌어내고 이에 관한 문화보편적 차원에서의 다양한 논의가 이뤄지는데 단초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주목적이라 할 수 있다. 국내에서 문화기술에 대한 관심이 가장 컸던 때는 2007년을 전후로 당시 정부정책차원에서 미래성장동력으로 문화산업을 꼽으면서이다. 특히, 당시에는 아시아문화중심도시, 광주 문화수도, 아시아문화전당 건립, 문화콘텐츠산업,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등 문화관련 다양한 이슈들로 넘쳐나던 때였다. 그리고 3~4년간의 침체기를 거치고, 2011년 문화체육관광부에 의해 문화기술(CT)분야 전담 연구기관이 될 문화기술연구원 설립이 본격적으로 논의되면서 다시금 문화기술이 주목 받고 있다. 또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한 문화기술 분야의 연구개발도 그동안 꾸준히 진행되어오고 있다. 하지만 문화기술 개념의 등장 이후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문화기술 분야 연구개발은 실제 문화기술을 필요로 하는 현장의 요구에 크게 부합하지 못하고 있다. 사실 문화기술이라는 용어 그 자체는 문화기술의 태동 이후 상당기간 논의를 거치면서 어느 정도 큰 틀에서 정립되고 있는 반면에, 실제 문화기술로 분류되어 투자되고 있는 문화기술 연구개발의 면면은 본래의 개념에 부합하지도, 다양하게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정보통신기반기술에 의존한 채 스스로 적용 영역이 제한적임을 드러내고 있다. 물론 그동안 이에 대한 지적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이는 연구개발 영역보다는 정부정책 차원에서 제대로 정착시키지 못하는 것이 더 큰 원인이라 볼 수 있다. 문화기술의 개념에 대한 혼란과 더불어 본 연구를 통해 지적하고 있는 부분은 크게 세 가지로 정부정책, 연구개발, 그리고 인문?문화예술 영역에서 저마다 다른 양상으로 문화기술을 이해함에 따른 불온전한 접근과 적용이 그것이다. 정부정책측면에서는 문화기술연구개발 지원이나 문화산업 분야 진흥에 대한 소관 부처가 바뀌면서 관련정책과 사업이 명확히 구분되지 않았던 일련의 과정에서 기인한 것이고, 연구개발 영역에서는 문화기술이라는 용어의 태동이 공학의 새로운 응용영역으로 출발하였던 것에서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렇다 보니 문화라는 넓은 범위를 아우르는 표면적인 것과는 달리 내용면에서는 주요기술 중심의 일정한 틀 안에서 적용범위를 넓히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인문?사회?문화예술의 영역에서는 문화기술이라는 개념자체에 대한 거부감에서 비롯되어 첨단 디지털 기술이 문화예술 영역을 침해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등의 오해와 기우를 드러내기도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본 바로, 문화기술이라는 용어의 등장 이후 20여년이 지난 지금 적어도 개념에 대한 정의는 어느 정도 정리가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인간이 영위하는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문화예술발전을 촉진시키는 기술이라는 문화기술의 포괄적 정의가 그것이고, 이공학적인 기술과 인문사회학, 디자인, 예술 분야의 지식과 노하우를 포함하여 문화적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총체적인 기술로 정의한 광의적 개념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때문에 문화기술이 실제 적용되는 영역에서의 논란들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이미 정의된 문화기술의 개념을 바탕으로 ‘문화’와 ‘기술’의 관계라는 출발선에서 다시 살펴봐야 한다. 그것은 문화가 단지 기술을 표현하는 하나의 방식이라거나, 또는 좀 더 나은 기술로 돋보이도록 하는 장치로서 기술에 접목된 형태여서는 안 된다. 문화기술은 그 개념적 정의에 걸맞게 인류생활양식의 총체인 ‘문화’를 표현하는 수단으로서, 그리고 그 ‘문화’가 함의하는 의미를 효율적이고 바람직하게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끝으로, 문화기술(CT, Culture Technology)이라는 용어는 우리나라 연구자에 의해 처음 사용된 표현으로, 등장 이후 20여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국내에서만 사용되고 있다(이와 유사하게 외국에서는 Art and Technology나 Art and Science Technology, Cultural Technology 등의 표현이 일반적이다). 이는 문화라는 개념에 대한 인식과 이를 대하는 정서가 다른 나라 사람들과는 다르기 때문에 나타나는 독특함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지금은 문화기술의 개념과 쓰임에 대해 고민하고 있지만, 그에 앞서 문화라는 것을 인식하는 것에 대한 깊은 사유가 필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할 것이다.

      • 現代技術社會와 敎會의 文化危機에 관한 硏究 : 자크 엘루의 ‘기술의 역사’ 중심으로

        조경희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지금까지 자크 엘루의 『기술의 역사』를 중심으로 현대기술사회와 교회의 문화위기에 관하여 논하였다. 제 2장에서 ‘기술’이라는 단어의 역사적 변천과 더불어 기독교적 기술의 정의를 논했다. 기술이라는 단어는 ‘기술의 체계적인 처리’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예술(art)에서부터 출발하여, 19세기에 이르러 더욱더 그 의미가 확장되어 순수 예술뿐 아니라, 숙련된 기술과 구별하는 기계공학적 기술이나 산업기술로 지칭하였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기술(technology)는 도구, 기계, 가구뿐만 아니라 폭넓은 범위의 기술, 조직, 지식에까지 확대되었다. 그래서 어떤 학자는 “기술은 모든 것이며, 모든 것이 기술이다” 라고 말했다. 이제 ‘기술’이란 의미는 그 폭이 너무 포괄적이며 구별이 애매하고 이중적이어서 사용자가 나름대로 구획하여 사용함이 필요하다고 논하였다. 반면에 기독교적 기술이란 실제적인 목적 또는 목표를 위해, 도구와 절차의 도움을 받아, 자연을 제작하고 가공함으로써, 하나님께 응답하여 자유와 책임을 행사하는 인간의 독특한 문화적 행위라고 정의하였다. 본고에서는 기술에 관한 정의로 세 가지 접근법, 인간학적, 인식론적, 사회학적 접근법을 살펴보았는데 자크 엘루가 사회학적 접근의 대표적인 기술철학자임을 밝혔다. 다음 자크 엘루의 기술과 특성에서는『기술의 역사』에 나타난 기술이해와 특성의 핵심내용을 정리하여 그의 가치관을 파악하였다. 그는 기술과 현대기술의 특징이 우리시대의 기술현상과 사회 간의 관계에서 나타난다고 보았다. 구체적으로 21세기의 첨단 기술시대로 들어오면서 기술이 효율 및 자율적인 특성으로 인해 기술적 선택의 자동성, 자기 확장성, 일원주의가 기술발전의 핵심을 이룸을 서술했다. 이를 통해 기술이 발달할수록 인간기술의 대상화와 관련이 깊음을 알 수 있었다. 제3장에서는 현대기술사회의 기술문화가 우리 교회 공동체에 지금 어떠한 문제들을 발생하게 하는가를 살펴보았다. 첫째는 엘루가 말하듯 도시는 언제나 있어 왔고, 교회는 도시에 속하지 않으면서도 늘 도시와 함께(혹은 도시 안에)존재한다는 사실을 우리 교회 공동체가 잊어버림으로써 교회 안의 담론에서 기술의 문제가 제외되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프로파겐다’에 대한 인식부족, 기술이 갖는 특성으로 인해 기술문화의 위기가 교회 담론에서 제외되고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의 교회 안에 문제는 말씀의 피상화(Superficiality)이다. 이것은 기술사회의 내재된 특성의 오류의 예라 할 수 있는 ‘수단과 목적’의 방향성 상실이 우리 교회 안에서도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말씀의 피상화는 결국 인본주의를 팽배시키고, 인간을 목적이 아닌 수단으로 대상화시켰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교회의 문화위기에 대하여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를 논하였다. 기술문화에 대해 교회가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술문화의 깊은 이해와 기독교 세계관이 구비된 강력한 교회공동체를 형성해야 한다. 이를 위해 현대교회는 기술문화를 기독교 윤리에 적용해야 한다. 두 번째로는 기술문화를 비판적으로 수용해야함을 논의하였다. 교회의 기술문화의 순기능을 활용하고 그 폐단을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하나님 나라의 확장을 위해 기술을 효율적으로 활용해야한다. 세 번째는 새로운 삶의 기독교 문화 창조이다. 오늘날 현대 기술문화시대에 교회는 그에 맞는 새로운 삶의 방식을 창조하여야 한다. 마지막 대응으로는 기술문화의 종말론적 책임감 강조이다. 이는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 그리스도인이 이 세상에 종말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깊이 깨닫고 삶의 유일한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럴 때 기술문화시대에 우리는 인격적으로 하나님에 대하여 반응하고(in response) 책임지는(in responsibility) 삶을 살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보듯 엘루은 그의 탁월한 역사적인 안목과 그리고 깊은 영적 통찰력을 가지고 현대기술문명 사회의 특성을 냉철히 예견하고 있다. 본 논문은 엘루의 예견을 교회의 문화적 위기 관점에서 살펴보고 그 대응방안을 제시했다. 이제 보다 더 많은 기독지성인들이 책임성을 가지고 교회 공동체라는 관점에서 현대 기술사회의 문화위기 대응 방안을 연구하고 그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있기를 기대한다.

      • 문화기술의 정책담론 형성과 제도화 과정에 관한 연구

        김성일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703

        문화기술(CT, Culture Technology)은 문화산업에 디지털 기술을 접목시킨 새로운 개념으로 1990년대 중반에 국내 학계에서 제안되어 2000년대 초반 국가 정책의제로 채택되면서 정책 담론화의 경로에 들어선다. 이 연구는 이 같은 문화기술의 제도적 부상에 관한 정책과정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정책지형에서 문화기술 사례가 내포하는 함의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문화기술 담론의 형성은 문화산업이 등장하여 지배 담론으로 구축되는 거시적인 맥락을 배경으로 한다. 1980년대 이래 신자유주의 이념의 부상, IMF 경제위기 체제의 출범 등과 같은 국내?외 정치 사회적 상황 속에서 등장한 문화산업의 세력 망 속에서 문화기술 개념은 그 위상을 확보하게 된다. 문화기술은 절차적인 측면에서 최고의 주도권력인 대통령에 의해 정책의제로 공식 결정됨으로써 위로부터의 담론기획이라는 특성과 강력한 합의효과를 도출한다. 이 과정에서 초기에는 문화기술과 문화콘텐츠산업이 혼용되다가 후기로 갈수록 문화기술 개념이 포괄하는 범위가 확장된다. 문화기술의 분류 또한 단계별로 달라진다. 이런 변화는 정치적 사회적 의도의 관철과 자원의 확보라는 담론전략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문화기술의 제도적 부상에는 담론이 크게 작용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문화기술 정책담론의 형성과 제도화 과정은 내?외부의 행위자와 변수가 개입하는 상호작용의 메커니즘 속에서 이루어진다. 내적 역학의 경우 초기에 주도권력을 비롯한 핵심 정책집단에 의하여 담론적 기획과 배치가 강력하게 이루어지고, 후기에는 이러한 담론의 질서가 조직구조나 정책수단, 사업 등 비담론적인 실천의 형태로 구체적인 정책과정 속에서 조직된다. 이처럼 문화기술의 정책 담론화 과정에는 최고 통치자에 의한 극적인 정책의제 선점이라는 특수한 기회요인이 작용하였고, 이렇게 권력에 내재화된 담론은 구체적인 실천전략 속에서 효과적으로 관철되었다는 특징이 있다. 반면, 의사소통의 다양화를 통한 정당성의 확보에는 일정한 한계를 드러낸다. 외적 역학은 다소 복잡하고 차별적이다. 먼저 언론계는 문화기술이 정책의제로 부상하는 초기와 2005년 전후 성장의 시기에 집중적인 관심을 보이면서, 문화기술 정책담론에 공감하는 동조자의 역할을 하고 있다. 학계는 문화기술과 관련되어 선도적이고 자율적인 연구역량을 보여주지 못하였지만, 정부의 담론화 작업을 뒷받침하는 전문가 집단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반면, 유관 행정 부처별 역할과 이해관계의 양상은 복잡하게 드러난다. 협력자로서 과학기술부, 경쟁자로서 정보통신부, 조정자로서 재정경제부와 감사원 등이 그것이다. 이 같은 관계는 기관의 영역과 위상 제고, 국가 기술정책의 외연 확대, 문화기술과 관련된 주도권 경쟁 등에 따른 기관별 이해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내?외부 역학을 종합해 볼 때 문화기술 담론의 형성과 제도화 과정은 한국적인 정책지형에서 특별한 정책사례로 이해된다. 전반적으로는 핵심 정책집단 내부의 주체에 의해 기획되어 파급되고, 외부 주체들이 각자의 입장에 따라 이 과정에 일정부분 개입한 것으로 정리된다. 이처럼 문화기술은 정보화 및 뉴미디어 정책사례처럼 기술공학적인 논리가 아니라 정책담론 기획자들의 정치 사회적 의도와 목적에 따라 추진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문화기술의 제도적 부상은 개발주의 패러다임이 주도하는 정책체제에 맥락이 닿아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문화기술은 충분한 사회적 논의 없이 정책담론으로 전환되었고, 이미 현실적인 정책과 산업의 대상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이 과정에서 담론과 현실의 괴리는 실질적인 정책성과의 미달로 드러나게 된다. 앞으로 문화기술은 제도화의 수준을 보다 공고히 하면서 안정화를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문화기술이 발전할수록 개념적 위상과 기술적인 방향성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성찰이 요청된다. 지원 관리를 위한 체제도 정부 주도가 아니라 산업계와 일반 국민 등이 참여하는 유연하고 개방적인 구조로 재구성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문화기술은 인간의 가치와 관점이 개입된 문화정책과 사회정책의 틀 속에서 전개될 필요가 있다.

      • 초등학생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다문화수업기술 및 태도와 학생의 다문화수용성 간의 관계

        조해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교육의 수요자인 학생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다문화수업기술 및 태도 수준과 학생의 다문화수용성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학생 다문화수용성에 대한 이 두 요인의 영향력 차이를 비교하여 중요도를 파악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김미선(2014)이 수정 및 보완한 초등학생용 다문화수용성 진단도구(KMCI-E)를 활용하였다. 설문지는 3개의 차원(다양성, 관계성, 보편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8개의 하위 영역을 지닌다. 또한 박정희(2014)의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역량 척도’를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교사의 다문화수업기술 및 태도 진단도구’로 활용할 문항으로 수정 및 보완하여 활용하였다. 설문지는 교사의 다문화수업기술과 다문화수업태도 각각 5개씩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설문지를 활용하여 서울지역 3개의 초등학교에 6학년 48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초등학교 6학년 489명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수용성 지수의 평균은 68.62점으로 나타났으며 학생의 성별에 따라서는 전체 8개의 하위영역을 통틀어 여학생의 평균이 남학생보다 모두 높았다. 학생의 성별과 다문화수용성 지수 간에는 p값이 0.01보다 작게 측정되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지만 하위 영역인 ‘문화개방성’, ‘국민정체성’과 ‘거부·회피정서’에서는 성별 간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학급 내 다문화학생 여부와 다문화수용성 지수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하위영역 중에는 ‘고정관념 및 차별’과 ‘상호교류행동의지’가 유의확률 α<.05 수준에서 학급 내 다문화학생의 여부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담임교사의 다문화수업기술과 다문화수업태도 모두 학생의 다문화수용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교사의 다문화수업기술과 다문화수업태도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지수도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담임교사의 다문화수업기술과 다문화수업태도 모두 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지수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다문화수업기술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더 높고 세부 차원과 하위영역별에서 다문화수업태도보다 훨씬 더 넓은 범위에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다. 다섯째, 교사의 수업기술과 수업태도의 설문문항 중 협력학습 관련 문항, 타 인종 및 문화에 대한 편견이나 고정관념에 대한 교사의 지적 관련 문항, 교사의 경청에 관련된 문항이 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지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예비교사의 양성과정이나 현직교사의 다문화교육 연수의 내용과 방향을 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초등학생들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다문화수업기술 및 태도를 정기적으로 진단하여 교사 스스로가 자신의 다문화교육역량을 성찰해보고 자기계발의 계기를 마련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multi-cultural teaching skill/attitude recognized by students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the students and identify relative importance of stud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by comparing the influence of two factors(teacher's multi-cultural teaching skill/attitude). For this purpose, a multi-cultural acceptability diagnostic tool(KMCI-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dified by Kim, Miseon in 2014 was used. The questionnaire was systematized basically into three dimensions (diversity, relationship, universality) and eight sub-factors. And also, based on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e scal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veloped by Park, Jeonghee in 2014, a teacher's multi-cultural teaching skill/attitude diagnostic too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used after changing some of the sentences or words in it suitabl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survey was conducted by using these questionnaires developed from 489 6th grade students at thre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6th grade stud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verage index was 68.62 points and female students gained a higher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ndex than male students throughout the eight sub-factor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existed between gender of student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ndex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 was found with gender and three sub -factors('diversity-cultural openness', 'national identity' and 'emotion of rejection and avoidance'). Second, existence of multicultural student in clas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tud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ndex. However, it showed significant relevance with acceptability in ‘stereotypes and discrimina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for mutual exchange’. Third, both teacher's multi-cultural teaching skill and attitud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tud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erefore high level of teacher's multi-cultural teaching skill and attitude seemed to contribute to increasing stud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Forth, both teacher's multi-cultural teaching skill and attitude influenced stud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significantly. However, it was teaching skill that relatively higher influence on stud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an teaching attitude. And it also had a wide range of influences on dimensions and sub-factor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Fifth, among the questions of teacher's multi-cultural teaching skill/attitude questionnaire, only three questions showed significant relevance with stud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ndex. The contents of these three questions are related to cooperation learning, teacher's warning students about prejudice or stereotypes of different race/culture and teacher's listening. The findings of this paper could be utilized as foundational material to devise training contents or curricula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preliminary and present teachers. And this study can also be employed to make teachers introspect about their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e and provide an opportunity for self-improvement by measuring the degree of teachers' multi-cultural teaching skill and attitude in a regular base.

      • 정보통신 기술확산의 정치경제 : 한국과 일본의 휴대전화 및 인터넷 사례비교

        이용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의 휴대전화 및 인터넷 기술확산의 차이를 ‘기술거버넌스’로 설명하는데 있다. 한국은 인구당 휴대전화 확산에서 66%, 인터넷 확산에서 54%로, 일본의 61%와 37%보다 앞섰다. 한국의 높은 선도기술확산율은 휴대전화 및 초고속통신망관련 기술 분야의 수출경쟁력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기술확산의 차이를 설명하는 기존 연구로는 기술의 사회적 확산을 통한 사회 및 역사변화를 설명하는 기술결정론과 시장원리로 기술확산을 설명하는 시장주의, 그리고 국가의 기술확산 정책으로 설명하는 국가주의론이 있었다. 그러나 이 이론들은 기술이 갖는 시장, 국가, 그리고 사회 제도간의 복합적 관계를 설명하지 못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신제도주의와 거버넌스 논의를 변형시켜 ‘기술거버넌스’라는 분석틀을 만들어 기술확산 차이를 설명했다. 여기서 ‘기술거버넌스’란 기술활동 행위자인 연구체-기업-정부가 상호작용을 하면서속도 경쟁, 확산경쟁, 지속적 기술전환, 개방성, 유연적 네트웍성이라는 정보통신의 기술적 특성과 ‘기술환경’, ‘기술문화’, ‘기술제도’, ‘기술연계망’이라는 ‘기술신제도’가 정합성 관계에 있도록 기술활동을 촉진시키는 규칙과 절차를 말한다. ‘기술거버넌스’로 한국과 일본의 휴대전화 및 인터넷 기술확산을 비교분석한 결과 한국이 일본보다 기술-제도간 속도경쟁, 확산경쟁, 지속적 전환, 개방성, 유연적 네트웍성면에서 정합성이 높아 기술확산의 속도와 범위가 빠르고 폭넓게 일어날 수 있었다. 기술확산 차이를 가져 온 ‘기술거버넌스’ 차이를 하위변수별로 볼때 가장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은 기술연계망이었다. 일본은 두 사례 모두 연구체-기업-정·관간 기술연계망에서 분절적이고 복잡한 특징을 보였다. 반면 한국의 기술연계망은 중앙집권적이며 임무지향적인 합일망이라는 특징을 보였다. 두번째 정합성의 차이는 기술연계망의 차이에서 기인한 기술제도의 차이이다. 일본은 기술연계망의 분절적 특징으로 인해 진입자유화와 경쟁창출, 저요금으로의 전환 및 정책지원 혹은 운용이 지연된 반면 한국은 기술연계망의 합일적 특징으로 인해 빠른 제도전환 및 적극적 정책지원이 가능했다. 무엇보다 일본이 NTT 우선 서비스 정책으로 경쟁유인이 늦어졌지만 한국은 신규사업자에게 서비스 권한을 먼저 부여함으로써 경쟁을 유도할 수 있었다. 한국은 빠른 제도전환의 결과 CDMA방식의 휴대전화와 ADSL 인터넷 기술로의 지속적 전환 및 서비스확산이 가능했다. 세번째 한국과 일본에서 기술-제도적 정합성의 차이는 기술문화적 측면에서 나타났다. 한국인들의 ‘빨리 빨리’문화는 단기 상품교체와 고속 인터넷 소비열로 표출되어 빠르고 지속적인 기술전환을 가능하게 했고, 임무지향적 행정문화 또한 빠른 제도 및 정책대응을 가능하게 했다. 반면 일본은 휴대전화의 경우 PDC방식, 인터넷의 경우 ISDN과 같은 독자기술개발을 통해 기술확산을 추진한 기술민족주의와 ‘안전행정주의’문화가 더욱 기술확산을 지연시켰다. 네번째로 기술환경면에서 세계기술변화 추이와 통신환경변화는 양국의 기술확산에 모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미국의 외압은 일본의 두 기술확산에 긍정적으로 작용했고, 한국의 높은 주택 밀집도와 금융위기로 인한 인터넷 관련 벤쳐기업의 활성화는 한국의 인터넷 기술확산을 촉진시켰다. 그러나 일본도 휴대전화의 경우 1995년 이후 기술-제도적 정합성 개선으로 기술확산이 증가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기술확산에서 시장주도나 국가주도 혹은 분권적 거버넌스나 중앙집권적 거버넌스 모두가 기술확산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고 부정적으로도 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대안으로 기술-제도적 정합성을 조정하는 ‘기술거버넌스’가 중요함을 검증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explain the differences between Japanese and Korean diffusion of mobile phones and the Internet in terms of scope and speed. In these sectors, Korea's system is speedier and broader in diffusion than Japan. 66% of Korean people use mobile phones and 54% use the internet. In Japan, however, usage reaches 61% (mobile phone) and only 37% (the Internet), although Japan developed its technologies earlier than Korea. Korea's high diffusion rates make it a leader in exports to the world, while its broadband diffusion ranks at the top of the world. Researches on technology diffusion have been undertaken through several different approaches. The technology-drive approach has attempted to explain it by technological determinism. The market-driven approach explained technology through market principles while the state-driven approach conducted research through the government's policy and role. However, none of these methods gave answers regarding the complex and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institutions. This study seeks to develop an alternative explanation of `technology governance.' `Technology governance' is defined as a rule coordinating `institutional appropriateness' in regards to the diffus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Diffusion comes under different forms of governance according to `technology environment', `technology culture', `technology institution', and `technology networks'. Several factors characterize information technology, such as openness, speed competition, sustain upgrading, diffusion competition, and networking. A state is deemed successful in IT diffusion if it can govern institutions that cater these particular features. Korea cuff ently has governed institutions that more appropriately fit aspects of IT than Japan. Therefore, it was developed speedier and broader coverage of IT diffusion. In diffusion of mobile phone and the Internet technologies, the Japanese technology network, that included research units, companies, and the government, was too fragmented and complex and caused several delays in its diffusion. Strong NTT Telephone), barriers to the entrance into the mobile and Internet market. The network features it created were unreasonable institutions such as uncompetitive entrance and long-standing high access fees. However, Korean technology network was centralized and adjusted quickly to the changing technological environment. It accelerated the diffusion of mobile phones and the Internet and the Korean government supported the development of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echnology and ADSL (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and set a competitive entrance, low prices and policies for its diffusion. It did not permit mobile phone service solely to KT (Korea Telecom) but to other new comers to the market. Japan remained with its own technology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which other country's mobile technologies could not convert to, and ISDN (Integrate Service Digital Network) diffusion which was a result of its techno-nationalism and was costlier in installation than xDSL (x Digital Subscriber Lines). This decision to remain with NTT stemmed from Japan's techno-nationalistic culture. However, Korean people quickly changed their mobile phones in 2 years and companies produced more than 300 goods in a year. The culture also accelerated its diffusion and adapted to new technological features. Korean people now have strong needs for a speedy internet service. The hurryup culture and high educational needs quickly pushed for Internet diffusion. The Korean environment of high housing congestion was also conducive to xDSL diffusion while the Korean financial crisis was a good chance to reform the economic structure. It also allowed internet-related venture companies to boom. In sum, Korea's information technology was able to develop a speedier, broader diffusion than Japan's due to proper forms of governance. The Korean technology environment, technology culture, technology institutions, and technology network were appropriate for information technology features.

      • 문화콘텐츠산업 육성을 위한 기술기반 구축방향

        최지인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문화콘텐츠산업의 육성을 위한 기술기반 (문화기술 포함) 구축에 대한 고찰이다. 현대 사회 및 사람들은 그들의 삶의 질에 대해 특별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에, 문화는 인간의 삶의 있어 그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문화는 그들의 삶의 질 향상을 결정짓는 주요 요소 중의 하나가 되었다. 그러므로 문화콘텐츠산업은 향후 국가의 경제적 발전을 선도하는 신 성장동력 및 핵심산업이 될 것이다. 문화콘텐츠산업의 육성을 위해 문화기술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 하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기술에 중점을 두어 국내문화콘텐츠산업의 육성을 위한 방법을 고찰하였으며, 한국이 세계시장에서 문화콘텐츠 강국이 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아래와 같이 제언을 한다. 첫째, 문화기술을 전문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전문연구기관의 설립이다. 현재국내에는 문화기술을 연구하는 전담연구원이 없는 실정이다. 국내 문화콘텐츠산업의 진흥을 위해 연구원은 다양한 문화기술들, 즉 창작기술, 보조기술 및 예술표현기술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국내 문화콘텐츠산업의 진흥을 위해 한국정부의 문화기술에 대한 실질적인 투자가 필요한 실정이다. 주요 선진국과 비교를 했을 때, 한국의 문화기술에 대한 투자는 타 산업의 투자에 비해 현저히 낮은 편이다. 이에,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우위의 창출·발전 및 유지를 위해 범 정부차원의 실질적 투자가 절실한 상황이다. 셋째, 전문인력 양성이 우선 되어져야 한다. 위에 제시한 두 가지 과제도 중요하지만 그 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인력의 교육 및 훈련이다. 문화기술의 특성상 과거의 시스템으로 교육을 하기에는 불가능하다. 이에 가장 이상적인 방안은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독자적인 교육시스템의 운영이라 할 수있겠다. 나아가 전반적인 과정을 관리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전문 경영인도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법제도의 개선과 연구시스템의 구축도 요구되는 바이다. 본 연구는 몇 가지 시사점을 가진다. 이에, 정부의 정책책임자 혹은 학술적 목적으로 거시적 및 미시적 시사점을 아래와 같이 도출하였다. 첫번째 시사점은 학술적 목적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문화기술에 대해 연구를 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좋은 선행 연구 자료가 될 것이다. 둘째는 정책적 측면이다. 즉, 정부의 정책책임자가 문화콘텐츠산업에 대한 새로운 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본 연구의 결과는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ay how to establish technology base (including Culture Technology) in order to promote Korea's national cultural contents industry. The modern society and people put their emphasis on the quality of their life. Thus, culture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in human's life and it is one of the essential factors that determine human's quality of life. So, cultural contents industry will be a core industry and be a leading growth engine for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in the near future. To promote national cultural contents industry, an in-dept research on Culture Technology is necessarily important.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way how to develop Korea's cultural contents industry, mainly focused on Culture Technology. Based on this research, we suggests the following points so that Korea would become one of the world leading countries in cultural contents industry. First, we suggest to establish a research institute for Culture Technology because there have been no institutes that has exclusive responsibility in Culture Technology. In order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ultural contents industry, the intended institute should develop various technologies such as creative technology, supporting technology, expressive technology and so on. Second, the government needs substantial investment in Culture Technology to promote national cultural contents industry. In comparison with other countries, Korea's investment in Culture Technology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investment in other industries. In order to create, develop and sustain competitive advantage in global markets, it is necessarily required a government-level investment in cultural contents industry. Third, an effective HRD (Human Resource Development) is a prerequisite. What is mentioned above is important, but the more thing is educating and training students. In the characteristics dealt by culture technology, it is not possible to teach them with the past system. The most desirable teaching is realized by operating the independent education system. Furthermore, a professional executive who can create new value and control whole processes of management is also required. As a result, some macroscopic and microscopic types of implications are derived for academicians and government policy-makers. The first implication relates to academic purpos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good academic reference for students those who wish to undertake a research on Culture Technology. Second the result would contribute to the government policy-makers so that they can establish an effective new policy in cultural contents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