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and Leadership Style on Enterprises Performance of SMEs in China : Focusing on Organizational Learning and Entrepreneurial Bricolage

        안예걸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97

        SMEs(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are the main participants of market economic activities, the critical link to enhance the stability and competitiveness of the industrial chain supply chain, and play an irreplaceable role in promoting economic development, expanding labor employment, fostering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improving the livelihood of society, and are of strategic importance to national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Social capital theory, leadership style theory, organizational learning theory, and entrepreneurial bricolage theory have importa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hinese SMEs. The social capital theory and leadership style theory should be applied to the operation and development of Chinese SMEs, which is conducive to improving enterprises performance and solving social problems. Studying the effect mechanism of social capital and leadership style on organizational learning and entrepreneurial bricolage on enterprises performance will help relevant workers and researchers to more accurately grasp the realistic sample of contemporary Chinese SMEs and optimize the business model of Chinese SMEs. The study on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leadership style, organizational learning, and entrepreneurial patchwork on the mechanism of enterprises performance can help relevant workers and researchers more accurately grasp the actual sample of contemporary Chinese SMEs, optimize the business model of Chinese SMEs, and thus more effectively improve the performance and development of Chinese SM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echanism of social capital and leadership style on enterprises performance by develop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learning and entrepreneurial bricolage, to explore the actual situation of Chinese SMEs, to provide basic data for government, enterprises, and scholars, and to provide policy suggestions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enterprises performance of SMEs. In this study, 700 employees of SMEs in East China (including Shanghai, Jiangsu, Zhejiang, Anhui, Fujian, Jiangxi, and Shandong Provinces) were selected as the study population. Data were collected by random sampling, and 656 valid questionnaires were finally obtained.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1) What are the social capital, leadership style, organizational learning, entrepreneurial bricolage, and enterprises performance of Chinese SMEs? (2) What are the differences in social capital, leadership style, organizational learning, entrepreneurial bricolage, and enterprises performance of Chinese SM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3) What is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f Chinese SMEs on organizational learning, enterprises performance, and entrepreneurial bricolage? (4) What is the effect of the leadership style of Chinese SMEs on organizational learning, enterprises performance, and entrepreneurial bricolage? (5) What ar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learning and entrepreneurial bricolage of Chinese SMEs on enterprises performance? (6)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learning and entrepreneurial bricolage of Chinese SMEs between social capital and enterprises performance? (7)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learning and entrepreneurial bricolage of Chinese SMEs between leadership style and enterprises performance? SPSS 26.0 and AMOS 27.0 software were used for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rough descriptive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discriminant validity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path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test. First, social capital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ffects organizational learning, entrepreneurial bricolage, and enterprises performance of Chinese SMEs. Second, leadership styl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ffects organizational learning, entrepreneurial bricolage, and enterprises performance of Chinese SMEs. Third, organizational learning and entrepreneurial bricolag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ffect the enterprises performance of Chinese SMEs. Fourth, organizational learning and entrepreneurial bricolage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enterprises performance of Chinese SMEs. Fifth, organizational learning and entrepreneurial bricolage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style and enterprises performance of Chinese SME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to improve the enterprises performance of Chinese SMEs. As policy suggestions. First, the government can implement and implement detailed SME financial and taxation support policies by strengthening financial support, implementing high-quality taxation policies for affordable enterprises, and promoting precise taxation services; the government can increase SMEs financing support by strengthening credit support, innovating financial service models, and strengthening direct financing support;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private legal lending through legal forms, and personal legal lending that helps improve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private legal lending through legal documents, and private legal lending that can help improve the financing environment of SMEs should be supported, while supporting particular reward and punishment mechanisms. Second, the government can strengthen its support for SMEs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by playing the role of innovation platform support, promoting collaborative innovation among large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maintaining the gradient cultivation of high-quality enterprises; the government should strengthen guidance services, actively play its organization and coordination function, build platform carriers, publicize the experience and practices of outstanding enterprises, promote typical models, and create an excellent public opinion atmosphere; the government can organize the region's SMEs in the area to carry out exchanges, share information in the cluster network, reduce information collection and transmission costs, improve transaction efficiency, and restrain enterprises default behavior. Third, the government should strengthen the construction of supporting systems for financing, vigorously promote the construction of local credit platforms, and keep credit agencies to develop credit products and services for SMEs financing; the government should strengthen the structure of the social credit environment, improve the overall trust level, improve the information sharing ability, and enhance the information screening ability of banks; the government should use the incentive for trustworthiness and the restraint for breach of trust as the reward and punishment mechanism to increase the government should increase the marginal cost of enterprises breach of trust by incentivizing trustworthiness and restraining it as a reward and punishment mechanism, and improve the integrity awareness and credit level of the whole society. Fourth, the government should strongly support academic research on social capital, leadership style, organizational learning, entrepreneurial bricolage, and enterprises performance, and widely publicize the most cutting-edge research findings to raise the importance and recognition of social capital, leadership style, organizational learning, entrepreneurial bricolage, and enterprises performance among SME managers. The government should focus on the application and implementation of research results and follow up the application process to realize the combination of theory and practice and promote the continuous improvement of SMEs performance. As practical suggestions. First, SMEs should build harmonious social network relationships, make full use of social capital financing channels, strengthen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ith their stakeholders, and help them better access financial resources; SMEs should recognize the positive role of social capital in their access to external financing, establish the awareness of cultivating social capital, pay attention to maintaining their social capital level, and establish the understanding of developing social capital; SMEs should According to their advantages and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strengthen external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strive to build and accumulate social wealth, actively cultivate and develop social capital, increase investment in social capital, and pay attention to the efficacy of social capital. Second, SMEs should consider environmental factors and employee characteristics to choose an appropriate leadership style that is recognized by others; SME leaders should focus on the cultivation and expression of their leadership style, give full play to their charisma, set an example, and become a role model and benchmark for the organization to learn from. SME leaders should effectively combine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styles to stimulate corporate innovation effectively. Third, SMEs should give play to their subjective initiative, integrate social capital resources, start from technology and product innovation, use internal and external learning resources, and conduct organizational learning; SMEs should establish a learning mechanism, create an atmosphere for organizational learning, create or improve the corporate environment, demonstrate an understanding organization for innovation, and improve the organizational learning ability and innovation ability of employees; SMEs should Strengthen the financial investment in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ely attract high-level technical personnel to join technological innovation, improve organizational learning ability, and strengthen the guaranteed capacity of core resources for technological innovation. Fourth, SMEs should quickly adjust the combination of production factor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market environment, accurately grasp the market dynamics and trends, and reasonably choose the way and content of bricolage; SMEs should consciously cross the boundaries of enterprise resource grouping, promote exploratory innovation, act immediately, focus on the creativity and originality of bricolage in the process of resource reorganization, and improve risk tolerance; SMEs should clarify the mechanism of the effect of different dimensions of bricolage on performance, and creatively use the resources at hand to obtain performance improvement through entrepreneurial bricolage. As academic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First, in terms of sample collection, the scope of data collection and the diversity of the surveyed SMEs will be expanded to enhance the persuasiveness of the study findings. Second, in terms of variable measurement, future empirical studies could be analyzed using a combination of subjective evaluation and objective data. The scale could be further improved to make the study more valuable. Third, the scope of the study should be expanded. In the follow-up study, variables such as entrepreneurship, social responsibility, knowledge absorption capacit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identity can be selected for further research. 중소 기업은 시장 경제 활동의 주요 참여자로서, 산업 체인 공급망의 안정성과 경쟁력을 강화하는 중요한 연결 고리로 작용하며, 경제 발전 촉진, 노동 고용 확대, 기술 혁신 촉진 및 사회 생활 개선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며, 국가 경제 및 사회 발전에 전략적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사회적 자본 이론, 리더십 스타일 이론, 조직 학습 이론, 기업가적 브리콜라주 이론은 중국 중소 기업 발전에 중요한 이론 및 실천적 함의를 제공한다. 중국 중소 기업의 운영 및 발전에 사회적 자본과 리더십 스타일 이론을 적용하는 것은 중소 기업성과를 개선하고 사회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조직 학습과 기업가적 브리 콜라주으로 사회적 자본과 리더십 스타일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중국의 중소기업 현실을 정확히 이해하고 기업의 경영 모델을 최적화하여 중소기업의 성과와 발전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이론적 검토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구축하여 중국 중소 기업의 사회적 자본, 리더십 스타일 및 기업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조직 학습 및 기업가적 브리콜라주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중국 중소기업의 현황을 탐색하고 정부, 기업 및 학자에게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중소 기업의 기업성과를 향상을 위한 정책적 제안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중국 화동 지역(상하이시, 장쑤성, 저장성, 안후이성, 푸젠성, 장시성, 산둥성 포함)에 있는 700명 중소 기업 직원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지료 수집을 위해 무작위 표집 방밥 사용하여, 656부 유효한 설문지를 얻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중국 중소 기업의 사회적 자본, 리더십 스타일, 조직 학습, 기업가적 브리콜라주 및 기업성과는 어떠한가? (2)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중국 중소 기업의 사회적 자본, 리더십 스타일, 조직 학습, 기업가적 브리콜라주 및 기업성과의 차이는 어떠한가? (3) 중국 중소 기업의 사회적 자본이 조직 학습, 기업성과 및 기업가적 브리콜라주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4) 중국 중소 기업의 리더십 스타일이 조직 학습, 기업성과 및 기업가적 브리 콜라주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5) 중국 중소 기업의 조직 학습과 기업가적 브리콜라주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6) 중국 중소 기업의 조직 학습과 기업가적 브리콜라주가 사회적 자본과 기업성과 사이에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7) 중국 중소 기업의 조직 학습과 기업가적 브리 콜라주가 리더십 스타일과 기업성과 사이에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SPSS 26.0 및 AMOS 27.0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데이터 처리 및 분석을 실행하였다. 기술 분석, 분산 분석, 신뢰성 및 타당도 분석, 상관 분석 및 판별 유효성 분석, 구조 방정식 경로 분석 및 매개 효과 검증을 통해 다음과 같이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중국 중소 기업의 사회적 자본은 조직 학습, 기업가적 브리콜라주 및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중소 기업의 리더십 스타일은 조직 학습, 기업가적 브리콜라주 및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 중소 기업의 조직 학습과 기업가적 브리콜라주는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국 중소 기업의 조직 학습과 기업가적 브리콜라주는 사회적 자본과 기업성과의 사이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국 중소 기업의 조직 학습과 기업가적 브리콜라주는 리더십 스타일과 기업성과의 사이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국 중소 기업의 기업성과를 개선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제안을 하고자 한다. 정책적 제언으로, 첫째, 정부는 재정자금지원, 기업세수정책을 강화하여 중소기업에 대한 재정세수지원정책을 실행할수 있으며, 신용대출지원 강화, 금융서비스모델 혁신, 직접융자지원 강화 등을 통해 중소 기업에 대한 융자지원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정부는 법률제정을 통하여 민간대출을 지원해야 하며 중소 기업의 융자환경개선에 도움이 되는 합리적인 민간대출을 지원하는 동시에 일정한 상벌메커니즘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정부는 혁신플랫폼 개발하여 대,중소기업의 협업혁신을 리딩하고 우량기업의 선별 육성을 강화하는 등 중소기업에 대한 혁신과 창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정부는 중소기업에 대한 지도와 멘토링을 강화하고, 조직조율기능을 적극 활용하여 우수기업의 노하우를 홍보, 보급하여 중소기업에 대한 긍정적인 여론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정부는 지역별로 중소 기업을 협회를 조직하여 교류를 활성화하고 클러스터 네트워크의 정보를 공유하여, 정보수집과 정보전달의 원가를 낮추고 거래의 효율을 높이며 기업의 불법행위를 단속해야 한다. 셋째, 정부는 융자지원체계를 강화하고 지방의 신용정보플랫폼 구축을 추진하여 신용정보기구가 중소 기업의 융자를 위한 신용정보의 상품과 서비스를 발전시키는것을 지원해야 한다. 정부는 신용사회 환경건설을 강화하여 신뢰수준을 높이고 정보공유능력을 제고하여, 은행의 정보선별능력을 증강시켜야 한다. 정부는 신용지키기에 대한 지지와 신용불이행에 대한 제약을 상벌기제로 하여, 사회 전체의 신용 의식과 신용 수준을 높여야 한다. 넷째, 정부는 사회적 자본, 리더십 스타일, 조직 학습, 기업가적 브리 콜라주 및 기업성과에 대한 학술 연구를 지원하고 최신의 연구 결과를 널리 홍보하여, 중소기업 관리자들 사이에서 사회적 자본, 리더십 스타일, 조직 학습, 기업가적 브리 콜라주 및 기업성과에 대한 중요성과 인식을 높여야 하다. 정부는 연구성과의 운용과 실행에 중시하며 이론과 실천의 융합을 실현함으로써 중소 기업의 성과를 제고시켜야 한다. 중국 중소 기업에 대한 제안으로, 첫째, 중소기업은 사회적 네트워크 관계를 구축하고 사회적 자본의 융자 경로를 충분히 활용하여 금융 자원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소기업은 사회적 자본이 외부 융자 획득에 있어서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사회적 자본의 의식을 고취시키며 유지해야 한다. 또한, 중소기업은 자신의 강점과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외부와의 교류와 협력을 강화하고 사회적 자본을 구축하며 축적해야 하며, 이를 통해 사회적 자본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발전시키며 사회적 자본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그 효과를 실현해야 한다. 둘째, 중소기업은 환경요소와 종업원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합한 리더십 스타일을 선택하여 외부의 인정을 받아야 한다. 중소기업의 리더는 자신의 리더십 스타일을 육성하고 표현하는 데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자신의 장점과 영향력을 충분히 발휘하여 조직 구성원들이 따라 배우고 모범적인 리더십을 본보기로 삼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중소기업의 리더는 변혁적 리더십 스타일과 거래적 리더십 스타일을 효과적으로 조합하여 기업의 혁신 능력을 촉진해야 한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은 조직 내부의 역량과 창의성을 활발히 발휘하여 혁신의 격차를 높이는데 성공할 수 있다 셋째, 중소기업은 주관적인 능동성을 발휘하여 사회적 자본 자원을 통합하고 기술 및 제품의 혁신을 촉진하는 데에서 출발하여 내부 및 외부의 학습 자원을 활용하여 조직 학습을 진행해야 한다. 중소기업은 적절한 학습 체계를 구축하고 조직 내에서 학습 분위기를 조성하며, 조직적 환경을 창출하거나 개선하여 혁신을 목표로 하는 학습 중심 조직을 구축해야 한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은 종업원들의 조직 학습 능력과 혁신 능력을 강화할 수 있다. 중소기업은 기술 혁신에 대한 자금 투자를 강화하고 고급 기술 인력을 기술 혁신 행렬에 유치하는 노력을 해야하며, 조직적인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고 기술 혁신의 핵심 자원을 보장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넷째, 중소기업은 시장 환경의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생산 요소의 브리콜라주 방식을 조정하고 시장 동향과 추세를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중소기업은 합리적인 선택을 통해 브리콜라주 방식과 내용을 조화롭게 융합해야 한다. 또한, 중소기업은 의도적으로 기업 자원의 브리콜라주 한계를 넘어서며 탐색적인 혁신과 즉각적인 행동을 촉진하고, 자원 재조합 과정에서 그룹의 창의성과 창조성에 주목하여 위험 관리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 중소기업은 서로 다른 차원의 브리콜라주 행위가 성과에 미치는 작용 메커니즘을 명확히 이해해야 하며, 기업가적인 브리콜라주를 창조적으로 활용하여 성과를 향상시켜야 한다. 향후 연구를 위한 제안으로, 첫째, 표본수집 측면에서 향후에는 자료수집의 범위를 확대하고 조사대상 중소 기업의 다양성을 증대시켜 연구의 결론에 대한 객관화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변수 측정 측면에서 향후 실증 연구에서는 주관적인 평가와 객관적인 자료를 통합하여 분석하고 변수의 규모를 확대하여 연구의 가치를 높일 필요가 있다. 셋째, 연구의 범위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기업가 정신, 사회적 책임, 지식 흡수 능력, 조직 약속 및 조직 정체성과 같은 변수를 선택하여 추가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 리더십스타일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기업유형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 : 중국 산동성 칭다오시 국유기업과 민영기업의 비교를 중심으로

        경운천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87

        Over the years of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the deepening of economic system reform has created conditions for the rapid development of market economy. China has done its best to become an innovative country and attaches importance to quality in development.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enterprises relying on excellent talents. How to attract, preserve and strive for excellent talents is the challenge faced by enterprises. However, in recent years, according to various big data reports, the average annual wage increase of employees is about 8%, but the average turnover rate is still more than 15%. Therefore, it is not only wages that affect employee loyalty, but also the factors and internal mechanisms that affect employee loyalty. The person an employee interacts with most in a company is his or her direct leader. Leaders communicate the company's culture and values to employees and place them to do work that fits them. Because employees recognize and empathize with the company through communication with leaders, some scholars view employee loyalty as employee loyalty to the manag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leadership styl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Chinese literature, the outcome variables of leadership style were mainly job performance,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s study mainly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tate-owned enterprises and private enterprises were used as moderator variables. Research hypotheses were presented on the basis of organizing related studies, and then a theoretical model was built. was measured, and SPSS was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of the questionnaire and to verify the hypothesis and model.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it was found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a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at the type of company regulates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tudy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corresponding hypothesis was tested. This study suggests that corporate leaders should emphasize the management of employee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stantly improve their own leadership, and increase employee loyalty by adopting a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tyle. 중국의 개혁개방에 따른 경제체제 개혁의 심화는 중국 시장경제의 급격한 발전 조건을 만들었다. 중국은 창조형 국가가 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고 특히, 발전의 질을 중시하고 있다. 인적자원에 의존하는 기업의 발전을 위해 우수한 인재를 어떻게 유치하고 유지하는지에 대한 방법 모색은 기업이 직면하고 있는 난제 중 하나이다.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각종 빅데이터에 근거한 분석결과들에 따르면 직원들의 임금 인상 폭은 연평균 8% 안팎이지만 평균 이직률은 여전히 15% 이상이다. 따라서 임금만이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는 유인책이 아니라 개인에게 내적으로 영향을 주는 비재무적인 요소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직원의 내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아 관계를 규명할 수 있는 내재적 메커니즘을 논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직원이 기업에서 가장 빈번하게 마주하는 사람은 그의 직속상관 즉, 리더이다. 리더는 직원들에게 기업의 문화와 가치관을 전달하고 그에 맞는 일을 하도록 배치한다. 직원들은 리더와의 소통을 통해 기업을 인식하고 공감하기 때문에 조직에 대한 직원의 충성심과 관련성이 깊다. 따라서 리더십스타일과 조직몰입 사이의 영향관계를 살펴보는 것은 유의미한 접근이 된다. 중국 선행 문헌에서 리더십 스타일의 결과 변수는 주로 업무 성과, 이직 의도, 조직 시민 행동 등이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였고, 국유기업과 민영기업을 조절변수로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연구를 고찰한 후,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이론 모형을 구축하였다. 다음으로 설문지를 통해 연구 변수에 대한 측정을 진행하였고,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해 데이터를 분석하고 연구가설에 대해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해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업유형에 따라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의 영향관계가 조절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설정한 가설이 모두 채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중국 기업유형의 조절효과를 실증했다는 점에서 중요성이 있다. 또한, 기업의 리더가 직원의 조직몰입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자신의 지도력을 높이고, 직원 개개인별로 세심한 관심과 배려를 통해 관리해야 하는 등 변혁적 리더십이 갖는 중요성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공군방공포대장의 리더십스타일에 따른 리더십 유용성의 실증적 연구

        유문근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86

        공군이 수행하는 제공작전은 현대전 및 미래전에서 전쟁수행의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전쟁승리의 핵심작전임에 재론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제공작전은 특성상 시·공간적인 제한을 받고 있으며, 공군은 이러한 제공 작전의 각종 제한사항을 해결하기 위한 다각적인 무기체계와 항공력운용방안을 모색(摸索)하고 있다. 한국공군의 방공포병은 인력, 무기체계 기지로 구성된 공군의 구성요소를 갖추고 전·후방의 산간고지에서 영공방위의 임무를 수행하며 제공작전의 일부를 담당하고 있는 지상기반 방공전력이다. 방공포병 전투력발휘의 핵심은 방공포대로서 방공포대의 포대장은 부대의 인력을 관리하고 활용하여 전투력을 발휘하는 책임을 지고 있다. 통상 방공포병 무기 체계 전투력 발휘의 핵심은 무기체계의 우수성 그 자체를 포함하여 장교와 부사관 병사들로 이루어지는 인적요소가 크게 좌우한다. 따라서 최상의 전투력 발휘와 안정적인 부대관리를 위하여 성공적인 인적자원관리는 임무달성을 위한 필수요건이다. 본 연구는 급변하는 안보환경과 군내외의 불확실한 상황에서 유도탄 포대의 성공적인 인적자원관리에 필수적인 포대장의 리더십스타일 영향에 관한 연구로서, 각종 리더십스타일에 미치는 주영향요인을 모색하고, 현재포대에 근무중인 병사들의 계급별, 성장환경별 지역별 및 직책별로 나타나는 리더십유효성의 정도를 측정하여 각종 작전수행과 신세대병사 관리 및 부대관리 등 다양한 지휘활동을 하는 포대장의 바람직한 지휘자세 모색과 올바른 방향제시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 리더십에 관련한 문헌연구를 통하여 리더십 제 이론 및 군조직의 특성, 군리더십의 특징, 신세대병사들의 특징, 리더십스타일에 대한 고찰을 하고, 포대별 병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SAS통계 처리 분석을 통한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포대장의 리더십 스타일 모색과 리더십 유효성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포대장의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업무추진, 모범과 관심의 발현, 인정 및 보상의 시행, 업무에 대한 명확과 철저, 인화단결을 강조하는 리더십스타일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병사들의 리더십 유효성측정결과 첫째, 병사들은 그들이 수행하는 직책에 따라 부대생활에 대한 만족도는 달랐다. 이는 방공포대에 근무하는 작전특기 병사들에게 포대장의 관심이 요망되는 결과이다. 둘째, 환경적인 측면에서 성장 환경에 따른 리더십유효성은 차이가 있어 대도시에서 성장한 신세대 병사의 관리에 관심을 기울여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전·후방 지역으로 구분한 부대 환경에 따른 리더십 유효성에 차이가 있다고 나타나 방공포병 부대관리에 있어 많은 의미를 시사한다. 한편 복무 경과(계급)에 따른 리더십유효성은 이등병에서 상병까지 리더십유효성이 크게 나타났으나 병장이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 포대장이 수행하는 리더십의 핵심은 포대장 자신이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자세를 통하여 리더십을 발휘하는 것으로, 병사들이 계급과 환경, 직책에 무관하게 단결하고 포대장에 대해 만족하며, 부대에 대한 자긍심을 고취하게 하여 결국 부대의 임무당성과 성공적인 부대지휘의 초석이 되므로 포대장은 긍정적 리더십을 강화해야 한다. It is obvious that the Counter Air Operation (CAO) carried out by air force is key operation for victory in war, playing crucial role in present and future war. However the CAO is limited by time and area due to its own quality, and air force tries to find a way to employ various weapon system and air power to solve the limitation problems. Air defense artillery of ROKAF composed of manpower, weapon system and the site is ground based air defense force achieving its task of defense of the territorial air, located on high grounds of front and rear area, sharing a part of CAO. Air defense artillery is core in displaying full fighting strength from member of the artillery and the Chief of air defense artillery battery is in charge of management of human strength of the battery and exhibition of fighting strength. In general, the success of full employment of the air defense artillery weapon system is achieved by membership of the battery concerning officers, noncommissioned officers, and soldiers, besides the superiority of the weapon system. So successful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is essential condition for mission accomplishment in reaching the summit of fighting power and stable administration of the battery. This study is about the influence of the leadership style of the chief indispensable for the successful control of human agencies of the missile battery in rapidly changing security situation and insecure circumstances in and out of the military. It searches for the primary factors exerting influences on the various kinds of leadership style, measures the extent of leadership effectiveness of the soldiers serving in the battery classified by rank, background, residence and duty so can present desirable attitude as a commander and vision of the chief operating various commanding activities such as performing all kinds of operations, managing so called 'New Generation Soldiers' and the battery, etc. The method is firstly inquire many theories of leaderships, special features of the military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of military leadership, new generation soldiers, and leadership styles, looks for the leadership style of the chief, and measures the leadership effectiveness performing realistic research surveying soldiers of the battery and statistical analysis using SAS. The result is that the desirable leadership style of the chief is active and positive way of performing duties, exemplary behaviors and having concerns, authorizing and rewarding, and the precision and thoroughness in business. The result of the measurement of the leadership effectiveness of the soldiers is firstly the extent of satisfaction of the soldiers shows no differences regardless of the duties. It shows that the leadership effectiveness of the soldiers of battery has no relationship with their duties. Secondly it can be found that the leadership effectiveness shows differences when the soldiers were classified by backgrounds during their juvenile periods and it implies that more concerns have to be given in the soldiers who have grown up in urban areas. And it can also be found that the leadership effectiveness of soldiers have differences whether they serve in rear or front areas and the result suggests many points in management of the battery. The leadership ef! fectiveness of the soldiers classified by their service periods, so to say, their ranks, is high when they are privates, and corporals but declines as they become sergeants. These results shows that the leadership exerted by the chief himself by active and positive attitude is the name of the game, so that soldiers can be united regardless of their ranks, backgrounds, and duties, pleased with their chief, and proud of their battery and it lays cornerstone of the achievement of the duty and successful leadership of the battery. So the chief should strengthen his positive leadership

      • 사이버전사 리더십 스타일에 대한 연구 : 리더십패러다임과 KSA의 유효성을 중심으로

        황보근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86

        사이버전사(사이버전을 수행하는 사이버 전문요원)들은 인류역사상 처음으로 네트워크라는 눈에 보이지 않는 공간에서 보이지 않는 적과 싸우는 임무를 수행한다. 이렇게 완전히 다른 환경과 새로운 무기체계, 새로운 작전술로 수행되는 전장에 적합한 리더십 스타일은 무엇일까? 이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전의 특징에 맞는 리더십 스타일을 찾는데 있다. 그러기 위해 조직학과 심리학 분야에서 사용하는 Bolman & Deal의 리더십 패러다임과 개인 핵심역량으로 사용되는 KSA(knowledge, skill, ability)의 유효성을 확인하여 사이버전에 적합한 사이버전사 리더십 스타일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총 4개의 모델을 구성 사이버전사의 리더십 스타일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사이버전 업무의 일선에 있는 현직 군인 및 공공기관의 전문가와 민간인력 119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처리방법은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등은 SPSS 21.0을, 확인적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의 경로분석 등은 AMOS 23.0.0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연구에 사용된 총 88문항에 대한 신뢰도 검사 결과 사용된 변수 모두 0.8 이상의 높은 신뢰도를 보였으며 요인 분석 및 적합도 검증을 통하여 각 변수의 하위요인들이 적합한 문항으로 알맞게 구성된 것을 확인하여 사이버전사의 리더십 스타일, KSA, 조직몰입도 등을 측정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구조적, 인적자원적, 정치적, 상징적 리더십패러다임의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에서 상징적 리더십패러다임만이 조직몰입도에 영향을 미치고 다른 세가지 리더십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KSA가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은 하위요인인 기술적, 조직관리적, 행동적 모두 유의적이지 못하게 분석되어 KSA는 조직몰입도에 충분한 영향력 행사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리더십패러다임 하위요인별로 KSA를 매개하여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모델은 세가지 변수 간에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어렵다고 나타났다. 다섯째, 리더십패러다임 전체가 KSA를 매개하여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모델도 위와 마찬가지로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 KSA의 매개효과는 확인할 수 없었다. 선행연구들과는 다르게 리더십패러다임은 상징적 리더십 패러다임만 영향력을 나타냈고, KSA의 영향력과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분석되었지만 최초로 사이버전사에 대한 리더십스타일의 유효성을 측정하였고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측정도구를 확인하여 이 측정도구를 통하여 맞춤형 조직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결과가 선행연구와 다소 차이가 나는 이유는 사이버전사 집단의 특징일 수도 있을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더 많은 표본수를 확보하여 연구를 진행한다면 사이버전사 리더십스타일과 KSA의 영향력에 대하여 정확하게 측정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조직의 시스템적인 인력구조 설계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을 통해 조직 내 리더의 부족한 부분은 참모가 참모의 부족한 부분은 리더가 보완이 가능하게 되어 변화무쌍한 사이버전에서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살아있는 강력한 전사 집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 사이버전, 사이버전사, Bolman & Deal 리더십 패러다임, 기술적KSA, 조직관리적 KSA, 행동적 KSA, 조직몰입도(지속적, 정서적, 규범적 몰입도), 맞춤형 리더십스타일

      • 우리나라기업 조직구성원들이 인식한 CEO의 리더십스타일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병석 韓南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박사

        RANK : 248684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들이 인식한 우리나라 CEO의 리더십스타일과 조직효과성간의 관계에 초점을 두고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리더십스타일을 독립변수로 하여 우리나라에 가장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거래적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 카리스마적 리더십을 선정하였으며, 만족성과 생산성, 조직몰입을 중심으로한 조직효과성을 종속변수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사이에 욕구동기와 조직문화를 매개변수 및 통제변수로 선정하여 그 역할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론적 토대하에서 CEO의 리더십스타일과 조직효과성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정립하여 검증하였다. 600명의 조사대상자를 선정하였으며 이중 226명의 설문을 분석하였다. 분석에서는 신뢰성검사, 요인분석, t-test, one-way ANOVA분석,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 GLM분석, one-way ANOVA의 Duncan Test, 교차분석 등에 SPSS 11.0을 사용하였고, 경로분석에 LISREL 8.30을 이용하였다. 대부분의 가설이 채택되었으며 부분적으로 분석의 결과에 받아들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십스타일과 조직효과성간의 상관관계가 입증되었다. 그러나 거래적 리더십은 조직효과성간의 관계에 부(-)의 상관성이 나타났으며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리더십스타일과 욕구동기유형/조직문화유형(매개변수)에 따라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분석에서는 매개변수의 역할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매개변수의 역할과 관련하여 동기요인으로 자아실현욕구와 존경욕구, 사회적 욕구가 중요하며 조직문화요인으로 개발문화와 위계문화가 중요함이 나타났다. 셋째, 리더십스타일에 따른 욕구동기유형/조직문화유형(매개변수)의 차이, 욕구동기유형/조직문화유형(매개변수)에 따른 조직효과성 유형의 차이분석에서는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특히 변혁적 리더십은 자아실현욕구와 개발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이들은 조직효과성의 하위변수인 조직몰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분석되었다. 또한 카리스마적 리더십은 자아실현욕구와 생리적 욕구, 위계문화에 영향을 미쳐 조직효과성의 하위변수인 생산성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우리나라의 제요인변수의 변화가 어떠한 현황인가를 분석한 결과 거래적 리더십스타일이 증가하고 있으며 카리스마적 리더십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조직효과성과 관련하여 바람직한 현상은 아니라고 분석되었다. 또한 자아실현욕구가 증가하고 있지만 존경욕구와 사회적 욕구가 감소하여 조직효과성측면에서 우려할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고 보겠다. 조직문화에서는 합리문화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위계문화는 크게 감소하여 조직효과성에 심각한 문제를 던져주고 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볼 때 우리나라에서 일어나고 있는 CEO의 리더십스타일과 조직효과성의 제요인간의 변화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서구식 사고방식이라고 할 수 있는 거래적 리더십이 당초에 추측했던 만큼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어 이에 대한 각성이 필요하며 변혁적 리더십과 카리스마적 리더십을 혼용한 새로운 리더십의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구는 우리나라 기업종사자들의 동기요인인 자아실현과 존경, 사회적 가치를 배려한 혁신적인 조직문화와 위계문화를 고려하여야 하며 기업종사자들의 전통적인 가치로의 회귀를 눈여겨 보아야 한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CEO‘s leadership styl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raising a question as if what kinds of influence act on among them. This study can be drawn as the following variables; CEO’s leadership style as independent variable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 dependent variables, moderator/controlor as desire motiv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hypothesis on the relation between CEO‘s leadership styl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n th basis of theoretical study was firmed and tested. The 226 valid responses were gotten from the questionnaire survey on 600 employees in a business organization for the testing hypothesis. The analysis of reliability, factorial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analysi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general linear model analysis, one-way ANOVA's Duncan Test, crosstabulation of SPSS statistical package ver. 11.0 and Path Analysis of LISREL 8.30 were implemented for testing the hypothesis formed from these data. The most of hypothesis were accepted or partially accepted as results of the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proved that, although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EO's leadership styl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re i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EO's trans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fter all,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more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an any other leadership style. Second, it is proved that moderator/controlor as desire motiv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play an important part in relation between CEO's leadership styl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lf-actualization needs and esteem needs, social needs are important as desire motives and development culture and rank culture are important as organizational culture. Third, the difference analysis among desire motive style/organizational culture style turn out according to CEO's leadership style and the difference analysis amo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tyle turn out according to desire motive style/organizational culture styl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more influence on the self-actualization needs and development culture, which have an import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Charismatic Leadership has such an influence on the self-actualization needs, physiological needs, and rank culture that productivity is affected by. Fourth, according to the study, transactional leadership is on the increase and Charismatic Leadership decrease, self-actualization needs increse and esteem needs and social needs decrease, rational culture increse and rank culture decrese, which is undesirable results. In conculsion, the results show that change in the CEO's leadership style in korea is not good, new leadership to mix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Charismatic Leadership is to studied. In the next study, business employee's self-actualization needs, esteem needs and social needs are thought over, and transformational organization culture and rant organization culture are token into account. we must fasten one's eyes on recurring to the traditional value of business employee.

      • 리더십 스타일이 기업문화 유형에 따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중국기업의 비교

        염홍 단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71

        최근 기업환경은 매우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으며, 한국이나 중국의 경우도 예외가 아닐 수 없게 되었다. 양국의 기업들이 이처럼 빠른 속도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조직의 적응력과 종업원의 창의력을 개발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시장이 급변하고 글로벌화 될수록 대두되는 것이 리더이며 국제적인 안목과 무한한 경쟁력을 갖춘 리더들이 존재하지 않는 조직은 치열한 경쟁속에서 패배할 수밖에 없다. 오늘날 기업의 유지존속과 성장발전은 리더가 그 조직에 참여하고 있는 조직 구성원들의 협력을 이끌어 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바람직한 리더십은 리더가 지도력을 발휘하여 개별 구성원들과 집단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궁극적으로는 이들의 행동을 조직성과에 연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요인인 리더십 스타일 중 과업지향적 리더십과 관계지 향적 리더십이 기업문화 유형에 따라 결과요인인 조직유효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초점을 두어 이를 실증연구 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전의 많은 연구들은 리더십 스타일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두어 이루어졌었으나,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기업을 대상으로 기업문화유형을 구분하여 각각 기업문화군에서 리더십 스타일이 조직유효성에 어떠한 영향를 미치는지에 대해 실증연구 하였다. 여기서의 조절 요인인 기업문화는 연대성과 사교성의 2가지를 조절변수로 두었고, 분절문화, 용병문화, 공동문화와 연계망문화의 4가지 기업문화 유형을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업지향적 리더십과 관계지향적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과 중국의 경우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기업문화는 분절문화 유형의 경우 한국의 관계지향적 리더십과 과업지향적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에 중국의 과업지향적 리더십이 조직몰입과 직무몰 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혔다(가설Ⅱ1). 기업문화는 용병문화 유형의 경우 한국의 관계지향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 으로 나타났는데 중국은 이러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지만 과업지향적 리더십과 조직몰입과의 상관관계는 부(-)의 상관관계로 나타나는 것으로 밝혔다 (가설 Ⅱ2). 기업문화는 연계망문화 유형의 경우 한국의 과업지향적 리더십이 조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중국은 이러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 지만 관계지향적 리더십이 조직몰입과의 상관관계는 부(-)의 상관관계로 나타 나는 것으로 밝혔다(가설Ⅱ3). 기업문화는 공동문화 유형의 경우 한국과 중국 모두 관계지향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 다(가설Ⅱ4). The corporation environment is changing very rapidly recently, and case of Korea or China both are unexceptional. Two countries’ companies are mak ing their efforts to cope with the fast-changing environment and improve the adaptability of an organization and the creativity of their employees. As the market changes rapidly and is globalized, the role of a leader is getting important. An organization could not survive without a leader who has an eye for the international market and unlimited competitiveness.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maintenance and growth of a company, that a leader should make his followers co operate with each other. Accordingly, a leader should have influence on his followers and his organization and finally make good results for his organization. In this research, among virtue factors of the leadership, task-oriented and relation-oriented leadership are focused on how to affec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the result factor by company culture. In a deep bottom, this research has concentrated on how leadership-style among company-cultures has an influence on organizational-effectiveness just limiting two companies such in Korea and China by dividing company- culture patterns. Moderated factors of the company culture have related these two solidarity and sociability with control parameter, and divided 4-company culture patters such as fragmented culture, mercenary culture, communal culture and network culture. In conclusion, there are two sums to wrap up. First, task-oriented leadership and relationship-leadership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cond, there exists a comparison in Korea and China. For example, Company-culture with relationship-leadership and task-oriented leadership in Korea on fragmented culture has not influence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hile China’s task-oriented leadership has affected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task-immersion. (Hypothesis II-1) In a company-culture on strategy-culture, Korea’s relationship-oriented leader 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group-immersion. In comparison, the cast has not existed in China, but mutual relation between the task-oriented leadership and the group-immersion has been negative each other (Hypoth esis II-2). And company culture on network-culture has shown that Korea’s task-oriented leadership affects group-immersion but there is a no sign in China. However, mutual relation between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and group-immersion has been negative until now (Hypothesis II-3). Also, in a company-culture on communal culture, Korea and China’s all relationship leadership have not affected group-immersion a lot

      • 校長의 리더십스타일과 敎職員의 職務滿足에 관한 연구 : 光州廣域市 初等學校를 中心으로

        田倫泳 전남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70

        오늘날 모든 사람들은 조직에 참여하거나 아니면 조직의 영향을 받아야 하는 조직사회에 살고 있다. 조직은 공동의 목표를 추구하기 위하여 모인 사람들의 집합체라 할 수 있는데, 구성원으로 하여금 목표 수행에 자발적으로 공헌할 수 있도록 하는 일은 조직의 리더에게 아주 중요한 일이다. 학교는 교육을 위해서 교장과 교감 등 관리자를 중심으로 교육을 직접 담당하는 교사와 교육 업무를 지원하는 행정직원으로 구성된 다소 이질적인 특성을 가진 성원들로 구성된 조직이다. 즉 교사는 강의와 기타 업무에서 전문적인 기술을 활용하여 학생을 지도할 수 있도록 자율성을 보장받은 전문가 집단이지만 교육인적자원부라는 국가기관의 큰 테두리를 벗어나기 어려우며, 행정직원은 교사가 교육 활동을 원할히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관리 집단이다. 교장과 교감으로 대표되는 학교조직의 리더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두 집단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이들간의 균형되고 조화로운 업무 흐름이 리더십 발현의 성패를 좌우할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학교 조직의 특성을 밝히고, 이와 관련하여 조직의 리더십에 관한 문헌을 구체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나아가 기존의 리더십이론 중 피들러의 상황이론을 통해 리더의 유형(관계중심적 리더와 과업중심적 리더)이 상황(리더-구성원 관계, 과업구조, 리더의 직위권력)에 따라 리더십 성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학교조직을 통하여 밝혀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전체 초등학교 111개교 중 70개교를 학교 규모별로 선정한 후, 교장 1명과 교사 및 행정직원 각 5명씩 추출하여 설문 조사한 결과, 62개 학교에서 총 660개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SPSS 7.5를 통해 빈도분석과 상관 관계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피들러의 상황적합 모형의 가장 기본적인 가설을 활용하여 가설을 설정하고 검증한 결과 상황호의성이 높은 경우(옥탄트 I, II, III), 과업지향적인 리더일수록 교직원의 직무만족에 긍정적 영향친다는 가설 1을 부분적으로 채택할 수 있었다. 상황호의성이 중간인 경우(옥탄트 IV, V, VI, VII), 관게지향적인 리더가 교직원의 직무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 2를 지지하고는 있으나, 유의하지 못하여 채택되지 못하였다. 상황호의성이 낮은 경우(옥탄트 VII), 과업지향적인 리더십 특성을 가진 학교장은 관계지향적인 리더십 특성을 가진 학교장보다 교직원의 직무만족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다라는 가설 3은 기각되었다. 이는 좋지 않은 상황하에서 오히려 관계지향적 리더십스타일에 긍정적으로 반응할 수도 있다는 점을 추론해 볼 수 있다. 또한, 교장인 리더의 LPC 성향과 교사집단과 행정직원 집단을 구분하여 직무 만족을 분석하여 본 결과, 가설1, 가설2, 가설3의 검증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교장의 LPC 성향과 행정직원의 직무만족과의 상관관계 결과는 유사하나, 교사 집단의 경우, 상황호의성이 높을 때 가설1의 검증과는 달리 과업지향적인 리더십보다 관계지향형 리더십을 발휘하는 경우 교사 집단의 직무만족에 보다 긍정적으로 반응할 수 있음을 추론해 볼 수 있었다. 이는 피들러의 상황적합 모형 이론과 상반된 결과를 보이는데 교사집단의 특성이 행정직원보다는 더 많은 자율 재량권과 권한 위임 등의 차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어 진다. 연구 시사점으로 첫째, 비록 제한적이지만 초등학교 교장의 리더십 성향과 처해있는 상황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었다. 둘째, 가설을 검증한 결과 피들러의 상황적합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으로 첫째, 표본의 양이 적어 피들러의 상황적합 모형을 검증하는데 있어 취약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집단성과의 측정문제로 교직원 집단성과로써 직무만족의 평균값을 이용하였으나, 이렇게 측정한 평균값이 집단의 대표값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였다는 점이 연구의 한계점으로 제시되고 있다. 셋째, 상황호의성 측정에 있어 가중치의 문화차이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피들러의 가중치(4:2:1)를 그대로 적용하였으나 앞으로 지속적인 실증연구를 통하여 한국적인 문화와 조직환경에 적합한 비율로 일반화될 수 있는 가중치를 도출해 내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A school organization currently consists of a three-tier system ; namely, a principal, two deputy principals as the general managers, teachers and administrative employees as the support group. It is clear that school managers are responsible for managing above two different groups effectively. Thus, whether their leadership is in success or not, depends on how they create the harmonious and balanced task flows. This study introduces the attributes of school organizations, followed by reviewing the literature of organizational leadership. Of the organizational theories, the contingency theory of F.E. Fiedler is applied. This study, in accordance to the Fiedler's theory that explains the variables of leadership styles(relation-oriented leaders and task-oriented leaders) and contingencies(leader-member relation, task structure, leaders' position power), tries to divulge the reasons of various leadership performances in schools. For that purpose, the relation between LPC(Least Preferred Co-worker) scores of principals and job satisfaction of organization members is investigated. In Addition, relations between LPC propensity of principals and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administrative employees are tested. This study samples 70 schools out of 101 elementary schools according to their scale. It surveys, one principal and five administrative employees in each school. There were 660 survey returns from 62 schools, which was undergone of frequenc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hrough the SPSS 7.5. This study also adopts hypothesis 1 on the basis of the F.E. Fiedler's contingency theory : in the case of high situational favorableness, task-oriented leader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job satisfaction of educational employees. If situational favorableness being in middle, relation-oriented leaders have also positive effects on the job satisfaction of educational employees(hypothesis 2). However, hypothesis 2 is not signifiant in statistics, thereby not being adopted. On the other hand, hypothesis 3 - in case of low situational favorableness, task-oriented principals have more positive influences on the job satisfaction of educational employees than relation-oriented principals do - is rejected. From it, relation-oriented leadership style may response positively in the unfavorable situations. The additional analyses, or relations between LPC propensity of principals and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administrative employees, have the findings as following.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hypothesis 1,2,3 test, co-relation between propensity of principals and job satisfaction of administrative employees is similar to the one above, but, as for the teacher group, in stark contrast to hypothesis 1, teachers have more positive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oriented leadership rather than in the task-oriented leadership. It goes directly against the F.E. Fiedler's contingency theory. This results from the situation that teachers have more discretion than the administrative employees, I think. This study has many implications, First, it provides the substantial data on the leadership propensity in the limited scope. Second, this study, in part, testifies the validity of F.E. Fiedler's contingency model. This study, nevertheless, has limitations. First, samples are not enough in number to test F.E. Fiedler's contingency theory. Second, in order to measure group performance of teachers, the means was used, but the means may not be the representative of the group. Third, in the measurement of situational favorableness, cultural differences in added value should have been considered. This study introduced Fiedler's added value(4:2:1) in the research, but persistent studies down the road will create more pertinent added value with Korean culture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s considered.

      • 프랜차이즈에서 리더십스타일의 선행요인과 성과요인에 관한 연구

        이의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670

        본 연구는 1980년대 이후 관심을 끌고 있는 리더십연구를 유통경로에 적용하였다. 프랜차이즈시스템의 본부와 가맹점간 관계에 있어 효율성과 성과기반의 리더십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리더십구축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여러 선행연구의 문헌과 정부보고서 “2009년 프랜차이즈 활성화방안”의 내용 그리고 가맹점에 대한 실태조사에서 나타난 핵심적인 이슈들 즉, 윤리성, 정보기술, 그리고 조직문화 등을 리더십의 선행요인으로 보고 이들과 리더십스타일 및 성과와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리더십에 대한 종합적인 선행변수의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점을 감안하면 본 연구는 경영자관점과 정책적 관점에서 의미가 있다 할 것이다. 또한 리더십의 성과와 관련하여 경제적 관점에서 재무적성과를 비경제적 관점에서 관계시민행동을 분석하였다. 본 조사의 표본은 프랜차이즈의 3개 업종, 즉 외식업, 서비스업, 도소매업의 가맹점 220업소의 점주를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창업 3개월 이상의 가맹점주와 본사와 직접 업무관계가 있는 인원으로 한정하였다. 본 조사에 앞서 5회의 프랜차이즈대표와 가맹점주 대상의 사전인터뷰를 실시하고 설문문항과 변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변수조정과 설문항목의 선정에 반영하였다. 설문자료는 신뢰도분석, 확인요인분석 등을 실시하고 AMOS를 통한 검증작업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리더십선행요인의 리더십스타일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결과, 1) 혁신적 조직문화는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을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과업지향적 문화는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프랜차이즈시스템의 거래관계를 중시하는 조직문화의 기반을 반영하는 것으로 혁신적 조직문화가 리더십을 형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기술역량은 변혁적 리더십은 강화시켰으나 거래적 리더십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3) 윤리성은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을 모두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윤리성은 경로리더십스타일이 어떠하던 모두 영향을 미치는 기본덕목으로 밝혀졌다. 둘째, 리더십의 성과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1) 변혁적 리더십은 재무적 성과를 강화했지만 거래적 리더십은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또한 변혁적 리더십은 관계시민행동을 약화시켰고 거래적 리더십은 관계시민행동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프랜차이즈본부가 과업지향적 문화를 조성하여 리더십을 강화하고 윤리성의 확립과 기술역량을 축적해야 하며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을 선택적으로 발휘하여 재무적 성과와 관계시민행동을 촉진해야함을 나타내 보였다. 본 연구는 "리더십조건은 만들어 질수 있다"는 메시지의 전달과 정부의 유통정책에 경로리더의 양성과 활용기반을 마련하며 윤리교육과 윤리가이드라인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한편 연구한계와 향후 방향으로 조절 및 매개변수의 탐색, 양방향관점의 관찰, 관계수명주기의 고려 그리고 다른 유통시스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배구지도자의 리더십스타일이 선수들의 가치인식도에 미치는 영향

        김정훈 신라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7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and value recognition of volleyball players on leadership styles of volleyball coaches, analyze the impacts of sub-factors of leadership styles on the players' value recognition, and thus closely examine the efficient style to the volleyball coaches among the relevant leadership styles. To achieve the aforementioned purpose, the data of volleyball players at middle and high schools in Busan, Ulsan, South Gyeongsang Province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has been processed by using the SPSS for Win Version 12.0 statistical program.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drawn through the analysis in this study: 1) Difference in recognition on leadership styl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Regarding recognition on innovative leadership, men are higher than women, and main players are higher than non-main players. The 1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are high in intelligent stimulus and charismatic control style. In terms of players' experience in volleyball, those players with at least 6 years in experience are shown to highly recognize a charismatic leadership. The recognition on transactional leadership, men and main players are higher than women and non-main players, respectively, in exceptional and non-interference policy types. Main players are higher than non-main players in an exceptional factor. In terms of the sense of belonging, the 1st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ose players with 2-4 years in experience are high in intellectual stimulus. 2) Difference in value recognition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By gender, men are higher than women in terms of the values of future, homogeneity and the sense of belonging. By the status of main players or non-main players, main players are higher in the value of the sense of belonging. High school volleyball players are higher in the values of future, homogeneity and the sense of belonging. 3) In the impacts of leadership styles on value recognition, the intellectual stimulus factor impacts the values of future, homogeneity and the sense of belonging among the factors of innovative leadership style. Among the factors of transactional leadership style, the factor impacting the value of the sense of belonging is a conditional compensation factor, while the factor impacting the value of homogeneity is conditional compensation and exceptional control.

      • 사상의학의 체질과 리더십 스타일 간의 관계

        전경미 全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69

        오늘날 조직은 여러 가지 급변하는 경영환경변화에 생존하기 위해 끊임없이 변화·발전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때문에 조직은 이러한 변화에 함께 효과적인 리더를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변화물상한 조직변화에 대한 리더의 효과적인 리더십 유형을 연구하기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직이론의 특성이론에 기반해서 동양적 가치를 기본으로 한 사상의학의 체질과 서양의 리더십 이론의 관계를 실증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고 리더십 스타일의 관계를 위해 동양의 사상의학의 네 가지 체질(데양인, 소양인, 태음인, 소음인)의 구분과 특성, 행동양식에 대해 문헌연구를 통해 알아보고, 제반 리더십이론에서 소개한 리더십이론들 중 리더들이 보이는 행동 특히 리더십 유형에서 사상의학의 체질과 연관성이 있는 리더십이론(카리스마적 리더십, 배려적 리더십, 봉사적 리더섭, 성취지향적 리더십)과의 관계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각 상사의 체질구분 설문지와 상사의 리더십유형을 측정하기 위한 조직원 3명의 설문지를 동시에 받아 ANOVA분석을 실시하여 각 체질별 가설을 리더십유형이 집단 간에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본 결과 카리스마적 리더십 스타일과 성취지향적 리더십 스타일만이 유의한 결과가 나왔으며 이는 곧 태양인 체질은 카리스마적 리더십을 보이며 태음인 체질은 성취지향적 리더십을 보임을 밝혔다. In these days, Organization make an efforts constantly to change and develop for survival in business environment. Thus, neverthless organigation always have need of effective leader for preparing for changeable future, it is not easy to find effective leadership style for many circumstances. So, in this study which based on leadership trait theory I make a study to know relationship between constitution of the Sa-sang medicine in the Oriental Phenomenon and leadership style theory in the Western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o demonstrat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style, I separately research on relationship between four leadership type (Tae-yang, So-eum, So-yang, Tae-eum) in the Sa-sang medicine and four leadership theory related to constitution ( Charismatic Leadership, Achievement - Oriented Leadership, Servant Leadership, Consideration leadership). So, I analyzed which constitution related to leadership style using One 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it shown two hypothesis are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proved leadership style make a differance between group(Four constitut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aeyangin will show to their follower a charismatic leadership style and also Taeeumin will show achievement- oriented leadership sty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