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英語讀書에 있어서 易讀性 硏究 : EFL/ESL 독서의 난이성 관계를 중심으로

        이흥수 全南大學校 大學院 1984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영어독서에 있어서 쉽고 어려운 정도를 결정해 주는 문장구조의 복합성과 이독성 관계 그리고 독서 내용과 이독성 관계를 이론과 실제면에서 다루어 본 실험 연구이다. 외국어 교육과정의 목표는 소위 네 가지 기능-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으로 나누어지는데 이 논문은 네가지 기능 중 읽기에 관한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문장 이해와 독서단락 이해의 저해요인을 규명해 내고자 언어학적 측면에서 통사복합성을 분석했으며 심리언어학적 측면에서 학술자의 심리요인을 분석하고, 언어와 사고 관계를 다루었으며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언어와 문화 관계 그리고 학습자의 선행지식인 문화지식과 독해 관계를 다루었다. 제1장에서는 연구목적과 연구범위 및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제2장에서는 독서연구와 관련 된 선행연구 이론들을 개관했다. 여기에서는 독서의 본질, 예측과정으로서의 독서과정, 이독성의 측정 모형 등을 분석하려고 했다. 영어독서에서는 심리언어학에 기초한 Goodman(1965)과 Smith(1971)의 독서모형을 소개했으며, EFL/ESL 독서에서는 Eskey(l973)와 Coady(1979)의 독서모형을 소개하였다. 따라서 영어독서모형과 이독성의 관계, EFL/ESI 독서모형과 이독성의 관계를 상호 연관지워서 논하였다. 제3장에서는 문장구조와 이독성의 관계에 있어서 이론과 실제면에서 가설을 설정하고 실제로 이를 증명하였다. 문장의 이독성 측정방법으로는 이독성 가설 모형, 심층구조 모형, 개념단위 모형의 세 가지 이론적 접근방법을 다루었다. 이독성 가설 모형은 이독성 공식에 의해서 문장의 쉽고 어려운 정도를 측정했다. 이독성 공식은 단어 목록표를 사용하거나 음절수, 문장의 길이 등으로 이독성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심층구조 모형은 문법변형에 의한 통사복합성이 이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라고 생각하며 심층구조 명제에 변형규칙이 적용된 숫자로 문장의 이독성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개념단위 모형은 문장의 이해가 사고단위 또는 심리단위로 이루어진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학습자의 심리복합성과 의미단위에 의해서 문장의 이독성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문장이독성 측정의 실제에서는 문장구조의 복합성을 만들어 주는 변수로 가정할 수 있는 치환, 첨가, 삭제, 내치 등의 문법변형에 의한 문장들에 대해서 설문지 사용과 이해도 검사, 암기상 검사를 실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독서내용과 이독성 관계를 규명하고 실제로 독서내용의 이독성을 측정하였다. 제3장에서 다룬 것이 문장 내의 이독성 문제였다면 제4장은 문장을 넘어선 단락의 이독성 문제들이었다. 학습자의 선행지식은 독서단락의 내용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변수요인이 된다. 학습자의 선행지식이 이독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는 선험지식구조 이론 모형에 따라서 상세히 규명해 보았다. 독서단락에 대한 이독성 측정의 실제에서는 학습자의 언어에 관한 선행지식으로서 맥락과 명료성이 포함된 단락과 맥락과 명료성이 포함되지 않은 단락의 이독성 관계를 상호 비교하고자 설문지 내용과 이해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학습자의 문화지식에 관한 선행지식으로서 한국 문화를 내용으로 하는 단락과 미국 문화를 내용으로 하는 단락의 이독성 관계를 상호 비교하고자 설문지 사용과 이해도 검사를 실시 하였다. 제5장에서는 이독성 연구의 의의와 언어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rimary concern of this dissertation is with the study of EFL/ESL readability with special reference to Korea learners. The main focus of this investigation here is thus on what makes some English sentences/passages more or less difficult than others for Korea EFL/ESL learners. Chapter I discusses the nature and scope of the present dissertation. Chapter II deals with some preliminaries, and as such, it discusses in broad outline some concepts that are basic to any discusses of readability. The concepts dealt with here are those of the reading process, reading comprehension, and readability. This chapter also discusses recent models and conceptions of EFL/ESL reading appropriate to the EFL/ESL classroom, and reviews relevant theory and research in psycholinguistics and cognitive psychology. This review provides the reader with a background in major reading models that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EFL/ESL programs. Chapter III discusses the role that grammar plays in reading. The aim here is to draw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grammar in reading, to analyze some variables which cause EFL/ESL reading difficulty, and to evaluate certain explicit and implicit claims emerging from research in the areas of readability analysis and psycholinguistics. This chapter provides a basic discussion of the general nature of syntactic complexity and raises questions about reading difficulties that may result from syntactic complexity. In this chapter, we advance and validate hypotheses about four different grammatical processes in relation to sentential readability. They are (1) rearrangement. (2) addition, (3) deletion, and (4) substitution. Two expository steps are followed for each of these hypotheses. Firstly, a hypothesis is set forth after a brief discussion of some preliminary notions. Secondly, two tests and one questionnaire used to validate the hypothesized variable are analyzed and commented on. Chapter IV discusses the important role of background knowledge in a psycholinguistic models of EFL/ESL reading and demonstrates the relevance of the schema-theoretic view of reading to the teaching of reading to EFL/ESL learners. This chapter deals with two components of background knowledge for reading comprehension within schema theory. The are (1) the content of linguistic background knowledge and (2) and content of cultural background knowledge. For purpose of validation, we use two transparent, contextualized passages for linguistic background knowledge, and two cross-culturally loaded passages for cultural background knowledge. Two expository steps are followed for either component of this background knowledge. Firstly, a hypothesis is advanced after a brief discussion of some preliminary notions. Secondly, one test and one questionnaire that we have used to validate the hypothesized variable are analyzed and commented on. In chapter V, some implications for our research are discussed. It is claimed that our research offers some new ideas for the study of readability as well as for language teaching. It is also claimed that our research offers insights concerning the roles of some syntactic rules and of the learner's background knowledge in reading.

      •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 단원' 중심의 교과 통합 방안

        임병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신설된 ‘독서 단원’을 지도할 때, 그림책을 활용한 교과 연계 통합 지도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신설된 ‘독서 단원’은 책 한 권을 긴 호흡으로 읽고, 듣고, 말하고, 쓰는 활동을 하며 관련 성취기준을 통합해 배우도록 구안된 특별 단원을 말한다. ‘독서 단원’을 중심으로 각 교과 간 통합이 이루어지도록 문학성과 예술성을 고루 갖춘 그림책을 활용하여 지도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독서 단원’의 설정 근거 및 구성 방향을 통해 여러 교과가 통합되어 가르쳐져야 하며, 그 통합의 시작이 그림책과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밝혔다.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독서 단원 설정의 근거 및 초등학교 3~4학년군의 국어 교과서 독서 단원 구성 방향을 살펴본 결과, 독서 단원인 ‘한 학기 한 권 읽기’는 이미 통합의 필요성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한 학기 한 권 읽기’의 목표는 삶의 연속성 위에 독서 경험을 내면화하는 것이다. 독서 경험의 내면화는 학생들이 한 권을 수업 시간에 읽고 그들의 삶에 울림이 생기도록 하여 일상생활에서도 다른 책을 읽을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그러한 목표에 다가가기 위해 ‘독서 단원’을 국어 교과서 안에만 머물게 하지 않고, 다른 교과에까지 독서 경험이 이루어지는 교과 통합을 할 필요가 있다. 교과간 통합을 위한 자료로 그림책이 유효하다. 그림책은 학생들의 경험과 쉽게 연결할 수 있고, 즐거움과 감동이 있으며, 독서를 통해 끊임없는 의사소통 매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Ⅲ장에서는 Forgarty(1995)의 거미줄형에 근거하여 ‘독서 단원’ 중심의 교과 통합 방안을 설계해 보았다. Forgarty(1995)의 거미줄형은 교과를 통합하기 위한 주제적인 접근 방식으로,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주제에 기여할 수 있는 모든 교과를 연관시켜 조직할 때 적용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통합 유형은 ‘독서 단원’을 처음 접하게 되는 교사에게 쉽게 적용이 가능하면서도 교과 내용의 연관성에 대한 고려를 통해 학생들에게 체계적인 틀을 제공할 수 있다. 통합 중심 주제는 2015 개정 3~4학년 교육과정 및 3학년 1학기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도출할 수 있었으며, 중심 주제에 맞게 선정된 그림책은 교과 통합 수업을 재구성할 수 있는 중요한 구심점으로 작용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설계한 순서에 따라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 단원’ 중심의 교과 통합 방안을 마련하고 실제 적용하여 결과를 분석한다. 먼저, 연구자는 2015 개정 3~4학년 교육과정 및 3학년 1학기 교과서를 분석하고, 이와 관련된 교육과정 성취기준 및 교수학습 방법을 확인하고, 단원별 교육내용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국어, 도덕, 사회, 과학, 체육, 음악, 미술, 창의적 체험활동의 교과 속 관련 단원에서 공통적으로 추출된 통합 중심 주제는 ‘공감’이었다. ‘공감’이라는 주제 속에는 그림책을 만나 공유하고, 공감하고, 감사와 사랑을 느끼는 것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주제를 잘 드러낼 수 있는 그림책으로 권정생 글, 김환영 그림의 문학 그림책 ‘빼떼기’를 선정하여 국어과 독서 단원을 중심으로 독서 준비-독서-독서 후 활동 속에 여러 교과 내용이 유기적으로 통합된 60차시의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한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교육적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 단원’ 중심의 교과 통합 수업은 그림책을 생활 속으로 가져오게 하였고, 깊이 있는 독서를 가능하게 하여 학습자의 독서 습관 지속 및 내면화를 이끌어 내었다. 기존의 독서처럼 각자 글을 읽거나, 글과 그림을 혼자 보고 넘기는 것이 아니라, 함께 다양한 활동을 하며 여러 교과 속에서 그림책을 연관 지어 천천히 오래 그림을 통해 느끼고, 글을 통해 생각한 과정들은 학습자의 경험과 공유할 수 있는 추억으로 쌓인다. 이러한 과정은 결국 또 다른 책을 꺼내게 되고, 함께 책을 더 자주 찾게 만들어 주었다. 둘째, 국어과를 통해 기르고자 하는 의사소통 능력, 대인관계 능력, 문제 해결 능력뿐만 아니라 여러 교과에서 필요로 하는 공감능력 및 협력적 태도가 골고루 신장되어 전인적 성장을 가능하게 하였다. 셋째, 그림책은 학습자의 흥미를 높여 학습자를 즐겁게 학습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였고, 유기적으로 연관된 교과 통합 수업은 여러 교과의 교수학습 이해력을 높여 효율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하였다. 넷째,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 단원’ 중심의 교과 통합 수업은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더욱 신장시켜 주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국어과에 도입된 ‘독서 단원’은 교사가 독서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자유롭게 재구성할 수 있는 주체성을 부여받은 것으로서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교육과정 재구성이 좋은 그림책을 교재 삼아, 초등 교사로서 여러 교과간의 벽을 허물고, 즐거움과 상상이 가득한 수업, 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수업, 경험이 풍부한 수업을 가능하게 하였다.

      • 다 대출 도서 분석을 통한 초등학생들의 독서경향 연구 : 아동문학 작품을 중심으로

        이민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아니 그 이전부터 책을 손에서 놓지 않았다. 아기를 가진 부모는 태교를 위해 좋은 책을 찾아 읽었고, 영 유아기에도 다양한 영역의 책을 자녀가 손쉽게 접할 수 있도록 부모들은 꾸준히 노력하였다. 이러한 부모들의 독서에 대한 관심은 연령별 주제별 독서지도를 위한 전집류의 유아용 책들이 많이 출간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렇게 시작된 영 유아기의 독서는 초등학교 때도 지속적으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소재 599개의 초등학교 전자도서관 DLS 통계시스템을 통해 2016년도 3월부터 11월까지 서울에 살고 있는 초등학생의 학교 도서관 다 대출 도서 120권을 분석하여 초등학생의 독서경향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2016년도 학년군별 다 대출 도서는 무엇인가? 2. 2016년도 초등학생들은 어떤 장르의 도서를 선호하는가? 3. 2016년도 초등학생들은 어떤 주제의 도서를 많이 읽는가? 이를 밝히고자 Ⅱ장에서는 아동문학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였다. 먼저 아동문학은 아동을 대상으로 한 문학이고, 아동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교육적이어야 한다는 아동문학의 특성을 제시하였고, 둘째로 아동문학 장르와 주제에 대한 이론 고찰을 통해 본 연구의 장르 분석과 주제 분석의 기준을 찾고자 하였다. 그리고 초등학생들의 독서경향에 관한 문헌 연구를 통해 시대별, 연령별 경향성의 차이를 본 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보고자 하였다. 다 대출 도서 분석을 통해 살펴본 초등학생들의 독서경향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2학년(저학년) 다 대출 도서 78.1%가 그림책이다. 아직 한글 해득이 미흡한 저학년 아동들에게는 글뿐만 아니라 그림으로 다양한 메시지를 전달받을 수 있는 그림책을 더 선호한다. 2015 개정교육과정의 1∼2학년 국어자료에도 상상력이 돋보이는 그림책을 권한 것은 저학년 아동들의 독서능력을 잘 파악한 것이다. 장르별로 분류해보면 그림책(생활동화), 그림책(판타지동화), 판타지동화 순이다. 주제별로 분류해보면 ‘인간에 대한 우정과 사랑’, ‘모험·판타지’, ‘성숙’ 순이다. 아직 어린 아동들인 관계로 가족이나 친구 사이에서 일어나는 일화와 그것을 우정과 사랑으로 해결하는 내용이 다수를 차지한다. 둘째, 3∼4학년(중학년) 아동들의 다 대출 도서에는 추리, 탐정, 모험 위주의 시리즈물이 본격적으로 등장한다. 독서 흥미 발달 단계에서 동화기에 해당하는 3∼4학년 아동들은 환상적 동화를 좋아하다가 실제적인 내용을 좋아하게 된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추리·탐정동화, 생활동화, 판타지동화 순으로 선호경향을 보이고 있다. 주제별로 분류하면 ‘지혜로움, 지식’, ‘성숙’, ‘인간에 대한 우정과 사랑’ 순이다. 특히 추리 탐정물 속에서 아동들은 자신들과 같은 아직 어린 아이들이 힘을 합하여 어려운 문제를 과학 지식이나 지혜로 해결해 나가는 데에 큰 재미와 희열을 느낀다. 셋째, 5∼6학년(고학년) 아동들의 다 대출 도서의 특징은 여전히 추리, 탐정, 모험 위주의 동화를 선호한다는 것이다. 이는 지금까지의 선행연구의 독서경향과도 일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현실사회에서 이슈가 되었던 문제들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 도서들이 다 대출 도서에 다수 포함되어 있다. 장르도 대부분이 창작동화와 아동소설이지만,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추리·탐정동화, 생활동화(동화집 포함), 판타지동화, 역사소설, 성장소설까지 다양하다. 주제별로 분류하면 ‘지혜로움, 지식’, ‘용기와 희망’, ‘성숙’ 순이다. 소수이기는 하나 주제에 ‘정의’를 담고 있는 「거짓말 학교」와 ‘평화·인류애’를 담고 있는 「무기 팔지 마세요!」, 그리고 소재로 ‘분단’을 이야기한 「봉주르, 뚜르」는 고학년 아동들의 넓어진 관심세계와 다양해진 시각을 보여주고 있다. * 주요어: 독서경향, 아동문학, 다 대출 도서, 장르별 분류, 주제별 분류, DLS * 이 논문은 2017년 6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그림책 읽기 수업을 통한 독서 흥미 향상 연구 :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권현숙 안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the learners can be interested in the picture book reading class. The point of the reading education is to make learners become lifelong readers. To be a lifelong reader, learners should be able to select and read books on their own. As positive experience of reading is accumulated, self- esteem should be improved and active and active readers should be in the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reading classes with the purpose of reading education to improve learners' interest in read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ree third grade elementary school girls. The types of classes were divided into group and individual classes, and the group classes were conducted once a week, 50 minutes, and 8 sessions. The individual classes were conducted once a week, 30 minutes a week, and 8 sessions were conducted. In the case of picture books, there are not many writings, so teachers and learners read books during class as a way of reading together. It is important that learners do not regard reading as another learning or task. The contents of the picture book were selected based on the stories of family, friends, dreams, travel stories, library stories, and socially weak people. These topics can be considered as the contents that learners can experience in their daily lives. In the early stage of the class, the learners recognized the activity of reading books as boring and annoying activities or learning, but the amount of picture books was relatively small and they could start freely. Also, it was selected that learners can fully sympathize with the subject that is easy but has a lot of room to think about. In addition, the contents were selected as easy for learners to think in their own position without having to do a lot of trouble in reading activities. During the class, students had time to share their experiences and thoughts. Through this, learners can feel positive experience and pleasure that reading is pleasant and beneficial, and their attitude and interest in reading has improved. Teachers tried to block other approaches during reading so that learners could concentrate when reading books. In addition, the teachers tried to fully communicate emotionally between the teachers and students while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learners. Through these efforts. learners have enjoyed reading classes sufficiently. Also, after reading, they shared their appreciation and experience with their friends and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communication. Especially, the students who were not interested in reading and did not answer their thoughts accurately showed a very positive change after reading class, which showed the effect of reading picture book. In the reading aloud, the learners gradually showed assimilation to the situation of the picture book and the emotions of the characters. Also, when talking about their feelings and experiences after reading, they started to talk actively and logically. In addition, there vvas a positive change not only in emotional exchange that empathizes with the hearts of characters. but also in communication ability that listens well and expresses empathy when other learners talk. This became a successful reading experience when friends cmd teachers showed empathy and support in their stories. Since then, it has appeared as a positive mutual exchange that focuses and sympathizes with other friends' sto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udents read aloud short amounts of easy picture books together every week and experienced reading them through them. This has led to a positive perception of reading as a successful reading experience for learners. Especially, it was possible to read it in a short time because it was a picture book, which allowed learners to experience the sense of accomplishment of reading. Through this sense of accomplishment, learners became somewhat bored vvhen they moved to a storybook with a large amount of content, but they could read it without giving up in the middle. Second, the students read the picture book on the subject that fits their situation. Through this, learners have a perception that reading is not another model of learning or task, but a fun and beneficial activity to look back at themselves. Third, the learners read the book through aloud reading. After reading, they talked about their thoughts and expenences with their friends. In this process, learners improved their communication ability to tell their friends their opinions and listen to other friends' stories. Also, as friends and teachers experienced expressing empathy and support for their stories, their self-esteem improved and positive attitude toward reading was formed. 본 연구는 학습자가 독서에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그림책 읽기 수업을 진행하였다. 독서교육의 목적 은 학습자를 평생 독자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평생독자가 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스스로 책을 선택하여 읽고 즐길 수 있어야 한다. 독서에 대한 긍 정 적 경험이 쌓아면서 자존감이 향상되고 그 과정에서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독자가 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독서교육의 목적을 학습자의 독서에 대한 흥 미 향상에 두고 독서 수업을 진행하였다. 그림책 읽기 수업은 초등학교 3학년 여학생 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룹 수업과 개별 수업으로 나누 어 그룹 수업은 주1 회 50분 8차시를 진행하였고 개별 수업은 주1 회, 30분, 8차시를 진행하였다 그림책 의 경우 글이 많지 않기 때문에 낭독의 방법으로 수업 시간 중에 함께 책을 읽었다. 학습자들이 독서를 또 다른 학습이나 과제로 여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 이다 그림 책의 내용으로 가족 이야기, 친구 이야기, 꿈에 대한 이야기, 여행 이야기, 도서관 이야기, 사회적 약자에 대한 이야기를 중심으로 선정하였는데 학습자틀 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내용, 고민할 수 있는 주제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업 초기 학습자들이 책을 읽는 활동을 지루하고 귀찮은 활동 또는 학습으 로 인식하였으나 그림 책 분량이 비교적 적어 부담 없이 시작할 수 있었다. 또 한 쉽지만 생각해 볼 여지가 많은 주제로 학습자들이 충분히 공감할 수 있고 독후 활동 에서 많은 수고를 하지 않아도 학습자의 입장에서 충분히 생 각할 수 있는 내 용으로 접근성이 용이한 것으로 선정하였다. 그림책을 읽고 학습자들끼리 자 신의 경험과 생각을 충분히 나눌 수 있는 시간을 두었다 이 플 통해 학습자들은 책을 읽는 것이 즐겁고 유익하다는 긍정적 경험과 즐거움을 느낄 수 있어 독서의 태도와 관심이 향상되었다 책읽기를 할 때 학습자가 집중할 수 있도록 책읽기 중 에 다른 접근을 차단 하려고 노력하였다. 또한 교사가 학습자의 노력과 지지해주면서 교사와 학생 간 정서적인 교류를 충분히 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학습자들은 독서 수업을 충분히 즐기게 되었다. 또한 독서 후 책에 대한 감상이나 경험을 친구들 과 나누면서 의사소통에서 도 유의 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특히 예비 검사에 서 독 서에 흥미가 없고 자신에 대한 생각에도 정확히 잘 대답하지 못했던 학습자가 독서 수업 후 매우 긍정적인 변화를 보인 것이 그림책 읽기 수업의 효과를 극적으로 보여주었다. 독서 수업을 통해 학습자들에게 나타난 큰 변화는 책 읽는 과정에서 잡중도가 향성되었다는 점이다. 낭독에서도 학습자들은 차츰 그림책의 상황과 등장인물들의 감정에 동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또 독서 후 자신의 감정이나 경험을 이야기할 때도 점차 적극적이고 논리적으로 이야기하는 모습을 갖줘가기 시작하였다. 또한 등장인물의 마음에 공감하는 정서적 교류뿐 아니라 다른 학습자들이 이야기할 때도 잘 들어주고 공감을 표현하는 의사소통능력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이처럼 자신의 이야기에 친구나 교사가 공감과 지지를 보여주었을때 이것이 성공적인 독서 경험이 되었고 이후 다른 친구의 이야기에도 집중하고 공감하는 긍정적인 상호 교류의 모습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매주 쉽고 짧은 그림책을 함께 소리내어 읽고 그림책을 완독하는 경험을 하였다. 이는 학습자들에게 성공적인 독서 경험이 되어서 책읽기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특히 그림책이기 때문에 짧은 시간안에도 완독이 가능하였는데,이는 학습자들에게 독서의 성취감을 경험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성취감을 통해 학습자들은 이후 다소 분량이 많은 이야기 책으로 넘어갈 때 학습자들이 다소 지루해하기논 했지만 중간에 포기하지 않고 완독하는 것이 것이 가능해졌다. 둘째,자신의 상황에 맞는 주제의 그림책을 읽었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에게 독서는 학습이나 과제의 또 다른 모형이 아니라 나를 돌아보고 생각하는 재미있고 유익한 활동이라는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셋째, 낭독으로 책을 함께 읽고 책을 읽으면서 혹은 읽은 후에 친구들과 자신의 생각과 경험을 이야기하는 활동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친구들에게 자신의 의견을 말하고 다른 친구의 이야기를 경청하는 의사소통능력이 향상되었다. 또한 친구들과 교사가 자신의 이야기에 공감과 지지를 표현하는 것을 경험하면서 자아존중감이 향상되고 독서에 대한 긍정석인 태도가 형성 되었다.

      • 사고력 계발 수업의 실천 방안 연구 : 독서 감상문 쓰기를 중심으로

        강윤정 경기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문학 텍스트를 활용한 독서 감상문 쓰기 프로그램을 통해 고차적인 사고력을 신장시키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탐구 활동지를 구안하여 사고력 계발 수업 모형을 설계하고 이를 실제 교수-학습에 적용한 후 그 적절성과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다변화되는 현대 사회의 교육은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고, 그 지식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줄 아는 탐구능력의 계발에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 여기에 독서는 중요한 매개가 될 수 있는데, 그 중에서 문학 독서는 삶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사고력을 신장시키는데 효율적으로 작용한다. 이를 활용하여 고차적인 사고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의 생각을 분출시키는 경험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효율적인 독서 교육이 요구된다. 이 연구는 학습자들이 문학 텍스트를 읽고 생각이나 느낌을 쓰는 활동이 유의미하다는 일반적인 생각에서 시작되었지만, 기존의 상투적인 상식이 이 활동이 지니는 풍부한 문학 교육의 가치를 드러내기에는 미흡하다고 판단하였다. 학습자가 문학을 읽고 쓴 독서 감상문을 교수-학습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는 유의미한 자료로 인정하는 것에는 일정 부분의 한계가 분명히 존재한다. 대신에 학습자가 문학을 읽고 생각이나 느낌을 쓰는 활동을 고차적 사고의 틀 안에 넣음으로써 이 활동을 독서 교육의 논의 구조 속으로 본격적으로 진입시킬 수 있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와 기존 이론을 통해 읽기와 글쓰기에 수반되는 인지적 과정에 대해 고찰하고 고차적 사고의 구성 요소별 특징에 대해 알아본 후 문학 교육에 관해 논의된 내용을 종합하여 작품 감상 지도 방법을 정리해 보았다. 고찰한 이론을 토대로 립맨의 고차적 사고라고 정의한 비판적, 창의적, 배려적 사고의 차원에서 사고할 수 있도록 탐구활동지를 구안하여 실제 수업을 한 후 이를 바탕으로 내용을 조직하여 독서 감상문을 쓸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설계된 프로그램으로 실제 수업을 실시하기 위해 초등학교 4학년 소집단을 대상으로 선정하고 학습자들의 발달 단계에 맞으면서 인물들의 성격이 잘 드러나 주제에 접근하기 쉬운 문학 텍스트 10권을 선정하였다. 기간은 2009년 6월 4일부터 8월 20일까지 16차시에 걸쳐 실시되었다. 설계된 수업 모형을 적용한 뒤에 쓴 독서 감상문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고차적 사고 구성 양상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수업 전· 후의 사고력 검사와 글쓰기 태도 질문지, 면담의 결과를 분석하여 그 효율성과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의 고차적 사고 구성 양상은 비판적 사고와 고등수준의 사고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도구가 될 수 있다는 걸 확인할 수 있었다. 독서 감상문 쓰기의 질적 분석을 통해 나타난 고차적인 사고의 증진은 긍정적인 변화로 평가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배려적 사고의 증진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 이러한 활동들은 독해 전략에 대하여 학습할 기회를 제공하고 독해 전략을 스스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제로 작용할 수 있으며, 글쓰기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독서와 글쓰기를 발달시킬 수 있는 지속적인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독서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이수진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독서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세우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가설1 독서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을 것이다. 가설2 독서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대전 D초등학교 5학년 2개 반 56명(실험 28명, 통제 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 및 통제 집단 모두 사전 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에게는 주 2회씩 총 10회기 동안 독서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프로그램 처치가 끝난 뒤 실험 및 통제 집단 모두 동시에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적용 프로그램은 한국디지틀도서관포럼에서 출판된 독서상담 프로그램의 실제(임성관, 2007)중 초등학생의 마음치유와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독서상담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배옥선(2007)의 독서상담 프로그램을 참고하여 초등학교 고학년 수준에 알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자아존중감 검사는 신철(1997)이 Coopersmith(1967)의 SEI(Self-esteem Inventory)를 재구성하여 타당화한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고, 사회성 검사는 정범모(1971)가 제작한 초등학교 인성검사 중 사회성 검사 내용을 이성현(1997)이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검사의 결과 처리 및 가설의 검증은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질문지에 대한 응답 결과에 대한 평균 점수를 이용하여 SPSSwin 11.0으로 t-검증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사후검사 점수에 대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하였다. 이상의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일반적 자아, 사회적 자아, 가정적 자아, 학업적 자아 전반에 걸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독서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내린 결론은 독서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 효과가 있으므로 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현장에서 아동들에게 자아존중감 향상과 더불어 사회성 발달로 학교생활 적응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앞으로 독서상담 프로그램을 좀 더 일반화하기 위해, 프로그램과 도서 자료에 대한 연구 및 검사 도구의 개발, 적용 대상과 적용 기간, 변인 통제 등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biblio-counseling program on development of self-esteem and soci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hypothesis as follows were formed and then the results were analyzed. 1. The biblio-counseling program would have an effect on developing self-esteem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2. The biblio-counseling program would have an effect on developing soci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6 students of fifth grade(experiment 28 students, control 28 students) at D elementary school in Daejeon. All subjects were administered Self-Esteem Inventory and Sociability Inventory before and after treatment. The subjects of experimental group were treated Biblio-Counseling Program by experimentor, but the subjects of control group were not. The data were analysed with SPSSWIN 11.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iblio-counseling program had an effect on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self-esteem. The average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in general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home self-esteem and school self-esteem. Second, biblio-counseling program had an effect on enhancemen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sociability. These results showed that biblio-counseling program had the effects on development of self-esteem and sociabil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us, it could be widely applied in elementary school not only to develop self-esteem but also to enhancing sociability of children. In order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eded that the researches on program and data books for other graders and extended duration of treatment are conducted.

      • 경증 치매 노인을 위한 독서치료 자료에 관한 연구

        장성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경증 치매 노인이 겪는 우울과 불안, 그리고 가족들 속에서 느끼는 외로움 등 정서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인지 기능을 회복하여 병증 진행을 완화하기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에서의 자료에 관한 연구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성장 속도만큼이나 빠르게 고령화 사회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사회에서 발생하는 노인 문제는 빈곤, 질병, 고독감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치매 유병률은 갈수록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치매국가책임제를 시행하고는 있지만, 노인이 노인을 부양해야 하는 노노(老老)간병 및 치매 환자의 가족 돌봄은 여전한 상황이라 보호자 일상의 균열 등 여러 고통을 안겨주고 있다. 이제는 치매 노인을 위한 노인복지 체계를 새로이 재정립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현실적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체 치료법 중 하나인 독서치료 프로그램에 활용할 자료를 연구 개발하여 경증 치매 노인의 병증 진행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치매의 병증에 대한 전반적 이해, 그리고 치료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독서치료 자료로서 유용한 그림책의 의미, 특징, 중요성을 검토했다. 또 경증 치매 노인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에서 자료의 중요성과 주제에 따른 독서치료 자료, 독서치료 자료의 다양한 유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실제적인 경증 치매 노인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자료 활용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총 20회기로 1주 1회기씩 60분으로 구성하였다. 활용된 도서 자료는 주로 그림책이며, 동시집, 식물도감 등을 선정했고 각 도서별로 치료 시 중점 사항에 대해서도 밝혔다. 프로그램의 구성은 도입 단계(1~2회기), 발달 과정 회상 단계(3~8회기), 현재의 나와 만나는 단계(9~15회기), 웰 다잉 단계(16~18회기), 종결 단계(19~20회기)로 5단계이다. 독서치료 프로그램 과정에서 참여 관찰과 녹취, 인터뷰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 정리하여 경증 치매 노인의 정서적인 면, 인지적인 면, 도서자료에 대한 반응 면을 살펴보고 효과도 밝혔다. 그 결과 세 측면 모두에서 긴밀한 상호작용을 일으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경증 치매 노인의 독서치료 프로그램 연구가 제한적인 현실에서 본 연구는 지역 사회의 복지관, 노인 센터, 요양 병원 등을 이용하는 경증 치매 노인에게 치료적 가치가 있는 도서 자료를 활용한 실천적인 프로그램의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참여자의 다양한 환경, 상황, 병증의 정도 등을 고려해야 하므로 본 프로그램을 모든 경증 치매 노인들에게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보다 체계적인 후속 연구, 그리고 도서 자료 연구, 특히 치료 가치가 있는 그림책 자료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경증 치매 노인을 위한 실질적인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활동중심 독서지도를 통한 독서흥미 증진 방안 연구 : 자기보호 아동의 독후활동을 중심으로

        홍지연 경기대학교 국제문화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자기보호아동의 독서 흥미 증진을 위하여 독후 수업을 중심으로, 활동중심 독서지도를 하여 독서 흥미 증진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독서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알게 하고, 교사의 적극적인 지도를 통해 독서 흥미를 향상 시키고자 하였다. 스스로 책을 읽을 수 있는 평생 독자로 만들기 위한 첫 걸음을 내딛게 하는 독서 프로그램으로 제시 하였다. 다양한 주제, 다양한 장르, 활동중심 독후 활동, 체험활동을 연계하여 지도함으로써 학생들의 독서 흥미를 높이고, 독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시키고자 하였다. 독서지도를 한 번도 받은 적이 없는 자기보호 학생들에게, 사설 학원이나 기타 소그룹 독서지도와는 차별화된 접근하기 쉽고, 재미있는 활동중심 독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연구자는 H학교에서 한 한기동안 NIE 수업을 진행하면서 체계적이고 활동중심적인 독서프로그램이 자기보호 아동들에게 무엇보다도 필요하다는 사실을 수업 현장에서 알게 되었다. 현재 H학교 방과 후 교실에는 학습위주의 프로그램이 많이 운영되고 있다. 독서는 자율 독서 시간이 있었으나, 책에 대한 흥미가 없고, 독서 습관이 되어 있지 않은 학생들에게 그 시간은 시간을 때우기 위한 시간으로 보내고 있었다. 이에 놀이 형태를 띤 활동을 중심으로 한 독서지도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학생들이 재미있게 수업에 참여 하고, 독서 흥미를 높일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진행하게 되었다. 이 연구는 2008년 7월에 설문조사하고 계획하여 준비하였으며, 8월에 공공 도서관 방문 활동과 대형서점 방문 활동하여 독서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을 느끼게 하고, 본 수업은 10차시로, 10월 말까지 진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활동중심 독서지도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독서 흥미면에서 첫째, 활동중심 독서지도 후 책을 자주 읽게 되었다. 둘째, 독서 할때 느낌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이것은 활동중심 독서 지도가 독서의 즐거움, 표현의 즐거움을 주었기 때문이다. 셋째, 독서에 대하여 관심 갖는 이유가 재미와 흥미가 있기 때문으로 독서의 즐거움을 알게 되었다. 독서 태도면에서는 첫째, 책을 끝까지 읽으려는 긍정적인 태도가 형성되었다. 둘째, 정독의 습관이 형성되었다. 셋째, 책을 가지고 다니는 습관이 형성되었다. 독서습관 형성을 위한 지속적인 지도와 관심이 필요하겠다. 학생들이 좋아하는 독후 활동을 보면 학생들이 주체적으로 할 수 있고, 재미와 즐거움, 표현의 자유를 누릴 수 있는 활동들이다. 저학년은 빙고게임, 책 광고하기, 마인드맵의 순서로 좋아 했다. 고학년은, 캐릭터 막대 인형 만들기, 편지쓰기, 마인드맵의 순서로 좋아 했다. 활동중심 독서지도를 통한 독서 흥미 증진 방안 연구는 독서의 즐거움을 알게 하고, 독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게 하였다. 앞으로 독서 습관이 형성 될 때까지 지속적인 관심과 지도가 필요하다. 다양한 활동중심 독서 프로그램이 계속적으로 연구되길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