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위성자료를 활용한 국내 산림 생태계의 탄소 흡수능 분석

        홍지연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MODIS(Moderate-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위성자료를 활용하여 2000-2012년 기간에 남한지역의 산림 생태계 흡수능을 시공간적으로 분석하였고, 이를 국내 플럭스 타워인 광릉 및 청주지역의 관측자료와 비교분석하였다. MODIS 위성자료는 미국항공우주국(NASA: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에서 개발한 다파장 센서로서 육지, 대기 및 해양 등 환경정보를 연속적으로 관측하기 위해 2000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운용되고 있다. MODIS 위성자료를 기반으로 13년 동안 남한지역의 총 일차생산량(GPP: Gross Primary Production)은 평균 약 1554.5 g․C/㎡/yr 으로 2011년 최저치 1414.4 g․C/m2/yr, 2008년 최대치 1648.1 g․C/㎡/yr이었으며, 순 일차생산량(NPP: Net Primary Production)은 평균 약 841.2 g․C/㎡/yr으로 2010년 최저치 768.0 g․C/㎡/yr, 2008년 최대치 898.6 g․C/㎡/yr으로 경년변화의 폭이 크게 나타났다. 평균 GPP 및 NPP가 높게 나타난 지역은 제주특별자치도, 울산광역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경상남도, 전라남도, 강원도 순으로 나타났다. 위성자료를 지상 관측자료와 비교한 결과 2006-2008년 플럭스 타워인 광릉 활엽수림의 경우 MODIS가 지상 관측치를 약 30% 과대측정하였으며, 2011년 청주의 소나무림의 경우 MODIS가 약 15% 과대측정하였고 낙엽송림의 경우 약 10% 과소측정하게 나타났다. 이는 MODIS 알고리즘의 토지피복 입력자료를 확인한 결과 광릉 및 청주 낙엽송림은 혼효림으로 분류되었으며, 소나무림은 침엽수림으로 구분되어 실제 식생정보와 상이하게 입력되어 오차가 발생한 것이라 사료된다. 남한지역의 선행지상 관측 연구를 조사하여 MODIS NPP와 비교한 결과 위성자료가 약 0.27배 과대측정하였다.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는 원인은 지상관측을 통한 현존량의 측정방법이 일괄적이지 않았으므로 관측자료를 평가하기에는 불확실성이 있으며, 이는 생태계 관리 차원에서 통일된 추정방법을 통해 산림정보를 관리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MODIS 위성자료의 공간해상도는 1㎞×1㎞ 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와 같이 산림의 유용도가 높고 식생이 불균일한 지역(Heterogeneous)에서는 오차의 범위가 크게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위성자료를 활용하여 식생의 탄소 흡수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남한지역의 실측 기반 위성 알고리즘이 개발되어야 하며 특히 실질적인 탄소 흡수능을 평가하는 순 생태계생산량(NEP: Net Ecosystem Production)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식생 및 동식물의 호흡량 등을 고려한 연구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향후 가속화되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화석연료 연소의 인위적 배출량 저감정책과 동시에 발전된 위성자료를 활용하여 생태계 탄소 흡수량을 고려한 정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In order to estimate the spatiotemporal pattern of carbon productivity over South Korea, this study investigated remotely sensed data, NASA(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s MODIS(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GPP(Gross Primary Production) and NPP(Net Primary Production) since 2000. The range of mean GPP and NPP from MODIS were estimated to be from 1414.4-1648.1 g․C/㎡/yr to 768.0-898.6 g․C/㎡/yr, respectively. The higher GPP and NPP were founded over Jeju island, Ulsan, Busan, Daegu, Gyeongsangbuk-do, Gyeongsangnam-do, Jeollanam-do, Gangwon-do. Our analyses showed that MODIS GPP overestimated GDK(Gwangneung Deciduous forest) Flux tower about 30 % and Cheoungju Pinus densiflora about 15 %, but underestimated Cheoungju Larix leptolepis about 10 % during the study period. Among various forest types in South Korea(17 regions), Results of the linear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MODIS NPP were about 0.27 times(r=0.27, R=0.5, p=0.061) higher than ground-based observations(e.g., Allometry Method). Even though Interannual GPP and NPP trends from the MODIS data were slightly decreased in most areas, it contains higher degree of uncertainty to assess the range and quality of MODIS performance. The interannual variability of land carbon sinks from MODIS GPP was in a range of -140.06 g․C/㎡/yr ~ +93.58 g․C/㎡/yr and which trends were not consistent with the ground measurements (2006-2010). Constraining large-scale carbon productivity using the space-based observation in regional scale can be useful, but it is needed to prepare accurate input information on land cover, meteorology and terrestrial ecosystem from reliable ground-based observations for the retrieval algorithm of satellite data.

      • 중년여성들의 에어로빅수업 애로사항과 참여만족도 조사

        홍지연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중년여성들의 에어로빅수업 애로사항과 참여만족도 조사 홍지연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무용교육전공 이 연구는 에어로빅수업에 참여하는 중년여성들의 애로사항을 탐색하고, 배경변인 특성에 따른 애로사항과 참여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세 가지 가설을 설정한 후, 반구조화 된 개방형 설문지를 제작하여 애로사항에 대한 내용을 심층적으로 규명하였다. 그리고 2014년 J도에 거주하는 30대 이상의 중년여성들을 대상으로 에어로빅수업에 대한 애로사항과 참여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여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 방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에어로빅수업에 참여하는 중년여성들은 개인문제, 시설, 강사자질, 프로그램, 대인관계 순으로 애로사항을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배경변인에 따른 애로사항은 연령이 낮고, 소득수준이 높으며, 참여횟수와 기간이 적을수록 애로사항을 높게 지각하였다. 셋째, 배경변인에 따른 참여만족도는 연령이 높고, 참여횟수 및 기간이 많을수록 에어로빅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Study on the Difficulties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in Aerobic Classes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difficulties of middle-aged women participating in aerobic classes, and analyze the differences of difficulties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background variables. To do this, three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nd semi-structured open questionnaire was made to investigate the details of difficulties in depth. In 2014, a survey was conducted for middle-aged women in their 30s living in J-do in 2014, in order to identify their difficulties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on aerobic classes. Then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were analyzed by test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research tool.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method were used as analysis method to generate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middle-aged women participating in aerobic classes perceived difficulties in the order of personal problems, facility, instructor, progra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cond, the difficulti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showed that the lower the age, higher the income, and less the number of participating times and period, the more highly the difficulties were perceived. Third, as for participation satisfaction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the higher the age and more the number of participating times and period, the higher the satisfaction toward aerobic classes were.

      • 치매안심센터를 이용하는 치매노인 가족들의 치매 지식과 태도 및 돌봄 평가

        홍지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dementia knowledge, attitude and caregiving appraisal among senile dementia patients’ families using dementia care center. A descriptive study design was adopted.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03 senile dementia patients’ families who using dementia care center. Data was collected after approval by Institutional Review Board.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questionnaires for dementia knowledge, attitude, caregiving appraisa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linear regression test using SPSS/WIN 24.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ubject’s Dementia-related knowledge was 16.96±3.20 (out of 30 points), dementia-related attitudes was 44.17±6.14(out of 60 points), caregiving appraisal was 82.07±6.75(out of 135 points). 2. The degree of dementia-related knowledg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age(F=4.204, p=.003) and health condition level(F=9.411, p<.001). The degree of dementia-related attitud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sex(t=-2.790, p=.040) and senile dementia patients’relation(F=7.730, P=.031) and caregiving resources(t=2.745, P=.009). The degree of caregiving burde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age(F=6.916, p<.001) and spouse level(t=4.491, p=.037), importation level(F=7.983, p=<.001), caregiving period(F=8.805, p=<.001). The degree of caregiv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age(F=4.163, p=.003) and importation level(F=5.242, p=.001), caregiving period(F=7.263, p=.001). The degree of caregiving master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importation level(F=4.065, p=.004) and caregiving period(F=6.076, p=.003). The degree of caregiving demand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age(F=5.938, p=<.001). The degree of caregiving impac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age(F=5.668, p=<.001) and caregiving period(F=7.519, p=.001). 3. Dementia-related knowledg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mentia-related attitude(r=.364, p<.001). Dementia-related attitud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aregiving satisfaction(r=.405, p<.001) and caregiving mastery(r=.310, p<.001). Dementia-related attitud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aregiving burden(r=-.474, p<.001) and caregiving demand(r=-.351, p<.001), caregiving impact(r=-.406, p<.001). 4.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21.8~16.0%% of the varianaces. Caregiving appraisal was influenced by dementia-related attitude(positive components: β=.301, p<.001, negative component: β=-.634, p<.001, neutral components: β=-.425, p<.001). In sum, it was confirmed that the senile dementia patients' families dementia-related attitude was a factor influencing caregiving appraisal.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tervention to improve dementia knowledge, attitude and caregiving appraisal. 본 연구는 치매노인의 증가 및 치매관리사업이 확대되는 시점에서 치매안심센터를 이용하는 치매노인의 가족들의 치매 지식과 태도가 돌봄 경험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재가에서 치매노인과 같이 생활하는 가족들의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치매 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S시와 G도에 위치한 10개의 치매안심센터를 이용하면서 재가에서 치매노인을 돌보고 있는 가족 126명을 편의 표집하여 수거 된 설문지 중 대상자 선정기준에 해당되지 않거나, 설문 답안 작성이 불충분한 답변을 제외한 총 103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치매 지식 정도는 Carpenter, Balsis, Otilingam, Hanson, & Gatz가 개발한 The Alzheimer’s Disease Knowledge Scale(ADKS)을 김은주, 정지영이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치매 태도는 이영휘에 의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돌봄 경험 평가는 Lawton, Moss, Hoffman, & Perkinson이 개발한 돌봄 평가 척도(Revised Caregiver Appraisal Scale)를 Lee, Friedmann, Picot, Thomas, & Kim가 번역한 한국어판 Korean Revised Caregiving Appraisal Scale(K-RCAS)을 사용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program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성별은 여자가 63.8%로 여자의 비율이 높았다. 연령은 평균 55.77±8.38세이며 만 50~59세가 32.9%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베우자 유무는 유배우자가 67.9%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교유수준은 대학교졸업이상 53.3%, 고등학교졸업이하가 46.7%로 나타났다. 월평균 수입의 경우 301~400만원 39.8%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치매노인과의 관계로는 딸이 45.9%로 가장 많고, 대상자의 건상상태는 나쁘다 48.4%, 보통이다 44.4%, 좋다 7.2% 순으로 나타났다. 2. 치매 노인 가족의 치매에 대한 지식은 30점 만점에 평균 16.96±3.20점이었고 치매에 대한 태도는 60점 만점에 평균 44.17±6.14점, 돌봄 경험 평가는 135점 만점에 평균 82.07±6.75점으로 나타났다. 3. 치매 노인 가족의 치매 지식은 나이(F=6.235, p=.001)와 건강상태(F=9.411,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치매에 대한 태도는 성별(t=-2.790, p=.040), 치매 노인과의 관계(F=7.730, p=.031), 돌봄 자원 이용 여부(t=2.745, p=.009)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 돌봄 경험 평가의 영역 중 부담감은 나이(F=6.916, p<.001), 배우자 유무(t=4.491, p=.037), 월평균수입(F=7.983, p<.001), 돌봄 기간(F=8.805, p<.001)에 따라 만족감은 나이(F=4.163, p=.003), 월평균수입(F=5.242, p=.001), 돌봄 기간(F=7.263, p=.001), 숙련감은 월평균수입(F=4.065, p=.004), 돌봄 기간(F=6.076, p=.003), 요구감은 나이(F=5.938, p<.001), 영향감은 나이(F=5.668, p<.001), 돌봄 기간(F=7.519,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4. 대상자의 돌봄 경험 평가는 치매 태도에 상관관계를 나타났다(r=-.443, p<.001). 치매 지식과 태도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r=.364, p<.001). 또한 돌봄 경험 평가 영역들 간 부담감, 요구감, 영향감과 양적 상관관계가 만족감, 숙련감과 양적 상관관계가 부담감, 요구감, 영향감과 만족감, 숙련감과는 음적 상관관계를 나타났다(부담감과 만족감: r=-.844, p<.001, 부담감과 숙련감: r=-.787, p<.001, 부담감과 요구감: r=.633, p<.001, 부담감과 영향감: r=.721, p<.001, 만족감과 숙렴감: r=.688, p<.001, 만족감과 요구감: r=-.573, p<.001, 만족감과 영향감: r=-.603, p<.001, 숙련감과 요구감: r=-.529, p<.001, 숙련감과 영향감: r=-.570, p<.001, 요구감과 영향감: r=.509, p<.001). 5. 돌봄 평가의 부정적 측면, 긍정적 측면, 중립적 측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변수는 치매 태도(부정적 측면: β=-.634, p<.001, 긍정적 측면: β=.301, p<.001, 중립적 측면: β=-.425, p<.001)로 나타났으며 각각 21.8%, 16.0% 18.5%의 설명력을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치매 태도가 돌봄 평가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치매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돌봄 평가의 만족감, 숙련감이 높아지고 부담감과 영향감, 요구감이 낮아졌다. 즉 치매 노인 가족들의 치매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도록 한다면 치매 노인의 돌봄에 대한 생각이나 감정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도모할 수 있다.

      • 근육량 변화와 식이요인 및 대사질환 발생 위험과의 연관성 :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 종단연구 결과(2001∼2016)

        홍지연 충북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etary factors and the risk of metabolic disease associated with muscle mass changes over 14-years among adults from the Ansan and Ansung cohort from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KoGES). Among 10,030 subjects aged 40 to 69 years participating in the baseline, those who did not attend in every follow-up examination, or who had missing data in general information, anthropometric measurement an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or had the energy intake of less than 500 kcal or more than 5,000 kcal, or had been diagnosed with chronic diseases or cancer were excluded. A data of 5,219 subjects (2,529 of men and 2,690 of women) were used in the analysis. Change of muscle mass was calculated using the % changes of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adjusted by height squared (ASM/ht2) from the baseline to 7th follow-up and was classified as quartile groups (Q1∼Q4). Cut-off points for the muscle mass loss were 9.92 kg/m2 in men and 7.79 kg/m2 in women, respectively. After controlling for potential confounders such as age, area, household income, job, physical activity, alcohol and smoke status, the nutrient intakes including %protein and protein, thiamin and riboflavin per Recommended Nutrient Intake(RNI)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4th group (Q4) compared to other groups in men and women. Mean nutrient Adequacy Ratios (MAR) in men and wome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3rd (Q3) and 4th groups. Consumption frequencies of meats, porks and fishes, and Recommended Food Score (RF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4th group compared to other groups in men and women. Nutritional factors associated with an incidence of the risk of muscle mass loss were protein,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 and porks in men and women. The multivariate hazard ratios (HRs) of the muscle mass loss for protein and INQ were 1.19 (95% CI: 1.02∼1.44) and 1.17 (95% CI: 1.02∼1.51) in men, and 1.16 (95% CI: 1.00∼1.42) and 1.09 (95% CI: 1.01∼1.19) in women. The multivariate HRs of the muscle mass loss across porks consumption frequency quartiles were 1.42 (95% CI: 1.15∼1.75) in men and 1.40 (95% CI: 1.16∼1.69) in women. There were significant trends for the incidence risk of muscle mass loss as porks consumption frequency (P for trend=0.028 in men, P for trend=0.002 in women).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trends for the risk of muscle mass loss depending on Korean Health Eating Index (KHEI) and RFS. The multivariate HRs of diabetes, high fasting blood glucose, hypertriglyceridemia in 1st quartile group referenced 4th quartile group were 2.98 (95% CI: 1.82∼4.89), 1.40 (95% CI: 1.16∼1.69) and 1.31 (95% CI : 1.10∼1.55) in men, and 2.19 (95% CI: 1.23∼3.93), 1.47 (95% CI: 1.16∼1.85) and 1.23 (95% CI: 1.03∼1.46) in women. The multivariate HR of high blood pressure in women was 1.23 (95% CI: 1.02∼1.47).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uscle mass loss interrelates with metabolic diseases among Korean adults above 40 years. In addition, animal-protein foods such as pork or high INQ diet might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metabolic disease as well as muscle mass loss in Korean adults.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의 지역사회기반 코호트(안산․안성) 자료를 이용하여 40세 이상 성인의 근육량 변화에 따른 영양소 섭취량과 섭취의 질 및 식품군 섭취빈도와 식사의 질을 파악하여 근육량 감소의 영향 요인을 규명하고, 근육량 변화와 대사질환 발생 위험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근육량 변화에 따른 일반적 특성은 남녀 모두 근육량이 가장 많이 감소한 1분위군의 평균 연령이 남자는 약 52세, 여자는 약 55세로 가장 많았고, 가구소득 중 100만 원 이하의 비율이 다른 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남자의 경우 4분위군에서 판매/생산직의 비율과 흡연 비율이 다른 군에 비해 높았다. 여자의 경우 2분위군을 제외한 군에서 안성 거주자가 많고, 1분위군에서 4분위군으로 갈수록 교육수준이 높았다. 직업 중 농업이 1분위군이 가장 많고, 현재 음주자는 4분위군이 가장 많았다. 일반적 특성 중 결혼상태와 신체활동은 남녀 모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근육량 변화에 따른 14년 추척기간 동안의 신체계측과 기반조사 시의 생화학 지표를 비교한 결과, 남자의 경우 1, 2분위군은 근육량, 체중, BMI이 모두 감소했고, 3분위군은 근육량은 감소했으나 체중과 BMI는 증가했고, 4분위군은 근육량, 체중, BMI가 모두 증가했다. 여자의 경우 모든 군에서 근육량이 감소했고, 이중 1, 2분위군은 근육량, 체중, BMI가 모두 감소한 반면 3, 4분위군은 근육량은 감소하고 체중과 BMI는 증가했다. 근육량 변화에 따른 기반조사에서의 허리둘레, 허리둘레-엉덩이둘레 비, 수축기·이완기 혈압, 공복혈당, 혈중중성지질 수준은 남녀 모두에서 1분위군이 4분위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HDL-콜레스테롤은 4분위군이 다른 군에 비해 높았다. 3. 근육량 변화에 따른 단백질로부터의 에너지 섭취비는 남녀 모두 4분위군이 유의하게 높았고, 여성의 1분위군은 탄수화물로부터의 에너지 섭취비가 유의하게 높고 지방으로부터의 에너지 섭취비는 다른 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남자의 권장섭취량 대비 영양소 섭취비 중 단백질, 티아민, 리보플라빈은 4분위군이 다른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고, 아연, 니아신, 비타민 B6는 1분위군이 다른 군에 비해 적었다. 여자의 권장섭취량 대비 영양소 섭취비 중 단백질, 티아민은 4분위군이 다른 군에 비해 높았고, 리보플라빈은 1분위군이 유의하게 낮았다. 4. 근육량 변화에 따른 영양소 평가지표에서 단백질, 티아민, 리보플라빈의 NAR과 MAR은 남녀 모두 3, 4분위군이 1, 2분위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리보플라빈은 남자의 모든 군과 여자의 1,2군에서 NAR이 0.75 미만으로 섭취량이 부족했다. 또한, 칼슘과 비타민 A의 경우 남녀 모두 군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모든 군에서 섭취량이 부족했다. INQ 중 단백질, 티아민, 리보플라빈은 남녀 모두 4분위군이 다른 군에 비해 높았고, 전반적 식사 질 평가인 평균 INQ는 여자만이 4분위군이 유의하게 높았다. INQ 중 칼슘, 비타민 A, 리보플라빈은 남녀 모든 군에서 1미만으로 섭취 질이 불량했다. 5. 근육량 변화에 따른 식사군 섭취빈도 중 남자는 4분위군이 다른 군에 비해 육류와 돼지고기류의 빈도가 높고, 어류는 1분위군이 다른 군에 비해 낮았다. 면류는 3분위군의 섭취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여자는 육류, 돼지고기류, 어류의 섭취빈도가 4분위군이 다른 군에 비해 높았고, 잡곡밥의 섭취빈도는 2분위군이 가장 높았다. 전체적인 식사의 질 평가인 KHEI는 남녀 모두 군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개별 항목 중 단백질 식품에서만 4분위군이 유의하게 높았다. RFS에 의한 식사의 질 평가에서 남녀 모두 4분위군이 다른 군에 비해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RFS의 항목 중 남자는 채소류와 어류가 여자는 곡류, 채소류, 어류가 4분위 군이 유의하게 높았다. 4. 식이요인 수준에 따른 근육량 감소 발생 위험도 분석을 위해 ROC 곡선을 활용한 근육감소 절단값을 구한 결과는 남자 9.92 kg/m2와 여자 7.79 kg/m2였고, 설정된 절단값에 따른 모든 추적조사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근육감소 발생률이 높았다. 7차 추적조사에서 남자는 31.62%, 여자는 47.04%가 근육감소가 발생했다. 근육량 변화군에 따른 근육감소 발생률은 남녀 모두 1분위군이 각 추적조사 마다 높은 발생률을 보였고, 추적조사 기수가 증가함에 따라 발생률도 증가하여 7차 추적조사 시에는 남자 62.37%와 여자 77.94%로 매우 높았다. 5. 영양소 섭취수준에 따른 추적조사 기간 동안 근육감소 발생 위험비를 분석한 결과, 단백질을 EAR 미만으로 섭취할 경우 EAR∼125% RNI로 섭취하는 것에 비해 근육감소 발생 위험비가 남자는 1.19배(95% CI : 1.02∼1.44), 여자는 1.16배(95% CI : 1.00∼1.42) 유의적으로 높았다. 평균 INQ의 5분위 점수에 따른 근육감소 발생 위험비는 가장 낮은 점수군이 가장 높은 점수군에 비해 남자는 1.17배(95% CI : 1.02∼1.51), 여자는 1.09배(95% CI : 1.01∼1.19) 유의하게 높았다. 6. 식품군 섭취수준에 따른 추적조사 기간 동안 근육감소 발생 위험비를 분석한 결과, 남자는 육류와 돼지고기류를 가장 적게 섭취한 경우 가장 많이 섭취한 경우에 비해 근육감소 발생 위험비가 각각 1.30배(95% CI : 1.06∼1.60), 1.42배(95% CI : 1.15∼1.75) 유의적으로 높았다. 특히, 돼지고기 섭취빈도가 적을수록 근육감소 발생 위험이 증가하는 경향(P for trend=0.028)을 띄어 돼지고기를 자주 섭취하면 근육량 감소 위험을 낮출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었다. 여자는 돼지고기류를 가장 적게 섭취한 경우에서 근육감소 발생 위험비가 1.40배(95% CI : 1.16∼1.69) 높았고, 돼지고기 섭취빈도가 적을수록 근육감소 발생위험 경향을 보였다(P for trend =0.002). 식사의 질 평가지표인 KHEI와 RFS는 근육감소 발생 위험과는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7. 근육량 변화군에 따른 추적조사 기간 동안 당뇨병, 대사증후군 및 개별 대사 이상 발생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남녀 모두 근육량이 많이 감소한 1분위군(Q1)이 근육량이 적게 감소하거나 증가한 4분위군(Q4)에 비해 당뇨병 발생 위험비가 각각 2.98배(95% CI : 1.82∼4.89), 2.19배(95% CI : 1.23∼3.93) 유의하게 높았다. 근육량 변화군에 따른 대사증후군의 위험도는 남녀 모두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대사증후군의 일부 구성요소에서는 유의성을 나타냈다. 남자에서는 1분위군이 4분위군에 비해 고혈당 발생 위험비가 1.40배(95% CI : 1.16∼1.69), 고중성지방혈증 발생 위험비는 1.31배(95% CI : 1.10∼1.55) 높았고, 여자에서는 1분위군이 4분위군에 비해 고혈당 발생 위험비는 1.47배(95% CI : 1.16∼1.85), 고중성지방혈증 발생 위험비는 1.23배(95% CI : 1.03∼1.46) 및 고혈압 발생 위험비가 1.23배(95% CI : 1.02∼1.47) 유의하게 높았다.

      • 공간계량분석을 통한 도시교통사고 예측모형

        홍지연 서울市立大學校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인간의 모든 활동은 언제나 시간과 공간이라는 두 요소와 연관되어 발생하고 있다. 교통사고는 인간 활동의 여러 가지 결과 중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가장 대표적인 현상이다. 교통사고는 여러 가지 요인들의 복합적인 작용과 잠재요인에 의해 특정한 지리적 공간에서 임의의 시간에 발생한 시간적·공간적 이벤트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잠재요인 중에 대표적인 것이 공간적 상호작용이다. 공간적 상호작용이란 지리적인 공간상에서 공간 객체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사고 발생의 중요한 요인이나 이제가지 관련 연구에서 깊이 있게 고려되지 못한 공간적 상호작용(Spatial Correlation)과 교통사고와의 연관성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외적으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공간계량분석기법을 교통사고모형에 적용하여 인근 지역과의 공간관계를 반영한 도시교통사고 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개발에 앞서 서울시 행정동 단위로 집계된 교통사고 발생빈도에 대하여 공간적 상관관계가 존재하고 있음을 규명하였으며, 모형개발을 위해 전역적인 공간회귀분석(Global Spatial Regression)인 공간자기회귀모형(SAR : Spatial Autoregressive Model)과 공간오차모형(SEM : Spatial Errors Model), 국지적인 공간회귀분석(Local Spatial Regression)인 지리적 가중회귀분석(GWR : Geometric Weighted Regression)을 적용하여 모형들을 개발하였다. 또한 통상적으로 널리 쓰이는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한 도시교통사고 예측모형과 결과값들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공간계량분석을 통한 도시교통사고 예측모형들이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통한 도시교통사고 예측모형에 비해 향상된 설명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준화된 평균제곱근오차(SRMSE : Standardized Root Mean Square Error)를 통해 모형을 검증한 결과 지리적 가중회귀분석(GWR : Geometric Weighted Regression)을 통해 도출한 도시교통사고 예측모형이 보다 우수한 모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리적 가중회귀분석(GWR)을 통한 도시교통사고 예측모형에서는 일반적인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통한 도시교통사고 예측모형과 달리 행정동별로 독립변수의 계수값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특정변수가 교통사고 발생에 미치는 영향이 행정동마다 다르게 예측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정 행정동의 변수 변화가 해당 동 뿐만 아니라 인근한 행정동의 교통사고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모형들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교통사고 발생의 공간관계를 반영하여 보다 예측력이 뛰어난 소규모 지역단위 교통사고 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국내에서 지역단위 교통사고 예측모형 개발에 있어 공간계량분석기법을 적용한 선도적인 연구이며, 교통안전정책가가 제어할 수 있는 교통안전시설 및 정책 변수를 모형에 추가 반영함으로써 현실적인 교통안전 정책 방향을 제수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시교통사고 예측모형은 소규모 지역의 교통안전 대책을 사전에 검증할 수 있으며, 한정된 예산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평가기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ll activity of humans always occurs with both elements of time and space. Traffic accidents are the most representative phenomenons causing negative result among several results of human activity. Traffic accidents occur at specific time and location resultingly, but include the comprehensive interaction between spatial road environments, human factors and the other influencing factors during the process. Previous studies on accident rate prediction were based on the traditional and statistical assumptions that the variables are random and the error terms are independent. However, in general, the traffic accident data are the spatial data which were collected by the administrative zone including the information on the geographical space. These are not distributed randomly in the space but represent the spatial autocorrelation. It is then against the traditional assumption on the independency of the error terms. The traditional linear regression analyses can hardly control the spatial dependence of and interactions between the socio-economic phenomena. Then, the traditional models have the limitations to consider the comprehensive spatial influences in practice. The spatial econometrics analysis is a statistical method analyz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 related spatially considering the spatial autocorrelation. This study is to review the spatial correlation of traffic accident frequencies collected by the administrative zone, and develop the traffic accident frequency prediction model in urban area by the spatial econometrics analysis. It can then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raffic accidents by regional unit, and predict the effectiveness of the countermeasures against the traffic accidents. Three kinds of the spatial econometrics models are applied to develop the traffic accident frequency prediction model in urban area such as the spatial autoregressive model(SAR), the spatial errors model (SEM) and the geometric weighted regression(GWR). Also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is developed in advance of the proposed spatial econometrics models. The multi-linear regression model is the most popular to predict the traffic accident rate by region. In the process of parameter estimations, the explanatory variables for the proposed models are determined. The linear model can be a reference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odel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explanatory performance of the spatial econometrics model could be higher than that of the multi-linear regression model for the urban traffic accident frequency prediction. Also, the standardized rood mean square error(SRMSE) of the GWR is closer to “0” than those of the other models. With these results, It is judged that traffic accident frequency prediction model by GWR in urban area is a better model than the other models. This study applied a spatial econometrical method which can improve the goodness of fit of the model by consider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raffic accidents. The proposed model based on the theory considering the spatial correlation showed the improved goodness of fit and prediction performances. Conclusively, this study may suggest a new methodology in traffic accident frequency prediction, so the spatial correlation analysis could provide various future works in the field of traffic safety.

      • 간호사의 직무특성과 경력특성이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홍지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Nurses are important human resources in hospital system. In rapid environmental changes, hospital system must understand career path based on individual professionalism and characteristics of nurses to improved productivity through effective career development and career management of them. In current system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hospitals, however, understanding about nurses' career commitment and its influential factors is insufficient. This study aims to provide fundamental basi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through more efficient career development of nurses in hospitals. In this study, job characteristics and career characteristics have been selected as the antecedents of career commitment of nurses. Then each degree of these variables has been measured and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of variables were investigated. Samples were selected from nurses who have been working more than one year at 6 different hospitals which are categorized as 2nd and 3rd class medical institutions in Seoul. The survey period was 15 days from March 19th to April 2nd of 2007. 42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411 results were collected. Finally 40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ctual analysi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have been tested and the statistical results were generated by the SPSS WIN 12.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frequency, means, standard deviation,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key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mean score of job characteristics, career characteristics and career commitment were: 3.67 points for job fitness, 3.72 points for job challenge, 3.01 points for job autonomy, 3.10 points for development opportunity, 3.52 points for expected utility of present job, 3.03 points for career satisfaction and 2.89 points for career commitment out of five point scale. 2. The differences in job fitness displayed general variables related to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position, length of nursing service(p<.01). The job challenge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length of nursing service(p<.05). The differences in job autonomy displayed general variables related to age, work place, education, position, length of nursing service(p<.05). The differences in development opportunity displayed general variables related to marital status, work place(p<.05). The differences in expected utility of present job displayed general variables related to work place, position, length of service in current work place(p<.05). The differences in career satisfaction displayed general variables related to education, position, length of service in current work place(p<.05). The differences in career commitment displayed general variables related to marital status, education, length of nursing service, work place, position(p<.05). 3. The results of a correlation analysi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of job characteristics, career characteristics and career commitment. Especially development opportunity and expected utility of present job had a highest correlation(r=.620, p=.000). 4. Career satisfaction turned out as the major factor to affect career commitment, followed by expected utility of present job, job fitness, job autonomy. All of these factors accounted for 26.7% of career commitment. In conclusion, this study verified that career satisfaction, expected utility of present job, job fitness and job autonomy are key variables to affect career commitment of nurses. Therefore, balanced career development between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considering the job characteristics and the career characteristics must be accomplished to promote career commitment of nurses. 간호사는 병원조직의 주요 인적자원이다.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병원조직은 간호사 개개인의 전문성과 특성에 따른 경력구도를 이해하고 이들의 효과적인 경력개발 및 관리를 통해 조직의 경쟁력을 강화시켜 그 유효성을 이끌어 낼 수 있어야만 한다. 그러나 실제 병원조직의 인적자원관리에 있어 간호사들의 경력몰입이나 영향요인에 관한 이해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경력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직무특성과 경력특성을 선정하여 각각의 정도를 측정하고 변수들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병원조직 내 간호사의 효율적인 경력개발을 통한 인적자원관리방안의 기초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소재 2, 3차 의료기관인 총 6개 종합병원에서 현재 근무하고 있는 경력 1년 이상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2007년 3월 19일부터 4월 2일까지 총 42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411부를 회수하였으며 최종적으로 402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를 토대로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사의 직무특성, 경력특성, 경력몰입의 정도는 다음과 같다. 평균평점 5점 만점에 직무특성변수 중 직무적합도는 3.67점, 직무도전성은 3.72점, 직무자율성은 3.01점이었으며, 경력특성변수 중 성장기회는 3.10점, 현 직무의 기대된 효용성은 3.52점, 경력만족은 3.03점이었다. 경력몰입은 평균 2.89점이었다. 즉, 간호사들은 자신의 직무에 대하여 매우 다양하고 도전적이라고 지각하고 있으며 직무를 보다 잘 수행하고자 끊임없이 자신의 능력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의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했을 경우 경력목표 달성에 있어 긍정적일 것이라고 지각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타 직종을 대상으로 한 기존 연구들보다 경력몰입 정도는 낮았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특성을 분석한 결과, 직무적합도는 연령, 결혼상태, 최종학력, 현 직위, 간호직에서의 총 근속년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직무도전성은 간호직에서의 총 근속년수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5). 직무자율성은 연령과 근무부서, 최종학력, 현 직위, 간호직에서의 총 근속년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즉, 연령과 총 근속년수가 많고 기혼이며 대학원 이상과 수간호사 이상 집단이 직무적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도전성은 총 근속년수가 길수록 높게 나타났다. 또한 총 근속년수가 많고 대학원 이상과 수간호사 이상 집단이 직무자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경력특성을 분석한 결과, 성장기회는 결혼상태와 근무부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5), 현 직무의 기대된 효용성은 근무부서, 현 근무지 근속년수, 현 직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경력만족은 최종학력, 현 직위, 현 근무지 근속년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즉, 기혼인 경우 성장기회가 높게 나타났으며, 주임간호사의 경우 현 직무의 기대된 효용성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현 근무지 근속년수가 길수록 현 직무의 기대된 효용성은 낮게 나타났다. 경력만족은 수간호사 이상과 대학원 이상 집단이 높게 나타났으며 현 직무의 기대된 효용성과 마찬가지로 현 근무지 근속년수가 길수록 낮게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경력몰입은 결혼상태, 최종학력, 간호직에서의 총 근속년수, 근무부서, 현 직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즉, 기혼인 경우, 대학원 이상과 수간호사 이상 경우, 총 근속년수가 길수록 경력몰입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인공신장실, 정신과 병동, 적정진료실이 포함된 기타부서 간호사들의 경력몰입이 높게 나타났다. 3. 직무특성, 경력특성, 경력몰입의 제 변수들 간에는 모두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그 중에서 성장기회와 현 직무의 기대된 효용성은 가장 높은 순상관관계를 보였다(r=.620, p=.000). 4. 경력몰입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파악하기 위하여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경력몰입을 가장 잘 설명하는 요인은 경력만족, 현 직무의 기대된 효용성, 직무적합도, 직무자율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만족은 경력몰입에 대해 21.8%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으며 현 직무의 기대된 효용성은 2.9%, 직무적합도는 1.2%, 직무자율성은 0.8%로 전체 26.7%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경력만족, 현 직무의 기대된 효용성, 직무적합도, 직무자율성은 경력몰입의 중요한 예측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간호사들의 경력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개인 스스로 자신의 경력개발에 노력해야 함은 물론 개인의 직무특성과 경력특성을 감안한 조직의 경력개발이 조화를 이루는 미래지향적인 경력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에 관한 연구 : W. A. Mozart

        홍지연 세종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모차르트 일생]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1756-1791년)는 1756년 1월 27일에 오스트리아의 잘츠부르크에서, 아버지 레오폴트 모차르트와 어머니 안나 마리아 페르틀 사이에서 일곱 형제 중 막내아들로 태어납니다. 모차르트는 아버지로부터는 음악적 재능을, 어머니로부터는 쾌활하고도 낙천적인 성격을 물려받았다고 합니다. 그의 아버지 레오폴트 모차르트는 잘츠부르크에서 법학을 공부하디가 학비를 벌 작정으로 바이올린을 만지게 되었는데 그게 그만 본업이 되어 잘츠부르크 궁정악단의 부지휘자로 근무하고 있었습니다. 그는 아주 고집 세고 무뚝뚝한 사람이었으나 그는 아들에게만은 음악 수업, 언어 지도, 여타의 기본 과목에 이르기까지 모두 도맡아 교육시키고 양성시키는 열성과 자상함을 보였다고 합니다. 그후 8살 때 최초의 소나타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를, 9살 때는 첫 <교향곡>과 <바이올린 소나타>를 작곡하고, 12살 때는 <아폴로와 히야신스>, <가짜 아가씨>를, 13살때는 <바스티앙과 바스티엔>을 작곡합니다. 1769년 14세 때는 잘츠부르크 콘서트 마스터가 되었으며, 1770년에는 마리아 테레사 여황제로부터는 대례복을 하사받았고, 교황 클레멘스 14세로부터는 황금 박차 기사 훈장을 받습니다. 이 무렵 오페라 <폰토 왕, 미트리다테>와 최초의 현악 4중주를 작곡했습니다. 1771년 16세 때는 세레나데 <알바의 아스카니오>,오라토리오 <해방된 베툴리아>를 작곡으며, 1772년에는 세레나데 <시피오네의 꿈>, 음악극 <루치오 실라>을, 1773년에는 현악 4중주곡을 비롯하여 최초의 피아노 협주곡과 <이집트의 왕, 타모스>를 작곡합니다.1775년에는 오페라 <사랑의 꽃다발>, 음악극 <목자의 왕>, <기악 음악들>, <바이올린 협주곡>을 작곡했습니다. 이렇듯 연주 여행을 하면서 그는 빈에서는 하이든의 영향을 받았으며, 런던에서는 요한 세바스티안 바하의 아들 J.C.바하의 영향을 받았으며, 볼로냐에서는 마르티니로부터 음악 이론과 작곡을 배웠으며, 기타 지역에서는 정열적인 가곡과 오페라에 대한 자극을 받았으면서 예술가로서의 다양한 시각을 개척하게 됩니다.

      • 영어 가정법 구문에 대한 연구 : if절이 없는 가정법 구문을 중심으로

        홍지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영어 가정법 구문(subjunctive mood construction)을 형식과 의미 측면에서 고찰하여 이를 기준으로 가정법에 대한 재고찰을 하는 데 있다. 영어 가정법 구문의 형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첫 번째로, if절을 포함한 전제절(condition)과 서법 조동사 과거 시제형을 포함한 귀결절(consequent)로 이루어진 기본 구문과 두 번째로, 전제절의 의미가 대용어구 또는 문맥에 함축된 불완전 조건문 형식이 있다. if절을 포함하지 않은 가정법 구문은 그 함축적인 특성으로 인해, 간결하고 응집성 있는 표현이 선호되는 문자언어에서 많이 쓰인다. 또한 가정법 구문은 일반적으로 반사실성(counterfactuality)을 의미한다고 인식되고있다. 그러나 가정법은 명제의 사실성(factuality)에 대한 화자의 부정적인 태도, 다시 말해 명제가 반사실성을 의미한다는 화자의 믿음을 표현하는 서법이므로 믿음의 사실근거 여부에 따라 명제의 반사실성 뿐 아니라 비사실성(nonfactuality)까지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가정법 구문은 형태면에서 전제절과 귀결절로 이루어진 구문과, 의미면에서 반사실성을 의미하는 구문만을 중심으로 학습되고 있어 고급 수준의 영어 학습자도 가정법 구문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가정법 구문에 대한 정확하고 올바른 이해는 영어교육 현장에서 중요하다. 위에서 언급한 연구의 목적과 필요를 위해서, 본 연구는 가정법 구문을 문헌을 통해 이론적으로 고찰 분석하고 영어 시사지를 중심으로한 실제 영문 자료를 통하여 가정법에 대한 의미를 파악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법 구문은 일반적으로 전제절과 귀결절로 이루어지지만 전제절 대용어구 또는 문맥이 전제절의 의미를 함축할 수 있어 귀결절만으로 가정법 구문이 가능하며 간결성을 중시하는 문자언어에서는 전제절이 표현되지 않은 가정법 구문이 많이 쓰인다. 둘째, 가정법은 명제의 반사실성에 대한 화자의 믿음을 보여주는 기능을 하는 서법으로, 화자의 믿음이 사실에 근거할 경우에 가정법 구문은 반사실성을 나타내는 반면 그렇지 않는 경우는 비사실성을 나타내어 문맥상으로 명제의 진리치가 나타나지 않는다. 셋째, 가정법 구문이 비사실성을 나타낼 때는 명제의 반사실성에 대한 화자의 믿음의 정도에 따라 다음의 두 가지 경우로 나뉜다. 첫 번째는 믿음의 정도가 강한 경우로, 화자는 반사실성에 대한, 사실에 근거하지 않는, 확신을 표현한다. 두 번째는 믿음의 정도가 약한 경우로, 주로 서법 조동사 과거 시제형이 잠정적(tentativeness) 용법으로 사용되는 구문이 여기에 속하며, 화자는 비록 반사실성에 대한 믿음이 강하지 않지만 가정법 형태를 사용함으로써 상대방으로 하여금 반사실성을 화자가 믿는다는 것을 보여주어, 발화를 대담하지 않고 부드러운 의미가 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meaning of the subjunctive mood in terms of "counterfactuality" and "nonfactuality." For this purpose, subjunctive constructions without an if-clause will be mainly discussed. Th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the past tense modal verbs, when they don't refer to past time, represent the grammatical marker of the subjunctive mood even without an if-clause. The first type of subjunctive construction without an if-clause is called "incomplete conditional." Incomplete conditional, whose condition is implied in some part of the same clause or in the context, can easily be observed in written English rather than in spoken language. This is because in written English short and compact expressions are preferred to long, complex ones. Furthermore, the truth-value of the incomplete conditional, which depends on that of the suppressed condition, is understood based on the whole context. As in discussions of other linguistic questions, "contex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iscussion of subjunctive constructions. The meanings of past tense modal verbs in subjunctive constructions are analyzed first in terms of meaning, epistemic vs. deontic, and secondly, in terms of counterfactuality and nonfactuality. The data in this study are from authentic English materials including major English news magazines and literary work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ough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the subjunctive mood is composed of the "condition" with an if clause and the "consequent" with past tense modal verbs, the "condition" can be implied in some part of the same clause or in the context. Secondly, the past tense modal verbs, in general, represent "remoteness" in time or in reality. The first type of remoteness is used to refer to the past whereas the second type of remoteness is used to represent the "unreality" of the proposition. These two types of remoteness are us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nly the second type of "remoteness" is the issue of subjunctive constructions, which presupposes "unreality." If "unreality" is realized more explicitly in the context, the subjunctive constructions concerned are understood to denote "counterfactuality." On the other hand, if "unreality" is realized less explicitly, the subjunctive constructions are interpreted as denoting "nonfactuality." Here "nonfactuality" does not mean "neutral" as to factuality. This question leads to the third result of this study. Thirdly, even when "unreality" is weakly or implicitly realized and hence the subjunctive constructions are interpreted to denote "noncounterfactuality," the speaker of the subjunctive constructions are understood to show his judgment towards the falsity of the proposition rather than its tru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