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무용 전공 고등학생의 대학선택 결정요인 및 진로기대 탐색

        고신영 한국체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급변하는 교육환경과 다양한 정부정책으로 인하여 무용대학 입시의 패러다임도 점차 변화하고 있다. 또한 취업률을 기준으로 대학의 구조조정이 이루어지고 현 상황에서 무용 전공자의 진로문제는 과거에 비해 비중 있게 다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한국무용 전공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을 선택하는 결정요인과 졸업 후 자신의 진로에 대한 기대를 탐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또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한국무용 전공 고등학생들이 대학을 선택하는 결정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한국무용 전공 고등학생들이 대학 졸업 후의 진로가 어떻게 연계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가? 이에 따라 대학 입시 교육을 받고 있는 한국무용 전공 고등학생 10명을 대상으로 1:1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심층면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 대학선택 요인과 진로기대 탐색의 2개의 구성요인 중 총 8개의 하위 구성요소로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대학선택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결과 한국무용 전공 고등학생들은 향후 진로를 염두한 선택을 하거나 선생님이나 선배로부터 직·간접적인 영향 혹은 정보를 받아 대학 입시를 준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신이 좋아하거나 자신과 잘 어울리는 춤 스타일에 맞는 대학을 선택하고자 하였고, 대학의 교육과정이 자신이 선호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있는가가 대학선택 결정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대학 졸업 후의 진로기대에 대한 연구결과 한국무용 전공 고등학생들은 지역적 이점과 대학별 춤 경향, 그리고 대학의 명성이 자신의 진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었다. 반면 출신 대학과 진로는 연계성이 없다고 생각하거나 생각해보지 않았다는 답변도 나옴으로써 자신의 인생 설계를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안목으로 수립하지 않는 경향도 발견되었다. 따라서 한국무용 전공 고등학생들은 자신의 진로를 선택하는데 있어 자신의 능력 수준과 적성에 맞는 분야를 다양하게 탐색하여야 하고, 단순히 대학의 명성을 믿고 있는 것이 아닌 취업을 위한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준비기간과 계획을 수립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 유치 경쟁으로 적극적인 전략이 필요해진 상황에서 진로교육에 대한 시기 및 내용에 대하여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사이버대학생의 대학선택 요인과 대학 만족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A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권혜령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대학생의 대학선택 요인 및 대학 만족도를 알아보고, 사이버대학생의 대학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 선택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신·편입학 유형별 변인 간의 차이는 어떠한지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 사이버대학생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사이버대학생의 대학선택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사이버대학생의 대학 만족도는 어떠한가? 셋째, 사이버대학생의 대학선택 요인은 대학 만족도에 어떤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는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지 초안을 작성하고 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한 다음 일부 문항을 추가 보완하여 설문을 시행하였다. 설문조사는 A 사이버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발송한 후 링크된 시스템에 접속하여 응답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회수한 102부의 설문지 중에서 불성실한 응답, 누락된 문항이 많은 12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90부의 응답결과를 대상으로 SPSS 26.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배경변인을 포함하여 설문 전 문항별로 응답자의 빈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사용하였으며, 국내 사이버대학 재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라 대학선택 요인과 대학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차이검정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이버대학 재학생의 대학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대학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사이버대학 학생들은 대학선택 시 교육비용 요인과 교육의 질 요인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었다. 개별요인으로는 개인역량의 증진 항목과 학위취득의 용이성 항목, 학생 관리의 체계성 항목의 평균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이버대학생의 졸업의향 평균은 높음에도 불구하고 주변 추천의향이나 전반적 만족도는 다소 낮게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의 주당 학습시간이 길수록 대학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학습자의 배경변인에 따라 대학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학선택 요인이 대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들을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대학은 이미 일반대학에 비해 등록금이 저렴하다는 이점이 있으나, 타 원격대학과의 차별화를 위해 추가적 재정 지원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사이버대학생의 진학 목적은 상대적으로 매우 뚜렷하므로 비용이 더 소요되더라도 대학은 학생모집 전략수립과 추진방향 모색 시 반드시 배경변인별 모집전략 차별화를 도모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이러닝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성인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격차를 해소할 수 있도록 원격대학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원격대학 학생들의 대학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수업관리가 필요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문 학습상담 조직을 운영하는 것은 물론, 타 부처와의 연계 및 협력을 통해 학습자의 수업참여, 성적 등의 관리 전략을 수립하여 성인학습자 친화형 대학으로 도약할 수 있어야 한다. 다섯째, 사이버대학은 일반대학과 환경적 특성이 매우 다르기 때문에 사이버대학 특성에 맞는 조사도구 개발을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중국 대학생 및 학부모의 대학선택 영향요인 : 한국과 중국의 비교적 관점에서

        곽뢰정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Guo Leijing Department of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Sejong University In recent years, the competition of higher education market is increasingly fierce, and subjective awareness among students and parents is strengthened constantly. It has been widely concerned by admissions offices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HEIs) and the whole society on how to recruit excellent students as well as how to choose suitable HEIs. In other words, the college choice is a decision influenced by a number of demographic, economic, social, political, and institutional factors. Different types of students and parents chose to attend certain universities on the basis of one or more factors that link directly to their characteristics and needs. However, whether in China or in South Korea, there is little empirical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students' and parents' college choice. In the purpose of further analyzing the factors influencing Chinese students' and parents' college choice, this study adopted questionnaires on 199 Chinese college students and 200 parents from different resident regions and social-economic backgrounds. In order to make clear the disparity of these factors' influence, the disparity of Chinese students' and parents' final college choice and the disparity of Chinese parents' behaviors, the questionnaire was classified into 6 parts: general characteristics, cognitive factors, college's characteristic factors, social factors, family factors and college choice decision. After this, this study tries to provide some advice for HEIs to improve their recruit performance and education service. The main conclusions in this study include: First, Chinese parents held that if their children entrance into a university, not only they can keep face in front of acquaintances and other family members, but also their children could make more personal connections with many excellent professors. But on the other hand, these two cognitive factors were all of small statistical significance to Chinese students. Secondly, among the 7 college's characteristic factors, job prospects, school atmosphere, college's scale and distance between college and hometown were prov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also they were more important for Chinese parents than Chinese students. Thirdly, among the social factors, the college application guidelines have the strongest influence on the college choice for Chinese students and parents. But the college application counselor's influence was the lowest. In addition, the disparities of non-human sour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objects of this study. Except the internet, the influence of college's promotional materials, application guidelines and magazines were more important for Chinese parents than students. Fourthl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he better the social-economic backgrounds, the higher the communication frequency of students with their parents, moreover, the higher the cognitive degree of parents on their children's college choice. Fifthly, this study found that, Chinese students played a dominant role in the progress. Despite of the divergence, Chinese parents would like respect their children's college choice, then reach an agreement on college choosing issues. Keywords: college choice, influence factors, college choice decisions 국문초록 고등교육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학생과 학부모들이 주체로서 인식이 강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고등 교육 기관들과 사회 전체가 우수 학생 모집을 비롯하여, 학생 및 학부모의 대학선택에 대한 관심도 점차 커지고 있다. 그러나 중국에서든 한국에서든 학생과 학부모의 대학 선택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비교하는 관점에서 중국 학생과 학부모의 대학선택 영향요인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학생과 학부모의 대학선택 영향요인이 무엇이며, 학생과 학부모의 대학선택 결정의 차이가 무엇인지, 또한 학부모와 자녀의 대학선택 의견이 불일치할 경우, 그들은 자녀의 의견을 존중하는 행위를 선택할 것인지, 혹은 자신의 의견을 받아들이도록 자녀에게 권유하는 행위를 선택할 것인지, 그리고 이러한 행위 간의 차이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기 위해 199명의 중국 대학생과 200명의 중국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정하여 연구하였다. 설문 문항들은 일반적 특성, 인식적 요인, 학교특성적 요인, 사회적 요인, 가정적 요인, 그리고 대학선택 결정의 6가지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아래 5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중국 학부모들은 자녀의 대학진학이 지인과 친척들 앞에서 체면을 세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녀가 대학에서 훌륭한 교수를 만나 인적 네트워크를 만들 수 있다는 인식 등 인식적인 요인을 중요시 하였다. 반면에 중국 대학생들의 대학선택에 있어서 인식적 요인은 그다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학교특성적 요인 중 대학 졸업생의 취업 전망, 학업 분위기 대학 규모, 고향과의 거리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는 학생에 비해 학부모에 대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요인 중 중국 대학생과 학부모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학 모집요강이다. 반면에 대학 입시 상담사의 영향은 가장 낮았다. 또한, 비인적 정보원 요인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리고 인터넷 정보를 제외하고, 대학 홍보물, 모집요강과 잡지 등의 요인은 학부모에 대한 영향이 학생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좋을수록, 중국 대학생들은 부모와의 의사소통 빈도가 높아지고, 학부모들이 자녀의 대학선택을 인식과 이해하는 수준도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는 중국 대학생들은 대학선택 과정에서 절대적인 결정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부모들은 자녀의 대학선택 결정을 존중하면서, 자녀와 상의한 후, 보다 일치하는 대학선택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선호함을 알 수 있다. 주요어 : 대학선택, 영향요인, 대학선택 결정

      •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선택 영향요인 분석

        송유리나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국경의 의미가 불분명해지며 국제적, 다문화적으로 통합되어가는 급변하는 사회에서 대학의 국제화는 이제 피할 수 없는 과제가 되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대학들은 국제화에 대비하기 위하여 해외 대학들과의 협정체결, 학생교류, 복수 공동 학위, 공동연구 추진, 외국인 교수 및 학생유치, Bilingual Campus 조성, 해외 사무소 설치 등 많은 시간과 예산, 노력을 투자해왔다. 그러나 이제는 각 대학의 특수성과 차별성을 고려한 대학의 국제화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특히 대학의 국제화 요건 중 기본이자 핵심인 외국인 유학생을 효과적으로 유치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전략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외국인 유학생 유치 현황 및 정책, 유학동기 및 선택요인에 대한 연구는 있지만, ‘대학선택 영향요인’에 관한 집중적인 국내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의 여러 국제화 전략 중 외국인 유학생 유치 관점에서 외국인 유학생들이 대학을 선택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기존 연구를 보완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대학을 선택하는 데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그 요인이 유학형태(교환학생프로그램과 정규학위과정프로그램), 출신지역(아시아, 유럽, 미주 및 오세아니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대학선택 이론모형 및 요인에 관한 문헌연구, 연구자가 근무하고 있는 한국과학기술원(이하 카이스트) 외국인 유학생 중 신입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그리고 심층 면접을 통해 조사 연구에서 밝히지 못한 대학선택 영향요인을 심도 있게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문항은 문헌연구를 통해 살펴본 대학선택 이론모형을 바탕으로 구성하였다. 학생들의 인적사항 및 배경, 유학 동기 및 한국을 선택한 이유, 그리고 대학을 선택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는 세 가지 세트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대학을 선택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교수요인, 수업요인, 재정요인, 홍보요인, 진로요인, 시설 환경요인 여섯 가지로 구성하였고, 동 요인이 대학을 선택하는 데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 5점 척도 중 선택하도록 하였다. 응답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유학 동기 및 국가선택 요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χ2 독립성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유학형태에 따른 요인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출신지역에 따른 요인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심층면접은 조사 연구 대상자 중 교환학생프로그램으로 입학한 학생 세명, 정규 학위과정으로 입학한 학생 세 명, 총 여섯 명을 선별하였고, 이들의 출신지역은 아시아, 유럽, 미주 및 오세아니아 지역에서 각각 2명씩 선별하였다. 조사 연구 결과로 알기 어려운 학생의 배경, 유학 결심 이유, 한국선택 이유, 준비과정 및 유학생활의 노고에 대하여 심층면접을 하였으며, 면접 내용은 모두 녹음을 하여 결과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외국인 유학생들이 유학을 결심한 주된 이유는 전공과목을 더 깊이 공부하기 위하여, 다양한 문화를 경험하고, 시야와 식견을 넓히기 위해서였다. 대학을 선택하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는 영어강의, 학문 및 연구업적의 명성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유학형태, 출신지역의 구분 없이 공통적으로 중요한 요인으로 뽑혔다. 학문 및 연구 업적의 명성, 우수 교수진, 우수한 교과과정은 학위를 목적으로 유학 온 정규학위과정 학생들과 미주 및 오세아니아 지역 출신의 학생들에게 비교적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정규학위과정 학생들과 아시아 지역 출신의 학생들은 유학 후의 진로 요인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교환학생프로그램 학생들과 미주 및 오세아니아 지역 학생들은 다양한 문화 환경이, 정규학위과정 학생들과 아시아 출신 학생들에게는 대학제공 홍보자료가 비교적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가장 큰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부분은 재정요인으로 정규학위과정 학생들과 아시아 출신 지역 학생들에게는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국내 대학이 세계 유수한 여러 나라들과 경쟁하여 효과적으로 우수한 외국인 유학생을 유치하기 위해서는 영어강의 실시, 뛰어난 학문 및 연구업적 관리, 효과적인 대학 홍보 전략, 외국인 학생을 위한 다양한 재정지원 및 취업지원이 필요하다. 더불어 외적 인프라 구축뿐만 아니라 외국인 유학생들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인정해주는 대학 구성원들의 국제적 마인드 함양도 매우 중요하겠다.

      • 대학검도 팀 이미지가 대학이미지와 대학선택에 미치는 영향

        김승호 용인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대학은 교육서비스 기관으로서의 모습으로 성공적인 신입생 유치와 대학이미지 경쟁력을 위해서 스포츠 마케팅이 대중에게 빠르게 확산되는 중요성을 인식하고 학생들이 원하는 스포츠 팀을 대학에 만들고 있다. 이는 대학검도 팀 의 활동을 통한 광고 효과가 대학 이미지 상승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 진다. 또한 대학이미지 상승은 학생들이 대학선택에 있어서도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대학의 무한경쟁시대에서 대학검도 팀 이미지가 대학이미지와 대학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경기지역에 검도를 수련중인 고등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대학검도 팀 이미지가 대학이미지와 대학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서울‧경기지역에 검도를 수련중인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300부를 설문하여 무성의하거나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자료 33부를 제외한 나머지 267부를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Windows용 SPSS/PC 16.0 Version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대학검도 팀 이미지, 대학이미지, 대학선택의 차이는 평균, 표준편차검증, t-검증 및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대학검도 팀이 대학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표준중다회귀분석(standard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고, 대학검도 팀이 대학선택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표준중다회귀분석(standard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고, 대학이미지가 대학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표준중다회귀분석(standard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팀 이미지, 대학이미지 및 대학선택에는 성별, 학년, 부모님 월소득, 운동경력, 입상경력에서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둘째 대학검도 팀 이미지와 대학이미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고급성, 믿음성, 확실성, 흥미성은 친숙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검도 팀 이미지와 대학선택에 관계를 살펴본 결과, 흥미성은 대학선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이미지와 대학선택에 관계를 살펴본 결과, 호감도는 대학선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와 같이 대학검도 팀 이미지는 대학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대학검도 팀 이미지는 대학선택에 있어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대학이미지는 대학선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대학은 본 연구를 바탕으로 대학의 홍보와 스포츠 발전을 위해 대학스포츠 팀의 활성화를 위해 힘써야 할 것이며, 많은 학생들이 대학에 대한 정보와 긍정적인 이미지를 얻을 수 있으며, 체계적인 계획으로 대학선택에 도움을 주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universities have made sports teams which is to spread sports marketing to the public quickly or which students want for successful inducement of new students and the image of the university competitiveness as education service organization. It will indicate that effectiveness of advertizing through activities of the university kendo team can give positive influence for an increase of the image of the university. And also, an increase of the image of the university will give an effect for students such as university cho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dicate the influence of the intention of the university choice according to the image of the university of kendo team in the era of limitless competition of universiti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the following. First, the image of team, the image of the university and the intention of the university choice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tions were different gender, grade, monthly income of parents, athletic career and prize-winning in part. Second, the relationship of the image of university kendo team and the image of the university indicated that high class, reliability, certainty and interest affect positive influence to the degree of intimacy Third, the relationship of the image of the university kendo team and the intention of choice indicated that interest affect positive influence to the intention of choice. Fourth, the relationship of the image of the university the image of the university indicated that interest affect positive influence the intention of university choice. In conclusion, the image of university kendo team gave a positive effect to the image of university and the image of university kendo team gave a positive effect to students in the intention of university choice. And also, the image of university gave a positive effect to the ntention of university choice. Thus, the university should devote for the promotion of the university, development of sports and activation of university sports team on based this research.

      • 전문대학생의 대학선택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강원지역 전문대학 재학생을 중심으로

        손명숙 강원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Korean Colleges of today are faced with a serious risk caused by a prolific diversification of Korean education system coupled by a low admission numbers due to a declining national birth rate. Since the establishment of a new law in 1996 that permitted a new college to be built upon meeting a minimum standard, the number of colleges increased dramatically. In contrast the number new college enrollees have been on the steady decline with schools feverishly competing with one another for enrollment. With current administration raising college evaluation standards and enforcing tougher disclosure laws, colleges are subjected to a stigmatic college ranking putting smaller colleges to a greater difficulty. With these recent changes in the education environment, colleges are resorting to an aggressive marketing campaign for survival. In response, this research will attempt to figure out what factors are affecting the decision process of students of Kangwon province in selecting their school of choice thereby aiding in the future marketing campaigns to be more effective. The research uses substantiating evidence to evaluate what factors are having affect on the choices of the subject students, its inverse relationship, the sources of the information used in the decision making and how they affect the selection of a college. There were 11 items grouped into 4 internal and external school environmental categories used in the evaluation in relation to the school reputation, education quality, and educational service. Overall the students have put the prospect of post-graduation employment as the top priority, and have also stated, in their respective order, scholarship, campus welfare and benefits, and quality of education as the determining factors. The schools image, reputation and tradition were found to have less significance. The sources of the information used in the selection process included school websites and references of friends and relatives, respectively. The key decision maker in the selection process was the predominantly students themselves followed by family, teachers and friends in their respective order. The school satisfaction survey examined 10 categories. The transportation has shown to have the least satisfaction rating which is to be expected due to Kangwon’s regional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In contrast, the uniqueness and the potential for growth earned the highest rating showing that to be competitive the schools of Kangwon Province need to focus their investment in the highly rated categories to compensate for the inherent regional weaknes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provide a fundamental knowledge necessary for colleges to carry out an effective marketing campaign against the fast evolving college education environment. There were number of limitations in our research and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in response for the future research attempts. 1st, this research was limited to students of select few colleges and the results cannot be generalized over the entire area of Kangwondo. Kanwondo is a large area separated into East and West regions that could exhibit difference in the preferences or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of the two regions. Therefore the future research should evaluate the entire region of Kangwon or if a certain region is evaluated the result should be compared against the findings of the same evaluation conducted in the metropolitan area. 2nd, the theoretical research part is based on previously conducted studies performed on foreign colleges by foreign researchers modeled after college selection process that is more appropriate in their respective countries. A new study should be done that is more relative to the domestic college environment. 3rd, as the society advances and the college environment changes, students’ needs and preferences also change. This change will result in change in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chool selection process. There should be a constant research performed to keep up with the change and this will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marketing campaigns. Expansive mass media marketing isn’t the only way to promote. Every campus should make an effort to find out what the students consider important and makes them satisfied. Both the quality and quantity of education should be raised to raise the employment rates among graduates and scholarships and campus benefits and welfare should be enhanced. Also Kangwon region’s topographical weakness should be compensated. With the improvements in the educational services, schools should be able to maximize their strengths and fortify their weaknesses thereby naturally gaining a competitive edge in their marketing campaigns. 최근 우리나라의 대학은 교육시장 개방과 다양화, 출산율 저하로 인한 입학자원의 감소 등으로 심각한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1996년부터 시행된 대학설립준칙주의에 의해 최소 법정 설립기준만 갖추면 대학설립이 허용됨에 따라 대학의 수는 급증하였지만 입학자원의 수는 오히려 감소하여 해마다 입학자원 유치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통폐합 등을 권장하는 정부의 강력한 대학구조조정정책의 본격 가동 및 대학 평가기준 강화, 대학의 주요정보 공개로 인한 대학 서열화 등으로 각 대학들은 점점 더 어려운 상황에 처하고 있다. 이와 같은 대학 환경 변화로 각 대학들은 생존을 위한 공격적 마케팅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강원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을 선택할 때 결정 요인이 무엇이었는지에 관하여 알아보고 추후 대학이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실증 조사를 통하여 학생들의 대학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각 요인이 학생의 특성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그리고 대학 선택에 필요한 정보를 어디에서 수집하며, 대학 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학생들이 대학을 선택할 때 고려하는 요인으로는 11개의 항목들에 대하여 대학의 명성, 교육품질, 교육서비스 그리고 대내외적인 환경의 4개 영역으로 그룹화하여 분석하였다. 전체적으로 학생들은 졸업 후 취업 전망을 가장 중요한 선택 요인으로 응답하였고, 장학금 및 학생복지 혜택, 교육의 질적 수준 순으로 응답하였다. 또한 대학의 이미지, 명성, 전통 등은 다른 요인에 비하여 낮게 조사되었다. 대학 정보를 수집하는 경로 분석에서 가장 높은 항목은 대학 홈페이지를 통한 정보 수집이었고, 주변 친구나 친지를 통한 수집이 뒤를 이었다. 대학을 최종적으로 결정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주변 인물을 조사한 결과에서는 본인의 결정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그리고 가족, 선생님, 친구/선배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학 만족도는 10개의 항목에 대해 조사하였다. 교통편에 대한 항목이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였는데 이는 강원지역의 지리적 특성과 무관하지 않은 결과이다. 반면, 학과 특성화와 대학 발전 가능성은 만족도가 높게 나왔는데 이는 강원지역 대학이 시장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만족도가 높은 항목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를 통하여 지리적 약점을 보완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급변하는 대학 환경 변화로 생존을 위한 공격적 마케팅이 필요한 대학들이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그러나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 여러 가지 제한 요인이 있어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강원도의 전체 대학이 아닌 일부 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강원도는 범위가 광범위하고 영동과 영서지역으로 나뉘어져 있어 그에 따른 수험생의 성향이나 영향 요인 등이 다를 수 있다. 그래서 연구의 대상 지역을 강원 전역, 혹은 지방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수행하고 수도권 또는 대도시에 소재하는 대학과 비교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선행연구를 통한 이론적 연구 중 대학 선택 과정 모형에 관한 내용은 외국 연구자들에 의한, 외국 대학 실정에 맞는 대학 선택 과정 모형이 주를 이루고 있어, 국내 대학 실정에 맞는 과정 모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셋째, 사회가 발전하고 대학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수험생의 성향이나 needs 또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대학 선택에 미치는 영향 요인 또한 변화될 것이다. 이러한 변화를 지속적으로 연구하여 마케팅에 활용한다면 대학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막대한 비용을 들여 매스컴 등에 홍보를 하는 것만이 대학의 마케팅 활동은 아니다. 각 대학들은 수험생들이 대학 선택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각 요인들 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다. 우수한 교육프로그램 운영에 의한 양질의 교육으로 취업률을 향상시키고, 장학금 등 학생복지 혜택을 확대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강원지역의 지리적 특성상 약점으로 작용하는 교통편에 대한 불만족 요인 등을 상쇄할 대응요인을 찾아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교육서비스의 품질 향상으로 강점은 더욱 더 발전시켜 최대한 부각시키고, 약점은 점차 보완 및 대체하여 마케팅에 활용한다면 대학의 경쟁력은 자연히 향상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 대학 및 학과 선택변인과 선택만족에 관한 연구 : 수도권 인접 K대학교를 중심으로

        임동현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나라 대학환경은 저출산 현상에 따른 학령인구의 자연감소로 인하여 향후 2011년을 정점으로 점차 대학진학 학령인구는 격감하여 대학 입학정원의 공급초과현상이 지속될 경우 대학의 총체적 위기가 찾아올 수 있다. 대학의 위기는 특히 지방소재 대학부터 이미 시작되고 확산되어졌으며, 이제는 수도권과 인접한 대학 간에도 치열한 학생유치 경쟁과 함께 신입생 미충원으로 인한 심각한 사태가 우려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신입생들의 특성과 대학을 선택하는데 있어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개선방안을 분석하는 것은 중요한 과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수도권에 인접하고 있는 대학의 특성을 잘 나타내주는 수도권과 인접한 중규모 사립대학인 K대학교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대학 및 학과 선택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 신입생들의 입학단계에서 개인사항, 일반적인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대학 및 학과 선택에 미친 영향요인과 대학 신입생들의 배경요인에 따라 각 변인들이 가지는 특성은 어떠한가? 셋째, 대학 신입생들의 대학 및 학과 선택 만족도는 어떠한가? 넷째, 대학 및 학과 선택과정에서 대학 신입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문제점은 무엇이며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대책과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K대학교에 입학하기 직전 신입생들 중 78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일부 적합하지 않은 설문지를 제외하고 749부를 회수하여 SPSS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다양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된 자료의 분석을 통해 밝혀진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입들의 탐색단계로 대학을 알게 된 계기는 주변사람들, 대학을 잘 알게 해준 매체로는 인터넷, 학생들의 전공학과 선택 시기는 고등학교 재학 중, 전공학과 선택 시 고려사항은 적성과 흥미로 응답이 가장 많았다. 따라서 신입생들의 탐색단계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외부환경 요소에 의해 발생하는 다양한 외부 변수의 작용이 신입생들의 의사결정 과정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대학당국에서는 주변 정보원과 신입생들에게 대학 및 학과 선택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선택단계 이전부터 꾸준히 제공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신입생들의 지원단계로 대학을 지원하기로 결정한 시기는 원서작성시기, 학교를 지원한 가장 큰 이유는 전공이 마음에 들어서, 학교를 선택한 동기는 본인스스로 결정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주는 의미는 대학이 신입생유치를 위한 고객중심의 정책과 활동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을 의미한다. 셋째, 신입생들의 등록단계에서 대학에 2개 이상 복수 합격하여 최종 선택한 이유는 원하는 학과, 통학거리와 교통편의가 대부분 선택요인으로 나타났다. 수도권과 인접한 대학에 입학하는 신입생들은 대학선택에 있어서 대학의 인지도 보다 원하는 학과와 통학거리를 더욱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자신의 미래에 대한 중요한 선택요인은 신입생들의 대학 및 학과 선택 단계에서 자신이 원하던 전공분야와의 일치여부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취업문제와 함께 보다 좋은 직업에 대한 선택 경향이 강하다고 볼 수 있다. 다섯째, 신입생들의 대학 선택에 대한 만족도가 전공학과 선택 만족도 보다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대학에서는 신입생들의 대학 선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대책과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볼 때 신입생들의 대학 및 학과 선택은 그들의 삶, 가치관과 함께 계속하여 변화하고 있다. 그러한 영향에 따른 신입생들의 배경 특성과 선택요인에 대한 연구를 관련 분야의 연구 자료와 함께 앞으로 더욱 축척해 나가고 대학은 그에 따른 노력을 기울여 나가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대학 조직의 존립과 변화의 긍정적인 지향점은 신입생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장점을 극대화시켜 대학발전을 통한 경쟁력을 강화하여 신입생들의 교육 만족도를 높이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 대학축제 선택속성이 축제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유학생의 생활 적응도를 중심으로

        장우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2020), there are 120,000 foreign students in Korea. Among them, the number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creased from 300 in 1996 to 70,000 in 2019, which is accounting for 44.4% of all international students. However, as the competition to attract international students, especially centered on quantitative perspective, grow intensifies, various negative aspects are also emerging. For example, as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increases, the number of illegal stays in violation of the conditions of stay has also increased. In addition, various psychological, academic, and life problems arose because international students could not adjust to Korea society. Therefore,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need to find short-term strategies for attracting foreign students, especially Chinese students, as well as long-term strategies such as receiving various scholarships or subsidizing dormitory expenses. So, in the real sense of the goal at the present time when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is increasing, it will be necessary to closely examine, understand, help, and systematically manage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foreign students while they are stay in the universit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se three aspects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festival selection attributes, festival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and adjustment to overseas study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r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who account for a large proportion. The main purpose is to find a sustainable strategy for attracting and retaining foreign students by developing and operating various school festival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desires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study abroad life. Considering the difficulty of meeting in person and distributing questionnaires in the age of COVID-19, we collected data through a survey of international students by using WeChat, which is mostly used by Chinese people on the Internet. Out of a total of 260 copies, 258 questionnaires were recovered, and 221 copies (85% of acceptance rates) were used as analysis data, excluding 37 copies of insincere respons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Chinese students school festival selection attributes were found to be "festival programs and infrastructure" and "multi-cultural content" as two factors, and the degree of adaptation to study abroad life was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adaptation to social life". two types were also extracted.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China, hypothesis 1, 'The university festival selection attributes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university festival' was verifi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mong the factors, festival program and infrastructur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festivals, so the hypothesis was adopted. Second, hypothesis 2 that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festivals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ntention to revisit university festivals' was verifi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ypothesis 2 was accepted. Third, Hypothesis 3 was t-tested,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adaptation to study abroad life in college festival selection attributes, festival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ributes, festival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Hypothesis 3-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llege festival selection attributes, festival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according to social life adaptation among study abroad life adaptations. There will be.' Hypothesis 3-2 was accepted.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certain selection attributes among university festival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festivals, and that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festivals ca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ntention to revisit university festival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by increasing the degree of adaptation to study abroad life, the selection attributes of school festivals, festival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s could be increased. 교육부(2020)에 따르면 한국의 외국인 유학생들이 12만 명에 이르고 있다. 이 중에 1996년에 300명이었던 중국 유학생의 수는 2019년에 7만 명이나 급증했으며 전체 유학생 중에 44.4%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양적 성장 위주의 유학생 유치경쟁이 벌어지면서 각종 부정적인 면도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유학생들이 늘면서 체류 조건을 어기는 불법체류 건수도 늘어났다. 또 유학생들이 적응을 못 해서 각종 심리, 학업, 생활문제들이 생겼다(탕홍위, 2020). 따라서 한국 내 대학들은 각종 장학금 혜택을 받거나 기숙사 실비를 지원하는 등 단기적인 유치 전략은 물론 외국인 유학생들이 특히 중국 유학생들을 유치하고 유지하기 위한 장기적인 전략 모색이 필요하다. 그래서 외국인 유학생들이 증가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목표하는 진정한 의미에서는 대학에 들어온 외국인 유학생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을 면밀히 살피고 이해하고 도움을 주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라서 학교 축제 선택속성, 축제만족도, 재방문 의도 간의 관계 그리고 유학 생활 적응도에 따라 이 세 가지 측면에 유의한 차이를 분석을 통한 중국인 유학생들의 특성 및 욕구를 파악하고 그들의 유학 생활의 질을 높여주기 위해서 다양한 학교 축제를 개발하고 운영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유치 그리고 유지 전략을 모색하는 데 주목적이 있다. 코로나 19 시국에 직접 대면적 설문지를 배포하는 어려움을 고려해서 인터넷에 중국인들이 사용하는 위챗으로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260부 중 258부 설문지를 회수되었으며, 불성실한 응답이 37부를 제외한 221부(85%)가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요인분석 결과에 따라 중국인 유학생이 학교 축제 선택속성이 "축제 프로그램 및 인프라", "다문화 콘텐츠"의 2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유학 생활 적응도는 "학교생활 적응도", "사회생활 적응도", 2개 유형을 추출되었다. 중국 유학생의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첫째 ‘대학축제 선택속성은 대학축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1은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채택 여부를 검증하였는데 분석결과는 대학축제 선택속성의 2가지 요인 중 축제 프로그램 및 인프라는 대학축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이 채택된 반면 다문화 콘텐츠가 대학축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가설1이 부분 채택되었다. 둘째 ‘대학축제 만족도는 대학축제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2는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채택 여부를 검증하였고 분석결과는 대학축제 만족도는 대학축제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2가 채택되었다. 셋째 ‘유학 생활 적응도가 대학축제 선택속성, 축제만족도,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 3은 t-테스트를 하였으며 ‘유학 생활 적응도 중에서 학교생활 적응에 따라 대학축제 선택속성, 축제만족도,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 3-1, ‘유학 생활 적응도 중에서 사회생활 적응에 따라 대학축제 선택속성, 축제만족도,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 3-2가 모두 채택되었다. 따라서 대학축제 중에서 어떠한 선택속성이 대학축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을 알 수 있고 대학축제 만족도는 대학축제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실 또 알게 되었다. 또한 유학 생활 적응도를 높임으로써 학교 축제 선택속성, 축제만족도, 재방문 의도 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 대학 구조개혁 정책의 영향 분석 : 학생충원율을 중심으로

        이민철 고려대학교 행정전문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87

        The higher education in Korea has expanded rapidly in quantity, but the total fertility rate has been decreasing continuously, and the college-age population began to fall short of the admission quota from the 2021 academic year. The Ministry of Education worried that this would lead to the deterioration of the higher education ecosystem, as local universities and vocational colleges would face difficulties in filling their student quotas regardless of the quality of educ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pursued a university restructuring plan with the realistic goal of reducing the admission quota to cope with the massive under-enrollment of local universities, considering that the crisis of local universities is directly linked to the regional crisis. However, despite the visible achievement of reducing the quota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university restructuring policy, the uniform evaluation that igno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ies was criticized for damaging the identity and academic autonomy of the universities, promoting the hierarchy of the universities, and lacking consideration for the local universities. When students choose which university to enter, or whether to continue their studies at their current university or move to another one, they are influenced by the social reputation of the university. Therefore, universities that have been labeled as substandard by the university evaluation based on the university restructuring policy may face difficulties not only in securing new students, but also in retaining existing students. If the universities that are classified as lower-tier by the university evaluation suffer from a decrease in tuition income due to a lack of students, they will not be able to secure enough funds for educational investment, and the environment and quality of education will decline. These universities will then be shunned by new and existing students, creating a vicious cycle of difficulty in filling their student quotas. If we consider the higher education system centered on the metropolitan area, if this vicious cycle occurs more in local universities than in metropolitan universities, we can say that the university restructuring policy has exacerbated the gap between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universities. The direct effect of the university restructuring policy implemented since 2015, the reduction of the admission quota, has already been quantitatively shown. In this study, we went one step further and examined the impact of the university restructuring policy on the student enrollment indicators, such as the new student enrollment rate and the existing student enrollment rate, and the impact on the students’ university choice. We also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 location of the university and examined the impact of the university restructuring policy on the prevention of the crisis of local universitie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university restructuring evaluation implemented in 2015 and the university basic competency assessment in 2018 on the new student enrollment rate and the existing student enrollment rate, we analyzed 122 four-year universities nationwide that received both evaluations, and conducted a panel regression analysis of the university information disclosure data from 2014 to 2020. The pane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impact of the university restructuring policy on the existing student enrollment rate varied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university, and the gap between the upper rank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upper rank universities in the non-metropolitan area widened. The main results of the panel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the university restructuring evaluation in 2015 and the university basic competency assessment in 2018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new student enrollment rate, and the new student enrollment rate of the upper rank universities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the existing student enrollment rate was analyzed as a dependent variable, the location and evaluation results of the university had an impact throughout the entire analysis period, and the existing student enrollment rate of the metropolitan universities was significantly higher, and the existing student enrollment rate of the upper rank universitie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lower rank universities. Whe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location of the university on the impact of the university restructuring on the existing student enrollment rate was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location of the university on the impact of the university restructuring on the existing student enrollment rate was confirmed during the period from 2016 to 2020, and the existing student enrollment rate of the upper rank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upper rank universities in the non-metropolitan area. We conducted a multilevel model analysi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university restructuring policy on both the institutional and individual levels. We set the intention to move to another university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university satisfaction as the mediator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university restructuring policy, and examine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university. We used the university information disclosure data for the institutional level variables, and the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Ⅱ (KEEPⅡ) data for the individual level variables, and linked the two data sets by the university name to construct a multilevel data set. The multilevel model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impact of the university restructuring policy on the intention to move to another university of the students of private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non-metropolitan area was different. The intention to move to another university of the students of the upper rank private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decreased, while the intention to move to another university of the students of the upper rank private universities in the non-metropolitan area increased. The results of the multilevel model analysis by classifying the universities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type of establishment are as follows. For the analysis of the whole universities, the analysis based on the year 2018 showed that the result of the university restructuring evaluation in 2015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university satisfaction and reduced the intention to move to another university through the complete mediation of the university satisfaction. The influence of the location of the university and the result of the university basic competency assessment in 2018 did not appear, and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the university restructuring evaluation in 2015 and the university basic competency assessment in 2018 and the location did not appear in the analysis based on the year 2019. When the analysis target was only private universities, the analysis based on the year 2018 showed that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in 2015 reduced the intention to move to another university through the complete mediation of the university satisfaction. The influence of the university restructuring evaluation in 2015 and the university basic competency assessment in 2018 and the location of the university did not appear in the analysis based on the year 2019. For the analysis of the private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analysis based on the year 2018 showed that the result of the university restructuring evaluation in 2015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university satisfaction and reduced the intention to move to another university through the complete mediation of the university satisfaction. The analysis based on the year 2019 showed that the result of the university restructuring evaluation in 2015 had a direct negative impact on the intention to move to another university. Thus, the result of the university restructuring evaluation in 2015, which was the upper rank university, reduced the intention to move to another university of the students of the private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For the analysis of the private universities in the non-metropolitan area,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f the university satisfaction on the intention to move to another university did not appear. The analysis based on the year 2018 showed the positive impact of the result of the university basic competency assessment in 2018 on the intention to move to another university, and the analysis based on the year 2019 showed that the impact of the university evaluation on the intention to move to another university did not appear. The higher intention to move to another university of the students of the upper rank private universities in the non-metropolitan area in the analysis based on the year 2018 may be due to the hierarchical structure centered on the prestigious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that want to move to a higher-ranked university. This phenomenon can also explain the reason why the existing student enrollment rate of the upper rank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upper rank universities in the non-metropolitan area in the institutional level analysis. Through the analysis above, we confirmed that the university restructuring policy increased the existing student enrollment rate of the metropolitan universities compared to the non-metropolitan universities, and widened the regional gap, and that the result of the university restructuring policy had a different impact on the intention to move to another university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university. As a result, the university restructuring policy empirically showed that it aggravated the difficulty of filling students for local universities by promoting the hierarchy of universities. Through this study, we identified various variables at the institutional and individual levels that affect the intention to move to another university. Among them, the variable that had a common negative impact on the intention to move to another university was the major satisfaction. This result means that the driving force for students to continue their studies without moving to another university is the education, which is the essence of the university.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we proposed, first, the establishment of a realistic education innovation plan that reflects the various conditions of each university, and second, the securing of the university's educational excellence and social responsibility through the strict performance management of the governmen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is study, we used the university information disclosure data from 2014 to 2020 for the institutional level data, and we could not analyze the impact of the university basic competency assessment in 2021. Second, KEEPⅡ started the survey in 2016 for the second year of high school, and we could not analyze the impact of the university restructuring evaluation in 2015 on the students from 2015 to 2017. Third, we could not conduct a regional segmentation for the policy formulation to overcome the crisis of local universities by region in reality. Fourth, this study only conducted a quantitative analysis using the university information disclosure data, and could not analyze the qualitative impact of the university restructuring policy on the university. 우리나라의 고등교육은 양적으로 급격히 팽창해왔지만, 합계출산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해 오고 있어 2021학년도를 기점으로 대학 입학연령 인구가 입학정원에 미달하기 시작하였다. 교육부는 교육의 질과 관계없이 지방대학과 전문대학부터 학생충원에 어려움을 겪게 되고 이는 고등교육 생태계의 황폐화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였다. 교육부는 지방대학의 위기는 지역의 위기로 직결됨을 고려하여 지방대학의 대규모 미충원 사태에 대비하고자 대학 입학정원 감축에 실질적인 목표를 둔 대학 구조개혁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대학 구조개혁 정책은 정원감축이라는 가시적인 성과에도 불구하고 대학 특성이 무시된 획일적인 평가 시행으로 인해 대학의 정체성과 학문적 자율성을 훼손하였고, 대학의 서열화를 더욱 조장하였고 지방대학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였다는 비판을 받았다. 신입생들이 진학할 대학을 선택할 때, 재학생들이 재학 중인 대학에서 학업을 지속할지 또는 다른 대학으로 이동할지 선택을 할 때 대학의 사회적 평판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대학 구조개혁 정책에 따른 대학평가에서 부실대학이라는 오명을 쓴 대학들은 신입생 확보뿐만 아니라 재학생 유지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대학평가에서 하위대학으로 분류된 대학들이 재학생 부족으로 등록금 수입이 감소하게 되면 교육 투자를 위한 충분한 재정을 확보하지 못해 교육의 환경과 질이 떨어지게 된다. 이 대학은 다시 신입생과 재학생들의 외면을 받게 되어 학생 충원의 어려움이 더욱 커지는 악순환이 발생하게 된다. 만약 수도권 중심의 고등교육 체제를 고려할 때, 이러한 악순환이 수도권 소재 대학보다 지방 대학에서 더 많이 나타난다면, 대학 구조개혁 정책이 수도권 소재 대학과 비수도권 소재 대학의 격차를 심화시켰다고 볼 수 있다. 2015년부터 시행된 대학 구조개혁 정책의 직접적인 효과인 입학정원의 감축은 이미 정량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한 걸음 더 나아가 대학 구조개혁 정책이 대학의 학생충원을 나타내는 신입생충원율과 재학생충원율에 미친 영향과 학생들의 대학선택에 미친 영향을 확인하고 이때 대학의 소재지의 영향을 분석하여 지방대학의 위기 예방에 미친 대학 구조개혁 정책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학 구조개혁 정책에 따라 시행된 2015년 대학구조개혁평가 및 2018년 대학기본역량진단 결과가 신입생충원율 및 재학생충원율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두 평가를 모두 받은 전국의 4년제 122개 대학을 분석대상으로 하였고, 대학정보공시의 2014년 ~ 2020년 자료를 패널회귀분석하였다. 패널회귀분석 결과는 대학 구조개혁 정책이 재학생충원율에 미치는 영향이 대학의 소재지에 따라 달라져 수도권 상위대학과 비수도권 상위대학의 격차가 더 커졌음을 보였다. 패널회귀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5년 대학구조개혁평가 결과와 2018년 시행된 대학기본역량진단의 결과는 신입생충원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 상위대학의 신입생충원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재학생충원률을 종속변수로 분석하였을 때 대학의 소재지와 대학평가 결과는 분석기간 전체에 거쳐 영향을 미쳐 수도권 소재 대학의 재학생충원율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대학평가 결과 상위대학의 재학생충원율이 하위대학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 재학생충원율에 미치는 대학 구조개혁의 영향에 대한 대학 소재지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2016년 ~ 2020년 기간 동안 재학생충원율에 미치는 대학 구조개혁의 영향에서 대학 소재지가 미치는 조절효과를 확인하여 수도권 상위대학의 재학생충원률이 비수도권 상위대학보다 유의하게 더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구조개혁 정책이 기관 차원에 미친 영향과 함께 학생들에게 미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다층모형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학이동의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대학만족도를 매개변수로 두어 대학 구조개혁 정책이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 이때 대학의 소재지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였다. 기관 수준 변인은 대학정보공시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개인 수준 변인은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Ⅱ:KEEPⅡ) 자료를 활용하였고 대학명으로 두 자료를 연계해 다층자료를 구축하였다. 다층모형 분석결과는 대학 구조개혁 정책이 수도권 사립대학과 비수도권 사립대학 학생들의 대학이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다름을 보였다. 수도권 사립대학 중 상위대학 학생들의 대학이동의도는 낮아진 반면, 비수도권 사립대학 중 상위대학의 학생들의 대학이동의도는 더 높아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대학을 소재지와 설립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다층모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대학에 대한 분석 결과, 2018년 기준 분석에서 2015년 대학구조개혁평가 결과가 대학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대학만족도의 완전매개를 통해 대학이동의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대학소재지와 2018년 대학기본역량진단 결과의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고, 2019년 기준 분석에서 2015년 대학구조개혁평가와 2018년 대학기본역량진단 및 소재지의 유의한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분석대상을 사립대학만으로 하였을 때, 2018년 기준 분석에서 2015년 평가결과는 대학만족도의 완전매개를 통해 대학이동의도를 낮추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019년 기준 분석에서는 2015년 대학구조개혁 및 2018년 대학기본역량진단 결과와 대학소재지의 영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수도권 소재 사립대학의 2018년 기준 분석에서 2015년 대학구조개혁평가 결과는 대학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대학만족도의 완전매개를 통해 대학이동의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기준 분석에서는 2015년 대학구조개혁평가 결과는 대학이동의도에 직접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와 같이 2015년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서 상위대학이라는 평가결과는 수도권 사립대학 학생들의 대학이동의도를 낮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수도권 사립대학에 대한 분석에서는 대학만족도가 대학이동의도에 미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2018년 기준 분석에서 대학이동의도에 대한 2018년 대학기본역량진단 결과의 정적인 영향이 나타났고 2019년 기준 분석에서는 대학이동의도에 대한 대학평가의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2018년 분석에서 나타난 비수도권 상위대학 학생들의 대학이동의도가 더 높은 것은 위계가 더 높은 대학으로 이동을 원하는 수도권 명문대학 중심의 위계 구조가 이유가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현상은 기관 수준 분석에서 수도권 상위대학의 재학생충원률이 비수도권 상위대학보다 유의하게 더 높아진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분석을 통해 대학 구조개혁 정책이 비수도권 대학에 비해 수도권 대학의 재학생충원율을 높여 지역 간 격차를 높였고, 대학 구조개혁 결과는 대학 소재지에 따라 대학이동의도에 다르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대학 구조개혁 정책은 대학의 서열화를 더욱 조장하여 지방대학의 학생 충원에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이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기관 및 개인 수준의 다양한 변인을 확인하였다. 그 중 공통적으로 대학이동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전공만족도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학생들이 대학을 이동하지 않고 학업을 지속하도록 하는 원동력이 바로 대학의 본질인 교육에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첫째, 각 대학의 다양한 여건을 반영한 실질적인 교육혁신계획의 수립과, 둘째, 정부의 엄정한 성과관리를 통한 대학의 교육 수월성과 사회적 책무성 확보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번 연구에서 기관 수준의 자료는 2014년부터 2020년까지의 대학정보공시 데이터를 활용하여 2021년 대학기본역량진단의 영향을 분석할 수 없었다. 둘째, KEEPⅡ는 2016년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조사가 시작되어 2015년 대학구조개혁평가 결과가 2015년~2017년 재학생들에게 미친 영향을 분석할 수 없었다. 셋째, 실질적으로 지역별 지방대학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 수립을 위한 지역별 세분화를 하지 못했다. 넷째, 본 연구는 대학정보공시 자료를 활용해 정량분석만 시행하여 대학 구조개혁 정책이 대학에 미친 정성적 영향을 분석하지 못하였다. 앞으로 10~15년은 고등교육 혁신의 마지막 “골든타임”이다. 정부의 성공적인 정책 시행을 통해 우리나라 고등교육 생태계가 건전하게 유지되기 위해서 지역대학의 위기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와 정책제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타 지역 출신 재학생의 학과 선택 이유 분석 : 지방 C대학을 중심으로

        고은애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87

        This study was conducted mainly at C University on the reasons of department selection of students from other regions. Local universities are having difficulties attracting talented students in the region because of a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from the low birth rate, ranking of universities, and preference for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addition, the school-age population in the region is limited, so it may be difficult to recruit students at local universities if only students in the region are accepted. The influx of students from other regions can expand the pool of admission resources at local universities. Furthermore, local universities are mostly composed of students from the surrounding areas due to their regional location. However, the influx of students from other regions can be a good opportunity to experience diversity and increase diverstiy acceptance in the university. An university is the stage where university students establish their values and prepare before entering society. Interacting and experiencing with students from various regions can be expected not only to have an attitude toward others but also to have a learning effect. C University is a university located in the Honam region, and about 87% of the freshmen are from the surrounding area. However, certain departments are constantly being admitted by students from other region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to see what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entering from other regions are, an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and affiliations of the departments they enter. First, what are the reasons students from other regions choose departments? Second, are there differences in the reason for students from other regions to choose a department by the similar affiliation department? Third, what are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from other regions? Fourth, are there differences in the reason for choosing a department according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from other regions? In order to carry out research questions, 19 departments were selected from other regions of University C, a survey was conducted on 793 students from other regions of the department. Among those, 469 respond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from other regions chose a department at C University considering of "admission process and cut-line of the department," "national rarity of a department," and "acquisition of a license." The department's online and offline promotional materials were not influential, but it was found that the department was selected mainly at the recommendation of family members such as parents and siblings.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similar affiliation the reasons for choosing the department from other region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rts and physical education, and medicine affiliation considered admission process and cut lines the most. The natural engineering department and the general education department considered the rarity of the department the most. Students from other regions firstly chose a department and then chose the department of University C in consideration of various reasons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epartment. Third,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from other regions are mainly that their parents' average monthly income is between 4 million won and 6 million won, they graduated from a high school in the city with grades 2 to 5, and mainly entered early admission. These individual characteristics differed by the similar affiliation department. In particular, the medical affiliation clearly showed differences in personal characteristics from other departments. Students in the medical affiliation from other regions have parents who earn more than 10 million won per month on average. Students from other regions in the medical affiliation have parents who earn more than 10 million won per month on average. And they were from high schools in metropolitan cities with grades 2 to 5, and were mainly admitted through regular admission. Fourth,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differences in the reasons for choosing the department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from other regions are as follows. Students with high parents' average monthly income and excellent high school grades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partment in various ways when choosing the department, but students with low parents' average monthly income and low high school grades had a low level of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partment when selecting the department. In particular,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department's social reputation, national rarity of a department, and major programs were mainly considered in selecting the department. However, this study found that the influx of students from other regions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securing admission resources and securing student diversity. Diverse students in a university can have the advantage of developing learning skills and diversity acceptance in university life.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fundamental data for developing strategies to attract students from other regions at C University.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fundamental data for developing strategies such as designing and promoting the admission process to attract students from other regions at C University. In addi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re is a need for a program that allows students from other regions to adapt at University C and interact with students in the school. In addi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re is a need for a program that helps students from other regions to adapt at University C and interact with students in the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