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교 논술 지도 연구

        이기행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인문계 고등학생들의 실제 논술문 작성 실태는 어떠한가, 고등학교 현장에서의 지도 방법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분석하여, 고등학교 학생들의 논술 능력이 교사와 학생들간의 상호 작용 및 학생들간의 적극적인 상호 작용에 의해 향상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를 구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통합 교과적으로 단계적 지도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사고력이 계발될 뿐만 아니라, 수동적인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논술의 주체가 되어 교수-학습 과정에 흥미를 느끼게 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었다. 특히 기존의 연구가 고등학교 현장에서 적용되기 어렵다는 판단 하에, 현장 보고서 형식으로 작성하여 실제 수업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II장에서는 고등학교 학생들의 논술 실태를 분석하기 위해 실제 논술을 실시하였다. 논술의 기능이 표현력과 사고력의 양측으로 구성된다는 전제하에 두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기초적인 기능이 매우 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하나의 단락뿐 아니라 문장 하나도 제대로 구사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내용 또한 대체로 천편일률적이었고, 논리력과 분석력 또한 결여되어 었었다. III장에서는 II장의 실태 분석을 바탕으로 지도 모형과 전략을 다각적으로 검토하였다. 먼저 표현력 향상을 위해 어휘, 문장, 단락, 구성력을 갖추게 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모색하였다. 논술이 '정신'보다는 '기능'에 치우친다는 반성의 소리가 있는 것도 사실이지딴, 아무리 좋은 '정신'도 논리적으로 표현하지 못한다면 쓸모 없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III장에서는 사고력 증진 방안에 초점을 맞추어 서술하였다. 사고력을 창의력과 논리력 그리고 분석력으로 나누고, 향상 방안을 검토해 보았다. 이는 논술 교육의 목표가 단순히 글쓰기의 재주를 기르게 하는 것이 아니라 사고력 함양에도 큰 비중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III-2에서는 III에서 제시한 전략을 바탕으로 8단계 상호 작용적 지도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는 다음과 같은 기본원리를 중심으로 구안되었다. 첫째, 논술 능력은 문제-해결 과정의 각 단계별로 요구되는 전략을 학습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둘째, 논술 능력은 표현 기능과 사고 기능의 활성화를 통해서 향상될 수 있다. 셋째, 교사 중심의 단계에서 학습자 중심의 단계로 전이되는 과정에서 논술 능력은 향상될 수 있다. 넷째, 교사와 학습자간, 또는 학습자들간의 적극적인 상호 작용을 통해 논술 능력은 향상될 수 있다. '단계적 논술 지도 모형'은 논술 과정에서 학습자들이 접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어려움들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구안된 것으로, 학습 단계에 따라 그 지도내용과 방법을 달리하는 '단계적 지도 원리'를 구성 원리로 하여 이루어졌다. 각 단계마다 초기에는 주로 교사의 설명과 시법 위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업의 주도권이 교사에게 주어진다. 그러다가 학습 후기에는 학습자가 어느 정도 논술 능력의 기초가 되는 기능과 지식을 익히게 되어 교사의 비중은 점차 축소되면서 학습자 스스로 논술 과정을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지도의 초점이다. 이 연구는 고등학교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일반 인문계 고등학교 1,2학년을 표집하여 단 1회 실험한 결과를 분석하여 연구가 진행되었기 때문에 그 성과가 매우 미흡하다. 또한 논술을 범교과적으로 어떻게 지도해야 하는가 하는 구체적인 방안도 제시하지 못했다. 이를 위해서는 국어과 교사를 비롯한 모든 교사들이 각 교과별 특성을 고려하여 학습자의 사고력을 계발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연구해야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ducational actual conditions of the writing in high school and finds out the desirable direction to activ analyzing the actual composition and the teaching methods of critical the class. So the way to develop the critical writing ability of the hi students is researched by the activ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among students. Hence it is important that passive students were changed into th with positive attitude in the critical writing class used of the step courses in synthesized curricular. Chiefly, because these former stud were too much theoretical were difficult to be adapted to the teachin field, this paper applies the concept in the actual class like a field rep. To analyze students' critical writing abilities, chapter II is classified aspects, the expression and contemplative faculty The results thus show to be weak on sides of the fundamental function of the phrase, as well as the dividing paragraphs and insufficient the ability of logic and analysis. In the chapter III, multi-dimensional teaching models or strategies ar the ground of the second chapter. It is concerned about the construe vocabulary, sentences, paragraphs for raising forward the developed e In fact, the most important thing in critical writing is that it needs sk express one's own mind and thoughts. Especially the third chapter re ways to raise the contemplative faculty having creative, logical and sub-categories. It is a reason that the dissertation education in the cla the development of contemplative faculty as well as the skills to write. The chapter III-2 is to find the teaching methods of 8 aspects on the of the third chapter models or strategies. And this chapter is com follows in principles: The ability of critical writing can be raised m more by learning the strategies, by activating the contemplative facult expression. by changing subjective teachers into subjective students, interacting between teacher and student or among students. A stepped curricular model on the teaching of critical writing is com the methods which can manage the much problems usefully as 'the teaching principle' is used to changing the contents and measureme stage. In the front class, teachers will be model because they must do show good examples, however, students in the later class will be active who can composite the critical writing for themselves in the stepped model. Even though this paper is a significant of finding the methods applyi first line education spots, because some students in high school were randomly at one time, the results are left much to be desired. In a needs to research on the models capable of cultivating learne contemplative faculty and research on how to teach the critical writing effected throughout pan-curricular in the future.

      • 과정중심 논술지도 방법 연구

        강태일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1990년대 중반부터 상당수 대학들이 입학시험에서 논술고사를 시행함에 따라 대학 입시 대비를 위하여 논술을 학습해야 할 현실적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 이보다 논술이 필요한 근본적인 이유는 논술이 의사소통 능력, 논리력, 창의력, 비판력, 의사결정 능력 등을 향상시키며 긍정적이고 바람직한 정서를 함양하는 데도 효과적인 학습활동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보면 논술은 범교과적 성격 때문에 지도의 주체가 불분명하여 논술지도를 회피하는 경향이 다소 있다. 또 학생수 과다에 따른 개별지도의 어려움과, 현장에 적용가능한 지도방법의 미비 등으로 논술 지도는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논술 쓰기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면서 현장에서 활용하기 편한 논술 지도 방안을 구안할 필요성이 증대된다. 이 연구는 기존의 전통적 지도 방안인 결과중심 논술지도의 문제점에 대한 하나의 대안으로 과정중심 논술지도 방안을 구안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과정중심 논술지도 방안은 논술의 과정을 중시하여 논술 과정마다 '무엇을 어떻게 학습할 것인가'하는 방안을 수립하는 것이 요점이다. 논술을 하나의 문제해결 과정으로 보면 논술 과제 해결 전략을 학습하고 습득된 전략을 새로운 문제상황에 적용함으로써 과제 해결이 가능할 뿐 아니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린다 플라워의 5분법을 원용하여 논술의 과정을 계획하기, 내용 생성하기, 내용 조직하기, 표현하기, 고쳐 쓰기로 나누고 아울러 조정하기 과정을 두어 전 단계의 미비점을 계속 보완 수정해 나가도록 하였다. 각 과정별 문제해결 전략은 다음과 같다. 계획하기 과정에서는 문제분석 및 주제 설정 전략을, 내용 생성 과정에는 브레인스토밍, PMI 기법, 즉석 말하기 전략을, 내용 조직하기 과정은 개요 작성 전략을, 표현하기 과정에서는 부분적 얼른 쓰기 전략과 전체적 초고 쓰기 전략을, 고쳐 쓰기 과정에서는 동료의 조언전략과 지도 교사의 조언하기 전략을 마련하였다. 과정별 전략은 직접 교수법의 원리에 따라 학습할 수 있도록 구안하였다. 과정중심 논술지도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논술 쓰기 과정을 몇 단계로 나누고 각 과정마다 적절한 전략을 학습하여 부분적, 순차적으로 접근하면 막연히 한꺼번에 논술 쓰기를 행하는 경우보다 논술 쓰기가 보다 쉽게 해결될 수 있다고 본다. 둘째, 논술 쓰기에서 학습자들이 실제적으로 가장 힘들어하는 것이 내용 생성이다. 사전에 논술 문제를 제시하고 관련자료를 조사하고 브레인스토밍, PMI기법, 즉석 말하기 등 다양한 기법을 활용함으로써 내용 생성이 보다 쉬워지게 된다. 셋째, 개별학습과 토의학습을 병행함으로써 전적으로 개별적인 논술 학습 때보다 내용이 풍부하고 정교성도 높게 된다. 넷째, 학습자들이 논술 쓰기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킴으로써 자기 주도적 논술 학습 태도의 긍정적 변화가 기대된다. 다섯째, 과정 중심의 접근과 문제 해결 전략의 활용, 모둠원의 협력 등으로 숙련자는 물론 특히 초보자에게도 유용한 논술 학습 방법이 될 것이다. 논술지도는 특정 교과 담당 교사의 몫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모든 교사가 논술 지도 교사라는 인식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늘 문제점을 발견하고 발견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상황을 의도적으로 제공하고, 아울러 체계적이고 의도적인 독서지도도 병행하여야 한다. Since the midst of 1990s, the exam of persuasive essay has been carried in the entrance exam. So,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persuasive essay to prepare for the entrance exam of university. Above all, communication ability, logicality, critical ability, communicative decision ability are improved by the persuasive essay. and the persuasive essay is an effective learning activity in improving a positive and desirable emotion. This is why the teaching of persuasive essay is needed in High School. In spite of this importance, the teaching of persuasive essay tends to be lightly thought in High School. because it has the character of extra subject and the main body of teaching is not well-defined. Also, the difficulties of person guidance and the absence of applicable teaching methods prevent us from activating a teaching of persuasive essay. The teaching methods of persuasive essay which can be helped in High School are demanded gradually.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of process-centered persuasive essay instead of a teaching method of result-centered persuasive essay which was traditional method. This study places great importance on a teaching method of process-centered persuasive essay. In this study, the main point is "What and how will we learn?" If the persuasive essay is regarded as a process of task-solving, Its task would be able to solve when the strategy of task-solving is learned and applied to new tasks. Further, the tasks could be able to settle accurately and promptly. In this study, quoting Flower's "division into five parts", the processes of persuasive essay are divided into the followings: planing, generating, organizing, expressing and rewriting the ideas. And The strategies of task-solving by each proces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process of planing, the strategies of problem-analysis and topic-settlement are suggested. 2)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strategies of brainstorming, PMI-techniques, and impromptu speaking are suggested. 3) In organizing, the strategies of drawing up outline are suggested. 4) In expressing, the strategies of a quick-writing by part and a whole manuscript-writing are suggested 5) In the process of rewriting, the strategies of advice of colleagues and teachers are suggested. The process-centered persuasive essay teaching methods are expected to have the effect of the follows: First, If we approach writing a persuasive essay partly and methodically after learning the strategies of the processes mentioned above, persuasive essay-writing would be able to be solved with more ease. Second, as a matter of fact, generating the contents of the persuasive essay is the most difficult for learners. However, It would be more easy if we analyze the topics of the persuasive essay, examine the concerned materials, and use some skills such as brainstorming, PMI-technique and impromptu speaking. Third, As we use an individual learning and a discussion learning simultaneously, the contents would be more abundant and elaborate, unlike depending on only an individual learning wholly. Forth, As Learners have little burden of writing persuasive essay, a positive change, that is, self-centered learning activity would be expected. Fifth, As learners use the strategies of problem-solving, do the process-centered approach, and help each other in the course of writing a persuasive essay, this learning and teaching method would be useful for beginners as well as skilled writers. Finally, a drastic switch in thought is necessary for effective teaching of persuasive essay. So to speak, all teachers have to look at the responsibility of teaching of persuasive essay in a new light. Teaching of persuasive essay should be the responsibility of all teachers, not special teacher. All teachers should try to discover the problems and solve them for learners. Also, a systematic and deliberate guidance in reading for learners should be done at the same time.

      • 논술 능력 신장을 위한 지도 방안 연구

        김희재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This study is to seek a practical and specific essay teaching method for the students in rural areas, who are mostly from poor family and can't allow to take essay lessons. The following is a summarized content according to the chapter. In the second chapter, I studied a writing method across the curriculum as a kind of essay teaching method and a teaching method through reading, writing, discussion and argument. By binding these together, I draw an essay teaching way proper for this study, suggesting a correct direction of essay teaching. In the third chapter, I measured how the students' writing ability had improved. The students in an essay classroom were taught from common writing education to an integration essay and a science one. We taught them with six steps ― planning, generating, systematizing, presenting, estimation, and correction & complement. <국문초록> 전남의 농촌지역인 ㄱ군(읍)의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논술 지도를 하여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논술 지도에 대한 방법을 모색해보았다. 제Ⅱ장에서는 논술지도의 방안을 고찰해보고 방안으로 제시되는 범교과적 (writing across the curriculum) 논술지도 방안, 읽기와 쓰기를 통한 논술 지도 방안, 토의 및 토론을 통한 논술 지도 방안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종합하여 올바른 논술 지도 방향을 제시해 보았으며 이 연구에 적합한 논술 지도 방안을 추출하였다. 제Ⅲ장에서는 논술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논술 교육으로부터 시작해서 통합 논술, 그리고 과학 논술을 지도하여 학생들의 논술 능력 향상 정도를 알아보았다. 논술의 지도 절차를 세부적으로 계획하기, 내용 생성하기, 내용 조직하기, 표현하기, 평가하기, 수정·보완하기의 6단계로 나누어 지도하였다.

      • 인문계 고등학교 학년별 논술 지도 사례 연구

        정인수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I, the author of this thesis suggested the method of essay instruction and its concrete shape based on the several years' experience of essay teaching in the academic high school. Under the circumstance that essay doesn't include in the formal education curriculum of high school, I, Author organized the essay education course, focusing on the respective process of instruction within the existing frame of education curriculum. First of all, I, author elucidated the principles of essay instruction, invented the instruction model by setting the system, and suggested the way of essay teaching. First of all, I, author found out problems in essay writing of high school students and revealed the cause of problems. I, author suggested the abilities, which should be equipped in essay writing, fitting to the composing factors of essay type examination of each University and essay writing process. After then, I, author suggested the required measures for complementing the deficiency in students' essay skills and concrete instruction methods of academic high school. Based on the essay instruction model, suggested above, I, author suggested the method of essay instruction according to the school year and focused on the respective factor, necessary for the essay writing. I set all of the first year students as target and established the preliminary stage of instruction for them. I encouraged students to read books for accumulating background knowledge and write a book review following the arrangement of contents in the reading diary by using the time of creative activities. In order to enhance the thinking ability of students, I organized the "Reading Discussion Club" in the time of the development activity, and led the discussion of students based on their reading. In the final stage, I suggested the method of essay writing. I set up the second grade as the introduction stage of essay, and suggested the method to cultivate the expression ability by using the time after school as a preparation stage for essay. I, author suggested the class operation principles and practices on the basic premise of instruction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students and step by step writing process. I, author provided the third year students with the instructio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essay type examination, focusing on the peculiarity of third year students, aiming at the National Scholastic Achievement Examination for the College Entrance. In consideration of special condition of third year students, I suggested the method to instruct the actual essay according to themes in preparation for the college entrance exam. Based on the essay i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each year, suggested in the chapter III, the chapter Ⅳ presented the actual instruction cases towards students based on the essay instruction methods in accordance with the school grade. In the 'Reading instruction', I suggested the recommendation lists for the required books, and investigated the effect of instruction by carrying out the interview of students. In addition, by suggesting the real writing of students, I presented the method of concrete instruction. In the 'Discussion guidance" I suggested annual reading lists and discussion topics, and I suggested the reading discussion diary in which the discussion contents of students and the comments of the researcher of this thesis on the essay paper are contained. 'In terms of the essay instruction for the 11th year(the second year of high school)" I, author drew up the figure of class content and method and explained the development process by classifying the class 'Basic class', 'intermediate class(jump class), and 'advanced class(actual writing class). In the respect of the essay instruction for the 12th year(the third year of high school), I, author suggested topics, which are inclusive of each unit of class, and explain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class that arranges 2 days as one unit. I suggested the outline of students and the contents of correction, by presenting the students' essay and the corrected composition.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various instruction methods of essay throughout 3 years of high school students, which can overcome the limit of fragmented and temporary essay instruction method. 연구자는 여러 해 동안 인문계 고등학교에서의 논술 지도 경험을 바탕으로 논술 지도의 방안과 그 구체적인 실제의 모습을 제시하였다. 고등학교의 정규 교육과정 안에 논술 과목이 별도로 마련되지 않은 것에 착안하여 기존의 교육 과정의 틀을 유지하면서 학교 자체의 논술 교육 과정을 만들고 각각의 과정별 지도 방법에 초점을 맞추었다. 먼저 논술 지도의 원리를 밝히고, 체계를 세워 지도 모형을 구안하여 제시하였다. 우선 학생들의 논술문에 나타나는 문제점을 찾고, 그 원인을 밝혔다. 학생들이 논술을 잘 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능력을 대학별 논술 시험의 구성요소와 학생들의 논술 작성 과정에 맞추어 제시하였다. 그런 다음 논술에 필요한 능력임에도 학생들에게서 부족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대책을 제시했고, 그것을 학교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안들을 각각 제시했다. 앞서 제시한 논술 지도 모형을 바탕으로 학년별로 논술을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면서 논술에 필요한 능력 요소 하나하나를 각 학년에서 중점적으로 지도하게끔 하였다. 1학년은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지도하며, 본격적인 논술 지도에 앞선 예비지도 단계로 설정했다. 창의적 재량 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배경 지식을 쌓을 수 있도록 책을 읽히고, 독서 기록장에 내용을 정리한 다음 독후 감상문을 쓰도록 하였다. 학생들의 사고력을 기르기 위해 계발 활동 시간에 ‘독서 토론부’를 만들어 책을 읽히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토론하고, 마지막에는 논술문을 쓰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2학년은 논술의 입문 단계로 설정하고, 필요한 학생에게만 본격적인 논술문을 쓰기 위한 준비 단계로 방과 후 학교 시간을 활용하여 표현력을 기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학생들의 능력에 맞추어 수준별로 지도하는 것과 과정별 쓰기 지도를 기본 전제로 삼아 수업을 운영하는 원리와 수업 내용 등을 제시하였다. 3학년은 수학능력시험을 중점적으로 대비하는 학년의 특성에 맞추어 수능 시험을 치른 다음 대학별 고사로서의 논술을 치르기 전까지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시간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대학별 고사에 대비한 주제별 실전 논술 쓰기를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제시한 각 학년별 논술 지도 방안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실제로 학생들을 지도한 모습을 보였다. ‘독서 지도’에서는 필독 도서 추천 양식을 제시하였고, 학생들과 면담을 실시하여 지도의 효과에 대해 정리해 보였다. 그리고 실제 학생들이 쓴 글을 제시하여 구체적인 지도의 방법을 보였다. ‘토론 지도’에서는 연간 독서 목록 및 토론 주제를 제시하였고, 실제 학생들이 토론한 내용을 적은 독서토론 기록장과 학생들이 쓴 논술문에 연구자가 총평한 내용을 같이 제시하였다. ‘11학년 논술 지도’에서는 기본반, 도약반, 실전반의 교시별 수업 내용과 수업 방법을 표를 들어 보이고, 그 전개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12학년 논술 지도’에서는 수업의 단위에 해당하는 주제를 묶어서 제시하였고, 이틀을 단위로 이루어지는 수업의 전개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학생들의 개요와 그것을 첨삭 지도한 내용, 학생들의 논술문과 첨삭 지도 내용의 모습을 실제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단편적이고 일시적인 논술의 지도 방법에서 벗어나 고등학교 3학년 내내 다양한 방법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 것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첨삭 지도를 통한 논술 능력 향상 연구

        김덕규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논술이 교육 문제의 최대 관심사이다. 상위권 대학들이 2008학년도 새 대학입시에서 논술 비중을 강화키로 한 데다 서울대학교의 통합 교과형 논술 출제 방침을 둘러싼 본고사 논란이 논술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증폭시킨 것이다. 현재 ‘논술’관련 도서 상품은 3천 종이 넘고, 많은 수험생들은 학교에서 나와 논술 학원으로 달려가고 있는 실정이다. 논술은 배경 지식을 쌓는 것부터 시작해서 다각적·심층적·독창적 사고를 길러야 하기 때문에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지도와 관심이 필요한 영역이다. 따라서 논술은 결코 단편적인 학습이나 단기간의 급조된 교육으로는 해결 가능한 영역이 될 수 없다. 논술은 평상시의 학교 수업과 독서를 바탕으로 현실에 대한 관심과 문제 의식, 학생의 반복적인 글쓰기 연습과 훈련, 그리고 교사의 첨삭 지도가 삼위일체 된다면, 사교육에 기대지 않고도 충분히 극복할 수 있는 영역이다. 특히 첨삭지도는 논리적으로 체계를 갖추어 자기 주장을 펼치는 글을 쓰는 데 직접적인 도움을 주는 작업이다. 또한 학생이 자기 논술문에 나타난 발상과 사고의 적절성, 논증의 타당성, 표현 등을 구체적으로 다시 한번 짚어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줌으로써 자신의 장·단점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한계와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논술 교육에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는 학생의 논술문을 여러 차례 분석하고 변화 및 발전 양상을 살핀 본 논문을 통해 확인되었다. 논제와 제시문에 대한 이해·분석력, 근거설정능력 및 논리적 구성 능력, 문장 표현의 매끄럽고 자연스러움, 적절한 어휘 및 비유 사용, 맞춤법 등에 대한 교사의 지도는 학생이 쓴 다음 회의 논술문에 상당 부분 반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술은 학교 수업을 통해 교과의 중핵적 요소에 대한 이해와 다양한 독서의 과정에서 습득한 지식의 자기화를 위한 토의·토론, 그리고 교사의 첨삭 지도가 있다면 얼마든지 지도 가능한 학교 교육 활동의 한 영역이다. 또한 교육 과정의 정상적인 운영, 공교육의 질적인 향상, 지식 기반 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인 인재를 육성하고자 하는 교육 혁신이기도 하다. 따라서 학부모와 학생은 논술의 성격과 방향을 무시한 학원의 주입식, 암기식 교육에 의존하지 말고, 학생 자신의 적극적, 능동적 사고를 수반하는 독서 활동, 특히 자기 주도적으로 텍스트를 읽고 독창적·다각적·심층적 사고를 통해 지식 및 경험을 내면화, 자기화하는 과정이 꼭 필요함을 알아야 할 것이다. These days essay writing is a hot issue in education. Whereas many leading universities are known to be considering the reinforcement of essay tests as part of the admission process, Seoul National University is trying to introduce cross subjects essay writing that means another SAT starting in 2008. In response, the book stores are flooded with books related to essay writing and students are rushing to private institute for learning it in a short period of time. In essay writing, the background knowledge is very important. From the knowledge we can cultivate many creative, versatile, and in-depth thinking which we can use in essay writing. But unfortunately students can't get these ways of thinking in a short period time of practice. For the knowledge students need to read lots of various fields of books, and it is necessary to teach the students the needed skills in writing essays systematically in a long term, not in a short term. In an attempt to develop essay-writing skills, the Ministry of Education already examined the possibility of having schools teach essay writing so as to enable students to prepare for university entrance exams. The ministry encourages schools to teach essay writing in the current reading and writing classes, and is training teachers during summer and winter vacations for the essay class and distribute a book on essay writing. Besides that, the ministry increased lectures for the essay test on the Educational Broadcasting Service. In the classes at schools, the students can acquire the understanding of basic themes of the subjects from reading books, discussions ,and debates doing lots of practices of essay writing, and the teachers can help them with correction. In the long run, students internalize all the necessary for essay writing. This is the way the public education system should go forward and the educational innovation in which we could grow lots of creative capable people.

      • 효과적인 논술지도 방법에 관한 연구 : 중학생 논술, 작문을 중심으로

        채경자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논술문 쓰기를 어떻게 하면 잘 지도할 수 있는 것인가. 이 연구는 효과적인 글쓰기 교육, 즉 글쓰기의 지도와 훈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구자는 먼저 논술이란 쓰는 사람과 읽는 사람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이라고 보는 이론에 따라 논술의 개념에 상응하여 논술지도 및 교육을 글속에 글쓴이의 생각이나 느낌이 잘 드러나 읽는 이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것은 단순히 쓰는 기술의 함양이 아니라. 잘 써낼 수 있는 바탕을 단단히 하는 일이라고 보았다. 이에 관하여는 이미 수많은 선행연구가 있다. 연구자는 이 논문에서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검토하고 자기 나름의 새로운 논술지도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논술지도의 근본은 그냥 쓰기일 수가 없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즉, 논설문을 잘 쓰기 위하여 또는 잘 지도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논리적 사고의 함양과 함께 논술작법에 관한 기초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구자는 이 논문에서 중학생을 대상으로 논술문을 잘 쓸 수 있도록 지도하는 방법의 하나로, 우선 연구의 대상인 논술문 쓰기를 하나의 문제해결과정(Problem solving process)으로 파악하고, 이런 논술문 작성과정에 필요한 학생들의 능력을 신장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어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논술 쓰기와 쓰기지도의 실태를 실증분석한 세 개의 선행연구를 비교 검토한 결과 논술지도상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에 따른 지도방법상의 지표를 정리하였다. 실태분석 결과 교육 현장에서는 전통적인 결과 중심의 논술문 쓰기 지도로 일관하고 있고, 전략을 활용한 과정 중심의 논술문 쓰기 지도도 논술력 향상에는 효과가 미흡하다는 것 알 수 있다. 그 다음으로, 현재까지 논의되어 온 쓰기 이론을 크게 결과 중심의 쓰기 이론과 과정 중심의 쓰기 이론으로 대별하고 학생들의 논술문 쓰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한 바, 효율적인 논술문 쓰기 지도를 위해서는 기존의 결과 중심의 쓰기 이론을 지양하고, 쓰기 과정에 요구되는 여러 가지 전략을 지도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의 결과로서 얻어진 시사점은 학생들은 전략을 활용한 논술문 쓰기 지도 방법을 배울 수 있고, 그것을 통함으로써 논술문 쓰기 능력의 향상을 보인다는 점이다. 이후 논술지도의 현장에서 학생들의 논술문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학생들로 하여금 주변의 작은 일에서 문제점을 발견하게 하고 그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아보게 하는 습관을 길러주어야 할 것이고, 또한 이를 논리적으로 서술하는 표현능력도 함께 길러줘야 한다. 그리하여 앞으로 논술지도 현장에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논술문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어야 한다. 논술문은 작문의 일종이고 작문은 언어로 표현된 의사 소통 행위이기 때문에,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데 그치지 않고, 더 나아가 독자에게 영향을 미쳐 자신의 표현 내용에 공감하게 해야 하는 것이다. 이는 표현을 넘어서서 설득으로 나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독자에게 원활한 의사 소통이 이루어지게 하려면 독자가 잘 아는 내용을 독자의 지식범주와 수준에 적합하게 써야 한다. 둘째, 입시 논술의 형태 및 평가 방법이 달라져야 한다. 논술 현장에서는 대학입시를 의식한 나머지 글의 내용을 제한하는 주제(제목)만 주어지고, 그 글을 읽을 독자에 대한 조건은 전혀 주어지지 않는다. 그래서 학생들은 글을 쓸 때 독자에 대한 고려 없이 자기가 알고 있는 내용을 그냥 `표현'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독자에 대한 고려 없이 글을 쓰게 되면 내용의 선정이나 표현 방식에서 좋은 전략을 활용할 수가 없게 된다. 논술 제목이 주제를 대립적인 문제상황으로 제시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의 견해를 분명히 밝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study on the methodology and theoretical basis for the writing education. This theme was studied from the viewpoint of a communicative interaction model. In order to teach the students a logic and coherent way to write I depart from the viewpoint that an assay writing is an implicit dialogue between the writer and the potential reader(s). The writer is supposedly to persuade his counterpart successfully. A given device for him Writing. An argumentative text should be understood on the frame of the communicative interaction model. Communicative interaction model considers the argumentative writing not merely as a sets of sentences but as a series of 'communicative acts' which interacts between an writer and a potential reader. Assay writing should, in this sense, be a discussion and a problem-solution process. The writing ability is a key to a successful career. It can be improved by the learning the writing strategies. As a teacher working for middle school students I suggest in this theses that the writing ability should be improved through an activation of the knowledge-base. In this thesis I assert also, that the conventional teaching methodology should be reformed and substituted with new ones. So, the conclusion of the thesis is to summarize as : First the viewpoint of the teachers on the concept of assay writing should be changed. Second, the teaching goal of assay writing should also be changed. It should not only for the entrance examination. Third, the conventional evaluation methodology of teachers should be corrected in order that the students may feel free from every worry about the notes. First of all, they are allowed to express what they want to utte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d follows: This thesis clarifies the applicability of the communicative interaction model positively in the teaching process of writing assay. This study suggests a combination of methodology of writing education and evaluation of assays.

      • 고등학교 논술지도 방안 연구 : 논술과정별 지도 내용과 방법을 중심으로

        이종석 창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논술 지도가 대학 입시를 위한 일회성 지도에서 벗어나 교수·학습 방법의 전환점이 되어야한다는 생각으로 출발하여, 학교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논술 지도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논술교육은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율성 높은 교수·학습 방법이다. 이러한 논술지도가 실질적인 교수·학습 방법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결과 중심이 아니라 과정 중심의 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논술 쓰기를 6단계의 과정으로 세분화하여 각 과정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야할 지도 내용과 적절한 지도 방법을 제시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서 직접 적용할 수 있는 논술 지도의 실제를 보이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논술의 개념과 과정을 살펴보았다. 논술을 ‘어떠한 문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논리적·창의적 해결 방법을 모색하는 문제해결과정을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글쓰기’라고 뜻매김하였으며, 논술문을 잘 쓰기 위해서는 ‘이해·분석력, 비판적 사고력, 창의적 문제해결력, 논증적 글쓰기 능력’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논술 쓰기의 단계를 ‘맥락 파악하기, 계획하기, 내용 생성하기, 내용 조직하기, 표현하기, 조절하기’ 등 6단계의 과정으로 세분화하였다. 3장에서는 논술 쓰기의 6단계 과정 속에서 부딪히는 문제와 이를 해결함에 있어 필요한 전략들을 중심으로 지도 내용과 지도 방법을 구안하였다. 맥락 파악하기 과정은 다시 논제 파악, 제시문 분석·이해, 요약하기 단계로 다시 세분화하여 각 단계별 지도 내용과 지도 방법을 제시하였다. 계획하기 과정은 다시 목표 세우기 단계와 주제 설정 단계로 나누어 지도 내용과 지도 방법을 제시하였다. 내용 생성하기 과정은 가정하기, 아이디어 생성하기, 주장 및 논거 세우기 단계로 세분화하여 각 단계별 지도 내용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내용 조직하기 과정은 대표적인 전략인 개요 짜기를 중심으로 지도 내용과 지도 방법을 제시하였다. 표현하기 과정은 빨리 쓰기와 초고 쓰기 단계로 세분화하여 각 단계별 지도 내용과 지도 방법을 제시하였다. 조절하기 과정은 다시 탐색하기, 진단하기, 고쳐 쓰기 단계로 세분화하고 각 단계별 지도 내용과 지도 방법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논술 과정별 지도 내용과 지도 방법을 바탕으로 하여 논술지도의 실제를 보이고자 하였다. 한 학기 20차시를 기준으로 하여 논술 지도 계획을 작성하고 각 논술 과정별로 1차시 분량을 선정하여 논술 지도의 실제를 보이고자 하였다. 논술 지도의 학습 형태는 결과 자체보다는 그 결과에 도달하기까지의 과정을 강조한 교수·학습 방법인 문제해결학습을 기본으로 취했다. 이 연구의 의의는, 결과 중심의 논술 교육 틀에서 벗어나 논술 쓰기를 6단계의 과정으로 세분화하고 각 과정에서 부딪히는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지도 내용과 지도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데 있다. 또한 논술의 각 과정을 충실히 지도하되, 과정과 과정 사이가 긴밀하게 연계되도록 통합적으로 지도해야 한다는 것을 보였다.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볼 때, 이 연구는 교육 현장에서 논술 지도를 함에 있어 효율적인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epare the practical teaching methods of the essay in high school-not just for college entrance examination-and to seek the turning point of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essay. Essay teaching is effective to improve creative problem-solving. Essays should be taught focusing not on the product but on the process to be practical learning and teaching methods. Therefore, I divided essay writing process into six parts and focused on teaching contents which should be treated preponderantly and proper methods of each part. Based on this, I tried to present the available examples of essay teaching which can be applied to school based on this. In the second chapter, I, the author found out the concept and process of essay writing. I defined an essay writing as a piece of writing to express the problem-solving process which seeks a logical and creative method. To write a good essay, we need understanding-analyz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ability, creative problem-solving andability, logical writing skill, I saw. And I classified the essay writing process into six parts : finding out the context, planning, generating, organizing, expressing, and controlling. In the third chapter, I set up the problems in the six-level essay writing process and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focusing on strategies to solve the problems. I subdivided the process of finding out the context into finding out the theme, analyzing-understanding of the article, and summary levels and presented the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in each level. I subdivided the process of planning into setting up the aim and setting up the theme levels and presented the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in each level. I subdivided the process of generating into supposing, generating ideas, asserting and making arguments levels and presented the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in each level. I subdivided the process of expressing into speed-writing and drafting levels and presented the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in each level. I subdivided the process of controlling into searching, diagnosing, and elaborating levels and presented the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in each level. In the fourth chapter, I suggested the examples of essay teaching based on the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I set the plan of essay class for 20 periods in a semester, selected one period in each process of essay writing and presented the examples of essay teaching. I based the principal of problem solving which stressed more on the process than on the product itself in essay teaching. The value of this thesis is that I divided the essay writing process into six parts escaping from the product-based essay teaching and presented the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to solve the several problems in each process. Also, I suggested we teach each process of essay writing not only separately but also integratively so that each process could be closely connected. Based on this, I think this thesis can be used as effective methods in teaching essay writing in school.

      • 논술 클럽 활동을 활용한 논술 지도 방안 연구

        안윤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논술 교육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하여 고등학교에서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논술 클럽 활동을 활용한 논술 지도를 제안하고, 논술 지도의 바람직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그 동안 논술 관련 연구 성과가 많았으나 현장 교육에 적용하기가 어렵다는 판단 하에 고등학교 특기․적성 교육이나 특별 활동 시간에 적용 가능한 논술 지도의 방안을 구안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었다. 논술은 고립적이고 개인적인 의미 구성 행위가 아니라 독자를 상정한 의사소통적 글쓰기이다. 따라서 논술 교육은 필자와 독자 간 사회적 상호 작용을 중시한 논술 클럽 활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논술 클럽 활동은 소집단에서 협동학습을 통해 논술을 쓰고 정기적으로 토의 모임을 가지는 활동을 뜻한다. 능력이 다른 학습자들이, 활발한 의사소통을 통해 서로 협조하면서 모두 성공하게 하는, 상호 의존적인 학습 활동이다. 이 연구에서는 논술의 성격과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논술에 관한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지도 방법으로 논술 클럽 활동을 활용한 논술 지도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논술 클럽 활동은 학생들의 쓰기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가? 둘째, 논술 클럽 활동은 학생들의 쓰기 태도 향상에 효과적인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Ⅱ장에서는 논술의 성격과 논술 교육의 현황, 사회구성주의 작문 이론을 이론적 배경으로 서술하였다. 논술 클럽 활동의 개념과 구성 요소, 논술 클럽 활동의 교수․학습의 원리를 함께 살펴보았다. 제Ⅲ장에서는 고등학교 논술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과 기간, 연구 설계와 절차, 검사 및 조사 도구, 구안된 논술 지도 모형을 적용한 논술 클럽 활동의 지도 방법을 상세히 서술하였다. 제Ⅳ장에서는 논술 클럽 활동이 학습자의 인지적 측면, 정의적 측면, 반응적 측면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이 연구의 연구 과정을 요약하고 결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논술 클럽 활동을 활용한 논술 지도는 학생들의 논술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었으며, 논술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 또한 이 연구에서 구안되고 적용된 논술 클럽 활동을 활용한 논술 지도 모형과 활동들이 흥미 있고 유익하다는 학습자들의 구체적인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논술 지도의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논술 클럽 활동을 활용한 논술 지도의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일선 교육 현장에서 논술 교육의 방법 개선과 논술 지도의 전문성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소설 「운수 좋은날」과 「삼포 가는길」을 활용한 논술지도 연구

        김승민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education of the essay writing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modern society that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and media change fast. In particular, the essay writing is changing not the writing written own thinking but the writing based on professional knowledge. The prerequisite of the essay writing is to acquire basic knowledge about novel, and it is getting important for teacher to teach the writing of the comprehensive thinking that is included the various knowledge and content. However, the essay writing brought active writing not public school but private school. Therefore it brought breaking the idea of the equal education that is the basic idea of the education. The government have to strengthen the way of the essay writing teaching making the system that students can be educated and prevent the essay writing from being a majors of the expensive private education. If we teach the essay writing as an way we have been teaching the general essay writing by this time, we won't be successful. The essay writing is focus on teacher until now, and teachers inculcated the students with only one opinion that is always right to the students. Teachers teach the students the thing that is regulated as the answer in general and don't make them discriminal between right and wrong themselves. We need to change the method of the essay writing that can be made the students think variously to improve this. It is the most important to express own opinion based on the technical and objective fact. It is also the way that can be made the students' thinking extend comprehensively. In this term, I was supposed to integrate the way of the essay writing with novel. We need the specific way about the learning procedure and the step-by-step learning to teach the comprehensive essay writing using novel. I presented the way of the essay writing as a comprehensive thinking making steps brought up from planning to comprehensive assessment,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al lesson set an example at school and examined a study in advance. First of all, I presented the way that express the comprehensive thinking and extend various background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novel. This study will help the students extend their technical and realistic knowledge, improve about thinking through novel and learning documents at the site of school. Besides, it will help the students express their opinion through learning process that the students look for various document and think themselves. This essay writing teaching is not preparing an entrance examination but improving thinking. If we overcome the limits of the essay writing using novel and develop the various way reflected the real need of the learner, we'll develop more and more learners' ability about use of words and declaration of intention. 논술교육은 정보화와 매체의 발달로 빠르게 변해가는 현대 사회에서 중요하게 대두되는 교육문제이다. 특히 오늘날의 논술은 단순하게 자기 자신만의 생각을 중점적으로 기술하는 과거의 글짓기 수준이 아닌 좀 더 전문적이고 다양한 분야의 상식과 지식을 바탕으로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는 깊이 있는 글짓기의 모습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현대에서 필요한 논술지도는 학습자들이 소설 작품을 통해 소설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설작품을 활용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범교과적 내용을 얻을 수 있는 종합적 사고의 논술지도 방안이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논술지도의 현실은 학교 현장에서의 교육이 아닌 사교육 현장의 논술 활성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의 기본 개념인 평등 교육 이념을 깨뜨리는 결과를 가져오게 됨으로서 교육의 빈부 격차를 생기게 하였다. 이에 학교 현장에서의 논술지도 방안을 강화하여 학생들이 학교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정착하여, 논술이 더 이상 값비싼 사교육의 전유물이 되는 것을 방지해야만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학교에서 진행해온 일반적인 논술지도 방법으로 교육을 한다면 또 다시 실패할 것이다. 지금까지의 논술지도는 교사가 중심이 되어 학습자들에게 옳다고 생각하는 한 가지 주장만을 주입시키고 있다. 무엇이 옳고 그른지를 학습자 스스로에게 판단을 하도록 맡기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정답이라고 규정지어진 것만을 교육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교육 방법은 지금까지 학교 현장에서 내려온 일방적 주입식 교육의 전통적 습관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이 다양한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여러 가지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논술지도 방법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는 전문적이고 객관적인 사실 지식을 바탕으로 자신의 의견을 개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방법이다. 그것은 학습자로 하여금 여러 가지 분야의 종합적이고 종합적인 사고의 확장을 가져올 수 있는 논술지도 방안이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종합적 사고의 논술지도 방안을 소설작품과 접목하여 보기로 하였다. 소설작품을 활용한 종합적 논술지도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학습의 절차와 그 단계별 학습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선행연구 검토와 학교 현장에서 시범적으로 이루어진 실제 수업의 결과를 바탕으로, 소설작품을 활용한 논술지도의 일반적 절차를 계획하기에서 종합 활동 평가 단계로 상정하고 이를 활용한 종합적 사고로써의 논술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적으로 작품을 이해하고, 그것을 통해 다양한 배경 지식을 확장하여 종합적인 사고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소설텍스트와 각종 학습 자료를 통해 이루어진 논술지도의 결과를 학습자의 사고력 증진과 전문적이고 사실적인 지식의 확장을 가지게 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습자들 스스로 생각하고 다양한 자료를 찾아보는 학습과정을 통하여 자신의 의견을 정리하고 표현하는 데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본다. 이러한 학교 현장에서의 논술지도는 단순히 입시를 대비한 지도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들의 사고력 증진과 창의적 생각을 가지게 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차후 소설 작품을 활용한 논술지도 방안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학습자의 실제적인 요구를 반영한 다양한 지도 방안이 전개된다면 학습자의 어휘 사용 능력과 의사표현 능력을 더욱더 신장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 고등학교 논술지도 개선을 위한 한 연구

        김영태 가톨릭대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논술 교육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하여 고등학교에서 논술을 교수·학습하는데 따른 현장의 당면 과제를 지적하고, 논술 지도의 바람직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그 동안 논술 관련 연구 성과가 많았으나 현장 교육에 적용하기가 어렵다는 판단 하에 고등학교의 특기 적성 교육이나 특별 활동 시간에 적용 가능한 논술 지도의 방안을 구안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논술의 기본 능력 배양 방안에서 출발하여 실제 논술문 쓰기 및 평가에 이르기까지 여러 단계와 과정을 학생들이 흥미를 갖고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Ⅱ장에서는 고차원적 사고 능력의 평가 차원에서 논술의 성격과 그 이론적 배경을 서술하였다. 논술은 주어진 과제를 논리적 과정을 통해 해결하고 그 과정과 결과를 언어로 서술하는 글쓰기이다. 그러므로 논술은 문제를 발견하는 데서 시작된다. 발견된 문제는 서술자의 판단 과정을 통해 그 해결 방안이 논리적으로 모색된다. 그리고 여기에는 그 문제와 관련한 전 국면을 두루 살피고 조직화하는 종합적 사고를 요구하게 된다. 아울러 논지 전개의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논리적 사고가 필요하다. 결국 논술은 이상의 사고 과정과 글쓰기의 일반적인 절차를 통해 언어로 표현되는 것이다. 또한 논술은 문제 해결의 과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많은 쓰기 모델 중 과정 중심의 인지주의적 작문 이론을 그 모델로 삼았다. 이것은 정보의 분석, 조직, 비판을 요구하는 오늘날의 시대 의식에 부합하기 때문이다. Ⅲ장에서는 고등학교 논술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교수·학습 현장의 당면 과제를 검토하였다. 학생들은 논술의 개념에 대해 혼돈하고 있다. 올바른 논술을 쓰기 위해서는 그 개념부터 정확히 알아야 한다. 이 개념의 정립을 위해 본 고에서는 논설문과 수필문의 비교를 통해 해결하도록 구안하였다. 논술 학습의 동기 유발 은 고등학교 논술 교육의 가장 큰 어려운 문제이다. 논술 교육의 필요성과 당위성에는 공감하나 학생들의 논술에 대한 낮은 인지도로 인하여 논술 수업은 벽에 부딪치기 일쑤다. 이 점은 학생들의 청소년 대중 문화를 활용하는 수업방식으로 극복하도록 하였다. 실제 논술 지도에서 제기되는 과제로는 학생들의 논제 분석 능력과 배경 지식 학습 및 문장화 능력 등의 문제이다. 논제 분석 능력의 제고는 논제상의 단어와 문장에 대한 의미 및 논리적 관계를 반추하여 보는 것으로 해결을 모색하였고, 배경 지식의 학습은 교과서와 참고서 및 신문 등의 활용을 통하여 극복되도록 하였고, 문장화 능력 제고는 짧은 글 쓰기를 통해 점차 해결하도록 하였다. Ⅳ장에서는 논술 지도의 방안을 논술의 기본 능력 배양, 논술문 쓰기, 논술 평가 등의 3단계로 나누어 마련하였다. 논술의 기본 능력 배양으로는 사고력과 표현력으로 나누어 각각의 제고 방안을 모색하였다. 사고력은 문제 지향적 태도, 논리적 사고력, 종합적 사고력 등을 구체적인 방법을 통해 기르도록 하였다. 표현력은 문장쓰기, 단락쓰기, 개요 작성을 통해 기르도록 방안을 제시하였다. 논술문 쓰기는 토막글과 논증을 통하여 익히도록 하였다. 토막글은 주제문과 뒷받침 문장의 유형을 익히는 것으로 제고 방안을 마련하였고, 논증은 명제, 논거, 추론을 익혀 한 편의 완성된 논술문 쓰기를 할 수 있도록 지도 단계를 구안하였다. 특히 다양한 추론법을 실제 예를 통하여 익히도록 하였으며, 논술 쓰기의 핵심은 논증에 두어 지도하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고등학교 현장을 고려하여 적용 가능한 논술의 평가 방안을 모색하였다. 학생들에게는 먼저 자신의 글을 일정한 평가 기준에 맞춰 자기 평가를 스스로 하도록 하였고, 조별로 나누어 상호 평가를 발표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교사의 첨삭지도를 통해 평가를 완성하도록 배려하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이상의 논술 지도 방안을 통해 작성된 학생들의 실제 논술문과 총평을 제시하였다. 그래서 특별활동을 통한 논술 지도가 구체적으로 결실을 맺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논술지도의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논술을 범교과적으로 어떻게 지도해야 하는가 하는 구체적인 방안은 제시하지 못했다. 이를 위해서는 국어과 교사를 비롯한 모든 교사들이 각 교과별 특성을 고려하여 학습자의 사고력을 계발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연구해야 한다. 그리고 논술지도는 필연적으로 독서 지도와 연계하여 지도되어야 하는데 독서지도의 구체적 방안을 마련하지 못한 점 또한 앞으로 지속적으로 보완해야 할 과제라 본다. This study intends to give a desirable direction to guide critical writing, pointing out some problems teachers face in actual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s in high school. Though there have been many findings on critical writing, they were not applicable to classroom situations. In this regard, this study focuses on searching for teaching methods which can be applied to critical writing in high school. In brief, this research begins with how to develop the basic writing skills, through how to make and evaluate critical writing, and ends with how to make students motivated and take active part in the process of critical writing. In the Chapter II, I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and theoretical backgrounds of critical writing, from the viewpoints of evaluating high level of thinking abilities. Critical writing is the process of struggling to solve given tasks through logical thinking and yielding the outputs in written language. So critical writing begins with recognizing the existing phenomena. Once recognized, the given problems can be solved by the process of logical judgement. Also, synthetic thinking is required to look through and to organize the whole aspects of the problem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be objective in the whole process of writing. Therefore, critical writing results from the general writing procedures mixed with thinking process above. In other words, it is problem-solving process. Out of many composition theories, I select the process-centered cognitive composition theory as the model, because the theory is suitable for current writing trends which are based on analyzing, organizing, and criticizing information. In the Chapter III, I point out some problems raised in the actual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s, to find improved ways of guiding critical writing. Most students misunderstand the term of critical writing. For the proper critical writing to be made, they should have understanding on the exact term of critical writing. For this, I distinguish the difference between persuasive writing and essay, by comparing the two terms. It is another obstacle teachers should overcome to motivate students into writing activities. Most students know the necessities of critical writing education, but they don't feel like learning it. That's one of difficulties teachers face in critical writing classes. So, I propose that teachers try to figure out students' culture and concerns and make the most use of them in classes. In actual critical writing, such issues as how to analyze topics, how to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background knowledge, and how to make proper composition are raised. One suggested way, in this chapter, to analyze given topics is to give a logical thought to relationships between word-level and sentence-level meanings. And I recommend to read textbooks, reference books, and newspapers as many as possible to increase background knowledge. Also, I suggest that students develope their writing skills by writing short stories. In the Chapter IV, I classify three steps for improving critical writing abilities: to develop basic writing abilities, to write critical sentences, and to evaluate critical writing. To find a way of developing basic writing abilities, both thinking and expressive abilities need to be strengthened. Thinking abilities can be intensified through problem-solving attitude, logical thinking and synthetic thinking, while expressive abilities can be through writing sentences, paragraphs and main ideas. Critical writing can be practiced by writing short stories and by making logical proof of them. Writing short stories helps students to be familiar with the types of topic sentences and their supportive sentences. Making logical proof allows students to write completed critical sentences, helping them to understand the usage of proposition, evidence, and reasoning. In addition, I introduce various ways of reasoning which can be induced from sample writings. And I seek for evaluation methods which can be applied to critical writing in high school. I let students evaluate themselves, evaluate each other in groups, and be evaluated by a teacher. Finally, in the Chapter V, I present some completed critical writings by students and general ideas on the above guidance to critical writ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earches for the specific ways which can be applied to critical writing classes in high school. But this also has its limitation, in that it doesn't show how related curricular teachers cooperate for a better instruction of critical writing. To achieve that, all the teachers concerned should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urriculum and create a class model which helps learners to develop their thinking abilities. Education of critical writing should be connected with the guidance to reading and this needs to be further stud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