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비대면교육서비스품질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항공관광학 전공 대학생의 학습만족, 학습몰입과 교육성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유정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world has undergone many changes in various fields since COVID-19. The educational community has moved away from the set time of physical space and lecture time and conducted non-face-to-face education through online classes. Due to this pandemic situation, the non-face-to-face education method through the platform can overcome physical space constraints, but compared to the traditional education method, there are limitations in reducing learners' concentration and inducing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es. Accordingly, university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making various efforts to overcome the fundamental limitations of non-face-to-face education. Air tourism-related departments are based on the face-to-face of practical lectures. As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is implemented, learning methods and strategies suitable for the new educational environment are required. Therefore, it will be a valuable stud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non-face-to-face education in aviation tourism to analyze the influence of non-face-to-face educational service quality on learners' learning transfer and to find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system.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 of non-face-to-face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learning transfer, learning satisfaction, learning commitment, and educational performance f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tourism. Through this study, the necessity of a systematic and differentiated education system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aviation tourism non-face-to-face education is reveal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learning commitment, and educational performance is examined by demonstrating students' learning transition in a non-face-to-face education environment. This study established a research model based on normative discussions and empirical studies in various fields, and a total of 6 hypotheses were established. For the verification of this study, a self-written questionnaire and an online questionnaire were conducted in parallel over the period from April 27 to June 8, 2022, and the final effective sample was confirmed as 485 copies and used for empirical analysis. Statistical processing in the empirical analysis was analyzed in parallel with the SPSS 20.0 and AMOS 18.0 statistical packages. Data analysis was largely conducted with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results of hypothesis verification analysis confirm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e examined whether the components of non-face-to-face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ccessibility, interaction, tool utilization, and convenienc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Interaction, tool utilization, and convenienc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but accessibility was found to have no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 components of non-face-to-face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ccessibility, interaction, tool utilization, and convenienc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commitment, it was found that accessibility, interaction, tool utilization, and convenience have a positive (+) effect on learning commitment.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 components of non-face-to-face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ccessibility, interaction, tool utilization, and convenienc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ducational performance, but accessibility has no effect on educational performance.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learning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transfer, it was found that learning satisfac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learning transfer. Fifth,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learning commit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transfer, it was found that learning mall has a positive (+) effect on learning transfer. Sixth,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educational performan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transfer, it was found that educational performance had a positive (+) effect on learning transfer.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non-face-to-face educational service quality, learning transfer, learning satisfaction, learning commitment, and educational performance was examin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rough this empirical analysis, various implications were derive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effect of non-face-to-face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learning transfer were not easily found, and meaningful studies on learning satisfaction, learning commitment, and educational performance were conducted, and it is necessary to present a more in-depth research model including various related variables.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only students from a specific university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tourism, and there is a limit to applying the results of the study to all universities. Therefore, in subsequent studies, it is suggested that research that can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by writing a survey for various universities is conducted. COVID-19의 확산으로 인해 전 세계는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변화를 겪고 있으며 교육계는 강의실이라는 물리적 공간 및 강의 시간으로 정해져있던 시간에서 벗어나 온라인 수업으로 비대면 교육을 진행하게 되었다. 이러한 팬데믹 상황으로 인해 Webex, Zoom 및 Google meets 등의 플랫폼을 통한 비대면 교육 방식은 물리적 공간상의 제약을 극복할 수는 있지만, 전통적 교육방식에 비해 학습자의 집중력 저하 및 적극적인 수업 참여 유도에는 한계가 따른다. 이에 대학 교육기관에서는 비대면 교육의 근원적인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항공관광 관련 학과의 전공 특성상 실습 강의의 대면을 근간으로 이루어지던 교육 활동까지 비대면 온라인교육으로 시행됨에 따라 새로운 교육 환경에 적합한 학습방식과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항공관광학 비대면 교육의 특성을 파악하여 비대면교육서비스품질이 학습자의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고, 교육시스템 변화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은 가치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관광학 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비대면교육서비스품질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과 학습만족, 학습몰입과 교육성과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항공관광학 비대면 교육 특성을 반영한 체계적이고 차별화된 교육 시스템의 필요성을 밝히고, 체계적 전략 수립을 위해 비대면 교육 환경에서 학생들의 학습전이를 논증하여 학습만족, 학습몰입, 교육성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다양한 분야의 규범적 논의 및 실증연구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고, 총 6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을 위해 2022년 4월 27일부터 6월 8일까지의 기간에 걸쳐 자기기입식 설문지와 온라인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조사하였으며, 최종 유효표본 485부로 확정하여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분석에서의 통계처리는 SPSS 20.0 및 AMOS 18.0 통계 패키지를 병행하여 분석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크게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한 가설검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교육서비스품질의 구성요소(접근성․상호작용성․도구활용성․편의성)이 학습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 본 결과 상호작용성, 도구활용성, 편의성은 학습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접근성은 학습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대면교육서비스품질의 구성요소(접근성․상호작용성․도구활용성․편의성)가 학습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 본 결과 접근성, 상호작용성, 도구활용성, 편의성은 학습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대면교육서비스품질의 구성요소(접근성․상호작용성․도구활용성․편의성)가 교육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 본 결과 상호작용성, 도구활용성, 편의성은 교육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접근성은 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만족이 학습전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본 결과 학습만족은 학습전이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습몰입이 학습전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본 결과 학습몰은 학습전이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교육성과가 학습전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본 결과 교육성과는 학습전이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교육서비스품질, 학습전이, 학습만족, 학습몰입, 교육성과 간의 영향관계에 대해 실증분석을 통해 알아보았으며, 이러한 실증분석을 통해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항공관광학 전공 대학생의 비대면교육서비스품질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쉽게 찾을 수 없었으며, 이와 관련된 학습만족, 학습몰입과 교육성과에 관한 선행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와 관련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관련 변수들을 포함시켜 보다 심층적인 연구 모형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설문의 대상자가 항공관광학 전공 대학생들 중 특정 대학의 학생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를 모든 대학에 적용하기에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국내 여러 대학들을 대상으로 전국 대표성을 갖는 설문을 작성하여 본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기를 제안한다.

      • 중학생이 지각하는 교육서비스품질의 구성차원과 학교교육만족도 관계 분석

        심수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중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육서비스품질의 구성차원을 파악하고 학교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서비스품질의 각 구성차원들의 영향력을 규명한 후 학생의 개인배경변인과 교육서비스품질, 학교교육만족도 지각 수준과의 관련성과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섯 가지 연구문제들을 설정하였다. 중학생이 지각하는 교육서비스품질의 구성차원은 유형성, 신뢰성, 반응성, 확신성, 공감성, 내용성, 유용성의 일곱 가지 차원으로 구성되는지 살펴보고, 교육서비스품질은 중학생의 학교교육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 분석 한 후, 학교교육만족도에 미치는 교육서비스품질의 구성차원의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개인배경변수에 따라 교육서비스품질과 구성차원, 학교교육만족도의 지각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검정하였다. 이상의 연구문제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는 2009년 4월 현재 서울 시내 5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650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하였으며, 측정도구는 황인호(2005), 이용기·장병집·박영균(2002), 황여정·김경근(2006)이 사용한 도구를 수정하여 이용하고, 자료 분석은 SPSS 12.0(English Version)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test, ANOVA,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적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이 지각하는 교육서비스품질의 구성차원은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들과는 달리 다섯 개의 차원(지도·편성성, 학생지향성, 유형성, 신뢰성, 반응성)으로 나타났다. 상업계 고등학교에서는 여섯 개 차원으로, 일반계 고등학교에서는 일곱 개 차원(유형성, 신뢰성, 반응성, 공감성, 내용성, 유용성)으로 확인된 것과는 다른 결과였다. 이와 같이 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육서비스품질 구성차원이 다르다는 것은 교육서비스의 특수성과 조사대상자의 특성이 반영된 것이므로 학교설립 목적과 학교 급에 따라 특성에 맞는 교육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교육서비스품질은 중학생의 학교교육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교육서비스품질의 기능적 품질과 기술적 품질을 동시에 사용하여 균형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만족도에 관한 설명력을 개선시킬 수 있었다. 또한 학교교육만족도에는 개인배경보다 교육서비스품질의 영향력이 현저하게 컸으므로 교육서비스품질을 향상시킴으로써 만족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교육서비스품질의 하위구성차원 중 학교교육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지도·편성성, 학생지향성, 유형성이었고, 이와 같은 순서로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는 교육서비스의 핵심 기능을 다시 강조하는 것으로 학교와 교사는 중학생들의 학교교육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서비스품질 중 위의 세 가지 요인들에 중점을 두고 개선할 필요가 있다. 넷째, 개인배경변수에 따른 교육서비스품질과 만족도 지각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변수는 성별, 학년, 성적, 학교 설립유형, 모의 학력, 가정의 월평균 소득, 진학 희망 고등학교였다. 학년이 높아질수록, 성적이 낮을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교육서비스품질과 학교교육만족도 지각 수준이 낮았다. 국·공립학교보다 사립학교 학생들의 지각 수준이 교육서비스품질과 만족도에서 공통적으로 높았고, 상업계고 진학 희망 학생들은 특목고 및 기타, 일반계학생들에 비해 교육서비스품질 및 만족도가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마다 학교교육에 기대하는 서비스내용과 요구수준이 다르기 때문에 학교와 교사는 학교운영에 있어 교육수요자인 학생의 다양한 요구와 기대를 지속적으로 학생 지향적 관점에서 파악하고 교육서비스품질을 높임으로서 학교교육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다섯째, 학교교육만족도 지각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집단의 배경변수를 교차 조합하여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1학년 남학생, 1학년 성적 상위집단, 1학년 사립, 1학년 특목고 및 기타학교 진학 희망 집단의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는데 이 결과들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성적이 낮을수록 만족도가 현저히 낮아진다는 뚜렷한 경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학교와 교사는 만족도가 낮은 집단의 학생들에게도 세심하고 깊은 이해와 배려를 가지고 이들의 요구와 기대에 부응하는 교육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전체적인 교육서비스품질과 학교교육만족도를 제고하는데 노력해야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학생의 학교교육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교육서비스품질의 구성차원을 파악하고 중점적으로 노력해야 할 분야를 밝힘으로써 교육수요자인 학생의 다양한 교육적 요구와 기대에 부응하는 효과적인 학교경영전략을 수립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 전환교육서비스 실행 철학적 배경과 서비스 조정을 위한 기관 간 협력 방략

        최문화 대구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8703

        요 약 이 연구는 전환의 전개를 형성해 온 역사와 기본 이론‧철학을 추적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장애청소년의 전환실행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라는 교육적 함의를 탐색하며, 성공적인 전환을 위해서 전환교육 서비스 조정을 위한 관련 기관 간 협력 실행 방략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밝히기 위해 전환교육서비스 실행을 위한 기초 형성 이론과 철학이 가지는 진로교육의 총체적 서비스 활동, 전환 경로의 교육적 함의를 분석하고, 결과중심 전환 과정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라는 관점에서 관련 연구물들을 분석했다. 또한 전환교육 서비스 조정의 정의, 서비스 조정 모델의 종류 및 역할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관련 기관 간 서비스 조정과 기관 간 협력실행 방략을 구체적으로 탐색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환교육서비스 실행 기초형성 이론은 일반체계이론, 청소년 발달 이론, 인지 발달 이론, 자기 결정 이론, 진로 발달 이론 다섯 가지 측면에서 시사하는 함의를 근거로 진로교육 시스템에 적용하여 왔다. 또한 철학적 배경은 인간 잠재력 운동, 긍정적인 청소년 발달, 정상화 및 지역사회 통합, 통합 및 완전한 참여, 자기 결정 및 개인의 자유에 근거하여 전환서비스 체계를 마련했다. 전환서비스 이론과 철학이 학생들의 요구에 따라 전환교육 계획 수립과 발달 경로에 적용해 왔다. 우리나라에서도 장애학생들의 진로교육총체적 서비스 활동으로 규정되는 전환교육·서비스에 대한 제도 마련을 특수교육법에 반드시 명기하고 전문 인력 양성과 더불어 전환이론과 철학에 밑바탕을 둔 체계적인 전환 조치들을 시급히 실행해야 할 시점이다. 둘째, 전환교육서비스 조정을 위한 관련 인사 및 기관 간 협력은 매우 중요하다. 기관 간 협력 이행 과제와 해결방략은 지역사회 관련기관과의 협력을 통한 전환교육을 활성화하고 체계화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시설과 설비를 확충하고 이동에 어려움이 없도록 지원하며 전환교육 내용을 다양화하여야 한다. 또한 협력 기관을 홍보하고, 협력 인프라 구축을 위한 법, 제도를 정비하여야 한다. 지역사회 관련 기관 간 협력을 통한 전환교육을 활성화하고 체계화하기 위해서는 기술 가능한 시설과 설비를 확충하여야 한다. 그리고 전환교육내용을 다양화하며, 관련 협력 기관을 홍보하고, 협력 인프라 구축을 위한 법을 정비하여 특수교육 현장에서 전환교육이 활발하고 체계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성공적인 전환교육 실행을 위한 서비스 조정 모델과 역할, 기관 간 협력의 이행과정 등을 살펴보는데 있어 자료수집의 한계로 인하여 우리와 상황이 다른 미국의 모델과 과정을 분석하였다는 제한점이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해석하고 적용할 때는 이와 같은 제한점을 고려하여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연구에서 제시된 내용들이 교육현장에서 전환교육서비스를 위한 기초형성 이론과 철학적 배경을 토대로 서비스 조정과 기관 간 협력 이행에 성공적인 도움이 되길 바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basic theories and philosophies, forming transition education services, investigate the ways to implement these transition education services in practice for adolescent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provide strategies for adjusting transition education services.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first reviewed the implications that the basic formation theories and philosophies have on the transition education services, and analyze the literature to determine how to implement these in a result-oriented transition process. Also, the researcher looked at the definition of transition education services and service mediation, the types and roles of service mediation models, and methods for service mediation and agreement between related agenc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asic formation theories of transition education services has been applied on the career education system as based on the implications of five different areas - general system theory, youth develop mental theory, cognitive developmental theory,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career developmental theory. Also,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has established the transition education services system based on human potential movement, positive youth development, normalization and community integration, integration and full inclusion, self-determination and individual freedom. The philosophy of transition education service have been applied to planning and development process of transition education services according to students’ needs. It is necessary to stipulate in the special education legislation the provision of transition education service, which is defined as a wholistic support in career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t is also necessary to train specialized personnel and implement transition supports based on transition theories and philosophies. Second, agreements on transition education service adjustment between relevant personnel and institutions are paramount. In the process of making agreements and following through with them, it is important to cooperate with community institutions, make sure the students can move between locations with ease, and diversify the educational content. Cooperating institutions need to be promoted, and regulations should be modified to establish the infrastructure. Facilities must be expanded to activate coordination between community institutions. We should also diversify the educational content, promote the cooperating institutions, and prepare legislation for building the relevant infrastructure. A possible drawback of this study is that the data we have used are from U. S. Hence, in interpreting and implementing the results, it is required to allow for the possibility that the situation in Korea may differ in some ways. We hope this study, based on the basic formation theories of transition education services and the philosophical backgrounds, assists in the implementation of inter-institution agreements.

      • 글로벌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서비스 연구

        최정현 인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글로벌(global) 핵심 인재 육성을 위한 G대학의 의・생명학과의 학생을 대상으로 교육서비스와 학생 만족 및 애교심의 관계를 연구했다. 글로벌 환경에서 능동적으로 일할 핵심 인재 양성을 많은 분야에서 전문적으로 하고 있으나 대학 교육환경과 대학에서 제공하는 교육서비스는 지각된 품질과 기대한 품질이 차이가 있어 교육환경 및 교육행정에 대한 서비스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에서는 특화된 의・생명 학과의 맞춤 교육서비스가 학생 만족 및 학교 애교심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 분석을 통해 연구 했다. 의・생명학과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25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독립변수인 교육환경, 교육행정서비스, 맞춤 교육은 종속 변수인 학생 만족 및 학교 애교심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의・생명학과의 대학생은 다른 학생들과 비교해서 학교에 대한 자긍심이 크고 대학이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행정 서비스 및 교육환경에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에게 제공된 특화된 맞춤식 교육에 대해서도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 태권도장의 교육 서비스와 태권도 수련의 만족도가 재 구매에 미치는 영향

        이치호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태권도 교육 서비스와 태권도 수련 만족도가 재 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규명하고자 절차에 따라 연구를 추진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여자의 만족도가 높았고, 3품, 4품의 경력자와 저학년이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태권도 수련 만족도는 여자가 태권도 수련 만족도가 높았고, 3품 이상 경력자와 저학년의 수련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재 구매 의도는 여자가 재 구매 의도가 높았고, 저학년에서 높았으며, 유급자는 수련 지속 가능성, 3품은 계속, 4품 경력자는 흥미, 중단 등에서 각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태권도 교육 서비스 구성요소간의 상관관계는 유의수준 0.05에서 유의한 상관계수를 나타냈고, 수강료 요소 만족도가 높을수록 나머지 다른 요소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 교육서비스와 수련 만족도에서 내용과의 관계에서는 홍보방법요인, 문제와의 관계에서는 홍보방법요인, 지도자와의 관계에서는 외부환경요인, 수강료와의 관계에서는 수련생 관리요인, 시설과의 관계에서는 교육 프로그램 요인, 수련만족도와의 관계에서는 지도자 요인의 영향력이 제일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6. 교육서비스와 재 구매 의도에서 계속의 관계는 유의하게 나타났고, 수련생관리 요인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계속 요인도 높은 값을 가지게 됨을 알 수 있었다. 흥미, 수련지속가능성과의 관계는 모두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으며, 중단과의 관계는 모두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지만, 수강료 요인에서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7. 수련만족도와 재 구매와의 관계는 유의하며, 시설 요인의 영향력이 제일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교육행정직공무원의 상호문화역량에 관한 혼합연구

        곽미혜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한국은 세계화로 인한 초국적 이주, 국제결혼 증가, 외국인 노동자 대량 유입 등의 다양한 사회현상이 맞물려 이주민들과 함께 생활하는 다문화사회로 진입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교육계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학교현장에서 다문화현상이 급속하게 진행되게 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주민 자녀들을 이중언어능력, 이중문화능력을 갖춘 국제적인 인재로 성장시키기 위한 통합교육은 매우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었고, 교육현장에서 근무하는 교직원들의 상호문화에 대한 이해와 역량이 향상되어야 한다는 문제가 제기되기 시작하였다. 즉 문화적·인종적 다양성이 증가하는 학교현장에서 다문화 친화적인 학교문화가 조성되도록 교원과 교육행정직공무원들의 상호문화역량을 증진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행정직공무원의 상호문화 인식을 탐색하기 위해 혼합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교육행정직공무원의 상호문화감수성과 상호문화역량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였다. 이를 토태로 상호문화역량 증진방안을 도출하여 다문화사회 교육행정서비스를 위한 정책을 제안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6장으로 구성하였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서술하였으며, 연구내용과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를 수행하게 된 연구자의 연구 동기를 기술하였다. 2장에서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다문화현상과 교육행정직공무원의 역할, 상호문화감수성과 상호문화역량, 상호문화역량과 교육행정서비스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이론적 논의를 이끌었다. 다문화현상과 교육행정직공무원의 역할에서는 최근 다문화 환경으로 변화하는 학교현장의 다문화가정 학생 통계 현황을 기술하였으며, 상호문화감수성과 상호문화역량에서는 먼저 다문화주의와 상호문화주의를 설명하고, 상호문화감수성과 상호문화역량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살펴보았다. 또한 상호문화역량과 교육행정서비스의 관계를 기술하며, 질 높은 교육행정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해 상호문화역량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3장에서는 연구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다양한 혼합적 연구방법 중에서 연구목적에 가장 부합하는 Morse(1991)의 연구모형을 사용하여 양적연구에서 질적연구로 순차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먼저 I 시의 학교 및 교육행정기관에 근무하는 교육행정직공무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들의 상호문화 인식 수준을 파악하였다. 이후 설문조사의 결과를 심층적이고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학교교육 전문가 6인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교육행정직공무원의 상호문화역량 향상 방안을 도출하였다. 4장에서는 교육행정직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행정직공무원의 상호문화감수성을 상호작용참여도, 문화차이존중도, 상호작용자신도, 상호작용향유도, 상호작용주의도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상호문화감수성은 보통 이상이나 상호작용자신도는 보통 미만으로 이주민과의 소통에 상대적으로 낮은 자신감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교육행정직공무원의 상호문화역량을 존중역량, 의사소통역량, 갈등관리역량, 성찰역량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상호문화역량 수준도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다만, 교육행정직공무원의 의사소통역량은 상호문화역량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사람의 언어능력을 이해하고 소통하는 것을 어려워하였다. 셋째, 교육행정직공무원의 상호문화감수성과 상호문화역량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호문화감수성과 상호문화역량의 하위요소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상관성을 보였다. 넷째, 교육행정직공무원의 상호문화감수성이 상호문화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호작용참여도를 제외한 문화차이존중도와 상호작용자신도, 상호작용향유도, 상호작용주의도가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장에서는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행정직공무원의 교육행정서비스의 어려움과 상호문화역량의 필요성에 대해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여 상호문화역량의 향상 방안을 분석하였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행정직공무원은 상호문화에 대한 관심이 낮은 편이나 개인의 다문화 접촉 및 업무 경험에 따라 상호문화 인식 수준이 달라진다고 하였다. 개인의 다양한 경험은 상호문화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교육행정서비스는 교육행정직공무원의 상호문화역량과 밀접한 관계에 놓여 있었다. 교육행정직공무원에게 적합한 상호문화역량 함양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 교육행정서비스의 새로운 과제로 상호문화 이해 및 체험교육 실시, 다문화 교육행정 시스템 구축, 조직 내 상호소통체계 활성화, 다문화정책 및 인사정책 변화 등이 도출되었다. 6장에서는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이를 토대로 다문화사회의 교육행정 정책을 제언하였다. 첫째, 교육행정직공무원들에게 주기적이고 지속적인 상호문화교육 및 다문화 관련 연수가 진행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행정직공무원의 상호문화교육에 대한 수요조사를 통하여 교육 및 커리큘럼에 반영해야 한다. 셋째, 교육행정서비스를 위한 교육행정직공무원의 상호문화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어야 한다. 넷째, 다문화 교육행정서비스에서 자주 발생하는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지원이 마련되어야 한다. 다섯째, 학교 및 교육행정기관 등 조직적 차원의 상호문화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운영하고 지원해야 한다. 본 연구는 교육행정직공무원를 대상으로 상호문화 인식 관련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현실에서 교육행정직공무원의 상호문화 인식 실태를 파악하고, 상호문화역량 향상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지역의 교육행정직공무원을 대상으로 연구가 되었다는 점에서 한계점을 가진다. 그러므로 다양한 지역에서 교육행정직공무원 뿐만 아니라 교육공동체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상호문화역량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 학교현장에 적합한 다문화 정책연구와 실증사업은 추후 과제로 남긴다.

      • 교육서비스 품질이 교육만족과 충성도 및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 부산·경남지역 컴퓨터관련 학원을 중심으로

        노정숙 경상대학교 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재 한국의 교육시장은 공교육에서 부족한 면을 사교육에서 보완하는 형태로 진행되면서 오히려 사교육 시장이 비대화 되어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는 시장경쟁 상태로 돌입 된지는 이미 오래된 사실이다. 정보화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여 생산성 향상은 물론 국가 간의 경쟁력이 상승함에 따라 관심도는 날로 늘어나고 21세기 정보화 물결은 산업 사회를 지식 정보화 사회로 급격하게 변화시키며 과학기술 및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우리들의 일상생활로 밀려들며 일반화 되고 있다. 따라서 컴퓨터가 도구로 사용되고 이에 따른 컴퓨터의 발전과 일상생활에서의 컴퓨터 활용분야 또한 확대되면서 반드시 필요한 도구로 인식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컴퓨터 관련 신종 직업군들이 생겨나기 시작했고, 다양한 직종으로 문화 되어 사회의 유망 직종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렇지만 학원교육 시장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원교육서비스는 소비자들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컴퓨터학원의 교육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 및 고객충성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과 충성도가 교육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서비스품질의 하위변인인 유형성, 신뢰성, 확신성, 공감성, 응답성, 다섯 가지와 교육만족과 충성도가 교육성과와 영향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서비스품질과 교육만족 및 고객충성도가 교육성과에 관한 기존 연구를 이론적 배경으로 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조사연구를 위한 측정도구로 부산 ․ 경남소재에 있는 컴퓨터 관련 학원을 2012년 10월 1일부터 10월 20일까지 수강하고 있는 수강생을 대상으로 만족도 설문지를 본 연구의 기초 자료로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컴퓨터관련 학원생들이 지각하는 학원교육서비스 구성요인과, 교육만족과 충성도, 및 교육성과간에는 모두 정(+)의 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첫째, 학원교육서비스 품질의 구성요인은 유형성, 신뢰성, 확신성, 공감성, 응답성 다섯가지로 도출되었고, 이러한 요인 중에서 수강생들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차원으로는 유형성과 신뢰성, 확신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감성과, 응답성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둘째, 교육서비스품질 차원이 교육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원교육서비스품질의 구성요인 유형성, 신뢰성, 확신성, 공감성, 응답성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학원에 수강하고 있는 수강생들이 교육에 필요한 최신기계 장비와 교육과정에 맞는 교재, 교구가 잘 갖추어진 부분을 보다 중요시한다고 볼 수 있다. 확신성, 공감성, 응답성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교육서비스와는 달리 학원교육서비스의 특성과 함께 학원교육이 보완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 주는 것이다. 셋째, 컴퓨터학원의 교육만족과 교육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성과를 분석해 본 결과 교육만족도와 교육충성도는 교육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다. It has been for long that the private education has taken over the educational demand insufficient from the public education in the current educational market. Because of that reason, the market of private education has been enlarged. In addition, the productivity and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have been improved as the capability to actively encounter the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has been improved. And the information wave in 21st century rapidly changed the industrial society to the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so the scientific technology and the information technology has been being improved and become normalized as being flown into our life. Thus, computer became an major instrument in this information oriented era and also the must have item as the use of computer was broadened into the daily routine of human being. In this modern trend, a working group for computer has been newly created and remarked like a rising star in the job market as spreaded in diverse. However, the problem is that the service does not satisfy the customer in spite of continuous expansion of the private institute, The purpose of this study focuses on how much the educational service quality of computer institute is effective to the royalty of customer and the educational achievement. More specifically, the relation extent of the quality to the customer royalty and the educational achievement can be defined with the five subordinated factors of quality that consists of corporeality, reliability, confidence, consensual and optical response. The researcher sets up a study matrix based on a existential theory that is about the relation of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and customer royalty to the educational achievement. For the research, the survey was carried out by the students attending the computer institutes located in Pusan and Kyungnam province during the specific period from 1st of Oct. 2012 to 20th of Oct. 2012. The result of survey shows tha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 between all the factors mentioned above, Service, Satisfaction, Royalty and Achievement. First of all, the five factors of quality, “corporeality, reliability, confidence, consensual and optical response” were exposed by the analysis. Among the factors, the corporeality, reliability and the confidence were defined as the effective factors to the satisfaction of student but the other two factors, the consensual and optical response, were defined as “Not effective factors”.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sis about how much the educational service quality is effective to the educational royalty, the effective priority is decided as corporeality, reliability, confidence, consensual, optical response. According to the result, it became obvious that the student considers if the institute provides the study method and materials appropriately and well following the current trend. However, the confidence and optical response were not considered. The result gave a direction to the institutes how to make up the weakness with the feature of the service of private education on the contrary to the service of university. Lastly, the analysis result about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satisfaction to the educational royalty in computer institute shows that the satisfaction and royalty are positively effective to the educational achievement.

      • 학원 교육서비스 품질 구성요인과 만족도가 연속수강의도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임지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학원에 수강 중인 고등학생들이 지각하는 만족도, 연속수강의도,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원 교육서비스 품질의 구성 요인을 파악하고, 그 변수들 간 구조적 인과 관계와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만족도, 연속수강의도, 구전의도 간의 관계 분석을 통해 학원의 서비스 질 향상과 경영성과 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학원교육 서비스산업에서 고객지향성을 높일 수 있는 서비스 전략 수립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2015년 1월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고등학생 454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하였다. 측정도구는 기존 문헌들에서 사용한 도구를 수정하여 이용하고, 자료 분석은 SPSS 18.0과 AMO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원 교육서비스 품질 구성 요인 중 반응성과 공감성, 내용성, 유용성 요인이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영향력의 크기는 유용성> 공감성> 내용성, 반응성 순으로 나타났다. 연속수강의도에는 유용성 요인만이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고등학생들이 지각한 학원에 대한 만족도는 연속수강의도에도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원 교육서비스 품질 구성 요인 중 내용성과 유용성 요인이 구전의도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영향력의 크기는 유용성> 내용성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등학생들이 지각한 학원에 대한 만족도는 구전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원 교육 서비스 품질의 구성요인과 만족도, 연속수강의도, 구전의도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살펴보면, 학원교육 서비스 품질 구성 요인 중 반응성, 공감성, 내용성, 유용성은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영향력의 크기는 유용성> 공감성> 내용성> 반응성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원 교육서비스 품질 구성 요인 중 유용성 요인만이 연속수강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고등학생 수강생들이 지각한 학원에 대한 만족도는 연속수강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연속수강 의도는 구전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원에 대한 만족도는 구전의도에도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학생의 만족도, 연속수강의도, 구전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학원 경영자는 교육서비스 품질의 구성요인을 파악하여 중점적으로 노력해야 할 교육서비스가 무엇인지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보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노력은 교육수요자인 학생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기대에 부응하는 효과적인 학원경영전략을 수립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researched quality factors of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education service, such as satisfaction, intention for consecutive registration of classes and word of mouth of high school students attending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and analyzed structural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and influence among different variables. Also, it aimed to provide basic resources for the improvement of service quality and management performance of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through the analysis of relations among satisfaction, intention for consecutive registration of classes and word of mouth and to suggest direc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customer-oriented service strategy in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 service industry. For this, I researched 454 high school students residing in Seoul and Kyungi metropolitan area in January, 2015. I modified and utilized the tools used in the existing literature for the measurement, and applied SPSS 18.0 and AMOS 18.0 for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research result follows below. First, among quality factors of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 services, reactivity, empathy, contents, and usefulness showed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and amount of its effect was shown to be usefulness, empathy, contents, and reactivity in decreasing order. Regarding the intention for consecutive registration of classes, only usefulness was shown to have direct and positive effect. Also, high school students’satisfaction rate of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turned out to have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of consecutive registration of classes. Second, among quality factors of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educational service, contents and usefulness had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for word of mouth. The amount of its effect was shown to be usefulness and contents in decreasing order. Also, high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rate of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was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for word of mouth. Third, structural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among quality factors of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educational service, satisfaction, and intention for consecutive registration of classes and word of mouth showed that reactivity, empathy, contents, and usefulness had positive impact on satisfaction. The amount of influence was shown to be usefulness, empathy, contents, and reactivity in decreasing order. Also, among quality factors of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educational service, only usefulness was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for consecutive registration of classes. In addition, high school students’satisfaction rate of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turned out to have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for consecutive registration of classes, and intention for consecutive registration of classes was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for word of mouth. The satisfaction of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was also proved to have direct and positive impact on the intention for word of mouth. This study needs to observe and make up what efforts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 operators have to make in regard to the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factors for improvement of students’ satisfaction, intention for consecutive registration of classes and word of mouth. Such effort will fulfill the needs of students who are consumers of education and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effective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 management strategy.

      • 한·중 FTA체결 이후 중국어 교육서비스시장의 변화

        주결선 동아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20세기 중반에 글로벌 경제화와 지역경제통합은 세계경제가 발전하는 두 가지 추세이다. 자유무역협정은 지역경제협력의 주요형식으로서 각국의 전략적 합작과 경쟁의 중요한 수단이 된다. 동아시아 지역은 세계에서 가장 큰 하나의 경제 주체이지만 경제협력의 진전이 미약한 상황이다. FTA는 이와 같은 전통적인 경제통합의 단계에 변화를 가져왔다. 반면 FTA는 상품 교역과 관세 및 원산지 규정과 같은 사항을 가장 기초적 양허 대상으로 다루고 있다. 많은 선진국은 이미 교육시장의 발전을 중시한다. 호주를 예로 들면, 교육서비스산업은 이미 그 나라의 제 3산업으로 선정되었다. 하지만 중국과 한국은 교육서비스산업을 특별히 중요시 하지 않을뿐더러, 활발한 교육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고, 교육서비스의 질과 서비스를 중시하지 않으며, 대부분 관리감독 위주의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한국과 중국은 활발한 교역을 하고 있다. 그 부분에서 중국어는 빠뜨릴 수 없는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특히 중시해야 한다. 한·중 FTA 체결 이후 중국어교육서비스 시장은 발전하고 변화하였지만, 한국인의 관심을 받지 못했다. 때문에 중국어 교육 서비스 시장의 발전을 위해 이 주제로 논문을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주요 FTA와 교육서비스를 분석, 중국의 주요 FTA와 교육서비스를 분석하고 한·미, 한·중 사교육시장의 비교분석과 부산에 소재한 학원을 조사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한.중 FTA 교육서비스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 요리전문학원의 선택속성과 교육서비스품질이 수강생의 교육만족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부산,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김수정 영산대학교 관광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재 한국사회는 경제의 발달과 더불어 수준 높은 삶을 추구하며 평생학습에 대한 중요한 인식과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평생학습으로 요리교육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는데 안전한 음식을 만들고 가족들과 먹기 위해 집에서 음식을 만들고 배우려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건강하고 맛있는 요리를 배우고자 하는 생활요리, 취업 및 기술자격을 목적으로 하는 자격증 위주의 요리, 아이템 개발을 위한 창업요리 등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수강하는 수강생들이 늘어나고 있다. 수강생들은 자신의 목적에 맞는 교육기관을 찾아가고자 한다. 요리전문학원에서는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수강생들의 선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운영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요리전문학원의 수강생들이 강사, 프로그램, 교육환경, 외부환경들의 선택속성에서 어떤 요인에 교육만족을 하는지와 추천할 의도가 있는지에 대해 연구하고, 또한 교육서비스품질의 여러 가지 요인 중 유형성, 신뢰성, 공감성, 반응성, 확신성 다섯 가지요인으로 분류하여 교육만족도 및 추천의도와의 관계에 대해서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조리교육, 선택속성과 교육서비스품질, 교육만족도 및 추천의도에 대해 기존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이론적 배경을 작성하고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조사방법으로 대상은 부산, 경남지역 요리관련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2015년 11월 1일부터 11월 30일 까지 수강하고 있는 또는 수강경험이 있는 수강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본 연구의 기초자료로 사용하여 연구를 하였다. 분석결과와 함께 첫째, 요리전문학원의 선택속성으로 강사와 프로그램은 교육만족도와 추천의도에 정(+)의관계가 있음을 나타냈으며 수강생은 요리학원의 선택할 때 강사와 프로그램에 만족도를 느꼈으며 타인에게 추천할 의사도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으며 교육환경과 외부환경에는 만족을 느끼지 못했다는 점과 함께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타인에게 추천할 의도가 없다는 점까지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육서비스품질 차원이 교육만족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요리전문학원의 교육서비스 품질의 구성요인 중 유형성, 공감성, 반응성이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 수강생들이 교육에 필요한 장비, 교재, 기물 등을 갖추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수강생들은 수강 전 학원을 선택할 때의 선택속성보다는 수강경험을 한 후의 교육서비스품질에 대한 만족도와 추천의도가 높다는 연구결과를 알 수 있었다. Nowadays, more people are paying attention to lifelong learning, which is perceived as increasingly important aspect of life. It reflects the fact that people are seeking a higher quality of life in line with the economic development. Therefore, numerous people became interested in cooking education. More people are learning how to cook food safely and enjoying home-cooked meals with their family. Moreover, the students have various purposes for learning such as 'everyday cooking' for creating healthy and tasty dishes, 'license-based cooking' for employment and skills, and restaurant business cooking for developing menus. Thus, students prefer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fit their purposes. Therefore, cooking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offer programs that cater the needs of students in order to satisfy their desires and learning purposes.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which selection attributes ― instructor, program,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xternal environment ― lead to their satisfaction in education and referral intention. Also,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among the factors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tangibility; reliability; empathy; responsiveness; confidence), satisfaction in education, and referral intention. To that end, this study established a theoretical background,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based on literature studies. The topics are cooking education, selection attributes, educational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in education, and referral intention. Afterward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former and current students in cooking education institutions in Busan and Gyeongnam regions. It was done from November 1 to November 30 in 2015. The results were used as the baseline data for this study an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election attributes of cooking academies, 'instructor' and 'program'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atisfaction in education and referral intention. It implies that students who choose a particular cooking academy are satisfied with the instructor and program and have the intention to refer the academy to other people. However,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xternal environment. It made them unwilling to refer their cooking academies to other people.   Second, how the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ffects their satisfaction in education and referral intention was analyzed. Among the service quality factors, 'tangibility,' 'empathy,' and 'responsivenes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atisfaction in education and referral intention. It implies that students highly value the equipment, textbooks, and other items for education at cooking academies.   Third,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referral intention was higher after taking classes, compared to the selection attributes before taking any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