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지구조를 고려한 중학교 정보 교과서 내용 구성 방안에 관한 연구

        신지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3343

        교과서는 학교교육에서 교수․학습의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정보 교과가 컴퓨터 과학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개정됨에 따라, 새로운 정보 교과서 집필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자의 인지발달 단계를 고려한 중학교 정보 교과서 내용구성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것으로, 정보교과의 목표와 학습자 활동을 기준으로 3가지 단원 모델을 선정하였으며 세부 내용구성 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인지발달 이론들로부터 학습자의 발달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여러 교육학적 이론을 종합하여 단원의 유형에 적합한 교수학습 방안을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여러 교수학습 방법들을 Bloom의 교육목표 분류체계에 따라 인지적, 기능적, 정의적 영역으로 그 특징을 구분하고 정보교과 각 단원의 특징을 고려하여 개념학습 중심, 탐구학습 중심, 실습 중심으로 교과서 모델을 제시하였다. 개념학습중심 모델은 인지적 영역 중 단순지식의 습득 및 개념, 용어의 이해 등을 목표로 하는 단원이며, 탐구학습중심 모델은 인지적 영역 중 보다 고차원적인 인지활동을 추구하는 학습자 활동 중심의 단원이다. 또한, 실습 중심 모델은 기능적 영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정보 기기의 조작과 활용이 주가 되는 단원이다. 이 각 단원 모델에 대하여 학습자의 발달단계를 고려한 단계별 교과서 내용구성 방안 및 학습자료 형태, 학습자 활동을 제안하였으며, 중학교에서 정보(컴퓨터)교과를 담당하고 있는 현직 교사 30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받았다. 이를 바탕으로, 정보 교과의 ‘정보기기의 구성과 동작’ 단원의 내용 중, 각 유형에 적합한 학습요소를 선정하여 샘플 교과서를 집필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인지구조를 고려한 교과서 집필에 대한 기초 연구로써 차후 집필될 교과서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extbook is the core material in the teaching-learning. And the curriculum of the Computer education changed to Informatics. So we need to write the new Informatics textboo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method of constructing a middle school Informatics textbook based on cognitive structure of learners. For this, we developed 3-models considering the educational objectives and activities of learners, and suggested the methods of textbook construction scheme. For this goal, this study considered the followings: First, we reviewed related books on th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cognitive-development theories of adolescent period. Second, we drew instructional schemes from the pedagogic theories. Third, we divided these schemes into three domains by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 Cognitive domain, Psychomotor domain, Affective domain. And then,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Lastly, we suggested 3 models on Informatics textbook : 'Learning Centered on Concept', 'Learning Centered on Investigation', and 'Learning Centered on Actual Training'. 'Learning Centered on Concept' is in low level of cognitive domain and it's for understand the fundamental notions, terminologies. 'Learning Centered on Investigation' is in higher level of cognitive domain and it's for cognitive activities of learners and understanding the complicated contents. 'Learning Centered on Actual Training' is in psychomotor domain, it's for operating and applying the computer machines. We suggested construction schemes, forms of learning materials, and learners' activities of each type. and we verified the adequacy using questionnaire to 30 teachers, on teaching the Informatics in middle school. Then, we selected the appropriate contents for each models, in the unit ‘The Constitution and Operating of Computer’, and wrote the sample units. We expect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improve in a quality of Informatics textbook in middle school.

      • 한국 초등 사회교과서 내용구성체제의 형성과 변화 논리

        김세훈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3342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reveal the inherent logic inherent in the processes of the formation and changes of the unit framework of Korea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longitudinally discussed from the time of an outline program of instruction through the 2015 revised textbooks, the framework of textbooks and situational conditions surrounding it, the actions of the related subjects, and the decision-making process in contextual relations. As a result of a study, the unit framework of textbooks by period has been formed and changed, while being affected by educational situations and the education-inside situations such as education trends, curricula,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rather than political, social, and historical situations.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education-inside situations became thickened toward the present. The subjects related to the unit framework of textbooks moved their center from a small number of editors of Social Life and pioneering researchers to numerous teachers who investigate Elementary Social Studies. They went through the processes of selection and agreement, and conflict and negotiation, interacting situational conditions that formed the unit framework of textbooks and affected changes in it and realized the flow of the problem-solving process in a way they aimed at. In these situational conditions and contextual relations with the related subjects, the From the outline program of instruction through the 2nd unit framework of textbooks,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that share the character and direction of Elementary Social Life were considered problem-solving learning, and the persons concerned at the time realized the flow of problem-solving learning, using storytelling in the unit framework of textbooks. The 3rd through 6th unit framework of textbooks realized the flow of exploratory teaching/learning methods aiming at the problem-solving process, and the 7th through the 2015 revised unit framework of textbooks realized the flow of problem-solving and exploration process. Through these processes of the formation and changes of the unit framework of textbooks, this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logic. The unit framework of textbooks was formed and changed, having relationships of disharmony in harmony, and the conflict and evolution between the logic of education-inside situations like education trends, curricula,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the logic of Social Studies. life experience-centered education trends and problem-solving learning, and discipline-centered education trends and exploration affected the unit framework of textbooks while being harmonized with the logic of Social Studies. However, in the process of realizing the flows of problem-solving learning and problem-solving exploratory learning, there was somewhat disharmony. After Constructivism and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flow of the educational logic reflected in each curriculum period was harmonized or conflicted with the logic of Social Studies. However, the realization of the logic of problem-solving and exploration processes in the unit framework of textbooks was developed and evolved. The unit framework of textbooks also showed changes and tensions. It was also changed into multiple unit frameworks of textbooks that have different characters and logics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perspective of the subjects related to textbooks on Social Studies. In addition, the logic of each area constituting Social Studies formed a tense relationship with the logic of Social Studies. In particular, the history area showed a tendency of trying to form a unit framework of textbooks according to the academic logic of the history area, not the logic of Social Studies. In conclusion, the core logic penetrating the unit framework of Korea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aims at learners-centered problem-solving and exploration processes. The ideal of the aim at the learners-centered problem-solving process that started from Social Life Textbooks in the outline program of instruction has been disclosed to approach closer to the ideal. In the process, there were developments and curves by various causes; however, the logic of aiming at the problem-solving process has been maintained without change and developed. Hopefully, textbooks will be produced, which have a logic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if this logic is succeeded and developed. 본 연구는 한국 초등 사회교과서 내용구성체제의 형성과 변화 과정 속에 담긴 내재적 논리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수요목 시기부터 2015 개정 교과서까지 교과서 내용구성체제와 그를 둘러싼 상황 조건, 관련 주체들의 행위, 의사결정 과정을 맥락적인 관계 속에서 종단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각 시기별 교과서 내용구성체제는 정치적, 사회적, 역사적 상황보다는 교육적 상황 그리고 교육사조, 교육과정, 교수ㆍ학습 방법과 같은 교육 내적인 상황의 영향을 받으며 형성, 변화되었다. 또한 과거에서 현재로 올수록 교육 내적인 상황의 영향은 더욱 짙어졌다. 교과서 내용구성체제와 관련된 주체들은 소수의 사회생활과 편수관, 선구적인 연구자들에서 초등 사회과를 연구하고 실천하는 다수의 현장 교사들로 중심이 이동하였다. 이들은 교과서 내용구성체제의 형성과 변화에 영향을 준 상황 조건들과 상호작용하며 선택과 합의, 갈등과 타협의 과정을 거쳤고, 문제해결 과정의 흐름을 그들이 지향하는 방식으로 구현하였다. 이러한 상황 조건, 관련 주체와의 맥락적인 관계 속에서 교과서 내용구성체제는 내재적 속성을 지니며 형성, 변화되었다. 교수요목부터 제2차 교과서 내용구성체제는 초등 사회생활과의 성격과 방향성을 함께하는 교수ㆍ학습 방법을 문제해결학습으로 보았고, 당시의 관련 주체들은 스토리텔링을 이용하여 문제해결학습의 흐름을 교과서 내용구성체제에 구현하였다. 제3차부터 제6차 교과서 내용구성체제는 문제해결 과정을 지향하는 탐구 교수ㆍ학습 방법의 흐름을 구현하였으며, 제7차부터 2015 개정 교과서 내용구성체제는 문제해결 및 탐구 과정의 흐름을 구현하였다. 이러한 교과서 내용구성체제의 형성과 변화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논리를 밝혔다. 교과서 내용구성체제는 교육사조, 교육과정, 교수ㆍ학습 방법과 같은 교육 내적 상황의 논리들과 사회과 논리 간에 조화속 부조화, 상충과 진화의 관계를 가지며 형성, 변화되었다. 생활경험중심 교육사조와 문제해결학습, 학문중심 교육사조와 탐구는 사회과의 논리와 조화를 이루며 교과서 내용구성체제에 영향을 주었다. 하지만 문제해결학습, 문제해결적 탐구학습의 흐름을 교과서 내용구성체제에 구현하는 과정에서는 다소 부조화되는 모습이 보였다. 구성주의와 제7차 교육과정 이후 각 교육과정 시기에 반영된 교육적 논리의 흐름은 사회과의 논리와 조화 혹은 상충되었다. 하지만 문제해결 및 탐구 과정의 논리를 교과서 내용구성체제에 구현하는 모습은 과거에 비해 발전하여 진화하였다. 교과서 내용구성체제는 변화와 긴장의 모습도 보여주었다. 교과서 관련 주체들의 사회과교육에 대한 입장, 관점에 따라 성격과 논리가 다른 복수의 교과서 내용구성체제로 변화되기도 하였다. 또한 사회과를 구성하는 각 영역들의 논리와 사회과의 논리가 긴장관계를 형성하였다. 그중 역사 영역은 사회과의 논리가 아닌 역사 영역의 학문적 논리에 따라 교과서 내용구성체제를 형성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초등 사회교과서 내용구성체제를 관통하는 핵심 논리는 학습자 중심 문제해결 및 탐구 과정을 지향하고 있다는 것이다. 교수요목 사회생활과 교과서부터 시작된 학습자 중심 문제해결 과정의 지향이라는 이상은 그 이상에 보다 다가가기 위해 현재까지 노정되고 있다. 그 과정에서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발전과 굴절이 있었지만, 문제해결 과정의 지향이라는 논리는 변함없이 유지되며 발전하고 있었다. 이러한 논리를 계승, 발전시킨다면 초등 사회과의 논리를 갖춘 교과서가 생성될 것으로 기대한다.

      • 고등학교 피부 미용 교과서의 내용 구성에 관한 비교․분석

        박세실리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3341

        본 연구는 고등학교 피부 미용 교과서의 ‘내용 구성’에 관하여 단원별 ‘학습 목표’·‘본문’·‘단원 평가’ 간의 일관성을 분석하고자 전국 미용관련 고등학교에서 2015년도 3월 기준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A교과서와 최근에 출판된 B교과서를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6개의 대단원 중 이론과 실기인 ‘피부의 이해’와 ‘피부 미용의 실제’를 분석하였으며, 연구자의 분석 결과뿐만 아니라 객관성과 신뢰성을 위하여 現피부미용 교육전문가 25명의 교과서 내용 구성에 관한 설문 평가를 토대로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피부의 이해’ 이론 대단원에서 A교과서는 ‘학습 목표’·‘본문’·‘단원 평가’ 간의 일관성을 제시하였으나, B교과서는 일관성이 결여되었다. 또한 ‘피부 미용의 실제’ 실기 대단원에서는 A·B교과서 모두 ‘학습 목표’·‘본문’·‘단원 평가’ 간의 일관성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본문’의 내용에서 ‘학습 목표’의 반영률이 ‘피부의 이해’ 이론 대단원은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피부 미용의 실제’ 실기 대단원에서는 B교과서의 반영률이 높았다. 한편 두 단원의 ‘단원 평가’ 문항에서는 ‘학습 목표’가 누락된 비율이 A교과서 보다 B교과서가 4배 높았다. 결론적으로 A교과서는 ‘본문’의 내용에서 ‘학습 목표’ 반영률이 낮았다. 반면에 B교과서는 ‘단원 평가’에서 ‘학습 목표’의 반영률이 낮게 나타났으나 ‘피부 미용의 실제’ 실기 대단원의 ‘본문’에서는 ‘학습 목표’가 ‘매우 반영되었다.’가 86%로 조사되어 전체적인 ‘내용 구성’이 A교과서 보다 B교과서가 체계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향후 개정되거나 출판될 피부 미용 교과서의 새로운 지침이 되어, 미용전문가를 양성하는 특성화 교육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In order to analyze consistency among each chapter’s ‘learning objectives’, ‘texts’ and ‘chapter evaluation’ in relation to ‘contents composition’ of skin care textbooks used in high school, this study carried out its research by selecting A Textbook most frequently used by beauty-related high schools in South Korea as of March 2015 and B Textbook recently published. Of six chapters, these theoretical and practical chapters ‘Understanding of Skin’ and ‘Reality of Skin Care’ were investigated and as aiming not only for analysis results of a researcher but also for both of objectivity and reliability, the study extracted conclusions based on a survey on textbook contents composition which had been conducted targeting a total of 25 in-service skin care education experts.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regarding the theoretical chapter ‘Understanding of Skin’, A Textbook offered consistency among ‘learning objectives’, ‘texts’ and ‘chapter evaluation’, but B Textbook failed to present consistency. In addition, in regard to the practical chapter ‘Reality of Skin Care’, A and B Textbooks did not come up with consistency among ‘learning objectives’, ‘texts’ and ‘chapter evaluation’. In terms of contents of ‘texts’, an application rate of ‘learning objectives’ turned out to be similar in the theoretical chapter ‘Understanding of Skin’ in the two textbooks but as for the practical chapter ‘Reality of Skin Care’, the rate appeared to be higher in B Textbook. In the meantime, when it comes to ‘chapter evaluation’ of the two chapters, an omission rate of ‘learning objectives’ was proved to be four-times greater in B Textbook than in A Textbook. In conclusion, the study confirmed that A Textbook worked with only a low application rate of ‘learning objectives’ in connection with contents of ‘texts’. On the other hand, B Textbook presented a low application rate of ‘learning objectives’ in connection with ‘chapter evaluation’ but in terms of ‘texts’ of the practical chapter ‘Reality of Skin Care’, 86% of the survey participants answered that ‘learning objectives’ had been ‘very much highly applied’. As a consequence, the study found the overall ‘contents composition’ more systematic in B Textbook than in A Textbook. Last but not leas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specialized education to cultivate beauty experts as a new guideline of skin care textbooks that would be newly revised or published in the future.

      • 고등학교 『한국사』교과서 내용구성과 「탐구활동」분석 : 일제 강점기 서술을 중심으로

        김일규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33341

        National curriculum is the basis of writing a text book. Author's discretion is strengthened in 2009 Korean history curriculum. After all, Authors’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e curriculum, It is possible to develop the characteristic textbook. I investigated the content layout of 『Korean History』 textbook and the educational meaning of 'exploration activities'. I investigated historical reading materials, application of ' exploration activities' and the way of question in 'exploration activities', I summarized what must have been improved. 『Korean History』textbook is formed by various unit, each textbook were to differentiate. Most of the 『Korean History』 textbook consist of unit, sub-unit, Only one textbook consist of the way to organize units according to subjects. 『Korean History』textbook emphasized the activities of the student, so reading materials and exploration activity were an important component of textbook. Some describe the text briefly, and emphasized " exploration activities", reading materials. Others describe the text in detail. but don't emphasized " exploration activities", reading materials relatively. Subsections of the body between the "exploration activities" by placing the body of the quest to learn by reading textbooks, organized, and stopped by placing the section won for finishing the cleanup and the main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learning about the depth was even proposed. The exploration question will appear in the form of presenting data and answer a given task using it. The way of question in exploration task are presented in detatil, It will help student find answers. However, some of the questions explored comparison of the difference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that required higher-order thinking. It was not uncommon. "Exploration activities," To be meaningful education for students from the questions posed to do their activities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intellectual curiosity to act aggressively to help businesses pay. The data presented to explore the challenges and explores the question of the intention to develop the material for the students' attention and interest that can lead to many different types of materials may need to show. 교육과정은 교과서 집필의 근간이 된다. 2009 한국사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의 대강화 원칙이 적용되어 교과서 저작의 재량권이 강화되었다. 그 결과 집필자의 교육과정에 대한 다양한 해석에 따라 특색있는 교과서의 개발 가능성이 높아졌다. 교과 내용은 근·현대사를 중심으로 한국사와 세계사를 유기적으로 연계해서 구성하도록 하였다. 본고에서는 2009교육과정에 준거하여 개발된 고등학교 『한국사』교과서의 내용구성 방식과 「탐구활동」의 교육적 의미를 검토해 보았다. 사료를 이용한 읽기 자료와 「탐구활동」의 활용, 탐구과제의 질문 방식을 검토하여 개선되어야할 점을 정리하였다. 『한국사』교과서는 교육과정의 대강화에 따라 다양하게 단원을 구성하여 교과서마다 차별성을 보였다. 대부분의 『한국사』교과서는 대단원 아래 중단원과 소단원으로 구성하는 단원 구조 방식을 취하였고 1종의 교과서는 주제 중심의 단원 구성방식으로 교과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한국사』교과서는 학생들의 활동이 강조되면서 사료 및 읽기 자료와 탐구 활동이 교과서의 중요한 구성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었다. 본문 내용은 핵심적으로 간략하게 서술하고 본문 사이에 읽기 자료와 「탐구활동」을 구성하여 활동하는 교과서의 성격을 강조한 교과서도 있고, 상대적으로 본문을 비중있게 서술하고 읽기 자료와 「탐구활동」의 비중이 적은 교과서도 있었다. 소단원의 본문 사이에 「탐구활동」을 배치하여 본문을 읽으면서 탐구 학습을 기획한 교과서도 있고, 중단원의 마무리에 배치하여 단원의 내용 정리 및 주요 내용에 대한 심화 학습를 목적으로 제시하기도 하였다. 탐구과제는 질문 형태로 나타나며 일정한 자료를 제시하고 그것을 이용하여 주어진 과제로 답하게 하는 방식이었다. 탐구과제에서 질문 방식은 대체로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본문과 주어진 자료를 활용하여 답을 찾을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하지만 일부의 탐구 질문들은 차이점의 비교나 역사적 의의와 한계의 규명을 요구하는 종합적이고 고차적인 사고를 요구 경우도 드물지 않게 보였다 「탐구활동」이 교육적으로 의미가 있으려면 학생들이 제시된 질문으로부터 자신들이 해야할 활동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지적 호기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이끌어내야 한다. 그리고 탐구과제로 제시된 자료는 탐구질문의 의도에 적합한 자료를 개발하여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자료를 많이 제시할 필요가 있다. 주요어 : 교육과정, 교육과정의 대강화, 『한국사』교과서, 교과서 내용구성, 단원구성, 탐구활동, 탐구질문

      • 한국과 미국 초등 사회 교과서 내용 구성체제 비교 분석 연구

        배경호 부산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33340

        본 연구는 미국의 초등 사회과 교과서와 한국의 초등 사회과 교과서의 내용 구성체제를 비교․분석하여 각 나라의 교과서 내용 구성체제의 장점과 단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비교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교과서 개발방향에 참고할 만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도출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과서 내용 구성체제를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미국과 한국의 초등 사회 교과서의 전체적인 구조는 학습자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에 도움을 주고 있는지 알아본다. 둘째, 미국과 한국의 초등 사회 교과서의 대단원 구성 체제를 분석해보고 각 나라의 내용 구성체제의 특징을 알아본다. 셋째, 미국과 한국의 초등 사회 교과서의 대단원, 중단원, 소단원의 내용구성 체제를 비교 분석하여 특징을 파악하고 새로운 교과서 내용구성 체제를 제안한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의 범위와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3, 4학년 미국 사회 교과서 3종과 한국 사회 교과서 1종을 비교 분석하였다. 둘째, 미국과 한국의 초등 사회 교과서의 전체 구조와 대단원의 구성 방식을 비교 분석한다. 셋째, 미국과 한국의 초등 사회 교과서의 대단원, 중단원, 소단원의 내용 구성체제를 비교․분석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 교과서의 전체 구조에 있어서 미국의 초등 사회과 교과서가 한국의 초등 사회과 교과서보다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에 도움이 되는 내용을 많이 구성하고 있다. 미국의 사회 교과서는 사회과 내용 영역에 대한 안내, 사회과 기본 기능학습에 대한 설명과 적용, 지도, 인명색인, 지명색인, 핵심 용어 색인 등이 잘 갖추어져 있다. 둘째, 대단원의 구성에 있어서 미국 초등 사회과 교과서는 3학년은 지리, 역사, 경제, 정치, 문화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4학년은 지역의 범위를 기준으로 대단원이 구성되어 있다. 반면에 한국의 사회과 교과서는 지리, 역사, 일반사회 영역 안에서도 주제에 따라 대단원으로 나뉘어 구성되어 있다. 셋째, 미국의 초등 사회 교과서의 대단원은 2~3개의 중단원으로, 중단원 아래에는 2~4개의 소단원으로 내용이 구성되어 있다. 반면에 한국의 초등 사회과 교과서의 대단원은 4개의 소단원로 내용이 구성되어 있고 중단원이 존재하지 않는다. 셋째, 미국의 초등 사회 교과서의 소단원 내용 구성체제는 학습자들이 소단원의 중요 사실이나 핵심 개념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생각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작은 코너를 구성해두었지만, 한국의 초등 사회 교과서의 소단원 내용구성 체제는 학습 내용 서술 이외의 다양한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코너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 초등 사회과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사회과의 중요 중제(Social studies Strand)에 대한 안내, 사회과 기능학습에 대한 안내(Social Studies Handbook), 참고 자료(Reference) 등과 같이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내용이 구성되어야 한다. 둘째, 사회과 교과서의 대단원 내용 구성체제에 있어서 핵심 개념들 간의 관계와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대단원, 중단원, 소단원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셋째, 다시보기와 같이 복습을 위한 코너의 내용을 구성할 때는 지식․개념, 기능, 가치․태도를 고르게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문항과 학습 활동이 제시되어야 한다. 넷째, 소단원의 내용 구성체제의 반복으로 인한 학습자들의 지루함을 낮추고 사회 교과서에 대한 흥미를 높이기 위하여 소단원 사이에 다양한 활동 내용이 구성되어야 한다. 다섯째, 학습자들이 핵심 개념이나 중요 사실을 놓치지 않고 깊이 이해하기 위해서는 핵심 개념이나 중요한 사실을 묻거나 비판적으로 생각해볼 수 있는 질문이 지속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 학습읽기 전략을 반영한 내용교과 교과서 구성 연구 : 사회 교과서, 과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육인경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3340

        본 연구의 목적은 국어교과의 학습읽기 전략을 반영하여 내용교과 교과서를 구성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국어교과가 대표적인 도구교과임에도 국어교과에서 학습한 여러 가지 읽기 전략 및 읽기 기능이 타 교과 학습에 전이되지 않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그리고 문제의 원인을 읽기 전략이 지닌 맥락성 측면에서 파악하였다. 읽기 전략의 맥락성 때문에 내용교과 텍스트 읽기 및 학습읽기에 읽기 전략을 사용해보지 않은 독자는 의식적으로 읽기 전략을 활용하기가 어렵다. 또한 국어교과의 학습을 내용교과의 학습과 완전히 별개의 것으로 생각하는 교사 및 학생들의 인식도 문제 현상을 지속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내용교과 학습에 읽기 전략을 활용하도록 지원하기 위해 교과서에 주목하였다. 내용교과 교과서에 학습읽기 전략을 반영하면 교수·학습 장면에서 효과적으로 실제적인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읽기 전략을 반영한 내용교과 교과서 구성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이론적으로 관련된 개념들을 탐색하였다. 먼저 학습읽기에 대한 정의를 명확히 하기 위해 학습읽기 및 학습읽기와 관련된 개념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학습읽기의 개념을 ‘학습자가 텍스트를 통해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기 위한 학습의 도구 기능에 초점을 둔 읽기’라고 정의하였다. 다음으로는 Ruddell & Unrau(2004)의 모형에 비추어 학습읽기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학습읽기는 읽기학습과 근본적인 처리과정에서 차이가 없지만, 독해에 영향을 미치는 독자, 텍스트, 맥락 요인이 상이하다. 더불어 최근 CCSS의 등장으로 교과교육의 핵심 개념으로 자리잡은 교과문식성에 대해서도 다루었다. 교과문식성이란 교과의 지식을 대상으로 하며 학생들이 교과를 배우는 과정에서 필요한 능력임과 동시에 교과를 통해 경험하고 배운 것들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다. 교과 문식성의 중요한 두 축인 내용교과 문식성(content area literacy)과 학문 문식성(disciplinary literacy) 패러다임을 고찰하여 바람직한 내용교과 문식성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학습읽기 전략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탐색하였다. 내용교과의 텍스트는 생소한 내용을 담고 있는 경우가 많고, 이야기 글보다 표상 형성에 어려운 특징이 있다. 이러한 텍스트를 읽으면서 독자는 정보처리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보다 적극적으로 글의 내용을 추론하고 기존 지식과 통합하여 상황모형을 구성하려는 독자의 노력이 필요하다. 학습읽기 전략을 명시적으로 지도하고, 자동적으로 수행되지 않는 처리를 의도적으로 일어나도록 유도하여 텍스트에 대해 좀 더 의미 있고 통합된 표상을 형성하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학습읽기 전략은 텍스트가 담고 있는 내용을 장기기억으로 이송하기 위해 텍스트를 보다 깊이 있게 처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 한편 학습읽기 전략을 교과서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학습읽기 전략 목록을 체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학습읽기 전략들을 학습 상황에 활용할 수 있는 목적을 기준으로 삼아 꼼꼼하게 읽기 전략, 기억하며 읽기 전략, 확장하여 읽기 전략 세 가지로 유형화하였다. 꼼꼼하게 읽기 전략은 텍스트의 명시적 정보를 확인하고 텍스트 전체의 의미를 깊이 있고 정교하게 이해하기 위한 읽기 전략이다. 텍스트 구조 파악전략, 질문 전략, 밑줄 긋기, SQ3R 전략들이 포함된다. 기억하며 읽기 전략은 읽은 후에 텍스트의 내용에 대한 독자의 기억 증진, 표상을 돕는 전략이거나 용어, 개념 자체에 대한 전략이다. 도식화 전략, 어휘 전략, 학습일지 쓰기 전략들이 포함된다. 확장하며 읽기 전략은 비판적으로 텍스트를 이해하기 위한 전략, 해당 교과의 담화 특성을 익혀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의사소통하기 위한 읽기 전략이다. 비판적 읽기 전략, 장르 인식 전략, 상호텍스트 전략이 포함된다. 실제로 국내외 내용교과 교과서에 학습읽기 전략이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국내 내용교과 교과서의 경우 학습읽기 전략 반영의 명시성, 다양성, 빈도가 낮았다. 텍스트의 양이 비교적 적고, 상호텍스트가 빈번히 활용된다는 점도 특징이었다. 국외교과서는 학습읽기 전략이 명시적으로 제시되고, 제시 빈도가 무척 높았다. 하지만 교과 특수적 문식성 반영이 부족했다. 두 교과서 모두 학습읽기 전략 사용의 목적이 분명히 연계되지 않는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다음으로 학습읽기 전략을 내용교과 교과서에 실제 반영하기 위해서 학습읽기 전략 반영의 방법을 논의하였다. 학습읽기 전략을 교과서에 반영할 때에는 텍스트 내적 구성, 학습활동 구성, 독립적인 학습 코너 구성 3가지 방식으로 가능하다. 그리고 학습읽기 전략이 사용되는 목적과 전략의 유형에 따라 각각 적합한 구현 방식이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읽기 전략을 반영하여 예시 단원을 개발하기 전에 학습읽기 전략을 교과서에 반영할 때 적용해야 하는 원리를 밝혔다. 적합성의 원리, 통합의 원리, 전이의 원리, 비계 설정의 원리, 반복의 원리, 흥미 고려의 원리의 6가지이다. 마지막으로 학습읽기 전략을 반영하여 내용교과 교과서를 실제로 구성하였다. 현재 학교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6학년 1학기 사회, 과학 교과서에 학습읽기 전략을 반영하였다. 본 연구는 국어과 읽기학습과 타 교과 학습 간 교량적 역할에 주목했다는 점과 내용교과의 교과서에 학습읽기 전략을 구체화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그리고 학습읽기와 교과문식성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학습읽기 전략을 체계적으로 유형화하여 제시함으로써 학습 독자에게 실제적으로 도움이 되는 학습읽기의 구체적인 지도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를 통해 국어교과가 도구교과로서의 역할을 온당히 감당하며 이후에 교과서 개발이나 학습 자료 개발, 수업 차원 등 교육의 여러 영역에서 학습읽기 교육 실천의 기반이 마련되길 소망한다.

      •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비교분석 : 6학년을 중심으로

        편재원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33324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6학년 음악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여 음악 교수학습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방법을 모색하고 한국 음악 교과서의 개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를 비교하기에 앞서 교과서제작의 기저가 되는 각국의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발행제도에 대하여 알아보고, 양국의 초등 음악과 교과서의 내용 구성과 내용 전개에 초점을 두어 분석하였다.본 연구를 위해서 한국의 제7차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1997-15호)에 의거한 현행 국정 초등 6학년 음악 교과서와 미국의 Silver Burdett Ginn출판사의 “The Music Connection 6” Teacher edition판을 비교 분석하였다. 한국과 미국의 사회적 여건, 교육 제도 및 현실, 특히 교육재정이 다르므로 교과서의 외적인면의 비교보다는 내용구성과 내용전개 방법에 중점을 두어 영역별 또는 주제별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탐색에 중점을 두어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에는 한국 초등음악 교과서 분석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있는 관계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 교과서를 비교분석하는데 있어서 미국 교과서에 더 중점을 두어 연구하였다.교육과정 내용체계에 있어서 한국은 이해(리듬, 가락, 화성, 형식, 셈여림, 빠르기, 음색)와 활동(가창, 기악, 창작, 감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미국은 개념(Concepts:리듬, 가락, 화성, 형식, 음색, 표현특성)과 기술(Skills:가창, 움직임, 교실악기연주, 감상, 창작, 키보드연주, 리코더 연주, 기타연주)로 구성되어 있다. 미국이 표현특성에서 셈여림, 빠르기, 스타일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움직임 영역을 따로 두어 음악과 움직임, 무용, 춤과의 관계를 중요시한 점, 기술에서 악기 연주부분을 더욱 구체적으로 세분화하였다는 점에서 구분되었다.한국의 교과서는 제재곡(교재곡)과 즐거운 노래(참고곡)로 편성하여 제재곡 중심의 학습단원이 이루어지는 반면, 미국은 개념, 주제 및 활동 중심의 단원편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각 영역별 내용구성 및 내용전개 비교 분석을 통하여 미국 초등학교 6학년 음악 교과서의 특징을 요약하면 ①교과서에 필수와 선택학습내용을 풍부하게 탑재 ②음악개념과 이론의 중시 및 구체적 설명 제시 ③개념의 단계적 접근 ④주제통합학습의 강조 ⑤세계 여러 나라 및 민족의 다양한 음악 경험 강조 ⑥다양한 음색 교육 ⑦풍부한 감상곡의 예시와 감상곡의 다양한 사용 ⑧복습부분의 구성이었다. 한국 교과서가 필수내용과 몇 곡의 참고곡 만을 넣는다는 점, 음악적 용어나 개념에 대한 설명이 적은 점, 전통음악을 강조하는 점, 감상곡을 통해 주로 형식과 음색을 다룬다는 점 등에서 구분되었다.우리나라 교육재정을 고려한 얇은 교과서를 만들기 위해 제재곡 중심의 단원 편성에서 하나의 제재곡에서 여러 가지 학습요소를 다루기 위하여 제재곡이나 감상곡 선택에 있어서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다는 점과 이러한 방식이 미국 교과서의 개념 및 주제중심의 구성보다 우리나라 교육현실을 고려했을 때 상당히 합리적이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음악 교과서의 바람직한 방향을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첫째, 교과서 제작에 관한 재정의 증가를 바탕으로 더욱 더 풍부한 학습내용과 선택내용을 탑재했으면 한다. 즉, 지도서에서 보완하고 있는 감상곡이나 선택곡들의 제시, 학습과 관련된 그림이나 사진의 제시, 학습에 관련된 설명, 주제통합학습의 제시 등이 지도서뿐만 아니라 교과서에서도 다루어지길 바란다.둘째, 음악개념 및 용어, 작곡자, 곡에 대한 더욱 구체적이고 자세한 설명을 기술하기 바란다.셋째, 21세기의 글로벌화 시대를 맞이하여 세계 여러 나라 음악을 교과서에서 다루길 바라며, 이때 원어로 가사를 표시하여 외국어도 체험할 수 있게 하길 바란다.넷째, 전통 감상곡 뿐만 아니라 서양 감상곡 CD 및 영상 수업자료도 교과서와 함께 현장에 배부하여 감상수업이 보다 수월해 지기를 바란다.다섯째, 언어, 역사, 문화, 사회, 무용, 드라마, 연극 등 다른 분야와의 주제통합학습을 고려한 교과서의 구성이 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arch various methods for teaching and to suggest the desirable and developmental directions by comparative analysis on music textbooks of the sixth grade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subjects were discussed in the study:1) How are music curriculums for elementary school of Korea and of the United States organized?2) How is the textbook publication system of Korea and of the United States operated?3) How is the music 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 organized?4) What is the scope and sequence of music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5) What kind of contents are included and how are such contents organized in the textbook?6)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 of the United States?A compar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between the Korean music textbook for the sixth grade, which was revised through the 7th curriculum, and“The Music Connection 6??by Silver Burdett Ginn of the United States. The analysis of this study focused rather on the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by subject or field than on external environments, because there are many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n educational system and condition, and especially financing in education.Moreover, the thesis is more focused on the textbook of the United States, because many analysis on Korean textbooks had been examined already.The scope and sequence of the Korean Curriculum are composed ofUnderstanding ( rhythm, melody, harmony, form, dynamics, tempo, tone color) and Activities( singing, playing, creating, listening).And the curriculum of the United States is composed of Concepts (rhythm, melody, harmony, form, tone color, expressive qualities), and Skills(singing, moving, playing classroom instruments, listening, creating, playing the keyboard, playing the recorder and playing the guitar).The curriculum of the United States differs from that of Korea in many ways. Those are as follows;1) The contents about dynamics, tempo, style were included in the expression character or qualities.2) A section for“Movement??was allocated and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movement such as dance and ballet was emphasized.3) In the section of the skills, playing music instruments was subdivided into playing classroom instruments, playing the keyboard, playing the recorder and plying the guitar.The Korean textbook was organized with subject songs and supplementary songs and the each lesson was focused on this subject song, the lessons in the United States were composed with activities, understanding of concepts and themes.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textbook of the United States were found by a comparative analysis on contents and organization of the textbook.1) Substantial reference for both the mandotory contents and elective contents in the textbook2) Emphasis on music theories, concepts and the explanation in detail about such subjects3) Step-by-step approach to concepts4) Emphasis on learning overall theme5) Emphasis on having experience in various music in different cultures around the world6) Various lessons on related tone color7) Substantial music examples for appreciation and application of music in various ways8) Review partsThe followings of the Korean textbook were different from the textbook of the United States.1) Usually, only one subject song was included; few supplementary songs were included in the textbook.2) Lack of explanation about music concepts and music terminology3) Too much emphasis on Korean traditional music4) In most cases, teaching forms or tone colors were dealt with through music appreciation.When the educational situation of Korea is considered, the structure which focuses on one subject song from various elements is more adequate. Neverthless, I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s for desirable development of the Korean music textbook.1) By increasing budget for education, the physical volume of the textbook has to be increased enough to contain more substantial contents including supplementary contents.2) More details about music concepts, terminology, composers, and the background of music itself need to be described and explained.3) The music textbook should contain musics of many other countries as we have to cope with 21st-century global age. By describing its native language in the textbook, students could take an advantage of experiencing in learning foreign languages.4) Listening class will become easier if the listening examples through CDs not only for Korean traditional musics but also for Western musics are provided.5) The Korean textbook has to be organized with the consideration of integrated learning that can incorporate different languages, history, cultures, societies, dances, dramas and plays.

      • 한·중 중학교 국어과 교육목표 및 교과서 내용구성 체제 비교연구

        장아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3309

        본 연구에서는 대상을 국어교과서로 선정하였다. 초·중·고 세 단계 중에 중학교 단계를 선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로 한·중 중학교 국어과 교육목표에 대해 비교 분석하며 그에 의한 교과서의 내용구성 체제를 비교하여 분석한다.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은 비교연구법으로 한다. 한·중 중학교 교육목표 및 교과서 내용구성 체제의 비교를 통해서 중국 국어교과서의 발전방향을 탐구하기로 한다.

      •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체육교과서 창의성 교육내용 분석

        이혜승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3308

        본 연구는 중학교 체육교과서를 창의성 교육내용 관점에서 분석하여 2009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창의성 내용이 체육교과서에 얼마나,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그 구현 정도와 구현 방식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2009개정 체육과 교육과정과 14종의 중학교 체육교과서가 문헌 분석의 대상이 되었으며 교과서 개발에 직접 참여한 경험이 있는 체육교사 4명과 교과서 개발에 참여한 경험이 없으며 현장에서 체육교과서를 활용하고 있는 체육교사 4명, 총 8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문헌자료는 유정애(2011), 양윤정·김기철·장근주(2012), 박재정(2015)의 연구를 토대로 수정·보완된 분석기준에 의해 분석되었으며 심층면담자료는 Spradly(1980)의 의미론적 관계 조사에 의한 영역 분석(domain analysis)과 분류체계 분석(taxonomic analysis)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체육교과서의 창의성 교육내용 구현 정도는 대영역별, 출판사별로 큰 차이를 보였으며 창의성 요소 중 정교성과 상상력이 현저히 낮은 비중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대영역별 구현 정도는 전반적으로 경쟁활동과 표현활동 영역에 편중되어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도전활동, 여가활동, 건강활동 영역 순으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는 대영역별로 구체적인 창의성 교육내용 구현 방향의 부재에 기인한다. 구현 정도에 대한 교과서 개발 참여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창의성 내용을 반영했다는 사실 그 자체로서 구현 정도를 평가하고 있었으며 일반 현장 체육교사들은 체육교과서에 창의성 교육내용이 형식적으로 반영되어 있어 실천 가능성의 한계로 인해 구현 정도가 매우 낮다는 인식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체육교사들은 자신들의 수업을 창의성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과소평가하며 체육교과 창의성 내용에 대해 제한적 인식을 갖고 있었다. 이로 인해 체육교과서를 중심으로 체육수업과 교육과정의 단절 양상이 나타나 체육교과 창의성 교육내용이 교육과정, 체육교과서, 수업으로 연계되지 않고 서로 공유되지 않은 채 각 주체들 안에 갇혀있었다. 둘째, 체육교과서 창의성 교육내용의 구현 방식을 분석한 결과 대영역별로 두드러지게 강조되는 활동 주체와 활동 목적이 도출되었다. 또한 직접 체험활동보다 간접 체험활동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쓰기’활동 방식이 지나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 매체는 ‘그림’과 ‘글’이 가장 많았으며 특히나 ‘글’은 내용과 활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형태보다는 형식적으로 활동을 안내하는 형태의 진술이 주류를 이루었다. 이에 대해 체육교사들은 창의성 교육 관점에서 체육교과서의 현장 실천 가능성에 한계가 있음을 지적하였고 체육교과서를 활용함에 있어 교육적 의미와 학습자의 흥미 사이에서 딜레마를 겪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구현 주체 간 소통의 단절로 인한 창의성 교육내용의 비연계성과 체육적인 창의성 요소 구현으로서의 창의성 교육내용의 독창성, 창의적인 체육교과서 구현으로서의 창의성 교육내용의 창조성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content of creativity which was presented in 2009 revised curriculum is reflected in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In order to achieve above mentioned purpose, 2009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14 kinds of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were analyzed and four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experience of developing a physical education textbook and four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did not have experience of developing a physical education textbook were interview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studies conducted by JeongAe You(2011), YoonJeong Yang·GiCheol Kim·GeunJu Jang(2012), JaeJeong Park(2015). Interviews were analyzed by using domain analysis and taxonomic analysis developed by Spradly(1980).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great difference in realization of content of creativity in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according to content areas and publishers. Out of creativity elements, sophistication and imagination are consisted of a very low specific gravity. For realization according to content areas, competitive activity and expressive activity account for a great part followed by challenge activity, leisure activity and health activity which result is caused by absence of direction of realization of creativity education. Analysis of teachers' awareness of realization of creativity education who participated in developing textbooks showed that they evaluated a degree of realization by the fact that content of creativity that was presented in curriculum was reflected. Genera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aid that reflection of content of creativity education as a mere formality which suggests that they think degree of realization is very low. Physical education teachers have a limited awareness of content of creativity in physical education thinking their class is not related to creativity. Consequently, content of creativity in physical education is not shared among participants and linked to curriculum,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and class. Second, analysis of method of realizing content of creativity education in physical education textbook showed subjects and purposes of activities which are emphasized in content areas. Weight of indirect experience activities is greater than that of direct experience activities. Among indirect experience activities, ‘writing’ activity is excessively large in number. For activity medium, ‘figures’ and ‘words’ account for a great part. When it comes to words, they are no more than statement that guides activities as a mere formalit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ointed out that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have a limit in practical use in terms of creativity education.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aid that they face a dilemma between educational meaning and an interest of learners in using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This study covered originality of creativity education and creativity as realization of creative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based on the above mentioned findings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