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호 인수인계 표준화 프로토콜의 개발 및 평가

        형진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일 종합병원 소아중환자실의 소아심장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간호 인수인계 체크리스트를 포함한 간호 인수인계 표준화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평가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간호 인수인계 표준화 프로토콜의 개발 준비 단계에서 간호 인수인계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2013년 4월 25일부터 5월 8일까지 일 종합병원 소아중환자실의 일반간호사 18인과 책임간호사 2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 인수인계와 관련한 자유로운 토론을 통해 간호 인수인계 표준화 프로토콜 개발의 기초 자료를 구축하기 위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자료 수집은 임상경력단계에 따라 4그룹으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각 그룹의 참여 인원은 평균 3.3명으로 자료 수집 기간은 2013년 8월 30일부터 9월 6일까지 이었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 인수인계 체크리스트를 포함한 간호 인수인계 표준화 프로토콜의 초안을 작성하였으며, 전문가 집단의 자문을 통해 최종안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프로토콜의 평가를 위해 2013년 10월 4일부터 10월 12일까지 초보자 단계와 상급초보자 단계 간호사를 대상으로 근무 교대 인수인계 시 간호 인수인계 체크리스트를 적용하는 예비연구를 시행하였으며, 초보자 1인과 상급초보자 1인과의 인터뷰를 통해 그 유용성과 실제 임상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설문 조사 결과 '인수인계 관련 특성'에서 대부분의 간호사가 환자 안전을 위한 간호 인수인계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으며, 인수인계 시 정보 누락의 가능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수인계 관련 교육으로는 대부분 선배 간호사를 통해 배운 것으로 나타났으며, 응답자의 65%에서 현재 간호 인수인계 개선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다. '인수인계 경험과 인식'에서는 인수인계 정보의 질, 간호사의 상호작용과 지지, 인수인계의 효율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수인계 동안 환자의 참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인수인계 오류 경험 정도'에서는 동료 간호사에게 부적절하게 인계를 받은 적이 있거나 인계 내용이 너무 많거나 복잡하여 기억이 나지 않았던 것이 가장 오류 경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수인계 오류 원인'에서는 신규간호사의 인수인계 경험 부족이 가장 큰 오류 원인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2.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간호 인수인계 표준화의 부재로 인한 인수인계의 어려움', '간호 인수인계의 필요성', '신규간호사 인수인계와 관련된 문제', '실제 간호 인수인계 상황에서의 문제’, '간호 인수인계 세부 사항과 관련된 문제', '간호 인수인계 체크리스트를 포함한 간호 인수인계 표준화 프로토콜 개발'과 '간호 인수인계 체크리스트 항목'의 7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3. 전문가 집단의 자문을 통해 각각 11개의 인수인계 항목을 포함한 간호 인수인계 체크리스트와 15개의 인수인계 프로세스 항목을 포함한 간호 인수인계 표준화 프로토콜을 완성하였다. 4. 프로토콜의 평가를 위해 예비연구를 시행한 결과, 근무 교대 인수인계 시 간호 인수인계 체크리스트의 적용을 통해 인수인계 정보의 누락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었음을 확인하였으나, 업무 부하가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본 연구는 간호 인수인계 교육과 근무 교대 인수인계 과정에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적용하고자 하는 초기 연구로서, 포커스 그룹 인터뷰와 전문가 집단의 자문을 통해 간호 인수인계 체크리스트를 포함한 간호 인수인계 표준화 프로토콜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일 소아중환자실의 중요한 업무 특성을 반영하여 부서에 특성화된 정교한 인수인계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를 바탕으로 실무 현장에서의 간호 인수인계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며, 다른 임상 현장에서 간호 인수인계 오류를 예방하고 환자 안전을 높이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간호 인수인계 표준화 프로토콜의 실제 임상 현장에서의 적용을 위해 그 유용성을 높이고 업무 부하를 줄이기 위한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신규간호사를 위한 시뮬레이션기반 인수인계 교육프로그램 적용 효과

        김정희 을지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33343

        간호사 인수인계는 환자안전과 간호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환자의 정보를 전달하는 의사소통으로 환자파악, 업무흐름, 질병에 대한 지식 등 폭넓은 식견과 경험이 요구되는 간호사의 주요 업무이다. 그러나 신규간호사의 경우 인수인계 교육이나 경험이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인수인계를 시행하게 되어 의료오류 발생 가능성이 높고 인계에 대한 부담으로 어려움을 겪게 된다. 따라서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시뮬레이션기반 인수인계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교육 효과 검증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를 위한 시뮬레이션기반 인수인계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임상수행능력, 임상판단력, 자기효능감, 교육만족도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비 동등성 대조군 사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 설계이다. 연구대상자는 D시 소재 대학병원에 합격한 병원근무 경험이 없는 신규간호사 59명이다. 이 중 입사 후 2차 평가에서 4명이 탈락하여 실험군 28명, 대조군 27명이며 최종 5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5년 1월부터 2015년 6월이었다. 실험군에게는 시뮬레이션기반 인수인계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실험군 실험처치는 사전강의 60분,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복부통증 환자 인계하기, 표준화 환자를 이용한 신환 인계하기 등 180분으로 총 240분으로 구성되었다. 대조군에게는 소그룹 사례 인수인계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대조군 실험처치는 사전강의 60분, 실험군과 같은 시나리오로 복부통증 환자 인계하기, 신환인계하기 160분으로 총 220분으로 구성되었다. 실험처치 전 사전조사로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처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교육 직후 1차 평가에서 임상수행능력, 임상판단력, 자기효능감, 교육만족도를 조사하였다. 2015년 6월까지 연구대상자의 입사시기에 따라 교육 지속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2차 평가에서 임상수행능력, 임상판단력, 자기효능감, 신규간호사가 인지한 교육효과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동질성 검증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Chi-square test, independent t-test,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였다. 가설 검증은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뮬레이션기반 인수인계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과 소그룹 사례교육을 적용한 대조군은 임상수행능력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실험군(78.00±3.91)과 대조군(75.03±5.17)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t=2.399, p=.020) 지지되었다. 2) `시뮬레이션기반 인수인계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과 소그룹 사례 교육을 적용한 대조군은 임상판단력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실험군(33.46±5.09)과 대조군(30.14±6.08)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t=2.194, p=.033) 지지되었다. 3) `시뮬레이션기반 인수인계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과 소그룹사례교육을 적용한 대조군은 자기효능감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실험군(69.07±5.98)과 대조군(67.85±7.28)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기각되었다. 4) `시뮬레이션기반 인수인계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과 소그룹 사례교육을 적용한 대조군은 교육만족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실험군(48.85±5.22)과 대조군(48.81±3.7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기각되었다. 5) `시뮬레이션기반 인수인계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과 소그룹 사례교육을 적용한 대조군은 간호사가 인지한 교육효과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실험군(21.60±1.93)과 대조군(19.88±2.63)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기각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시뮬레이션기반 인수인계 교육프로그램이 임상 실무의 핵심역량인 임상수행능력, 임상판단력을 향상시키고 신규간호사의 인수인계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과 부담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뮬레이션기반 인수인계 교육을 통해 정확한 인수인계가 간호 전문직의 책임과 의무임을 인지하는 계기가 되고 임상실무를 향상시켜 환자안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수인계 교육을 통해 다양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향후 인수인계 교육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한 것에 간호학적 의의가 있다.

      • 신규간호사 대상 PASS-BAR 인계역량 강화 프로그램의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과 사례기반 학습 간 학습효과 비교 : 유사실험연구

        임지향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PASS-BAR를 이용한 인계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과 사례기반 학습 방법에 따른 간호 인계 역량, 인수인계 수행능력, 인수인계 자기효능감, 교육 만족도를 비교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연구 설계는 사전사후 반복측정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 기간은 2022년 9월부터 2023년 4월까지였다. 연구대상자는 S시 소재 K대학병원 신규간호사 실험군 17명, 비교군 17명으로 총 34명이었다. 두 군 모두 강의와 사전 브리핑을 받았으며, 실험군은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으로, 비교군은 사례기반 학습으로 인계 실습을 시행하였다. 간호 인계 역량, 인수인계 수행능력, 인수인계 자기효능감은 교육 전, 교육 후, 교육 2주 후 측정하였고, 교육 만족도는 교육 후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은 SPSS 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두 집단 간 동질성 검증은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Mann-Whitney U test, t-test로, 프로그램 효과 비교는 Repeated measures ANOVA와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 직후에는 두 군 모두 간호 인계 역량, 인수인계 수행능력, 인수인계 자기효능감 점수가 증가하였다. 교육 2주 후 실험군의 간호 인계 역량, 인수인계 수행능력 점수는 더 증가하였고, 인수인계 자기효능감은 높게 유지된 것에 비해 비교군의 간호 인계 역량, 인수인계 수행능력, 인수인계 자기효능감은 모두 감소하였다. 교육 만족도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과 사례기반 학습 모두 신규간호사의 인계 역량 향상에 효과가 있으나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이 장기적인 교육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신규간호사 인계역량 강화를 위해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 방법을 적용한 인수인계 교육을 권고하며, 의료기관은 신규간호사의 전문적 역량 향상을 위한 임상 교육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본 연구는 학습 방법에 따른 교육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근거 기반의 임상 간호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신규간호사 의 인계역량 향상을 위한 전략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한 것에 의의가 있다. 따라 서 사례기반 학습과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을 통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 를 검증하는 후속 연구가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기대한다. 주요어 인수인계 역량, 신규간호사,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 사례기반 학습, PASS-BAR This study developed a patient, assessment, situation, safety concerns, background, action, recommendation(PASS-BAR) based handoff competency reinforcement program for new nurses and used simulation and case-based learning methods to compare the nursing handoff competency, performance, self-efficacy and education satisfaction. A pretest-posttest quasi-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using non-randomized two groups from September 2022 to April 2023. Thirty-four participants(17 per group) from K university hospitals in S city were enrolled in the study. Lectures and prior briefings were provided to nurses in both the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used simulation and debriefing, while the comparison group conducted handoff training through case discussion and feedback. The nursing handoff competency, performance, and self-efficacy scores were measured before, immediately after and 2 weeks following the education sessions. Education satisfaction was measured after completion of the program.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WIN 25.0 program. Homogeneity between the two groups was verified using chi-square, Fisher's exact, Mann–Whitney U-test, and t-tests. The program effects were analyzed and compared using repeated-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and a t-test. The nursing handoff competency, performance, and self-efficacy scores were increased in both the groups immediately after education. After 2 weeks of education, the nursing handoff competency and performance scores increased further in the experimental simulation learning group, while the self-efficacy score remained high. Conversely, the nursing handoff competency, performance, and self-efficacy scores decreased in the case-based learning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between groups in terms of educational satisfaction. The study results confirmed that both simulation and case-based learning are effective in strengthening handoff capabilities in new nurses, but simulation-based learning had long-term educational effe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educational strategies by integrating case studies and simulation learning to enhance handoff competency training among new nurses. Evidence-based clinical nursing education by analyzing the educational effect according to the learning method can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ment of a strategy to improve the transfer capacity of new nurses. A follow-up study is warranted to develop a program that integrates simulation and case-based learning and verifies their effectiveness for nursing handoff education. Key words case-based learning, handoff competency, new nurse, PASS-BAR, simulation-based learning

      • 종합병원 간호사의 간호인계역량 :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오혜지 목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인수인계 오류경험 정도, 인수인계시 오류원인, 간호인계역량을 파악하고 간호인계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전남지역에 소재한 3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에 근무 중인 간호사 중 연구목적에 동의한 간호사 251명이었다. 자료수집은 해당기관의 승인을 얻어 2022년 7월 12일부터 7월 31일까지에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구조화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특성과 간호사의 인수인계 오류경험 정도, 인수인계시 오류원인은 한민정(2010)의 도구를 김선호 등(2013)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간호인계역량은 도지영(2022)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version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와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와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수인계 오류경험 정도는 64점 만점에 27.48(±5.00)점으로, 그 중 인수인계 오류경험 정도가 가장 높았던 문항은 ‘인계내용이 너무 많거나 기억이 나지 않은 적이 있다’가 1.95(±0.60)점 이었다. 인수인계시 오류원인은 ‘인수인계자의 스트레스나 피로가 심하다’가 3.72(±0.81)점으로 인수인계시 오류원인으로 가장 높게 생각하는 문항이었다. 간호인계역량은 100점 만점에 평균 78.31(±8.68)점으로, 하위요인으로 살펴보면 지지적 상호관계 형성, 환자 정보 파악, 간호 인계 방법에 대한 지식, 간호 상황의 판단 및 전달 순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간호인계역량은 연령(t=-5.75, p<.001), 결혼상태(t=-3.31, p=.001), 학력(F=3.39, p=.035), 직책(t=-4.44, p<.001), 총 경력기간(t=-7.41, p<.001), 인수인계 경력기간(t=-6.27, p<.001), 근무부서(t=-2.31, p=.022), 인수인계 방법(t=2.08, p=.039), 인수인계 준비시간(F=12.08,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간호인계역량은 인수인계 오류경험 정도(r=-.32 p<.001), 담당 환자 수(r=-.13, p=.045), 인수인계 준비시간(r=-.27, p<.001)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대상자의 특성 중 연령(r=.25, p<.001), 총 경력기간(r=.38, p<.001)과 인수인계 경력기간(r=.38, p<.001)에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대상자의 간호인계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인수인계 오류경험 정도(𝛽=-.19, p=.002), 대상자의 특성 중에서 석사 이상(𝛽=.16, p=.004), 총 경력기간 3년 이상(𝛽=.21, p=.005)으로 나타났다. 본 모형의 설명력은 31.1%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간호인계역량에는 인수인계 오류경험 정도와 석사 이상, 총 경력기간 3년 이상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인수인계 오류경험을 감소시켜 간호인계역량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표준화된 인수인계 프로토콜 개발 및 교육적 중재 개발 마련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dentify the experiences of handover error, causes of handover error and nursing handoff competency an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for nursing handoff competency of general hospital nurs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51 nurses who agreed with the purpose of the study among the nurses working at general hospitals with 300 beds or more that are located in the Jeollanam-do region.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from July 12 to July 31, 2022 after receiving approval from the relevant institutions. Research tool was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the experiences of handover error, causes of handover error of the nurses, the tool by Min-Jung Han (2010) which had been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Sun-Ho Kim and others (2013) was used, and the tool developed by Ji-Young Do (2022) was used for the nursing handoff competenc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 version 27.0 program.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of experiences of handover error was 27.48(±5.00) points out of 64 points. The highest experiences of handover error score was "There were too many handover contents or there were instances during which they could not be remembered" with the score of 1.95(±0.60) points. The average score of causes of handover error, "The stress or fatigue of those involved in the handover" was the highest at 3.72(±0.81) points. The average score of nursing handoff competency was 78.31(±8.68) points out of 100 points. Subcategories were in the order of nursing handoff competency, identification of patient information, knowledge on how to perform a handoff, and judgment and transfer of nursing situation. 2. Nursing handover competenc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is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age (t=-5.75, p<.001), marital status (t=-3.31, p=.001), educational background (F=3.39, p=.035), work position (t=-4.44, p<.001), total career period (t=-7.41, p<.001), handover experience period (t=-6.27, p<.001), work unit (t=-2.31, p=.022), handover method (t=2.08, p=.039), and handover preparation time (F=12.08, p<.001) 3.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experiences of handover error and nursing handoff competency i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ere shown for the experiences of handover error (r=-.32 p<.001), number of patients in charge (r=-.13, p=.045), and handover preparation time (r=-.27, p<.001) a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ere shown for the age (r=.25, p<.001), total career period (r=.38, p<.001) and handover experience period (r=.38, p<.001)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4. Analysis of the effect of nursing handoff competency of the subjects were shown to be the experiences of handover error (𝛽=-.19, p=.002), master's degree or higher (𝛽=.16, p=.004), and total career period of 3 years or more (𝛽=.21, p=.005)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power of explanation for this model was 31.1%.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more nurses experiences handover error, the less efficient they nursing handoff competency. Therefore,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handover protocol and preparation of an educational intervention development are needed as methods to improve the nursing handoff competency by reducing the experiences of handover error of general hospital nurses.

      • 간호 대학생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인수인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다혜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3327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 4학년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기반 인수인계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인수인계 지식, 인수인계 수행능력, 임상 판단력, 비판적 사고성향, 자기 효능감을 평가하여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행하였다. 시뮬레이션 기반 인수인계 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교수체제설계의 대표적 모델인 ADDIE 모형을 바탕으로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5단계로 진행하였다. 인수인계 교육 프로그램은 이론교육과 고성능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으로 총 8회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sion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일반적 특성은 실수, 백분율 및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고, 교육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 대상자의 인수인계 지식, 인수인계 수행능력, 임상 판단력, 비판적 사고성향, 자기 효능감은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수인계 지식은 교육 전 평균은 4.63±1.61에서 교육 후 5.83±.95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3.71, P=.001). 2. 인수인계 수행능력은 교육 전 평균 1.75±.25에서 교육 후 2.37±.21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12.08, p<.001). 3. 임상 판단력은 교육 전 평균 1.79±.37에서 교육 후 3.15±.48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15.67, p<.001). 4. 비판적 사고성향은 교육 전 평균 3.39±.46에서 교육 후 3.75±.42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4.69, p<.001). 5. 자기 효능감은 교육 전 평균 3.35±.57에서 교육 후 3.90±.60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5.65, p<.001). 본 연구의 결과 시뮬레이션 기반 인수인계 교육 프로그램은 간호 대학생의 인수인계 지식, 인수인계 수행능력, 임상 판단력, 비판적 사고성향, 자기 효능감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인수인계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체계 정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기대하며, 신규간호사 및 유휴 간호사를 위한 교육에도 활용되어 향후 인수인계의 질 향상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a simulation-based handoff education program for 4th year students in nursing college an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by handoff knowledge, handoff performance competency, clinical judgment ability, critical thinking, and self-efficacy. The simulation-based handoff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across five phases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based on the ADDIE model, a prominent model in instructional system design. Eight handoff education program sessions were conducted, including theoretical education and simulation training using a high-fidelity simulator.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2.0.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Paired t-tests were used to analyze participants’handoff knowledge, handoff performance competency, clinical judgment ability, critical thinking, and self-efficacy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education program.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mean difference between handoff knowledge before (4.63±.61) and after (5.83±.95) handoff educaiton(t=-3.71, P=.001). 2. There was a significant mean difference between handoff performance competency before(1.75±.25) and after (2.37±.21) handoff education(t=-12.08, p<.001). 3. There was a significant mean difference between clinical judgment ability before(1.79±.37) and after(3.15±.48) handoff education(t=-15.67, p<.001). 4. There was a significant mean difference between critical thinking before(3.39±.46) and after (3.75 ± .42) handoff education(t=-4.69, p<.001). 5. There was a significant mean difference between self-efficacy before (3.35 ± .57) and after(3.90 ± .60) handoff education(t=-5.65, p<.001).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onfirm that the simulation-based handoff education program is effective for improving handoff knowledge, handoff performance competency, clinical judgment ability, critical thinking, and self-efficac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refor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in the future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educational systems designed to improve handoff performance ability as well as training for new nurses, contributing to improving the quality of handoff.

      • PASS-BAR를 활용한 인수인계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 대학생의 인수인계 자기효능감, 인수인계 수행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성광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3327

        This is a pre-test and post-test designed study with a randomized control group in order to provide hand-over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verify the effects of using PASS-BAR in nursing hand-over.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on August 2019.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4th grade in S University Nursing College who did not educated on nursing hand-over and PASS-BAR system. A total of 48 subjects have made of 24 in experimental group and 24 in control group. The hand-over education was composed hand-over lecture, scenario application, and simulation-based practice.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ducted the simulation-based practice for a total of 180 minutes after with hand-over by using PASS-BAR and the control group was conducted the simulation-based practice for the same amount of time as experimental group after with hand-over not by using PASS-BAR. The self-efficacy measurement scale modified by Jiyoung Do (2018) based on the scale developed by Lee, Mast, Humbert, Bagnardi and Richards (2016) was used before and after the study to measure effectiveness of education. Community ability was measure with Korean version of HCAT (Health Communication Assessment Tool) adapted for domestic situation by Heemo Yang and Seonyoung Hwang (2016) which was based on HCAT developed by Campbell et al (2015). After study the hand-over performance competency was measure with PASS-BAR tool developed by Jeonghee Kim (2014) under the criteri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3.0 program. Verification of homogeneity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as analyzed using the Chi-Square test, and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was confirmed with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Through this study that the degree of hand-over self-efficacy improvement after the hand-over education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or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25, p=.80). Hand-over performance improvement was significant difference (t=5.73, p=<.001). Communication capacity was significant difference (t=14.85, p=<.001). Result of the study confirm that the hand-over education program using the PASS-BAR is effective to improve hand-over performance competency, and communication capacity for nursing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provided 170-180 minutes of hand-over training per day 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trained the hand-over by using PASS-BAR. However, it is necessary to repeat the training because there may be limitations in perform the hand-over of the actual patient, not the scenario. Although simulation education in hand-over has had positive effects, research and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are needed for more effective hand-over education.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인수인계 교육을 진행하고 인수 인계교육시 PASS-BAR (Patient, Assessment, Situation, safety concerns, Back ground, Action, Recommandation) 활용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무작위 대조군 전후 설계를 이용한 실험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9년 8월에 시행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인수인계와 PASS-BAR 교육을 받지 않은 S대학 간호 대학생 4학년으로 실험군 24명과 대조군 24명으로 총 48명이었다. 인수인계 교육은 인수인계 강의, 시나리오 적용, 시뮬레이션 교육과 디브리핑으로 구성하였다. 실험군에게는PASSBAR를 적용한 인수인계 시뮬레이션 교육을 총 180분에 걸쳐 시행하였고 대조군에게는 일반 인수인계 시뮬레이션 교육을 총 170분에 걸쳐 시행하였다. 교육의 효과는 사전, 사후에 Lee와 Mast, Humbert, Bagnardi 그리고 Richards (2016)가 개발하고 도지영(2018)이 수정ㆍ보완한 인수인계 자기효능감 도구를 사용하였다. 인수인계 수행능력은 김은만 등(2014)이 개발한 PASS-BAR 도구를 사용하여 항목에 따라 정확하게 인수인계 하는 능력을 측정하였으며, 의사소통 능력은 Campbell (2015) 이 개발한 HCAT (Health Communication Assessment Tool)를 양희모와 황선영(2016)이 국내 실정에 맞게 한국어로 번안한 K-HCAT (Korea-Health Communication Assessment Tool)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의 동질성 검정은 Chi-squaretest, Independent t-test, Fisher’s exact로 분석하였고, 인수인계 자기효능감의 전후 집단 간 차이는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인수인계 자기효능감의 전후 집단 내 차이는 Paired t-test로 분석, 인수인계 수행능력, 의사소통 능력의 전후 집단 간 차이는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수인계 교육 후 실험군과 대조군은 그룹 간 인수인계 자기효능감 향상의 정도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t=-.25, p=.80). 인수인계 수행능력은 그룹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t=5.73, p=<.001) 의사소통 능력은 실험군과 대조군에 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t=14.85, p=<.001). 이상의 연구결과, 단시간의 PASS-BAR를 활용한 인수인계 시뮬레이션 교육이었지만 간호 대학생의 인수인계 수행능력,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1일에 걸친 단기교육으로 시나리오 내용이 아닌 실제 환자의 인수인계를 수행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의 인수인계 교육을 위해서는 반복적인 교육이 필요하며, 반복적이고 다양한 인수인계 교육 프로그램의 연구 및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간호사의 서면 인수인계 오류 경험, 오류 원인 및 인수인계 평가

        박세리 부산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33327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간호사의 서면 인수인계 오류 경험, 오류 원인 및 인수인계 평가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간호사의 구체적인 인수인계 현황을 파악하고, 관계를 규명하여 효율적인 인수인계 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연구 대상자는 서면 인수인계를 시행하는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15명이다. 자료수집은 2023년 3월 9일부터 2023년 3월 28일까지 수행하였으며, 자가기입식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7.0 program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자의 서면 인수인계 오류 경험 정도는 4점 만점에 1.75±0.30점이었고, 제일 높은 점수를 나타낸 문항은 1.93±0.43점으로 ‘인계가 되지 않았거나 불명확하여 퇴근한 전 근무자에게 연락하여 확인한 적이 있다.’였다. 서면 인수인계 오류 원인은 5점 만점에 2.75±0.51점이었으며, ‘신규 간호사의 인수인계 경험이 부족하다.’ 문항이 4.07±0.77점으로 제일 높았다. 서면 인수인계 평가 점수는 6점 만점에 4.41±0.54점이었으며, ‘내가 받은 인계는 가장 최근의 것이다.’ 문항이 5.08±0.59점으로 제일 높았다. 서면 인수인계 평가는 인수인계 오류 경험(r=-.312, p<.001)과 인수인계 오류 원인(r=-.437, p<.001)에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인수인계 오류 경험과 인수인계 오류 원인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514, p<.001). 결론: 서면 인수인계를 시행하는 간호사의 인수인계 질 향상을 위해 간호사의 인수인계 오류 경험을 낮추고 원인을 감소시키는 것은 인수인계 평가를 높이는 전략임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간호사 대상으로 인수인계 오류 경험을 낮추고 인수인계 오류 원인을 감소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적인 인수인계를 위한 조직적 차원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s: Recently, as one of the effective methods of handover among hospital nurses, interest in written handover has been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gree of experience, cause, and evaluation of written handover error, an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between experience, cause, and evaluation of written handover error.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included 215 nurses working in hospitals that implement written handover.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March 9, 2023 to March 28, 2023.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the SPSS 27.0 program. Results: The average score of experience of handover error was 1.75±0.30, the cause of handover errors was 2.75±0.51, and the evaluation of handover was 4.41±0.54.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he evaluation and experience of witten handover error(r=-.312, p<.001), and the cause of handover error (r=-.437, p<.001).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xperiences and causes of witten handover errors (r=.514, p<.001). Conclusion: When preparing a handover training program for nurses who perform written handover, it is important to identify nurses' experiences, causes and evaluations of handover err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strategy to reduce the experience and cause of the handover error is effective to improve the evaluation of handover error.

      • 응급실 간호사와 119구급대원의 인수인계 실태

        이강빈 아주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33311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와 119구급대원 간의 인수인계 인식, 인수인계 오류 원인, 인수인계 항목 중요도와 수행 차이를 파악하여 응급실 간호사와 119구급대원의 인수인계를 개선하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경기도 남부와 북부 소재의 2개 권역응급의료센터에서 119구급대원으로부터 환자를 인계받아 중증도를 분류하는 응급실 간호사 70명과 응급실 간호사에게 인계를 진행하는 119구급대원 70명, 총 14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21년 11월 20일부터 2022년 1월 20일까지 진행되었다. 인수인계 인식은 O’Connell(2014)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인수인계 오류 원인은 한민정(2010)이 개발하고 형진주(2014)가 수정한 도구를 응급실 인수인계 상황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인수인계 항목은 연구자가 국내외의 문헌 고찰을 통해 정리하여 전문가타당도 확인한 27개 항목에 대해 중요도와 수행 여부를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으로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chi-square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응급실 간호사와 119구급대원 간 인수인계 인식은 7점 만점에 응급실 간호사 4.51±0.71점, 119구급대원 4.62±0.72점으로 차이가 없었다. 인수인계 인식의 하위영역인 정보의 질(t=-1.94, p=.055), 상호작용(t=0.01, p>.999), 환자참여(t=-1.96, p=.052)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효율성(t=-4.26,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응급실 간호사와 119구급대원이 인수인계 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원인으로 인식하는 상위 순위는 응급실 간호사와 119구급대원 간 차이가 있었다. 응급실 간호사는 ‘업무량이 과도하다’, ‘중요한 정보에 대한 119구급대원이나 간호사의 배경지식의 차이가 있다’, ‘보호자나 환자의 요구에 응하면서 동시에 인수인계 해야 한다’의 순이였으며, 119구급대원의 경우 ‘인수인계시 개인의 성향이 작용한다’, ‘표준화된 인수인계 지침(내용,방법)이 없다’, ‘인수인계자의 스트레스나 피로가 심하다’ 순으로 나타났다. 3. 응급실 간호사가 인수인계 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상위 순위 항목은 ‘어눌함’, ‘사고기전’, ‘동공반사’, ‘Loss of consciousness’ ‘감각저하’, ‘사지근력’ 순 이였다. 119구급대원의 경우 ‘의식상태’, ‘주호소’, ‘보호장비 착용여부’, ‘Spinal Cord Injury(SCI) symptom’, ‘활력징후’가 상위 순위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인수인계 항목이었다. 4. 응급실 간호사와 119구급대원의 인수인계 항목 수행은 환자 발생장소, 활력징후, 과거력, 병원 전 사용약물, 평소 복용 약물, 환자 알레르기, 금식 상태, 통증양상, 통증점수, 보호장비 착용여부, 사고발생시간, SCI symptom, Head-to-toe examination, 사지근력, 동공반사, 어눌함, 감각저하의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응급실 간호사와 119구급대원이 인식하는 인수인계 시 오류가 발생 가능한 원인을 감소하고 각 대상자 간 인수인계 항목 중요도에 대한 인식 차이를 상쇄하고 효율적이고 명료한 인수인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인수인계 지침을 개발하여 응급실 간호사와 119구급대원의 인수인계 교육에 활용하고 실제 인수인계 시에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handover between emergency room nurses and 119 paramedics and improving the handover between emergency room nurses and 119 paramedics by identifying the handover recognition, causes of handover errors, the importance of handover items, and performance differences. This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hat has been attempted. At two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s located in southern and northern Gyeonggi-do, 70 emergency room nurses who took over patients from 119 paramedics and classify their severity, and 70 119 paramedics who took over to emergency room nurses, a total of 140 subjects were studie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0, 2021 to January 20, 2022. The handover recognition used the tool developed by O'Connell (2014), and the cause of the handover error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for the emergency room by using the tool developed by Han (2010) and modified by Hyung (2014). In terms of handover items,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27 items that the researcher organi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t home and abroad and also confirmed expert validity were investiga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with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and chi-squar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handover between emergency room nurses and 119 paramedics, with an emergency room nurse giving 4.51±0.71 points and 119 paramedics 4.62±0.72 points out of 7 points. It was significant in information quality (t=-1.94, p=.055), interaction (t=0.01, p>.999), and patient participation (t=-1.96, p=.052), which are subdomains of takeover recognition. There was no difference,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fficiency (t=-4.26, p<.001). 2.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emergency room nurses and the 119 paramedics in the highest ranking recognized by emergency room nurses and 119 paramedics as possible causes of errors during handover. In the emergency room nurses, 'the workload is too much',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background knowledge of the 119 paramedics and nurses on important information', and 'they need to take over while responding to the needs of the caregiver or patient'. In the case of the circle, 'individual tendencies play a role during takeover', 'there are no standardized handover guidelines (contents, methods)', and 'takeover stress or fatigue is severe'. 3. The top-ranking items that emergency room nurses consider to be important in handover were ‘disarthria’, ‘pre-accidental’, ‘pupillary reflex’, ‘Loss of consciousness (LOC)’, ‘decreased sensation’, and ‘muscle of extremities’. In the case of 119 paramedics, 'state of consciousness', 'home shelter', 'whether or not protective equipment is worn', 'Spinal Cord Injury (SCI) symptom', and 'vital sign' were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takeover items in the highest order. 4. Emergency room nurses and 119 paramedics performed handover items: patient location, vital signs, past history, pre-hospital medications, usual medications, patient allergy, Nothing per oral, pain pattern, pain score, wearing protective equipment, and accid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nset time, SCI symptom, head-to-toe examination, extremity muscle strength, pupil reflex, disarthria, and sensory hypoesthesia. Standardized handover guidelines to reduce the possible causes of errors in handover recognized by emergency room nurses and 119 paramedics, offset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each subject on the importance of handover items, and perform efficient and clear hando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use it for the handover education of emergency room nurses and 119 paramedics, and to apply it to the actual handover. Key words: emergency room nurse, 119 paramedic, handover

      • T-HAND(Teach-back HAndoff based on Nursing Diagnosis) protocol 개발 : 중환자실을 중심으로

        김정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84175

        In this study, by applying the ADDIE model, the draft T-HAND(Teach-back HAndoff based on Nursing Diagnosis) protocol based on nursing diagnosis was developed, and provided preliminary education for new nurses. After that, the final T-HAND protocol was developed. The draft of T-HAND protocol wa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direct observation, focus group interviews, and nursing diagnosis/nursing implementation extraction from electronic medical records(EMR). The protocol was revised by the expert content validity and user understanding. For preliminary education, a scenario was written and a virtual patient was implemented in the EMR education server. A preliminary education was provided to 12 new nurses by applying a teach-back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scenario. After the education was over, the evaluation of applying of the protocol and education satisfaction were conducted through a questionnaire. Through this, the final version of T-HAND protocol was developed. The final version was prepared in the simplest format, integrating the dialogue handoff protocol and the protocol reflecting the nursing process into on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AND protocol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In the process of demand assessment, the characteristics of handoff was identified through literature review, direct observation, focus group interview, and nursing diagnosis and nursing performance extraction from EMR. 2. The handoff dialogue protocol and the handoff protocol reflecting nursing process was created, and the expert content validity and user understanding were verified, and a draft T-HAND protocol was developed. 3. For preliminary education for new nurses, a virtual patient scenario is created based on T-HAND protocol, and a teach-back communication method is applied. New nurses presented an opinion that it was helpful to be able to share nursing goals and nursing results through the nursing process, and that receiving education through the teach-back communication method helped them know in detail what they lacked. In summarizing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was found that T-HAND protocol can be applied to the clinical field and can be used as educational material for new nurses. By applying the teach-back communication method as an education method for nurses, it was possible to further confirm the lack of handoff items, and to clearly receive the nursing goal and nursing outcome. Key words : Patient Handoff, Teach-back communication, Nursing Process 본 연구에서는 ADDIE 모델을 적용하여 간호진단을 기반으로 하는 T-HAND(Teach–back HAndoff based on Nursing Diagnosis)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인수인계에서 가장 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난 신규 간호사를 대상으로 예비 교육을 실시한 후 최종 T-HAND 프로토콜을 개발하였다. 프로토콜 개발은 문헌고찰, 직접 관찰, 포커스 그룹 인터뷰, 전자의무기록에서 간호진단 및 간호수행 추출을 통해 T-HAND 프로토콜의 초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토콜을 전문가 내용타당도 및 사용자 이해도를 검증하여, 수정하였다. 수정된 프로토콜을 교육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연구대상 병원의 전자의무기록 교육 서버에 가상의 환자를 구현하였다. 발령 1년 미만의 신규 간호사 12명에게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Teach-back 의사소통 방법을 적용한 예비 교육을 실시하였다. 교육이 끝난 후에 수행된 인수인계에 대한 평가와 교육 만족도를 설문지를 통해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간호과정에 기반한 T-HAND 프로토콜 최종본을 작성하였다. 최종본은 대화 인수인계 프로토콜과 간호과정을 반영한 프로토콜을 하나로 통합하고, 가장 간단한 형식으로 작성하였다. 구체적인 내용은 따로 작성하여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T-HAND 프로토콜은 ADDIE 모델에 따라 개발되었는데, 요구 사정 과정에서 문헌고찰, 직접 관찰, 포커스 그룹 인터뷰, 전자의무기록에서 간호진단 및 간호수행 추출을 통해 중환자실 간호사 인수인계 실태를 파악하였다. 2. 인수인계 프로토콜 설계 및 인수인계 프로토콜 개발 과정을 통해 인수인계 대화 프로토콜과 간호과정을 반영한 프로토콜을 작성하고, 전문가 내용타당도 및 사용자 이해도를 검증하여 T-HAND 프로토콜 초안을 개발하였다. 3. 인수인계 예비 교육 및 인수인계 프로토콜 예비 교육 평가 과정에서 T-HAND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가상 환자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teach-back 의사소통 방법을 적용하여 신규 간호사 대상 예비교육을 실시한 후 평가함으로써 최종 T-HAND 프로토콜을 개발하였다. 신규 간호사들은 간호과정을 통해 간호목표, 간호결과를 공유할 수 있어서 도움이 되었다는 평가와, teach-back 의사소통 방법을 통해 교육을 받음으로써 부족한 항목을 세밀하게 알 수 있어서 도움이 되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된 T-HAND 프로토콜은 임상 현장에 적용가능하고, 신규 간호사 대상 교육 자료로도 사용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도 teach-back 의사소통 방법을 간호사 대상 교육 방법으로 적용하여, 인수인계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에서 더 나아가 각 항목 중 어느 항목이 부족한지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간호목표 및 간호결과를 분명히 인수받을 수 있어서 간호업무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다는 평가를 기반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주요 용어 : 환자 인수인계, Teach-back 의사소통, 간호과정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