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여성가출청소년을 위한 진로설계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남궁정 淑明女子大學校 2005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ek educational meaning of career planning program and career education for runaway female teenagers. This is in order to help the runaway teenagers to display their abilities with all their might, by developing, applying and verifying the career planning program.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is followed. First, what is the organization of the career planning program like? Second, is the operation of the career planning program worth for the teenagers who had run away from their homes to find their jobs?: The details of these research questions are, Is there a considerable improvement between the groups who have undergone the career planning program and those who haven't? Are there some sec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high school participants and junior-high participants? Third, what is the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of the progress of changing in their awareness of career planning? The object of this study is female runaway teenagers, high school and junior-high school girls who have experienced family breakups or drifted away from their homes living in facilities now. There are 14 girls in experimental group and 18 in controlled group fo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6 and 14 high schoolers were organiz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respectively. The methods of this study are, firstly, quantitative research, which verified the efficiency of the study in statistical way, using means of career maturity level test, the other method was qualitative research done by thorough analysis of participants' observation reports and individual workbooks. Lastly, the satisfaction test of this program and the written papers of how the participants had felt were conducted and the analysis of how much the program was beneficial to the participants were followe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developing of programs for runaway-teenage-girls has been considered through the close observation of other cases of career searching programs from October 2004 to January 2005. Among them, the program of "Time Changes"; a Canadian career developmental and service organization, was taken and adjusted and supplied by the researchers, finally developed right for Korean runaway teenagers. The program is delivered by six sessions in workbook form. Details are; career maturity level test and outlines of the program, self-observation, decision making or making possible job list, job searching, choosing the right occupation and goal setting. For the self-observation part, the participants are asked to write detailed experiences when they were away from their homes and motivation in their runaway. Second, in comparing before and after the career planning program, the controlled group didn't show much difference when experimental group showed quite a big improvement. For the attitudinal aspect, junior-high students display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determination, independence and planning. Likewise, the second group showed great improvement in determination, independence. On the other hand, high school students have improved in their positiveness after the program. For the capability level test, th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didn't showed much improvement in career-field information and career planning but showed improvement in their job abilities. However, high school students have improved in their job abilities and decision making, but not in career-field information. Third is about changes of awareness in searching and choosing jobs by qualitative analysis of foundation-based approach. Participants started to know better about themselves at each session by in-depth conversation so that researchers could see the elevation in organizing and way to choose their jobs by reading participants' workbooks. Qualitative analysis is based on categorizing these data: maturity in concerns for the future, remembrance of experience, stories about event in lives, occupation and none-occupations, a day in my dreams, value of lives and occupation, job environment, crises and decisions, job what I want to do most, job I'm doing now, and I can see my way. Moreover through overall satisfaction test of this program and written papers of how the participants had felt, the participants answered that this program gave a chance to know new aspects of lives and helped them to plan their future. The results above have significant meaning as follows. First of all, on the theoretical aspect, this program consists of contextual approach by allowing participants to tell stories of the their own. This encourages the runaway girls to find themselves through investigating their daily lives so that they conduct their future. They may have had individual situation of runaways. However, finding the uniqueness and essence of their own will lead them to reposition their identities firmly and will bring them a subjective satisfaction in their lives through searching their right field Second, at the methodological aspect, this study parallels wi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 which means in-depth analysis compromised the aspects which is easy to be missed and could analysis the changes of maturity in career planning. Third, at practical aspect,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runaway teenagers who are minority in our society could learn the meaning of lives and find themselves which lead them to give full play of their abilities. Forth, at the educational aspect, this study foresaw the maturity in concept of careers as progress of job planning and job selection and this corresponds to the lifelong education which claims education as providence of new experiences and enlargement of new capabilities. Education starts with existential reflection, awareness of what people lack, and recognition of contradictions of lives and completes the undergo toward accomplishment itself. At this aspect, career education and planning are different from the job educations which had been done b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demonstrates that all the education is essentially based on career planning and this study also influences the positive effect on the runaway teenagers as they got opportunity to acquire qualifications of competent career woman.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가출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앞으로 무슨 일을 하면서 어떠한 방식으로 삶을 계획 할 것인가에 대한 진로 설계와 직업탐색을 통해 개인의 역량을 맘껏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이들을 위한 진로설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제 적용해 보고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진로설계 및 직업교육이 갖는 의미와 교육적 의의를 찾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 문제는 첫째, 여성가출청소년을 위한 진로설계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둘째, 진로설계프로그램의 실시가 여성가출청소년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진로설계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설계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집단의 진로성숙도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진로설계프로그램을 실시한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 간에는 영역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진로설계에 대한 의식의 변화과정을 질적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등이다. 본 연구 대상은 가정해체 및 가출을 경험한 여성청소년으로 현재 보호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중․고등학생들로 중학생의 경우 실험집단 16명 과 통제집단 18명, 고등학생의 경우 실험집단 6명과 통제집단 14명으로 최종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방법은 먼저 양적 연구로 진로성숙도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통계적인 방법으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다음으로 질적 연구로 프로그램 진행시 개인이 직접 작성했던 워크 북의 면밀한 분석과 관찰자의 관찰지를 참조하였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 만족도 검사와 소감문을 통해서 프로그램 참여가 자신에게 얼마나 유익한 경험이었는가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가출청소년을 위한 진로설계프로그램 개발은 2004년 10월부터 2005년 1월 까지 기존의 다양한 진로 및 직업설계 프로그램을 고찰해보고 그 중에서 캐나다의 “Times Change" 여성취업서비스단체에 의해 만들어진 것을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우리나라 여성가출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구성은 총 6 회기로 진행되며 워크북 형식으로 되어있고 세부 내용은 진로성숙도 검사 실시 및 프로그램 안내, 자기탐색, 의사결정 및 직업목록 만들기, 직업탐색, 직업선택, 목표설정으로 특히 자기 탐색 부분은 가출 후 경험한 일들과 가출동기에 대해 상세히 적도록 되어있다. 둘째, 진로설계프로그램의 사전-사후 비교결과 진로성숙도 검사에서 통제집단은 사전-사후 검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실험집단은 사전 검사와 사후검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효과가 검증되었다. 또한 중학생과 고등학생간의 영역별 차이는 중학생인 경우 태도검사의 결정성, 독립성, 계획성에서 유의한 증가가 있었고 고등학생인 경우도 결정성, 독립성, 적극성에서 모두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능력검사에서는 중학생인 경우 직업능력 검사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직업세계정보와 직업계획은 유의한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다. 고등학생인 경우 능력검사의 직업능력과 진로의사결정 부분은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으나 직업세계정보에는 유의한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진로설계와 직업을 탐색하고 선택하는 과정에 대한 의식의 변화를 근거이론 접근으로 질적 분석한 결과 매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심층적인 대화를 통해 자신을 발견하기 시작했고 워크 북에 기록되는 이러한 전 과정을 통해 진로를 설계하고 직업을 선택하는 의식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질적 분석은 근거자료의 범주화를 통해 이루어 졌으며 범주 내용은 진로에 대한 성숙 정도, 인생 경험의 기억, 삶의 사건에 대한 이야기, 직업과 직업이 아닌 것, 나의 꿈속의 하루, 삶의 가치 일의 가치, 직업적 환경, 갈등과 결정, 내가 하고 싶은 일, 내가 하는 일, 길이 보인다의 열 한 가지 범주로 구성되었다. 또한 프로그램 전반적인 만족도 검사와 소감문을 통해서 중․고등학생 모두 진로설계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의 새로운 모습을 알 수 있는 기회가 되었고 미래의 삶을 설계 할 수 있다고 대답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이론적 측면에서 기존의 진로관련 프로그램과는 다르게 스토리의 생성과 맥락주의적 접근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이는 가출한 여성청소년의 경험과 일상생활에서 자기 탐색을 통해 스스로를 발견하고 진로를 설계하는 과정을 겪는다. 개인마다 처한 환경의 매커니즘 속에서 그렇게 될 수밖에 없었던 상황이 있었으나 그 속에서 개인의 독특성을 찾아내고 각자의 고유성을 밝혀내어 자신의 존재를 의미있게 재정립하는 과정에서 자신에게 알맞은 일을 찾아보고 자신이 몰입한 영역과 일의 세계와의 의미를 연결시켜 진로를 설계하고 직업을 탐색하여 주관적인 삶의 만족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방법론적 측면에서 본 연구는 양적인 접근과 질적인 접근을 병행함으로써 계량적 방법으로는 간과 될 수 있는 부분을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참여자들의 진로성숙에 관한 변화 과정을 면밀히 관찰 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셋째, 실제적 측면에서 본 연구는 우리사회의 비주류인 여성가출청소년이 진로 및 직업에 관한 다양한 경험을 통해 삶의 의미를 되새기고 스스로를 발견하여 개인의 역량을 맘껏 발휘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넷째, 교육적 측면에서 본 연구는 가출을 경험한 여성청소년들의 진로의식 성숙정도를 진로설계와 직업선택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일련의 과정으로 보았으며 이러한 견해는 모든 사람의 생애는 교육적 경험으로 점철되어 있고 교육적 경험은 몰랐던 것을 알게 되고 새로운 것을 할 수 있게되는 평생교육의 관점과 일치하는 데 의의가 있다. 교육은 이러한 유한의 삶에 대한 실존적 반성, 부족한의 인식, 스스로의 모순을 발견하는 데서 출발하며 끊임없이 완성을 향해 나아가는 과정 그 자체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진로 및 직업교육이 기존의 인식인 취업교육과는 다르며 모든 교육은 본질적으로 진로와 직업 교육적 성격을 갖고 있고 여성가출청소년들에게 주관적 삶의 기쁨과 유능한 직업인로서의 자질을 갖는 기회를 제공하는 데 본 프로그램이 긍정적 영향을 끼쳤다는 데 의의가 있다.

      • 서울시 가출청소년 보호시설의 운영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종도 서울시립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최근의 우리사회는 가정해체, 가정빈곤과 같은 가족 내 위기상황 및 청소년의 학업중단, 폭력, 성경험의 증가와 같은 교육적․사회적 위기상황 속에서 가출청소년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청소년들이 가출후 주위로부터 신속하고 적절한 보호와 지원을 받지 못할 경우 비행이나 범죄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것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고 있으나, 우리사회의 가출 청소년을 위한 사회안전망은 매우 허술한 수준일 뿐 아니라 정부의 보호시설 및 보호제도 운영에도 미비한 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운영 미비의 주된 원인이 정부 예산지원의 부족이나 청소년 보호시설의 부족에만 기인하는 것은 아니다. 서울시의 경우, 공공쉼터가 예산집행이나 인력운영의 부분에 있어서 민간운영 시설에 비해 효율성이 크게 떨어지고 있는 점, 공공업무를 수탁받아 대행하고 있는 민간단체들이 대행업무와 시설에 대한 공공의식 부족으로 인해 관련 기관 사이에 협조체제가 거의 작동되지 않는 점 등 개선해야 할 사항이 많은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서울시에서 운영하고 있는 가출청소년 보호시설인 일시보호소 1개소와 청소년쉼터 12개소의 최근 2년간의 운영실태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알아보고, 선진국의 가출청소년 보호제도의 시사점 등을 참고하여 서울시 가출청소년 보호시설의 운영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출청소년을 조기에 발견하여 숙식 등을 긴급 지원하며 전문적인 상담과 초기사정을 거쳐 귀가를 지원하거나 귀가가 불가능할 경우 적절한 쉼터로의 입소배정 및 사후관리 등의 기능을 종합적으로 담당하는 일원적 관리기관으로 청소년종합보호지원센터(가칭, 약칭: 1388센터)를 조속히 설치하여 운영할 필요성이 있다. 기관의 운영은 현재 서울시 청소년상담지원센터내 일시보호소의 조직과 인력을 일부 보강하여 운영한다면 어렵지 않게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둘째, 청소년종합보호지원센터의 운영에 있어서 거리상담과 홍보 등 아웃리치 업무를 계획하고 시행하는 기능을 대폭 강화하여 상시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거리 청소년을 현장으로 직접 찾아가서 정보를 제공하고 상담 등을 실시하는 아웃리치 활동은 가출청소년의 예방, 발견 및 보호업무에 큰 효과를 낼 수 있는 활동으로 평가되고 있다. 셋째, 일시쉼터를 서울지역의 일정 권역별로 확대 설치하고 가출청소년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도록 샤워, 세탁, 음식, 구급약품 등 기본적 긴급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는 편의시설 중심의 기능을 더욱 강화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편의시설 중심의 운영은 현장에서 직접 가출청소년을 조기발견하고 적절한 위기개입을 할 수 있어 청소년 보호업무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다양한 유형의 청소년쉼터를 민간에서 운영하도록 유도하고 지원해 나가는 방식으로 서울시의 청소년쉼터 지원정책의 전환을 제안한다. ‘청소년종합보호지원센터’가 가출청소년에 대한 상담과 초기사정 절차를 통해 입소 청소년별로 적절한 보호시설에 배치하는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청소년쉼터 운영유형이 좀 더 다양화되어야 한다. 현재 입소자 보호기간을 기준으로 단기 및 중장기 쉼터로 분류하여 운영하는 방식 보다는, 청소년의 연령 및 상황에 따라 가정이나 대안가정 복귀를 지원하는 ‘가정복귀지원쉼터’, 가정복귀가 어려운 일정 연령 이상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취업지원 서비스를 중점 제공하는 ‘자립지원쉼터’ 등 다양한 유형의 쉼터 개발을 민간단체 지원을 통하여 유도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다섯째, 가출청소년의 예방, 발견, 보호 및 지원 업무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는 기관 상호간의 긴밀한 협조체제와 함께 지역사회 민간부문의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 기관 역할의 재정립에 따른 지원체계를 강화할 수 있는 법령이나 제도의 보완사항을 검토․시행하고, 지역사회 민간협력 부문의 분야와 범위를 넓혀 가려는 노력을 꾸준히 기울여 나가야 할 것이다. ABSTRACT A Study on Understanding and Promoting Runaway Youth Shelter in Seoul Lee, Jong-Do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Urban Science, University of Seoul Supervisor : Prof. Dr. Ju-Ill Kim Most recently, the rate of youth runaway has been growing continuously in our society such as, family break-up and poverty within the family, school drop out, sex experience, rise of violence within educational and social crises. Even though most of the people in the society acknowledge that there are great deal of chances to be linked to the crimes in case youngsters don't get immediate and relevant care and support from the society after youths ran away from home, social-area-network for the youths in our society is not only in very low level but reveals that our society is lack of government run shelters and that it poorly operate care institute. However, we may notice the analysis that says main cause of these problems are not only due to lack of budget supports and facilities. For instance, Seoul government has a lot of things to be implemented to boost their cooperation with relevant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in that it is not working properly efficient enough to implement the budget for the community group home and mandate personnel to operate it. In addition to this, it lacks public awareness to cooperate with NGO in that it is doing business on behalf of the government. To this, this study focuses on the analysis of its operation in the emergency shelter for the runaway home youths and 12 youth group homes to find the solution to fundamental ideas to promote runaway youth shelters. I would like to propose following ideas on the basis of suggestions First of all, Seoul government has to establish and operate the facilities to help youth comprehensive care support center (assumed title: 1388 center) to find runaway youths in the bud and to provide them urgent support, like food and housing, to provide them with a professional advice, and eventually to offer services to help reunite youth with their families whenever possible. If not possible, it should accommodate them to group home as a management agency. I think that Seoul can initiate the operation of the agency at present without difficulty once it implements function and personnel of the agency. Second of all, to operate youth comprehensive care support center, Seoul has to implement to strengthen the function to plan and do outreach programs such as counseling on the run promotion in a daily basis. It is widely evaluated that outreach activities to meet the youngsters in person is effective to prevention from running away from home, finding and supporting the teenagers. Third, Seoul needs to enlarge temporary youth shelters within the district and make the youths to get easy access to the convenient facilities like, providing them with showering, laundry, food, first aid kit with free of charge. Such operation like conveniency oriented facilities enable it to find them in an early stage and has its advantages to boost an efficiency over the protection of youth like crisis intervention for runaway. Fourth, I propose that Seoul government operate supporting policy to lead various kinds of NGO youth group home.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type of youth group home to carry out role that '1388 center' give counseling to runaway youths and place the youths appropriate facilities in the first stage of runaway. It is highly desirable that Seoul has to fund NGO to develop various kinds of group home such as --'family reunion supporting group home' to offer services to help reunite youth with their families or alternative family according to the age of the youth and situation under circumstance, 'self-support group home' to provide a certain age of needy youths with introduction of jobs-- rather than short-term and mid-term operation. Fifth, to achieve goals to prevent, find, save, protect, and support runaway youths effectively, it is imperative to closely cooperate with organizations and community society. Seoul has to make steady efforts to widen the scope and field in the non-governmental cooperation with the community by reviewing and implementing both law and institution that are re-establishing support system to enforce the role of organization.

      •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소진 및 사회적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하나로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소진 및 사회적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 하나로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지도교수 최 인 화 가출청소년쉼터의 운영 목적을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그러나 쉼터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사자는 낮은 보수, 빈번한 야간숙직, 초과근무 등 열악한 업무환경에 노출되어 있고, 높은 이직률을 보이고 있음에도 그에 대한 우리 사회의 지원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특성에 따라 이직의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소진 및 사회적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특성(성별, 연령, 결혼여부, 급여, 근무 중인 쉼터유형)에 따른 이직의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소진(감정적 고갈, 개인적 성취감 결여, 클라이언트에 대한 비인간화) 및 사회적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위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전국에 소재한 가출청소년쉼터 119개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65개의 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종사자 11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t검증, 일원분산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특성인 성별, 연령, 결혼여부, 급여, 근무 중인 쉼터유형에 따른 이직의도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성별에 따른 이직의도는 남자보다 여자가 높았지만 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연령에 따른 이직의도는 연령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혼여부에 따른 이직의도는 미혼보다 기혼이 더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급여가 ‘300만원 이상 ~ 400만원 미만’인 종사자의 이직의도가 가장 높았고, ‘200만원 이상 ~ 300만원 미만’인 종사자의 이직의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지만, 급여에 따른 이직의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근무 중인 쉼터유형에 따른 이직의도는 중장기쉼터에서 근무하는 종사자의 이직의도가 일시쉼터와 단기쉼터에서 근무하는 종사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근무쉼터유형에 따른 이직의도 차이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성별, 연령, 결혼여부, 급여, 현재 근무 중인 쉼터유형을 통제하였을 때,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소진과 사회적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소진의 하위요인 중 감정적 고갈과 개인적 성취감 결여는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소진의 하위요인 중 클라이언트에 대한 비인간화와 사회적지지는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감정적 고갈 수준이 높아지고 개인적 성취감 결여가 높아질수록 이직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소진 중 감정적 고갈과 개인적 성취감 결여가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들이 장기적으로 근무할 수 있는 효율적인 정책수립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 소진, 사회적지지, 이직의도 Effect of burnout and social support on turnover intention of runaway youthshelter workers Hanaro Cho Myongj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Advisor: Professor In-Hwa Choi To run a runaway youth shelter successfully, the role of youth shelter workers is critical. However, employees providing services at youth centers tend to receive low pay and are exposed to poor work conditions such as frequent night shifts and overtime work. Despite the resulting high turnover rate, societal support to rectify this situation is extremely insufficient.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worker characteristics, and further investigate the effect of burnout and social support on turnover intention.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How does turnover intention of runaway youth shelter workers differ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gender, age, marital status, pay, shelter type)? [Research Question 2] How does runaway youth shelter workers’ burnout (emotional exhaustion, lack of personal accomplishment, depersonalization) and social support affect their turnover intention? To test the research questions above, 119 runaway youth shelters acorss Korea were reques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Of them, 65 shelters agreed to participate and a total of 113 workers completed the online surve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s, one-way ANOVA,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done on the data collected via the SPSS 19.0 software program. Major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urnover intention of runaway youth shelter worker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y their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marital status, pay, and shelter type. Specifically, turnover intention appeared greater among male workers than female workers,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urnover intention seemed to increase according to age, but this, too,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ingle workers showed higher levels of turnover intention than married workers,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urnover intention was the greatest among workers who were paid ‘3,000,000 ~ 4,000,000 won’, and was the smallest among workers who were paid ‘2,000,000 ~ 3,000,000 won’. but the difference in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pay was not significantly significant. Workers at medium- and long-term shelters expressed greater turnover intention than those at temporary shelters and short-term shelters, but this difference according to shelter type was also statistically insignificant. Second, the effect of runaway youth shelter workers’ burnout and social support on turnover intention was examined with these characteristics of runaway youth shelter workers were controlled for. As a result, two burnout subdomains, emotional exhaustion and lack of personal accomplish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However, another subdomain of burnout called depersonalization as well as social support appeared to have insignifican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In other words, runaway youth shelter workers with high levels of emotional exhaustion and lack of personal accomplishment tend to have an increased turnover intention. Importantly, the study found that emotional exhaustion and lack of personal accomplishment experienced by runaway youth shelter workers affected their turnover inten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when formulating effective policies that promote long-term satisfactory work environment for workers at runaway youth shelters. keyword : burnout, social support, turnover intention, youthshelter workers

      • 정기적인 문화예술활동이 가출 청소년의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샛별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is a research of how much a regular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can affect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 of runaway teenagers. Also, by introducing some domestic cases, the role of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support will be explained and how it can be more improved will be offered. Runaway teenagers tend to be marginalized in obtaining various information and enjoying cultural activities, and experience social inequality. Consequently, they become psychologically unstable and commit an irregularity. This paper will show what differences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can give on teenagers'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n twenty-eight teenagers from 6 teen shelters in Gyeonggi-do and Incheon area from August, 2011 to November, 2011 once or twice a month. Each had chances to see an exhibition, a play, a musical. They were guided by an advisor before and after the show. In order to see changes in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 Korean-Youth Self Report : K-YSR was used. It was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activity. Also, teenagers and the advisors had a focus group interview. Collected information was tabulated by the program called SPSS 18.0, with paired t-Test, the result was analyzed. As a result, regular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did have an effect on reducing teenagers'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 Internalizing problems such as atrophy, somatization, depression, and anxiety got better. Above all, depression and anxiety showed a major improvement. When it came to externalizing problem, the research was particularly executed on aggressiveness and delinquency, and only the aggressiveness had an effect. The reduction in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 was indicated in focus group interview as well. This helped me to come up with following remedies. Although the teen shelters offer great programs for teens' independency and self-support, their affection should be concerned first. We need to support them to broaden their perspectives. It would be great if the activity is amusing, but the content must be considered qualitatively and educationally. So, kids can experience various things. Moreover, further actions on searching for more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and studying adolescents' affection should be taken before it gets offered.. However, It would be foolish to generalize this since there was only one subject, runaway teenagers and it is not scientifically proved. You will find limits since we failed to do research on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We hope this research will give a hand to future ones. 본 연구는 가출청소년을 대상으로 정기적인 문화예술활동이 내재화ㆍ외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국내의 사례를 통해 문화예술활동 지원의 역할과 개선방안에 대해 조망해보았다. 가출청소년은 각종 정보와 문화적 삶에 있어서 주변화 되고 다양한 사회적 배제를 경험하게 되며, 심리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에서 각종 비행에 노출되어 내재화ㆍ외현화 문제행동을 보인다. 가출 전부터 사회문화적 지지체계가 빈약한 가출 청소년에게 문화예술활동이 실제 내재화ㆍ외현화 문제행동 완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증명하고, 문화예술활동이 새로운 지지네트워크와 대안이 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ㆍ인천권 6개의 중장기 쉼터에서 생활하고 있는 청소년 28명을 대상으로 2011년 8월부터 11월까지 기관별로 월 1∼2회 문화예술활동을 진행하였다. 쉼터별로 전시회, 연극, 뮤지컬 등을 관람하였으며, 관람에 앞서 기관의 담당자 지도아래에 사전/사후 교육을 진행하였다. 내재화ㆍ외현화 문제행동의 변화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한국판 청소년 자기행동평가척도(Korean-Youth Self Report : K-YSR)를 사용하여, 문화예술활동 전과 이후 실시하였다. 또한 청소년과 기관 담당자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정기적인 문화예술활동 후 변화를 분석했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여 사전/사후 검사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기적인 문화예술활동은 가출청소년의 내재화ㆍ외현화 문제행동을 감소시켰다. 위축, 신체증상, 우울/불안과 같은 내재화 문제가 전반적으로 감소를 보였지만, 그 중 우울/불안 영역에서 가장 많은 감소를 나타냈다. 외현화 문제와 관련하여 공격성과 비행 2가지 영역을 조사하였는데, 비행 감소에는 큰 변화가 없었지만 공격성 영역에서 정기적인 문화예술활동 이전보다 줄어든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서도 가출청소년의 내재화ㆍ외현화 문제행동 감소를 엿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문화예술활동이 내재화ㆍ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연구 과정을 통해 문화예술활동 지원에 관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중장기 쉼터에서 자립과 자활을 위한 교육도 중요하지만, 심리적 안정이 선행되어야 하며 사회ㆍ문화적 자산을 확대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 그리고 아동ㆍ청소년을 대상으로 문화예술활동 지원시 흥미 위주나 유행도 중요하지만, 공연의 질과 교육적인 면도 함께 고려하여 다양한 장르를 경험하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지역 자원을 활용한 문화예술활동을 모색하고, 청소년의 신체적ㆍ정서적 측면에서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알아보고 체계적인 문화예술활동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가출청소년만을 대상으로 한 실험연구의 결론을 일반화시키기 어렵다는 점과, 용어나 개념이 학문적으로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한계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또한 문화예술활동의 효과성에 관한 선행연구의 미비로 인해 한정성이 있음을 밝힌다. 본 연구가 추후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 부모의 가정폭력이 청소년가출충동에 미치는 영향

        김옥숙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부모의 가정폭력이 청소년가출충동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은 서울과 수원지역의 초등학교 6학년 남학생 115명과 여학생103명을 대상으로 총 218명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대한 검사도구는 Straus(1990)의 갈등관리행동 척도인 CTS(Conflict Tactics Scale)와 CTS2(Straus et al., 1996)를 장덕희(2001)가 번안하여 사용한 것으로, 청소년가출충동에 대한 도구로는 남영옥(1998)이 작성한 청소년가출충동에 관한 설문지로 청소년가출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문항만을 선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부모 간 그리고 부모가 자녀에게 폭력을 행하는 경우가 많을수록 자녀가 가출충동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설1에서는 부모 간에 그리고 가설 2에서는 부모가 자녀에게 더 빈번하게 폭력을 행사할수록 자녀가 가출하고 싶은 충동을 더 많이 느낄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상관에서도 이러한 경향은 분명하게 확인되었다(p<.01). 이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가정폭력의 네 가지 형태 중 가출충동을 가장 잘 예측하는 하위요인들이 무엇인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가출충동 점수를 종속변인으로 하고 가정폭력의 형태를 독립변인으로 하는 단계적 회귀분석(stepwis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는 청소년의 가출충동을 가장 잘 설명하는 변인은 아버지가 어머니에게 폭력을 행하는 정도였다(R2= .123). 그 다음으로는 어머니가 자녀에게 폭력을 행하는 정도였다(R2= .018). 아버지가 자녀에게 그리고 어머니가 아버지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경우도 가출충동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가정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네 가지 형태의 폭력이 모두 아동의 가출충동을 증가시켰다. 가장 효과가 큰 영향을 고려할 때 이러한 결과는 부모가 자녀에게 행사하는 직접적인 폭력뿐만 아니라 아버지가 어머니에게 폭력을 행사하고 어머니는 폭력으로 인한 좌절과 스트레스를 자녀에게 전가시키는 전형적인 간접경로를 시사한다. 따라서 가설1과 가설2가 지지되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부모 간에 발생하는 폭력의 정도를 부분(partial)상관에서 통제하고 부모가 자녀에게 직접적으로 폭력을 행사하는 정도와 가출충동간의 상관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가정폭력의 양상이 가출충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차가 나타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이를 위해 남학생과 여학생 집단을 따로 구분하여 가정 폭력의 양상과 가출충동과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네 가지의 가정폭력이 서로 상관이 높았기 때문에 공통 변산을 제외하고 순수분산만을 고려한 일반 회귀분석(enter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아들은 아버지가 어머니에게 행사하는 폭력의 간접적인 영향을 더 많이 받고 딸은 어머니가 행하는 직접적인 폭력 때문에 가출충동을 더 느낀다고 나타났다. 제언으로는 폭력의 개념을 폭력을 행하는 부모의 입장에서 보다는 당한다고 생각하는 청소년의 입장에서 정리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부모의 입장에서 청소년에게 행하는 폭력의 의미에 대한 정도와 나아가 가정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개입방안을 모색하고 또한 부모의 가정폭력이 청소년가출충동에 미치는 영향을 단순한 부모의 가정폭력과 청소년비행의 원인이 되거나 문제행동의 범주에서 이해하기 보다는 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문제의 맥락에서 파악되어야 한다고 본다. 청소년가출충동을 가정을 넘어서 학교, 지역사회 구조 등 사회체제 전체의 개발정책과 연관되어 보다 거시적인 차원에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 between the violence of parents in family and the runaway impulse of teenagers. It is used CTS of Straus(1990) and CTS2 of 장덕희(2001) to measure the violence of parents. The results are based on 218 boys and girls of 6 grade elementary school. Here are three results from this study. First, the runaway impulse of teenagers gets higher as the number of the violence of parents in family increases. To confirm this relation, I found out which subordinate main cause was concerned the most with the runaway impulse from four different types of the violence of parents. It was different from type of the violence of parents, especially the violence from father to mother is more often than the violence from mother to father. Second, the more parents use the violence the higher teenagers feel the impulse to runaway from home. The strongest main cause of the runaway impulse of teenagers is the amount of the violence from father to mother. The next main cause is the amount of the violence from mother to their children. The violence from father to the children and from mother to father are also concerned with the runaway impulse similarly. All types of violence in family increase the runaway impulse of teenagers. Third, there is a sexual difference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violence and the runaway impulse of teenagers. In case of boys, it depends on father's violence to mother, on the other hand, girls depend on mother's violence to themselves.

      • 여자가출청소년의 성매매 경험유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선희 경성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지금까지의 청소년성매매에 관한 연구들은 원인, 실태분석, 법적보호와 처벌, 성매매 경험 및 치료방안, 다체계 모델의 접근, 청소년 비행화 과정에 관한 연구들로 다양한 접근을 통하여 사회문제제기 및 사회복지적 실천함의를 제시하여왔다. 성매매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는 새롭게 접근되고 있다. 특히, 성매매 경험 전 단계에 중요성을 두며, 같은 가출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도 성매매에 유입되지 않고, 가정․학교․사회로 복귀한 가출청소년들의 존재에 관심을 가지며, 이들에게 영향을 미친 요인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가출청소년이 가출이라는 특수한 환경에 처하게 되면, 성매매를 경험하는 전반적인 환경적 상황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분석하여, 성매매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본 조사는 2009년 3월 23일에서 4월 23일까지 1개월 동안, 전국청소년쉼터 28곳, 성매매청소년지원시설 8곳, 일반지원시설 3곳의 협조받아 설문을 실시하였고, 355부중에 281부를 회수받았다. 분석은 기술통계분석, t검증, 상관관계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통계분석에 의하면 전체 276명의 여자 가출청소년 가운데 성매매 경험이 있는 청소년은 90명(32.6%)이었으며, 성매매 경험에 없는 청소년은 186명(67.4%)였다. 위험요인으로 가출횟수·범죄피해·사회적방임·부정적노동경험·성매매경험이있는또래 요인의 평균이 높은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반면, 보호요인으로 영적안녕· 자기효능감·가족응집력·또래의지지·가족 외부 성인의 지지에서 평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성매매 경험유무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으로 범죄피해경험․부정적노동경험이 두 집단의 비교에서 유의미한 차이로 밝혀지고 있다. 성매매 경험유무에 부적 영향을 일으키는 보호요인으로 종교적 영적안녕․또래의 지지에서 두 집단의 유의미한 차이로 밝혀졌다. 셋째, 상관관계분석에서 위험요인으로 범죄피해경험·부정적노동경험이 높을수록 성매매 경험이 높으며, 보호요인으로 가족의 응집력·또래의 지지, 가족 외부 성인의지지가 낮을수록 성매매 경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넷째, 여자가출청소년의 성매매 경험에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한 문항이라도 결측치가 있는 사례는 추가로 제거되어 275부 (성매매 경험있음 90부, 경험없음 185부)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분석결과 위험요인으로는 부정적노동경험․성매매경험이 있는 또래와 보호요인으로는 또래의지지 요인이 성매매 경험 유무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났다. 청소년 성매매 경험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본 연구의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정적 노동경험이 많을수록 성매매 경험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은 여자가출청소년들이 부정적 노동환경에서 부당한 대우를 받지 않게 그들의 인권을 보호해 줄 수 있는 위기개입프로그램과 전문 인력의 개발에 관한 필요성을 알리고 있다. 가출이후 의식주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노동시장에 참여하게 되는데, 노동시장 참여는 저학력, 저기술, 부모보호의 부재 현실에서 노동자체가 역이용되어 청소년노동착취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 부정적 노동경험이 노동시장을 견디지 못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면, 가출 후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현실에서 생계형 성매매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 현재 한국청소년쉼터협의회, 여성부산하 청소년지원시설, 청소년 긴급 1388에서 이루어지고 거리이동상담 Out-reach 활동의 기본틀에서 전문적인 지원 및 전문인력이 확대되어, 청소년 아르바이트 기관․업소에 적극적인 관여와 모니터링 활동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전문인력은 가출청소년들이 일자리를 구할 경우, 자신의 권리를 정확히 알고 법률적 자문과 청소년 인권 및 일자리 옹호 서비스에 개입해야 한다. 둘째, 개인이 성매매친구집단을 단절시키고 문제집단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가출 이전 학교교육에서 자기주장기술훈련을 포함한 다양한 인성변화프로그램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동시에 가출 후 문제친구집단이 청소년에게 부정적 영향력을 행사하기 전에, 긴급구조 및 사회복지 개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하지만 입시위주의 학교교육 및 학교 내 프로그램 형성이 어려움과 위기개입 프로그램 사업수행의 저예산 및 현장실무자들의 업무과다는 질적측면에서 한계를 가진다. 정부에서는 현실적인 서비스가 진행될 수 있는 정책적 지원과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다. 셋째, 청소년의 또래상담프로그램(Peer counselor)의 확대로 가출청소년들에게 학교·가정·사회로 복귀할 수 있는 또래지지자를 양성한다. 현재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또래상담 프로그램은 학교 특기적성․재량활동시간에 관심 있는 일부의 청소년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보다 프로그램의 확대가 필요하다. 또한 학교 재학 중인 학교청소년들에게 인성교육 및 대인관계 향상을 위해 “좋은친구되기”, “친구관계대화법”등의 프로그램이 교육정책에 반영될 필요성도 있다. 이와 같이 여자가출청소년의 위험요인, 보호요인에 적절한 사회복지 개입을 통하여 성매매 경험을 미연에 방지하는 기반이 되어야 할 것이다.

      • 가출 청소년 MMPI특성 분석에 대한 성경적 상담학적 접근

        김혜영 總神大學校 相談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매년 증가추세를 나타내고 있는 가출 청소년문제와 재 가출, 재 비행의 문제에 대해 가출 청소년의 성경적 접근을 통하여 가출 청소년에 대한 성경적 상담을 시도하였다. 가출 청소년에 성경적 상담에 있어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전제를 두었다. 가출 청소년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하나님 안에서 자신을 알지 못하는 것으로 인하여 가출이나 재 가출, 재 비행의 문제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보고 하나님 안에서 자신을 발견하고 그리스도를 통하여 중생과 그리스도안에서 장성한 믿음의 분량에까지 이르도록 CCEF의 성경적 상담원리를 가출 청소년 상담에 적용하였다. 가출 청소년 상담에 있어서는 시설과 종교단체, 거리 가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는데, 가출 청소년의 성경적 상담에 있어서 가출 청소년의 신앙배경이 없는 것이 대 다수라 가출 청소년의 성경적 상담에 있어서 단계적 접근을 통하여 성경적 상담을 시도하였다. 가출 청소년에 대한 성경적 상담의 측정도구로써는 심리검사 도구 중 하나인 MMPI를 도구로 사용하였으며, 가출 청소년 MMPI 분석을 통하여 성경적 상담의 실효성을 증명하였다. 최초 상담은 입소를 시발점으로 사전 MMPI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초 10명의 표적 집단을 집중적으로 관리하여 입소 6개월간 가출 청소년 정착프로그램을 수료한 표적 집단 수료자를 기준으로 MMPI검사를 재 실시하여서 가출 청소년의 MMPI 각 척도별 수치를 산정하고 사전, 사후 수치변화 검토를 통하여 가출 청소년에 대한 성경적 상담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하여서 성경적 상담의 실효성과 나아가 성경적 상담의 시설 프로그램화의 긍정적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biblical counseling to the runaway adolescent based on the biblical approach to the problems of the increasing number of the runaway adolescents, recurring runaways and recurring juvenile delinquencies. A premise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to examine the biblical counseling for the runaway adolescent. The fundamental problem of the runaway adolescent was that they do not experience themselves within God. As a result, they repeatedly run away and commit juvenile delinquency. Thus, an approach to adopt the biblical counseling principles of CCEF was applied to let the runaway adolescents find themselves within God, and come to have a faith through Jesus Christ and all creatures. For the actual counseling of the runaway adolesc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institutions, religious organizations and runaway adolescents. Most of the runaway adolescents did not have a religious background, so that a gradual approach was adopted in order to conduct effective biblical counseling. In order to measure and evaluate the biblical counseling for the runaway adolescent, one of the psychological test measurements, MMPI, was used and the effects of the biblical counseling were verified from analyzing MMPI of the runaway adolescent. The first day of the counseling was a starting point as the adolescent entered the institution, and the pre MMPI test was conducted. The first 10 adolescents as a target group were subjected to the intensive care, and the MMPI test was conducted again to the target group graduates who completed the rehabilitation program for the runaway adolescent for 6 months from their entrance to the institution. The MMPI values were estimated by each measurement, and pre and post-program changes of the MMPI were examined in order to review the changes of the biblical counseling for the runaway adolescent. Based on the measurements and examinations as mentioned above, the effects of the biblical counseling were verified and a suggestion was made to adopt biblical counseling program in institutions for the runaway adolescent.

      • 청소년쉼터 가출청소년의 집단미술치료 체험연구

        김민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Recent social issues such as family conflicts and the acceleration of family dissolution have led to the const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teenage runaways. Also, the age of teen runaways is decreasing and the number of long running runs and repeated running away is increasing for more than six months. Accordingly, practical intervention at the social and institutional level is necessary to enable runaway teenagers to lead their lives, along with their efforts to share and understand their emotional difficulties. Through prior study, runaway teens were able to express themselves in a safer environment with their peers through group art therapy, and were ultimately given the opportunity to explore their own liv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more specifically what they experience in group art therapy at youth shelters through vivid statements based on the perspectives and views of runaway teenag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its essence and significance through phenomenological reflection that describes and analyzes the experiences of runaway teenagers through group art therapy focusing on youth rest areas. Through this, it will improve the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runaway teenagers at the youth shelters and provide basic data to be used at the group art treatment scene. So, the question of the study is, ' What kind of experiences do teenagers at teen shelters experience at group art therapy, and what is the nature and significance of the experience?' ida .da. ' This study used a subjective quality method to convey vividly what experiences the group art therapy experiences of teen shelters run away from home were, focusing on the values of the study subjects and the experience world. I would also like to use Max van Manen's analytical phenomenological method to explore it from a more diverse point of view, using empirical descriptive material such as literature, art, photography, etc. The research phase went through four stages : focusing on the nature of vivid experiences, existentialism, analytic phenomenological reflections, and analytic phenomenological writing.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6 study participants in October 2017 through in-depth interview on collective art therapy experiences of runaway teenagers focusing on youth shelters. The data analysis using Max van Manen's analytical phenomenological method resulted in a total of 6 essential topics and 17 sub-substa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lthough I was opposed to it before I started group art therapy, I can expect time and comfort myself with the time of my friends and friends when I can get to know them. In this study, the experiences of runaway teenage group art therapy at a rest area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runaway teenagers at a youth shelter feel safer by their friends' presence, face group art therapy and feel one step closer to their future sessions than by their preconceived ideas about group art therapy. Second, the safe environment provided by youth rest areas and group art therapy for runaway teenagers who are becoming sensitive to their surroundings enables them to participate in a group art therapy session. Third, group art therapy can create the possibility of runaway teenagers exposing themselves in the classroom and not completely revealing themselves, although they want to know something about others. Fourth, runaway teenagers face their present selves in group art therapy. The academic aspects of art therapy and practical contributions of this study to the field of art therapy by providing vivid data on the experiences of group art therapy at teen shelters are as follows : First, this study, one of the four types of microtherapy, was about institutional art therapy, which g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ollective art treatment experiences of teenage runaways. This provides useful academic or practical data on collective art treatment of teenage runaways and retreats to art therapists who have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or work at various art treatment sites. Secondly, in group art therapy for runaway teenagers at teen shelters, shelter friends are a factor leading them to mass art therapy. Third, it is possible to consider linking to various psychological treatments for those who have made it easier to participate in group art therapy with their friends. This will actually help agency workers who are on site mindful of the application of group art therapy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study are as follows. First, experiences of study participants may vary between short-term group art therapy and long-term group art therapy depending on the period. The group art therapy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carried out from the second session at least to the sixth session at most. Further studies would require a study of detailed group art therapy experiences depending on the extent of the participating sessions, involving more participants in the sessions. Second, in this study, runaway teenagers at teen shelters were studied regardless of the number of people who participated in group art therapy together. Subsequent studies need to consider the empirical characteristics that may vary depending on the number of people involved in group art therapy.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쉼터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가출청소년이 생생히 체험한 내용들을 서술하고 분석하는 현상학적인 성찰을 통해 그 본질과 의미들을 이해하고자 함에 있다. 이를 통해 청소년쉼터 가출청소년에 대한 구체적 이해를 높이고, 이들을 대상으로 한 집단미술치료 현장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청소년쉼터 가출청소년은 집단미술치료에서 어떠한 체험을 하며 그 체험의 본질과 의미는 무엇인가?’이다. 본 연구는 청소년쉼터 가출청소년의 집단미술치료 체험이 어떠했는지 생생하게 전달하기 위해 연구대상자들의 가치관과 경험세계를 중시하며 그들을 주관적 시각에서 이해할 수 있는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문학, 미술, 사진 등의 경험적인 묘사 자료를 활용하여 좀 더 다각적인 시각에서 살펴보고자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고자 한다. 연구의 단계는 생생한 체험의 본질에 집중, 실존적 탐구 단계,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 등의 총 4단계를 거쳤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17년 10월에 연구 참여자 총 6명으로부터 청소년쉼터 가출청소년의 집단미술치료 체험에 대한 심층 면담을 통하여 수집되었다.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6개의 본질적 주제와 17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집단미술치료를 시작하기 전에는 거부감이 있었지만, 쉼터 친구들과 친해지면서 앞으로 이루어질 시간을 기대하게 됨>, <쉼터 친구들과 함께하는 친숙한 분위기의 집단미술치료 시간이 즐거움>, <나의 상황을 이해하고 도움을 주는 미술치료사로 인해 마음이 놓임>, <이미지를 앞에 두고 친구들의 입장과 내 입장을 공유해보는 시간이 신기하고 즐거움>, <쉼터 친구들의 새로운 부분을 알게 되는 것은 좋지만, 자신의 비밀이 드러나는 것에 대해서는 속으로 부담감을 가짐>, <나의 고민과 속마음을 표현해보며 집단미술치료에 대해 만족감을 느낌>. 본 연구에서 청소년쉼터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가출청소년의 집단미술치료 체험은 네 가지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결론을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청소년쉼터 가출청소년은 집단미술치료에 대한 선입견 보다는 친구들이 함께함으로써 안정감을 가지며 집단미술치료를 대면하고 앞으로의 회기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짐을 느낀다. 둘째, 주변 환경에 예민해져있는 가출청소년에게 청소년쉼터와 집단미술치료가 제공하는 안전한 환경은 이들의 집단미술치료 회기 참여를 가능케 한다. 셋째, 집단미술치료는 가출청소년이 회기에서 자신을 노출시킬 가능성을 만들어주고, 타인에 대해선 알고 싶은 점이 있으나 자신을 완전히 노출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 넷째, 청소년쉼터 가출청소년은 집단미술치료에서의 자기표현을 통해 지금 여기에 있는 자신의 모습을 마주하게 된다. 청소년쉼터 가출청소년의 집단미술치료 체험에 대하여 생생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본 연구가 미술치료학의 학문적 측면과 현장에 실제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미술치료학의 4가지 유형 중 하나인 기관미술치료에 대한 것으로 청소년쉼터 가출청소년의 집단미술치료체험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다. 이는 미술치료학 석사학위 과정생, 또 다양한 미술치료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미술치료사에게 청소년쉼터 가출청소년의 집단미술치료에 대하여 학문적으로 또는 실제적으로 유용한 체험적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둘째, 청소년쉼터 가출청소년의 집단미술치료에서 쉼터 친구들은 이들이 집단미술치료에 참가하도록 이끄는 요인이 되고 있다. 셋째, 쉼터친구들과 집단미술치료에 함께 참여함으로써 치료적 개입이 비교적 수월해진 이들에게 다양한 개인 심리치료로의 연계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이는 현장에서 집단미술치료 적용을 염두에 두는 기관 종사자들에게 그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단기 집단미술치료와 장기 집단미술치료는 그 기간에 따라 연구 참여자의 체험이 다를 수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이 체험한 집단미술치료 횟수는 적게는 2회기부터 많게는 6회기 이내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는 좀 더 많은 회기에 참여한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여 참여 회기의 정도에 따라 세분화 된 집단미술치료 체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본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쉼터 가출청소년들이 집단미술치료에 함께 참여한 인원수에 구분을 두지 않고 연구가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는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한 인원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체험적 특성들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 가출청소년의 비행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청소년쉼터에 입소한 가출청소년을 대상으로

        김문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청소년비행의 심각성을 기본적으로 전제하면서 청소년비행의 위험에 가장 취약한 상태로 노출되어 있는 가출청소년에 주목하였다. 가출청소년을 둘러싸고 있는 여러 특성들을 생태체계적 관점에 따라 개인체계, 가족체계, 학교체계, 친구체계, 사회체계로 나누고 각각의 체계에 하위차원을 두어 구체적으로 가출청소년의 어떠한 특성이 심한 비행으로 나아가게 하는 주요요인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가출청소년을 위한 사회복지실천에서 가출청소년의 비행이 심화되는 것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해 어떠한 요인에 주목하여 개입해야 할지를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출청소년을 부모나 보호자의 동의 없이 24시간 이상 집을 떠나있는 만 13세 이상 18세 이하의 청소년 으로 조작적 정의를 하고, Hirshi의 사회 통제이론과 Sutherland의 차별접촉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청소년비행에 영향을 미친다고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요인들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가출청소년의 비행정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즉, 가출청소년의 개인체계 요인으로 자아정체성과 충동성, 가족체계 요인으로 부모의 억압, 부모의 관심, 가족유대감, 부모의 불화, 학교체계 요인으로 선생님에 대한 애착과 학교에 대한 애착, 친구체계 요인으로 친한 친구의 비행, 비행친구의 수, 비행친구의 영향력, 사회체계 요인으로 대중매체에서 비행장면을 본 빈도, 대중매체의 영향력을 본 연구의 독립변수로, 가출청소년의 비행정도를 종속변수로 하였다. 그리고 이 때 인구사회학적 특성인 성, 연령, 학업성적, 가족의 경제수준과 가출관련 특성인 첫가출 시기, 가출횟수, 가출기간을 통제변수로 하였다. 본 연구는 2001년 4월 10일부터 5월 10일까지 한국청소년쉼터협의회에 가입한 전국의 청소년쉼터 23곳에 입소한 가출청소년 1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비행정도가 낮은 집단과 비행정도가 높은 집단간 비교를 해 본 결과 개인체계와 친구체계, 사회체계에서는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가족체계와 학교체계에서는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가출청소년이 상황적으로 가족 및 학교와 단절된 상태이어서, 이들이 가출청소년에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타인(significant other)으로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둘째, 가출청소년의 비행정도에 미치는 각 체계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가출청소년의 친한 친구가 비행을 많이 할수록, 가출청소년의 충동성이 높을수록 비행정도가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나, 친한 친구의 비행과 충동성이 가출청소년의 비행을 심화시키는 주요요인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연구자는 사회사업 임상적 제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가출청소년이 긍정적인 친구관계를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친구관정립 프로그램, 자기주장훈련 프로그램, 비행친구 집단프로그램 등을 제안한다. 둘째, 가출청소년의 충동성 감소를 위하여 Mentoring, 체계적인 탐색능력 훈련, 자기지시 훈련을 제안한다. 셋째, 효과적으로 비행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청소년 쉼터 모델 개발을 제안한다. 넷째, 가출청소년을 전문적으로 연구하고 개입하는 학계와 실천현장에서의 적극적인 전문가 양성을 제언한다. 이에 덧붙여 후속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가출청소년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의 정립이 시급하다. 둘째, 청소년쉼터에 입소한 가출청소년 뿐 아니라 거리의 가출청소년을 대상으로 하거나 일반청소년과 가출청소년의 비교연구 등 본 연구의 다양한 재현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 제언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평가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선진국의 효과적인 청소년쉼터 모델과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우리나라에서의 적용을 검증해보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Runaway adolescents are apt to commit delinquent act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effective preventive programs or strategies to prevent them from being juvenile delinquen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factors influencing on the degree of delinquency among runaway adolescents in youth shelters, so that social work practice guidelines and preventive strategies could be identified in working with this population. Based on the ecosystems perspective, this study proposed that runaway adolescents would be affected by various systems such as personal, family, school, friends, and social systems. In this study, runaway adolescents were operationally defined as "13- 18 age adolescents who left their homes for more than 24 hours without parents' or guardian's permission". Hirschi's social control theory and Sutherland's differential association theory were examined. In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included a) self- identity and impulsiveness as personal system, b) parental oppression, parental concern, family bonding, and marital discord as family system, c) affection to teachers and attachment to school as school system, d) close friend's delinquency, number of delinquent friends, and delinquent friend's influence as friend system, and e) the frequency of watching delinquent scenes in mass media and the influence of mass media as social system.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degree of delinquency among runway adolescents. Gender, age, school grade, socioeconomic status(SES), and the time of first runaway, frequency and duration of runaway were used as controlling variables. This study used 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 from April 10 to May 10, 2001. One hundred sixty runaway adolescents who were admitted to 23 youth shelters during the above period were recruit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between the low degree and the high degree of delinquent groups in personal, friend, and social systems, but not in family and school systems. From this result, it can be inferred that family and school do no longer play a major role of 'significant others' to runaway adolescents because of their lack of reciprocal interaction with those systems. Second, i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lose friend's delinquency and impulsiveness of runaway adolescents were identified as major predictive factors affecting to the degree of delinquency. That is, the more delinquent friends the adolescent had and the more impulsive the adolescent was, the severe delinquent acts the runaway adolescent would commit. Based on the above results, several sugges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were made. First, Programs to help runaway adolescents to establish positive peer relationships need to be developed. This may include such programs as 'Choose right friends', assertiveness training, and a peer group counselling. Second, Preventive programs to reduce impulsiveness among runaway adolescents are necessary, particularly in the early phase when those adolescents start to show initial symptoms for behavioral problems. Such programs may need to be implemented as early as possible, and a monitoring system can be instituted so that highly impulsive adolescents can be continuously monitored for potential runaway. Since programs such as mentoring, self-state training, and systemic thinking training are found effective in reducing impulsiveness among this population, there is a need to closely examine the applicabilities of those programs in youth shelters. Third, A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delinquency,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types of youth shelter either to prevent or remedy runaway adolescents' delinquency effectively. Forth, It is strongly necessary to build a linkage between academy and practice field so that information in dealing with runaway can be adequately disseminated. Implication s for futur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trong need to explore Korean culture-relevant theories on run away adolescents. Second, there is a need for a comparative study to explore the differences of delinquency between runaway youths in shelters and those on streets. Third, there is a need for a study to test effectiveness of preventive programs that were suggested above. Fourth, effective programs that are already in use in other countries need to be rigorously examined to test out adaptabilities and applicabilities to korean culture.

      • 청소년쉼터가 가출청소년의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청소년쉼터의 개입기간을 중심으로

        조규필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한 해 2~10만 명으로 추산되는 가출청소년들은 가정과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고 가출하여 거리에서 학대와 폭력의 피해자로 혹은 비행청소년으로 생활하며 다양한 청소년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청소년들의 가출이 일시적이 아닌 반복적 가출로 이어져 만성화되는 것이 더 심각한 사회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므로, 가출청소년의 가정 및 학교로의 복귀와 가출 유경험 청소년의 재가출 예방의 문제는 매우 중요한 관심사가 아닐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의 핵심과제는 회복력과 스트레스 이전의 적응수준으로의 복귀능력을 의미하는 ‘적응유연성(resilience)' 개념을 활용하여 가출청소년에 대한 청소년쉼터의 개입이 그들의 적응유연성 신념체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쉼터협의회 산하 전국 27개 청소년쉼터에 입소해 있는 가출청소년 1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청소년쉼터의 일정한 개입기간 동안 쉼터의 서비스가 가출청소년의 적응유연성 신념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청소년쉼터에 머물러 있는 전체 보호서비스 기간동안에는 쉼터 개입요인들 중 ‘쉼터 프로그램 참여도’가 적응유연성 신념체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쉼터의 개입요인 중 ‘쉼터프로그램 참여도’는 보호서비스 기간이 2개월 이상인 가출청소년의 적응유연성 신념체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쉼터의 개입요인 중 ‘쉼터선생님의 지지’는 보호서비스 기간이 4개월 이상인 가출청소년의 적응유연성 신념체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쉼터의 개입요인 중 ‘쉼터친구들의 지지’는 보호서비스 기간이 1개월 이하인 가출청소년의 적응유연성 신념체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청소년쉼터의 보호서비스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가출청소년의 적응유연성 신념체계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평균값의 변화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즉, 청소년쉼터의 보호서비스 기간이 늘어날수록 가출청소년의 적응유연성 신념체계가 향상되었다. 다만, 적응유연성 신념체계의 평균값의 변화가 기간의 경과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6개월 이내의 기간에서 소폭 증가와 감소의 주기를 반복하면서 전체적으로는 입소 초기보다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종합하면, 청소년의 적응유연성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는 배경변수들을 통제하고, 청소년쉼터의 보호서비스 기간별로 쉼터의 개입요인을 독립변수로 투입하여 가출청소년의 적응유연성 신념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한 결과, 전체 기간을 모두 포함한 경우에는 ‘쉼터프로그램 참여도’가 적응유연성 신념체계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쉼터의 보호서비스 기간이 1개월 이하인 가출청소년의 경우 ‘쉼터친구들의 지지’가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보호서비스 기간이 2개월 이상인 경우 ‘쉼터프로그램 참여도’가 정적 영향을 미쳤고, 보호서비스 기간이 4개월 이상인 경우 ‘쉼터선생님의 지지’가 정적 영향을 미쳤다. 아울러, 6개월 이내에서 청소년쉼터에서의 보호서비스 기간이 늘어날수록 가출청소년의 적응유연성 신념체계가 향상된다는 사실을 통계적으로 입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쉼터에서의 사회사업적인 실천적 개입을 위해 제언한 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출청소년이 청소년쉼터에 입소한 지 1개월 이내에는 주로 ‘또래친구들의 지지’가 가출청소년의 적응유연성 신념체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또래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유도해야 한다. 둘째, 가출청소년이 청소년쉼터에 입소한 지 2개월 이후부터는 ‘프로그램 참여도’가 적응유연성 신념체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므로, 프로그램 개발과정에서 가출청소년들의 직접 참여를 통해 흥미를 유발함으로써 프로그램 참여도를 높여야 한다. 셋째, 가출청소년이 청소년쉼터에 입소한 지 4개월 이후부터는 ‘쉼터선생님의 지지’가 가출청소년의 적응유연성 신념체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므로, 쉼터의 선생님은 부모가 제공해주지 못했던 친화력 있는 인간관계를 형성하도록 도와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박현선(2000)이 제안한 적응유연성 증진을 위한 실천적 전략으로서의 멘터링 프로그램을 쉼터선생님의 역할모델에 적용한다면 매우 효과적일 것이라고 본다. 넷째, 가출청소년의 적응유연성 신념체계 값이 보호서비스 기간이 4개월 째에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이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므로, 쉼터에서의 보호서비스 기간이 4개월일 때를 직후로 하여, 대체서비스 연결이 이루어져야 한다. Estimate that 20,000~100,000 runaway youths every year in Korea who could not adjust to their home or school circumstances. They experience violences and abuse on the street or sometimes commit juvenile crimes. If they make over and over again runaway from their home, that may bring on more serious social problem. That's why so important to make them return to their home or school and take precaution against re-runaway. The core the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of youth shelter on their resiliency belief system with using resilience meaning that means ability of returning and recuperating the condition before stress. Data from the sample of 188 runaway youths who were admitted youth shelters that belong to Korea Youth Shelter Association was collecte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 First, during the whole staying periods in the youth shelter, a shelter program participation among intervention factors of youth shelter had a positive influence in the resiliency belief system. Second, a shelter program participation among intervention factors of youth shelter had a positive influence in the resiliency belief system of runaway youths at more than two months. Third, a shelter teachers' support among intervention factors of youth shelter had a positive influence in the resiliency belief system of runaway youths at more than four months. Fourth, a shelter peers' support among intervention factors of youth shelter had a positive influence in the resiliency belief system of runaway youths at less than one month. Fifth, as shelter service period increase, there are difference of resiliency belief system of runaway youth and the change of mean show a tendency increasing. That is to say as the shelter service period for runaway youth increased, the resiliency belief system increased. However, the resiliency belief system did not continue to increase but increased or decreased within narrow ranges during six months with showing a marked trend to increase gradually. Synthetically, with controlling variables of former study about youth resilience showing significant influences and putting in intervention factors of youth shelter as independent variable according to service periods of youth shelter,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s the whole periods, a shelter program particip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in resiliency belief system. And a shelter peers' support had a positive influence in the resiliency belief system when runaway youths were under the protection services period at less than one month, and at more than two months, a shelter program particip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in resiliency belief system. Also as more than four months, a shelter teachers' support had a positive influence in resiliency belief system. In addition, the fact that as the shelter service period for runaway youth increased, the resiliency belief system increased was proved statically. The suggestions which based on this study result, for the practical intervention of social work are as follows ; First,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peers must be led, because mainly shelter peers' support have a positive influence in the resiliency belief system of runaway youths at less than one month after admitting in youth shelter. Second, must be made higher interesting of runaway youth by direct participation in process of shelter program development, because a shelter program particip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in resiliency belief system at more than two months after admitting in youth shelter. Third, shelter teacher should help to make relationships with person without providing by their parents, because a shelter teachers' support had a positive influence in resiliency belief system of runaway youths at more than four months after admitting in youth shelter. Forth, must be connected alternative services immediately after the four months when the resiliency belief system was highest, because the resiliency belief system shows a tendency to decrease from four month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